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089B1 -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089B1
KR102551089B1 KR1020210048286A KR20210048286A KR102551089B1 KR 102551089 B1 KR102551089 B1 KR 102551089B1 KR 1020210048286 A KR1020210048286 A KR 1020210048286A KR 20210048286 A KR20210048286 A KR 20210048286A KR 102551089 B1 KR102551089 B1 KR 102551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battery case
layer
thickness
typ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7636A (ko
Inventor
김상훈
황수지
강민형
유형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ublication of KR20210127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permeability or siz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실란트층, 가스 배리어층 및 표면 보호층을 포함하는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실란트층은 제1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내층에 형성되고, 상기 표면 보호층은 제2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외층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 배리어층은 상기 표면 보호층 및 상기 실란트층의 사이에 적층되고, 두께가 60㎛ 내지 100㎛이고, 결정립도가 10㎛ 내지 13㎛인 알루미늄 합금 박막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THE POUCH TYPE BATTERY CASE AND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개선되어 성형성이 향상되는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의 종류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P-DVD, MP3P, 휴대폰, PDA, Portable Game Device, Power Tool 및 E-bike 등의 소형 제품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고출력이 요구되는 대형 제품과 잉여 발전 전력이나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력 저장 장치와 백업용 전력 저장 장치에도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전극 활물질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과 음극을 제조하고, 이를 분리막(Separator)의 양 측에 적층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를 형성한다. 그리고 전지 케이스에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고 전해액 주입 후 실링한다.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재질에 따라, 파우치 형(Pouch Type) 및 캔 형(Can Type) 등으로 분류된다. 파우치 형(Pouch Type)은 유연한 폴리머 재질로 제조된 파우치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다. 그리고, 캔 형(Can Type)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조된 케이스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다.
파우치 형 이차 전지의 케이스인 파우치는, 유연성을 가지는 파우치 필름 적층체에 프레스 가공을 수행하여, 컵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리고, 컵부가 형성되면, 상기 컵부의 수용 공간에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고 실링부를 실링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한다.
이러한 프레스 가공 중에서 드로잉(Drawing) 성형은 프레스 장비에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삽입하고 펀치로 파우치 필름 적층체에 압력을 인가하여,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연신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며, 그 중에 내부에 위치한 가스 배리어층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그런데, 종래의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컵부의 깊이를 더욱 깊게 성형하는데 한계가 있고, 컵부의 바닥부 모서리와 개방부 모서리에 필렛팅(Filleting, 모깎기)을 적용할 때, 필렛팅의 반경을 감소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컵부의 외벽을 수직에 가깝게 성형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이차 전지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증가하고 전극 조립체의 크기가 감소하여 부피 대비 에너지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개선되어 성형성이 향상되는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는, 양극, 분리막,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이며, 상기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는, 제1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내층에 형성되는 실란트층; 제2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외층에 형성되는 표면 보호층; 및 상기 표면 보호층 및 상기 실란트층의 사이에 적층되고, 두께가 60㎛ 내지 100㎛이고, 결정립도가 10㎛ 내지 13㎛인 알루미늄 합금 박막으로 형성되는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은, 철을 1.2 wt% 내지 1.7 wt%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은, 철을 1.3 wt% 내지 1.7 wt%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은, 실리콘을 0.2 wt%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은, 결정립도가 10.5㎛ 내지 12.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은, 합금번호 AA802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배리어층은, 두께가 70㎛ 내지 9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란트층은, 두께가 가스 배리어층 두께의 0.6배 내지 1.2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0㎛ 내지 9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보호층은, 두께가 6㎛ 내지 2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폴리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폴리머로 제조되고, 상기 표면 보호층 및 상기 가스 배리어층 사이에 적층되는 연신 보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신 보조층은, 두께가 20㎛ 내지 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폴리머는, 나일론(Nyl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총 두께는 180㎛ 이상, 바람직하게는 180 ㎛ 내지 2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15 mm × 80 mm의 크기로 재단한 후, 50mm/min의 인장 속도로 잡아당기면서 측정한 인장강도가 200N/15mm 내지 300N/15mm이고, 연신율이 105%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양극, 분리막,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전지 케이스는, 제1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내층에 형성되는 실란트층; 제2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외층에 형성되는 표면 보호층; 및 상기 표면 보호층 및 상기 실란트층의 사이에 적층되고, 두께가 60㎛ 내지 100㎛이고, 결정립도가 10㎛ 내지 13㎛인 알루미늄 합금 박막으로 형성되는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는 가스 배리어층으로 특정한 두께 및 결정립도를 가지는 알루미늄 합금 박막을 포함하는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사용함으로써,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인장강도, 연신율 및 인성(Toughness)을 향상시켰다. 