KR102552926B1 -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926B1
KR102552926B1 KR1020150152224A KR20150152224A KR102552926B1 KR 102552926 B1 KR102552926 B1 KR 102552926B1 KR 1020150152224 A KR1020150152224 A KR 1020150152224A KR 20150152224 A KR20150152224 A KR 20150152224A KR 102552926 B1 KR102552926 B1 KR 102552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chamber
secondary batteries
accelerating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547A (ko
Inventor
류승욱
서원섭
배경근
주현상
김종대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926B1/ko
Priority to US15/293,067 priority patent/US10411245B2/en
Priority to CN201610970609.0A priority patent/CN106654141B/zh
Publication of KR2017005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547A/ko
Priority to US16/529,536 priority patent/US1086209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14Arrangements for moving electrode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01M50/664Temporary seals, e.g. for storage of instant batteries or seawate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해액 주입 후 이차전지를 푸시하여 전극조립체 내에 잔류하는 기체를 배출시킴으로써 전해액 함습 산포를 개선하고, 전해액 함습을 촉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갖는 챔버와, 챔버의 내부 공간 내에 고정되며, 파우치 전지인 다수의 이차전지가 장착된 전지 고정부 및, 다수의 이차전지의 양 장측면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푸시하는 누름 부재를 포함하며, 누름부재는 전해액이 주입된 다수의 이차전지들의 전극조립체로 전해액이 함침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다수의 이차전지를 푸시하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Apparatus to enhance electrolyte wetting in rechargeable battery and enhanc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요 증가로 인해 이차 전지의 수요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고용량화 측면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차 전지의 고용량화 추세에 따라 활물질의 합제 밀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해액의 극판 함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왜냐하면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상 전해액의 함습이 불완전할 경우, 이차 전지의 용량이 저하됨과 더불어 전극 반응이 국부적으로 집중되고 이로 인해 리튬 금속의 국부적 석출이 발생되어 전지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극판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전해액의 함습에 소요되는 시간이 역시 증가하게 되어, 이차 전지의 생산성 저하를 불러일으키게 된다. 또한 전해질의 함습 불균일은 전극의 특성을 열화시켜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액 주입 후 이차전지를 푸시하여 전극조립체 내에 잔류하는 기체를 배출시킴으로써 전해액 함습 산포를 개선하고, 전해액 함습을 촉진할 수 있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차전지의 파우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적용하여, 전해액 함습을 촉진 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은 내부 공간을 갖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 내에 고정되며, 파우치 전지인 다수의 이차전지가 장착된 전지 고정부 및,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의 양 장측면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푸시하는 누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재는 전해액이 주입된 다수의 이차전지들의 전극조립체로 전해액이 함침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다수의 이차전지를 푸시할 수 있다.
상기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를 가압 분위기로 가압하는 가압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배기시키는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은 챔버 내부의 전지 고정부에 장착된 다수의 이차전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 단계 및, 상기 전해액이 주입된 다수의 이차전지의 양 장측면을 누름 부재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푸시하는 푸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 단계 이후에는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를 실링하는 실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를 1분에 20회 내지 30회로 푸시하며, 3분 내지 8분 푸시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 단계 이후에는 상기 챔버 내부를 가압 펌프의 구동에 의해서 가압 분위기로 가압하는 가압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단계에서는 상기 챔버 내부를 진공 펌프의 구동에 의해서 진공 분위기로 만든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를 푸시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단계에서는 상기 챔버 내부의 가압 분위기가 4 내지 8bar가 되도록 가압하고, 상기 푸시 단계에서는 상기 챔버 내부의 진공 분위기가 -40 내지 -80kPa가 되도록 감압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단계 이후에는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를 진공 분위기에서 실링하는 진공 실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은 전해액 주입 후 이차전지를 푸시하여 전극조립체 내에 잔류하는 기체를 배출시킴으로써 전해액 함습 산포를 개선하고, 전해액 함습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은 이차전지의 파우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적용하여, 전해액 함습을 촉진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에서 챔버 내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의 전지 고정부에 장착된 이차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의 함습 촉진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의 함습 촉진 방법의 다른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를 도시한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에서 챔버 내부 구성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의 전지 고정부에 장착된 이차전지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100)는 챔버(110)와, 챔버(110)내부에 수용되며 다수의 이차전지(10)가 고정된 전지 고정부(120)및, 다수의 이차전지(10)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눌러서 압력을 가하는 누름 부재(130)를 포함한다. 