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188B1 -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 - Google Patents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188B1
KR102550188B1 KR1020200006786A KR20200006786A KR102550188B1 KR 102550188 B1 KR102550188 B1 KR 102550188B1 KR 1020200006786 A KR1020200006786 A KR 1020200006786A KR 20200006786 A KR20200006786 A KR 20200006786A KR 102550188 B1 KR102550188 B1 KR 102550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entral
upper plat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3066A (ko
Inventor
김흥래
김상태
김경수
현은택
Original Assignee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0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1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철골기둥의 하단부가 접촉되기 위한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하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철골기둥의 하중을 지지할 경우, 하부플레이트와 접하는 지지면 부분 전체로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면의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정화와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Ground construction foundation}
본 발명은 기초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면과 면접촉 상태로 설치한 상태에서 철골기둥의 하중을 중앙부에서 지지하여 가장자리로 분산시킴에 따라, 철골기둥의 하중이 어느 한 부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지지면의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는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복수의 기둥에 형성된 후, 설치되는 것으로, 각 기둥의 하단은 기초구조물에 앵커로 강결된다.
이 종래 기초구조물은 등록특허 제10-1461273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상단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매설되며, 복수의 앵커와 볼트, 너트 등에 의해 철골기둥을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기초구조물은 철골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지중에 설치됨에 따라, 철골기둥의 하중이 기초구조물의 설치방향으로 전달됨에 따라, 매설된 주변으로 전달되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복수의 앵커가 파단되어 철골기둥이 콘크리트와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추후 건설될 건축물의 안전에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철골기둥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지지면의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지지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철골기둥의 하단부가 접촉되기 위한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하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철골기둥의 하중을 지지할 경우, 하부플레이트와 접하는 지지면 부분 전체로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면의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정화와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철골기둥의 하단부가 접촉되기 위한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하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철골기둥의 하중을 지지할 경우,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접하는 지지면 부분 전체로 하중을 분산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는 일정 두께를 갖는 면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일정 두께를 갖고, 새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철골기둥이 위치되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의 사이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한 중앙지지부, 및 상기 중앙지지부와 연결되며, 중앙지지부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구비되는 분산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지지부는,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1중앙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중앙지지플레이트과 직교되도록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2중앙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산지지부는, 상기 각 제1중앙지지플레이트의 각 단부에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1분산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각 제2중앙지지플레이트의 각 단부에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분산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중앙지지플레이트의 간격과 한 쌍의 제2중앙지지플레이트의 간격은 상기 철골기둥의 하단부 각 대응되는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1분산지지플레이트와 제2분산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되, 일단부가 상기 중앙지지부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부는, 제1보조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보조지지플레이트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2보조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보조지지플레이트 중 인접한 다른 보조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한 쌍의 해당 분산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내부보강리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분산지지플레이트와 제1보조지지플레이트, 제2보조지지플레이트, 제2분산지지플레이트의 외측 단부를 지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외부보강리브,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철골기둥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구비되는 지지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가이드부는, 상기 철골기둥의 각 모서리를 가이드하도록 절곡된 복수의 지지가이드프레임이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지지부는, 상기 철골기둥이 설치되는 중앙부가 가장자리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지지부는,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지지부는,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에 의하면, 철골기둥의 하중을 지지할 경우, 하부플레이트와 접하는 지지면 부분 전체로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면의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정화와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구조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구조에 지지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구조의 지지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구조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구조에 지지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구조의 지지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는 하부플레이트(100)와 상부플레이트(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하부플레이트(100)는 지지면(30)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플레이트(200)는 하부플레이트(100)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철골기둥(20)의 하단부가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지지부(300)는 상부플레이트(200)를 지지하도록 하부플레이트(100)와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에 의하면, 철골기둥(20)의 하중을 지지할 경우, 하부플레이트(100)와 접하는 지지면(30) 부분 전체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지지면(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하부플레이트(100)와 상부플레이트(2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면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300)는 일정 두께를 갖고, 새워져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3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지지부(310)와 분산지지부(320)를 포함한다.
중앙지지부(310)는 철골기둥(20)이 위치되는 하부플레이트(100)와 상부플레이트(200)의 사이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분산지지부(320)는 중앙지지부(310)와 연결되며, 중앙지지부(310)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배열되도록 구비된다.
중앙지지부(310)는 제1중앙지지플레이트(312)와 제2중앙지지플레이트(314)를 포함한다.
