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661B1 -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661B1
KR102552661B1 KR1020220120116A KR20220120116A KR102552661B1 KR 102552661 B1 KR102552661 B1 KR 102552661B1 KR 1020220120116 A KR1020220120116 A KR 1020220120116A KR 20220120116 A KR20220120116 A KR 20220120116A KR 102552661 B1 KR102552661 B1 KR 10255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terminal
information
advertisement
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2517A (ko
Inventor
심성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앤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12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66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517A/ko
Priority to KR1020230059254A priority patent/KR102642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8Trade or exchange of good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9Advertisements based upon budgets or f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Heat Treatment Process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특정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주의 미션 광고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미션 광고에 설정된 미션이 수행된 경우에 리워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적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rewards or advertisement based on public transpo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승객이 대중 교통을 탑승한 시간에 기초하여 승객에게 리워드를 제공하거나 승객의 위치에 기초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보급의 급격한 추세로 인해 엔터테인먼트 요소뿐 아니라 일상생활과 관련된 GPS 기술의 발달로 교통, 지도, 네비게이션 등의 앱은 생활 밀착형 서비스로 자리잡게 되었다.
한 예로서, 대중 교통 정보 앱은 버스 또는 지하철 등이 특정 출발지에서 언제 출발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림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중교통 정보 알림 앱은 단순히 버스나 지하철 등의 현재 실시간 위치,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예상 소요 시간 등의 제한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2077호, 2015.10.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승객, 광고주 운수사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승객에게 대중 교통의 탑승 시간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대중 교통에 탑승한 승객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승객에게 대중 교통의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선 광고 후에 후불형으로 광고 비용을 지불하는 광고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광고의 효용성을 정량적으로 알려주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승객의 리뷰를 실시간으로 운수사에게 제공하여 운수사가 CS 및 HR 관리에 이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특정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주의 미션 광고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미션 광고에 설정된 미션이 수행된 경우에 리워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적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미션 광고에 설정된 미션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광고주가 설정한 특정장소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장소에 도달 여부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특정장소 사이 거리에 기초해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장소에 도달 여부는 상기 사용자의 카드 사용 내역 정보에 기초해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장소에 도달 여부는 상기 사용자의 영수증 이미지 입력 정보에 기초해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장소에 도달 여부는 상기 광고주의 식별 코드 입력 정보에 기초해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미션 광고에 설정된 미션이 수행된 경우에 상기 광고주에게 상기 특정 정류장에 미션 광고를 설정하는 광고비용을 청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광고주에게 상기 특정 정류장에 미션 광고를 설정하는 비용을 청구하는 과정은, 상기 광고주의 계좌에 적립된 적립금에서 상기 광고비용을 차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특정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주의 미션 광고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특정 정류장 사이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광고주의 미션 광고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가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했다고 확인된 후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미션을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의 미션 수행 완료 여부에 따라 리워드를 적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공되는 미션은, 상기 사용자의 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해 결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이동 패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위치 정보,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승차 정보,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노선 정보,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 여부의 판단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 혹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 태그 정보에 기초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승객, 광고주 운수사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승객에게 대중 교통의 탑승 시간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대중 교통에 탑승한 승객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승객에게 대중 교통의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선 광고 후에 후불형으로 광고 비용을 지불하는 광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광고의 효용성을 정량적으로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승객의 리뷰를 실시간으로 운수사에게 제공하여 운수사가 CS 및 HR 관리에 이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중 교통 일원화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단말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 내부 서버, 외부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 내부 서버, 외부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고주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 내부 서버, 광고주의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수사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 내부 서버, 운수사의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module)"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또는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중 교통 일원화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승객의 단말기(1000)와 내부 서버(2000)는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 서버(2000)는 광고주의 단말기(3000, 또는 서버), 운수사의 단말기(3000, 또는 서버), 또는 외부 서버(5000)와도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대중 교통을 탑승한 승객에게 대중 교통 탑승 시간에 따른 리워드와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정보는 광고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일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 단말기에 입력된 리뷰 정보를 운수사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내부 서버와 승객 단말기 간의 동작 방법은 도 3 내지 도 10에서 설명하며, 내부 서버와 광고주 서버와의 동작 방법을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하며, 내부 서버와 운사사 서버와의 동작 방법을 도 14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단말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단말기(1000)는, 디바이스, 전자기기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단말기(10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말기(100)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2a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0)는 메모리(1100), 출력부(1200), 통신부(1500) 및 프로세서(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0)는, 메모리(1100), 출력부(1200), 프로세서(13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600) 및 사용자 입력부(17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100)
메모리(1100)는, 프로세서(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단말기(1000)로 입력되는 정보 또는 단말기(10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1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110), 터치 스크린 모듈(1120), 알림 모듈(11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1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단말기(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1130)은 단말기(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단말기(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1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모듈(1130)은 추정된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출력부(1200)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단말기(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10)는 카메라(161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에 관련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1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단말기(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프로세서(1300)
프로세서(130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7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7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센싱부(1400)
센싱부(1400)는, 단말기(1000)의 상태 또는 단말기(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RGB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500)
통신부(1500)는, 단말기(1000)가 다른 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미도시)는 단말기(10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단말기(1000)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처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00)
사용자 입력부(170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7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0)는 메모리(2100), 프로세서(2300), 통신부(2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단말기(1000)의 메모리(1100), 프로세서(1300), 통신부(150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2a의 단말기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의 단말기(1000)일 수 있다.
승객에게 광고를 하고자 하는 광고주의 단말기(3000)는 도 2a 의 승객의 단말기(10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메모리(3100), 출력부(3200), 통신부(3500), 프로세서(3300), 센싱부(3400), A/V 입력부(3600) 및 사용자 입력부(37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중 교통 수단을 운영하는 운수사의 단말기(4000)는 도 2a 의 승객의 단말기(10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메모리(4100), 출력부(4200), 통신부(4500), 프로세서(4300), 센싱부(4400), A/V 입력부(4600) 및 사용자 입력부(47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b의 서버는 내부 서버(2000)일 수 있으며, 외부 서버(5000)도 도 2b의 내부 서버(20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전자 장치의 메모리(1100, 21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저장하고 있거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1300, 23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각 구성요소들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10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S31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의 센싱부(1400)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 또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중에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기 설정된 제1 센싱 주기 마다 단말기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제1 센싱 주기는 수 밀리초 (msec) 내지 수 분(min)일 수 있으며, 승객의 단말기(1000)의 메모리(1100)에 저장된 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센싱 주기는 10초 일 수 있다,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는 위치 센서(1460)에 의해 센싱된 좌표 및 좌표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 시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의 좌표 및 센싱 시점은 서로 맵핑되어 있을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센싱을 통해서 획득한 위치 정보를 메모리(1100)에 저장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센싱된 위치에 기초하여 센싱의 주기를 기 설정된 제1 센싱 주기에서 기 설정된 제2 센싱 주기로 바꾸어 단말기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제2 센싱 주기는 제1 센싱 주기 보다 짧을 수 있다.
