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011B1 -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011B1
KR102552011B1 KR1020160182993A KR20160182993A KR102552011B1 KR 102552011 B1 KR102552011 B1 KR 102552011B1 KR 1020160182993 A KR1020160182993 A KR 1020160182993A KR 20160182993 A KR20160182993 A KR 20160182993A KR 102552011 B1 KR102552011 B1 KR 102552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ight emitting
coupled
power
suppor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036A (ko
Inventor
신혜조
이치영
정선욱
오덕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0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01L2251/536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공급라인이 수용공간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레일;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발광 패널과, 발광 패널이 결합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선반; 기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바디부와, 바디부로부터 돌출된 절연체로 형성되어 지지레일의 수용공간 내에 걸림결합되는 단자바디와, 단자바디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원공급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핀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선반의 유기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간단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선반의 착탈이 용이하다. 또한, 선반의 위치와 개수를 자유로이 구성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Lighting Device having Shelves with Organic Light Emintting Diode}
본 실시예들은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배열된 유기물에 의해 발광층이 형성되고, 발광층에 전류가 흐르면 발광층에 주입된 전자와 전공이 유기물내에서 결합함으로써, 스스로 빛을 발하게 된다.
유기발광소자는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며, 초박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소자는 데이터 응답속도가 기존의 TFT나 LCD 등의 디스플레이에 비해 빠르며, 시야각이 170도 정도로 넓기 때문에 어느 방향에서나 동일한 화질로 시청할 수 있다. 게다가 백라이트가 필요없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소비전력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유기발광소자를 조명으로 적용한 조명장치가 개발되었다. 조명장치는 다양한 솔루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선반형 조명장치는 투명 선반에 유기발광소자를 장착하여 발광시킴으로써, 투명 선반에 놓인 물건을 하부로부터 조명하게 된다. 이러한 선반형 조명장치는, 투명 선반에 설치된 유기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해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투명 선반에 직접 와이어 등을 설치할 경우, 미관이 저하되고, 최대한 미관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서는 복잡한 전선 배선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들은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선반을 장착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선반의 위치와 개수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간단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반의 위치와 개수의 조절이 용이한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공급라인이 상기 수용공간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레일을 제공한다.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발광 패널과, 상기 발광 패널이 결합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선반을 제공한다. 상기 기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된 절연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레일의 수용공간 내에 걸림결합되는 단자바디와, 상기 단자바디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핀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선반의 유기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간단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선반의 착탈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선반의 위치와 개수를 자유로이 구성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의 개략적 개념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이드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브라켓이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양측형 브라켓과 쌍을 이루어 사용되는 일반형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측형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지지레일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측형 브라켓과 일반형 브라켓이 한 쌍의 지지레일에 장착된 상태의 부분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일측형 브라켓을 장착한 상태의 한 쌍의 지지레일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의 개략적 개념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발광 패널을 갖는 복수의 선반(10)과, 각 선반(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레일(100)과, 각 선반(10)을 지지레일(100)에 고정하며 각 선반(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브라켓(5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선반(10)은, 선반(10)으로 사용되는 투명 기판(15)과, 투명 기판(15)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30)과, 투명 기판(15)의 일면에 결합되는 발광 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기판(15)은 투명한 재질, 예를 들면,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 패널(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도성 패턴층(17)과, 전도성 패턴층(17)상에 결합되며 유기발광소자로 구성되는 유기발광유닛(19)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층(17)은, 일정 패턴을 갖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며,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도성 패턴층(17)의 패턴은 격자 형상의 매쉬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도성 물질은 전도도가 우수한 구리, 은, 은으로 코팅된 구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도성 패턴층(17)은, (+)전원이 공급되는 제1전도성 패턴(17a)과, (-)전원이 공급되는 제2전도성 패턴(17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전도성 패턴(17a)과 제2전도성 패턴(17b)은 상호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전도성 패턴층(17)은 PET 필름이나 유리 기판과 같은 투명 기재에 결합되어 형성되며, 투명 기재에 의해 전도성 패턴층(17)이 보호될 뿐만 아니라 투명 기판(15)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기발광유닛(19)의 일측에는 전도성 패턴층(17)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한 쌍의 전원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전원연결부 중 하나는 (+)전원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는 제1전도성 패턴(17a)에 연결되고,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는 제2전도성 패턴(17b)에 연결됨으로써, 유기발광유닛(19)이 전원을 제공받게 된다.