또한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100)는 챔버(1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배기시키기 위한 진공 펌프(140) 및, 챔버(11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압 펌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10)는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형성된 전극조립체(1)와, 상기 전극조립체(1)가 내장된 얇은 연성(flexible)의 파우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수의 이차전지(10)는 얇은 연성의 파우치의 가장자리 접합에 의해 구비된 내측 공간내에 전극조립체(1)가 수용된 파우치 전지일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1)는 양극판, 세퍼레이터 및 음극판이 적층 후 권취된 젤리롤 타입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10)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각각 양극탭(11) 및 음극탭(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양극탭(11)과 음극탭(12)이 파우치의 일측 접합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10)는 마주보는 평평한 장측면(10a)을 갖고, 장측면(10a)의 네변의 가장자리 접합부 중, 양극탭(11)과 음극탭(12)이 노출되는 접합부가 아닌 다른 어느 한 변 접합부 접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즉, 다수의 이차전지(10)는 일변의 접합부가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10)는 개방된 일변(10b)을 통해, 전극조립체(1)의 라운드진 측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챔버(110)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상기 챔버(110)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커버와 하부 케이스는 다수의 이차전지(10)가 내부에 장착된 이후에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전지 고정부(120)는 상기 챔버(110)의 내부 공간 내에 장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지 고정부(120)는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10)는 전지 고정부(120)의 프레임 내부 공간 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10)는 2개의 장측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개봉된 접합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전지 고정부(120)에 일렬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이차전지(10)의 장측면들은 서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10)는 서로 이격되도록 전지 고정부(120)에 장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누름 부재(130)는 마주보는 두개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이차전지(10)의 2개의 장측면과 각각 마주 보도록 상기 챔버(1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130)는 마주보는 두 개의 평판이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130)는 다수의 이차전지(10)를 개별적으로 푸시(push)하도록 다수의 이차전지(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다수개의 세트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누름 부재(130)가 하나의 세트로만 이루어져, 다수의 이차전지(10)를 한번에 푸시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 누름 부재(130)의 세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누름 부재(130)는 구동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130)는 이차전지(10)의 양측 장측면을 동시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푸시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펌프(140)는 상기 챔버(110) 내부를 일정 압력의 진공 분위기로 배기하는 펌프일 수 있다. 상기 진공 펌프(140)는 상기 챔버(110)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챔버(110)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킴으로써 상기 챔버(110) 내부를 진공 분위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 펌프(150)는 상기 챔버(110) 내부를 일정 압력의 가압 분위기로 가압하는 펌프일 수 있다. 상기 가압 펌프(150)는 상기 챔버(110)의 외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챔버(110)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여 일정 압력의 가압 분위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100)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을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100)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은 전해액 주입 단계와 푸시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챔버(110) 내부의 전지 고정부(120)에 다수의 이차전지(10)를 장착한다. 그 후 상기 챔버(110)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이차전지(10)의 개방된 일변(10b)을 통해, 각각의 파우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 단계(S1)를 진행한다.
전해액이 주입 단계(S1) 이후, 푸시 단계(S2)에서는 다수의 이차전지(10)가 누름 부재(130)에 의해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푸시된다. 즉, 상기 누름 부재(130)는 다수의 이차전지(10)의 양측 장측면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동시에 푸시(Push)한다. 상기 누름 부재(130)에 의해, 다수의 이차전지(10)의 전극조립체(1) 내부에 잔류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부재(130)는 다수의 이차전지(10)를 1분에 20회 내지 30회 푸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 부재(130)는 전해액이 전극조립체(1) 내로 함습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서, 다수의 이차전지(10)를 3분 이상 푸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푸시 단계(S1)에서는 다수의 이차전지(10)를 푸시함으로써, 전극조립체(1) 내에 잔류하는 기체(air trap)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다수의 이차전지(10)는 전극조립체(1) 내에 잔류하는 기체의 배출하여, 전해액 함습 산포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푸시 단계(S2)를 진행하여, 내부의 잔류 기체를 배출하면 겉보기 함습이 100%가 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푸시 단계(S2) 이후에, 다수의 이차전지(10)의 개방된 일변은 실링하는 실링 단계(S3)가 진행 될 수 있다. 그러나 실링 단계(S3)는 전해액 주입 단계(S1)와 푸시 단계(S2) 사이에 진행할 수도 있다. 즉, 누름 부재(130)에 의해서만, 다수의 이차전지(10)를 전해액 함습을 촉진하는 방법을 적용할 경우, 이차전지(10)의 개방된 일변을 실링하는 단계는 푸시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진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100)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보다 전해액 함습을 더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도 5와 같이 푸시 단계(S2)를 대신하여. 가압 단계(S2A)와 진공 푸시 단계(S2B)를 진행 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푸시 단계(S2B)이후에는 진공 실링 단계(S3A)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단계(S2A)에서는 챔버(110) 내부를 가압 분위기로 가압한다. 즉, 가압 단계(S2A)에서는 가압 펌프(150)가 구동되어 챔버(110) 내부를 가압 분위기 상태로 가압하여, 전해액이 주입된 다수의 이차전지(10)의 파우치 외부와 내부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가압 펌프(150)는 챔버(110) 내부의 가압 분위기가 4 내지 8bar이 되도록 가압시킨다. 이때 상기 챔버(110)의 가압 분위기는 적어도 3분 이상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10)는 챔버(110) 내부가 가압 분위기가 되면, 이차전지(10)의 파우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파우치가 압축되어, 전극조립체(1) 내로 전해액이 함습되는 것을 더 촉진 시킨다.
