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714B1 -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714B1
KR102415714B1 KR1020200161613A KR20200161613A KR102415714B1 KR 102415714 B1 KR102415714 B1 KR 102415714B1 KR 1020200161613 A KR1020200161613 A KR 1020200161613A KR 20200161613 A KR20200161613 A KR 20200161613A KR 102415714 B1 KR102415714 B1 KR 102415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e
booth
pickup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648A (ko
Inventor
현수명
김선호
장준호
최인욱
김명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브
Priority to KR102020016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7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유저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픽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유저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로케이션 정보가 소정의 위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상기 현장수령상품의 온라인 구매완료 시,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오프라인에서 수령하기 위한 모바일 교환권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수령 가능한 현장부스의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수령상품의 모바일 교환권에 대한 사용 처리에 따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ICKUP SOLUTION}
본 발명은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벤트 상황에서 공급되는 현장수령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후 오프라인 상에서 수령 가능한 온라인 기반 오프라인 서비스(O2O, Online to Offline)를 구현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서 공연, 전시나 기타 행사 등을 포함하는 각종 이벤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이벤트 시장이 확장됨에 따라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상품을 이벤트 진행 시에 현장에서 한정적으로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 프로세스에서 판매되는 대표적인 상품의 예로는 MD(Merchandising)상품이나 이벤트 체험 상품 등이 있다.
이벤트 참여자들은, 진행 중인 이벤트와 관련되어 한시적으로 판매되는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가 존재하며, 이러한 참여자들이 다수인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경쟁이 과열되는 실정이다.
좀 더 자세히, 수많은 참여자들이 특정 이벤트 현장에서 한시적으로 판매되는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나, 하기와 같은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첫째, 이벤트 현장에서 한시적/한정적으로 공급되는 상품 판매의 특성으로 인하여,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참여자들은 해당 상품을 공급하는 곳에 형성되는 상당한 길이의 대기라인에 줄을 서야한다.
이로 인하여, 상품 구매를 위한 대기시간이 해당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참여자의 수에 비례하여 과도하게 증가하는 실정이다.
둘째, 이러한 긴 대기시간을 무릅쓰고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대기하였으나, 해당하는 상품이 품절되어 결국 상품을 수령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위와 같은 상황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당한 수의 참여자들이 메인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이벤트 관람을 벗어나, 상품 구매를 위한 대기열에 가담하여, 이벤트의 취지에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이벤트의 안정적인 진행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최 측에서는 원활한 이벤트 진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참여자 측에서는 메인 이벤트의 일부를 놓쳐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호소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 밖에도 이벤트 현장에서 공급되는 상품의 제공과 관련된 크고 작은 어려움들이 출현하는 실정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도입이 매우 요구되고 있다.
US 9830625 B2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벤트 현장에서 한시적/한정적으로 공급되는 상품(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구매 접근성을 높이고, 현장 수령에 소요되는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해당 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후 오프라인 상에서 수령하는 온라인 기반 오프라인 서비스(O2O, Online to Offline)를 구현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인 상품 구매 및 수령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공간(현장부스)에 대한 혼잡도나 예상 대기시간을 제공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인 상품 구매 및 수령 프로세스를 위하여,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로의 최적의 경로를 안내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저의 위치에 기반하여 픽업 솔루션 서비스와 관련된 기능 동작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저 단말의 로케이션(location) 정보를 파악해 활용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유저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픽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유저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로케이션 정보가 소정의 위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상기 현장수령상품의 온라인 구매완료 시,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오프라인에서 수령하기 위한 모바일 교환권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수령 가능한 현장부스의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수령상품의 모바일 교환권에 대한 사용 처리에 따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로케이션 정보로부터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의 시작시점의 소정의 시간 내외의 일 시점인 제 1 시점부터 상기 이벤트의 종료시점의 소정의 시간 내외의 일 시점인 제 2 시점까지의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현장수령상품의 온라인 구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수령 가능한 현장부스의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부스에서의 대기열에 의한 혼잡도를 나타내는 혼잡도 정보와 상기 현장부스에서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기까지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현장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상황정보를 상기 픽업 솔루션에 기반한 유저 인터페이스, 플로팅 배너(floating banner) 또는 푸시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부스 주변 소정의 영역 내에,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구매한 미수령 유저와 상기 현장부스의 대기한 유저를 합산하여 산출된 예측 현장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수령 가능한 현장부스의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현장부스의 현장부스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현장부스의 혼잡도에 따라서 추천 현장부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추천 현장부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상기 추천 현장부스에서 진행되는 이벤트성 콘텐츠인 추가 콘텐츠에 대한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부스의 체험존에 대한 상기 현장부스 정보에 따른 차별화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별화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체험존의 상기 현장부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 콘텐츠의 제공시간 및 제공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체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별화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체험존에 대한 상기 현장부스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현장부스를 방문했음을 인증하는 전자 스템프인 디지털 엠블럼을 우선적으로 획득하도록 권유되는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인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수령 가능한 현장부스의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상기 현장부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절대 위치정보와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현장부스에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유저가 상기 현장부스에서 대기 중인 경우, 상기 현장부스에 대한 상기 현장부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유저가 상기 현장수령상품의 수령을 완료한 시각부터 해당하는 이벤트의 시작 시각 간의 시간을 나타내는 잔여 여유시간 정보 및 상기 현장부스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진행되는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와 소요 시간을 나타내는 이동 거리/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교환권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픽업 솔루션 서비스에서 유저 별로 매칭되어 관리되는 활동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장부스에서 대기열에 가담하지 않고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수령 가능한 권한을 주는 프리패스 티켓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동정보는, 이벤트 영역 체류 시간정보, 방문 현장부스 수 정보 및 프리미엄 멤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가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의 현장부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현장부스 정보에 기반한 추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모바일 교환권의 사용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교환권의 사용 처리에 따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현장부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부스 각각에 배치된 대기열 리더기와 연동하여 획득되는 상기 모바일 교환권의 식별코드 집계 수를 기반으로 상기 현장부스 정보의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부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부스 각각에 배치된 카메라와 연동하여 획득되는 대기자 집계 수를 기반으로 상기 현장부스 정보의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부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부스 주변 소정의 영역 내에 미수령 유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미수령 유저가 상기 현장부스에 유입되는 상황까지 고려하여 상기 현장부스의 현장 상황정보를 예측한 정보인 예측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예측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구매한 유저 중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아직 수령하지 않은 상기 미수령 유저의 유저 단말로부터, 미수령 상태인 상기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 정보 및 상기 유저 단말의 로케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를 기준 현장부스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기준 현장부스의 위치에 기준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에 상기 유저 단말의 로케이션 정보가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상기 로케이션 정보가 부합하는 경우, 상기 미수령 유저가 상기 기준 현장부스의 대기열에 가담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상기 예측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기 위해 유저가 방문해야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부스 중, 우선적으로 방문하여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도록 권유되는 추천 현장부스에서 진행되는 이벤트성 콘텐츠인 추가 콘텐츠에 대한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교환권의 사용 처리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부스의 형태에 따라서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교환권의 사용 처리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부스의 형태가 소정의 체험 콘텐츠를 상기 현장수령상품으로서 공급하는 체험존인 경우, 상기 체험존에 대한 상기 현장부스 정보에 따른 차별화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이벤트 현장에서 한시적/한정적으로 공급되는 현장수령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후 오프라인 상에서 수령 가능한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현장수령상품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현장수령상품 구매 및 수령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영역(현장부스)에 대한 혼잡도나 예상 대기시간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수령상품의 특성으로 인해 몰려드는 인파로 인하여, 특정 현장부스가 과도하게 혼잡하거나 대기시간이 소요되는 상황을 미연에 알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저가 혼잡도나 예상 대기시간을 고려하여 방문하고자 하는 현장부스를 효율적으로 선택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로의 최적의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유저가 가장 효율적인 동선으로 해당하는 현장부스에까지 편리하게 도착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경로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유저 단말의 로케이션(location) 정보를 파악해 활용함으로써, 이벤트 영역 내 유저 단말에 한정해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현장수령상품 구매 프로세스가 제공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벤트 현장에 실질적으로 주재하는 유저에게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여 그들의 권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유저 단말의 로케이션 정보를 파악해 활용함으로써, 현장수령상품을 구매한 유저가 해당 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에 도달하면, 상품 수령을 위한 모바일 교환권을 자동으로 출력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의 픽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수령상품 구매 프로세스 활성화를 위한 로케이션 정보의 위치 조건을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수령상품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모습과 교환권을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상황정보를 플로팅 