단말기(1000)의 메모리(1100)는 노선에 포함된 복수개의 정류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단말기(1000)의 메모리(1100)는 대중 교통 수단 별 정류장에 대한 위치 정보, 노선 별 정류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정류장에 대한 위치 정보는 특정한 대중 교통 수단이 움직이는 노선에서 정차하는 정류장에 대한 위치의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0)의 메모리(1100)는 노선을 이루는 복수개의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노선을 이루는 복수개의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는 노선 라인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들에 대한 위치의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노선 라인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본문에서 언급되는 ‘대중 교통’은 버스, 지하철, 선박, 택시 또는 기차와 같은 다양한 운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을 대중 교통 수단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대중 교통 수단의 정류장에 대한 위치 정보는 버스 정류장의 좌표 정보, 지하철이 정차하는 역사의 좌표 정보, 선박 항구의 좌표 정보, 기차 역사의 좌표 정보, 트램의 정류장의 좌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센싱된 위치가 제1 정류장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1 거리의 반경 이내에 속한 것으로 판단하면, 기 설정된 제1 센싱 주기를 대신하여 기 설정된 제2 센싱 주기 마다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제1 정류장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1 거리의 반경 내에 형성된 공간을 제1 정류장의 펜스라고 정의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정류장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1 거리의 반경 내에 형성된 공간을 해당 정류장의 펜스라고 정의한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제1 정류장의 펜스 내에 위치하면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하는 주기를 더 빠르게 변경하여 제2 센싱 주기 마다 단말기의 위치를 센싱하여 저장한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센싱된 위치가 제1 정류장의 펜스를 벗어나며, 위치를 센싱하는 주기를 느리게 변경하여 제2 센싱 주기를 대신하여 제1 센싱 주기 마다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하여 저장한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으로부터 즐겨 찾기와 같이 승객이 관심 있다고 체크한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체크된 정류장의 펜스 내에 단말기의 센싱된 위치가 속한 경우에만 단말기(1000)의 위치 센싱 주기를 제1 센싱 주기에서 제2 센싱 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승객이 관심 없는 정류장 때문에 단말기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제1 정류장의 펜스 내에 들어온 시점을 제1 시점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S32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통신부(1500)를 이용하여 내부 서버(2000)에게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할 때 마다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센싱 주기 혹은 제2 센싱 주기 마다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하고 송신한다.
또는, 승객의 단말기(1000)는 센싱된 복수의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위치 정보의 송신 주기는 제1 센싱 주기 혹은 제2 센싱 주기 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0)는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횟수 대비 송신하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는 승객의 단말기(1000)는 센싱된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 중 승객의 승차와 관련된 위치 정보만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의 단말기(1000)는 센싱된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 중 제1 시점 이후부터 센싱된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만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데이터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S33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대중 교통에 승차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제1 시점 이후부터 센싱된 단말기(10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말기(1000)는 센싱된 단말기(1000)의 좌표 및 센싱 시점에 기초하여 단말기(1000)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제1 시점 이후부터 단말기(1000)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1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한 것으로 예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1 속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 된 시점을 제2 시점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1 속도를 넘어서 기 설정된 제2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에 승차하지 않고 다른 교통 수단(예. 자동차 등)에 탑승한 것으로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제1 속도는 인간이 낼 수 있는 속도를 초과하는 속도이다.
기 설정된 제2 속도는 기 설정된 제1 속도보다 크며, 대중 교통이 낼 수 있는 속도를 넘은 속도이다. 대중 교통이 낼 수 있는 속도는 대중 교통의 종류(예. 버스, 지하철, 트램 등), 대중 교통이 운행되는 운행 지역 및 운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제1 시점 이후에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1 속도를 넘지 않으면서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1 정류장의 펜스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에 승차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제2 시점 이후부터 소정의 제1 시간 이내에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2 정류장의 펜스 내에 있다고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하고 있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제2 시점 이후부터 소정의 제1 시간 이내에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2 정류장의 펜스 내에 있다고 판단하더라도, 소정의 딜레이 시간 이후에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하고 있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딜레이 시간은 대략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딜레이 시간 동안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2 정류장의 펜스 내에 위치하는지 수회 반복해서 판단함으로써 승차 또는 하차 여부에 대한 판단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정류장은 제1 정류장과 동일한 노선에 속한 정류장이며, 제1 정류장의 다음 정류장이다.승객의 단말기(1000)는 대중 교통에 승객의 승차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면, 제2 시점을 승객의 승차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소정의 제1 시간은 노선의 정류장들 사이의 거리, 노선의 종류, 노선이 지나는 지역의 교통 정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S34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대중 교통에서 승객의 하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승객이 대중 교통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및 속도에 기초하여 승객이 대중 교통에서 하차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기 설정된 제3 센싱 주기 마다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3 정류장의 펜스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3 센싱 주기를 대신하여 기 설정된 제4 센싱 주기로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제4 센싱 주기는 제3 센싱 주기 보다 짧을 수 있다. 제3 정류장은 제1 정류장 및 제2 정류장과 동일한 노선에 속한 정류장이며, 제2 정류장의 이후에 배치된 정류장이다. 다시 말해서, 제3 정류장은 제2 정류장의 다음 정류장 일수도 있고 종점 이전에 위치한 정류장 일 수도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센싱된 위치가 제3 정류장의 펜스를 벗어나면, 위치 센싱 주기를 느리게 변경하여 제4 센싱 주기를 대신하여 제3 센싱 주기 마다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제3 정류장의 펜스 내에 들어온 시점을 제3 시점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제3 시점 이후부터 단말기(1000)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3 속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하차한 것으로 예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속도는 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3 속도 이하인 것으로 확인 된 시점을 제4 시점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속도가 다시 제3 속도를 넘어 제1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에서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제3 시점 이후부터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1 속도 보다 크지 않고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3 정류장의 펜스를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서 하차했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제3 시점 이후부터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1 속도 보다 크지 않고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3 정류장의 펜스를 벗어났다고 판단하더라도, 소정의 딜레이 시간 이후에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서 하차했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딜레이 시간은 대략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딜레이 시간 동안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2 정류장의 펜스 내에 위치하는지 수회 반복해서 판단함으로써 승차 또는 하차 여부에 대한 판단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제3 시점 이후부터 소정의 제2 시간 동안에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1 속도 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서 하차했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제3 시점 이후부터 소정의 제2 시간 동안에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1 속도 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하더라도, 소정의 딜레이 시간 이후에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서 하차했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딜레이 시간은 대략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딜레이 시간 동안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2 정류장의 펜스 내에 위치하는지 수회 반복해서 판단함으로써 승차 또는 하차 여부에 대한 판단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대중 교통에서 승객의 하차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면, 제4 시점을 승객의 하차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소정의 제2 시간은 노선의 정류장들 사이의 거리, 노선의 종류, 노선이 지나는 지역의 교통 정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S35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리워드를 계산 및 적립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대중 교통에 대한 승객의 탑승 시간에 기초하여 리워드를 계산할 수 있다.
