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036B1 - Led조명헤드 - Google Patents

Led조명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036B1
KR102551036B1 KR1020207033221A KR20207033221A KR102551036B1 KR 102551036 B1 KR102551036 B1 KR 102551036B1 KR 1020207033221 A KR1020207033221 A KR 1020207033221A KR 20207033221 A KR20207033221 A KR 20207033221A KR 102551036 B1 KR102551036 B1 KR 102551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light source
reflector
led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5908A (ko
Inventor
겐 데라오
시게미 모우리
슈 고쿠보
Original Assignee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복수의 LED광원을 구비한 LED조명헤드에 있어서, 방열성을 확보하면서 광원계의 광로를 차단하지 않고 LED광원의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한다. 반사판(4)은 LED광원(5a)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4a)과, LED광원(5b)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4b)과, LED광원(5c)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4c)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2)은 반사면(4a)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LED광원(5a)이 장착되는 장착부(2b)를 가지며 이 장착부(2b)로부터 반사판(4)을 관통하여 반사판(4)의 뒷면에 이른다. 링 프레임(3)은 반사판(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반사면(4b), (4c)과 대향하여 배치된 LED광원(5b), (5c)이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LED조명헤드
본 발명은 LED조명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LED광원의 방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LED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한 LED조명헤드에 있어서, 복수의 LED광원이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구조가 알려져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1에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판 (21)의 앞쪽 중앙에 배치된 단일 LED캐리어(22)에 출사방향이 다른 두개의 LED광원(23)을 장착한 램프(20)가 개시되어 있다. LED캐리어(22)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냉각핀(22a)이 설치되어 있고, 동시에, 그 양단에는 두개의 LED광원(23)이 장착되어 있다. 반사판(21)에는 각각의 LED광원(23)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하는 두개의 반사면이 마련되어 있다. LED캐리어(22)가 구비하는 방열핀(22a)은 각각의 LED광원(23)이 발생하는 열을 직접적으로 방열하므로 LED캐리어(22) 자체가 완결한 방열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특허문헌2에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1)의 중앙에 배치된 단일 기판지지판(32)에 출사방향이 다른 두개의 LED광원(33)을 장착한 발광장치(30)가 개시되어 있다. 기판지지판(32)은 케이스(31)의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여 있고, 기판지지판(32)의 좌우 측면에는 LED광원(33)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31)는 각각의 LED광원(33)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하는 두개의 반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두개의 LED광원(33)의 공통한 장착부재인 기판지지판(32)은 케이스(31)를 상하로 관통하여 케이스(31)의 뒷면에 이르고, 이 뒷면에 설치된 방열핀(34) 또는 고열전도성부재와 접하고 있다. 이로 하여 두개의 LED광원(33)이 발생하는 열은 기판지지판(32)뿐만아니라 기판지지판(32)를 통해 케이스(31)의 뒷면에 인도되어 방열핀(34) 등에 의해서도 방열된다.
공표특허 2014-511017호 공보 공개특허 2007-300138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는 단일 장착부재 (LED캐리어 및 기판지지판)에 복수의 LED광원을 장착하고, 이 장착부재를 공통의 방열부재로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LED광원의 방열을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LED광원의 배치장소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있어서의 LED캐리어의 양단이나 특허문헌2에 있어서의 기판지지판의 양측면과 같이 장착부재의 근방에 스스로 제한되어 LED광원의 배치상의 자유도가 낮다. 또한 공통의 장착부재에 복수의 LED광원을 분리시켜 배치하려고 할때 반사판의 앞에 위치하는 장착부재가 커져 광원계의 광로가 차단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LED광원을 구비한 LED조명헤드에 있어서, 방열성을 확보하면서 광원계의 광로를 차단하지 않고 LED광원의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관련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LED광원을 이용한 LED조명헤드를 제공한다. 이 LED조명헤드는 반사판, 제1 LED광원, 제2 LED광원, 제1 반사면, 제2 반사면, 제1 방열부재 및 제2 방열부재를 구비한다. 제1 LED광원은 반사판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LED광원은 제1 LED광원과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반사면은 반사판에 설치되어 제1 LED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한다. 제2 반사면은 반사판에 설치되어 제2 LED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한다. 제1 방열부재는 제1 LED광원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며, 장착부로부터 반사판을 관통하여 반사판의 뒷면에 이른다. 제2 방열부재는 제1 방열부재와 별도로 설치되며 제2 LED광원이 장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LED광원은 반사판의 가장자리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방열부재는 반사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LED광원 및 제3 반사면을 설치할 수 있다. 제3 LED광원은 제2 방열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제3 반사면은 반사판에 설치되며 제3 LED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한다. 