제1중앙지지플레이트(312)는 한 쌍으로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2중앙지지플레이트(314)는 한 쌍으로 제1중앙지지플레이트(312)과 직교되도록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분산지지부(320)는 제1분산지지플레이트(322)와 제2분산지지플레이트(324)를 포함한다.
제1분산지지플레이트(322)는 각 제1중앙지지플레이트(312)의 각 단부에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2분산지지플레이트(324)는 각 제2중앙지지플레이트(314)의 각 단부에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중앙지지플레이트(312)의 간격과 한 쌍의 제2중앙지지플레이트(314)의 간격은 철골기둥(20)의 하단부 각 대응되는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철골기둥(2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직접 지지함은 물론, 복수의 제1분산지지플레이트(322)와 제2분산지지플레이트(324)로 분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00)는 보조지지부(330)를 더 포함한다.
이 보조지지부(330)는 각 제1분산지지플레이트(322)와 제2분산지지플레이트(324)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중앙지지부(310)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지지부(330)는 제1보조지지플레이트(332)와 제2보조지지플레이트(334)를 포함한다.
제1보조지지플레이트(332)와 제2보조지지플레이트(334)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일단부는 제1분산지지플레이트(322)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일단부는 제2분산지지플레이트(324)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각 보조지지부(330)는 중앙지지부(310)를 기준으로 대각선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분산지지플레이트(322), 제2분산지지플레이트(324)와 함께 하중을 지지하여 분산시킨다.
또한 지지부(300)는 내부보강리브(340)를 더 포함한다.
이 내부보강리브(340)는 각 보조지지플레이트(332, 334) 중 인접한 다른 보조지지부(330')의 보조지지플레이트(332', 334')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해당 분산지지플레이트(322, 324)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보조지지플레이트(332)의 단부가 위치된 분산지지플레이트(32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다른 하나의 보조지지플레이트(334)의 단부가 위치된 분산지지플레이트(324)에 연결된다.
이에, 해당 보조지지플레이트(332, 334)로 전달되는 하중을 상호 방향 또는 전달시켜 상쇄 및 분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00)는 외부보강리브(350)를 더 포함한다.
이 외부보강리브(350)는 제1분산지지플레이트(322)와 제1보조지지플레이트(332), 제2보조지지플레이트(334), 제2분산지지플레이트(324)의 외측 단부를 지나도록 하부플레이트(100)와 상부플레이트(200)의 가장자리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외부보강리브(350)는 제1분산지지플레이트(322)와 제1보조지지플레이트(332), 제2보조지지플레이트(334), 제2분산지지플레이트(324)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하나의 라인을 형성한다.
이에, 전달된 하중에 의해 제1분산지지플레이트(322)와 제1보조지지플레이트(332), 제2보조지지플레이트(334), 제2분산지지플레이트(324)의 외측 단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는 지지가이드부(400)를 더 포함한다.
이 지지가이드부(400)는 철골기둥(20)을 가이드하도록 상부플레이트(200)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가이드부(400)는 철골기둥(20)의 각 모서리를 가이드하도록 절곡된 복수의 지지가이드프레임(410)이며, 상부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200)와 지지부(300)는 철골기둥(20)이 설치되는 중앙부가 가장자리보다 높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로, 상부플레이트(200)와 지지부(300)는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철골기둥(2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부플레이트(200)와 지지부(300)는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삿갓형상으로 형성되어 철골기둥(2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물론 각 실시 예의 상부플레이트(200)와 지지부(300)는 철골기둥(20)과 접하는 부분은 면접촉되도록 형성됨이 당연하다.
이러한 상부플레이트(200)와 지지부(300)는 해당 철골기둥(20)의 하중에 의해 눌러질 경우, 평평하게 유지되도록 돌출 높이를 형성한다.
이는, 철골기둥(2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상부플레이트(200)와 지지부(300)의 가장자리에 사용되는 재료를 절감시킬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100)의 형상도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지지면(30)과의 접촉면적을 유지시킬 수 있어 지지면(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플레이트(200)와 지지부(300)는 중앙부가 가장자리보다 지지력이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부플레이트(200)와 지지부(300)의 상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되, 저항력이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스프링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플레이트(100)는 지지면(30)과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부(500)가 더 포함된다.
이 고정부(500)는 무수축몰탈로, 하부플레이트(100)와 지지면(30)의 면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를 지지면(30)에 면접촉 설치할 수 있다.