투명 기판(15)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제1전도성 패턴(17a)에 연결되는 제1패드부(15a)와, 제2전도성 패턴(17b)에 연결되는 제2패드부(1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패드부(15a)와 제2패드부(15b)는 브라켓(5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유기발광유닛(19)이 투명 기판(15)의 하부면에 장착됨에 따라, 제1패드부(15a)와 제2패드부(15b)도 투명 기판(15)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투명 기판(15)과 전도성 패턴층(17)은 접착제(16)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 있으며, 접착제(16)는 감압접착제, 예를 들면 아크릴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전도성 패턴(17a)과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연결부, 제2전도성 패턴(17b)과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는 각각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제1 및 제2전도성 패턴(17b)과 전원연결부 사이에는 전도성 연결층(18)이 형성되어 있다. 전도성 연결층(18)은, 제1전도성 패턴(17a)과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1연결층(18a)와, 제2전도성 패턴(17b)과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2연결층(18b)가 상호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도성 연결층(18)은 전도성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기판(15)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판(15)의 장축과 단축 중 단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투명 기판(15)의 양 단축에 결합된다. 각 가이드 프레임(30)은 투명 기판(15)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35)과, 투명 기판(15)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31)과, 상부 프레임(3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1)은 일측으로 긴 직사각 통상의 바아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프레임과(35)의 결합을 위해 복수의 상부 결합공(32)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31)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함몰된 함몰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함몰영역에는 복수의 상부 결합공(32)이 배치되어 있다.
커버 프레임(33)은 함몰영역에 대응되는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함몰영역에 결합되어 함몰영역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커버 프레임(33)에 의해 상부 결합공(32) 및 상부 결합공(32)에 결합되는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반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부 프레임(35)은 그 단면이 계단 형태로 단차를 두고 형성되며, 상부 프레임(31)이 안착되는 프레임 안착부(36)와, 투명 기판(15)이 안착되는 기판 안착부(37)가 차례로 단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안착부(36)에는 상부 프레임(31)과의 결합을 위해 상부 프레임(31)의 상부 결합공(32)에 대응되는 복수의 하부 결합공(38)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35)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프레임(35)내에는 전원라인이 수용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35)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단자(39)가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30)이 투명 기판(15)에 결합되면, 전원단자(39)는 투명 기판(15)의 제1패드부(15a) 또는 제2패드부(15b)에 접촉할 수 있다. 전원단자(39)는 전원라인을 통해 브라켓(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단자(39)는 투명 기판(15)의 접촉시, 투명 기판(15)과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판 스프링 방식의 단자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투명 기판(15)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하부 프레임(35) 중 일측 하부 프레임(35)에만 한 쌍의 전원단자(39)가 형성될 수도 있고, 투명 기판(15)의 양측에 결합된 하부 프레임(35) 각각에 하나씩 전원단자(39)가 형성될 수도 있다.
양측 하부 프레임(35)에 각각 하나씩 전원단자(39)가 형성된 경우, 전원단자(39)에 대응하여 투명 기판(15)의 양단에도 각각 하나씩 제1패드부(15a)와 제2패드부(15b)가 형성된다. 반면, 일측 하부 프레임(35)에만 한 쌍의 전원단자(39)가 모두 형성된 경우, 전원단자(39)에 대응하여 투명 기판(15)에도 일단에만 제1패드부(15a)와 제2패드부(15b)가 함께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30)의 하부 프레임(35)에 브라켓(50)이 결합됨으로써, 브라켓(50)을 통해 발광 패널(2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각 선반(10)은, 양측 하부 프레임(35)의 지지레일(100)을 향한 단부에 브라켓(50)이 결합된다.
