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787B1 -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787B1
KR102549787B1 KR1020217021538A KR20217021538A KR102549787B1 KR 102549787 B1 KR102549787 B1 KR 102549787B1 KR 1020217021538 A KR1020217021538 A KR 1020217021538A KR 20217021538 A KR20217021538 A KR 20217021538A KR 102549787 B1 KR102549787 B1 KR 102549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display
image
cropping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170A (ko
Inventor
세이지 오가와
신 무라카미
타카시 요시미
키요토 우에다
겐지로 시바가미
코타로 오구마
코키 키타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7843A external-priority patent/JP72044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7842A external-priority patent/JP73279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7845A external-priority patent/JP73138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8329A external-priority patent/JP72080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8311A external-priority patent/JP72787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7844A external-priority patent/JP7214475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with head-mounted left-righ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2Improving the 3D impression of stereoscopic images by modifying image signal contents, e.g. by filtering or adding monoscopic depth c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7Synchronising or controll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제1의 화면에서의 상기 VR콘텐츠의 표시중에, 유저로부터의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영상범위이며, 상기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했을 때의 표시 범위의 위치에 근거한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고, 특히, 광범위한 영상을 가지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방위 화상, 전천구 화상이라고 한, 인간의 시야각보다 넓은 범위의 영상을 가지는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넓은 범위의 영상을 가지는 화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장치의 자세의 변화에 추종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의 범위(표시 범위)를 변경 함으로써, 몰입감이나 현장감이 높은 표시(VR뷰)를 행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전방위 화상의 촬영에 있어서는, 촬영자 자신등, 불필요한 피사체가 찍혀버리는 케이스가 많다. 그 때문에 유저가, 필요한 개소만을 잘라내고, 혹은 불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전방위 화상을 재생가능한 전자기기에는 유용하다.
특허문헌 1,2에는, 전방위 화상의 임의의 위치를 유저가 지정하고, 그 임의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전방위 화상으로부터 잘라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13-127739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2012-29180호 공보
특허문헌 1,2에서는, 전방위 화상(VR콘텐츠)으로부터, VR콘텐츠가 아닌 통상의 화상을 잘라내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지만, 전방위 화상(VR콘텐츠)으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잘라내는 것에 대해서 고려되지 않고 있다. 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잘라낼 경우, 잘라내기 후의 VR콘텐츠의 영상의 범위는 잘라내기 전보다 좁다고 하지만, 그 범위는 통상의 배율의 VR뷰에서 한 번에 표시되는 표시 범위보다도 넓다. 그 때문에, 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잘라내는 조작 과정에 있어서, 잘라내기 후의 VR콘텐츠의 영상의 범위로 잘라내기 전의 VR콘텐츠의 어느 범위가 포함되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잘라내는 경우, 잘라내기 후의 VR콘텐츠의 중앙이 수평방향으로부터 상하(앙부각 방향)로 어긋나면, 잘라내기 후의 VR콘텐츠의 영상범위에 천정 혹은 천저를 넘는 범위가 포함되고, 바라보기 어려운 범위를 포함하는 영상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1)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조작성 좋게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 (2)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생성할 때에, 잘라내기 후의 VR콘텐츠의 영상의 범위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기술, 또는, (3)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보다 적합하게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 변화에 따라 또는 유저 조작의 접수에 따라 화면에 가상 구체로 매핑되는 전방위 화상의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유저로부터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잘라내기 지시가 접수되었을 때, 상기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된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서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기준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방위 화상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가상 구체로 매핑되는 잘라낸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잘라낸 화상의 화각은, 상기 전방위 화상의 화각보다 좁고,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의 화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조작성 좋게 생성할 수 있거나, (2)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생성할 때에, 잘라내기 후의 VR콘텐츠의 영상의 범위를 따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거나, 또는, (3)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보다 적합하게 생성할 수 있다.
[도1] 디지탈 카메라의 외관도 및 블록도다.
[도2] 전자기기의 외관도나 블록도등이다.
[도3] VR뷰 표시의 흐름도다.
[도4] 잘라내기 편집 처리의 흐름도다.
[도5] 잘라내기 프리뷰 처리의 흐름도다.
[도6] VR뷰 표시, 잘라내기 편집 화면, 프리뷰 화면의 일례다.
[도7] 반구 전체 표시의 일례다.
[도8] 2화면 표시 처리의 흐름도다.
[도9] 2화면 표시의 일례다.
[도10] 끝 미조정 처리의 흐름도다.
[도11] 끝 미조정 화면의 일례다.
[도12] 불필요 개소 지정 처리의 흐름도다.
[도13] 불필요 개소 지정용 화면의 일례다.
[도14] 선택 무효범위가 설정될 때까지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다.
[도15] 잘라내기 편집 화면과 프리뷰 화면의 일례다.
[도16] 앙부각의 유효/무효에 의한 잘라내기의 차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다.
[도17] 잘라내기 범위의 가이던스 표시의 일례다.
[도18] VR화상의 각종 표시의 일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a)는, 디지탈 카메라 100(촬상 장치)의 전방면 사시도(외관도)이다. 도1(b)는, 디지탈 카메라 100의 배면 사시도(외관도)이다. 디지탈 카메라 100은, 전방위 카메라(전천구 카메라)이다.
배리어 102a는, 디지탈 카메라 100의 전방을 촬영 범위로 한 전방 카메라부를 위한 보호창이다. 전방 카메라부는, 예를 들면, 디지탈 카메라 100 앞측의 상하 좌우 180도이상의 광범위를 촬영 범위로 하는 광각 카메라부다. 배리어 102b는, 디지탈 카메라 100의 후방을 촬영 범위로 한 후방 카메라부를 위한 보호창이다. 후방 카메라부는, 예를 들면, 디지탈 카메라 100의 뒤쪽의 상하 좌우 180도이상의 광범위를 촬영 범위로 하는 광각 카메라부다.
표시부 28은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셔터 버튼 61은 촬영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부(조작 부재)이다. 모드 전환 스위치 60은 각종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부다. 접속I/F 25는, 접속 케이블을 디지탈 카메라 100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며, 접속 케이블을 사용하여, 스마트 폰,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전등의 외부기기가 디지탈 카메라 100에 접속된다. 조작부 70은,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을 접수하는 각종 스위치, 버튼, 다이얼, 터치 센서 등이다. 전원 스위치 72는, 전원의 온/오프를 전환하기 위한 누름 버튼이다.
발광부 21은, 발광 다이오드(LED)등의 발광 부재이며, 디지탈 카메라 100의 각종 상태를 발광 패턴이나 발광 색에 의해 유저에게 통지한다. 고정부 40은, 예를 들면 삼각 나사 구멍이며, 삼각등의 고정 기구로 디지탈 카메라 100을 고정하여 설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1(c)는, 디지탈 카메라 100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다.
배리어 102a는, 전방 카메라부의 촬상계(촬영 렌즈 103a, 셔터 101a, 촬상부 22a 등)를 덮는 것에 의해, 해당 촬상계의 오물이나 파손을 방지한다. 촬영 렌즈 103a는, 줌렌즈나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군이며, 광각렌즈다. 셔터 101a는, 촬상부 22a에의 피사체광의 입사량을 조정하는 조리개 기능을 가지는 셔터다. 촬상부 22a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나 CMOS소자등으로 구성되는 촬상 소자(촬상 센서)이다. A/D변환기 23a는, 촬상부 22a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배리어 102a를 설치하지 않고, 촬영 렌즈 103a의 외측의 면이 노출하여, 촬영 렌즈 103a에 의해 다른 촬상계(셔터 101a나 촬상부 22a)의 오물이나 파손을 방지해도 좋다.
배리어 102b는, 후방 카메라부의 촬상계(촬영 렌즈 103b, 셔터 101b, 촬상부 22b등)를 덮는 것에 의해, 해당 촬상계의 오물이나 파손을 방지한다. 촬영 렌즈 103b는, 줌렌즈나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군이며, 광각렌즈다. 셔터 101b는, 촬상부 22b에의 피사체광의 입사량을 조정하는 조리개 기능을 가지는 셔터다. 촬상부 22b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나 CMOS소자등으로 구성되는 촬상 소자다. A/D변환기 23b는, 촬상부 22b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배리어 102b를 설치하지 않고, 촬영 렌즈 103b의 외측의 면이 노출하여, 촬영 렌즈 103b에 의해 다른 촬상계(셔터 101b나 촬상부 22b)의 오물이나 파손을 방지해도 좋다.
촬상부 22a와 촬상부 22b에 의해, VR(Virtual Reality)화상이 촬상된다. VR화상이란, VR표시(표시 모드 「VR뷰」로 표시)를 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인 것으로 한다. VR화상에는, 전방위 카메라(전천구 카메라)로 촬상한 전방위 화상(전천구 화상)이나, 표시부에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범위보다 넓은 영상범위(유효영상범위)를 가지는 파노라마 화상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VR화상에는, 정지 화상뿐만 아니라, 동화상이나 라이브 뷰 화상(카메라로부터 거의 실시간으로 취득한 화상)도 포함된다. VR화상은, 최대로 상하 방향(수직각도, 천정으로부터의 각도, 앙각, 부각, 고도 각도, 피치각) 360도, 좌우 방향(수평각도, 방위각도, 요(yaw)각) 360도의 시야분의 영상범위(유효영상범위)를 가진다.