상기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이용하면, 컵부 성형 시에 핀 홀(Pinhole)이나 균열 발생 없이 성형 깊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컵부 모서리의 곡률 반경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전지 조립체의 수용 공간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천공 강도가 우수하여, 외부로부터 큰 압력을 받거나 첨예한 물체에 찔려 파손되더라도, 내부의 전극 조립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합금번호 AA8079인 알루미늄 합금과 합금번호 AA8021인 알루미늄 합금의 철 및 실리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합금번호 AA8079인 알루미늄 합금과 합금번호 AA8021인 알루미늄 합금의 인장강도, 연신율 및 결정립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합금번호 AA8021인 알루미늄 합금 박막과, 비교예 3에서 사용된 합금번호 AA8079인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결정립을 확대한 SEM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에 대하여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에 대하여 천공 강도를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의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의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개선됨으로써 인성(Toughness)이 증가하여,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을 성형하여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3)를 제조할 때, 성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천공 강도가 우수하여, 외부로부터 큰 압력을 받거나 첨예한 물체에 찔려 파손되더라도, 내부의 전극 조립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3)는 양극, 분리막,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10)를 수납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3)이며, 제1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내층에 형성되는 실란트층(1351); 제2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외층에 형성되는 표면 보호층(1353); 및 상기 표면 보호층(1353) 및 상기 실란트층(1351)의 사이에 적층되고, 두께가 60㎛ 내지 100㎛이고, 결정립도가 10㎛ 내지 13㎛인 알루미늄 합금 박막으로 형성되는 가스 배리어층(1352)을 포함하는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는 양극, 분리막,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10); 및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수납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3)를 포함하되, 상기 전지 케이스(13)는, 제1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내층에 형성되는 실란트층(1351); 제2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외층에 형성되는 표면 보호층(1353); 및 상기 표면 보호층(1353) 및 상기 실란트층(1351)의 사이에 적층되고, 두께가 60㎛ 내지 100㎛이고, 결정립도가 10㎛ 내지 13㎛인 알루미늄 합금 박막으로 형성되는 가스 배리어층(1352)을 포함하는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0)는 양극, 분리막, 음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다. 먼저 전극 활물질과 바인더 및 도전재 등을 혼합한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과 음극을 제조하고, 이를 분리막(Separator)의 양 측에 적층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전극 조립체(10)를 형성한 다음에, 전극 조립체(10)를 전지 케이스(13)에 삽입하고 전해액 주입 후 실링한다.
구체적으로,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 10)는 양극 및 음극 등 두 종류의 전극과, 상기 전극들을 상호 절연시키기 위해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10)는 스택형, 젤리롤형, 스택 앤 폴딩형 등이 있다. 두 종류의 전극, 즉 양극과 음극은 각각 알루미늄과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포일 또는 금속 메쉬 형태의 전극 집전체에 활물질 슬러리가 도포된 구조이다. 활물질 슬러리는 통상적으로 입상의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등을 용매가 첨가된 상태에서 교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용매는 후속 공정에서 제거된다.
전극 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탭(Electrode Tab, 11)을 포함한다. 전극 탭(11)은 전극 조립체(10)의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연결되고, 전극 조립체(10)로부터 일측 외부로 돌출되어, 전극 조립체(1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된다. 전극 조립체(10)의 집전체는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부분과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말단 부분, 즉 무지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극 탭(11)은 무지부를 재단하여 형성되거나 무지부에 별도의 도전부재를 초음파 용접 등으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극 탭(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의 일측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전극 조립체(10)의 전극 탭(11)에는 전극 리드(Electrode Lead, 12)가 스팟(Spot) 용접 등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전극 리드(12)의 일부는 절연부(14)로 주위가 포위된다. 절연부(14)는 전지 케이스(13)의 제1 케이스(131)와 제2 케이스(132)가 열융착되는 실링부(134)에 한정되어 위치하여, 전극 리드(12)를 전지 케이스(13)에 접착시킨다. 그리고, 전극 조립체(10)로부터 생성되는 전기가 전극 리드(12)를 통해 전지 케이스(13)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전지 케이스(13)의 실링을 유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절연부(14)는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비전도성을 가진 부도체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절연부(14)로는, 전극 리드(12)에 부착하기 용이하고, 두께가 비교적 얇은 절연테이프를 많이 사용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극 리드(12)를 절연할 수 있다면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전극 리드(12)는 일단이 상기 전극 탭(11)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지 케이스(13)의 외부로 각각 돌출된다. 즉, 전극 리드(12)는 양극 탭(111)에 일단이 연결되고, 양극 탭(111)이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극 리드(121) 및 음극 탭(112)에 일단이 연결되고, 음극 탭(112)이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음극 리드(122)를 포함한다. 한편, 양극 리드(121) 및 음극 리드(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타단이 전지 케이스(13)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럼으로써, 전극 조립체(10)의 내부에서 생성된 전기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양극 탭(111) 및 음극 탭(112)이 각각 다양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므로, 양극 리드(121) 및 음극 리드(122)도 각각 다양한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양극 리드(121) 및 음극 리드(122)는 서로 그 재질이 다를 수 있다. 