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872B1 - 건조기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건조기 컨트롤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9872B1 KR102549872B1 KR1020210173103A KR20210173103A KR102549872B1 KR 102549872 B1 KR102549872 B1 KR 102549872B1 KR 1020210173103 A KR1020210173103 A KR 1020210173103A KR 20210173103 A KR20210173103 A KR 20210173103A KR 102549872 B1 KR102549872 B1 KR 1025498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er
- drying chamber
- partition wall
- controller
-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77—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using additional device, e.g. trusted platform module [TPM], smartcard, USB or hardware security module [H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제안기술은 건조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 수산물 및 임산물 둥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제안기술은 건조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 수산물 및 임산물 둥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식품은 쉽게 부패하지 않으며,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 보관하기가 쉽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식품들이 건조 처리되어 저장 또는 유통되고있는 실정이다.
대기 중의 바람이나 태양열을 이용하는 전통적인 자연건조 방식은 원료를 상온에서 건조하므로 품질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나, 강우 등 기상조건이 불리할 경우 건조속도가 지나치게 낮아져서 식품의 경우 오히려 제품 변질을 초래할 수 있는 등 그 기상 조건에 따라 품질 편차가 크다.
또한, 열풍식 건조기는 상온의 공기를 가열 송풍함으로써 건조속도 등 그 처리능력 향상에 우선을 둔 것이다. 이는 열원으로서 주로 화석연료의 연소열이나 전기히터의 발열을 이용하는데, 건조속도를 높이기 위해 공기 온도를 높여야 하고 건조실 내 공기가 과포화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외기를 도입, 가열하여야 하므로 열손실이 크며, 대략 45℃ 이상의 고온에서 건조하므로 피건조물의 세포 내 유용한 영양소가 파괴되기 쉽고, 식미감 저하 등 품질 저하의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피건조물의 건조 시 일련의 작업은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수고가 만만치 않다. 또한, 한번 건조 시 대용량의 식품을 건조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건조 작업 시 설정된 레시피에 따라 건조가 자동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건조 작업 시 필요한 온도와 습도의 변화를 단시간에 압축하여 진행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조기 컨트롤러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외부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처리모듈;
통신처리모듈을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암호화모듈;을 포함하고,
암호화모듈에는 해당 식품건조기의 인증 수단이 부여되며,
외부장치는 데이터가 인증 수단이 부여된 식품건조기에서만 실행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는 식품건조기 내부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식품건조기의 가동 시간, 가동 반복 횟수 및 가동 일정을 포함하는 레시피(recip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는 외부장치에서 지정한 기간 동안에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호화 모듈은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Hardware Security Modul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품건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선택된 데이터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장치는 통신처리모듈을 통해 식품건조기를 원격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작업 시 설정된 레시피에 따라 건조가 자동적으로 진행되며, 필요한 온도와 습도의 변화를 단시간에 압축하여 진행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시피 판매를 통한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하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내부의 원적외선 램프 및 자외선 램프 작동 시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내부의 원적외선 램프 및 자외선 램프 미작동 시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하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내부의 원적외선 램프 및 자외선 램프 작동 시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내부의 원적외선 램프 및 자외선 램프 미작동 시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개념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조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 수산물 및 임산물 둥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에 관한 발명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식품건조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하측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건조기는 도어부(12)가 형성된 하우징(2)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의 내부는 나눔벽(8)에 의해 기계실(4)과 건조실(6)로 서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은 길이 4.7m, 폭 2.4m, 높이 2.5m가 되도록 형성되었으며, 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건조실(6)의 일면에는 외부와의 개폐 기능을 하는 상기 도어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건조실(6)에서 상기 도어부(12)는 상기 나눔벽(8)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어부(12)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건조실(6)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건조실(6)은 우레탄 등의 단열재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실(6)의 내부에는 상기 건조실(6)의 내부를 상하로 나누는 형태의 격벽(14)이 설치된다.
상기 건조실(6)은 상기 격벽(14)을 기준으로 상측의 높이 보다 하측의 높이가 더 높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격벽(14)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 보다 상기 격벽(14)으로부터 상기 건조실(6)의 바닥면까지의 높이가 더 높게 구성된다.