상기 진공 푸시 단계(S2B)에서는 누름 부재(130)로 푸시할 때 챔버(110)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감압시킨다. 즉, 진공 상태에서, 누름 부재(130)로 다수의 이차전지(10)를 주기적으로 푸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우치 내부의 압력에 비해, 파우치 외부의 압력(진공 분위기)이 더 낮게 되어 다수의 이차전지(10)의 전극조립체(1) 내부에 잔류하는 기체를 외부로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이차전지(10)는 전극조립체(1) 내에 잔류하는 기체의 배출하여, 전해액 함습 산포를 개선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110)의 진공 분위기는 진공 펌프(140)의 구동으로 인해 -40 내지 -80kPa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압 단계(S2A)와, 진공 푸시 단계(S2B)이후에 겉보기 함습이 100%가 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진공 푸시 단계(S2B)이후에는 이차전지(10)의 개방된 일변 실링하는 진공 실링 단계(S3A)가 진행된다. 이는 가압 단계(S2A)와, 진공 푸시 단계(S2B)가 이차전지(10)의 파우치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두어, 전해액 함습을 촉진시키고 전해액 함습 산포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 단계(S2A)와, 진공 푸시 단계(S2B)이후에 진공 실링 단계(S3A)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차전지(10)의 개방된 일변은 -90kPa의 고진공 상태에서 실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110; 챔버 120; 전지 고정부
130; 누름 부재 140; 진공 펌프
150; 가압 펌프

Claims (10)

  1. 내부 공간을 갖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 내에 고정되며, 파우치 전지인 다수의 이차전지가 장착된 전지 고정부; 및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평판이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의 양 장측면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푸시하는 누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재는 전해액이 주입된 다수의 이차전지들의 전극조립체로 전해액이 함침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다수의 이차전지를 푸시하며,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는 각각 두개의 장측면을 포함하고, 두개의 장측면과 교차하는 일변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누름 부재에 의해 푸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를 가압 분위기로 가압하는 가압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배기시키는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4. 챔버 내부의 전지 고정부에 장착된 파우치 전지인 다수의 이차전지의 양 장측면과 교차하는 개방된 일변을 통해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 단계; 및
    상기 전해액이 주입되고, 일변이 개방된 상태의 다수의 이차전지의 양 장측면을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평판을 갖는 누름 부재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푸시하여, 다수의 이차전지들의 전극조립체 내로 전해액이 함침되는 것을 촉진하는 푸시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 단계 이후에는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를 실링하는 실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를 1분에 20회 내지 30회로 푸시하며, 3분 내지 8분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 단계 이후에는
    상기 챔버 내부를 가압 펌프의 구동에 의해서 가압 분위기로 가압하는 가압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푸시 단계에서는
    상기 챔버 내부를 진공 펌프의 구동에 의해서 진공 분위기로 만든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를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압 단계에서는 상기 챔버 내부의 가압 분위기가 4 내지 8bar가 되도록 가압하고,
    상기 푸시 단계에서는 상기 챔버 내부의 진공 분위기가 -40 내지 -80kPa가 되도록 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푸시 단계 이후에는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를 진공 분위기에서 실링하는 진공 실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KR1020150152224A 2015-10-30 2015-10-30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KR102552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224A KR102552926B1 (ko) 2015-10-30 2015-10-30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US15/293,067 US10411245B2 (en) 2015-10-30 2016-10-13 Apparatus for enhancing electrolyte wetting in rechargeable battery and electrolyte wetting enhanc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1610970609.0A CN106654141B (zh) 2015-10-30 2016-10-28 电解液润湿增强设备及使用其的电解液润湿增强方法
US16/529,536 US10862099B2 (en) 2015-10-30 2019-08-01 Apparatus for enhancing electrolyte wetting in rechargeable battery and electrolyte wetting enhanc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224A KR102552926B1 (ko) 2015-10-30 2015-10-30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547A KR20170050547A (ko) 2017-05-11
KR102552926B1 true KR102552926B1 (ko) 2023-07-10

Family

ID=5863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224A KR102552926B1 (ko) 2015-10-30 2015-10-30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411245B2 (ko)