또한, VR화상은, 상하 360도미만, 좌우 360도미만이여도, 통상의 카메라로 촬영가능한 화각보다도 넓은 광범한 화각(시야범위), 혹은, 표시부에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범위보다 넓은 영상범위(유효영상범위)를 가지는 화상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좌우 방향(수평각도, 방위각도) 360도, 천정(zenith)을 중심으로 한 수직각도 210도의 시야분(화각분)의 피사체를 촬영가능한 전천구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은 VR화상의 일종이다. 또한, 예를 들면, 좌우 방향(수평각도, 방위각도) 180도,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한 수직각도 180도의 시야분(화각분)의 피사체를 촬영가능한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은 VR화상의 일종이다. 다시 말해,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각각 160도(±80도)이상의 시야분의 영상범위를 가지고 있고, 인간이 한 번에 시인할 수 있는 범위보다도 넓은 영상범위를 가지고 있는 화상은 VR화상의 일종이다.
이 VR화상을 VR표시(표시 모드 「VR뷰」로 표시)하면, 좌우 회전 방향으로 표시장치(VR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좌우 방향(수평회전 방향)으로는 이음매가 없는 전방위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하 방향(수직회전 방향)으로는, 바로 위(천정)으로부터 ±105도의 범위에서는 이음매가 없는 전방위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지만, 바로 위로부터 105도를 초과하는 범위는 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블랭크 영역이 된다. VR화상은, 「영상범위가 가상 공간(VR공간)의 적어도 일부인 화상」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VR표시(VR뷰)란, VR화상 중, 표시장치의 자세에 따른 시야범위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범위를 변경가능한 표시 방법(표시 모드)이다. 표시장치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를 장착해서 시청할 경우에는, 유저의 얼굴의 방향에 따른 시야범위의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면, VR화상 중, 어떤 시점에서 좌우 방향으로 0도(특정한 방위, 예를 들면 북쪽), 상하 방향으로 90도(천정으로부터 90도, 즉 수평)를 중심으로 한 시야각(화각)의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로부터, 표시장치의 자세를 표리 반전시키면(예를 들면, 표시면을 남향으로부터 북향으로 변경하면), 같은 VR화상 중, 좌우 방향으로 180도(반대의 방위, 예를 들면 남쪽), 상하 방향으로 90도(수평)를 중심으로 한 시야각의 영상에, 표시 범위가 변경된다. 유저가 HMD를 시청하고 있을 경우에서 말하면, 유저가 얼굴을 북쪽에서 남쪽을 향하면(즉, 뒤를 향하면), HMD에 표시되는 영상도 북쪽의 영상으로부터 남쪽의 영상으로 변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VR표시에 의해, 유저에게, 시각적으로 마치 VR화상내(VR공간내)의 그 자리에 있는 것 같은 감각(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VR고글(헤드 마운트 어댑터)에 장착된 스마트 폰은, HMD의 일종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VR화상의 표시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자세변화가 아니라, 터치패널이나 방향 버튼등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서, 표시 범위를 이동(스크롤)시켜도 좋다. VR표시시(표시 모드 「VR뷰」시)에 있어서, 자세변화에 의한 표시 범위의 변경에 더하여, 터치패널에의 터치 무브, 마우스등에의 드랙 조작, 방향 버튼의 누름등에 따라서 표시 범위를 변경할 수 있게 해도 좋다.
화상처리부 24는, A/D변환기 23a나 A/D변환기 23b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 1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보간, 축소라고 한 리사이즈 처리나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부 24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한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화상처리부 24에 의해 얻어진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노광 제어나 측거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TTL(스루·더·렌즈)방식의 AF(오토포커스)처리, AE(자동노출)처리, EF(플래시 사전 발광)처리등이 행해진다. 화상처리부 24는 더욱,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얻어진 연산 결과에 근거해서 TTL방식의 AWB(오토화이트 밸런스)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부 24는, A/D변환기 23a와 A/D변환기 23b로부터 얻어진 2개의 화상(2개의 어안 화상; 2개의 광각화상)에 기본적인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기본적인 화상처리가 실시된 2개의 화상을 합성하는 연결 화상처리를 행하고, 단일의 VR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화상처리부 24는, 라이브 뷰에서의 VR표시시, 혹은 재생시에, VR화상을 VR표시하기 위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 확대 처리, 왜곡 보정등을 행하고, 메모리 32의 VRAM에 처리 결과를 묘화하는 렌더링을 행한다.
연결 화상처리에서는, 화상처리부 24는, 2개의 화상의 한쪽을 기준화상, 다른 쪽을 비교 화상으로서 사용하여, 패턴 매칭 처리에 의해 에어리어마다 기준화상과 비교 화상의 어긋남량을 산출하고, 에어리어마다의 어긋남량에 근거하여, 2개의 화상을 연결하는 연결 위치를 검출한다. 화상처리부 24는, 검출한 연결 위치와 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고려하여, 기하학 변환에 의해 각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고, 각 화상을 전천구 형식(전천구 이미지 형식)의 화상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화상처리부 24는, 전천구 형식의 2개의 화상을 합성(블렌드)함으로써, 1개의 전천구 화상(VR화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전천구 화상은, 예를 들면 정거원통도법을 사용한 화상이며, 전천구 화상의 각 화소의 위치는 구체(VR공간)의 표면의 좌표와 대응시킬 수 있다.
A/D변환기 23a, 23b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는, 화상처리부 24 및 메모리 제어부 15를 통하거나, 혹은, 화상처리부 24를 통하지 않고 메모리 제어부 15를 통해 메모리 32에 기록된다. 메모리 32는, 촬상부 22a, 22b에 의해 얻어져 A/D변환기 23a, 23b에 의해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나, 접속I/F 25로부터 외부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다. 메모리 32는, 소정매수의 정지 화상이나 소정시간의 동화상 및 음성을 격납하는 데도 충분한 기억 용량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 32는 화상표시용의 메모리(비디오 메모리)를 겸하고 있다. 메모리 32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표시용의 데이터는, 접속I/F 25로부터 외부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촬상부 22a, 22b로 촬상되어, 화상처리부 24에서 생성된 VR화상이며, 메모리 32에 축적된 VR화상을 외부 디스플레이에 차차 전송해서 표시함으로써, 전자 뷰 파인더로서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라이브 뷰 표시(LV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하, 라이브 뷰 표시로 표시되는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LV화상)이라고 칭한다. 또한, 메모리 32에 축적된 VR화상을, 통신부 54를 통해 무선접속된 외부기기(스마트 폰등)에 전송하여, 외부기기측에서 표시함으로써도 라이브 뷰 표시(리모트 LV표시)를 행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 56은, 전기적으로 소거·기록가능한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이며, 예를 들면 EEPROM등이다. 불휘발성 메모리 56에는, 시스템 제어부 50의 동작용의 정수, 프로그램 등이 기록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프로그램이란,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 또는 회로를 가지는 제어부이며, 디지탈 카메라 100 전체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전술한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 52는 예를 들면 RAM이며, 시스템 메모리 52에는, 시스템 제어부 50의 동작용의 정수, 변수, 불휘발성 메모리 56으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등이 전개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 50은, 메모리 32, 화상처리부 24, 메모리 제어부 15등을 제어 함에 의해 표시 제어도 행한다. 시스템 타이머 53은, 각종 제어에 사용하는 시간이나, 내장된 시계의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측정부다.
모드 전환 스위치 60, 셔터 버튼 61, 조작부 70, 및, 전원 스위치 72는, 시스템 제어부 50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모드 전환 스위치 60은, 시스템 제어부 50의 동작 모드를 정지 화상 기록 모드, 동화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통신 접속 모드 등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한다.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 포함되는 모드로서, 오토 촬영 모드, 오토 씬 판별 모드, 메뉴얼 모드, 조리개 우선 모드(Av모드), 셔터 속도 우선 모드(Tv모드), 프로그램 AE모드가 있다. 또한, 촬영 씬별의 촬영 설정이 되는 각종 씬 모드, 커스텀 모드 등이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 60으로부터, 유저는, 이것들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직접 전환할 수 있다. 혹은, 모드 전환 스위치 60으로 촬영 모드의 일람 화면에 일단 전환한 후에, 표시부 28에 표시된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다른 조작 부재를 사용해서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동화상 촬영 모드에도 복수의 모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셔터 버튼 61은, 제1셔터 스위치 62와 제2셔터 스위치 64를 구비한다. 제1셔터 스위치 62는, 셔터 버튼 61의 조작 도중, 소위 반가압(촬영 준비 지시)으로 ON이 되어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을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에 의해, AF(오토포커스)처리, AE(자동노출)처리, AWB(오토 화이트 밸런스)처리, EF(플래시 사전 발광)처리등의 촬영 준비 동작을 시작한다. 제2셔터 스위치 64는, 셔터 버튼 61의 조작 완료, 소위 완전가압(촬영 지시)으로 ON이 되고,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을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에 의해, 촬상부 22a, 22b로부터의 신호 판독으로부터 기록 매체 9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때까지의 일련의 촬영 처리의 동작을 시작한다.
또한, 셔터 버튼 61은 완전가압과 반가압의 2단계의 조작이 가능한 조작 부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1단계의 누름만이 가능한 조작 부재이여도 좋다. 그 경우는, 1단계의 누름에 의해 촬영 준비 동작과 촬영 처리가 연속해서 행해진다. 이것은, 반가압과 완전가압이 가능한 셔터 버튼을 완전가압했을 경우(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과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가 거의 동시에 발생했을 경우)와 같은 동작이다.