배너로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유저 단말(100),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및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유저 단말(100)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픽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상호 연동하여 이벤트 현장에서 한시적/한정적으로 공급되는 상품인 현장수령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후 오프라인 상에서 수령 가능한 온라인 기반 오프라인 서비스(O2O, Online to Offline)인 픽업 솔루션 서비스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유저 단말(100)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으며,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의 구동을 통해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나 현장수령상품을 구매하고 수령하는 전반적인 과정인 픽업 솔루션 서비스뿐만 아니라, 상기 이벤트에 관련된 전반적인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이벤트 참여 티켓을 온라인 구매하는 서비스, 온라인 티켓 관리, 이벤트 정보 확인 및 이벤트의 주체인 연예인이나 셀럽들의 SNS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종합 SNS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현장수령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구매하고 오프라인에서 수령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유저 단말(100)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벤트 현장에서 공급되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온라인 구매창이 활성화되는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location)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로케이션 정보란, 유저 단말(100)의 예를 들어 GPS와 같은 위치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해당 유저 단말(100)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제공된 현장수령상품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에 기반한 온라인 결제를 진행할 수 있고, 온라인 구매가 완료되면 이벤트 현장의 오프라인 상에서 해당 현장수령상품으로 교환 가능한 모바일 교환권(이하, 교환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모바일 교환권이 제공된 현장수령상품을 제공하는 현장부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에 대한 혼잡도 정보, 예상 대기시간 정보 및/또는 해당 현장부스에 대한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 등을 포함하는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복수의 현장부스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유저가 우선적으로 방문하도록 권유되는 추천 현장부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사용 처리 및 관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시스템 구성을 먼저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유저 단말(100),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및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저 단말(100),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및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 유저 단말
도 1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100)은, 현장수령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후 오프라인 상에서 수령할 수 있는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을 실행할 수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저 단말(100)은,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설치된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1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유저 단말(100)은, 메모리(110), 프로세서 어셈블리(120), 통신 모듈(130), 인터페이스 모듈(140), 입력 시스템(150), 센서 시스템(16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유저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110)에는,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저장되며,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픽업 솔루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110)는, 픽업 솔루션 서비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와,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0)는, RO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1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픽업 솔루션 서비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10)에 저장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110)의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을 통해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 프로세서 장치(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듈(130)은, 다른 컴퓨팅 장치(예컨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등)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13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 모듈(130)은, 픽업 솔루션 서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콘텐츠 소스를 저장한 컴퓨팅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받은 컨트롤러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130)은, 픽업 솔루션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및/또는 다른 유저 단말(100)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130)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5G NR(New Radio), WIFI) 또는 근거리 통신방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통해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160)은, 이미지 센서(161), 위치 센서(IMU, 163), 오디오 센서(165), 거리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61)는, 유저 단말(100) 주위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161)는, 픽업 솔루션 서비스와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61)는, 유저 단말(100)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유저 단말(100)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물리적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61)는, 이미지 센서장치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이미지 센서(161)는, 이미지 센서장치(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61)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6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일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가시광선 대역을 촬영하는 일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특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MU(163)는 유저 단말(100)의 움직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력계와 같은 다양한 위치 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30)의 GPS와 같은 위치 통신 모듈(130)과 연동하여, 유저 단말(100) 주변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오디오 센서(165)는, 유저 단말(100) 주변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자세히, 오디오 센서(165)는, 유저 단말(100)을 사용하는 유저의 음성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디오 센서(165)는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음성 데이터를 유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유저 단말(100)을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자세히,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통해 유저 단말(100)은, 여러 입출력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헤드셋 포트나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디오 출력장치가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유저 단말(100) 내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전력 증폭기, RF 회로, 송수신기 및 기타 통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시스템(150)은 픽업 솔루션 서비스와 관련된 유저의 입력(예를 들어, 제스처, 음성 명령, 버튼의 작동 또는 다른 유형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입력 시스템(150)은 버튼, 터치 센서 및 유저 모션 입력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1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시스템(150)은,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통해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유저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픽업 솔루션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현장수령상품 구매 프로세스 인터페이스,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 및/또는 현장부스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저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유저 인터페이스는 유저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171) 상에 터치 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71)와, 유저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171)는 터치 센서(17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유저 단말(100)과 유저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저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유저 단말(100)과 유저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유저 단말(100)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구동되기 위하여 유저 단말(100)과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이벤트(예컨대, 공연, 전시나 기타 체험행사 등) 현장에서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공급을 담당하는 현장부스의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장 상황정보란, 현장부스의 혼잡도(현장수령 대기현황)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생성된 현장 상황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예컨대, 유저 단말(100) 및/또는 매니저 단말(310) 등)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각 현장부스 별로 생성되는 현장 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유저가 우선적으로 방문하도록 권유되는 추천 현장부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에 의해 구매된 현장수령상품의 교환권에 대한 사용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수령상품의 교환권에 대한 사용 처리에 따른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을 더 참조하면, 위와 같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픽업 솔루션 제공서버(210), 현장정보 생성서버(220), 현장 네비게이션 서버(23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각 구성요소는,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히, 픽업 솔루션 제공서버(210)는, 유저 단말(100)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픽업 솔루션 제공서버(210)는, 현장수령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후 오프라인 상에서 수령할 수 있는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유저 단말(1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픽업 솔루션 제공서버(210)는,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을 구현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픽업 솔루션 제공서버(210)는, 유저 단말(100)의 위치에 따른 픽업 솔루션 서비스 제공,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구매(결제) 프로세스 제공 및/또는 현장수령상품의 교환권 제공 등의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현장정보 생성서버(220)는, 실시예에서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의 대기열 리더기(312) 및/또는 카메라(320) 등과 연동하여, 진행 중인 이벤트 영역의 각 현장부스에 대한 혼잡도(현장수령 대기현황) 정보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장 네비게이션 서버(230)는, 실시예에서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현장 네비게이션 서버(230)는, 구매된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공급을 담당하는 현장부스의 위치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현장 네비게이션 서버(230)는, 유저 단말(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해당 유저 단말(100)에 의해 구매된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에까지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유저 동선)를 안내하는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현장 네비게이션 서버(230)는, 실시예에 따라서 증강현실(AR) 영상 등을 이용하여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 현장부스로의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서버(240)는,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240)는, 현장부스에 대한 혼잡도 정보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현장 상황정보, 예측 현장 상황정보, 추천 현장부스 정보 및/또는 콘텐츠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 솔루션 제공서버(210), 현장정보 생성서버(220), 현장 네비게이션 서버(23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4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들과, 픽업 솔루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고, 생성된 현장 상황정보를 기초로 추천 현장부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현장수령상품의 교환권에 대한 사용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 처리에 따른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며,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가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일부를 유저 단말(100) 및/또는 매니저 단말(310) 등에서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 또한 가능할 수 있다.