상기 격벽(14)의 상측 공간은 상기 건조실(6)로부터 유입된 고온다습한 공기를 상기 나눔벽(8) 측의 상기 실내 냉동유닛(22)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덕트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격벽(14)은 상기 도어부(12)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격벽(14)의 양단에는 공기순환슬릿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나눔벽(8)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일정 길이 부분에는 제1공기순환슬릿(16)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12)가 형성된 일면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일정 길이 부분에는 제2공기순환슬릿(18)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순환슬릿은 직사각 형상의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공기순환슬릿(16)과 상기 제2공기순한슬릿(18)은 각각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상기 공기순환슬릿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정렬된 형태로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공기순환슬릿의 내측면 일측에는 슬랫(slat) 형태의 날개부(미도시)가 힌지 연결된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건조실(6)의 양측벽에 대해 수직인 가상의 선을 회전축으로하는 상기 힌지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날개부는 회전 시 상기 도어부(12)를 향하거나 상기 나눔벽(8)을 향하게 된다.
상기 건조실(6)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공기순환슬릿(16)을 통해 상기 격벽(14)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공기순환슬릿(18)을 통해 상기 격벽(14)의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건조실(6)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상기 격벽(14)은 유지 보수 및 청소 등을 위해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격벽(14)의 중앙부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2개의 격벽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문의 개방 시, 상기 격벽(14)의 상측과 하측이 서로 연통된다.
상기 격벽문은 각각 상기 하우징(2)의 양단을 향해 회전하여 개방되거나, 상기 하우징(2)의 양측을 향해 회전하여 개방된다.
상기 격벽(14)의 상면에는 실내 냉동유닛(22)이 배치된다. 상기 실내 냉동유닛(22)은 상기 격벽(14)의 상면에서 상기 공기순환슬릿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 냉동유닛(22)은 냉매관(30)을 통해 상기 기계실(4)에 배치되는 실외 냉동유닛(32)과 연결된다.
상기 실내 냉동유닛(22)은 본체부(미도시)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냉매튜브(미도시), 냉각핀(미도시), 제상히터(미도시) 및 증발용 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매튜브는 상기 냉매관(30)과 연결되어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것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냉각핀은 상기 냉매튜브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결합되어 상기 냉매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 제상히터는 상기 냉매튜브 및 상기 냉각핀에 발생되는 성에를 녹여 제거하게 되고, 상기 증발용 팬은 상기 실내 냉동유닛(22)의 내부 공기를 상기 냉각핀을 향해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실내 냉동유닛(22)은 복수 개 설치 가능한 것으로, 상기 나눔벽(8) 측에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나눔벽(8)과 상기 도어부(12)가 형성된 일면 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14)의 상면에서 상기 실내 냉동유닛(22)의 일측에는 송풍용 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용 팬(24)은 상기 제1공기순환슬릿(16)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용 팬(24)은 회전 방향의 변경 및 회전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냉매튜브를 통과하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아 일정 온도 이하의 찬 공기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찬 공기는 상기 송풍용 팬(24)에 의해 상기 제1공기순환슬릿(16)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격벽(14)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찬 공기는 상기 건조실(6)을 순환하면서 상기 건조실(6) 내부에서의 열교환에 의해 고온화된 후 다시 상기 실내 냉동유닛(22)과 접촉하는 순환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순환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가 상기 냉매튜브 및 냉각핀에 물방울로 맺혀지게 되고, 상기 물방울은 상기 실내 냉동유닛(22) 내부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 의해 얼어 성에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성에는 상기 제상히터에 의해 녹아 액체 상태가 되며, 상기 격벽(14) 상에서 상기 실내 냉동유닛(22)의 하단에 배치되는 드레인 수조(미도시)에 모이게 된다. 상기 수조에 모인 액체 상태의 상기 성에는 상기 드레인 수조와 연결된 드레인 튜브(미도시)를 통해 상기 하우징(2)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실외 냉동유닛(32)으로 이동하여 냉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격벽(14)의 하면에는 상기 피건조물에 연무 형태의 첨가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무노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분무노즐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정렬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분무노즐은 상기 기계실(4)에 배치되는 첨가물탱크(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첨가물탱크에는 상기 피건조물에 분사하기 위한 첨가물이 저장되며, 상기 첨가물탱크 내부의 상기 첨가물은 첨가물주입관(미도시)을 통해 상기 분무노즐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첨가물의 분무 방향은 상기 분무노즐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분무노즐의 분사 각도는 상기 건조실(6)의 하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거나 수직이 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으로,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sprinkler) 방식으로 분무되도록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내부의 원적외선 램프 및 자외선 램프 작동 시 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내부의 원적외선 램프 및 자외선 램프 미작동 시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격벽(14)의 하면에는 상기 격벽(14) 하방의 공기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원적외선 램프(26)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건조실(6) 내부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복수 개의 자외선 램프(28)가 배치된다.