즉, 양극 리드(121)는 양극 집전체와 동일한 알루미늄(Al) 재질이며, 음극 리드(122)는 음극 집전체와 동일한 구리(Cu) 재질 또는 니켈(Ni)이 코팅된 구리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전지 케이스(13)의 외부로 돌출된 전극 리드(12)의 일부분은 단자부가 되어,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지 케이스(13)는 유연성의 재질로 제조된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이하, 전지 케이스(13)는 파우치인 것으로 설명한다. 전지 케이스(13)는 전극 리드(12)의 일부, 즉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고 실링된다. 이러한 전지 케이스(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31)와 제2 케이스(132)를 포함한다. 제2 케이스(132)에는 컵부(133)가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331)이 마련되고, 제1 케이스(131)는 상기 전극 조립체(10)가 전지 케이스(13)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 공간(1331)을 상부에서 커버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31)에도 수용 공간(1331)이 마련된 컵부(133)가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0)를 상부에서 수용할 수도 있다. 제1 케이스(131)와 제2 케이스(1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별도로 제조되는 등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의 전극 탭(11)에 전극 리드(12)가 연결되고, 전극 리드(12)의 일부분에 절연부(14)가 형성되면, 제2 케이스(132)의 컵부(133)에 마련된 수용 공간(1331)에 전극 조립체(10)가 수용되고, 제1 케이스(131)가 상기 공간을 상부에서 커버한다. 그리고,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제1 케이스(131)와 제2 케이스(132)의 테두리에 형성된 실링부(134)를 실링한다. 전해액은 이차 전지(1)의 충, 방전 시 전극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리튬염과 고순도 유기 용매류의 혼합물인 비수질계 유기 전해액 또는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파우치 형 이차 전지(1)가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형 이차 전지(1)의 전지 케이스(13)는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를 드로잉(Drawing) 성형하여 제조된다. 즉,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를 펀치 등으로 연신시켜 컵부(133)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란트층(Sealant Layer, 1351), 가스 배리어층(Gas Barrier Layer, 1352), 표면 보호층(Surface Protection Layer, 1353)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연신 보조층(Drawing Assistance Layer, 13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트층(1351)은 제1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내층에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여기서 최내층이란, 상기 가스 배리어층(1352)을 기준으로 전극 조립체(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향할 때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층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적층 구조의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를, 펀치 등을 이용하여 드로잉(Drawing) 성형하면, 일부가 연신되어 주머니 형태의 수용 공간(1331)을 포함하는 컵부(133)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용 공간(1331)에 전극 조립체(10)가 내부에 수용되면 전해액을 주입한다. 그 후에 상부 파우치(131)와 하부 파우치(132)를 서로 접촉시키고, 실링부(134)에 열 압착을 하면 실란트층(1351)끼리 접착됨으로써 파우치가 실링된다. 이 때, 실란트층(1351)은 전극 조립체(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절연성을 가져야 하며, 전해액과도 접촉하므로 내식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내부를 완전히 밀폐하여 내부 및 외부간의 물질 이동을 차단해야 하므로, 높은 실링성을 가져야 한다. 즉, 실란트층(1351)끼리 접착된 실링부(134)는 우수한 열 접착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실란트층(1351)을 제조하는 제1 폴리머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셀룰로오스, 아라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파라페닐렌벤조비스옥사졸, 폴리아릴레이트, 테프론, 및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주로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사용된다. 폴리프로필렌(PP)은 인장강도, 강성,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열성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식성 등의 화학적 물성이 뛰어나, 실란트층(1351)을 제조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나아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ated Polypropylene) 또는 산처리된 폴리프로필렌(Acid Modified Polyprop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부틸렌-에틸렌 삼원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산처리된 폴리프로필렌은 MAH PP(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또한, 실란트층(1351)은,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구조를 갖거나, 2개 이상의 물질이 각각 층을 이루어 형성된 복합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실란트층(1351)의 두께는 후술할 가스 배리어층 두께의 0.6배 내지 1.2배, 바람직하게는 0.7배 내지 1.1배, 더 바람직하게는 0.8배 내지 1.1배일 수 있다. 실란트층의 두께가 가스 배리어층 두께의 0.6배 미만인 경우에는 실링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파우치 총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성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절연성 확보를 위해서는 실란트층(1351)의 두께가 가스 배리어층 두께의 0.8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란트층(1351)의 두께는, 30㎛ 내지 9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일 수 있다. 실란트층(1351)의 두께가 30㎛ 미만인 경우, 실링시 내부가 파괴되는 등 실링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90㎛ 를 초과할 경우 파우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져 성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전지 에너지 밀도(부피 당 에너지)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절연성 확보를 위해서는 실란트층(1351)의 두께가 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런트층의 두께가 작을 경우,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절연파괴전압이 낮아져 절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절연성이 떨어지는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이용하여 전지를 제조할 경우, 불량율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가스 배리어층(1352)은 표면 보호층(1353) 및 실란트층(1351)의 사이에 적층되어 파우치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고, 이차 전지(1) 외부의 가스 또는 수분 등의 출입을 차단하며, 전해액의 누수를 방지한다.