리워드는 디지털 화폐 일 수 있으며, 디지털 화폐는 토큰, 포인트, 암호화 화폐, 디지털화된 법정 화폐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대중 교통에 탑승한 시간에 길다면 많은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대중 교통에 탑승한 시간에 대해서 단위 시간 당 일정한 디지털 화폐를 적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중 교통 탑승 시간의 2분에 1포인트의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승객의 단말기(1000)는 특정 대중 교통에 대한 승객의 승차 시점과 승객의 하차 시점의 차이에 기초하여 승객의 탑승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승객의 탑승 시간은 제2 시점과 제4 시점의 차이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하차가 확인된 후에 승차 및 하차 시점 사이의 탑승 시간에 기초하여 리워드를 일괄 적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의 대중 교통 탑승 시간이 20분인 경우 총 적립되는 리워드는 10포인트이며, 승객이 하차한 후에 10 포인트를 일괄적으로 지급할 수 있다.
또는 승객의 단말기(1000)는 특정 대중 교통에 대한 승객의 승차 시점에 기초하여 승객의 탑승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객의 탑승 시간은 제2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승차가 확인되면 승차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에 기초하여 리워드를 실시간으로 적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의 대중 교통 탑승 시간이 10분이 경과하였다면 2분 마다 1포트씩 적립되며, 현재까지 5포인트가 적립된 상태이다.
또한,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위 시간 당 일정한 디지털 화폐에 탑승 시간을 곱한 금액이 설정된 한계 금액을 넘어가면 한계 금액을 리워드로 적립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계산된 리워드를 승객의 계좌에 적립하여 기존의 적립금에 합산할 수 있다.
S36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적립금 정보를 수신 및 표시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적립금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100)에 저장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수신한 적립금 정보와 승객의 단말기(1000)의 메모리(1100)에 저장된 적립금 정보를 비교하여 검증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적립금 정보를 출력부(120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적립금 정보란 승객의 계좌에 적립된 디지털 화폐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디지털 화폐는 토큰, 포인트, 암호화 화폐, 디지털화된 법정 화폐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37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적립금에 대한 사용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으로부터 적립금 등을 사용하려는 입력을 수신하면,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2000)에게 적립금에 대한 사용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차감된 적립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승객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적립금에 대한 사용 정보는 적립금이 사용된 사용처, 적립금의 사용 위치, 적립금이 사용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S41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통신부(2500)를 이용하여 단말기(1000)로부터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수신된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2100)에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는 단말기(1000)의 위치 센서(1460)에 의해 센싱된 좌표 및 좌표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 시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1000)의 좌표 및 센싱 시점은 서로 맵핑되어 있을 수 있다.
내부 서버(2000)의 메모리(2100)는 노선에 포함된 복수개의 정류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내부 서버(2000)의 메모리(2100)는 대중 교통 수단 별 정류장에 대한 위치 정보, 노선 별 정류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정류장에 대한 위치 정보는 특정한 대중 교통 수단이 움직이는 노선에서 정차하는 정류장에 대한 위치의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의 메모리(2100)는 노선을 이루는 복수개의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노선을 이루는 복수개의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는 노선 라인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들에 대한 위치의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수신된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1 정류장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1 거리의 반경 이내에 속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정류장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1 거리의 반경 내에 형성된 공간을 제1 정류장의 펜스라고 정의한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이 제1 정류장의 펜스 내에 들어온 시점을 제1 시점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S42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이 대중 교통에 승차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제1 시점 이후부터 수신된 단말기(10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수신된 단말기(1000)의 좌표 및 센싱 시점에 기초하여 단말기(1000)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제1 시점 이후부터 단말기(1000)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1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한 것으로 예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1 속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 된 시점을 제2 시점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1 속도를 넘어서 기 설정된 제2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에 승차하지 않고 다른 교통 수단(예. 자동차 등)에 탑승한 것으로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제1 시점 이후에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1 속도를 넘지 않으면서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1 정류장의 펜스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제2 시점 이후부터 소정의 제1 시간 이내에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2 정류장의 펜스 내에 있다고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하고 있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내부 서버(2000)는 제2 시점 이후부터 소정의 제1 시간 이내에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2 정류장의 펜스 내에 있다고 판단하더라도, 소정의 딜레이 시간 이후에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하고 있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딜레이 시간은 대략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딜레이 시간 동안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2 정류장의 펜스 내에 위치하는지 수회 반복해서 판단함으로써 승차 또는 하차 여부에 대한 판단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제2 시점 이후부터 단말기(1000)의 위치가 노선을 이루는 복수개의 지점에 대한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제2 거리의 반경을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하지 않았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가 외부 서버(5000)로부터 수신된 대중 교통의 실시간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제3 거리의 반경을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하지 않았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외부 서버(5000)로부터 수신된 대중 교통의 위치는 승객이 승차했다고 판단되는 대중 교통의 실시간 위치로서, 대중 교통을 운행하고 있는 운수사와 같은 곳에서 수신한 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대중 교통에 승객의 승차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면, 제2 시점을 승객의 승차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대중 교통의 승차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승객이 대중 교통에 승차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외부 서버(5000)로부터 대중 교통의 승차 태그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대중 교통의 승차 태그 정보는 승객이 대중 교통에 승차하는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내부 서버(2000)는 승차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승객의 승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승객의 승차 시점에 대한 시간을 승객의 승차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S44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대중 교통에서 승객의 하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승객이 대중 교통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및 속도에 기초하여 승객이 대중 교통에서 하차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로부터 단말기(1000)의 위치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3 정류장의 펜스 내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이 제3 정류장의 펜스 내에 들어온 시점을 제3 시점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제3 시점 이후부터 단말기(1000)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3 속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하차한 것으로 예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3 속도는 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3 속도 이하인 것으로 확인 된 시점을 제4 시점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속도가 다시 제3 속도를 넘어 제1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에서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제3 시점 이후부터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1 속도 보다 크지 않고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3 정류장의 펜스를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서 하차했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내부 서버(2000)는 제3 시점 이후부터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1 속도 보다 크지 않고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3 정류장의 펜스를 벗어났다고 판단하더라도, 소정의 딜레이 시간 이후에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서 하차했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딜레이 시간은 대략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딜레이 시간 동안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2 정류장의 펜스 내에 위치하는지 수회 반복해서 판단함으로써 승차 또는 하차 여부에 대한 판단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제3 시점 이후부터 소정의 제2 시간 동안에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1 속도 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하면,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서 하차했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내부 서버(2000)는 제3 시점 이후부터 소정의 제2 시간 동안에 단말기(1000)의 속도가 제1 속도 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하더라도, 소정의 딜레이 시간 이후에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서 하차했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딜레이 시간은 대략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딜레이 시간 동안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2 정류장의 펜스 내에 위치하는지 수회 반복해서 판단함으로써 승차 또는 하차 여부에 대한 판단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대중 교통에서 승객의 하차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면, 제4 시점을 승객의 하차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대중 교통의 하차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승객이 대중 교통에서 하차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외부 서버(3000)로부터 대중 교통의 하차 태그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대중 교통의 하차 태그 정보는 승객이 대중 교통에서 하차하는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내부 서버(2000)는 하차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승객의 하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승객의 하차 시점에 대한 시간을 승객의 하차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대중 교통의 승차 정보 및 하차 정보는 외부 서버(3000)로부터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로서 한번에 내부 서버(2000)에게 수신될 수도 있다.