KR (1) KR102552926B1 (ko)
CN (1) CN1066541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111B1 (ko) * 2016-12-20 2020-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의 전해액 주액방법
KR102135266B1 (ko) * 2017-02-06 2020-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441813B1 (ko) 2017-09-18 2022-09-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지그 그레이딩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제조방법
KR102270868B1 (ko) * 2017-12-18 2021-07-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 제거장치,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이차전지
CN109860722B (zh) * 2019-02-22 2022-04-05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锂电池的电解液注入方法
CN111697273A (zh) * 2020-06-28 2020-09-22 昆山聚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改善锂电池隔膜褶皱的方法
KR102553642B1 (ko) * 2021-01-06 2023-07-10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피어싱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피어싱 장치와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3659A (ja) * 1995-04-03 1996-10-18 Toshiba Corp 電解液含浸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294298B2 (ja) * 2008-01-31 2013-09-18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201319386Y (zh) * 2008-12-16 2009-09-30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铝壳锂离子动力电池新砸球装置
KR101084835B1 (ko) * 2009-09-24 2011-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전해액 주입용 진공가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주입 방법
KR101300591B1 (ko) * 2010-09-30 2013-08-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전해액 함침 증진 장치 및 방법
CN202103117U (zh) * 2011-07-15 2012-01-04 哈尔滨光宇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螺杆挤压式封口夹具工装
JP2013152834A (ja) 2012-01-25 2013-08-08 Toyota Motor Corp 電池の製造方法
KR101686279B1 (ko) 2013-06-19 2016-1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50015387A (ko) * 2013-07-31 2015-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별식 전해액 주입장치
KR101711992B1 (ko) 2013-08-05 2017-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상부 절연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101724006B1 (ko) 2013-09-13 2017-04-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11245B2 (en) 2019-09-10
CN106654141B (zh) 2021-07-30
US20170125787A1 (en) 2017-05-04
CN106654141A (zh) 2017-05-10
KR20170050547A (ko) 2017-05-11
US20190355961A1 (en) 2019-11-21
US10862099B2 (en)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926B1 (ko) 이차전지의 전해액 함습 촉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함습 촉진 방법
KR101650858B1 (ko) 전지셀의 제조방법 및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KR101713068B1 (ko) 활성화된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및 전지셀 제조방법
JP5182451B2 (ja) 積層体固定治具、積層接合体製造システム及び積層接合体の製造方法
KR102381443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2217443B1 (ko) 이차전지 가스제거장치 및 가스제거방법
US2019037214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ilm-covered battery
KR102394494B1 (ko) 이차전지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KR101283045B1 (ko) 막-전극 어셈블리 제조용 핫 프레스 장치
US11973242B2 (en) Gas removal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and gas removal method using same
KR20150014544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셀 밀착을 위한 가압 트레이
US20220115688A1 (en) Sequential pressure formation jig and formation method using same
KR20180091255A (ko) 배터리 셀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791535B1 (ko) 가스 제거 장치에 의한 전지셀의 제조방법
KR102177819B1 (ko) 각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326441B1 (ko)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JP2007141774A (ja) 蓄電素子の製造方法
US11949062B2 (en) Pressing jig for removing gas tra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CN113113629B (zh) 一种双极板的密封工艺及其应用的双极板、燃料电池
CN116387599A (zh) 加强的双极电池组件
KR102256485B1 (ko) 퇴화셀 회생 방법
US20240072289A1 (en) Secondary battery activating apparatus an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JP5765307B2 (ja) 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2003059485A (ja) 電解液注入方法及び装置
WO2022172612A1 (ja) 電池、電池システム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