각각의 상기 원적외선 램프(26)와 상기 자외선 램프(28)에는 파손을 방지 및 방수를 위한 보호망(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원적외선 램프(26)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발열되어 방출되는 것으로, 약 150W 이상의 출력이 가능하다.
상기 자외선 램프(28)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상기 피건조물이 소독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램프(26)와 상기 자외선 램프(28)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격벽(14)의 하면에는 상기 원적외선 램프(26)와 상기 자외선 램프(28)를 삽입하여 설치하기 위한 삽입홈(2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0)의 단면은 양측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서로 점차 멀어지는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램프(26)와 상기 자외선 램프(28)는 상기 삽입홈(20) 내에 설치되며, 이로 인해 상기 원적외선 램프(26)와 상기 자외선 램프(28)가 상기 격벽(14)의 하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14)의 상면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하면 삽입홈(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상면 삽입홈(미도시)에는 상기 원적외선 램프(26)와 상기 자외선 램프(28) 등 상기 격벽(14)의 상면에 배치되는 구성들의 배선(미도시)이 삽입되어 배치된다.
상기 배선은 튜브에 감싸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배선이 상기와 같이 위치함에 따라 상기 격벽(14) 상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로부터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실(6) 내부에서 상기 원적외선 램프(26) 및 상기 자외선 램프(28)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방수 기능이 적용된다.
상기 건조실(6)의 내부는 상기 원적외선 램프(26)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및 상기 자외선 램프(28)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폴리싱 된(polished) 유광의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재질의 판넬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원적외선 램프(26)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반사하여 상기 건조실(6) 내의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상기 건조실(6)에서 상기 격벽(14)의 하측에는 상기 건조실(6)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미도시), 상기 건조실(6)의 내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미도시) 및 상기 건조실(6)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온도센서,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에서 검출된 센싱값은 상기 기계실(4)에 배치된 컨트롤러(34)에 입력되어 상기 건조실(6) 내부의 온도, 습도, 압력 제어에 이용된다.
상기 건조실(6)에서 상기 격벽(14)의 하방에는 피건조물이 적층되어 진열되는 건조 트레이(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건조 트레이는 건조실(6)의 바닥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실(6)의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 트레이는 상기 건조실(6)의 내부 면적에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정렬된 상태가 되도록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나눔벽(8)에는 감압팬(미도시)이 설치된 공기배출구(10)가 형성된다. 상기 기계실(4)에는 상기 공기배출구(10)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실(6)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펌프(미도시)가 배치되며, 상기 공기배출구와 상기 에어펌프는 공기배출관(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공기배출구(10)에는 상기 건조실(6)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센서에서 센싱된 압력값이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압력밸브가 열리게 되고, 상기 감압팬과 상기 에어펌프가 작동하여 상기 건조실(6) 내부의 공기를 상기 건조실(6)의 외부로 강제 배출함으로써 상기 건조실(6)의 내부를 감압시키게 된다.