S435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이동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 승객의 승차 정보, 승객의 하차 정보, 승객이 이용하는 노선 정보, 승객이 이용하는 대중 교통 수단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21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를 결정하고, 메모리(2100)에 저장할 수 있다.
S44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리워드를 계산 및 적립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탑승 시간에 기초하여 리워드를 계산할 수 있다. 리워드는 디지털 화폐 일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이 대중 교통에 탑승한 시간에 길다면 많은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계산된 리워드를 승객의 계좌에 적립하여 기존의 적립금에 합산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이 대중 교통에 탑승한 시간에 대해서 단위 시간 당 일정한 디지털 화폐를 적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중 교통 탑승 시간의 2분에 1포인트의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특정 대중 교통 수단의 승객의 승차 시점과 승객의 하차 시점의 차이에 기초하여 승객의 탑승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승객의 탑승 시간은 제2 시점과 제4 시점의 차이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하차가 확인된 후에 승차 및 하차 시점 사이의 탑승 시간에 기초하여 리워드를 일괄 적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의 대중 교통 탑승 시간이 20분인 경우 총 적립되는 리워드는 10포인트이며, 승객이 하차한 후에 10 포인트를 일괄적으로 지급할 수 있다.
또는 내부 서버(2000)는 특정 대중 교통에 대한 승객의 승차 시점에 기초하여 승객의 탑승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객의 탑승 시간은 제2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승차가 확인되면 승차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에 기초하여 리워드를 실시간으로 적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의 대중 교통 탑승 시간이 10분이 경과하였다면 2분 마다 1포트씩 적립되며, 현재까지 5포인트가 적립된 상태이다.
S45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적립금 정보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로부터 적립금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2100)에 저장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한 적립금 정보와 내부 서버(2000)에서 계산된 적립금 정보를 비교하여 검증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에게 통신부(2500)을 이용하여 적립금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적립금 정보란 내부 서버(2000)에서 계산되어 적립된 적립금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단말기(1000)에서 계산된 적립금과 비교 검증된 적립금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적립금 정보란 승객의 계좌에 적립된 디지털 화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S46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적립금에 대한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로부터 적립금에 대한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메모리(2100)에 저장된 적립금에서 사용된 적립금을 차감하여 계산된 적립금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S46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소비 패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외부 서버(5000)으로부터 수신된 승객의 카드 사용 정보 혹은 승객의 적립금에 대한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승객의 소비 패턴 정보를 결정하고, 메모리(21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 내부 서버, 외부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단말기(1000)는 위치 센서(1460)를 이용하여 제1 센싱 주기를 가지고 승객의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하고, 승객의 단말기(1000)의 위치에 대한 좌표 및 센싱 시점을 맵핑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06).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를 내부 서버(2000)에게 송신한다(S509).
내부 서버(2000)는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각각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내부 서버(2000)는 외부 서버(5000)로부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단말기의 승차 혹은 하차의 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503).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 또는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승객의 단말기(1000)의 이동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S510).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0)의 대중 교통에 대한 승차 시점 및 하차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차 시점과 하차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중 교통의 탑승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S511). 승객의 단말기(1000)는 계산된 탑승 시간에 기초하여 승객에게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S513).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이동 패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0)의 대중 교통에 대한 승차 시점 및 하차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차 시점과 하차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승객이 대중 교통에 탑승한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S512).
내부 서버(2000)는 계산된 시간을 이용하여 승객에게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S515). 내부 서버(2000)는 적립금 정보를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S518).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에게 승객의 적립금 정보를 출력부(120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승객은 단말기(1000)의 사용자 입력부(1700)를 통해서 적립금에 대한 사용 의사를 입력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적립금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27).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적립금 사용 정보를 내부 서버(2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S530). 내부 서버(2000)는 적립금 사용 정보를 수신한 후에 승객의 계좌에서 적립금을 차감하고, 차감된 후 적립금의 정보를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외부 서버(5000)로부터 승객의 카드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카드 사용 내역 정보 또는 승객의 적립금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승객의 소비 패턴을 결정할 수 있으며, 소비 패턴 정보를 메모리(21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시 되지는 않았지만,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승객의 소비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승객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되, 도 3에서 설명한 중복된 부분은 생략하고 차별된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S610 과정, S620 과정, S630 과정, S660 과정, S670 과정, S680 과정은 도 3의 S310 과정, S320 과정, S330 과정, S340 과정, S350 과정, S360 과정, S370 과정과 중복된 설명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64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출력부(1200)를 통해서 승객에게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했다고 확인된 시점 이후에 승객에게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
미션은 내부 서버(2000)으로부터 수신한 미션 정보 또는 단말기(1000)의 메모리(1100)에 저장된 미션 정보에 포함된 것 일 수 있다. 미션은 게임 미션 또는 광고 미션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승객에게 제공되는 미션은 승객의 이동 패턴 또는 승객의 소비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승객의 이동 패턴으로 탑승 시간에 기초하여 미션의 수행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승객의 이동 패턴으로 승차 또는 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미션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승객의 소비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미션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S65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사용자 입력부(1700)를 통해서 승객의 미션 수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2000)에게 승객의 미션 수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승객의 미션 수행 정보는 승객의 미션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67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추가 리워드를 계산하고 적립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미션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리워드를 계산할 수 있으며, 승객의 계좌에 적립하여 기존 적립금에 합산할 수 있다. 추가 리워드는 탑승 시간에 따라서 제공되는 리워드와 별개로 제공되는 리워드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되, 도 4에서 설명한 중복된 부분은 생략하고 차별된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S710 과정, S720 과정, S750 과정, S760 과정, S770 과정은 도 4의 S410 과정, S420 과정, S430 과정, S440 과정, S450 과정과 중복된 설명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73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미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미션 정보는 게임 미션 또는 광고 미션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승객에게 제공되는 미션은 승객의 이동 패턴 또는 승객의 소비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승객의 이동 패턴으로 탑승 시간에 기초하여 미션의 수행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승객의 이동 패턴으로 승차 또는 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미션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승객의 소비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미션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S74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로부터 승객의 미션 수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승객의 미션 수행 정보는 승객의 미션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75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추가 리워드를 계산하고 적립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미션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리워드를 계산할 수 있으며, 승객의 계좌에 적립하여 기존 적립금에 합산할 수 있다. 