이때, 브라켓(50)은, 투명 기판(15)의 양측에 제1패드부(15a)와 제2패드부(15b)가 형성되어 양측으로 각각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와, 투명 기판(15)의 일측에 제1패드부(15a)와 제2패드부(15b)가 한꺼번에 형성되어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상이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브라켓(50)을 통해 (+)전원 또는 (-)전원 중 하나만 공급되는 경우와, 하나의 브라켓(50)으로 (+)전원과 (-)전원이 모두 공급되는 경우 각각 브라켓(50)의 구성이 상이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50)이 가이드 프레임(30)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브라켓(50)이 가이드 프레임(30)으로부터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브라켓(50)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브라켓(50)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과 (-)전원이 선반(10)의 일측으로 동시에 제공되고, 이에 따라, (+)전원과 (-)전원을 모두 공급하는 브라켓(50)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를 양측형 브라켓(50)이라 한다. 이렇게 양측형 브라켓(50)이 구비되는 경우, (+)전원과 (-)전원이 양측형 브라켓(50)으로 모두 공급되기 때문에,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30) 중 일측에는 양측형 브라켓(50)이 결합되고, 타측의 가이드 프레임(30)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일반형 브라켓(150)이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양측형 브라켓(50)과, 일반형 브라켓(1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양측형 브라켓(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측형 브라켓(5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프레임(35)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디부(51)와, 바디부(5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부(56)와, 바디부(51)의 전방으로 돌출된 단자부(54, 5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51)에는 상향 개구된 수용홈(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홈(52)에는 DC/DC 컨버터(60)가 수용될 수 있다. DC/DC 컨버터(60)는 일단은 단자핀(55)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 프레임(35) 내부의 전원라인(미도시)에 연결된다. 이때, DC/DC 컨버터(60)와 전원라인과의 연결을 위해 DC/DC 컨버터(60)와 전원라인의 단부에는 각각 커넥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DC/DC 컨버터(60)는 각 선반(10)에 원하는 전압의 직류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디부(51)의 단자부(54, 55)를 향한 전방 단부에는 바디부(51)의 가로방향으로 돌출한 스커트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53)는 양측형 브라켓(50)을 지지레일(100)에 결합할 때, 지지레일(100)의 개구 외면에 접촉되어 양측형 브라켓(50)이 지지레일(100) 내부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양측형 브라켓(50)과 지지레일(1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결합부(56)는 바디부(51)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판(57)과, 지지판(57)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며 지지레일(100)과의 결합에 사용되는 결합판(5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판(58)과 바디부(51)의 스커트부(53)는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54, 55)는 절연체로 형성된 단자바디(54)와, 단자바디(54)를 관통하여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단자핀(55)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핀(55)의 일단은 단자바디(54)의 전방으로 돌출된 다음 양측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단자핀(55)의 타단은 단자바디(54)를 관통하여 DC/DC 컨버터(60) 또는 하부 프레임(35)의 전원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단자핀(55)은 양측형 브라켓(50)이 지지레일(100)내에 결합될 때, 지지레일(100)내의 각 전원공급라인(115)에 접촉하여 전원공급장치(5)로부터의 전원을 선반(10)으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단자바디(54)는 돌출방향을 따라 일측 영역에 가로 방향으로 돌출한 걸림턱(54a)이 형성되며, 걸림턱(54a)은 지지레일(100)내에 수용되어 양측형 브라켓(50)이 지지레일(100)내에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양측형 브라켓(50)이 장착되는 경우, 선반(10)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35)에는 한 쌍의 전원단자(39)가 형성되며, 각 전원단자(39)에는 하부 프레임(35) 내부에서 양측형 브라켓(50)의 각 단자핀(55)과 전원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도 9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양측형 브라켓(50)과 쌍을 이루어 사용되는 일반형 브라켓(15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형 브라켓(150)은, 양측형 브라켓(50)과 마찬가지로, 사각통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프레임(35)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디부(151)와, 바디부(15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부(156)와, 바디부(151)의 전방으로 돌출된 단자바디(1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56)는, 양측형 브라켓(50)과 마찬가지로, 판상의 지지판(157)과, 지지판(157)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지지레일(100)과 결합되는 결합판(158)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형 브라켓(150)은 지지판(157)은 바디부(151)에 결합되고, 결합판(158)은 지지레일(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형 브라켓(150)은, 양측형 브라켓(50)과는 달리 선반(1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일반형 브라켓(150)은, 단자바디(54)만으로 구성되며, 단자핀은 구성되어 있지 아니하다.