조작부 70은, 표시부 28에 표시되는 여러 가지의 기능 아이콘이나 선택지를 선택 조작하는 것등에 의해, 장면마다 적절히 기능이 할당되어, 각종 기능 버튼으로서 작용한다. 기능 버튼으로서는, 예를 들면 종료 버튼, 되돌아가기 버튼, 화상이송 버튼, 점프 버튼, 범위 축소 버튼, 속성변경 버튼 등이 있다. 예를 들면, 메뉴 버튼이 눌리면 각종의 설정가능한 메뉴 화면이 표시부 28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부 28에 표시된 메뉴 화면을 보면서 조작부 70을 조작함으로써, 직감적으로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 72는, 전원의 온/오프를 전환하기 위한 누름 버튼이다. 전원제어부 80은, 전지검출 회로, DC-DC컨버터, 통전하는 블록을 전환하는 스위치 회로등에 의해 구성되어, 전지의 장착의 유무, 전지의 종류, 전지잔량등의 검출을 행한다. 또한, 전원제어부 80은,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 50의 지시에 근거해서 DC-DC컨버터를 제어하고,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 기록 매체 90을 포함하는 각 부에 공급한다. 전원부 30은, 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등의 일차전지, NiCd전지나 NiMH전지, Li전지등의 이차전지, AC어댑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록 매체I/F 18은,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 90과의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 90은,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이며, 반도체 메모리나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기록 매체 90은, 디지탈 카메라 100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교환 기록 매체이여도 좋고, 디지탈 카메라 100에 내장된 기록 매체이여도 좋다.
통신부 54는, 무선 또는 유선 케이블에 의해 접속된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등의 송수신을 행한다. 통신부 54는, 무선LAN(Local Area Network)이나 인터넷에도 접속가능하다. 통신부 54는 촬상부 22a, 22b로 촬상한 화상(LV화상을 포함한다)이나, 기록 매체 90에 기록된 화상을 송신가능해서, 외부기기로부터 화상이나 그 밖의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검지부 55는, 중력방향에 대한 디지탈 카메라 100의 자세를 검지한다. 자세검지부 55로 검지된 자세에 근거하여, 촬상부 22a, 22b로 촬영된 화상이, 디지탈 카메라 100을 횡으로 자세를 취해서 촬영된 화상인지, 종으로 자세를 취해서 촬영된 화상인지를 판별가능하다. 또한, 촬상부 22a, 22b로 촬영된 화상이, 요 방향, 피치 방향, 롤 방향의 3축방향(회전 방향)으로 디지탈 카메라 100을 어느 정도 기울여서 촬영된 화상인지를 판별가능하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자세검지부 55로 검지된 자세에 따른 방향 정보를 촬상부 22a, 22b로 촬상된 VR화상의 화상 파일에 부가하거나, 화상을 회전(기울기 보정(천정보정)하도록 화상의 방향을 조정)해서 기록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방위 센서, 고도 센서등 중 1개의 센서 또는 복수의 센서의 조합을, 자세검지부 55로서 사용할 수 있다. 자세검지부 55를 구성하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방위 센서 등을 사용하여, 디지탈 카메라 100의 움직임(팬, 틸트, 들어올림, 정지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 등)을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이크 20은, 동화상인 VR화상(VR동화상)의 음성으로서 기록되는 디지탈 카메라 100의 주위의 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로폰이다. 접속I/F 25는, 외부기기와 접속해서 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HDMI(등록상표)케이블이나 USB케이블등이 접속되는 접속 플러그다.
도2(a)는, 표시 제어장치의 일종인 전자기기 200의 외관도다. 전자기기 200은, 예를 들면 스마트 폰등의 표시장치다. 디스플레이 205는 화상이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다. 디스플레이 205는 터치패널 206a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디스플레이 205의 표시면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자기기 200은, VR화상(VR콘텐츠)을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 VR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부 206b는 전자기기 200의 전원의 온과 오프를 전환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전원 버튼이다. 조작부 206c와 조작부 206d는, 스피커 212b나, 음성출력 단자 212a에 접속된 이어폰이나 외부 스피커등으로부터 출력하는 음성의 볼륨을 증감하는 볼륨 버튼이다. 조작부 206e는, 디스플레이 205에 홈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홈 버튼이다. 음성출력 단자 212a는 이어폰 잭이며, 이어폰이나 외부 스피커등에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다. 스피커 212b는 음성을 출력하는 본체 내장 스피커다.
도2(b)는, 전자기기 200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다. 내부 버스 250에 대하여 CPU 201, 메모리 202, 불휘발성 메모리 203, 화상처리부 204, 디스플레이 205, 조작부 206, 기록 매체I/F 207, 외부I/F 209, 및, 통신I/F 210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내부 버스 250에 대하여 음성출력부 212와 자세검출부 213도 접속되어 있다. 내부 버스 250에 접속되는 각 부는, 내부 버스 250을 통해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CPU 201은, 전자기기 200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며,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 또는 회로로 이루어진다. 메모리 202는, 예를 들면 RAM(반도체소자를 이용한 휘발성의 메모리등)으로 이루어진다. CPU 201은,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 203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메모리 202를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하여, 전자기기 200의 각 부를 제어한다. 불휘발성 메모리 203에는,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그 밖의 데이터, CPU 201이 동작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등이 격납된다. 불휘발성 메모리 203은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나 ROM등으로 구성된다.
화상처리부 204는, CPU 201의 제어에 근거하여, 불휘발성 메모리 203이나 기록 매체 208에 격납된 화상이나, 외부I/F 209를 통해 취득한 영상신호, 통신I/F 210을 통해 취득한 화상등에 대하여 각종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화상처리부 204가 행하는 화상처리에는, A/D변환 처리, D/A변환 처리,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 처리, 압축 처리, 디코드 처리, 확대/축소 처리(리사이즈), 노이즈 저감 처리, 색 변환처리등이 포함된다. 또한, 전방위 화상 혹은 전방위가 아니든 광범위의 영상을 가지는 광범위 화상인 VR화상의 파노라마 전개나 매핑 처리, 변환등의 각종 화상처리도 행한다. 화상처리부 204는 특정한 화상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전용의 회로 블록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화상처리의 종별에 따라서는 화상처리부 204를 사용하지 않고 CPU 201이 프로그램에 따라서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205는, CPU 201의 제어에 근거하여, 화상이나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을 구성하는 GUI화면등을 표시한다. CPU 201은, 프로그램에 따라 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205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생성해서 디스플레이 205에 출력하도록 전자기기 200의 각 부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205는 생성·출력된 영상신호에 근거해서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전자기기 200 자체가 구비하는 구성으로서는 디스플레이 205에 표시시키기 위한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까지로 하고, 디스플레이 205는 외장형의 모니터(텔레비전이나 HMD등)로 구성해도 좋다.
조작부 206은, 키보드등의 문자정보입력 디바이스나, 마우스나 터치패널이라고 한 포인팅 디바이스, 버튼, 다이얼, 조이 스틱, 터치 센서, 터치 패드등을 포함하는, 유저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 206은, 터치패널 206a, 조작부 206b, 206c, 206d, 206e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I/F 207에는, 메모리 카드나 CD, DVD라고 한 기록 매체 208이 착탈가능하다. 기록 매체I/F 207은, CPU 201의 제어에 근거하여, 장착된 기록 매체 208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나, 기록 매체 208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 기록 매체 208은, 디스플레이 205로 표시하기 위한 화상등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외부I/F 209는, 유선 케이블(USB케이블등)이나 무선에 의해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영상신호나 음성신호의 입출력(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통신I/F 210은, 외부기기나 인터넷 211등과 통신(무선통신)하고, 파일이나 커맨드등의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음성출력부 212는, 전자기기 200에서 재생하는 동화상이나 음악 데이터의 음성이나, 조작음, 착신음, 각종 통지음 등을 출력한다. 음성출력부 212에는, 이어폰 등을 접속하는 음성출력 단자 212a, 스피커 212b가 포함되는 것으로 하지만, 음성출력부 212는 무선통신등으로 외부 스피커에 음성 데이터를 출력해도 좋다.
자세검출부 213은, 중력방향에 대한 전자기기 200의 자세(기울기)나, 요 방향, 피치 방향, 롤 방향의 각 축에 대한 전자기기 200의 자세를 검출하여, CPU 201에 자세정보를 통지한다. 자세검출부 213로 검출된 자세에 근거하여, 전자기기 200이 횡으로 유지되어 있는지, 종으로 유지되어 있는지, 위로 향하였는지, 아래로 향하였는지, 비스듬한 자세로 되었는지등을 판별가능하다. 또한, 요 방향, 피치 방향, 롤 방향등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전자기기 200의 기울기의 유무나 크기, 해당 회전 방향으로 전자기기 200이 회전했는지등을 판별가능하다.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방위 센서, 고도 센서등 중 1개의 센서 또는 복수의 센서의 조합을, 자세검출부 213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것 같이, 조작부 206에는 터치패널 206a가 포함된다. 터치패널 206a는, 디스플레이 205에 포개서 평면적으로 구성되어, 접촉된 위치에 따른 좌표정보가 출력되도록 한 입력 디바이스다. CPU 201은 터치패널 206a에의 이하의 조작, 혹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 터치패널 206a에 터치하지 않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펜이 새롭게 터치패널 206a에 터치한 것, 즉 터치의 시작(이하, 터치다운(Touch-Down)이라고 칭한다)
· 터치패널 206a를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하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온(Touch-On)이라고 칭한다)
·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패널 206a를 터치한 채 이동하고 있는 것(이하, 터치 무브(Touch-Move)이라고 칭한다)
· 터치패널 206a에 터치하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패널 206a로부터 떨어진 것, 즉 터치의 종료(이하, 터치업(Touch-Up)이라고 칭한다)
· 터치패널 206a에 아무것도 터치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오프(Touch-Off)라고 칭한다)
터치다운이 검출되면, 동시에 터치 온도 검출된다. 터치다운 후, 터치업이 검출되지 않는 한은, 통상은 터치 온이 계속 검출된다. 터치 무브가 검출되었을 경우도, 동시에 터치 온이 검출된다. 터치 온이 검출되어 있어도, 터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있으면 터치 무브는 검출되지 않는다. 터치하고 있었던 모든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업 한 것이 검출되면, 터치 오프가 검출된다.
