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371B1 -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371B1
KR102551371B1 KR1020210039219A KR20210039219A KR102551371B1 KR 102551371 B1 KR102551371 B1 KR 102551371B1 KR 1020210039219 A KR1020210039219 A KR 1020210039219A KR 20210039219 A KR20210039219 A KR 20210039219A KR 102551371 B1 KR102551371 B1 KR 102551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user
virtual golf
golf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4819A (ko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안효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210039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37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819A/ko
Priority to KR1020230060772A priority patent/KR20230070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를 제공한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는 표시부,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실제 골프공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사용자에게 상기 실제 골프공의 타격에 대한 연습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습 모드에서는 상기 표시부에 타깃이 표시되고, 또한 사용자가 타격한 실제 골프공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한 위치와 상기 타깃의 위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타격에 대해서 포인트를 부여한다.

Description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PRACTICE MODE AND METHOD FOR OPERATING VIRTUAL GOLF DEVICE}
본 발명은 가상 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골프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골프는 실외 골프장에서의 골프뿐만 아니라, 가상 골프 장치 등을 이용하여 골프를 플레이 할 수 있는 스크린 골프의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스크린 골프에서는 스크린을 통하여 골프장의 영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마치 야외에서 실제의 골프 경기를 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주면서도, 야외의 골프장에서 경기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세이브되기 때문에 스크린 골프는 시간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야외 골프를 하기 어려운 바쁜 현대인들에게 대단히 인기가 높다.
골프는 홀컵까지의 거리에 따라 여러가지 상황에서 골프공을 타격해야 하는 스포츠이다. 골퍼로서는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특정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타격을 연습하고 싶지만, 실제 골프장에서는 많은 이용자가 동일한 골프코스에서 함께 플레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개인이 자신만의 연습 타격을 하기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비해 스크린 골프는 여러 가지 첨단 장치들과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되는 특성상 골프공의 연습 타격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다만 스크린 골프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사용자들의 기대치가 높아지면서, 스크린 골프는 보다 재미있고 다양한 연습 타격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에게 재미있고 다양한 연습 타격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증진시키고 또한 골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와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는 표시부,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실제 골프공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사용자에게 상기 실제 골프공의 타격에 대한 연습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습 모드에서는 상기 표시부에 타깃이 표시되고, 또한 사용자가 타격한 실제 골프공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한 위치와 상기 타깃의 위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타격에 대해서 포인트를 부여한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타깃을 중심으로 하여 제1 거리 이내에 있는 제1 영역과, 상기 타깃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 사이에 있는 제2 영역이 서로 구분되게 표시되고,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착지 위치가 제1 영역인 경우에 부여되는 포인트와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착지 위치가 제2 영역인 경우에 부여되는 포인트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상기 타깃까지의 거리를 목표거리라고 하면, 상기 연습 모드에서는 서로 다른 복수의 목표거리에 대해서 타격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습 모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목표거리 각각에 대해 사용자는 적어도 1회 이상 상기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고, 사용자의 모든 타격이 종료되면 사용자의 각 타격에 대해서 부여된 포인트를 사용자의 모든 타격에 대해 합산한 합산 포인트를 계산한 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습 모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목표거리 각각에 대해 사용자는 적어도 1회 이상 상기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고, 사용자의 모든 타격이 종료되면 사용자의 각 타격에 대해서 부여된 포인트를 사용자의 모든 타격에 대해 합산한 합산 포인트를 계산하며,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상기 합산 포인트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사이의 연습 모드에서의 승패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습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에서의 타격 종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지형 종류, 플레이가 진행되는 시기, 상기 실제 골프공을 타격할 때 사용되는 골프클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이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항목 선택의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항목 선택은 사용자 자신의 플레이 기록 및/또는 다른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과 관련하여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은, 가상의 골프코스에 타깃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실제 골프공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 결과에 따라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인 후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착지하면,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한 위치와 상기 타깃의 위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타격에 대해서 포인트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재미있고 다양한 연습 타격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증진시키고 또한 골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가상 골프 장치에 적용가능한 연습 모드의 동작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가상 골프 장치에 적용가능한 다른 연습 모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1의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연습 모드의 플레이 옵션을 선택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복수의 가상 골프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저장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시스템에서 연습 모드의 플레이 옵션을 선택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타격 플레이트(10), 제어부(20), 감지부(30), 입력부(40), 사운드부(50) 및 표시부(6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10)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영역으로, 타격 플레이트(10)에는 타격 매트가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는 상기 타격 매트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타격 매트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구조의 오토 티가 설치되어 있어서, 오토 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타격용 골프공이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가상 골프 장치의 각 구성품 사이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타격 매트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오토 티를 컨트롤하여, 사용자가 타격하는 시점에 맞추어 상기 오토 티에서 타격용 골프공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골프코스를 선택한 경우, 해당 골프코스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어부(20)는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0)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골프코스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영상처리수단에서 해당 골프코스 영상을 표시부(60)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로그인을 위하여 아이디나 패스워드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입력된 개인정보를 체크하여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산출부(21)와 설정부(22)를 포함하며, 이들을 통하여 상기한 컨트롤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산출부(21)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감지된 상태대로 골프공이 실제 골프장에서 비행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비행궤적을 산출한다. 설정부(22)는 사용자에게 골프공의 타격에 대한 연습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연습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특정 연습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필요한 후속 처리 등을 담당한다.