상기 건조실(6)의 내부 감압에 의해 상기 피건조물의 습기가 보다 쉽게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건조기는 상기 격벽(14)의 하방 공간과 상방 공간의 온도차 및 공기의 밀도차로 인해 상기 건조실(6) 내부에 자연대류가 발생되어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하기에서는 상기 건조실(6) 내부의 공기 순환 방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나눔벽(8) 측에 배치된 상기 실내 냉동유닛(22)에서 형성된 찬 공기는 상기 송풍용 팬(24)에 의해 상기 제1공기순환슬릿(16)을 통해 상기 격벽(14)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송풍용 팬(24)에 의해 상기 건조실(6) 내부는 와류의 발생 없이 안정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찬 공기의 이동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피건조물은 상기 원적외선 램프(26)에서 방출하는 열에 의해 건조되어 습기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 격벽(14)의 하방 측으로 이동한 상기 찬 공기는 상기 피건조물을 지나 상기 도어부(12)가 형성된 일면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찬 공기는 일정 온도 이하의 건조 공기인 것으로, 비교적 낮은 압력과 비교적 느린 속도로 상기 격벽(14)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찬 공기는 상기 피건조물을 지나면서 상기 피건조물에서 배출된 습기를 머금게 되고, 온도가 점차 상승하게 되면서 압력 또한 점차 상승하게 된다.
상기 건조실(6) 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찬 공기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밀도가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찬 공기의 속도가 점차 빨라지게 된다.
즉, 상기 찬 공기는 상기 도어부(12)가 형성된 일면에 다다랐을 때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다습한 뜨거운 공기가 된다.
상기 뜨거운 공기는 비교적 높은 압력과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상기 제2공기순환슬릿(18)을 통해 상기 격벽(14)의 상방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격벽(14)의 상방 측으로 이동한 상기 뜨거운 공기는 상기 격벽(14)의 상측 공간을 통해 상기 나눔벽(8) 측에 배치된 상기 실내 냉동유닛(22)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뜨거운 공기는 상기 실내 냉동유닛(22)에 의해 다시 일정 온도 이하의 건조한 상기 찬 공기가 되고, 이때 상기 냉각핀과 상기 냉매튜브에 발생된 성에는 상기 제상히터에 의해 녹아 상기 드레인 수조에 저장된 후 상기 드레인 튜브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식품건조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4)의 하방 공간과 상방 공간에서의 공기의 온도 및 압력 차이로 인해 상기 건조실(6) 내부에서 자연대류가 발생되면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하기에서는 상기의 식품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4)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34)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36)와, 외부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처리모듈(38)과, 상기 통신처리모듈(38)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40)과, 상기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암호화모듈(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컨트롤러(34)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식품건조기 내부의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레시피(recipe) 일 수 있다.
상기 레시피는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상기 식품건조기의 가동 시간, 가동 반복 횟수 및 가동 일정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피건조물의 종류별로 각각의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상기 식품건조기의 내부 구성 가동 방법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시피는 상기 피건조물을 원하는 상태로 건조시키기 위한 상기 실내 냉동유닛(22)의 작동 시간 및 작동 간격, 상기 건조실(6) 내부의 휴지 시간, 상기 건조실(6) 내부의 압력, 상기 건조실(6) 내부의 온도, 상기 건조실(6) 내부의 습도, 상기 날개부의 회전 각도, 상기 분무노즐의 분무 각도, 상기 첨가물의 분사 간격 및 분사량, 상기 피건조물의 개수, 상기 피건조물 사이의 간격, 상기 자외선 램프(28)의 작동 시간 및 작동 간격, 상기 원적외선 램프(28)의 작동 시간 및 작동 간격, 상기 원적외선 램프(26)의 원적외선 방출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시피는 동태를 코다리 또는 먹태로 만들거나, 감을 반건시 또는 건시로 만들기 위한 건조 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시피는 상기 동태나 감을 포함하는 모든 식재료를 건조하여 원하는 건조 식품을 얻기 위한 상기 식품건조기의 내부 구성 가동 방법이 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에는 상기 피건조물의 종류별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레시피가 저장될 수 있으며, 어느 한 종류의 상기 피건조물에 대해 상기 컨트롤러(34)의 관리자가 원하는 상태로 건조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레시피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레시피는 데이터의 형태가 아니라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레시피는 상기 외부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노하우인 것으로, 상기 외부장치의 관리자는 상기 컨트롤러(34)에 상기 레시피 전송 시 상기 컨트롤러(34)의 소유자에게 일정 금액의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시피의 모방 및 복제가 불가능하도록 상기 외부장치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전송되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레시피 사용 자격을 취득한 인증된 상기 컨트롤러(34)에만 전송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암호화모듈(42)에는 해당 식품건조기에 대한 인증 수단이 부여된다.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인증 수단이 부여된 상기 식품건조기에서만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게 된다.