이것들의 조작·상태나, 터치패널 206a 위에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 좌표는 내부 버스를 통해서 CPU 201에 통지되고, CPU 201은 통지된 정보에 근거해서 터치패널 206a 위에 어떤 조작(터치 조작)이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 터치 무브에 대해서는 터치패널 206a 위에서 이동하는 손가락이나 펜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도, 위치 좌표의 변화에 근거하여, 터치패널 206a 위의 수직성분·수평성분마다 판정할 수 있다. 소정거리이상을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는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한다. 터치 무브는, 유저가 터치패널 206a에 대해 행한 이동 조작이다. 후술하는 터치 무브에 따른 각종 처리는, 마찬가지로 이동 조작인 마우스로의 드랙 조작에 따라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패널 206a 위에 손가락을 터치한 채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재빠르게 움직이고, 그대로 뗀 조작을 플릭이라고 부른다. 플릭은, 바꿔 말하면 터치패널 206a 위를 손가락으로 튕기는 것 같이 재빠르게 덧그리는 조작이다. 소정거리이상을, 소정속도이상으로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되어, 그대로 터치업이 검출되면 플릭이 행해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슬라이드 조작에 이어서 플릭이 있었던 것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더욱, 복수개소(예를 들면 2점)를 동시에 터치하고, 서로의 터치 위치를 가깝게 하는 터치 조작을 핀치 인, 서로의 터치 위치를 멀리하는 터치 조작을 핀치 아웃이라고 칭한다. 핀치 아웃과 핀치 인을 총칭하여 핀치 조작(혹은, 간단히 핀치)이라고 칭한다. 터치패널 206a는, 저항막 방식이나 정전용량 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유도방식, 화상인식 방식, 광 센서 방식등, 여러가지 방식의 터치패널 중 어느 쪽의 방식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터치패널에 대한 접촉이 있었던 것으로 터치가 있었다고 검출하는 방식이나, 터치패널에 대한 손가락이나 펜의 접근이 있었던 것으로 터치가 있었다고 검출하는 방식이 있지만, 어느 쪽의 방식이어도 좋다.
도2(c)는, 전자기기 200을 장착가능한 VR고글(헤드 마운트 어댑터) 230의 외관도다. 전자기기 200은, VR고글 230에 장착함으로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구 231은, 전자기기 200을 꽂아넣기 위한 삽입구다. 디스플레이 205의 표시면을, VR고글 230을 유저의 머리 부분에 고정하기 위한 헤드밴드 232측(즉, 유저측)을 향해서 전자기기 200의 전체를 VR고글230에 꽂아넣을 수 있다. 유저는, 전자기기 200이 장착된 VR고글 230을 머리 부분에 장착한 상태에서, 손으로 전자기기 200을 보유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205를 시인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유저가 머리 부분 또는 몸 전체를 움직이면, 전자기기 200의 자세도 변화된다. 자세검출부 213은 이때의 전자기기 200의 자세변화를 검출하여, 이 자세변화에 근거하여 CPU 201이 VR표시를 위한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에, 자세검출부 213이 전자기기 200의 자세를 검출하는 것은, 유저의 머리 부분의 자세(유저의 시선이 향하고 있는 방향)를 검출하는 것과 동등하다. 또한, 전자기기 200 자체가, VR고글 없이도 머리 부분에 도착가능한 HMD이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대로 상하 좌우로 360도의 시야분의 영상범위(유효영상범위)를 가지는 VR화상으로부터, 상하 좌우로 180도의 시야분의 영상범위(유효영상범위)를 가지는 VR화상을 잘라내는 조작 및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최대로 상하 좌우로 360도의 시야분의 영상범위(유효영상범위)를 가지는 VR화상을, 360도의 VR화상이라고 칭한다. 또한, 상하 좌우로 180도의 시야분의 영상범위(유효영상범위)를 가지는 VR화상을, 180도의 VR화상이라고 칭한다.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180도의 VR화상을 잘라내는 처리는, 개념으로서는, 360도분의 영상이 전체에 매핑된 가상적인 구체로부터, 반구를 잘라내는 처리다.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잘라내기는, 통상의 직사각형 화상(평면화상)을 잘라내는 처리가 아니라, 잘라내기 후도 VR화상으로서 시청 가능(구체에 매핑해서 VR뷰에서 시청 가능)한 화상을 잘라내는 처리다. 잘라내기 후의 화상은 상하 좌우 180도분의 유효영상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구체에 매핑했을 경우에는, 반구분의 유효한 영상(촬영된 화상등)이 매핑된다. 나머지의 반구분은 무효영상범위가 되고, 단색이나 소정 패턴으로의 채워지거나, 뭔가 보완된 영상이 매핑된다. 이러한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을 VR뷰에서 시청할 경우, 유저는, 전방의 폭 180도의 범위(중심으로부터 상하 좌우로 각각 90도의 범위)에서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잘라내기 처리를 행하는 이유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이 있다.
제1에, 화상의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다. 360도의 VR화상에 대하여, 잘라내진 180도의 VR화상은 데이터량이 작다. 그 때문에, 보존할 때의 기록 매체의 용량압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할 때의 통신 데이터량의 삭감, 표시할 때의 처리 부하의 삭감을 할 수 있고, 그 만큼, 처리 속도나 응답 속도의 향상, 소비 전력의 삭감이라고 한 효과를 발휘한다.
제2에, 불필요한 피사체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60도의 시야분의 유효영상범위를 가지는 VR화상을 촬상하는 대부분의 경우, 촬영자 자신이 찍히는 것을 피할 수 없다. 그러나, 촬영자가 촬영하고 싶은 것이 촬영자 자신이 아니라 풍경등일 경우, 촬영자 자신은 불필요한 피사체이며, 의도하지 않는 것이다. 의도하지 않는 영상이 찍혀 있으면, 촬영자가 주제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풍경등의 영상에 시청자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것을 저해해버린다. 또한, 통행인의 얼굴이나 통행하는 차의 번호판이라고 한 은닉해야 할 정보가 찍혀버리는 것도 많고, 프라이버시나 시큐러티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잘라내기 처리에 의해, 촬영자가 의도하는 범위만을 잘라내고, 그 밖의 불필요한 범위의 영상을 파기함으로써, 이것들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제3에, VR뷰에서 시청하는 유저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360도의 VR화상을 VR뷰에서 시청할 경우, 시청하는 유저의 배후까지 영상이 존재한다. 전방의 180도분의 영상이면, 시청자는 자신의 목의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 대강 바라볼 수 있지만, 배후를 보려고 하면, 상반신을 뒤틀거나, 서는 방향을 바꾸거나 하지 않으면 안되어, 신체적 부담이 다소 높다. 이러한 배후를 보려고 하는 신체적 움직임은, 회전 체어가 아닌 한, 의자에 앉아서 시청하는 경우에는 맞지 않다. 이것에 대하여, 180도의 VR화상에서는 자신의 목의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 대강 전체를 바라볼 수 있으므로, 감상할 때의 신체적 부담이 비교적 작다. 가이드 표시나 180도를 초과한 범위가 무효영역인 것을 아는 표시에 의해, 시청자가 180도의 VR화상인 것을 인식하고 있으면, 시청자는 배후를 보려고 시험해 보는 일도 없다. 그 때문에, 배후를 본다고 한 신체적 동작을 시청자에게 행하게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에, 360도의 VR화상을, 180도의 VR화상을 위한 기록 포맷등에 대응시켜서 표시시킬 수 있다. 360도의 VR화상의 기록 포맷과, 180도분의 VR화상을 위한 기록 포맷이 상이한 경우, 180도분의 VR화상의 시청에만 대응한 재생장치(재생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서는, 360도의 VR화상을 시청할 수 없다. 그러나,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잘라내서 180도의 VR화상을 생성하면, 180도분의 VR화상의 시청에만 대응한 재생장치라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180도의 VR화상의 시청과 360도의 VR화상의 시청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어도, 180도의 VR화상을 시청하는 모드와 360도의 VR화상을 시청하는 모드를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환의 조작이 번거롭다. 그러나,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잘라내서 180도의 VR화상을 생성하면, 180도분의 VR화상을 위한 표시 모드를 전환하지 않고, 복수의 VR화상을 차례로 전환해서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방향의 피사체를 향해서 시차의 분만큼 떨어진 거리에 설치된 2개의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영된, 각각 우안용, 좌안용의 2개의 180도의 VR화상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 모드(2안 VR뷰)가 상정된다.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우안용의 180도의 VR화상과 좌안용의 180도의 VR화상을 잘라내서 기록해 두면, 이러한 2안 VR뷰에서도 시청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180도의 VR화상을 잘라내서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지만, 잘라내기 전의 VR화상의 유효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유효영상범위의 VR화상을 잘라내는 처리이면 다른 시야각도의 VR화상에도 적용가능하다. 다시 말해, 잘라내기 전의 VR화상은 360도의 VR화상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은 180도의 VR화상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후술하는 각 처리에서는, 각종의 터치 버튼을 표시하고, 유저 조작으로서 각종 터치 버튼에 대한 터치 조작을 접수해서 처리를 진척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각종 터치 버튼에 대한 지시를 접수하는 터치 조작이란, 구체적으로는 터치 버튼에 대응하는 터치 반응 영역으로부터의 터치업으로 하여도 좋고, 터치 버튼에 대응하는 터치 반응 영역에 대한 터치다운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것이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터치 버튼에의 조작에 의해 접수하는 것으로서 설명하는 각 지시는, 다른 유저 조작에 의해 접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각 물리 버튼에의 조작, 방향 키를 사용해서 표시 아이템을 선택해서 결정 버튼을 누르는 조작, 마우스를 사용해서 표시 아이템을 선택하는 조작, 음성 커맨드 등이여도 좋다.