감지부(30)는 골프 클럽의 움직임이나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타격된 골프공에 관한 물리적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골프 클럽이나 골프공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의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에는 이미지 센싱, 발광/수광 센싱, 레이저 센싱 등 다양한 센싱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센싱 방식으로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한 1대만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 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사용자의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고,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되면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에 입력부(4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골프에서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나 플레이 난이도 등을 선택하는 경우, 연습 모드의 선택 등에도 입력부(40)가 사용될 수 있다.
감지부(30)를 통하여 얻어진 정보 및 입력부(4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는 제어부(20)에 전달된다. 제어부(20)에 있어서 산출부(21)는 감지부(30)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고, 설정부(22)는 입력부(40)에서 연습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연습 모드를 진행하기 위한 처리동작을 수행한다.
사운드부(50)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게임의 진행 상황을 안내하고 게임의 진행에 따른 각종 효과음을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60)는 빔 프로젝터(61)와 스크린(62)을 포함한다. 빔 프로젝터(61)는 골프코스와 골프공이 스크린(6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관련 영상을 스크린(62)에 투사하며, 스크린(62)은 투사된 골프 관련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스크린(62)에 디스플레이되는 일부 대상에 대해 '가상'이라는 용어를 붙여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스크린(62) 속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라는 의미로서,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코스'란 스크린(62)에 디스플레이되는 골프코스라는 의미이고, '가상의 골프공'이란 스크린(62)에 디스플레이되는 골프공이라는 의미이다.
가상 골프 장치는 스크린 골프장에 설치되어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때에 가상 골프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면 감지부(30)에서 골프클럽의 움직임이나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속도나 이동방향 등과 같은 물리적 상태를 감지한다. 감지부(30)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20)에 전달되고, 제어부(20)는 전달된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야외 골프장에서 골프공을 타격했다고 가정했을 때에 골프공이 어떠한 궤적을 나타낼 것인지를 산출한다. 골프공의 궤적은 주로 골프공의 움직임으로부터 산출되지만 필요하다면 타격시의 골프클럽의 움직임까지 반영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표시부(60)에서는 상기 산출된 궤적대로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영상을 표시하며, 이때에 가상의 골프공은 산출된 궤적으로 비행한 후 스크린(62) 속 가상의 골프코스의 특정지점에 착지하게 되고,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된 지점에서 넥스트 타격을 이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스크린 골프 플레이는 실전 모드와 연습 모드로 구분되어 제공된다. 실전 모드는 실제 골프 플레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플레이하는 것으로, 골프공을 타격하여 홀컵에 골프공을 넣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최초 타격에서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갈 때까지의 타격횟수를 비교하여 승부가 결정된다. 연습 모드는 사용자가 골프 플레이를 연습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특히 본 발명의 가상 골프 장치에서는 사용자에게 재미있고 다양한 연습 타격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하 연습 모드의 상세 내용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가상 골프 장치에 적용가능한 연습 모드의 동작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연습 모드가 시작되면 먼저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코스에 타깃(T)이 표시된다. 실제 골프에 있어서 목표지점은 최종적으로 골프공을 넣어야 하는 홀컵이고 홀컵에는 깃발이 꽂혀 있기 때문에, 영상 속 타깃(T)은 깃발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다만 타깃(T)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깃발이 아니더라도 다른 형태로 표현될 수 있고, 특별한 형태 없이 해당 지점의 위치를 알려주는 단순한 표식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타깃(T)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영역(T1, T2, T3)이 스크린에 표시된다. 상기 영역(T1, T2, T3)은 타깃(T)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1 영역(T1), 제2 영역(T2), 제3 영역(T3)으로 구분된다.