추가 리워드는 탑승 시간에 따라서 제공되는 리워드와 별개로 제공되는 리워드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 내부 서버, 외부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02).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를 내부 서버(2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S804). 내부 서버(2000)는 외부 서버(5000)로부터 승객의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06).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이 대중 교통에 승차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808).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이 대중 교통에 승차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810).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이 대중 교통에 승차했다고 확인한 경우에 미션 정보를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S812). 미션 정보는 승객이 대중 교통에 탑승한 도중에 수행할 수 있는 미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퀴즈 미션, 게임 미션, 광고 시청 미션 등이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내부 서버(2000)로부터 수신한 미션을 출력부(1200)을 통해서 승객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814).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미션을 수행하면 미션의 수행을 완료 여부에 대한 미션 수행 정보를 내부 서버(20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S816).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이 대중 교통에서 하차 했는지 여부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S818).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하차 했음을 확인한 경우에 승객이 수행한 미션에 기초하여 미션에 대한 추가 리워드를 계산하고 승객에게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승객은 대중 교통을 수행하는 중에 미션을 수행하여 리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이 대중 교통에서 하차했는지 여부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S822).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이 하차 했음을 확인한 경우에 승객이 수행한 미션에 기초하여 미션에 대한 추가 리워드를 계산하고 승객에게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추가 리워드가 합산된 적립금 정보를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S91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 하거나, 승객의 적립금 사용 정보를 확인하거나 내부 서버(2000)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소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S92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광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는 승객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는 특정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는 잠금 화면 광고, 인앱 상단 배너 광고, 인앱 정류장 광고, 인앱 지도 광고, 미션 광고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화면 광고는 광고주에 의해서 정류장에 광고가 설정되거나 혹은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노선에 광고가 설정된 경우 승객의 단말기(1000)의 센싱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0)의 근방의 정류장 혹은 정류장들 사이의 노선에 설정된 광고를 단말기(1000)의 잠금 화면시에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인앱 상단 배너 광고는 광고주에 의해서 정류장에 광고가 설정되거나 혹은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노선에 광고가 설정된 경우 승객의 단말기(1000)의 센싱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0)의 근방의 정류장 혹은 정류장들 사이의 노선에 설정된 광고를 단말기(1000)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인앱 정류장 광고는 광고주에 의해서 정류장 별로 광고가 설정된 경우 승객의 승차 정류장에 대한 정보 또는 하차 정류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승차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를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정류장 광고는 승객의 단말기(1000)가 정류장 광고가 설정된 정류장의 펜스 내에 위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중 정류장 광고가 표시되는 영역에 개시되는 광고를 말한다. 정류장 광고는 해당 정류장에 특정한 기간 동안 독점적으로 계약될 수 있다.
인앱 지도 광고는 광고주에 의해서 정류장의 근방의 특정 지점에 광고가 설정된 경우 승객의 승차 정류장에 대한 정보 또는 하차 정류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승차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이 보이는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상에 특정 지점에 대한 광고를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미션 광고는 광고주에 의해서 정류장에 광고 미션이 설정된 경우, 설정된 특정한 광고 미션을 승객이 수행하면 승객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광고들이 승객에게 광고 정보를 일방향으로 보여주는데 그치는데 반해, 미션 광고는 승객이 광고 정보를 시청하는 것에 더해서 승객에게 특정한 미션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양방향으로 승객과의 소통이 가능하다. 다른 광고에 비하여 미션 광고는 승객을 수동적인 입장이 아닌 능동적인 입장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미션 광고는 특정 광고를 끝까지 시청하는 광고,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수행되는 퀴즈나 게임을 수행하는 광고, 특정한 장소에 도달하는 것을 수행하는 광고, 특정한 장소에서 특정 행위를 수행하는 광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광고를 통하여, 광고주는 특정한 정류장의 근방에 위치한 자신의 사업체에 대한 광고를 특정한 정류장에 설정함으로써 특정한 정류장에 승차 혹은 하차하는 승객에게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S93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수신된 광고 정보를 출력부(1200)를 통해서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에 승객의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승객의 단말기(1000)가 특정 정류장의 소정 반경 이내에 존재하면 특정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승객은 승객의 단말기기(1000)의 출력부(1200)를 통해서 제공되는 광고를 통해서 광고 정보를 수동적으로 시청하거나 능동적으로 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수신된 미션 광고를 제공할 때 미션 광고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된 리워드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승객이 미션 광고를 수행하면 함께 디스플레이된 리워드는 승객에게 적립되며, 리워드는 승객에게 미션 광고를 수행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승객의 이동이 수반되지 않는 미션광고(예. 광고를 시청하거나 퀴즈 또는 게임을 수행하는 광고) 보다 승객의 이동이 수반되는 미션광고(예. 특정 장소에 도달하는 광고, 특정 장소에 도달하여 특정 행위를 수행하는 광고)는 더 많은 리워드가 설정될 수 있다.
S94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미션 광고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에게 제공된 광고 중 미션 광고를 승객이 수행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수행되는 퀴즈나 게임을 수행하는 광고의 경우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광고형 퀴즈나 게임을 수행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장소에 도달하는 것을 수행하는 광고의 경우,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센싱 하면서, 단말기(1000)의 위치가 특정장소의 소정 거리의 반경 이내에 도달했는지 확인하고, 도달했다면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미션 광고를 수행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장소에서 특정 행위를 수행하는 광고의 경우, 특정 행위는 광고주의 가게에서 구매가 이뤄지거나, 광고주용 식별 코드를 입력하거나, 플랫폼 제공자 식별 코드를 입력하거나, 특정 장소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머무르는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특정 장소에 도달 여부는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카드 사용 내역 또는 구매 영수증의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거나, 특정 번호, 바코드, 큐알코드와 같은 식별 코드의 입력 정보에 기반하거나, 단말기(1000)의 센싱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행위의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95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미션 광고 수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미션 광고를 수행했다면, 내부 서버(2000)에게 승객의 미션 광고 수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미션 광고 수행 정보는 승객이 수행한 미션 광고의 종류의 정보, 미션 광고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정보, 미션 광고의 수행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96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1000)로부터 적립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내부 서버(1000)에서 승객이 미션 광고를 수행했다고 판단하여 리워드를 승객에게 적립하고, 승객의 적립금 정보를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는데,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1000)에서 송신하는 승객의 적립금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출력부(1200)를 통해서 승객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S101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수신된 승객의 위치 정보, 수신된 승객의 적립금 사용 정보, 수신된 승객의 카드 사용 내역 정보, 수신된 카드 태그 내역 정보 등에 기초하여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S102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광고주의 단말기(3000)에게 광고 문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광고주란 광고를 필요로 하는 사람, 광고를 원하는 사람에게 광고 상품을 중계하는 사람, 광고가 필요한 사람에게 가게를 대여하는 임대인 혹은 부동산 중개인이 될 수도 있다.