한편, 일반형 브라켓(150)은, 결합부(156)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부(156)의 지지판(157)이 선반(10)의 하부 프레임(35)에 직접 결합되고, 결합판(58)은 지지레일(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형 브라켓(150)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 선반(10)을 지지레일(100)에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측형 브라켓(25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측형 브라켓(250)은, (+)전원 또는 (-)전원 중 하나만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 경우, 각 선반(10)의 양측에 제1패드부(15a)와 제2패드부(15b)가 각각 형성되고, 일측형 브라켓(250)은 각각 제1패드부(15a)와 제2패드부(15b)에 접속할 수 있도록 각 선반(10)의 양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일측형 브라켓(250)은, 양측형 브라켓(50)과 마찬가지로, 사각통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프레임(35)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디부(251)와, 바디부(25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부(256)와, 바디부(251)의 전방으로 돌출된 단자부(254, 25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56)는, 양측형 브라켓(50)과 마찬가지로, 판상의 지지판(257)과, 지지판(257)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지지레일(100)과 결합되는 결합판(258)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측형 브라켓(250)은 지지판(257)은 바디부(251)에 결합되고, 결합판(258)은 지지레일(1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일측형 브라켓(250)은 바디부(251)의 수용홈(252)에 DC/DC 컨버터(60)를 구비하지 아니하며, 이에 따라, 단자핀(255)의 내측 단부와 전원라인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측형 브라켓(250)은 하나의 단자핀(255) 만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단자핀(255)에 연결되는 전원라인과, 하부 프레임(35)에 형성된 전원단자(39)도 하나씩만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일측형 브라켓(250)에 형성된 단자핀(255)은 지지레일(100) 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라인(115)의 위치에 따라, 우측 또는 좌측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지지레일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측형 브라켓(50)과 일반형 브라켓(150)이 한 쌍의 지지레일에 장착된 상태의 부분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측단면도이다.
한 쌍의 지지레일(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선반(10)의 장축 폭에 대응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레일(100)은 벽이나 가구 등 선반(10)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될 수도 있고, 바닥에 설치되는 별도의 지지대를 마련하여 별개의 구조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각 지지레일(100)은 브라켓(50)이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개구된 결합슬롯(105)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슬롯(105)에 대향되는 배면이 벽이나 가구 등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이러한 각 지지레일(100)에 양측형 브라켓(50)과 일반형 브라켓(15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12의 우측의 지지레일(100)에는 양측형 브라켓(50)이 결합되고, 좌측의 지지레일(100)에는 일반형 브라켓(15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우측의 지지레일(100)에는 양측형 브라켓(50)이 결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돌기(112)에 의해 수용공간이 한 쌍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결합슬롯(105)에 인접한 수용공간을 제1수용부(111)라 하고, 지지레일(100)의 배면에 인접한 수용공간을 제2수용부(113)라 한다.