동일한 상기 데이터가 서로 다른 다수 개의 컨트롤러(34)에 전송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컨트롤러(34)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암호와 다른 하나의 컨트롤러(34)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암호는 서로 다르다.
상기 컨트롤러(34)는 상기 인증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데이터의 암호를 푼 뒤 상기 데이터를 다운 및 저장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인증 수단은 상기 컨트롤러(34)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지문 인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사용은 상기 외부장치에서 지정한 기간동안에만 실행 가능하다.
상기 암호화 모듈(42)은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Hardware Security Module)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34)에는 상기 식품건조기의 내부 구성 별 작동 버튼 및 상기 컨트롤러(34)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 선택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44)가 포함된다.
상기 식품건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4)의 상기 데이터 선택 버튼을 통해 상기 컨트롤러(34)의 관리자에게 선택된 상기 데이터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4)에는 상기 데이터에 따른 진행 상황을 확인 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34)의 관리자는 상기 식품건조기의 내부 구성 별 작동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식품건조기의 내부 구성 별 가동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4)에는 상기 식품건조기의 내부 구성 별 온오프(on/off)를 나타내는 상기 식품건조기의 작동 상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식품건조기의 내부 구성은 실내 냉동유닛(22), 송풍용 팬(24), 온도센서, 압력센서, 습도센서, 상기 압력밸브, 상기 감압팬, 상기 날개부, 상기 분무노즐, 상기 자외선 램프(28), 상기 원적외선 램프(26) 등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포함된 모든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34)에서 상기 데이터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의 관리자는 상기 통신처리모듈(38)을 통해 해당 컨트롤러(34)에 접속하여 상기 식품건조기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4)에서 상기 데이터 작동 시 상기 컨트롤러(34)의 내부 구성이 작동하는 상태를 상기 컨트롤러(34)에 저장하게 된다. 이는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유지 보수를 위한 것으로, 상기 내부 구성의 해당 상태들을 암호화하여 저장하게 된다.
상기 통신처리모듈로(38)는 시리얼(Serial), 와이파이(Wi-Fi), LoRa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시피는 USB, 메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컨트롤러의 관리자에게 배포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34)에는 릴레이 모듈(46)과 개별 기능 절환 스위치(48)가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식품건조기 내부 구성에는 릴레이가 연결된다.
하기에서는 상기 컨트롤러(34)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해당 컨트롤러(34)에 고유 ID 및 초기 key 값 등의 상기 인증 수단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외부장치의 관리자는 상기 컨트롤러(34)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이때 상기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전송된다.
상기 컨트롤러(34)에서는 상기 통신처리모듈(38)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수단을 통해 상기 데이터의 암호를 푼 뒤 상기 데이터저장모듈(40)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은 USB, 메일, 애플리케이션,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34)의 관리자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된 상기 데이터 중 원하는 상기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컨트롤러(34)의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의 선택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4)의 데이터 선택 버튼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34)의 작동 시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 작동 상태는 별도의 저장 영역에 암호화하여 저장된다.