도3은, 전자기기 200에 있어서의 VR뷰 표시(처리)의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203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메모리 202에 전개해서 CPU 201이 실행함에 의해 실현한다. 전자기기 200이 온의 상태에서, 360도의 VR화상을 VR뷰에서 표시가능하고, 또한, 180도의 VR화상을 잘라내는 기능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동하면, CPU 201은 플래그나 제어 변수등을 초기화 한 후, 도3의 처리를 시작한다.
S301에서는, CPU 201은, 기록 매체 208 혹은 통신I/F 210을 통한 통신처로부터, 표시 대상이 되는 VR화상을 읽어들인다(취득한다). 또한, VR화상의 속성정보로서 부대되어 있는, 영상범위(유효영상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유효영상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란, VR화상이,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어느 각도 범위분의 유효한 영상을 가지고 있는 것인가라고 하는 정보다. 유효영상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는, VR화상의 유효영상범위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면 좋고, 화각, 시야각, 방위각, 앙각, 좌우의 화소수나 좌표등의 정보이여도 좋다. 또한, 유효영상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는, VR화상을 촬상한 카메라 기종정보(기종을 특정하는 것으로 촬영가능한 범위를 특정 가능)나 촬영시의 줌의 정보등이어도 좋다. CPU 201은, 유효영상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면, 상하 좌우 360도와의 차분에서 무효영상범위(비영상 범위)도 특정(산출)한다. 또한, 반대로, VR화상의 속성정보로부터 무효영상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거기로부터 유효영상범위를 산출해도 좋고, 유효영상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와 무효영상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의 쌍방을 VR화상의 속성정보로부터 취득해도 좋다.
S302에서는, CPU 201은, S301에서 취득한 VR화상의 VR뷰에서의 표시 처리를 행한다. VR화상의 원 데이터(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정거원통도법을 사용한 왜곡된 화상이며, 각 화소의 위치가 구체의 표면의 좌표와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한 형식의 화상이다. 이 VR화상의 원 화상을 구체에 매핑하고, 일부를 잘라내서 표시한다. 다시 말해, S302에서 표시되는 화상은 VR화상의 일부를 잘라내서 확대한 화상이며, 또한, 원 화상의 왜곡을 제거(혹은 저감)한 화상이다.
S303에서는, CPU 201은, S301에서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S302에서의 표시 대상인 VR화상이, 180도의 VR화상을 잘라내기 가능한 VR화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록 화소수가 역치미만인 화상, 유효영상범위가 역치보다도 좁은(작은) 화상, 이미 후술하는 잘라내기의 처리가 행해진 화상, 180도의 VR화상의 적어도 어느 하나일 경우에는, 잘라내기 가능한 VR화상이 아니다고 판정해서 S305에 진행된다. 잘라내기 가능한 VR화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304에 진행된다.
S304에서는, CPU 201은, 잘라내기 편집 버튼을 표시한다. 도6(a)에, S304에서 표시되는 VR화상과 잘라내기 편집 버튼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VR화상 602는, S302에서 표시된 VR화상이다. 잘라내기 편집 버튼 601은, VR화상의 잘라내기를 지시하기 위한 터치 아이콘이다. 또한, S303에서 잘라내기 가능한 VR화상이 아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잘라내기 편집 버튼 601을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하지만, 그레이 아웃등의 선택 불능 상태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표시 형태로 잘라내기 편집 버튼 601을 표시해도 좋다.
S305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VR화상 602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무브(표시 범위 변경 조작)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터치 무브가 있었을 경우에는 S306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307에 진행된다. S306에서는, CPU 201은, 터치 무브된 방향과 양에 따라, 표시된 VR화상 602를 스크롤시켜, VR화상의 표시 범위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무브의 이동 성분 중 좌우 방향(수평방향)의 성분에 근거하여, VR화상이 매핑된 가상 구체의 상하 축(천정축, 중력축)을 중심으로 해서 표시 범위가 회전 이동하도록, VR화상을 우방향 또는 좌방향으로 스크롤한다. 이것은 다시 말해, 가상 구체의 중심에 놓여진 시청자로부터 본 시선(표시 범위의 방향)의 방위를 변경하는 표시 범위의 변경이다. 또한, 터치 무브의 이동 성분 중 상하 방향(수직방향)의 성분에 근거하여, VR화상이 매핑된 가상 구체의 수평축(천정축과 수직한 축, 중력으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해서 표시 범위가 회전 이동하도록, VR화상을 위 또는 아래로 스크롤한다. 이것은 다시 말해, 가상 구체의 중심에 놓여진 시청자로부터 시선(표시 범위의 방향)의 앙각 또는 부각(이하, 앙부각이라고 칭한다)을 변경하는 표시 범위의 변경이다.
S307에서는, CPU 201은, 자세검출부 213에서, 표시 범위를 변경시켜야 할 자세의 변화를 검지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표시 범위를 변경시켜야 할 자세의 변화를 검지했을 경우에는 S308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309에 진행된다. S308에서는, CPU 201은, 자세검출부 213에서 검지한 자세변화에 따라,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를 변경(이동)한다.
S309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VR화상 602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즉, 배율 변경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이 있었을 경우는 S310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311에 진행된다. S310에서는, CPU 201은, 핀치 조작에 따라서 VR화상의 표시 배율을 (연속적 또는 3이상의 복수단계로 단계적으로) 변경한다. 핀치 인(축소 조작)의 경우는 VR화상의 표시 배율을 내린다. 이것에 따라 VR화상의 표시 범위는 넓어진다. 다시 말해, 피사체는 작아지지만, 보다 넓은 범위가 표시된다. 핀치 아웃(확대 조작)의 경우는 VR화상의 표시 배율을 올린다. 이것에 따라 VR화상의 표시 범위는 좁아진다. 다시 말해, 피사체는 커지지만, 보다 좁은 범위가 표시된다.
S311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잘라내기 편집 버튼 601을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잘라내기 편집 버튼 601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는 S312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313에 진행된다. S312에서는, CPU 201은, 잘라내기 편집 처리를 행한다. 잘라내기 편집 처리에 대해서는 도4를 사용해서 후술한다.
S313에서는, CPU 201은, 화상전환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전환조작이 있었을 경우는 S314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315에 진행된다. 화상전환조작에는, 예를 들면, 조작부 206에 포함되는 화상전환 버튼의 조작이나, 디스플레이 205에 표시되는 화상전환 아이콘(화상이송 아이콘, 화상 되돌림 아이콘)에의 터치 조작, 2점을 동시에 터치해서 같은 방향으로 드랙하는 더블 드랙 등이 있다. S314에서는, CPU 201은, 화상전환조작에 따라, 현재 표시하고 있는 VR화상과는 상이한 화상 파일의 VR화상을 다음 표시 대상으로 삼아서 특정한다. 계속해서, S301에 되돌아가, 다음 표시 대상의 VR화상의 취득, 표시 처리를 행한다.
S315에서는, CPU 201은, 그 밖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밖의 조작이 있었을 경우는 S316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317에 진행된다. S316에서는, CPU 201은, 그 밖의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시한다. 그 밖의 조작에 따른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VR화상의 2안 VR뷰에서의 표시 처리, 표시하고 있는 VR화상의 파일 삭제, 공유(SNS에의 투고나 메일 송신,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 지시등), 색미 조정등의 편집 처리등이 있다.
S317에서는, CPU 201은, 조작부 206에의 종료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종료 조작이 없을 경우는 S305에 되돌아가 처리를 되풀이한다. 종료 조작이 있었을 경우는, VR화상의 표시 애플리케이션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닫고, 도3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4에, 도3의 S312에서 전술한 잘라내기 편집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203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메모리 202에 전개해서 CPU 201이 실행 함에 의해 실현한다. 도4의 편집 처리는, 기본적으로는, VR뷰에서 표시된 360도의 VR화상 중, 180도의 VR화상으로서 잘라내는 범위의 중심을 VR뷰인채로 지정하는 처리다. 범위지정의 미조정을 행할 수도 있지만, 미조정을 행하지 않고 대범하게 중심을 결정하는 것만으로도 잘라내는 범위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히 잘라내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VR뷰에서는, VR화상의 전체가 표시되지 않고 있는 케이스가 많고, 또한, 잘라내는 범위의 경계는 평면화상의 경우와 같은 직선의 경계로는 안된다. 그 때문에, 만일, 트리밍 프레임을 표시하고, 표시한 트리밍 프레임을 조정한다고 한 조작으로 잘라내기 범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하면, 유저에 있어서 번잡하고, 또한, 이해하기 힘들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잘라내기 편집 처리에 의하면, 360도의 VR화상 중, 180도의 VR화상으로서 잘라내는 범위의 중심을 VR뷰인채로 지정하는 것만으로 잘라내는 범위의 지정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간단한 조작감에 의해 유저가 잘라내기를 행할 수 있다.