제2수용부(113)내의 양단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라인(115)이 수용되어 있으며, 전원공급라인(115)은 양측형 브라켓(50)의 단자핀(55)과 접촉하여 양측형 브라켓(50)을 통해 선반(10)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전원공급라인(115)은 단자핀(55)과의 접촉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영역에 걸쳐 노출된 전선이나 도전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레일(100) 내에는 양측형 브라켓(50)과의 결합을 위해 복수의 고정편(120)이 장착될 수 있으며, 고정편(12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레일(100)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편(120)은 지지레일(100)내의 제1수용부(111)내에 수용되며, 양측형 브라켓(50)의 결합판(58)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양측형 브라켓(50)의 스커트부(53), 단자바디(54)의 걸림턱(54a), 및 단자핀(55)은 모두 양측형 브라켓(50)의 가로방향으로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양측형 브라켓(50)을 지지레일(100)에 결합시킬 때, 스커트부(53), 단자바디(54)의 걸림턱(54a) 및 단자핀(55)이 지지레일(100)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브라켓(50)을 위치시킨 다음, 양측형 브라켓(50)의 단자바디(54)를 지지레일(100)의 결합슬롯(105)을 통해 밀어넣어 지지레일(100) 내에 수용시킨다. 그런 다음, 양측형 브라켓(5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스커트부(53), 단자바디(54)의 걸림턱(54a) 및 단자핀(55)이 지지레일(100)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양측형 브라켓(50)이 지지레일(100)에 걸림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양측형 브라켓(50)의 스커트부(53)는 지지레일(100)의 외측에 접촉하게 되며, 이때, 양측형 브라켓(50)의 결합판(58)과 지지레일(100)의 고정편(120)을 나사결합시키면, 양측형 브라켓(50)의 결합판(58)과 지지레일(100)의 고정편(120) 사이에 지지레일(100)의 결합슬롯(105)의 양측 모서리가 고정됨으로써, 양측형 브라켓(50)을 지지레일(10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양측형 브라켓(50)이 지지레일(100)과 결합되면, 제1수용부(111)에는 양측형 브라켓(50)의 단자부(54, 55)의 단자바디(54)가 수용되고, 제2수용부(113)에는 단자부(54, 55)의 단자핀(55)이 수용될 수 있다. 이렇게 제2수용부(113)에 수용된 단자핀(55)은 제2수용부(113)내에 수용되면, 전원공급라인(115)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한편, 일반형 브라켓(150)이 결합된 우측의 지지레일(100)은 좌측의 지지레일(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나, 일반형 브라켓(150)으로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에 따라, 전원공급라인(115)이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다. 이러한 일반형 브라켓(150)도 양측형 브라켓(50)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우측의 지지레일(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레일(100)내의 전 영역에 전원공급라인(115)이 설치되어 어떠한 위치에서도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고정편(120)에 의해 양측형 브라켓(50)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선반(10)을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편의에 따라, 설치되는 선반(10)의 개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양측형 브라켓(50)을 사용하는 경우, DC/DC 컨버터(6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일측의 지지레일(100)에만 전원공급라인(115)을 설치하게 되므로, 전원공급을 위한 전선의 배치 등을 간단화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일측형 브라켓(250)을 장착한 상태의 한 쌍의 지지레일(100)의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일측형 브라켓(250)이 설치되는 경우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레일(100)을 개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일측형 브라켓(250)은, 각각 하나의 단자핀(255)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일측형 브라켓(250)이 결합되는 지지레일(100)에도 하나의 전원공급라인(115)만이 구비된다. 이때, 일측형 브라켓(250)의 단자핀(255)의 위치에 따라 지지레일(100)의 전원공급라인(115)의 위치가 대응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4의 좌측에 도시된 일측형 브라켓(250)의 단자핀(255)이 좌측에 형성됨에 따라, 좌측의 지지레일(100)에는 좌측에만 전원공급라인(115)이 설치되어 있고, 도 14의 우측에 도시된 일측형 브라켓(250)의 단자핀(255)은 우측에 형성됨에 따라, 우측의 지지레일(100)에는 우측에만 전원공급라인(115)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일측형 브라켓(250)이 지지레일(100)에 결합되면, 각 일측형 브라켓(250)의 단자핀(255)이 지지레일(100) 내의 전원공급라인(115)에 접촉됨에 따라, 각각 (+)전원 또는 (-)전원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한 쌍의 일측형 브라켓(250)이 구비되는 경우, 선반(10)의 양측에 결합되는 각 하부 프레임(35)에는 각각 하나씩 전원단자(39)가 설치되고, 각 전원단자(39)는 선반(10)의 양측에 형성된 제1패드부(15a) 또는 제2패드부(15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일측형 브라켓(250)의 단자핀(255)을 상이한 방향에 설치하였으나, 한 쌍의 일측형 브라켓(250)의 단자핀(255)을 동일한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일측형 브라켓(250)을 사용하고, 이에 대응되는 한 쌍의 지지레일(100)도 상호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범용화할 수 있어 제작이 간편하고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서 선반(10)을 지지레일(100)에 결합하는 과정과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지지레일(100)에 양측형, 일측형 또는 일반형 브라켓(150)을 결합시킨다. 이때, 양측형 브라켓(50)의 경우, 스커트부(53), 단자바디(54)의 걸림턱(54a) 및 단자핀(55)이 지지레일(100)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양측형 브라켓(50)을 위치시킨 다음, 양측형 브라켓(50)의 단자바디(54)를 지지레일(100)내에 삽입하여 수용시킨다. 그런 다음, 양측형 브라켓(5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스커트부(53), 단자바디(54)의 걸림턱(54a) 및 단자핀(55)이 지지레일(100)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양측형 브라켓(50)이 지지레일(100)내에 수용된다.