가스 배리어층(1352)은 알루미늄 합금 박막으로 제조되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리어층(1352)은 두께가 60㎛ 내지 100㎛이고, 결정립도가 10㎛ ~ 13㎛인 알루미늄 합금 박막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 박막은 소정 수준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무게가 가볍고 전극 조립체(10)와 전해액에 의한 전기 화학적 성질에 대한 보완 및 방열성 등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 박막은 두께가 6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이고, 결정립도가 10㎛ ~ 13㎛ 바람직하게는 10.5㎛ ~ 12.5㎛, 더 바람직하게는 11㎛ ~ 12㎛일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두께 및 결정립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컵 성형 시에 핀 홀(Pinhole)이나 균열 발생 없이 성형 깊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가스 배리어층(1352)의 두께를 3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가스 배리어층의 두께가 30㎛ 내지 50㎛인 경우,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를 드로잉 성형하더라도, 컵부(133)의 깊이가 깊어지거나 컵부(133)의 외벽을 수직에 가깝게 성형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컵부(133) 모서리의 필렛팅 곡률 반경을 감소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천공 강도가 약하여 전지 케이스(13)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내부의 전극 조립체(10)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가스 배리어층(1352)의 두께를 60㎛ 내지 100㎛, 특히 70㎛ 내지 90㎛로 형성하였다. 가스 배리어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가스 배리어층(1352)의 성형성이 향상되어,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을 드로잉 성형할 때 컵부(133)의 깊이가 깊게 형성될 수 있고, 컵부(133)의 외벽을 수직에 가까워지며 컵부(133) 모서리의 곡률 반경도 감소할 수 있다. 그러면, 수용 공간(1331)의 부피가 증가하므로, 내부에 수납되는 전극 조립체(10)에 전극 및 분리막을 더욱 많이 적층할 수 있고, 부피 대비 에너지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다만, 만약 가스 배리어층(1352)의 두께가 100㎛ 보다 두껍다면, 파우치 전체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지므로, 오히려 이차 전지(1)의 부피 대비 에너지 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배리어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의 천공 강도가 향상되어, 외부로부터 큰 압력을 받거나 첨예한 물체에 찔려 파손되더라도, 내부의 전극 조립체(10)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강도가 우수하다는 것은, 파우치 필름 적층체(135)에 홀을 천공할 때의 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단순히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두께만 증가시킬 경우, 성형 깊이는 증가시킬 수 있으나, 성형 후에 알루미늄 합금 박막에 핀홀이나 크랙이 발생하여 밀봉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결정립도가 10㎛ 내지 13㎛인 알루미늄 합금 박막을 적용할 경우, 성형 깊이가 증가하여도 핀홀이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결정립도가 13㎛를 초과할 경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강도가 떨어져 성형 시에 크랙이나 핀홀 발생이 증가하였으며, 결정립도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유연성이 떨어져 성형성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한편, 상기 결정립도는,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조성 및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가공 방법에 따라 달라지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두께 방향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관측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두께 방향 단면 SEM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SEM 이미지에서 관찰되는 결정립 중 임의의 30개의 결정립의 최대 지름을 측정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결정립도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 박막에는 알루미늄 이외의 금속 원소, 예를 들어, 철(Fe), 구리(Cu), 크롬(Cr), 망간(Mn), 니켈(Ni), 마그네슘(Mg), 실리콘(Si) 및 아연(Z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철(Fe) 함유량은 1.2wt% 내지 1.7wt%, 바람직하게는 1.3wt% 내지 1.7wt%, 더 바람직하게는 1.3wt% 내지 1.45wt%일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 박막 내의 철(Fe) 함유량이 1.2wt% 미만인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강도가 저하되어 성형 시에 크랙 및 핀홀이 발생할 수 있으며, 1.7wt%를 초과할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유연성이 떨어져 성형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실리콘(Si) 함유량은 0.2wt%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wt%, 더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19wt%,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18wt%일 수 있다. 실리콘 함유량이 0.2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 박막은 합금번호 AA8021인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도 3은 종래에 전지용 파우치에 주로 사용되었던 합금번호 AA8079인 알루미늄 합금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합금번호 AA8021인 알루미늄 합금의 철 및 실리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금번호 AA8079는 철을 0.6 wt% 내지 1.2 wt% 포함하고, 실리콘은 0.05 ~ 0.3 wt%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에 철이 많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철이 적게 함유되는 경우에는 유연성이 향상된다. 합금번호 AA8079의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철이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되고, 이를 이용하여 가스 배리어층(1352)을 제조할 경우 유연성이 향상될 수는 있으나 강도가 저하되어 성형성에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반면에 합금번호 AA80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을 1.2 wt% 내지 1.7 wt%, 특히 1.3 wt% 내지 1.7 wt% 포함하고, 실리콘을 0.05 내지 1.9wt%, 특히 0.08 ~ 0.19wt%로 포함한다. 이러한 합금번호 AA8021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가스 배리어층(1352)을 제조하는 경우, 철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되므로,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연신율(Elongation Rate) 및 천공 강도(Puncture Strength)가 개선될 수 있다.