S401에서는, CPU 201은, 디스플레이 205에, 잘라내기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화면인 잘라내기 편집 화면을 표시한다. 도6(b)에, 잘라내기 편집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VR화상 602는, 잘라내기 편집 화면으로 천이하기 전에 VR뷰 표시로 표시하고 있었던 화상과 같은 VR화상이다. 핀치 조작으로 표시 범위의 확대나 축소가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잘라내기 편집 화면의 표시 직후(디폴트의 상태)에서는, 180도분의 범위보다도 좁은 표시 범위에서 VR화상 602가 표시된다. 포인터 603은, 잘라내기 범위의 중심(잘라내기 범위의 기준위치)을 지정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다. 잘라내기 버튼 604는, 현재의 표시 범위(기준위치)에 근거해서 잘라내기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지시 아이콘이다. 잘라내기 편집 화면에서는, 포인터 603은 화면중앙부에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어,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가 변하여도, 디스플레이 205 위에 있어서의 포인터 603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유저는,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의 중심으로 해야 할 원하는 피사체의 위치가, 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위치가 되도록, VR뷰에서 표시된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를 통상의 VR뷰에서의 조작과 거의 같은 조작에 의해 변경한다. 그리고, 잘라내기 버튼 604을 터치함으로써, 현재의 표시 범위(기준위치)에 근거한 범위를 잘라내기 후의 범위로서 지정(또는 가지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인터 603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VR화상의 위치가 잘라내기 후의 중심, 또는 중심의 방위가 되도록, 잘라내기 후의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원형으로 도시된 표시 방향 가이드 중, 부채형의 표시 범위 605는, 원형으로 도시한 VR화상의 전방위에 있어서의, 현재의 표시 범위의 방위의 범위(천정축 주위의 각도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비표시 범위 606은, 원형으로 도시한 VR화상의 전방위에 있어서의, 현재의 표시 범위가 아닌 방위의 범위(천정축 주위의 각도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기준방향 607은, VR화상 602의 표시를 시작할 때에 최초에(즉, 표시 범위를 변경하는 조작과 자세변화가 발생하기 전에) 표시하는 표시 범위의 중앙이 되는 방향(이하, 표시 시작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각도정보 608(각도 눈금)은, 표시 시작 방향에 대한 현재의 포인터 603의 각도(방위각)를 나타내고 있고, 표시 범위의 변경과 함께 표시가 갱신된다. 반구 전체 표시 버튼 609는, VR화상 602의 표시 배율을, 잘라내기 후의 범위로서 지정되는 전체 범위가 포함되는 배율에 원 터치로 전환하기 위한 지시 아이콘이다. 2화면 확인 버튼 610은, 잘라내기 범위로서 지정되는 범위와, 잘라내기 범위로서 지정되고 있지 않고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에서는 파기되는 삭제 범위와의 쌍방을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지시 아이콘이다. 끝 미조정 버튼 611은, 잘라내기 범위의 미조정을 행하기 위해서 잘라내기 범위의 단부(경계부분)를 표시하는 표시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지시 아이콘이다. 불필요 개소 지정 버튼 612는, 잘라내기 범위에 포함시키고 싶지 않은 피사체인 불필요 개소를 지정하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지시 아이콘이다. 불필요 개소를 지정하면, 불필요 개소를 포함시키지 않도록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을 지정하는 경우에, 지정할 수 있는 범위와, 지정할 수 없는 범위가 식별가능하게 표시되게 된다.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은, 현재의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앙부각(구체에 매핑한 VR화상전체 중, 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위치의 앙부각)을 잘라내기 범위의 중심으로 해서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를 전환하기 위한 지시 아이콘이다. 또한,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은, 현재의 설정 상태도 나타내고 있어, 현재의 설정 상태가 유효하면 유효를 나타내는 표시 형태의 아이콘으로서 표시되고, 현재의 설정 상태가 무효이면 무효를 나타내는 표시 형태의 아이콘으로서 표시된다. 유효로 했을 경우는, 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방위, 앙부각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 각각 90도, 합계 180도의 범위(반구의 범위)를 잘라내기 범위로 한다. 무효로 했을 경우는, 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앙부각에는 근거하지 않고, 앙부각 0도, 즉 수평면상에서 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주위 각각 90도, 합계 180도의 범위(반구의 범위)를 잘라내기 범위로 한다. 유저가 지정 조작을 하기 전의 초기 설정에서는, 앙부각 유효/무효의 설정은 무효인 것으로 한다.
자세검지ON/OFF버튼 614는, 자세변화에 의한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의 변경을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를 전환하기 위한 지시 아이콘이다. 또한, 자세검지ON/OFF버튼 614는, 현재의 설정 상태도 나타내고 있어, 현재의 설정 상태가 유효하면 유효를 나타내는 표시 형태의 아이콘으로서 표시되고, 현재의 설정 상태가 무효이면 무효를 나타내는 표시 형태의 아이콘으로서 표시된다. 유효로 했을 경우에는, 전자기기 200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것만으로 잘라내기 범위의 중심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고 직감적인 한편, 자세변화만으로 빈번하게 표시 범위가 변해버리기 때문에, 원하는 표시 범위에 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무효로 함으로써, 자세변화에 의한 표시 범위의 변경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는 표시 범위의 변경을 막고, 터치 무브에 의한 조작(슬라이드 조작)으로, 보다 유저의 의도대로의 표시 범위에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유저가 지정 조작을 하기 전의 초기 설정에서는, 자세검지ON/OFF의 설정은 무효(오프)로 하여도 좋다.
S402, S403에서는, CPU 201은, VR화상 602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무브에 따라서 표시 범위를 변경한다. 처리의 상세한 것은 전술의 도3의 S305, S306과 마찬가지다. 또한, 상술한 대로, 표시 범위가 변하여도 포인터 603의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의 표시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VR화상의 표시 범위가 변하면, VR화상에 대한 포인터 603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변하게 된다. 또한, 이 처리에 의해, S502, S503에서 후술하는 잘라내기의 처리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넓이(180도)는 변하지 않고, 잘라내기 전의 VR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위치가 변경된다.
도6(c)에, 도6(b)의 상태로부터 왼쪽으로 터치 무브해서 표시 범위를 변경했을 경우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가 변하여도 있고, 거기에 추종하여, 각도정보 608과, 표시 방향 가이드 중 표시 범위 605와 비표시 범위 606이 나타내는 범위도 변경되어 있다. VR화상 602는, 도6(b)와 비교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스크롤되어 있고, 도6(b)의 상태와 비교해서 VR화상 중 우측의 영역이 새롭게 표시 범위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 표시 범위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도6(c)의 예에서는 각도정보 608과 표시 방향 가이드로부터 알도록, 도6(b)의 표시 범위와 비교하여, 오른쪽으로 거의 90도를 향한 방향으로 표시 범위가 변경되어 있다. 이 표시 범위에는 번호판이 보이는 방향에서 통행하는 차가 피사체로서 찍혀 있다. 유저는 예를 들면, 이러한 통행하는 차의 번호판은 공개해야 할 정보가 아니고, 잘라내기 후의 화상에는 포함되지 않도록 하고 싶다고, 생각한다.
도6(d)에, 도6(c)의 상태로부터 더욱 왼쪽으로 터치 무브해서 표시 범위를 변경했을 경우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가 변하여 있고, 거기에 추종하여, 각도정보 608과, 표시 방향 가이드 중 표시 범위 605와 비표시 범위 606이 나타내는 범위도 변경되어 있다. VR화상 602는, 도6(c)와 비교해서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스크롤되어 있고, 도6(c)의 상태와 비교해서 VR화상 중 우측의 영역이 새롭게 표시 범위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 표시 범위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도6(d)의 예에서는 각도정보 608과 표시 방향 가이드로부터 알도록, 도6(b)의 표시 범위와 비교하여, 거의 바로 뒤(우측으로 180도)를 향한 방향으로 표시 범위가 변경되어 있다. 이 표시 범위에는, 촬영자 자신이 피사체로서 찍혀 있다. 유저는 예를 들면, 이러한 촬영자 자신은, 촬영하고 싶었던 주요 피사체가 아니고, 잘라내기 후의 화상에는 포함되지 않도록 하고 싶다고, 생각한다.
S404에서는, CPU 201은, 메모리 202에 보유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자세검지에 따른 표시 범위의 변경 기능이 유효(온)로 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자세검지에 따른 표시 범위의 변경 기능의 유효(온)/무효(오프)는, 전술의 자세검지ON/OFF버튼 614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 항목이다. 자세검지에 따른 표시 범위의 변경 기능이 유효(온)일 경우에는 S405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407에 진행된다. S405, S406에서는, CPU 201은, 자세검출부 213으로 검지된 자세의 변화에 따라서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의 변경을 행한다. 이 처리는 전술의 도3의 S307, S308과 마찬가지의 처리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처리에 의해, S502, S503에서 후술하는 잘라내기의 처리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넓이(180도)는 변하지 않고, 잘라내기 전의 VR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위치가 변경된다. S404에서 자세검지에 따른 표시 범위의 변경 기능이 무효(오프)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S405, S406에 진행되지 않고 S407에 진행되고, 자세검출부 213로 자세의 변화를 검지해도, 자세의 변화에 따른 표시 범위의 변경은 행하지 않는다.
S407, S408에서는, CPU 201은, 핀치 조작(배율변경 지시)에 따른 VR화상 602의 표시 배율의 변경을 행한다. 이 처리는 전술의 도3의 S309, S310과 마찬가지의 처리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409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반구 전체 표시 버튼 609에 대한 터치 조작(반구 전체 지시; 배율변경 지시)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반구 전체 표시 버튼 609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410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413에 진행된다. S410에서는, CPU 201은, 현재의 표시 배율이 이미 반구 전체 표시의 배율(반구배율)로 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현재의 표시 배율을 참조해서 판정해도 좋고, 현재의 표시 모드를 참조해서 판정해도 좋다. 이미 반구배율로 되어 있을 경우는, 원래의 표시 배율로 되돌리기 위해서 S412에 진행된다. 반구배율로 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는, S411에 진행되고, 반구배율에서의 표시로 전환한다. 다시 말해, 반구 전체 표시 버튼 609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을 때마다, 반구 전체 표시(반구배율표시)의 온과 오프를 전환한다.