이때, 양측형 브라켓(50)의 스커트부(53)는 지지레일(100)의 외측에 접촉하게 되며, 양측형 브라켓(50)의 결합판(58)과 지지레일(100)의 고정편(120)을 나사결합시키면, 양측형 브라켓(50)의 결합판(58)과 지지레일(100)의 고정편(120) 사이에 지지레일(100)의 결합슬롯(105)의 양측 모서리가 고정됨으로써, 양측형 브라켓(50)을 지지레일(10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양측형 브라켓(50)은 일반형 브라켓(150)과 쌍을 이루게 되며, 일반형 브라켓(150)도 양측형 브라켓(50)과 동일한 방법으로 지지레일(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양측형 브라켓(50)과 일반형 브라켓(150)을 각 지지레일(100)에 결합시킬 때, 양측형 브라켓(50)과 일반형 브라켓(150)이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도록 한다.
양측형 브라켓(50)과 일반형 브라켓(150)을 각 지지레일(100)에 결합시킨 다음, 가이드 프레임(30)의 하부 프레임(35)에 양측형 브라켓(50)과 일반형 브라켓(150)에 결합시킴으로써, 선반(10)을 지지레일(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양측형 브라켓(50)에는 DC/DC 컨버터(60)에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고, 가이드 프레임(30)내의 전원라인에도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양 커넥터를 상호 연결하면 전원공급장치(5)로부터의 전원이 선반(1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외부 전원이 전원공급장치(5)에 공급되어 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한 쌍의 전원공급라인(115)으로 제공된다. 그러면, 전원공급라인(115)에 접속된 양측형 브라켓(50)의 단자핀(55)과 DC/DC 컨버터(6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가이드 프레임(30)에 형성된 한 쌍의 전원단자(39)로 전원이 제공된다. 그런 다음, 한 쌍의 전원단자(39)에 접속된 제1패드부(15a)와 제2패드부(15b)를 통해 제1전도성 패턴(17a)과 제2전도성 패턴(17b)으로 각각 전원이 공급되고, 제1전도성 패턴(17a)과 제2전도성 패턴(17b)에 연결된 전원연결부를 통해 유기발광유닛(19)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유기발광소자가 발광하게 된다.
한편, 한 쌍의 일측형 브라켓(250)을 이용하여 선반(10)을 고정하는 경우, 양측형 브라켓(50)을 지지레일(100)에 결합시킨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일측형 브라켓(250)을 각 지지레일(100)에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각 일측형 브라켓(250)을 선반(10)의 양측 가이드 프레임(30)에 각각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선반(10)을 지지레일(100)에 고정할 수 있다.