도 4에는 합금번호 AA8079인 알루미늄 합금과 합금번호 AA8021인 알루미늄 합금의 인장강도(Rm), 연신율(A) 및 결정립도(grain size)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A8079는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작아 성형성 증가에 한계가 있으며, 결정립도가 13㎛ 내지 21㎛로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연신될 때 내부 응력이 덜 분산되어, 핀 홀(Pinhole)이 많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AA8021은 인장 강도 및 연신율이 커 성형성이 우수하고, 결정립도가 10㎛ 내지 13㎛로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연신될 때 내부 응력이 더 많이 분산될 수 있으므로, 핀 홀(Pinhole)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어떤 재료에 인장력을 인가하였을 때, 인장강도와 연신율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그래프의 세로축을 인장강도, 가로축을 연신율이라 하면, 그래프의 아래 면적이 해당 재료의 인성(Toughness)이다. 인성이란, 재료의 파괴에 대한 질긴 정도를 나타내며, 인성이 높을수록 재료가 파괴되지 않을 때까지 더욱 많이 연신될 수 있다. 합금번호 AA8021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가스 배리어층(1352)을 제조하는 경우, 인장강도와 연신율이 개선되므로, 인성(Toughness)이 증가하고 성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표면 보호층(1353)은 제2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외층에 형성되어 외부와의 마찰 및 충돌로부터 이차 전지(1)를 보호하면서, 전극 조립체(10)를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여기서 최외층이란, 상기 가스 배리어층(1352)을 기준으로 전극 조립체(10)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할 때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층을 말한다. 이러한 표면 보호층(1353)을 제조하는 제2 폴리머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셀룰로오스, 아라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파라페닐렌벤조비스옥사졸, 폴리아릴레이트, 테프론 및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특히, 주로 내마모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표면 보호층(1353)은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구조를 가지거나, 2개 이상의 물질이 각각 층을 이루어 형성된 복합막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표면 보호층(1353)의 두께가 6㎛ 내지 25㎛일 수 있다. 만약 표면 보호층(1353)의 두께가 6㎛ 보다 얇다면, 외부 절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만약 표면 보호층(1353)의 두께가 25㎛ 보다 두껍다면, 파우치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오히려 이차 전지(1)의 부피 대비 에너지 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PET는 저렴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나, 상기 가스 배리어층(1352)으로 자주 사용되는 알루미늄과 접착성도 약하고, 응력을 인가하여 연신될 때의 거동도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표면 보호층(1353)과 가스 배리어층(1352)을 직접 접착하면, 드로잉 성형 도중에 표면 보호층(1353)과 가스 배리어층(1352)과 박리될 수도 있다. 그럼으로써, 가스 배리어층(1352)이 균일하게 연신되지 않아,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지 케이스(13)는 제3 폴리머로 제조되고, 표면 보호층(1353) 및 가스 배리어층(1352) 사이에 적층되는 연신 보조층(13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신 보조층(1354)은 표면 보호층(1353) 및 가스 배리어층(1352) 사이에 적층되어, 표면 보호층(1353)과 가스 배리어층(1352)이 연신될 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연신 보조층(1354)을 제조하는 제3 폴리머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셀룰로오스, 아라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파라페닐렌벤조비스옥사졸, 폴리아릴레이트, 테프론 및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특히, 나일론(Nylon) 수지는 표면 보호층(1353)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는 접착이 용이하고, 가스 배리어층(1352)의 알루미늄 합금과는 연신될 때의 거동이 유사하므로, 제3 폴리머로는 주로 나일론(Nylon)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신 보조층(1354)은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구조를 가지거나, 2개 이상의 물질이 각각 층을 이루어 형성된 복합막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배리어층(1352)이 대략 60㎛ 내지 100㎛의 두께를 가지므로, 가스 배리어층(1352)의 성형성이 향상된다. 이 때, 연신 보조층(1354) 또한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신 보조층(1354)은, 2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25㎛ 내지 38㎛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20㎛ 보다 얇다면, 연신 보조층(1354)이 가스 배리어층(1352)의 향상된 성형성을 따르지 못하여, 연신되는 도중에 파손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50㎛ 보다 두껍다면, 파우치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이차 전지(1)의 부피가 증가하고 에너지 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총 두께가 180㎛ 이상,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10㎛일 수 있다.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두께가 180㎛ 이상인 경우에 종래에 비해 컵 성형 깊이를 깊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총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 이차 전지 전체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특정 두께 및 결정립도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 박막을 포함하여 인장 강도 및 연신율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15 mm × 80 mm의 크기로 재단한 후, 50mm/min의 인장 속도로 잡아당기면서 측정한 인장강도가 200N/15mm 내지 300N/15mm, 바람직하게는 210N/15mm 내지 270N/15mm, 더 바람직하게는 220N/15mm 내지 250N/15mm이고, 연신율이 105%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40%, 더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3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인장 강도 및 연신율이 높고, 그로 인해 인성(Toughness)가 증가하여, 컵 성형 시에 성형 깊이가 큰 경우에도 크랙 발생이 적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특정 두께 및 결정립도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 박막을 포함하여 천공 강도가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천공 강도가 30N 이상, 바람직하게는 30N 내지 40N일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폭 266mm, 길이 50m, 두께 80㎛를 가지는 합금번호 AA8021의 알루미늄(Al) 합금 박막의 일면에, 폭 266 mm, 길이 50m, 두께 25㎛를 가지는 나일론 필름, 및 폭 266mm, 길이 50m, 두께 12㎛를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순서대로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접착하여 표면 보호층, 연신 보조층 및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을 고온에서 용융시킨 후 상기 알루미늄(Al) 합금 박막의 타면에 공압출하여 두께 60㎛의 실란트 층을 형성하여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총 두께는 183㎛ 였다.
실시예 2
실란트층을 80㎛ 두께로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총 두께는 203㎛ 였다.
비교예 1
가스 배리어층으로 두께가 40㎛인 합금번호 AA8021의 알루미늄 합금 박막, 연신 보조층으로 두께가 15㎛인 나일론 필름을 사용하고, 실란트층 두께를 80㎛로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총 두께는 153㎛였다.
비교예 2
가스 배리어층으로 두께가 50㎛인 합금번호 AA8021의 알루미늄 합금 박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총 두께는 153㎛였다.