제1 영역(T1)은 타깃(T)을 중심으로 하여 제1 거리 이내에 있는 원(circle)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 영역(T2)은 타깃(T)을 중심으로 하여 제1 거리가 되는 지점과 타깃(T)을 중심으로 하여 제1 거리 보다 긴 제2 거리가 되는 지점 사이의 링(ring)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제3 영역(T3)은 타깃(T)을 중심으로 하여 제2 거리가 되는 지점과 타깃(T)을 중심으로 하여 제2 거리 보다 긴 제3 거리가 되는 지점 사이의 링(ring)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도면에는 타깃(T) 주위에 3개의 영역(T1, T2, T3)이 도시되어 있는데, 영역의 개수는 3개 보다 더 적거나 더 많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스크린에는 연습 모드에서의 타격이 시작되기 전에 타깃(T) 주위의 복수의 영역(T1, T2, T3)에 골프공이 착지되었을 때의 해당 포인트를 알려주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타깃(T)에서 가까운 영역일수록 굿샷을 의미하고 이에 부합되게 포인트가 부여된다. 예를 들면, "제1 영역(T1): 10점, 제2 영역(T2): 5점, 제3 영역(T3): 1점"과 같은 식으로 포인트가 부여될 수 있고, 이 경우 굿샷일수록 포인트가 높다.
그런데 실제 골프에서는 보통 한 라운드에 18홀을 플레이하고, 각 홀마다 설정된 규정타수를 기준으로 몇 개 더 적게/많게 쳤는지를 기준으로 타격횟수를 표현한다. 예를 들면, "1번홀에서 1언더파를 쳤다"라고 하면 1번홀에서 규정타수 보다 한 타 적은 타수에서 홀인에 성공했다는 의미이고, 규정타수 보다 한 타 적다는 의미로 이를 "-1"로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번홀에서 1오버파를 쳤다"라고 하면 1번홀에서 규정타수 보다 한 타 많은 타수에서 홀인에 성공했다는 의미이고, 규정타수 보다 한 타 많다는 의미로 이를 "+1"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제 골프에서의 표현 방식을 연습 모드에도 적용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T1): -1점, 제2 영역(T2): 0점, 제3 영역(T3): +1점"과 같은 식으로 포인트가 부여될 수 있고, 이 경우 굿샷일수록 포인트가 낮다. 골프에서 특정 홀에서의 포인트가 -1, 0, +1인 경우를 각각 버디(Birdie), 파(Par), 보기(Bogey) 등과 같은 용어로 표현하기 때문에, 스크린에는 포인트와 해당 용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골프에서는 버디(Birdie), 파(Par), 보기(Bogey) 이외에도, -2 포인트의 이글(Eagle), +2 포인트의 더블 보기(Double Bogey), +3 포인트의 트리플 보기(Triple Bogey), +4 포인트의 쿼드러플 보기(Quadruple Bogey) 등이 있는데, 필요하다면 타깃(T) 주위의 영역의 개수을 더 늘리고 각 영역에 적정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습 모드에서의 타깃(T)과 영역별 포인트가 안내된 후에 사용자는 스크린 속 타깃(T)을 향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고, 감지부(30)는 타격된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20)에 전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0)의 산출부(21)에서는 감지부(30)에서의 감지 정보를 근거로 하여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한다.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함에 있어서 여러가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그 중 한 가지로서 타격 후의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감지하고 이로부터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로서 골프공의 속도(V1), 타격에 의하여 날아가는 골프공의 수평면상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각(φ1), 골프공이 수평면에 대해서 기울어진 각도를 나타내는 상하각(θ1) 등이 있을 수 있다. 속도(V1), 방위각(φ1), 상하각(θ1)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근거로 하여 물리법칙을 이용한 계산 모델을 적용하면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산출 결과에 따라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VB)이 움직이다가 특정 위치에 착지하게 되면, 설정부(22)는 가상의 골프공(VB)의 착지 위치가 제1 영역(T1), 제2 영역(T2), 제3 영역(T3)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체크하고 이에 따라 적정 포인트를 부여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골프공(VB)이 제1 영역(T1)에 착지하는 경우에는 '-1' 포인트를 부여하고 사용자에게 연습 타격의 결과가 '버디(Birdie)'임을 알려줄 수 있다. 가상의 골프공(VB)의 착지 위치가 제1 내지 제3 영역(T1~T3)을 벗어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실격 처리를 하거나 또는 일괄적으로 제3 영역(T3) 보다 낮은 특정 포인트(예를 들면, 더블 보기에 해당하는 '+2' 포인트나 트리플 보기에 해당하는 '+3' 포인트 등)를 부여하는 방식 등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타깃(T) 주위에 양궁의 과녁과 같이 다양한 영역을 형성하고 각 영역에 따라 포인트를 다르게 부여함으로써, 연습 타격의 결과를 포인트로 수치화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더 높은 포인트를 얻고자 하는 승부욕과 연습 타격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가상 골프 장치에 적용가능한 다른 연습 모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습 모드는 골프공의 타격 위치(타격 전 스크린 속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타깃까지의 거리에 따라 다양한 거리에서 타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프공의 타격 위치에서 타깃까지의 거리가 30yd ~ 110yd인 경우(SHORT SET UP), 120yd인 경우(SHORT), 80yd~160yd인 경우(MIDDLE SET UP), 170yd~250yd인 경우(LONG SET UP)로 구분하여 연습 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거리에 맞추어 단타나 장타 등 자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집중 연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에 복수의 사용자가 특정 항목을 선택하여 함께 플레이하면서 상호간에 연습 타격의 결과를 비교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4명의 사용자 A, B, C, D가 있고 이들이 'MIDDLE SET UP' 항목의 연습 모드를 선택했다고 가정한다. 