-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은, 이벤트(예컨대, 공연, 전시나 기타 체험행사 등)를 진행하는 소정의 오프라인 현장 영역(이하, 이벤트 영역)에서, 해당 이벤트와 관련해 한시적/한정적으로 공급되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공급을 담당하는 현장부스에 대한 관리 및 데이터 수집을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은, 각 현장부스에서 공급하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에 기초하여, 해당 현장수령상품의 공급 및 교환권 사용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은, 각 현장부스에서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기 위해 대기하는 대기자(유저) 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은, 감지된 대기자 수 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예컨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및/또는 유저 단말(100) 등)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은, 각 현장부스에 관련된 소정의 콘텐츠(예컨대, 2차원 및/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 영상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을 더 참조하면, 이러한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은, 실시예에서 매니저 단말(310), 식별코드 리더기(311), 대기열 리더기(312), 카메라(320) 및 콘텐츠 제공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매니저 단말>
먼저, 실시예에 따른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의 매니저 단말(310)은,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공급 및 관리를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로, 매니저 단말(310)은, 식별코드 리더기(311)와 연동하여 해당 매니저 단말(310)에 매칭된 현장부스의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공급 및 사용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매니저 단말(310)은, 현장수령상품의 공급 및 사용 처리에 따른 재고 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로 매니저 단말(310)은, 대기열 리더기(312)와 연동하여 해당 매니저 단말(310)에 매칭된 현장부스에 대한 대기자(유저) 수의 집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매니저 단말(310)은, 사용 주체(유저 또는 매니저) 및/또는 목적에 의해 유저 단말(100)과 그 역할이 구분된 것일 수 있으며, 유저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적 특징이나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단말(310)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중 상술된 유저 단말(100)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유저 단말(100)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유저 단말(10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매니저 단말(310)은, 식별코드 리더기(311) 및 대기열 리더기(3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식별코드 리더기(311)와 대기열 리더기(312)는, 실시예에 따라서 매니저 단말(310)과는 별도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매니저 단말(31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서비스 구현의 실용성 및 편의성 등을 위하여 매니저 단말(310)에 포함되어 연동되는 장치로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일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매니저 단말(310)이 식별코드 리더기(311)와 대기열 리더기(312)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 리더기(311)는, 현장부스에서 공급하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의 식별코드(예컨대,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를 스캐너 등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식별코드 리더기(311)는, 감지된 식별코드 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예컨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식별코드 리더기(311)는, 감지된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공급 및 사용 처리가 진행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와 같은 식별코드 리더기(311)는, PoS 단말 장치(Point-of-Sale termina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대기열 리더기(312)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의 식별코드에 기반하여, 현장부스에 방문하고자 해당 현장부스의 대기열에 가담하는 대기자(유저) 수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대기열 리더기(312)는, 각 현장부스의 대기열 입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대기열 리더기(312)는, 현장부스에서 공급하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의 식별코드(예컨대,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를 스캐너 등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열 리더기(312)는, 감지된 식별코드 수(즉, 대기자 수)를 자동으로 집계할 수 있다.
또한, 대기열 리더기(312)는, 자동 집계된 식별코드 수 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예컨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대기열 리더기(312)는, 감지된 식별코드 수를 기초로 현장부스에서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대기자(유저) 수를 집계해 제공하여, 해당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 상황정보(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의 생성을 위한 기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의 카메라(320)는, 현장부스 주위(예컨대, 대기열 영역 등)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32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현장부스에 방문하고자 해당 현장부스의 대기열에 가담하는 대기자(유저) 수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카메라(320)는, 이미지 센서장치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320)는, 이미지 센서장치(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320)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예컨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카메라(320)는, 현장부스의 대기열 공간에 대한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320)는, 획득된 대기열 촬영 영상으로부터 사람으로 감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32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 수를 자동 집계하여 해당 대기열에 존재하는 대기자(유저)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320)는, 산출된 대기자 수 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예컨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32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320)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일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가시광선 대역을 촬영하는 일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적외선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특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장치>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의 콘텐츠 제공장치(330)는, 각 현장부스에 관련된 소정의 콘텐츠(예컨대, 2차원 및/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 영상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장치(330)는, 2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및/또는 마커(Marker) 등의 콘텐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장치(330)는, 상기 콘텐츠 장치에 기반하여 2차원 디스플레이 영상 및/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 영상(예컨대,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영상 또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영상 등)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장치(330)의 마커는, 유저 단말(100)의 이미지 센서(261)에 의해 센싱되는 경우, 해당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AR) 또는 가상현실(VR) 영상이 해당 유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171)를 통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장치(33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2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및/또는 마커(Mark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들과, 픽업 솔루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 유저 단말에서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100)의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에서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100)의 픽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100)은, 이벤트 현장에서 한시적/한정적으로 공급되는 상품인 현장수령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후 오프라인 상에서 수령할 수 있는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실행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해당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설치된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해당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설치된 유저 단말(100)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위치 통신 모듈(130)을 이용하여, 해당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션 정보란, 해당 유저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확인된 로케이션 정보가 소정의 위치 조건을 만족할 시, 현장수령상품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S103)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현장수령상품이란, 이벤트 상황(예컨대, 공연, 전시나 기타 체험행사 등)의 진행 시 해당 이벤트가 진행되는 소정의 오프라인 현장 영역(이벤트 영역)에서, 해당 이벤트와 관련해 한시적/한정적으로 공급되는 특별행사상품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현장수령상품은, 머천다이징(MD, Merchandising) 상품 및/또는 체험 상품(예컨대, 3차원 디스플레이 영상 체험 상품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장수령상품은, 이벤트 시작시점부터 소정의 시간 전후 중 일 시점인 제 1 시각부터 이벤트 종료시점부터 소정의 시간 전후 중 일 시점인 제 2 시각까지만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을 통해 구매 가능한 상품일 수 있다.
또한, 현장수령상품은,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이후 이벤트 현장의 소정의 반경 내에 현장 부스에서 오프라인으로 수령해야하는 상품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현장수령상품은, 이벤트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있는 현장부스(Spot Booth)에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현장부스란, 이벤트를 진행하는 장소의 소정의 반경 내 영역인 이벤트 영역의 설치된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공급을 담당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현장부스는, 소정의 실체를 가지는 오브젝트 상품 형태의 현장수령상품을 제공하는 픽업부스 및/또는 소정의 체험 콘텐츠 상품 형태의 현장수령상품을 제공하는 체험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픽업부스에서는, 오브젝트 상품과 해당 오브젝트 상품에 대한 구매에 의해 생성되는 교환권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픽업 솔루션 서비스에 기반하여 구매된 교환권에 대한 사용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체험존에서는, 체험 콘텐츠 상품에 대한 체험 수행과 해당 체험 콘텐츠 상품에 대한 구매에 의해 생성되는 교환권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픽업 솔루션 서비스에 기초해 구매된 교환권에 대한 사용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수령상품 구매 프로세스 활성화를 위한 로케이션 정보의 위치 조건을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이다.
다시 돌아와서,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소정의 위치 조건으로, 해당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설치된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 정보가 이벤트 영역 내의 위치에 부합하는지 여부로 기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 정보가 이벤트 영역 내의 위치에 부합하는 경우 즉, 해당 유저 단말(100)이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할 시 소정의 위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 정보가 이벤트 영역 내의 위치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즉, 해당 유저 단말(100)이 이벤트 영역 외에 위치할 시 소정의 위치 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 정보가 소정의 위치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이벤트 영역에서 제공되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온라인 구매를 수행할 수 있는 현장수령상품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를 활성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해당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설치된 유저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하면, 해당 이벤트 영역에서 제공되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 정보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으로 송신하면,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로케이션 정보를 통해 이벤트 영역 내 유저 단말(100)이 위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유저 단말(100)의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에 현장수령상품을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할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이벤트 영역에서 판매되는 현장수령상품을 해당 이벤트가 진행되는 오프라인에서뿐만 아니라 온라인을 통해서도 구매 가능하게 하여, 오프라인으로만 구매를 진행할 경우 현장부스에서 현장수령상품을 고르고 결제하는 과정까지 포함되어 긴 대기행렬로 인하여 현장수령상품 구매에 상당한 대기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이벤트 영역 이내의 유저 단말(100)의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에 한정하여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현장수령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현장수령상품을 구매하려는 시도를 차단할 수 있고,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한 유저 단말(100)에서만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구매가 진행되게 하여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하는 유저의 권한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활성화된 현장수령상품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에 기반한 결제 수행 및 교환권을 제공할 수 있다. (S105)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교환권(예컨대, 모바일 교환권)이란,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온라인 결제 완료 시, 해당 결제를 수행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을 통해 제공되어 오프라인 상에서 해당 현장수령상품으로 교환 가능하도록 생성된 매개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교환권은, 해당하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식별코드(예컨대, 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 주문번호, 총 옵션 수량, 상품정보(예컨대, 현장수령상품명 등), 교환처(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명 등) 및/또는 교환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수령상품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모습과 교환권을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이다.