이 경우, 제3 LED광원은 제2 LED광원과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부재는 반사판의 안팎을 관통하여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대해 굴곡되어 있고, 이 굴곡된 부위상에 제1 LED광원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반사면마다 분할된 복수의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열부재는 반사판의 뒷면에 있어서 제1 방열부재에 연결되며 LED조명헤드의 프레임으로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반사판은 프레임의 틀안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판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된 제1 LED광원은 반사판의 안팎을 관통하는 제1 방열부재에 장착되고, 제1 LED광원과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2 LED광원은 제1 방열부재와 별도로 설치된 제2 방열부재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제1 LED광원과 제2 LED광원으로 반사판의 앞쪽에 노출되는 방열부재를 분할함으로써 LED광원들을 분리시켜 배치하여도 방열부재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열성을 확보하면서 광원계의 광로를 차단하지 않고 복수의 LED광원을 높은 자유도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조명헤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명헤드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조명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의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헤드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 조명헤드(1)는 스탠드형이나 현수형을 포함하는 각종 조명기구의 일부분으로 사용된다. 조명헤드(1)에는 복수의 LED광원이 내장되어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2), 링 프레임(3) 및 반사판(4)을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2, 3)은 조명헤드(1)의 뒷면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견고한 구조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2, 3)은 복수의 LED광원이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부재로도 겸용된다. 반사판(4)은 일체화된 프레임(2, 3)의 틀안에 유지되어 있다.
도 2는 조명헤드(1)의 전개 사시도이다. 베이스 프레임(2)은 반사판(4)의 상방 (뒷면측) 또한 반사판(4)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 프레임(2)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재, 표면이 흑색 알루마이트 가공된 알루미늄재, 구리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금속재 대신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비금속재, 예를 들면, 탄소소재나 그 복합재를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은 사각통형상의 베이스부(2a)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장착부(2b)와 아암부(2c)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2a)는 조명기기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에 장착된다. 장착부(2b)는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2a)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그 선단은 측방향 (경사진 측방향을 포함)으로 굴곡되어 있고, 굴곡된 부위 상에 LED광원(5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LED광원(5a)의 설치장소는 반드시 장착부(2b)의 선단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반사판(4)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라면 그 설치방소는 임의로 할수 있다. 또한, 이 굴곡된 부위에는 나사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이 나사구멍에 나사를 삽입함으로써 반사판(4)이 장착된다. 아암부(2c)는 베이스부(2a)의 하단에 있어서 장착부(2b)와 반대측에 설치되고, 측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아암부(2c)의 선단은 복수의 나사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나사구멍에 장착나사를 삽입함으로써 링 프레임(3) 및 반사판(4)이 장착된다.
링 프레임(3)은 반사판(4)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링 프레임(3)은 베이스 프레임(2)의 재질로 예시한 바와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링 프레임(3)은 반사판(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일부가 내측 (중심측)을 향해 연장되어 장착부(3a)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a)의 일부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있고, 이 함몰된 부위의 웃면에는 LED광원(5a)과 떨어진 두개의 LED광원(5b, 5c)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3a)의 일부를 함몰시키는 이유는 LED광원(5b, 5c)과 반사판(4)과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링 프레임(3)에는 복수의 나사구멍이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 나사구멍에 장착나사를 삽입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2) 및 반사판(4)이 장착된다.
반사판(4)은 예를 들어, 수지제 재료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반사판(4)에는 각각의 LED광원(5a ~ 5c)에 대응하여 경면도금된 복수의 반사면(4a ~ 4c)이 개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판(4)에는 베이스 프레임(2)의 장착부(2b)를 삽입통과 가능한 개구형상을 갖는 관통구멍(4d)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사판(4)은 일체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반사면마다 분할된 복수의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LED광원(5a ~ 5c)은 LED (발광다이오드)의 단체 또는 LED군을 기판에 탑재한 발광유닛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발광유닛에 탑재된 LED는 공통의 지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광원으로서 특정의 방향으로 빛을 출사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LED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LED를 구비하며 하나의 광원으로서 특정의 방향으로 빛을 출사하는 LED를 말한다.