비교예 3
가스 배리어층으로 두께가 80㎛인 합금번호 AA8079의 알루미늄 합금 박막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총 두께는 183㎛ 였다.
비교예 4
가스 배리어층으로 두께가 80㎛인 합금번호 AA8079의 알루미늄 합금 박막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총 두께는 203㎛ 였다.
비교예 5
가스 배리어층으로 두께가 40㎛인 합금번호 AA8079의 알루미늄 합금 박막을 사용하고, 연신 보조층으로 두께가 15㎛인 나일론 필름을 사용하였으며, 실란트층 두께를 80㎛로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총 두께는 153㎛ 였다.
표면 보호층 연신 보조층 가스 배리어층 실런트 층 총 두께
(㎛)
재질 두께
(㎛)
재질 두께
(㎛)
합금번호 두께
(㎛)
재질 두께
(㎛)
실시예 1 PET 12 나일론 25 AA8021 80 CPP 60 183
실시예 2 PET 12 나일론 25 AA8021 80 CPP 80 203
비교예 1 PET 12 나일론 15 AA8021 40 CPP 80 153
비교예 2 PET 12 나일론 25 AA8021 50 CPP 60 153
비교예 3 PET 12 나일론 25 AA8079 80 CPP 60 183
비교예 4 PET 12 나일론 25 AA8079 80 CPP 80 203
비교예 5 PET 12 나일론 15 AA8079 40 CPP 80 153
실험예 1: 결정립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3에서 가스 배리어층으로 사용된 알루미늄 합금 박막 AA8021 및 AA8079의 두께 방향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여 결정립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획득된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두께 방향 단면의 SEM 이미지에서 관찰되는 30개의 결정립의 최대 지름을 측정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5에는 AA8021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SEM 이미지와 AA8079 알루미늄 합금 박막의 SEM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SEM 이미지를 토대로 결정립도를 측정한 결과, AA8021의 결정립도는 11.6㎛, AA8079의 결정립도는 16.8㎛이었다.
실험예 2: 성형성 평가
실시예 1 ~ 2, 비교예 1 ~ 5에서 제조된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각각 90 mm × 150 mm 의 동일한 크기로 재단한 후, 가로 32 mm × 세로 55 mm 크기의 성형부를 가지는 전지 케이스 성형 장치에서 성형 깊이를 변화시키며 성형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샘플들에서 크랙이 발생할 때의 성형 깊이를 기록하였다. 여기서 전지 케이스 성형 장치의 펀치와 성형부는, 코너와 모서리에 필렛팅(Filleting, 모깎기)되었으며, 펀치의 코너는 2 mm, 모서리는 1 mm의 곡률을 가지고, 성형부의 코너는 2.3 mm, 모서리는 1 mm의 곡률을 가졌다. 그리고, 펀치와 성형부의 클리어런스(Clearance)는 0.3 mm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전체 두께(㎛) 183 203 153 153 183 203 153
성형 깊이(mm) 15 15.5 9 12 13 14 8.5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15.0 mm 이상의 깊이까지 성형이 가능한 반면, 가스 배리어층 두께 및/또는 결정립도가 본원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1 ~ 5의 파우치 필름 적층체들은 15.0mm 미만의 성형 깊이에서 크랙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스 배리어층 두께 및 결정립도를 만족하는 경우,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성형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이용하여 전지 케이스를 제조하면, 제2 케이스 및 제1 케이스에 각각 컵부가 하나씩 형성되어, 30 mm 깊이 이상의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더욱 두꺼운 전극 조립체가 수용될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의 부피 대비 에너지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실험예 3: 인장강도 및 연신율 평가
실시예 1 ~ 2, 비교예 1 ~ 5에서 제조된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각각 15 mm × 80 mm 의 동일한 크기로 5 개씩 재단한 후, 인장강도 시험기(제조사: Shimadzu, 모델: AGX-V)의 하부 지그에 각각의 샘플들을 고정하였다. 그리고, 상부 지그로 각각의 샘플들을, 상단으로부터 30 mm 지점까지 고정한 후, 상부 지그를 하부 지그로부터 50 mm/min 속도로 멀어지도록 하여 샘플들을 인장시켰다. 그런 다음, 파우치 필름 적층체 적층체가 파단되기 직전의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인장강도
(N/15mm)
연신율
(%)
인장강도
(N/15mm)
연신율
(%)
인장강도
(N/15mm)
연신율
(%)
인장강도
(N/15mm)
연신율
(%)
1 234 112 249 117 158 101 198 96
2 238 104 246 114 164 127 200 95
3 234 102 244 124 163 113 201 108
4 241 119 249 111 162 108 203 110
5 228 98 251 11 163 120 201 107
평균 235.0 107.0 247.9 115.0 162.0 113.8 200.6 103.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인장강도
(N/15mm)
연신율
(%)
인장강도
(N/15mm)
연신율
(%)
인장강도
(N/15mm)
연신율
(%)
1 222 102 234 113 159 109
2 221 107 227 118 151 105
3 221 103 231 107 158 110
4 216 110 237 108 152 124
5 219 102 232 110 146 109
평균 219.8 104.7 231.9 111.2 153.2 111.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에 대하여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 및 표 3 ~ 4를 통해, 실시예 1 및 2의 파우치 필름 적층체들이 비교예 1 ~ 5의 파우치 필름 적층체에 비해 우수한 인장 강도 및 연신율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인장강도와 연신율 사이의 그래프에서, 아래 면적이 해당 재료의 인성(Toughness)인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그래프 면적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그래프 면적보다 더욱 넓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파우치 필름 적층체가 우수한 인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실험예 4: 천공 강도(Puncture Strength) 평가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5 에서 제조된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각각 90 mm × 80 mm 의 동일한 크기로 10 개씩 재단한 후, 천공 강도 시험기(제조사: Shimadzu, 모델: AGX-V)의 지그에 수평으로 고정하였다. 직경 1.0 mm, 팁의 곡률 0.5 mm인 핀을 상기 설치된 샘플의 상방에, 수직으로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핀을 상기 샘플들에 각각 낙하하여, 샘플들의 천공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천공 강도(N)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1 37.0 37.1 24.5 34.5 35.9 36.5 24.6
2 37.1 38.1 25.0 34.6 35.6 36.4 24.3
3 36.6 37.8 24.4 34.0 35.7 37.0 24.8
4 36.5 37.4 24.8 34.5 35.7 37.3 24.7
5 36.4 37.3 24.0 34.1 35.4 36.9 24.4
6 37.0 38.0 24.6 34.7 36.3 37.5 24.6