자세히, 도 4를 참조하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소정의 위치 조건을 만족하여 활성화된 현장수령상품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온라인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실시예에 따라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와 연동하여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고, 또는 자체적인 결제 프로세스를 동작하여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수령상품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에 기반한 결제 완료 시, 결제 완료된 해당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제공되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을 메모리(11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구매된 현장수령상품을 특정하는 식별코드에 기반하여 해당 현장수령상품과 손쉽게 교환될 수 있는 교환권을 제공함으로써, 추후 해당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에서 교환권 사용 처리 등을 수행할 시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수령상품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결제 완료된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107)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자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현장부스 정보란, 현장부스의 실시간 현황이나 관련된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정보로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현장부스 정보는, 현장 상황정보 및/또는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현장 상황정보란, 현장부스에서의 대기열에 의한 혼잡도(즉, 현장수령 대기현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상황정보는, 상기 혼잡도에 기초하여 현장부스에서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기까지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은 현장 상황정보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및/또는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 등과 연동하여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과의 연동을 통해 현장부스 별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현장 상황정보를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은 현장 상황정보를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기초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플로팅 배너(floating banner) 및/또는 푸시 알람 등의 방식으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유저 입력을 기초로 현장부스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현장부스의 현장 상황정보를 디스플레이(171)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상황정보를 플로팅 배너로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플로팅 배너(floating banner) 및/또는 푸시 알람의 방식으로 현장부스의 현장 상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수령상품의 결제가 완료되어 해당 현장수령상품의 교환권을 획득한 이후, 해당 교환권이 아직 사용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 플로팅 배너(floating banner) 및/또는 푸시 알람의 방식으로 해당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 상황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플로팅 배너 방식을 이용하여 현장 상황정보의 혼잡도(현장수령 대기현황) 정보를 원활, 보통, 혼잡 및 매우혼잡을 포함하는 4단계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 상황정보에 예측 현장 상황정보를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예측 현장 상황정보란, 현장부스 주변 소정의 영역 내에, 해당 현장부스에서 공급하는 현장수령상품을 구매하였으나 아직 수령하지 않은 상태인 미수령 유저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미수령 유저가 해당 현장부스에 유입되는 상황까지 고려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해당 현장부스의 현장 상황정보를 예측한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은 예측 현장 상황정보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란, GPS 맵 등에 기초하여 현장부스에 대한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로서, 구매된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의 절대 위치정보 및/또는 현재 유저의 위치로부터 해당 현장부스에까지 도달하기 위한 경로(유저 동선)를 제공하는 경로 안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은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증강현실(AR)과 같은 3차원 영상에 기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이러한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 및/또는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 등과 연동하여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자체적으로 또는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 등과의 연동을 통해 픽업 솔루션 서비스 상에 등록된 현장부스 별 절대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유저 단말(100) 등과 연동하여, 해당하는 유저 단말(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해당 유저 단말(100)에 의해 구매된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의 절대 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유저 동선)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의 위치뿐만 아니라, 현장부스에서 현장수령상품을 구매한 유저들의 대기열 말단의 위치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소정의 길이 이상의 대기열이 형성된 경우, 유저가 현장부스의 위치로 도달한 후 다시 대기열에 줄을 서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며, 대기열이 이중으로 형성되거나 세치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잇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제공된 현장 상황정보를 기초로 대기열 말단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할 수 있으며, 추적된 대기열 말단의 위치를 현장 상황정보에 포함시켜 유저 단말(100)에 송신하여,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에서 대기열 말단 위치 또는/및 현장부스 위치를 함께 또는 각각 표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대기열 말단의 위치에 대해 다음 대기위치를 지정함으로써, 대기열의 방향(줄을 서는 방향)을 강제할 수 있다. 즉,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에서 줄을 서는 방향인 대기열 방향을 기 설정한 후 추적된 대기열 말단의 위치의 다음 대기위치를 기 설정된 대기열 방향에 따라 지정한 후 유저 단말(100)에 제공하여, 이를 확인한 유저들이 기설정된 대기열 방향에 따라 줄을 서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상술된 현장 상황정보와 마찬가지로, 위와 같은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기초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플로팅 배너 및/또는 푸시 알람 등의 방식으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된 현장 상황정보의 제공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의 혼잡도나 대기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현장 상황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이벤트 상황의 이벤트 영역 내에서만 판매되는 현장수령상품의 특성으로 인해 몰려드는 인파로 인하여, 특정 현장부스가 과도하게 혼잡하거나 대기시간이 소요되는 상황을 미연에 공지하여 알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저가 혼잡도나 대기시간을 고려하여 방문하고자 하는 현장부스를 효율적으로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려는 현장부스의 위치와 해당 현장부스로 도달하기 위한 유저의 동선을 안내하는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유저가 최적화된 경로를 통해 해당 현장부스에까지 편리하게 도착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경로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결제 완료된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할 때,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해당 현장부스가 픽업부스(소정의 실체를 가지는 오브젝트 상품 형태의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인 경우,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상품 패키징 시간까지 고려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가 방문하고자 하는 픽업부스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검출된 픽업부스의 현장부스 정보(혼잡도 정보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가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예시적으로 상기 소정의 기준은, 기설정된 혼잡도 임계치 이하 또는 초과 및/또는 기설정된 대기시간 임계치 이하 또는 초과 등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검출된 픽업부스의 현장부스 정보가 소정의 기준을 충족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픽업부스에 매칭된 매니저 단말(310)로, 해당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설치된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 정보와, 해당 픽업부스에서 수령하고자 하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구매정보 및/또는 교환권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와 같은 방문 정보를 수신한 매니저 단말(310)은, 수신된 방문 정보를 출력하여 해당 픽업부스를 관리하는 매니저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제공받은 해당 매니저는, 수신된 방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유저가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각에 맞추어 해당하는 현장수령상품의 패키징이 미리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수령하려는 현장수령상품이 소정의 실체를 가지는 오브젝트인 경우, 해당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픽업부스의 현장 상황정보에 따라 해당 현장수령상품의 패키징에 소요되는 시간까지 고려함으로써, 픽업부스에서의 혼잡도를 보다 분산시키고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유저가 현장부스에서 대기 중인 경우, 해당 현장부스의 현장부스 정보에 기반하여, 이벤트(예컨대, 시작 시간이 고정되어 있는 공연 등)의 시작 시각까지의 잔여 여유시간 및 해당 현장부스로부터 해당 이벤트가 진행되는 지점까지의 이동 거리/시간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유저가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는 현장부스의 현장부스 정보(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기초로, 해당 현장부스에서 현장수령상품의 수령이 완료되기까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잔여 대기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제 1 현장부스(픽업부스)의 현장부스 정보가 포함하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가 30분인 경우, 예상 대기시간 정보에 제 1 현장부스에서 공급되는 현장수령상품의 포장 및 전달에 소요되는 소정의 시간(예컨대, 5분)을 가산하여, 제 1 현장부스에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총 소요 시간인 잔여 대기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잔여 대기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유저가 현장수령상품의 수령을 완료한 이후부터 해당하는 이벤트의 시작 시각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잔여 여유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재 시각이 PM 5:00 이고, 유저가 대기 중인 현장부스에서의 잔여 대기시간이 35분이며, 이벤트 시작 시각이 PM 6:00 인 경우, 잔여 유시간 정보를 25분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대기 중인 현장부스의 절대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현장부스로부터 이벤트 지점까지의 이동 거리/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대기 중인 현장부스의 위치로부터, 이벤트가 진행되는 위치에까지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유저 동선)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도출된 최적의 경로를 기초로 유저가 대기 중인 현장부스로부터 이벤트가 진행되는 지점까지 이동해야 하는 이동 거리/시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잔여 여유시간 정보와 이동 거리/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171)를 통해 출력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대기 중인 현장부스의 현장부스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 시작까지 남은 잔여 여유시간과 해당 이벤트 지점까지의 이동 거리/시간을 제공함으로써, 대기 중인 현장부스에서 현장수령상품의 수령을 완료한 시점에서 이벤트 참여에 차질이 없는지를 미연에 판단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벤트 전반에 걸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 정보에 따른 추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109)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자세히,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추천 현장부스 정보란, 구매된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기 위하여 유저가 방문해야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부스 중, 우선적으로 방문하여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도록 권유되는 추천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현장 상황정보 및/또는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은 추천 현장부스 정보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구매된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부스 정보 각각에 대한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을 기반으로,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낮은 우선순위에 기초해 추천 현장부스를 선정할 수 있다.