조명헤드(1)의 조립시에는 먼저 링 프레임(3)상에 반사판(4)을 배치한 후, 이들을 나사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관통구멍(4d)에 장착부(2b)를 삽입통과하면서 반사판(4)상에 베이스 프레임(2)을 배치한 후, 이들을 나사로 고정한다. 이에 의해 반사판(4)은 프레임(2, 3)의 틀안에 유지되고 조명헤드(1)로서 일체화된다.
도 3은 조명헤드(1)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의 상하방향을 반사판(4)의 전후방향으로 한 경우, 반사판(4)에는 3개의 반사면(4a ~ 4c)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3개의 LED광원(5a ~ 5c)은 도시한 지면의 앞뒤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사판(4)과 대향하고 있으며, 반사면(4a ~ 4c)의 각각과 위치적으로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면(4a)은 반사판(4)의 전방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도면의 평면시에서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면(4a)의 후단 근방에는 LED광원(5a)이 배치되어 있다. LED광원(5a)은 반사판(4)에 있어서 반사면(4a ~ 4c)의 형성면측에 노출된 장착부(2b)에 설치되어 있고, 반사판(4)의 가장자리보다 내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사판(4)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LED광원(5a)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전방중앙의 반사면(4a)의 곡선형상에 따라 반사한다. 이 반사광은 도시하지 않은 확산판 등을 거쳐 조사면상에 조사되고 이에 의해 LED광원(5a)에 유래한 조사영역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고휘도영역)이 형성된다.
반사면(4b)은 반사판(4)의 왼쪽 후방에 위치하며, 이 도면의 평면시에서 반사면(4a)과 중첩되어있는 오른쪽 웃부분을 절결한 대략 타원빔형상을 갖는다. 이 오른쪽 웃부분, 즉 반사면(4a)과 반사면(4b)과 경계부위(4e)는 양자의 곡면형상의 차이에 기인하여 비연속적인 단차로 되어있다. 또한 반사면(4b)의 후단 근방에는 LED광원(5b)이 LED광원(5a)과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LED광원(5b)은 반사판(4)의 표면측 (반사면(4a ~ 4c)의 형성면측)에 대향하도록 노출된 장착부(3a)에 장착되어 있으며, 반사판(4)의 중앙부근에 위치하는 LED광원(5a)보다 외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사판(4)의 가장자리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LED광원(5b)로부터 출사된 빛은 왼쪽 후방의 반사면(4b)의 곡선형상에 따라 반사한다. 이 반사광은 확산판 등을 거쳐 조사면상에 조사되고 이에 의해 LED광원(5b)에 유래한 조사영역이 형성된다.
반사면(4c)은 반사판(4)의 오른쪽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도면의 평면시에서 반사면(4a)과 중첩되어있는 왼쪽 웃부분을 절결한 대략 타원빔형상을 갖는다. 이 왼쪽 웃부분, 즉 반사면(4a)과 반사면(4c)과의 경계부위(4f)는 양자의 곡면형상의 차이에 기인하여 비연속적인 단차로 되어있다. 또한 반사면(4c)의 후단 근방에는 LED광원(5c)이 LED광원(5a, 5b)과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LED광원(5b)은 반사판(4)의 표면측 (반사면(4a ~ 4c)의 형성면측)에 대향하도록 노출된 장착부(3a)에 장착되어 있으며, 반사판(4)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LED광원(5a) 보다 외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사판(4)의 가장자리 근방에 LED광원(5b)과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LED광원(5c)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오른쪽 후방의 반사면(4c)의 곡선형상에 따라 반사한다. 이 반사광은 확산판 등을 거쳐 조사면상에 조사되고, 이에 의해 LED광원(5c)에 유래한 조사영역이 형성된다.
LED광원(5a ~ 5c)의 조사영역은 조사면상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이것은 일례이며, LED광원(5a ~ 5c)의 조사영역은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조사면상의 다른 위치에 개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떠한 조사영역을 형성할 것인가는 조명헤드(1)의 사용목적에 따라 반사면(4a ~ 4c)의 배치나 형상, LED광원(5a ~ 5c)의 배치 등에 의해 결정된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반사판(4)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2)은 장착부(2b)로부터 반사판(4)의 관통구멍(4d)을 관통하여 반사판(4)의 뒷면에 연장되어 있다. 장착부(2b)의 굴곡된 부위는 반사면(4a)과 대향하도록 반사면(4a)측에 약간 침투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그 웃면에는 반사면(4a)에 면하도록 LED광원(5a)이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명헤드(1)를 하방으로부터 들여다 보았을 때, LED광원(5a)은 장착부(2b)에 의해 덮여진 형태로 되기 때문에 LED광원(5a)의 빛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입사하지 않는다.