각 일측형 브라켓(250)에는 하나의 단자핀(255)이 형성되어 있고, 각 지지레일(100)에는 하나의 전원공급라인(11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일측형 브라켓(250)이 각 지지레일(100)에 결합되면, 하나의 일측형 브라켓(250)으로부터는 (+)전원이 제공되고, 다른 일측형 브라켓(250)으로부터는 (-)전원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선반(10)의 양측 가이드 프레임(30)을 통해 (+)전원과 (-)전원을 선반(10)의 발광 패널(2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반형 조명장치(1)에서는 브라켓(50, 250)을 이용하여 선반(10)과 지지레일(100)이 상호 물리적 결합과 전기적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선반(10)에 전원 공급을 위한 구조를 간단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선반(10)의 착탈이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지지레일(100)의 전 영역에 전원공급라인(115)을 설치하고, 지지레일(100) 내에서 자유로이 위치조절이 가능한 고정편(120)을 이용하여 선반(10)을 지지레일(100)에 고정함으로써, 선반(10)의 위치와 개수를 자유로이 구성할 수 있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조명장치 10 : 선반
15 : 투명 기판 30 : 가이드 프레임
50 : 브라켓 100 : 지지레일

Claims (9)

  1.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공급라인이 상기 수용공간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레일;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발광 패널과, 상기 발광 패널이 결합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선반;
    상기 기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된 절연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레일의 수용공간 내에 걸림결합되는 단자바디와, 상기 단자바디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핀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 및
    상기 기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기판의 양단에 결합되며;
    긴 판상으로 형성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프레임 안착부와, 상기 프레임 안착부로부터 소정의 단차를 두고 형성되어 상기 기판이 안착되며 상기 기판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전원단자가 형성된 기판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핀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전원단자를 연결하는 전원라인이 수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디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기 단자바디를 향한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지지레일에 결합되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핀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단자핀의 단부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레일 중 하나에는 한 쌍의 전원공급라인이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전원공급라인이 배치되지 아니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브라켓은,
    상기 바디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기 단자바디를 향한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지지레일과 결합되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핀은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단자핀의 단부는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레일 내에는 각각 하나의 전원공급라인이 배치되는 조명장치.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 내에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판상의 고정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편은 상기 브라켓의 결합판과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을 상기 지지레일에 고정하는 조명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패널은,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유기발광유닛과, 상기 유기발광유닛과 상기 기판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유기발광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도성 패턴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도성 패턴을 포함하는 전도성 패턴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제1전도성 패턴에 연결되는 제1패드부와, 상기 제2전도성 패턴에 연결되는 제2패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패드부와 상기 제2패드부는 상기 발광 패널에 연결되는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내에 수용되며, 일단은 상기 단자핀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기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20160182993A 2016-12-29 2016-12-29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 KR102552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993A KR102552011B1 (ko) 2016-12-29 2016-12-29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993A KR102552011B1 (ko) 2016-12-29 2016-12-29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036A KR20180078036A (ko) 2018-07-09
KR102552011B1 true KR102552011B1 (ko) 2023-07-06

Family

ID=6291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993A KR102552011B1 (ko) 2016-12-29 2016-12-29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56868A (ja) * 2019-03-27 2020-10-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棚板給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8595A (ja) * 2010-07-21 2013-10-17 ビスプレイ・インターナショナ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成形レールとその中に掛止め可能な一次支持体を備えた、品物を提示するための懸架装置
US20130299439A1 (en) * 2012-05-09 2013-11-14 Maf Technologies Corporation Powering Assembly and Method For Adjustable Shelv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3305B2 (en) * 2003-06-25 2007-01-16 Gemtron Corporation Illuminated shelf
KR101287658B1 (ko) * 2011-12-30 2013-07-24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1966076B1 (ko) * 2014-12-18 2019-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조명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8595A (ja) * 2010-07-21 2013-10-17 ビスプレイ・インターナショナ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成形レールとその中に掛止め可能な一次支持体を備えた、品物を提示するための懸架装置
US20130299439A1 (en) * 2012-05-09 2013-11-14 Maf Technologies Corporation Powering Assembly and Method For Adjustable Shelv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036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4276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US20160186944A1 (en) Display Device
US20130286651A1 (en) Illumination apparatus for showcase
JP4432846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US9482810B2 (en)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circuit board
CN107528184B (zh) 一种独立式取电装置及使用该取电装置的货架
CN103438408B (zh) 一种led灯条连接器及背光模组
US9519168B2 (en) Display apparatus
KR20110073824A (ko) Led 모듈용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led 모듈 조립체
KR102280525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접속 모듈
US8540411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8314901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102552011B1 (ko)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
US9111472B2 (en) Light-emitting diode modul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LED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backlight assembly
US20120223659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2013722A (ja) 液晶モジュール
KR102571670B1 (ko)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
JP2012033456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CN106997891A (zh) 显示装置
KR20120129231A (ko) 커넥터
US9274269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JP3182797U (ja) 電気コネクタ
KR20080050764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20120053859A (ko) 양면 액정표시장치
KR10237746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