즉,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의 대기자 수가 적거나 대기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추천 현장부스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선정된 추천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인 추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해당 추천 현장부스에서 진행되는 이벤트성 콘텐츠인 추가 콘텐츠(예컨대, 타임 특전 상품수령 이벤트 또는 타임 특전 무료 체험 이벤트 등)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추가 콘텐츠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추가 콘텐츠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추가 콘텐츠 정보를 픽업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픽업 서비스 서버로부터 추가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의 상세한 설명에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추가 콘텐츠 정보를 추천 현장부스 정보와 함께 푸시 알람 등의 방식으로 출력(10)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낮은 현장부스 즉, 현장부스에서 대기 중인 유저의 수가 적은 현장부스로 미수령 유저를 유도함으로써, 현장부스 별 대기열을 분산시켜 혼잡도를 낮추고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픽업 솔루션 서비스 상에서 유저 별로 매칭되어 관리되는 소정의 활동정보들을 기반으로, 현장부스에서 대기 없이 현장수령상품을 바로 수령할 수 있는 프리패스 티켓(free-pass ticket)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픽업 솔루션 서비스 상에서 유저 별로 매칭되어 관리되는 이벤트 영역 체류 시간정보, 방문 현장부스 수 정보 및/또는 프리미엄 멤버 정보를 활동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은 활동정보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 등과 연동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이벤트 영역 체류 시간정보란, 유저가 이벤트 영역에 체류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방문 현장부스 수 정보는, 유저가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기 위하여 방문한 현장부스를 카운팅한 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프리미엄 멤버 정보는, 소정의 기준(예컨대, 프리미엄 멤버쉽 가입 여부 및/또는 기존 활동 이력 등)에 따라서 유저에게 부여된 멤버 등급이 기설정된 기준(예컨대, 5단계 멤버 등급 중 4단계 멤버 등급 이상 등)을 충족하는 유저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은 이벤트 영역 체류 시간정보, 방문 현장부스 수 정보 및/또는 프리미엄 멤버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매칭되어 관리되는 활동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장부스에서 대기 없이 현장수령상품을 바로 수령할 수 있는 프리패스 티켓을 출력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예시적으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 1) 이벤트 영역 체류 시간정보가 소정의 시간 이상, 2) 방문 현장부스 수 정보가 소정의 개수 이상 및/또는 3) 프리미엄 멤버 정보가 소정의 멤버 등급 이상인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 유저의 이벤트 영역 체류 시간은 1시간 이상, 방문 현장부스 수는 3개 이상 및 프리미엄 멤버 정보는 최고 등급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고, 해당 유저가 이벤트 영역에 체류한 시간이 1시간 30분, 방문 현장부스 수가 5개 그리고 최고 등급을 가지는 경우, 해당 유저에게 프리패스 티켓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유저의 활동정보를 고려하여 현장부스에서의 대기 시간을 줄여주는 프리패스 티켓을 제공함으로써, 수용 가능한 대기시간이 적거나 대기시간에 대한 경제적 가치가 높은 유저에게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을 출력할 수 있다. (S111)
자세히, 실시예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해당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설치된 유저 단말(100)의 위치에 기반하여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해당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이 설치된 유저 단말(100)의 GPS와 같은 위치 통신 모듈(130)을 이용하여, 해당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감지된 로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범위(예컨대, 소정의 반경 등) 내에 존재하는 현장부스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검출된 현장부스에서 사용 가능한 교환권 데이터를 해당 유저 단말(100)의 메모리(110)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독출된 교환권 데이터에 기반하여 해당 현장부스에서 사용 가능한 교환권을 디스플레이(171)를 통해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유저의 현재 위치로부터 근접한 현장부스에서 사용 가능한 교환권을 메모리(110)로부터 자동으로 독출해 출력함으로써, 유저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교환권을 사용하고자 하는 현장부스에 근접하면 자동으로 해당하는 교환권이 출력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교환권에 대한 사용 처리가 쉽고 빠르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사용하고자 하는 교환권을 선택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유저 입력을 기반으로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을 디스플레이(17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 사용 처리 및 콘텐츠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S113)
자세히,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의 식별코드 리더기(311) 및/또는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와 연동하여,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의 사용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 관리 시스템(300)의 식별코드 리더기(311) 및/또는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와 연동해 교환권의 식별코드(예컨대,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가 감지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감지된 식별코드에 기반하여 해당 교환권에 대한 사용 처리가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의 형태(실시예에서, 픽업부스 또는 체험존 등)에 따라서, 그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교환권 사용 처리가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소정의 실체를 가지는 오브젝트 상품인 현장수령상품을 교환권과 교환하여 제공하는 픽업부스 형태의 현장부스인 경우, 픽업부스에서의 현장수령상품 제공 완료 시, 교환권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교환권에 대한 사용 처리 완료에 따른 수령 완료 메시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수령 완료 메시지는, 교환권에 기반한 현장수령상품의 수령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령 완료 메시지는, 사용 처리된 교환권의 식별코드, 주문번호, 상품정보, 교환처 및/또는 사용 처리 일시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은 수령 완료 메시지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소정의 체험 콘텐츠(예컨대, 2차원 및/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 영상 감상 등)인 현장수령상품을 교환권과 교환하여 제공하는 체험존 형태의 현장부스인 경우, 체험존에서의 교환권에 대한 식별코드 인식 및 사용 처리 후, 해당 사용 처리 완료에 따른 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사용 처리된 교환권에 매칭되는 체험 콘텐츠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 및/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가 체험존 형태인 경우, 해당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에 따른 차별화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가 체험존 형태인 경우에 해당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체험존에서 제공되는 체험 콘텐츠에 대한 제공시간 및/또는 제공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가 체험존 형태일 시 해당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디지털 엠블럼(전자 스템프) 현장부스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체험존에서 제공되는 1) 체험 콘텐츠 제공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즉, 대기자 수가 많은 경우), 해당 체험존에서 제공되는 체험 콘텐츠의 제공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험 콘텐츠의 콘텐츠 량을 감소시키거나, 콘텐츠 재생속도를 증가시켜 체험 콘텐츠의 제공시간을 감소시킬 수 잇다.
예를 들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체험존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해당 체험존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영상의 노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반대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즉, 대기자 수가 적은 경우), 해당 체험존에서 제공되는 체험 콘텐츠의 제공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체험존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이면, 해당 체험존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영상의 노출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체험존에서 제공되는 2) 체험 콘텐츠 제공내용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즉, 대기자 수가 많은 경우), 소정의 기준(예컨대, 기조사된 체험 콘텐츠에 대한 대중 관심도 및/또는 유저에 의한 구매량 등)을 기반으로 유저 관심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별로 각각 서로 다른 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특정 현장부스에 혼잡도가 높거나, 특정 현장부스에 혼잡도가 낮은 경우, 이를 평균화시키기 위하여 현장부스 별로 제공하는 체험 콘텐츠를 추가/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별로 매칭된 이벤트 주체인 그룹의 멤버별 체험 콘텐츠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제 1 현장부스에서는 A 멤버와 연관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제 2 현장부스에서는 B 멤버와 관련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 1 현장부스에 혼잡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라면, 제 1 현장부스로 유저들을 유도하기 위하여,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제 1 현장부스에 B 멤버에 대한 체험 콘텐츠를 추가로 제공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반대로, 제 1 현장부스에 혼잡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라면, A 멤버에 대한 체험 콘텐츠를 B 멤버의 체험 콘텐츠로 변경하거나, A 멤버에 대한 체험 콘텐츠의 제공시간을 감소시키는 등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즉, 대기자 수가 적은 경우), 소정의 기준(예컨대, 기조사된 체험 콘텐츠에 대한 대중 관심도 및/또는 유저에 의한 구매량 등)을 기반으로 유저 관심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체험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의 체험 콘텐츠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기반으로, 3) 추천 디지털 엠블럼(전자 스템프) 현장부스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엠블럼이란, 특정 현장부스를 방문했음을 인증하는 전자 스템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란, 특정 디지털 엠블럼을 획득한 후 다음 디지털 엠블럼을 획득할 수 있는 현장부스인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현장 상황정보 및/또는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를 방문하여 교환권에 대한 사용 처리가 완료되면, 해당 현장부스에 대한 디지털 엠블럼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디지털 엠블럼 외에 다른 디지털 엠블럼을 획득 가능한 현장부스인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즉,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벤트 영역에 존재하는 복수의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부스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낮은 우선순위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를 선정할 수 있다.