'MIDDLE SET UP' 항목은 골프공의 타격 위치에서 타깃까지의 거리가 80yd~160yd인 경우이고, 80yd부터 시작해서 일정 거리(예를 들면 10yd)만큼 타깃까지의 거리를 늘려가면서 사용자는 연습 타격을 실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A, B, C, D는 타깃까지의 거리가 80yd인 경우에 각각 1번씩(또는 복수회씩) 타격을 실시하고 각 타격에서의 골프공의 최종 위치에 따라 포인트가 부여된다. 사용자 A, B, C, D가 80yd 거리에서의 타격을 완료하면, 타깃까지의 거리가 90yd로 증가하고 사용자 A, B, C, D는 90yd 거리에서의 연습 타격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160yd가 될 때까지 사용자들이 타격하게 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의 타격 순서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대로 결정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에는 가상 골프 장치에서 임의대로 선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가상 골프 장치에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로그인을 한 순서로 타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각 사용자가 특정 거리에서 연습 타격을 마쳤을 경우에, 해당 연습 타격의 결과인 포인트가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90yd 거리에서 사용자 C가 연습 타격을 마쳤을 경우, 80yd 거리에서의 사용자 A, B, C, D의 타격 결과 포인트 및 90yd 거리에서의 사용자 A, B, C의 타격 결과 포인트가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가상 골프 장치에는 스크린 이외에 키오스크 등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타격 결과 포인트는 상기 키오스크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160yd 거리까지 사용자 A, B, C, D가 모든 연습 타격을 마쳤을 때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yd~160yd 사이의 각 소정 거리에서의 타격 결과 포인트와 이들을 합산한 총 포인트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자 B가 최종 합산 포인트 '-1'로서 가장 좋은 성적이고 사용자 C가 최종 합산 포인트 '+3'으로서 가장 나쁜 성적이다. 이와 같이, 연습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연습 타격을 하였을 때에 그 결과가 합산 포인트로 나오기 때문에, 복수의 사용자 사이에서 연습 타격의 결과에 대해 승부를 겨룰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연습 모드는 명목상으로는 '연습 타격'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실질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사이에 골프공을 타격하여 승부를 가르는 새로운 룰의 플레이 방식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정식 골프 플레이는 18홀 플레이로 진행하는데, 18홀을 플레이하는 시간이 상당히 걸려서 간단하게 승부를 겨루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전체 플레이 시간이 너무 길어서 1경기를 정식으로 플레이하기가 부담스럽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연습 모드에서 제공하는 플레이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비교적 짧은 시간에 승부를 겨루면서 골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1의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연습 모드의 플레이 옵션을 선택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크린에는 사용자가 연습 모드에서 여러가지 플레이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다(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가상 골프 장치에는 스크린 이외에 키오스크 등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플레이 옵션 등의 메뉴는 상기 키오스크에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 옵션으로서 계절 조건이나 바람 조건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계절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고, 또는 선택 항목에 랜덤 항목이 추가되어 랜덤 항목 선택시에 계절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어느 하나가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바람 조건은 바람이 불지 않는 경우(없음 항목)와 바람이 부는 경우로 구분되고,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그 강도에 따라 약하게, 중간, 강하게 등의 세부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바람 조건의 선택 항목에는 랜덤 항목이 추가되어 랜덤 항목 선택시에 바람은 없음, 약한 바람, 중간 바람, 강한 바람 중 어느 하나가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계절 조건의 선택 항목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이외에 초여름, 한여름, 늦여름 등과 같이 각 계절을 더욱 세분화하여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 조건의 선택 항목도, 바람의 강도를 '1~3m/s', '3~5m/s' 등과 같이 구체적인 수치로 세분화하여 선택하도록 하거나 또는 바람의 강도 이외에 바람의 방향(동풍/서풍/남풍/북풍 또는 순방향/역방향 등)까지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계절 조건을 선택하면 그 결과는 연습 모드에 다양하게 반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계절에 