S411에서는, CPU 201은, 반구 전체 표시로 되기 전의 현재의 표시 배율을 메모리 202에 기록하고나서, 반구 전체 표시를 행한다. 반구 전체 표시는, 포인터 603이 현재 나타내고 있는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잘라냈을 경우의 잘라내기 범위의 전체가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의 표시 범위내로 되는 배율에서의 표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80도의 범위를 잘라내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 반구의 범위가 포함되는 표시 배율을 반구배율로 하지만, 잘라내기 범위가 180도가 아닐 경우에는 반구의 범위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잘라내기 범위의 전체가 표시 범위에 들어가는 배율로 표시된다.
도7(a)에, 잘라내기 편집 화면에 있어서의 반구 전체 표시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도6(b)와 같은 VR뷰에서의 통상의 표시 배율(VR뷰에서의 표시를 시작해서 최초에 표시되는 초기 배율)로부터, 반구 전체 표시의 지시를 행하면, 도7(a)의 표시 배율(초기 배율보다도 낮은 배율)로 원 터치로 (다른 배율에서 멈추지 않고) 전환된다. 도7(a)에 있어서의 VR화상 602는, 도6(b)에서 표시하고 있었던 VR화상 602와 같은 화상을, 반구 전체 표시에서의 배율로 표시한 것이다. 본래는 구체에 매핑되는 180도이상의 넓은 범위를, 평면의 표시 범위에 넣고 있기 때문에, 어안 렌즈로 촬영한 주변이 왜곡된 VR화상 602가 표시된다. VR화상 602에는, 사선부 702가 중첩해서 표시된다. 사선부 702는, 표시된 VR화상 602 중, 잘라내기 범위의 밖(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180도의 범위외)이 되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고, 잘라내기 후의 화상에서는 삭제되는 범위(제외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는, VR화상 602 중, 중심부분의 사선이 없는 부분 701을 보아서 잘라내기 범위에 포함되는 부분을 확인함과 아울러, 사선부 702를 보아서 제외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어디까지의 범위가 잘라내기 범위에 포함되고, 어디부터가 잘라내기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인지를 확인하면서 잘라내기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요 피사체인 강을 잘라내기 범위내에 넣으면서도, 통행하는 차와 인물이 제외 범위가 되도록 잘라내기 범위를 설정한다, 라고 한 조작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사선부 702는 제외 범위인 것을 알면 좋으므로, 표시 형태는 사선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반투과 마스크, 망점(screening), 모노크롬 표시등의 다른 표시 형태로 제외 범위를 나타내도 좋다. 또한, 제외 범위를 나타내지 않더라도,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만을 원형의 선등으로 나타내는 표시로 하여도 좋다. 더욱, 제외 범위는 표시하지 않고, 잘라내기 범위내의 전체가 표시 범위내로 되도록 표시해도 좋다. 반구 전체 표시중도, 도4의 처리에서 설명하는 각종 조작에 따른 처리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자세변화나 터치 무브에 의한 표시 범위의 변경을 행해서 원하는 범위가 잘라내기 범위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S425∼S431에서 후술하는 잘라내기 버튼 604에의 터치 조작에 따른 처리에 의해, 잘라내기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외 범위를 나타내는 사선부 702는, 반구 전체 표시 버튼 609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른 반구 전체 표시일 경우에 표시하고, 핀치 인으로 통상 배율로부터 표시 배율을 내렸을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외 범위를 나타내는 사선부 702를, 반구 전체 표시 버튼 609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른 반구 전체 표시일 경우에 표시하고, 핀치 인으로 통상 배율로부터 표시 배율을 내렸을 경우에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S412에서는, CPU 201은, 반구 전체 표시를 행하고 있었던 상태로부터, 메모리 202에 보유하고 있었던 전환전의 원래의 표시 배율을 참조하여, 원래의 표시 배율에서의 표시 상태로 되돌린다. 다시 말해, 예를 들면 도7(a)의 표시 상태로부터, 도6(b)의 표시 상태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주변부가 왜곡되어 작게 표시되어 있었던 상태로부터, 왜곡이 없거나, 혹은 왜곡이 적은, 잘라내기 범위에 포함되는 중앙부분을 크게 표시한 표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S413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2화면 확인 버튼 610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2화면 확인 버튼 610을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414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415에 진행된다. S414에서는, CPU 201은, 2화면 표시 처리를 행한다. 2화면 표시 처리에 대해서는, 도8, 도9를 사용해서 후술한다.
S415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끝 미조정 버튼 611에 대한 터치 조작(표시 범위의 미조정을 시작하기 위한 미조정 지시)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끝 미조정 버튼 611을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416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417에 진행된다. S416에서는, CPU 201은, 끝 미조정 처리를 행한다. 끝 미조정 처리에 대해서는, 도10, 도11을 사용해서 후술한다.
S417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불필요 개소 지정 버튼 612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불필요 개소 지정 버튼 612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418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419에 진행된다. S418에서는, CPU 201은, 불필요 개소 지정 처리를 행한다. 불필요 개소 지정 처리에 대해서는, 도12∼도14를 사용해서 후술한다.
S419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에 대한 터치 조작(앙부각 유효/무효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지시)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을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420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423에 진행된다. S420에서는, CPU 201은, 메모리 202에 보유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에 대한 터치 조작을 접수하기 전의 현재의 설정이, 앙부각 유효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앙부각 유효라고 판정하면 S421에 진행되고, 무효일 경우에는 S422에 진행된다. S421에서는, CPU 201은, 앙부각 유효/무효인 설정을 유효로부터 무효로 변경해서 설정하여, 설정 상태를 메모리 202에 기록한다. S422에서는, CPU 201은, 앙부각 유효/무효인 설정을 무효로부터 유효로 변경해서 설정하여, 설정 상태를 메모리 202에 기록한다. 앙부각 유효/무효인 설정을 변경하면, 변경후의 설정 상태를 도시한 바와 같이,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의 표시 형태도 갱신한다. 또한, S421에서 앙부각 유효/무효인 설정을 무효로 설정했을 경우, S403, S406에 있어서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를 변경할 수 있는 방향을 방위각 방향만으로 제한하고, 앙부각 방향으로는 표시 범위를 변경할 수 없도록 해도 좋다. 다시 말해, 터치 무브 혹은 자세변화에 따라서 좌우의 스크롤(방위각 방향으로의 표시 범위의 변경)은 하지만, 상하의 스크롤(앙부각 방향으로의 표시 범위의 변경)은 하지 않도록 제한해도 좋다.
S423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자세검지ON/OFF버튼 61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자세검지ON/OFF버튼 614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424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425에 진행된다. S424에서는, CPU 201은, 자세검지에 따른 표시 범위의 변경 기능의 설정 상태를 변경한다. 변경전이 유효(온)이었을 경우는 무효(오프)로 변경하고, 변경후의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메모리 202에 기록한다. 변경전이 무효(오프)이었을 경우에는 유효(온)로 변경하고, 변경후의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메모리 202에 기록한다. 자세검지에 따른 표시 범위의 변경 기능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면, 변경후의 설정 상태를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세검지ON/OFF버튼 614의 표시 형태도 갱신한다.
S425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잘라내기 버튼 604에 대한 터치 조작(잘라내기 지시, 기준위치의 지정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잘라내기 버튼 604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에는 S426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432에 진행된다.
S426에서는, CPU 201은, 후술하는 불필요 개소 지정 처리에 의해 불필요 개소가 등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불필요 개소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S428에 진행되고, 불필요 개소가 등록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S427에 진행된다. S427에서는, CPU 201은, 잘라내기 프리뷰 처리를 행한다. 잘라내기 프리뷰 처리에 대해서는, 도5를 사용해서 후술한다. 또한, S426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S425에서 잘라내기 버튼 60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다고 판정하면 S427에 진행되도록 해도 좋다. 더욱, S426의 처리, S427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S425에서 잘라내기 버튼 60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다고 판정하면, 후술하는 도5의 S535에 진행되어서 잘라내진 VR화상 보존의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S428∼S431의 처리는, 불필요 개소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의 처리이며, 후술하는 도12의 S1215∼S1218과 마찬가지의 처리이기 때문에,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S432에서는, CPU 201은, 잘라내기 편집 처리를 종료하고 도3의 VR뷰 표시의 처리에 되돌아가는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되돌아가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S402에 되돌아가서 처리를 되풀이하고, 되돌아가는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도4의 처리를 종료하고 원래의VR뷰 표시를 행하고, 도3의 S313에 진행된다.
도5에, 도4의 S427에서 전술한 잘라내기 프리뷰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203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메모리 202에 전개해서 CPU 201이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한다. 도5의 잘라내기 프리뷰 처리는, 도4의 잘라내기 편집 처리에서 유저에게 지정된 잘라내기 범위에서 확정해서 좋은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한 처리다.
S501에서는, CPU 201은, 메모리 202에 보유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설정이, 앙부각 유효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또한, 여기에서 참조하는 것은,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에 대한 터치 조작으로 설정 변경가능한 설정 항목이다. 앙부각 유효이다고 판정하면 S502에 진행되고, 무효일 경우에는 S503에 진행된다.