상기 컨트롤러(34)의 관리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4)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34)의 내부 구성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4)의 내부 구성 작동 상태는 상기 컨트롤러(34)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 웹서버, 전용 프로그램 등을 통해 상기 컨트롤러(34)의 관리자 및 상기 외부장치의 관리자가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하우징
4 : 기계실
6 : 건조실
8 : 나눔벽
10 : 공기배출구
12 : 도어부
14 : 격벽
16 : 제1공기순환슬릿
18 : 제2공기순환슬릿
20 : 삽입홈
22 : 실내 냉동유닛
24 : 송풍용 팬
26 : 원적외선 램프
28 : 자외선 램프
30 : 냉매관
32 : 실외 냉동유닛
34 : 컨트롤러
36 : 중앙처리장치
38 : 통신처리모듈
40 : 암호화모듈
42 : 디스플레이부
44 : 릴레이 모듈
46 : 개별 기능 절환 스위치
4 : 기계실
6 : 건조실
8 : 나눔벽
10 : 공기배출구
12 : 도어부
14 : 격벽
16 : 제1공기순환슬릿
18 : 제2공기순환슬릿
20 : 삽입홈
22 : 실내 냉동유닛
24 : 송풍용 팬
26 : 원적외선 램프
28 : 자외선 램프
30 : 냉매관
32 : 실외 냉동유닛
34 : 컨트롤러
36 : 중앙처리장치
38 : 통신처리모듈
40 : 암호화모듈
42 : 디스플레이부
44 : 릴레이 모듈
46 : 개별 기능 절환 스위치
Claims (6)
- 식품건조기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외부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처리모듈;
상기 통신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
상기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암호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모듈에는 해당 식품건조기의 인증 수단이 부여되며,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인증 수단이 부여된 상기 식품건조기에서만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상기 식품건조기는,
도어부가 형성된 하우징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부는 나눔벽에 의해 기계실과 건조실로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건조실의 일면에는 외부와의 개폐 기능을 하는 상기 도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건조실에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나눔벽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건조실은 내부를 상하로 나누는 형태의 격벽이 설치되되,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측의 높이 보다 하측의 높이가 더 높게 구성되고, 상기 격벽의 상측 공간은 상기 건조실로부터 유입된 고온다습한 공기를 상기 나눔벽 측의 실내 냉동유닛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덕트의 역할을 하되, 상기 격벽은 상기 도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격벽의 양단에는 공기순환슬릿이 형성되되, 상기 나눔벽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일정 길이 부분에는 제1공기순환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가 형성된 일면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일정 길이 부분에는 제2공기순환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상면에는 상기 실내 냉동유닛이 배치되되, 상기 실내 냉동유닛은 상기 격벽의 상면에서 상기 공기순환슬릿의 일측에 배치되고, 냉매관을 통해 기계실에 배치되는 실외 냉동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격벽의 상면에서 상기 실내 냉동유닛의 일측에는 송풍용 팬이 배치되되, 상기 제1공기순환슬릿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 냉동유닛을 통해 형성된 찬 공기는 상기 송풍용 팬에 의해 상기 제1공기순환슬릿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격벽의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찬 공기는 상기 건조실을 순환하면서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의 열교환에 의해 고온화된 후 다시 상기 실내 냉동유닛과 접촉하는 순환 과정을 반복하고,
상기 격벽의 하면에는 상기 격벽 하방의 공기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원적외선 램프가 배치되고, 상기 건조실 내부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복수 개의 자외선 램프가 배치되며,
상기 건조실의 내부는 상기 원적외선 램프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및 상기 자외선 램프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폴리싱 된(polished) 유광의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재질의 판넬로 형성되고,
상기 식품건조기는 상기 격벽의 하방 공간과 상방 공간의 온도차 및 공기의 밀도차로 인해 상기 건조실 내부에 자연대류가 발생되어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컨트롤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식품건조기 내부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상기 식품건조기의 가동 시간, 가동 반복 횟수 및 가동 일정을 포함하는 레시피(recipe)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컨트롤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외부장치에서 지정한 기간 동안에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컨트롤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모듈은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Hardware Security