따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이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할 때에 있어서의 산출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계절을 선택함에 따라 동일한 골프장이라 하더라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봄을 선택한 경우에 스크린의 골프장 풍경에는 봄에 피는 벗꽃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되고, 여름을 선택한 경우에 스크린의 골프장 풍경에는 더운 지방에서 자라는 야자나무가 디스플레이되고, 가을을 선택한 경우에 스크린의 골프장 풍경에는 단풍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되고, 겨울을 선택한 경우에 스크린의 골프장 풍경에는 눈이 쌓인 모습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9는 계절 선택결과가 적용되어 있는 스크린 화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것이며, 계절 선택에 따른 골프장 모습의 차이는 도면에 예시된 것과 다르게 여러가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스크린 속 골프장이 실제 골프장을 모델로 하는 경우, 해당 골프장의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실제의 풍경을 스크린에 표현하거나 또는 해당 골프장의 모습에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나타내는 가상의 이미지를 추가하여 스크린에 표현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계절에 따른 골프장 모습의 차이를 스크린에 보여줄 수 있다.
계절 선택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할 때에 있어서의 산출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면, 골프공은 소정 거리를 비행한 후 골프장의 지면에 닿게 되며, 골프공은 지면에 닿은 후 바로 멈추지 않고 보통은 수 회 정도 바운드 되면서 굴러간 후에 멈추게 된다. 여기에서 골프공이 타격된 후 비행하여 처음에 떨어진 지면까지의 거리를 '캐리'라 하고 골프공이 최초 지면에 닿은 후 바운드되면서 굴러간 거리를 '런'이라고 하면,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궤적은 캐리와 런을 포함한다. 상기 궤적에 있어서 런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는 골프공이 골프장의 지면에 바운드되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바운드가 잘 될수록 골프공이 보다 멀리 굴러갈 수 있다.
계절에 따라 골프장의 지면 상태가 달라지고, 골프장의 지면 상태에 따라 상기 바운드 정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가상 골프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연습 모드에서 플레이 옵션으로서 계절을 선택한 경우, 계절에 따른 골프장의 지면 상태를 고려하여 이를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할 때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타격이더라도 어느 계절을 선택하는지에 따라 골프공의 궤적을 다르게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장의 지면 상태가 상대적으로 덜 굳어 있는 경우의 궤적을 제1 궤적(S1)이라고 하고 골프장의 지면 상태가 더 굳어 있는 경우의 궤적을 제2 궤적(S2)이라고 하면, 제1 및 제2 궤적(S1, S2)은 '캐리'에 해당하는 구간(C1, C2)에서는 궤적이 동일하지만, '런'에 해당하는 구간(R1, R2)에서는 지면이 굳어 있어서 바운드가 잘되는 골프공이 더 멀리 굴러가도록 궤적이 산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궤적(S2)이 제1 궤적(S1)에 비하여 런의 거리가 증가하게 될 수 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비교하면, 지면의 굳기는 여름, 봄/가을, 겨울의 순서로 증가하며, 특히 겨울에는 얼음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계절에 비하여 골프공의 바운드 효과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여기에서 바운드의 증가가 반드시 비거리 증가라는 긍정적인 효과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바운드가 크게 증가함으로써 골퍼가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골프공이 튀어나가는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상기 바운드 효과는 계절 선택의 결과가 골프공의 궤적 산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하나의 예를 든 것이며, 계절 선택의 결과가 골프공의 궤적 산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요소도 있을 수 있고, 상기한 다른 요소들도 골프공의 궤적 산출에 반영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바람 조건을 선택하면 그 결과는 연습 모드에 다양하게 반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바람 조건에 따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이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할 때에 있어서의 산출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연습 모드에서 바람이 부는 것으로 바람조건의 플레이 옵션을 선택한 경우, 스크린의 화면에 제1 내지 제3 영역(T1, T2, T3)과 함께 목표지점인 타깃(T)이 디스플레이될 때에 상기 화면에는 선택한 바람조건에 따라 바람이 부는 모습이 추가된다. 상기 바람이 부는 모습은 시각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이 부는 것을 특정 대상에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깃(T)을 나타내는 홀컵에 배치되는 깃발이 펄럭이는 모습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여 바람이 부는 모습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풍속이 강할수록 깃발이 강하게 펄럭이도록 애니메이션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풍속뿐만 아니라 풍향까지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깃발의 애니메이션은 상기 풍향까지 반영하여 표현될 수 있다.