20 : 철골기둥 30 : 지지면
100 : 하부플레이트 200 : 상부플레이트
300 : 지지부 310 : 중앙지지부
320 : 분산지지부 330 : 보조지지부
340 : 내부보강리브 350 : 외부보강리브
400 : 지지가이드부

Claims (3)

  1. 지지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철골기둥의 하단부가 접촉되기 위한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하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 및
    상기 철골기둥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구비되는 지지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는 일정 두께를 갖는 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철골기둥의 하중을 지지할 경우, 상부플레이트의 면과 지지부, 하부플레이트의 면을 따라 하중이 분산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접하는 지지면 부분 전체로 하중을 분산시키고,
    상기 지지부는,
    일정 두께를 갖고, 새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철골기둥이 위치되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의 사이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한 중앙지지부; 및
    상기 중앙지지부와 연결되며, 중앙지지부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구비되는 분산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지지부는,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1중앙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중앙지지플레이트과 직교되도록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2중앙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지지부는,
    상기 각 제1중앙지지플레이트의 각 단부에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1분산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각 제2중앙지지플레이트의 각 단부에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분산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1분산지지플레이트와 제2분산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되, 일단부가 상기 중앙지지부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제1보조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보조지지플레이트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2보조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각 보조지지플레이트 중 인접한 다른 보조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한 쌍의 해당 분산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내부보강리브; 및
    상기 제1분산지지플레이트와 제1보조지지플레이트, 제2보조지지플레이트, 제2분산지지플레이트의 외측 단부를 지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외부보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지지부는 철골기둥이 설치되는 중앙부가 가장자리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가이드부는,
    상기 철골기둥의 각 모서리를 가이드하도록 절곡된 복수의 지지가이드프레임이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지지면과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고정부는 무수축몰탈로, 하부플레이트와 지지면의 면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200006786A 2020-01-17 2020-01-17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 KR102550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86A KR102550188B1 (ko) 2020-01-17 2020-01-17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86A KR102550188B1 (ko) 2020-01-17 2020-01-17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066A KR20210093066A (ko) 2021-07-27
KR102550188B1 true KR102550188B1 (ko) 2023-06-30

Family

ID=7712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786A KR102550188B1 (ko) 2020-01-17 2020-01-17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1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0662A1 (en) * 2007-12-21 2012-08-23 Tony Jolly Tower Foundation
US10501957B1 (en) * 2018-07-30 2019-12-10 Jeffery A. Borowiak Underground post moun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0662A1 (en) * 2007-12-21 2012-08-23 Tony Jolly Tower Foundation
US10501957B1 (en) * 2018-07-30 2019-12-10 Jeffery A. Borowiak Underground post moun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066A (ko)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383B2 (en) Upper structure for bridge
US20030033759A1 (en) Form assembly for forming an eave, a roof slab, and a perimeter beam in a monolithic structure
KR102550188B1 (ko) 지상 건설용 기초구조
KR20100019691A (ko) 전단키
JP2006328867A (ja) 橋台付近に構築される道路の構造および施工法
KR102163560B1 (ko)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이 설치된 교량
JP2020056233A (ja) 設備基礎構造
JP7384649B2 (ja) 露出型柱脚基礎構造
JP4297854B2 (ja) 荷重仮受け方法
US9340966B1 (en) Metal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metal reinforced buildings incorporating such beams
KR101721901B1 (ko) 다방향 콘크리트 전단연결장치가 구비된 벽체-기초 연결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KR20210078120A (ko) 시스템 동바리용 멍에 지지구
JP5027546B2 (ja) 構造体用側板
GB2075080A (en) Reinforcement girder
KR101664100B1 (ko) 조립식 가교
JP3678951B2 (ja) 格子状床版を備えた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KR100930629B1 (ko) 크랭크형 콘크리트 엣지 거더를 구비한 케이블 교량
JPH0953276A (ja) 梁と柱の接合構造
JP2771317B2 (ja) ポストテンションコンクリート基礎底板
KR200369707Y1 (ko) 하중 분산형 트러스빔
CN114481846B (zh) 桥梁混凝土桥面板的现浇施工方法和桥梁施工模架
JP2001090240A (ja) デッキプレートおよびコンクリート床
KR102470469B1 (ko)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KR200497421Y1 (ko) 대형 와플폼 지지기구
JP3219132B2 (ja) 木造建築物の土台下スペー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