7 37.1 37.1 24.3 34.7 35.6 36.7 24.8
8 36.9 37.6 25.2 34.6 35.9 36.3 24.0
9 36.7 37.3 24.4 34.3 36.2 36.5 24.4
10 37.2 37.1 25.2 34.4 35.4 36.9 24.5
평균 36.9 37.5 24.6 34.4 35.8 36.8 24.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에 대하여 천공 강도를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7 및 표 5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파우치 필름 적층체가 비교예 1 ~ 5의 파우치 필름에 비해 우수한 천공강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필름 적층체가 외부로부터 큰 압력을 받거나 첨예한 물체에 찔려 파손되더라도, 내부의 전극 조립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실험예 5: 절연성 평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각각 90 mm × 150 mm 의 동일한 크기로 재단한 후, 60도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드라이룸에서 절연파괴 전압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양측에 두께 5t의 알루미늄 박막을 배치하고, 측정 장치의 (+) 전극을 상기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가스 배리어층에 연결하고, (-)전극을 실런트층에 접촉된 알루미늄 박막에 연결한 후 100V/s 속도로 전압을 인가하면서 측정된 누설 전류가 0.5mA 이상일 때의 인가 전압을 절연파괴 전압으로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회수 실시예 1 실시예 2
1 3868V 4573V
2 3844V 4562V
3 3853V 4533V
평균 3855V 4556V
상기 표 6을 통해, 실런트층의 두께가 80㎛인 실시예 2의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절연 파괴전압이 실런트 층의 두께가 60㎛인 실시예 1의 파우치 필름 적층체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실런트층의 두께가 80㎛일 때, 절연 특성이 더 우수함을 보여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이차 전지 10: 전극 조립체
11: 전극 탭 12: 전극 리드
13: 전지 케이스 14: 절연부
111: 양극 탭 112: 음극 탭
121: 양극 리드 122: 음극 리드
131: 제1 케이스 132: 제2 케이스
133: 컵부 134: 실링부
135: 파우치 필름 적층체 1331: 수용 공간
1351: 실란트층 1352: 가스 배리어층
1353: 표면 보호층 1354: 연신 보조층

Claims (19)

  1. 양극, 분리막,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에 있어서,
    제1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내층에 형성되는 실란트층;
    제2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외층에 형성되는 표면 보호층; 및
    상기 표면 보호층 및 상기 실란트층의 사이에 적층되고, 두께가 60㎛ 내지 100㎛이고, 결정립도가 10.5㎛ 내지 12.5㎛인 알루미늄 합금 박막으로 형성되는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15 mm × 80 mm의 크기로 재단한 후, 50mm/min의 인장 속도로 잡아당기면서 측정한 인장강도가 200N/15mm 내지 300N/15mm이고, 연신율이 105% 내지 150%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은,
    철을 1.2 wt% 내지 1.7 wt%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은,
    철을 1.3 wt% 내지 1.7 wt%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은,
    실리콘을 0.05wt% 내지 0.2 wt%로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합금 박막은,
    합금번호 AA8021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층은,
    두께가 70㎛ 내지 90㎛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층의 두께는 상기 가스 배리어층 두께의 0.6배 내지 1.2배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층은,
    두께가 30㎛ 내지 90㎛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은,
    두께가 6㎛ 내지 25㎛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제3 폴리머로 제조되고, 상기 표면 보호층 및 상기 가스 배리어층 사이에 적층되는 연신 보조층을 더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보조층은,
    두께가 20㎛ 내지 50㎛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폴리머는,
    나일론(Nylon)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필름 적층체의 총 두께가 180㎛ 내지 210㎛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천공 강도가 30N 내지 40N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19. 양극, 분리막,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전지 케이스는,
    제1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내층에 형성되는 실란트층;
    제2 폴리머로 제조되고, 최외층에 형성되는 표면 보호층; 및
    상기 표면 보호층 및 상기 실란트층의 사이에 적층되고, 두께가 60㎛ 내지 100㎛이고, 결정립도가 10.5㎛ 내지 12.5㎛인 알루미늄 합금 박막으로 형성되는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파우치 필름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필름 적층체는 15 mm × 80 mm의 크기로 재단한 후, 50mm/min의 인장 속도로 잡아당기면서 측정한 인장강도가 200N/15mm 내지 300N/15mm이고, 연신율이 105% 내지 150%인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20210048286A 2020-04-14 2021-04-14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102551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42 2020-04-14
KR20200045542 2020-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636A KR20210127636A (ko) 2021-10-22
KR102551089B1 true KR102551089B1 (ko) 2023-07-05

Family

ID=7808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286A KR102551089B1 (ko) 2020-04-14 2021-04-14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89546A1 (ko)
EP (1) EP4095991A4 (ko)
JP (1) JP2023518998A (ko)
KR (1) KR102551089B1 (ko)
CN (3) CN215955368U (ko)
WO (1) WO2021210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2878A (zh) 2020-06-09 2021-12-10 株式会社Lg化学 袋膜、袋型电池壳体、和袋型二次电池
KR20230097596A (ko) *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3121402A1 (ko) * 2021-12-24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필름 적층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지 케이스