즉,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현장부스의 대기자 수가 적거나 대기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선정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업데이트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를 디스플레이(171)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디지털 엠블럼을 수집하고자 하는 유저가 대기열이 적은 현장부스에 우선적으로 방문하여 디지털 엠블럼을 수집할 수 있도록 권장 및 안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현장부스에 대한 대기열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체험존 형태의 현장부스에 대한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에 따라서, 해당 현장부스에서 제공하는 체험 콘텐츠의 제공시간 및/또는 제공내용이나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현장부스가 혼잡하거나 대기시간이 긴 경우에는 해당 현장부스의 혼잡도나 대기시간을 단축시키는 방향으로 콘텐츠를 공급하고, 현장부스의 혼잡도나 대기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해당 현장부스로의 유저 유입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콘텐츠를 공급하도록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가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201)
이때, 실시예에서 현장부스 정보는, 현장 상황정보(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 및/또는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자세히, 도 9를 참조하면,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 정보의 현장 상황정보(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매니저 단말(310)의 대기열 리더기(312)와 연동하여 획득되는 대기자(유저)의 교환권 식별코드 집계 수 및/또는 현장부스 별 배치된 카메라(320)와 연동하여 획득되는 대기자(유저) 집계 수를 기반으로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1) 대기열 리더기(312)와 연동하여 획득되는 대기자(유저)의 교환권 식별코드 집계 수를 기반으로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대기열 리더기(312)는, 각 현장부스의 대기열 입구 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해당하는 현장부스에 방문하고자 대기열에 가담하는 유저의 수를, 해당하는 유저의 유저 단말(100)에 저장되어 있는 교환권의 식별코드에 기반하여 감지 및 자동 집계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대기열 리더기(312)는, 해당하는 현장부스의 대기열로 유입되는 유저의 유저 단말(100)로부터 출력되는 교환권의 식별코드(예컨대,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를 스캐너 등을 통해 센싱하여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현장부스의 대기열 입구 측에 배치된 제 1 대기열 리더기(312-1)는, 제 1 현장부스의 대기열로 유입되는 유저의 유저 단말(100)로부터 출력되는 교환권의 식별코드를 센싱하여 제 1 현장부스에 대한 교환권 식별코드 집계 수를 감지할 수 있고, 제 2 현장부스의 대기열 입구 측에 배치된 제 2 대기열 리더기(312-2)는, 제 2 현장부스의 대기열로 유입되는 유저의 유저 단말(100)로부터 출력되는 교환권의 식별코드를 센싱하여 제 2 현장부스에 대한 교환권 식별코드 집계 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대기열 리더기(312)는, 감지된 교환권의 식별코드 수(즉, 대기자 수)를 자동으로 집계하여, 해당 현장부스에 대한 교환권 식별코드 집계 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열 리더기(312)는, 획득된 교환권 식별코드 집계 수 정보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대기열 리더기(312)는, 감지된 식별코드 집계 수를 기초로 현장부스에서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대기자(유저) 수를 집계해 제공하여, 해당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 상황정보(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의 생성을 위한 기반 데이터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 상에 배치된 대기열 리더기(312)의 위치는 일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현장부스에서 대기자(유저)의 교환권 식별코드를 센싱하기 용이한 위치라면 어디에도 배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대기열 리더기(312)로부터 현장부스에 대한 교환권 식별코드 집계 수 정보를 수신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수신된 교환권 식별코드 집계 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현장부스에 대한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수신된 교환권 식별코드 집계 수의 수치에 따라서 해당 현장부스의 혼잡도를 원활, 보통, 혼잡 및 매우혼잡을 포함하는 4단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수신된 교환권 식별코드 집계 수의 수치에 기초하여, 해당 현장부스에 대한 대기시간을 소정의 기준(예컨대, 집계 수치가 1 증가할 때마다 대기시간 10분 증가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산출된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하는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대기열 리더기(312)로부터 교환권 식별코드에 기반해 자동 집계된 대기자 수를 바탕으로, 해당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2) 카메라(320)와 연동하여 획득되는 대기자(유저) 집계 수를 기반으로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각 현장부스에 배치되는 카메라(320)는, 현장부스 주위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면, 제 1 현장부스에 배치된 제 1 카메라(320-1)는, 제 1 현장부스의 대기열 영역에 대한 물리적 공간을 이미지 센싱하여 제 1 현장부스의 대기열 영역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제 2 현장부스에 배치된 제 2 카메라(320-2)는, 제 2 현장부스의 대기열 영역에 대한 물리적 공간을 이미지 센싱하여 제 2 현장부스의 대기열 영역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32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현장부스에 방문하고자 해당 현장부스의 대기열에 가담하는 대기자(유저) 수를 감지 및 자동 집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카메라(320)는, 현장부스의 대기열 영역(공간)을 센싱한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320)는, 획득된 대기열 촬영 영상으로부터 사람으로 감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32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 수를 자동 집계하여 해당 대기열에 존재하는 대기자(유저)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카메라(320)는, 산출된 대기자(유저) 집계 수 정보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카메라(320)는, 대기자 중 대기열의 말단에 위치한 대기자를 검출하여,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각 현장부스 별 카메라(320)는, 감지된 대기자 집계 수를 기초로 현장부스에서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유저의 수를 집계해 제공하여, 해당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 상황정보(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의 생성을 위한 기반 데이터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 상에 배치된 카메라(320)의 위치는 일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현장부스 별 대기열을 센싱하기 용이한 위치라면 어디에도 배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카메라(320)로부터 현장부스에 대한 대기자 집계 수 정보를 수신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수신된 대기자 집계 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현장부스에 대한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수신된 대기자 집계 수의 수치에 따라서 해당 현장부스의 혼잡도를 원활, 보통, 혼잡 및 매우혼잡을 포함하는 4단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수신된 대기자 집계 수의 수치에 기초하여, 해당 현장부스에 대한 대기시간을 소정의 기준(예컨대, 집계 수치가 1 증가할 때마다 대기시간 10분 증가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산출된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하는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카메라(320)의 이미지 센싱에 기반해 자동 집계된 대기자 수를 바탕으로, 해당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대기열 리더기(312) 및/또는 카메라(320)에 기반한 현장부스 별 대기자 수를 집계하고, 집계된 대기자 수에 기초하여 현장부스 별 혼잡도나 대기시간을 산출해 제공함으로써, 인지적 추측이나 대략적인 예상이 아닌 신뢰성 있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보다 정확하게 현장부스의 혼잡도나 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에 대한 예측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다른 예측 현장 상황정보란, 현장부스 주변 소정의 영역 내에, 해당 현장부스에서 공급하는 현장수령상품을 구매하였으나 아직 수령하지 않은 상태인 미수령 유저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미수령 유저가 해당 현장부스에 유입되는 상황까지 고려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해당 현장부스의 현장 상황정보를 예측한 정보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자세히, 도 10을 참조하면,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수령상품을 구매한 유저 중, 구매된 현장수령상품을 아직 수령하지 않은 미수령 유저(1)의 유저 단말(100)로부터, 미수령 상태인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 정보 및 해당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수신된 교환권 정보(현장수령상품에 대한 식별코드, 주문번호, 총 옵션 수량, 상품정보, 교환처 및/또는 교환일 정보 등)에 기초하여, 해당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를 기준 현장부스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GPS 맵 등에 기반하여, 설정된 기준 현장부스에 대한 절대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확인된 기준 현장부스의 절대 위치에 기준하여 기설정된 범위(예컨대, 기준 현장부스의 절대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 내 공간에서, 대기열 공간을 제외한 영역 등) 내에, 수신된 미수령 유저(1)의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 정보가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미수령 유저(1)의 유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로케이션 정보에 기반한 현재 위치가, 해당 미수령 유저(1)의 유저 단말(100)이 보유하는 교환권을 이용 가능한 현장부스 주변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기준 현장부스의 절대 위치에 기준하여 소정의 반경 내의 공간에서 대기열 공간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미수령 유저(1-1, 1-2, 1-3, …, 1-10)의 유저 단말(100)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기준 현장부스 주변 소정의 범위 내에 미수령 유저(1)가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미수령 유저(1)가 해당 기준 현장부스의 대기열에 가담하는 상황을 가정한 예측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기준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 상황정보 생성을 위하여 대기열 리더기(312) 및/또는 카메라(320)를 