바람조건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에 이는 스크린의 표시 화면뿐만 아니라 연습 타격에서의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바람이 없는 상황에서 연습 타격 후의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이 V1(속도), φ1(방위각), θ1(상하각)이라면, 바람이 부는 조건이 선택된 경우에는 선택조건에 따라 상기 파라미터 값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고(V1→V2, φ1→φ2, θ1→θ2), 변경된 파라미터 값에 근거하여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한다. 상기 파라미터를 어떻게 변경할 것인지는 바람조건의 선택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골프공이 비행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바람조건을 선택한 경우에, 바람이 골프공이 비행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불면서 골프공이 나아가는 것을 방해한다고 가정하여 골프공이 비행하는 속도가 작아지도록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속도의 감소량은 풍속을 어느 정도로 선택했느냐에 따라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속도, 방위각, 상하각 이라는 3가지 물리적 파라미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단순화하여 설명한 것일 뿐이며,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데에는 골프공의 스핀값 등과 같은 여러가지 다른 물리적 파라미터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3가지 파라미터 중 일부 파라미터를 생략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산출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선택된 바람조건을 골프공의 궤적 산출에 반영함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파라미터값을 변경하여 궤적을 산출하는 방식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값을 변경하지 않고 궤적을 산출한 후에 선택된 바람조건에 따라 산출 궤적에 따른 비거리를 소정의 거리만큼 줄이거나 늘리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계절, 바람조건 등과 같은 플레이 옵션 항목을 선택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플레이 옵션으로서 계절이나 바람 이외의 다른 항목을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에서의 타격의 종류,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지형의 종류, 플레이가 진행되는 시기, 골프공을 타격할 때 사용되는 골프클럽 등에 대해서도 플레이 옵션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골프에 있어서의 타격 종류는 티샷, 어프로치샷, 퍼팅 등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티샷은 골프코스에서의 최초의 타격을 의미하고, 어프로치샷은 세컨드샷 이후의 타격 중에서 홀컵과의 직선 거리가 30m 이상인 경우의 타격을 의미하며, 퍼팅은 골프공이 그린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골프공을 굴리는 타격을 의미할 수 있다. 골프공의 타격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타격 방식과 궤적 산출 방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연습 모드의 플레이 옵션으로 타격 종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골프코스에 있어서의 지형은 페어웨이, 러프, 벙커, 그린 등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페어웨이는 통상의 잔디영역으로 골프코스에서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고, 러프는 페어웨이 보다 긴 잔디로 구성되어 있어서 페어웨이에 비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기 어려운 영역이며, 벙커는 모래로 되어 있는 영역이고, 그린은 골프의 최종 목표지점인 홀컵이 배치되어 있는 잔디 영역이다. 이와 같이 골프코스의 지형에 따라 지형의 구성과 타격 난이도, 궤적 산출 방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연습 모드의 플레이 옵션으로 골프코스에 있어서 지형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골프 플레이가 진행되는 시기로는 아침, 점심, 저녁 등이 있을 수 있다. 골프 플레이의 진행 시간대에 따라 잔디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량에 차이가 있어서, 특히 퍼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수분이 적은 경우에 퍼팅된 골프공이 굴러가는 속도는 수분이 많은 경우에 퍼팅된 골프공이 굴러가는 속도에 비하여 빠르다. 아침, 점심, 저녁 시간을 비교하면, 그린 영역 잔디의 수분량은 점심때가 적고 아침, 저녁에는 수분량이 증가한다. 상기한 특성을 반영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대에 따라 퍼팅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함에 있어서 골프공이 굴러가는 속도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프 플레이의 진행 시간대에 따라 퍼팅 등에 있어서의 궤적 산출 방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연습 모드의 플레이 옵션으로 골프 플레이의 진행 시간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골프공을 타격할 때 사용되는 골프클럽으로는 우드, 아이언, 퍼터 등이 있을 수 있고, 어떠한 골프클럽으로 타격하는지에 따라 사용자의 타격 방식과 궤적 산출 방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연습 모드의 플레이 옵션으로 골프클럽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연습 모드에서 다양한 플레이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여러가지 조건을 조합하면서 실제 골프에서 경험할 수 있는 여러가지 상황을 가상으로 설정하여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복수의 개인 부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각 개인 부스(101, 102, 103)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개인 부스(101)는 타격 플레이트(101a), 키오스크 화면이 구비된 시뮬레이터 기기(101b), 스크린(101c) 등을 가지고 있고, 다른 개인 부스(102, 103)도 동일한 구성품을 가지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 개인 부스(101, 102, 103)에는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등을 비롯한 다른 기기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주로 혼자서 골프를 플레이 하기 위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 개인 부스(101, 102, 103)에서 다른 사용자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혼자만의 골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시뮬레이터 기기(101b)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설정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부를 통하여 연습 모드를 선택하고 원하는 조건에서 자신의 맞춤형으로 연습 타격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연습 모드 설정 행위를 위한 메뉴가 표시되는 화면은 스크린(101c) 및 시뮬레이터 기기(101b)의 키오스크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14는 복수의 가상 골프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저장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도 14의 시스템에서 연습 모드의 플레이 옵션을 선택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상 골프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 및 서버유닛(2)을 포함한다. 