광고 문의 정보는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중 교통에 대한 승객의 승차 또는 하차 정류장에 광고를 설정하는 광고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상품은 잠금 화면 광고 상품, 인앱 상단 배너 광고 상품, 인앱 정류장 광고 상품, 인앱 지도 광고 상품, 미션 광고 상품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특정 정류장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들에 기초하여 승객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광고의 성질을 분류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광고의 성질에 따라서 분류된 광고 상품을 포함하는 광고 문의 정보을 광고주의 성질에 따라서 송신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내부 서버(2000)가 특정 정류장에 하차하는 승객들의 소비 패턴을 기초로 판단하였을 승객들이 옷에 대해서 관심을 많이 가진다면, 내부 서버(2000)는 옷을 판매하고 있는 광고주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광고 상품을 포함하는 광고 문의 정보를 광고주에게 송신할 수 있다.
S103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의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고 의사 정보란 광고주가 원하는 광고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주는 광고 문의 정보를 수신하고, 광고 문의 정보에 기초해서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광고 상품을 선택하면, 단말기는 광고주에 의해서 선택된 광고 상품에 대한 정보를 내부 서버(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S104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광고주의 광고 의사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정보를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광고 정보는 특정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들에 대한 정보로서, 승객의 단말기(1000)가 특정 정류장의 근방에 도달하면 승객의 단말기(1000)가 승객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광고주의 광고 정보를 송신하더라도 광고주의 계좌로부터 광고에 대한 비용을 차감하지 않는다.
종래의 광고는 선비용 후광고로서 광고주가 광고 상품을 선택하면 광고 비용이 먼저 차감되고 광고주의 광고를 승객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광고주로서는 광고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전에 광고 비용을 지불해야하는 부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광고주에게 광고 비용을 청구하기 전에 먼저 광고주의 광고를 승객의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광고주가 원하는 미션 광고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에 광고주로부터 광고 비용이 차감되는 선광고 후비용의 광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S105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로부터 미션 광고 수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수신한 미션 광고 수행 정보를 메모리(2100)에 저장할 수 있다.
S106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미션 광고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이 미션 광고의 수행을 완료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이 미션 광고의 수행을 완료했다면 승객에게 미션 광고에 대한 리워드를 승객의 계좌에 적립할 수 있다.
S107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광고주의 적립금을 차감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미션 광고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이 미션 광고의 수행을 완료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이 미션 광고의 수행을 완료했다면, 미션 광고를 설정한 광고주의 계좌에서 미리 적립된 적립금을 차감할 수 있다. 다만, 적립금 차감 방식은 하나의 예로서 광고주에게 미션 광고에 대한 광고 비용을 청구할 수도 있다.
광고주는 자신이 설정한 미션 광고가 수행이 완료된 다음에 광고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광고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광고가 수행된 것을 확인한 다음에 광고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S108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승객의 리워드 적립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승객의 리워드 적립 정보는 미션 광고의 수행 완료에 따른 리워드에 대한 정보, 리워드가 적립된 적립금에 대한 정보, 승객의 계좌에 적립된 적립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109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광고주에게 광고주의 계좌에서 차감된 적립금에 대한 적립금 차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적립금 차감 정보는 미션 광고에 대해 차감된 적립금에 대한 정보, 차감된 후 계좌의 적립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101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광고주에게 광고 성과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광고 성과 정보는 미션 광고의 설정 위치, 미션 광고의 종류, 미션 광고 설정 기간, 미션 광고 수행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고주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1100 과정에서, 광고주의 단말기(3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광고 문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고주의 단말기(3000)는 광고 문의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상품 정보를 출력부(미도시)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광고 문의 정보는 특정 정류장 마다 설정할 수 있는 광고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1120 과정에서, 광고주의 단말기(3000)는 광고 의사 정보를 내부 서버(2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즉, 광고주의 단말기(3000)는 광고주가 선택한 광고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의사 정보를 내부 서버(3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광고주가 자신의 가게를 광고하자 할 경우, 가게에 가까운 정류장에 설정되는 광고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정류장에 설정되는 광고는 해당 정류장에서 승차 혹은 하차하는 승객의 단말기를 통해서 승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특정 정류장에 승차 혹은 하차하는 승객이 광고주의 가게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1130 과정에서, 광고주의 단말기(3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적립금 차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고주가 선택한 광고 상품이 승객의 단말기(1000)에서 노출되거나, 승객이 광고 미션을 수행하면 광고주의 계좌에 미리 적립된 적립금이 차감되면서 광고 비용이 지불된다.
내부 서버(2000)는 광고주의 광고에 대한 비용이 적립금에서 차감되면, 적립금 차감에 관한 정보를 광고주의 단말기(3000)에게 송신하여 알려줄 수 있다.