통해 집계된 유저 집계 수에, 기준 현장부스 주변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미수령 유저(1)를 카운팅한 집계 수를 가산하여 예측 유저 집계 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산출된 예측 유저 집계 수에 기초하여 해당 기준 현장부스에 대한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획득된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하는 기준 현장부스에 대한 예측 현장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의 대기열에 유입된 유저 이외의 추후 해당 현장부스의 대기열에 유입될 것으로 예측되는 미수령 유저(1)까지 고려한 예측 현장 상황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간에 경과에 따라서 예상되는 현장 상황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 정보의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GPS 맵 등에 기초하여, 구매된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의 절대 위치를 나타내는 절대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유저 단말(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해당 유저 단말(100)에 의해 구매된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에까지 도달하기 위한 경로(유저 동선)를 제공하는 경로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생성된 절대 위치정보 및/또는 경로 안내정보를 기초로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위와 같은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증강현실(AR)과 같은 3차원 영상에 기반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8로 돌아와서, 상술된 바와 같이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생성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생성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203)
자세히,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생성된 현장부스 정보를 유저 단말(100)의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현장부스 정보를 수신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수신된 현장부스 정보를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기초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플로팅 배너(floating banner) 및/또는 푸시 알람 등의 방식으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실시예에 따라 현장수령상품의 결제가 완료되어 해당 현장수령상품의 교환권을 획득한 이후, 해당 교환권이 아직 사용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 플로팅 배너(floating banner) 및/또는 푸시 알람의 방식으로 해당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 정보에 기반한 추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205)
이때, 실시예에 따른 추천 현장부스 정보는, 구매된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기 위하여 유저가 방문해야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부스 중, 우선적으로 방문하여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도록 권유되는 추천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일 수 있다.
자세히,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 별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에 따라서, 복수의 현장부스 중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낮은 우선순위로 추천 현장부스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선정된 추천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인 추천 현장부스 정보를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각 현장부스 정보의 현장 상황정보에 대한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 상황정보의 혼잡도 정보에 대한 혼잡도 임계치 및/또는 현장 상황정보의 예상 대기시간 정보에 대한 예상 대기시간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복수의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현장부스에 대한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상기 소정의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 즉, 적어도 일부의 현장부스에 대한 대기자가 많은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현장부스 각각에 대한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에 기반하여, 해당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낮은 우선순위로 추천 현장부스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선정된 추천 현장부스에 대한 추천 현장부스 정보(추천 현장부스의 현장 상황정보 및/또는 현장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생성된 추천 현장부스 정보를 유저 단말(100)의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선정된 추천 현장부스에서 진행 가능한 추가 콘텐츠 정보를, 해당 추천 현장부스에 대한 추천 현장부스 정보에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타 현장부스에 비하여 대기열이 적은(즉,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낮은) 추천 현장부스로의 유저 유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해당 추천 현장부스에서 이벤트성으로 진행 가능한 추가 콘텐츠를 생성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콘텐츠는 전술한 체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추천 현장부스의 형태(픽업부스 또는 체험존 등)에 최적화된 추가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추천 현장부스의 형태가 픽업부스인 경우, 타임 특전 상품수령 이벤트 등의 추가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시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추천 현장부스의 형태가 체험존인 경우, 타임 특전 무료 체험 이벤트 등의 추가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생성된 추가 콘텐츠에 대한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콘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생성된 추가 콘텐츠 정보를 유저 단말(100)의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추천 현장부스 정보 및/또는 추가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은, 수신된 추천 현장부스 정보 및/또는 추가 콘텐츠를 푸시 알람 등의 방식으로 출력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에서 대기 중인 유저의 수가 비교적 적음으로 인하여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낮은 현장부스로 미수령 유저(1)를 유도함으로써, 현장부스 별 대기열을 분산시켜 혼잡도를 낮추고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 사용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S207)
자세히,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매니저 단말(310)의 식별코드 리더기(311)와 연동하여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 사용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 리더기(311)는, 유저 단말(100)의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을 통해 출력되는 교환권의 식별코드를 스캐너 등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식별코드 리더기(311)는, 감지된 식별코드 정보를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식별코드 리더기(311)로부터 식별코드 정보를 수신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수신된 식별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현장수령상품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식별된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교환권 사용 처리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해당 교환권에 대한 사용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위와 같이 수행된 교환권 사용 처리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S209)
자세히,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의 형태(픽업부스 및/또는 체험존 등)에 따라서, 교환권 사용 처리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픽업부스 형태의 현장부스에서 교환권과 현장수령상품이 교환됨에 의한 사용 처리가 진행되는 경우, 해당 현장수령상품의 제공 완료에 따른 수령 완료 메시지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수령 완료 메시지는, 교환권에 기반한 현장수령상품의 수령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령 완료 메시지는, 사용 처리된 교환권의 식별코드, 주문번호, 상품정보, 교환처 및/또는 사용 처리 일시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생성된 수령 완료 메시지 콘텐츠를 유저 단말(100)의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체험존 형태의 현장부스에서 교환권과 체험 콘텐츠가 교환됨에 의한 사용 처리가 진행되는 경우, 해당 교환권 사용 처리 완료에 따라서, 해당 교환권에 매칭되는 체험 콘텐츠를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현장부스에서는 교환권과 관계없이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을 설치한 유저에게 체험 콘텐츠를 제공할수도 있다.
이때,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가 체험존 형태인 경우, 해당 체험존의 현장부스 정보에 따른 차별화된 체험 콘텐츠를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체험존의 현장부스 정보(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체험존에서 제공되는 체험 콘텐츠에 대한 제공시간 및/또는 제공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변경된 체험 콘텐츠에 대한 제공시간 및/또는 제공내용을 반영하여, 해당 체험존에 대한 체험 콘텐츠를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즉, 대기자 수가 많은 경우), 해당 체험존에서 제공되는 체험 콘텐츠의 제공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즉, 대기자 수가 적은 경우), 해당 체험존에서 제공되는 체험 콘텐츠의 제공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감소 또는 증가된 제공시간이 반영된 체험 콘텐츠를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즉, 대기자 수가 많은 경우), 소정의 기준(예컨대, 기조사된 체험 콘텐츠에 대한 대중 관심도 및/또는 유저에 의한 구매량 등)을 기반으로 유저 관심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체험 콘텐츠로 변경하여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별로 서로 다른 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제 1 현장부스에서는 이벤트 주체인 그룹의 A 멤버에 대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제 2 현장부스에서는 이벤트 주체인 그룹의 B 멤버에 대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제 1 현장부스의 혼잡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A 멤버에 대한 체험 콘텐츠의 제공시간이나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제 1 현장부스의 체험 콘텐츠를 B 멤버에 대한 체험 콘텐츠로 변경할수도 있다.