반사판(4)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LED광원(5a)이 발생하는 열은 베이스 프레임(2)의 형상에 따라 반사판(4)의 뒷면에 인도된다. 반사판(4)의 뒷면에는 조명헤드(1)에 있어서의 광학계 광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광로의 차단을 초래하지 않으며, LED광원(5a)의 방열에 필요한 표면적을 뒷면측에 있어서 높은 자유도로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하면, 반사판(4)의 뒷면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2)에 전달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핀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반사판(4)의 앞쪽에서 방열이 완결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반사판(4)의 앞쪽에 노출되는 방열부재 (장착부(2b))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반사판(4)의 주위에 배치된 링 프레임(3)에 있어서, 장착부(3a)는 반사면(4b)과 대향하도록 반사면(4b)측에 약간 침투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그 웃면에는 반사면(4b)에 면하도록 LED광원(5b)이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명헤드(1)를 하방으로부터 들여다 보았을 때, LED광원(5b)은 장착부(3a)에 의해 덮여진 형태로 되기 때문에 LED광원(5b)의 빛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입사하지 않는다.
반사판(4)의 가장자리 근방에 위치하는 LED광원(5b)이 발생하는 열은 반사판(4)의 주위에 배치된 링 프레임(3)을 주체로 방열된다. 반사판(4)의 주위에는 조명헤드(1)에 있어서의 광학계 광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광로의 차단을 초래하지 않으며, LED광원(5b)의 방열에 필요한 표면적을 반사판(4)의 외둘레측에 있어서 높은 자유도로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하면, 반사판(4)의 주위에 있어서, 링 프레임(3)에 전달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핀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3a)에 LED광원(5b)과 나란히 배치된 LED광원(5c)도 LED광원(5b)과 같은 원리로 방열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반사판(4)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된 LED광원(5a)은 반사판(4)의 안팎을 관통하는 베이스 프레임(2)에 장착되어 있다. LED광원(5a)이 발생하는 열은 베이스 프레임(2)을 주체로 방열된다. 베이스 프레임(2)은 반사판(4)을 관통하여 뒷면측에 이르고 있기 때문에 조명헤드(1)가 구비하는 광학계의 광로를 차단하지 않으며, 반사판(4)의 뒷면에 있어서 방열에 필요한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LED광원(5a)과 다른 위치에 배치된 LED광원(5b, 5c)은 베이스 프레임(2)과 분리된 링 프레임(3)에 장착되어 있다. LED광원(5b, 5c)이 발생하는 열은 링 프레임(3)을 주체로 방열된다. 링 프레임(3)은 반사판(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판(4)의 주위에 있어서 방열에 필요한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LED광원(5a ~ 5c)을 분리시켜 배치하여도 반사판(4)의 앞쪽의 프레임(2, 3)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충분한 방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LED광원(5a ~ 5c)을 높은 자유도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2) 및 링 프레임(3)을 방열부재로 겸용하고, 반사판(4)의 뒷면에서 양자를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조명헤드(1)로서의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프레임(2, 3)의 틀안에 반사판(4)을 유지시키면 낙하 등에 따른 반사판(4)의 손상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반사판(4)의 안팎을 관통하는 LED광원(5a)용 방열부재 (베이스 프레임(2))와는 다른 방열부재로서 링 프레임(3)을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LED광원(5b, 5c)의 배치장소가 반사판(4)의 가장자리 근방인 경우, 반사판(4)의 주위에 배치된 링 프레임(3)은 LED광원(5b, 5c)의 방열부재로서 바람직한 일례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조명헤드(1)의 설계에 따라 임의의 방열부재 (반드시 프레임인 것은 아니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광원(5b, 5c)의 배치장소가 반사판(4)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일 경우, 링 프레임(3)에 의한 방열로서는 광원계의 빛이 차단되는 것이 염려된다면, 반사판(4)의 안팎을 관통하는 방열부재를 LED광원(5a)용 방열부재 (베이스 프레임(2))와 별도로 설치하고, 그 선단에 LED광원(5b, 5c)을 장착할 수 있다. 그 때, LED광원(5b) 및 LED광원(5c)가 떨어져 있다면, LED광원(5b, 5c)마다 방열부재를 분할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명헤드(1)로 3개의 LED광원(5a ~ 5c)을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적어도 반사판(4)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된 LED광원(5a) 및 이것과 다른 위치에 배치된 LED광원 (예를 들면 5b)의 2개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세번째 LED광원 (예를 들면 5c)은 필수가 아니며, 혹은 LED광원(5a ~ 5c) 외에 LED광원을 더 추가 할 수도 있다.