S1140 과정에서, 광고주의 단말기(3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광고 성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광고주의 광고가 얼마나 효과를 얻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광고 성과 정보를 광고주의 단말기(3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광고 성과 정보는 어느 지역이 뜨는지, 상권 분석, 데이터 비즈니스를 할 수 있음.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 내부 서버, 광고주의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 하거나, 승객의 적립금 사용 정보를 확인하거나 내부 서버(2000)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소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S1201).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승객의 적립금 사용 정보를 확인하거나 외부 서버(5000)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소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01).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광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209). 광고 정보는 정류장 마다 설정된 광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하고, 센싱된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정류장의 펜스 내에 위치하면 승객의 단말기(1000)는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를 출력부(1200)를 통해서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S1212). 광고는 승객으로부터 특정 행위를 수행하게끔 하는 미션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미션 광고란 퀴즈 미션 광고, 게임 미션 광고, 영상 시청 미션 광고, 방문 미션 광고, 구매 미션 광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미션 광고 수행 여부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다(S1215).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승객이 입력한 텍스트, 승객이 입력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승객의 미션 광고 수행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시청 미션 광고가 광고주의 광고 영상을 끝까지 시청하는 것을 미션을 수행한 것으로 볼 경우,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출력부(120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영상을 처음부터 끝까지 시청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영상 시청 광고 미션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 미션 광고가 광고주가 지정한 위치에 도달하면 미션을 수행한 볼 경우, 승객의 단말기(1000)는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하여 센싱된 단말기(1000)의 위치가 지정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서 감지되면 방문 미션 광고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광고주가 지정한 위치는 광고하고자하는 가게나 승객의 방문을 유도하고 싶은 위치일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미션 광고 수행 정보를 내부 서버(2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S1218). 내부 서버(2000)는 미션 광고 수행 정보를 수신하면, 승객이 수행한 미션 광고에 기초하여 승객의 리워드를 계산 및 적립할 수 있다(S1221). 내부 서버(2000)는 적립금 정보를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미션 광고 수행 정보를 수신하면, 승객이 수행한 미션 광고에 기초하여 광고주의 적립금을 차감할 수 있다(S1224). 내부 서버(2000)는 적립금 차감 정보를 광고주의 단말기(3000)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또한 광고 성과 정보를 광고주의 단말기(3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선비용 후광고가 아니라 먼저 광고가 진행되고 이후 광고에 대한 비용이 정산되는 선광고 후비용으로, 광고주가 광고의 효융성을 확인하면서 광고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S131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위치 정보를 센싱 하거나, 승객의 적립금 사용 정보를 확인하거나 내부 서버(2000)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소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승객의 소비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S132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대중 교통 운행 정보를 내부 서버(2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대중 교통 운행 정보는 노선에 대한 정보, 노선 별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시간 정보, 대중 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정류장에 대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대중 교통 운행 정보는 임시적으로 바뀐 노선에 대한 정보, 운수사에서 승객에게 공지하고 싶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대중 교통 운행 정보를 출력부(1200)를 통해서 승객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로써, 승객은 대중 교통 수단의 노선 정보, 도착 시간, 수정된 노선에 대한 정보, 운수사의 공지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S133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광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고 정보는 운수사의 단말기(4000)에서 내부 서버(2000)로 송신한 광고 정보로서, 대중 교통 수단에서 노선 별 정류장 별로 제공되는 광고일 수 있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대중 교통 운행 정보 및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운수사의 광고 정보를 출력부(1200)를 통해서 승객에게 알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수사의 광고 정보가 A정류장에 대한 광고 정보를 제공하면, 승객의 단말기는 A 정류장으로부터 소정 반경 이내에 단말기(1000)가 위치하면 A 정류장에 대한 광고를 승객에게 알림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S134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사용자 입력부(1700)를 통해서 입력한 리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승객의 리뷰 정보는 대중 교통 수단의 운전자에 대한 리뷰, 대중 교통 수단의 청결도, 운행 시간에 대한 준수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1350 과정에서,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리뷰 정보를 내부 서버(2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를 설명한다.
S141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수신된 승객의 위치 정보, 수신된 승객의 적립금 사용 정보, 수신된 승객의 카드 사용 내역 정보, 수신된 카드 태그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S142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운수사로부터 버스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버스 운행 정보를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버스 운행 정보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서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S143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운수사로부터 운수사의 광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운수사의 광고 정보를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광고 정보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서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S144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리뷰 정보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하고, 승객의 리뷰 정보를 운수사의 단말기(4000) 또는 지자체의 서버(미도시)에게 송신할 수 있다. 지자체의 서버(미도시)에 승객의 리뷰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공익 신고의 창구로서 역활을 할 수 있다.
또는,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리뷰 정보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하고, 복수의 승객의 리뷰들을 사용하여 수정된 리뷰 정보를 생성하고, 수정된 통계 정보를 운수사의 단말기(4000) 또는 지자체의 서버(미도시)에게 송신할 수 있다.
수정된 리뷰 정보는 승객의 리뷰가 정량적 수치를 가질 경우 승객 마다 다른 기준으로 정량적인 절대 수치를 매김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객이 작성했던 리뷰들, 리뷰의 개수 등에 기초하여 계산된 정량적인 상대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정된 리뷰 정보는 승객의 리뷰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집합일 수 있다. 콘텐츠란 대중 교통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평가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일 수 있다.
S145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위치 정보 또는 외부 서버(5000)로부터 수신된 승객의 카드 사용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운수사의 단말기(4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승객의 소비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운수사의 단말기(4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S1460 과정에서, 내부 서버(2000)는 운수사에게 노선 개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복수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 승객의 승차 및 하차 정보,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승객의 소비 패턴 정보, 승객의 리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운행 중인 대중 교통 수단의 노선에 대한 개선 사항을 판단하고, 운수사의 단말기(4000) 또는 지자체의 서버(미도시)에게 노선 개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수사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수사의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S1510 과정에서, 운수사의 단말기(4000)는 버스 운행 정보를 내부 서버(2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버스 운행 정보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서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S1520 과정에서, 운수사의 단말기(4000)는 운수사의 광고 정보를 내부 서버(2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운수사의 광고 정보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서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S1530 과정에서, 운수사의 단말기(4000)는 승객의 리뷰 정보를 내부 서버(2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운수사의 단말기(4000)는 승객의 리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S1540 과정에서, 운수사의 단말기(4000)는 승객의 위치 정보 또는 승객의 카드 사용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내부 서버(2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1550 과정에서, 운수사의 단말기(4000)는 승객의 위치 정보,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승객의 소비 패턴 정보, 승객의 리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소비자 서비스(Customer Service: CS) 관리 혹은 인적 자원(Human Resource: HR) 관리를 할 수 있다.
S1560 과정에서, 운수사의 단말기(4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노선 개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노선 개선 정보는 대중 교통 수산의 현행 노선 대비하여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많은 승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개선하면서 회사의 수익성은 최대화하는 노선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단말기, 내부 서버, 운수사의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의 위치를 센싱 하거나, 승객의 적립금 사용 정보를 확인하거나 내부 서버(2000)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소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승객의 단말기(1000)는 내부 서버(2000)로부터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S1601).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단말기(10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승객의 적립금 사용 정보를 확인하거나 외부 서버(5000)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소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또는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601).
운수사의 단말기(4000)는 대중 교통 운행 정보를 내부 서버(2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S1602). 내부 서버(2000)는 운수사로부터 수신 받은 대중 교통 운행 정보를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S1604). 승객의 단말기(1000)는 수신 받은 대중 교통 운행 정보를 출력부(1200)를 통하여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S1606).
운수사의 단말기(4000)는 운수사의 광고 정보를 내부 서버(2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S1608). 내부 서버(2000)는 운수사로부터 수신 받은 운수사의 광고 정보를 승객의 단말기(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S1610). 승객의 단말기(1000)는 수신 받은 운수사의 광고 정보를 출력부(1200)를 통하여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S1612).