스크린 골프장(1)에는 스크린 골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13 등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가상 골프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스크린 골프장(1)에 구비된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서버유닛(2)과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각 스크린 골프장(1)은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에게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의 역할을 한다. 서버유닛(2)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을 운영하는 서비스 업자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에 구비되어 있는 가상 골프 장치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중앙서버가 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먼저 로그인을 수행하는데, 서버유닛(2)은 로그인을 할 때에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유닛(2)에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3)가 구비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저장부(3)에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각 사용자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A, B 등이 있다고 가정하면, 저장부(3)에는 사용자 A에 대한 저장영역(P1), 사용자 B에 대한 저장영역(P2)이 서로 구분되어 있고, 각 사용자에 대한 저장영역에는 신상정보, 플레이 정보, 설정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신상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로그인 과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 정보로는 해당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이나 과거 플레이 기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용자의 개인기록(클럽별 평균비거리, 평균타수 등)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사항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과거 플레이 하였던 골프장, 플레이 난이도, 플레이 방식, 선호하는 동작조건 등을 설정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매번 플레이할 때마다 각종 선택사항을 입력하는 것을 귀찮게 생각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선택사항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사항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각 스크린 골프장(1)의 가상 골프 장치에도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설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설정부를 이용하여 연습 모드를 선택하고 다양한 상황하에서 연습 타격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설정부는 개별 스크린 골프장(1) 대신에 서버유닛(2)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스크린 골프장(1)에서 플레이 옵션을 선택할 때에 사용자는 과거의 플레이 기록에서 특정 요건을 만족하는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람조건을 선택함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조건을 선택하는 메뉴에는 '최고 기록(및/또는 최저 기록)'이라는 선택 항목이 추가될 수 있다. 최고 기록이란 사용자가 해당 연습 모드에서 플레이할 때에 가장 좋은 기록이 나왔던 바람조건과 동일한 바람조건을 의미한다. 바람은 스크린 골프 플레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바람조건에 따라 플레이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연습 모드의 플레이 옵션에 최고 기록 또는 최저 기록의 선택 항목이 있다면, 스크린 골프 사용자는 자신이 어떠한 바람 조건에서 가장 좋은 기록이 나오는지 또는 어떠한 바람 조건에서 가장 나쁜 기록이 나오는지 등에 대해 체크하고 해당 조건에서 연습하면서, 자신의 장점은 유지하고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골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저장부(3)에 각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별 저장 영역(P1, P2...)에는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에 대한 플레이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 정보를 이용하면 상기 '최고 기록(및/또는 최저 기록)'에 해당하는 바람조건을 얻을 수 있다. 최고 기록(및/또는 최저 기록)'에 해당하는 바람조건에 있어서, 최고 기록(및/또는 최저 기록)의 근거 자료는 사용자 자신의 플레이 기록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습 모드의 특정 골프 코스에서 플레이한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플레이 기록을 반영하여 평균적으로 최고 기록이나 최저 기록이 나왔을 때의 바람조건을 산출하여, 해당 바람조건을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6에는 바람조건에서 '최고 기록(및/또는 최저 기록)'의 항목이 제공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계절이나 기타 플레이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다른 조건에 대해서도 '최고 기록(및/또는 최저 기록)'의 항목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3)에 다양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됨으로써, 서버유닛(2)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린 골프장(1)의 가상 골프 장치들은 서버유닛(2)에 유선 및/또는 무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장부(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함께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스크린 골프장(1) 각각에서는 사용자의 정보를 별도로 저장할 필요가 없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플레이 옵션으로서 연습 플레이를 하고 있는 당일의 실제 조건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람 조건을 선택함에 있어서, 선택 메뉴에 '현재 날씨'라는 선택 항목이 추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 하는 당일의 실제의 날씨에서의 바람 조건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사용자 중에서는 스크린 골프를 하더라도 최대한 실외에서 실제 골프를 플레이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갖고 싶은 사용자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가 실제 골프의 리얼리티를 체감할 수 있도록 바람 조건의 선택 항목으로서 '현재 날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스크린 골프장(1)과 서버 유닛(2)이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현재의 날씨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날씨'와 동일한 조건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스크린 골프장
2: 서버유닛
10: 타격 플레이트
20: 제어부
21: 산출부
22: 설정부
30: 감지부
40: 입력부
50: 사운드부