1 조명헤드
2 베이스 프레임
2a 베이스부
2b 장착부
2c 아암부
3 링 프레임
3a 장착부
4 반사판
4a ~ 4c 반사면
4d 관통구멍
4e, 4f 경계부위
5a ~ 5c LED광원

Claims (8)

  1. 복수의 LED광원을 이용한 LED조명헤드에 있어서,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된 제1 LED광원과,
    상기 제1 LED광원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2 LED광원과,
    상기 반사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 LED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과,
    상기 반사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2 LED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하는 제2 반사면과,
    상기 제1 LED광원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반사판을 관통하여 상기 반사판의 뒷면에 이르는 제1 방열부재와,
    상기 제1 방열부재와는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 제2 LED광원이 장착되는 제2 방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LED광원은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열부재는 상기 반사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열부재에 장착된 제3 LED광원과,
    상기 반사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3 LED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하는 제3 반사면,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LED광원은 상기 제2 LED광원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헤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부재는 상기 반사판의 안팎을 관통하여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대해 굴곡되어 있고, 해당 굴곡된 부위 상에 상기 제1 LED광원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헤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수지제의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경면도금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헤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열부재는 상기 반사판의 뒷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LED조명헤드의 프레임으로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프레임의 틀안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헤드.

KR1020207033221A 2018-10-16 2018-10-16 Led조명헤드 KR102551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8395 WO2020079740A1 (ja) 2018-10-16 2018-10-16 Led照明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908A KR20210075908A (ko) 2021-06-23
KR102551036B1 true KR102551036B1 (ko) 2023-07-04

Family

ID=7000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221A KR102551036B1 (ko) 2018-10-16 2018-10-16 Led조명헤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74069B1 (ko)
KR (1) KR102551036B1 (ko)
WO (1) WO202007974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0138A (ja) 2003-12-05 2007-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発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12234686A (ja) 2011-04-28 2012-11-29 Koizumi Lighting Technology Corp 埋込型照明器具
JP2014511017A (ja) 2011-04-15 2014-05-01 クーパー クロス−ハイン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ランプ
JP2017195209A (ja) 2017-08-04 2017-10-2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Led照明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8932B2 (ja) * 2003-12-05 2008-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0138A (ja) 2003-12-05 2007-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発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14511017A (ja) 2011-04-15 2014-05-01 クーパー クロス−ハイン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ランプ
JP2012234686A (ja) 2011-04-28 2012-11-29 Koizumi Lighting Technology Corp 埋込型照明器具
JP2017195209A (ja) 2017-08-04 2017-10-2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Led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74069B1 (ja) 2020-04-01
WO2020079740A1 (ja) 2020-04-23
KR20210075908A (ko) 2021-06-23
JPWO2020079740A1 (ja)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7073B2 (ja) 車両用灯具
JP5883169B1 (ja) 車両用ledランプモジュール
EP2360430A1 (en) Lighting equipment
WO2016039130A1 (ja) 照明器具
JP6586306B2 (ja) Led照明器具
JP2013205530A (ja) エンブレム発光装置
JP6659310B2 (ja) 車両用灯具
KR102551036B1 (ko) Led조명헤드
EP2360421A1 (en) Light source unit and lighting equipment
KR101577999B1 (ko) 차량용 led 램프 모듈
CN111692564B (zh) 灯具单元及车辆用灯具
JP6251081B2 (ja) 反射ユニット、及びledモジュール
JP5724789B2 (ja) 光源ユニット、光源装置及びこの光源装置を用いた照明器具
JP6560575B2 (ja) 照明器具
JP2016173908A (ja) 車両用灯具
JP6442871B2 (ja) 車両用灯具
WO2023068153A1 (ja) 灯具及び車両用前照灯
JP6723099B2 (ja) 照明器具
JP2016213115A (ja) 車両用灯具
JP6369128B2 (ja) 車両用灯具
JP6623013B2 (ja) 照明器具
JP2016219194A (ja) Led電球
JP4497074B2 (ja) 車両用灯具
KR101526077B1 (ko) Led 조명등
CN118119790A (zh) 灯具以及车辆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