승객의 단말기(1000)는 승객이 남긴 승객의 리뷰 정보를 확인하고(S1614), 내부 서버(2000)에게 승객의 리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1616).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리뷰 정보를 운수사의 단말기(4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위치 정보, 카드 사용 정보,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승객의 소비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운수사의 단말기(4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내부 서버(2000)는 승객의 위치 정보, 카드 사용 정보, 승객의 이동 패턴 정보, 승객의 소비 패턴 정보, 승객의 리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중 교통의 노선을 개선한 대중 교통의 노선을 결정할 수 있다(S1624). 내부 서버(2000)는 개선된 대중 교통의 노선 정보를 포함하는 노선 개선 정보를 운수사의 단말기(4000)에게 송신함으로써(S1626), 승객의 편의성 및 운수사의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운수사의 단말기(4000)는 승객의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CS 관리 또는 HR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승객의 단말기(1000)
내부 서버(2000)

Claims (12)

  1. 광고주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광고주가 대중 교통의 특정 정류장에 설정하는 상기 광고주의 미션 광고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상기 특정 정류장에 설정된 상기 광고주의 미션 광고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미션 광고에 설정된 미션이 수행된 경우에 리워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적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광고에 설정된 미션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광고주가 설정한 특정장소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장소에 도달 여부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특정장소 사이 거리에 기초해 판단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장소에 도달 여부는 상기 사용자의 카드 사용 내역 정보에 기초해 판단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장소에 도달 여부는 상기 사용자의 영수증 이미지 입력 정보에 기초해 판단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장소에 도달 여부는 상기 광고주의 식별 코드 입력 정보에 기초해 판단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미션 광고에 설정된 미션이 수행된 경우에 상기 광고주에게 상기 특정 정류장에 미션 광고를 설정하는 광고비용을 청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주에게 상기 특정 정류장에 미션 광고를 설정하는 비용을 청구하는 과정은,
    상기 광고주의 계좌에 적립된 적립금에서 상기 광고비용을 차감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특정 정류장에 설정된 광고주의 미션 광고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특정 정류장 사이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광고주의 미션 광고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제공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
  10.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대중 교통 수단의 승차 태그 정보에 기초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했다고 확인된 후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미션을 제공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의 미션 수행 완료 여부에 따라 리워드를 적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공되는 미션은, 상기 사용자의 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해 결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이동 패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위치 정보,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승차 정보,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노선 정보, 및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종류에 기초해 결정되는,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내부 서버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220120116A 2019-08-29 2022-09-22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5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116A KR102552661B1 (ko) 2019-08-29 2022-09-22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59254A KR102642422B1 (ko) 2019-08-29 2023-05-08 대중 교통 정류장 기반 광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53A KR102278941B1 (ko) 2019-08-29 2019-08-29 대중 교통 기반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88464A KR102448564B1 (ko) 2019-08-29 2021-07-06 대중 교통 기반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20120116A KR102552661B1 (ko) 2019-08-29 2022-09-22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464A Division KR102448564B1 (ko) 2019-08-29 2021-07-06 대중 교통 기반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254A Division KR102642422B1 (ko) 2019-08-29 2023-05-08 대중 교통 정류장 기반 광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517A KR20220132517A (ko) 2022-09-30
KR102552661B1 true KR102552661B1 (ko) 2023-07-06

Family

ID=75148938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753A KR102278941B1 (ko) 2019-08-29 2019-08-29 대중 교통 기반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88464A KR102448564B1 (ko) 2019-08-29 2021-07-06 대중 교통 기반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20120116A KR102552661B1 (ko) 2019-08-29 2022-09-22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20120114A KR102604695B1 (ko) 2019-08-29 2022-09-22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동패턴 판단 장치,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1020230059254A KR102642422B1 (ko) 2019-08-29 2023-05-08 대중 교통 정류장 기반 광고 방법
KR1020240026772A KR20240027673A (ko) 2019-08-29 2024-02-23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753A KR102278941B1 (ko) 2019-08-29 2019-08-29 대중 교통 기반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88464A KR102448564B1 (ko) 2019-08-29 2021-07-06 대중 교통 기반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114A KR102604695B1 (ko) 2019-08-29 2022-09-22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동패턴 판단 장치,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1020230059254A KR102642422B1 (ko) 2019-08-29 2023-05-08 대중 교통 정류장 기반 광고 방법
KR1020240026772A KR20240027673A (ko) 2019-08-29 2024-02-23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278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198B1 (ko) * 2021-08-13 2023-10-30 윤호경 대중교통 스테이션 인증 관리 시스템
KR20230108618A (ko)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네이앤컴퍼니 인공지능 기반 모빌리티 사용자의 이동패턴 판단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1615A (ja) * 2009-09-11 2011-03-24 Toshiaki Odate 移動手段判定方法および移動ルート管理方法およびその機能を持つ情報端末および情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077A (ko) 2014-04-21 2015-10-30 강수진 대중 교통 수단의 실시간 자동 탑승 및 하차 알림 제공 방법
KR20180103359A (ko) * 2017-03-09 2018-09-19 정원종 모바일 택시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50570B1 (ko) * 2017-03-20 2019-02-20 심성보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1615A (ja) * 2009-09-11 2011-03-24 Toshiaki Odate 移動手段判定方法および移動ルート管理方法およびその機能を持つ情報端末および情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427A (ko) 2021-07-12
KR102604695B1 (ko) 2023-11-23
KR102448564B1 (ko) 2022-09-29
KR102642422B1 (ko) 2024-02-29
KR102278941B1 (ko) 2021-07-19
KR20240027673A (ko) 2024-03-04
KR20210026244A (ko) 2021-03-10
KR20230066308A (ko) 2023-05-15
KR20220133163A (ko) 2022-10-04
KR20220132517A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661B1 (ko)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5727B1 (ko) 대중 교통 및 공유 모빌리티를 이용한 추천 경로 안내 시스템
EP3410378A1 (en) Provision and management of advertising via mobile entity
KR101798827B1 (ko) 효율적인 트랜잭션을 위한 유저 프로파일 및 지리적 위치
KR201300315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70205830A1 (en) Advertising-integrated car
KR102121697B1 (ko)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6051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terminal
KR102400014B1 (ko) 이동 단말의 데이터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195197B2 (en) Online and offline marketing management server using NFC tag
JP690706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7083859B2 (ja) 公共交通システム
JP2018156374A (ja) 施設管理装置、施設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施設管理システム
CN110942718A (zh) 信息系统、信息处理方法以及非暂时性存储介质
KR102415714B1 (ko)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30010409A (ko) 대중교통 정류장 기반 맞춤형 광고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429300B1 (ko) 전자고지를 기초로 교육훈련 참여를 독려하는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13690A (ko) 적립금 및 포인트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JP2022155312A (ja) 広告決定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KR20130133510A (ko) 단말기 보상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