반대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체험존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즉, 대기자 수가 적은 경우), 소정의 기준(예컨대, 기조사된 체험 콘텐츠에 대한 대중 관심도 및/또는 유저에 의한 구매량 등)을 기반으로 유저 관심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체험 콘텐츠를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제 1 현장부스의 혼잡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A 멤버의 체험 콘텐츠 제공시간이나 정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제 1 현장부스에서도 B 멤버의 체험 콘텐츠를 추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A 멤버의 체험 콘텐츠를 B 멤버의 체험 콘텐츠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체험존의 현장부스 정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추천 디지털 엠블럼(전자 스템프) 현장부스 정보를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엠블럼은, 특정 현장부스를 방문했음을 인증하는 전자 스템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란, 특정 디지털 엠블럼을 획득한 후 다음 디지털 엠블럼을 획득할 수 있는 현장부스인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일 수 있다.
자세히,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이벤트 영역에 존재하는 복수의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부스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낮은 우선순위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를 선정할 수 있다.
즉,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현장부스의 대기자 수가 적거나 대기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선정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업데이트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를 유저 단말(100)의 픽업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체험존 형태의 현장부스의 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을 기반으로, 해당 체험존에서 제공하는 체험 콘텐츠의 제공시간, 제공내용이나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현장부스의 상황(혼잡도 및/또는 예상 대기시간 등)에 따라 유저의 유입/유출을 적절하게 제어 가능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이벤트 현장에서 한시적/한정적으로 공급되는 현장수령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후 오프라인 상에서 수령 가능한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현장수령상품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현장수령상품 구매 및 수령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영역(현장부스)에 대한 혼잡도나 예상 대기시간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수령상품의 특성으로 인해 몰려드는 인파로 인하여, 특정 현장부스가 과도하게 혼잡하거나 대기시간이 소요되는 상황을 미연에 알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저가 혼잡도나 예상 대기시간을 고려하여 방문하고자 하는 현장부스를 효율적으로 선택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로의 최적의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유저가 가장 효율적인 동선으로 해당하는 현장부스에까지 편리하게 도착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경로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location) 정보를 파악해 활용함으로써, 이벤트 영역 내 유저 단말(100)에 한정해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현장수령상품 구매 프로세스가 제공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벤트 현장에 실질적으로 주재하는 유저에게 픽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여 그들의 권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유저 단말(100)의 로케이션 정보를 파악해 활용함으로써, 현장수령상품을 구매한 유저가 해당 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에 도달하면, 상품 수령을 위한 모바일 교환권을 자동으로 출력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0)

  1. 유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픽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유저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로케이션 정보가 소정의 위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조건부 온라인 구매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상기 현장수령상품의 온라인 구매완료하고,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오프라인에서 교환하는 모바일 교환권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상기 모바일 교환권과 교환하는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교환권의 사용 처리에 따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복수의 현장부스에서 각각 제공하는 디지털 엠블렘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부스 정보는, 상기 현장부스에서의 대기열에 의한 혼잡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현장부스에서 각각 제공하는 디지털 엠블렘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부스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장부스에서 각각 제공하는 디지털 엠블렘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현장부스 중 특정 현장부스를 방문했음을 인증하는 전자 스템프인 디지털 엠블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상기 모바일 교환권과 교환하는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현장부스에서의 대기열에 의한 혼잡도를 나타내는 혼잡도 정보와 상기 현장부스에서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수령하기까지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현장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수령상품을 상기 모바일 교환권과 교환하는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현장부스의 현장부스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현장부스의 혼잡도에 따라서 추천 현장부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추천 현장부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는,
    특정 디지털 엠블럼을 획득한 후 다음 디지털 엠블럼을 획득할 수 있는 현장부스인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포함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획득된 디지털 엠블럼 외에 다른 디지털 엠블럼을 획득 가능한 현장부스를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부스의 혼잡도 또는 예상 대기시간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정하여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에 대한 현장부스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에 따른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를 순서대로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10. 픽업 서비스 제공서버가 픽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현장수령상품을 공급하는 현장부스의 현장부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현장부스 정보에 기반한 추천 현장부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현장수령상품에 대한 모바일 교환권의 사용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교환권의 사용 처리에 따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현장부스를 통해서 서로 다른 방문 인증 디지털 엠블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부스 정보는, 상기 현장부스에서의 대기열에 의한 혼잡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현장부스를 통해서 서로 다른 방문 인증 디지털 엠블렘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부스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디지털 엠블럼 현장부스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KR1020200161613A 2020-05-25 2020-11-26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415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613A KR102415714B1 (ko) 2020-05-25 2020-11-26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431A KR102187433B1 (ko) 2020-05-25 2020-05-25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0200161613A KR102415714B1 (ko) 2020-05-25 2020-11-26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431A Division KR102187433B1 (ko) 2020-05-25 2020-05-25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648A KR20210145648A (ko) 2021-12-02
KR102415714B1 true KR102415714B1 (ko) 2022-07-01

Family

ID=7379098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431A KR102187433B1 (ko) 2020-05-25 2020-05-25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0200161613A KR102415714B1 (ko) 2020-05-25 2020-11-26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0200161609A KR102404105B1 (ko) 2020-05-25 2020-11-26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0200161605A KR102356051B1 (ko) 2020-05-25 2020-11-26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431A KR102187433B1 (ko) 2020-05-25 2020-05-25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609A KR102404105B1 (ko) 2020-05-25 2020-11-26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0200161605A KR102356051B1 (ko) 2020-05-25 2020-11-26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1874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47077A1 (en) * 2013-04-26 2018-02-15 Emma Proietti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and time specific mobile commerce
KR102069139B1 (ko) * 2017-12-27 2020-01-22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대형 전시공간을 위한 방문자 분산 및 동선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834B1 (ko) * 2006-06-23 2008-05-28 주식회사 골든오일 연예인 전시장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120008347A (ko) * 2010-07-16 2012-01-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현장 주문 및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34267A (ko) * 2012-05-30 2013-12-10 (주)아이엠지파트너스 통합 스탬프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95977A (ko) * 2014-02-13 2015-08-24 (주)한국크레딕라이프 Nfc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전시회 멤버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47077A1 (en) * 2013-04-26 2018-02-15 Emma Proietti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and time specific mobile commerce
KR102069139B1 (ko) * 2017-12-27 2020-01-22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대형 전시공간을 위한 방문자 분산 및 동선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051B1 (ko) 2022-02-07
KR20210145648A (ko) 2021-12-02
KR102187433B1 (ko) 2020-12-07
KR20210145646A (ko) 2021-12-02
KR20210145647A (ko) 2021-12-02
KR102404105B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7074B2 (en) Venue recommendations based on shared guest traits
US10733544B2 (en) Venue traffic flow management
JP6562077B2 (ja) 展示装置、表示制御装置および展示システム
US9582826B2 (en) Directional wayfinding
JP7010066B2 (ja) 自律移動体および医薬品配送システム
US20180352378A1 (en) Assisted venue staff guidance
EP3410378A1 (en) Provision and management of advertising via mobile entity
JP2004048674A (ja) 視野一致型情報呈示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携帯情報端末及びサーバ
US20110010300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and repartitioning vehicles
JP2018518778A (ja) 購入のための拡張現実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94877B1 (ko) 대중교통 및 공유 모빌리티를 이용한 탄소 배출 저감 안내 방법
JP2006351024A (ja) 視野一致型情報呈示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携帯情報端末
JP2012212225A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39285B1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CN111815219B (zh) 信息处理系统以及信息处理方法
JP2003099629A (ja) 遠隔商品販売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7228115A (ja) 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
KR102552661B1 (ko)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7724B1 (ko) 여행 기반 광고 방법
KR102415714B1 (ko) 픽업 솔루션 제공방법 및 시스템
CN107025690A (zh) 用于构建关于所显示商品的位置的信息的方法和装置
KR102266863B1 (ko) 실시간 위치 탐색 기능을 이용한 모바일 리워드 산출 서버 및 방법
JP2006301664A (ja) 視野一致型情報呈示システム
JP2006344226A (ja) 視野一致型情報呈示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携帯情報端末
JP2006329996A (ja) 視野一致型情報呈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