Modu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컨트롤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건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선택된 상기 데이터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컨트롤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통신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식품건조기를 원격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컨트롤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3103A KR102549872B1 (ko) | 2021-12-06 | 2021-12-06 | 건조기 컨트롤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3103A KR102549872B1 (ko) | 2021-12-06 | 2021-12-06 | 건조기 컨트롤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4926A KR20230084926A (ko) | 2023-06-13 |
KR102549872B1 true KR102549872B1 (ko) | 2023-07-05 |
Family
ID=8676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3103A KR102549872B1 (ko) | 2021-12-06 | 2021-12-06 | 건조기 컨트롤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9872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4389B1 (ko) * | 2014-05-29 | 2016-03-17 | 신농(주) | 농산물 건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
KR101690375B1 (ko) | 2014-11-14 | 2016-12-27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농산물 건조기용 제어장치 |
KR101896449B1 (ko) | 2017-12-21 | 2018-09-07 | 주식회사 넷앤드 | 암호화 통신 프로토콜 기반 서버 원격 접근 세션에 대한 보안 감사 및 통제를 위한 접근 통제 시스템 |
KR101934271B1 (ko) | 2017-02-01 | 2019-01-02 | 조병길 | 유기 고형물 건조 순환 시스템 |
JP2019207086A (ja) | 2018-05-30 | 2019-12-05 | 株式会社和陽 | 複数の乾燥装置の制御システム |
KR102174665B1 (ko) * | 2016-11-14 | 2020-11-05 | 인테그리티 시큐리티 서비시즈 엘엘씨 | 디바이스의 보안 프로비저닝 및 관리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5952B1 (ko) | 2015-09-17 | 2016-01-22 | (주)세종이엠에스 | Led 등기구의 전력절감과 패턴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
KR102392474B1 (ko) * | 2017-09-21 | 2022-04-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물인터넷 모듈 |
-
2021
- 2021-12-06 KR KR1020210173103A patent/KR102549872B1/ko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4389B1 (ko) * | 2014-05-29 | 2016-03-17 | 신농(주) | 농산물 건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
KR101690375B1 (ko) | 2014-11-14 | 2016-12-27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농산물 건조기용 제어장치 |
KR102174665B1 (ko) * | 2016-11-14 | 2020-11-05 | 인테그리티 시큐리티 서비시즈 엘엘씨 | 디바이스의 보안 프로비저닝 및 관리 |
KR101934271B1 (ko) | 2017-02-01 | 2019-01-02 | 조병길 | 유기 고형물 건조 순환 시스템 |
KR101896449B1 (ko) | 2017-12-21 | 2018-09-07 | 주식회사 넷앤드 | 암호화 통신 프로토콜 기반 서버 원격 접근 세션에 대한 보안 감사 및 통제를 위한 접근 통제 시스템 |
JP2019207086A (ja) | 2018-05-30 | 2019-12-05 | 株式会社和陽 | 複数の乾燥装置の制御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4926A (ko) | 2023-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4576B1 (ko) | 원적외선을 이용한 강제순환식 농산물 건조장치 | |
KR101876167B1 (ko) | 온습도 자동제어 기능을 갖춘 건조장치 | |
KR101460024B1 (ko) | 제습장치가 내장된 풍향 전환형 감 건조기 | |
CN205373326U (zh) | 一种数显电热鼓风干燥箱 | |
KR101834823B1 (ko) | 폐열회수와 신선외기유입형 멀티존 온도균일제어타입 농산물 건조장치 | |
US20150257431A1 (en) | Food dehydrator | |
KR101834822B1 (ko) | 멀티존 온도균일제어형 농산물 건조장치 | |
KR20150040092A (ko) |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 |
KR102549872B1 (ko) | 건조기 컨트롤러 | |
KR20120054139A (ko) | 건조기 | |
KR102549871B1 (ko) | 식품건조기 | |
KR200238688Y1 (ko) | 전기열풍건조기 겸용 상온 및 저온저장고 | |
MX2013014270A (es) | Secador configurado para secar productos agricolas y metodo asociado. | |
KR101534533B1 (ko) |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 |
KR101996274B1 (ko) | 창고형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 |
KR200410652Y1 (ko) | 축사 온도습도 조절장치 | |
KR102392052B1 (ko) | 풍향 전환식 농산물 건조기 | |
JP3220986U (ja) | 外気導入装置 | |
KR101674899B1 (ko) | 제습식 적외선 건조장치 | |
JP2004019989A (ja) | 干し柿の乾燥装置 | |
RU2208341C2 (ru) | Шкаф для сушки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 |
KR100932445B1 (ko) | 농수산물 건조기용 댐퍼 | |
KR102721180B1 (ko) | 4방향 열풍식 농수산물 건조기 | |
KR102368424B1 (ko) | 농수산물 건조설비 | |
KR100423706B1 (ko) | 목재 건조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