WO2023243696A1 (ja) * 2022-06-16 2023-1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その製造方法、及び蓄電デバイ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4010A (ja) 2012-01-26 2013-09-05 Showa Denko Packaging Co Ltd 成形用包装材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2017084787A (ja) * 2015-10-28 2017-05-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電池、電池用包装材料の製造方法、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箔
KR102019360B1 (ko) 2018-05-02 2019-09-06 주식회사 비티엘첨단소재 이차전지용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6628009B2 (ja) * 2017-12-18 2020-0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444B1 (ko) * 2003-11-29 2010-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EP1884353A1 (de) * 2006-07-24 2008-02-06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Ltd. Kunststoffverbundfolie
JP2008093933A (ja) * 2006-10-11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真空断熱材
KR20090079020A (ko) * 2008-01-16 2009-07-21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차전지 패키지용 라미네이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이차전지
KR101060378B1 (ko) * 2009-08-31 2011-08-29 오두영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3168606A1 (ja) * 2012-05-11 2013-11-14 古河スカイ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箔及びその製造方法、成形包装体材料、二次電池、医薬品包装容器
JP6426895B2 (ja) * 2013-05-31 2018-11-21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池用外装材及び電池
JP2016008706A (ja) * 2014-06-26 2016-01-18 凸版印刷株式会社 真空断熱材用包装材及びそれを備えた真空断熱材
CN105514304B (zh) * 2014-10-15 2018-02-13 万向一二三股份公司 一种锂电池钢塑膜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US10319956B2 (en) * 2014-11-19 2019-06-11 Lg Chem, Ltd. Pouch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883536B1 (ko) * 2015-04-29 2018-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205028959U (zh) * 2015-10-10 2016-02-10 东莞市卓越新材料科技有限公司 薄型耐折铝塑膜
CN108352463A (zh) * 2015-10-28 2018-07-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电池用包装材料、电池、电池用包装材料的制造方法和铝合金箔
KR20170142624A (ko)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비티엘첨단소재 이차전지용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7047076B2 (ja) 2017-09-29 2022-04-04 エーエスエムエル ネザーランズ ビー.ブイ. 荷電粒子のビーム状態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164254B1 (ko) * 2017-11-15 2020-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25036B1 (ko) * 2018-08-29 2021-11-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용 파우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4010A (ja) 2012-01-26 2013-09-05 Showa Denko Packaging Co Ltd 成形用包装材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2017084787A (ja) * 2015-10-28 2017-05-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電池、電池用包装材料の製造方法、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箔
JP6628009B2 (ja) * 2017-12-18 2020-0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電池
KR102019360B1 (ko) 2018-05-02 2019-09-06 주식회사 비티엘첨단소재 이차전지용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44767A (zh) 2022-10-25
JP2023518998A (ja) 2023-05-09
CN215955368U (zh) 2022-03-04
US20230089546A1 (en) 2023-03-23
EP4095991A1 (en) 2022-11-30
KR20210127636A (ko) 2021-10-22
WO2021210908A1 (ko) 2021-10-21
EP4095991A4 (en) 2023-07-26
CN113540623A (zh)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1089B1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JP4297877B2 (ja) カン型二次電池
KR101405621B1 (ko) 이차전지용 파우치 포장재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230145964A (ko) 파우치 필름 적층체,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00025101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용 파우치
KR20210025405A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가스 배출부 제조 방법
KR102562686B1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그의 성형 장치,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102417198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102552691B1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그의 성형 장치, 파우치 형 이차 전지
US20240106036A1 (en) Pouch Film Laminate and Secondary Battery
KR20210025406A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제조 방법
KR102660400B1 (ko) 파우치 필름 적층체 및 이차 전지
KR102255537B1 (ko)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EP4203148A1 (en) Pouch-type battery case, molding apparatus thereof, and pouch-type secondary battery
KR20230091783A (ko)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202303731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lding Battery Case, and Battery Case
US202301056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lding Side
US20240030481A1 (en) Apparatus for Sealing Battery Case an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20200071208A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30097596A (ko)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40028851A (ko) 파우치 필름 적층체 및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