60: 표시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는 표시부;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실제 골프공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사용자에게 상기 실제 골프공의 타격에 대한 연습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습 모드에서는 상기 표시부에 타깃이 표시되고, 또한 사용자가 타격한 실제 골프공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한 위치와 상기 타깃의 위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타격에 대해서 포인트를 부여하며,
    상기 연습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에서의 타격 종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지형 종류, 및 플레이가 진행되는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이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항목 선택의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가상 골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선택은 사용자 자신의 플레이 기록 및/또는 다른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과 관련하여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가상의 골프코스에 타깃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실제 골프공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 결과에 따라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인 후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착지하면,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한 위치와 상기 타깃의 위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타격에 대해서 포인트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에서의 타격 종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지형 종류, 및 플레이가 진행되는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이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산출 단계에서는 상기 항목 선택의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039219A 2021-03-26 2021-03-26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551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19A KR102551371B1 (ko) 2021-03-26 2021-03-26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0230060772A KR20230070422A (ko) 2021-03-26 2023-05-10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19A KR102551371B1 (ko) 2021-03-26 2021-03-26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772A Division KR20230070422A (ko) 2021-03-26 2023-05-10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819A KR20220134819A (ko) 2022-10-06
KR102551371B1 true KR102551371B1 (ko) 2023-07-05

Family

ID=835971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219A KR102551371B1 (ko) 2021-03-26 2021-03-26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0230060772A KR20230070422A (ko) 2021-03-26 2023-05-10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772A KR20230070422A (ko) 2021-03-26 2023-05-10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13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54358A1 (en) * 2017-08-17 2019-02-21 Kheva Bennrubi Par Method of Playing Target Golf With Limited Flight Ball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719B1 (ko) * 2017-11-21 2020-05-12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42219B1 (ko) * 2018-02-09 2021-12-22 아틸런 주식회사 골프 실력 평가 및 향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54358A1 (en) * 2017-08-17 2019-02-21 Kheva Bennrubi Par Method of Playing Target Golf With Limited Flight B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819A (ko) 2022-10-06
KR20230070422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5417B (zh) 螢幕高爾夫系統、實現於螢幕高爾夫系統的高爾夫資訊服務方法、用於高爾夫資訊服務的移動終端的控制方法及存儲根據該方法的程式的電腦可讀存儲介質
US10843056B2 (en) Golf simulating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a golf game partially in a golf simulator and partially on a golf course
US20100099473A1 (en) Game device,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control program
US20080268952A1 (en) Gam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me played by multiple players to compete against one another
US20070060409A1 (en) Golf gam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551371B1 (ko)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442476B1 (ko) 골프 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551375B1 (ko) 플레이 타이밍을 선택하는 가상 골프 장치
JP7198795B2 (ja) 飛距離を調整する仮想ゴルフ装置
US20220176227A1 (en) Virtual golf device, virtual golf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irtual golf device
KR102644005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451272B1 (ko) 사용자의 플레이 옵션을 설정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617566B1 (ko) 홀컵 주변 영역을 보여주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565110B1 (ko) 퍼팅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509930B1 (ko) 골프공의 타격을 평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284901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20240037404A (ko)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시스템
KR20230132003A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20240060560A (ko) 콘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JP2023157002A (ja) ゴルフコースを評価する仮想ゴルフ装置
KR20230020076A (ko) 사용자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20230132004A (ko) 좌우타격이 가능한 가상 골프 장치
KR20240057491A (ko) 골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30051778A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골프공의 타격결과를 예측하는 시스템
KR20230112769A (ko) 가상 스포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