S502에서는, CPU 201은, 현재의 표시 범위(도4에서 설명한 처리의 잘라내기 편집 화면, 또는 후술의 프리뷰 화면에서 잘라내기 버튼 604가 터치되기 직전의 표시 범위)의 방위각 및 앙부각에 근거해서 잘라내기 범위를 결정하고, 잘라내기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표시 범위의 중앙(포인터 603이 표시된 위치)을 중심으로 한 180도의 범위(중심으로부터 전방향으로 각각 90도의 범위)를 잘라내고, 180도의 VR화상(편집된 VR콘텐츠)을 생성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도16(a), 도16(c)를 사용해서 후술한다.
S503에서는, CPU 201은, 현재의 표시 범위(도4에서 설명한 처리의 잘라내기 편집 화면, 또는 후술의 프리뷰 화면에서 잘라내기 버튼 604가 터치되기 직전의 표시 범위)의 방위각 및 수평방향(앙부각 0도)에 근거해서 잘라내기 범위를 결정하고, 잘라내기 처리를 행한다. 이때, 잘라내기 전의 표시 범위의 앙부각에는 관계되지 않고, 수평한 방향(천정축과 수직한 방향)에 근거해서 잘라내기 범위가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수평방향 중 표시 범위의 중앙(포인터 603이 표시된 위치)에 대응하는 방위각에서 결정되는 1점을 중심으로 한 180도의 범위를 잘라내고, 180도의 VR화상(편집된 VR콘텐츠)을 생성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도16(a), 도16(b)를 사용해서 후술한다.
S504에서는, CPU 201은, S502 또는 S503에서의 잘라내기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프리뷰 화면을 디스플레이 205에 표시한다. 도6(e), 도6(f), 도6(g)에, 프리뷰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도6(e)는, 도6(b)의 상태(VR화상 602 중 표시 범위가 도6(b)의 범위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잘라내기 버튼 604가 터치되어, 잘라내기 프리뷰 처리에 천이했을 경우의 프리뷰 화면의 표시 예다. 화면 우하부의 원형의 표시 방향 가이드에는, 부채형의 표시 범위 605, 비표시 범위 606에 더하여, 잘라내기 범위외(제외 영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제외 범위 622(도6(e)의 검은 칠부)가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VR화상 602의 360도의 전방위 중, 제외 범위 622에 대응하는 범위에는 화상이 없는 상태로 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 603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고, 포인터 621로서 표시한다. 프리뷰 화면에서는, 포인터 621은, 지정된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포인터 621은, 디스플레이 205의 중앙에 고정되지 않고, VR화상 602의 잘라내기 범위(유효영상범위)의 중앙을 나타내는 위치에 표시된다. 이 때문에, 표시 범위의 변경에 따라, VR화상 602의 잘라내기 범위(유효영상범위)의 중앙의 표시 위치의 이동에 연동하여, 포인터 621의 표시 위치도 이동한다. 그 밖의 도6(b)와 같은 부호의 표시 아이템은, 잘라내기 편집 화면과 마찬가지의 표시 아이템이다. 2화면 확인 버튼 610, 불필요 개소 지정 버튼 612는 프리뷰 화면에서는 비표시가 된다. 잘라내기 편집 화면에서는 표시되고 있지 않고, 프리뷰 화면에서 표시되는 표시 아이템으로서, 재생 시작 방향지정 버튼 623, 보존 버튼 624, 캔슬 버튼 625가 표시된다. 재생 시작 방향지정 버튼 623은,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을 다음번 최초로 표시할 때에 표시 범위가 되는 개소를 지정하기 위한 지시 아이콘이다. 재생 시작 방향지정 버튼 623에 대한 터치 조작(재생 시작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방향지정 지시)이 있었던 시점에서의 표시 범위의 중앙이,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을 다음번 최초로 표시할 때의 표시 범위의 중앙, 다시 말해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에 있어서의 전술의 표시 시작 방향이 된다. 보존 버튼 624는, 잘라내기 범위를 확정해서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의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지시를 행하기 위한 지시 아이콘이다. 캔슬 버튼 625는, 현재의 잘라내기 범위에서의 VR화상의 보존을 하지 않고 잘라내기 편집 화면에 돌아가기 위한 지시 아이콘이다.
S505, S506에서는, CPU 201은, VR화상 602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무브에 따라서 표시 범위를 변경한다. 처리의 상세한 것은 전술의 도3의 S305, S306과 같다. 또한, 상술한 대로, 표시 범위가 변하면 포인터 621의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의 표시 위치도 변한다. VR화상의 표시 범위가 변하여도, VR화상에 대한 포인터 621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변하지 않는다.
도6(f)에, 도6(e)의 상태로부터 왼쪽으로 터치 무브해서 표시 범위를 변경했을 경우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가 변하여 있고, 거기에 추종하여, 각도정보 608과, 표시 방향 가이드 중 표시 범위 605와 비표시 범위 606이 나타내는 범위도 변경되어 있다. 표시 방향 가이드 중, 표시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제외 범위의 부분을 패턴 626으로 식별가능하게 표시하고 있다. VR화상 602는, 도6(e)와 비교해서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스크롤되어 있고, 도6(e)의 상태와 비교해서 VR화상 중 우측의 영역이 새롭게 표시 범위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 표시 범위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도6(f)의 예에서는 각도정보 608과 표시 방향 가이드로부터 알도록, 도6(e)의 표시 범위와 비교하여, 오른쪽으로 거의 90도를 향한 방향으로 표시 범위가 변경되어 있다. 포인터 621이 나타내고 있던 위치를 중심으로 한 180도의 범위에서 잘라내기가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제외 범위 630이 표시 범위내에 보이기 시작한다. 제외 범위 630은, 유효한 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범위인 것을 식별할 수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단색으로의 표시나, 소정의 패턴, 그라이데이션으로의 표시 형태가 된다. 도6(c)에 있어서 유저가 잘라내기 후의 화상으로부터 제외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예로서 설명한, 번호판이 보이는 방향으로 통행하는 차는, 도6(f)에서는 제외 범위 630으로서 제외되어 있고,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6(g)에, 도6(f)의 상태로부터 더욱 왼쪽으로 터치 무브해서 표시 범위를 변경했을 경우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가 변하여 있고, 거기에 추종하여, 각도정보 608과, 표시 방향 가이드가 나타내는 범위도 변경되어 있다. 도6(g)의 예에서는 각도정보 608과 표시 방향 가이드로부터 알도록, 도6(e)의 표시 범위와 비교하여, 거의 바로 뒤(우측으로 180도)를 향한 방향으로 표시 범위가 변경되어 있다. 표시 범위내에 VR화상 602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제외 범위 630이 표시 범위의 전체를 차지하고 있다. 도6(d)에 있어서 유저가 잘라내기 후의 화상으로부터 제외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예로서 설명한 촬영자 자신은, 도6(g)에서는 제외 범위 630으로서 제외되어 있고,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507∼S515의 처리는, 자세변화에 따른 표시 범위의 변경 처리, 핀치 조작에 따른 표시 배율의 변경 처리, 반구 전체 지시에 따른 반구배율에서의 표시 처리이며, 전술한 도4의 S404∼S412와 마찬가지의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S514에서의 반구 전체 표시에서는, S411에서의 반구 전체 표시와는 달리, 제외 범위(도7(a)에 있어서 사선부 702로 나타내고 있는 부분)는 표시되지 않는다. 도7(b)에, 프리뷰 화면에 있어서의 반구 전체 표시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제외 범위를 제외하는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의 유효한 영상범위만을 표시하기 위해서, 도7(a)에 있어서 사선부 702로 나타내고 있는 부분은 표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잘라내기 전의 VR화상 중 잘라내기 후의 유효한 영상범위의 밖은 비표시가 된다. 이 표시에 의해 유저는,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의 중앙부분에 어떤 피사체가 위치하는 것인가, 및, 잘라내기 범위내에 어느 피사체까지가 포함되는 것인지를 1화면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7(a)의 표시 상태에서, 잘라내기 버튼 60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으면, 도7(b)의 표시 상태로 천이한다. 도6(e)∼도6(g)의 표시 상태에서, 반구 전체 표시 버튼 609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도, 도7(b)의 표시 상태로 천이한다.
S516, S517의 처리는, 끝 미조정 버튼 611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른 처리이며, 전술의 S415, S416과 마찬가지의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S518∼S521은,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른 처리이며, 전술의 S419∼S422와 마찬가지의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S520에서 앙부각 유효로부터 무효로 전환하면, S503에 진행되어서 잘라내기 범위를 변경한다. 또한, S520으로부터 S503에 진행되었을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해서 잘라내기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고, S520의 시점에서의 잘라내기 범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된 잘라내기 버튼 604의 조작이 있었을 때의 표시 범위에 근거해서 행해진다. 다시 말해, S520의 시점에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의 방위는 그대로로,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의 앙부각이 수평방향이 되도록, 360도의 VR화상(구(sphere)의 범위)로부터 180도의 범위(반구의 범위)의 잘라내기가 행해진다. 또한, S521에서 앙부각 무효로부터 유효로 전환하면, S502에 진행되어서 잘라내기 범위를 변경한다. 또한, S521로부터 S502에 진행되었을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해서 잘라내기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고, S521의 시점에서의 잘라내기 범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된 잘라내기 버튼 604의 조작이 있었을 때의 표시 범위에 근거해서 행해진다. 다시 말해, S521의 시점에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의 방위는 그대로로,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의 앙부각이, S521의 시점에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결정 요인이 된 잘라내기 버튼 604의 조작시의 표시 범위의 앙부각이 되도록,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180도의 VR화상이 잘라내진다.
S522, S523의 처리는, 자세검지ON/OFF버튼 614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른 처리이며, 전술의 S423, S424와 마찬가지의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S524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재생 시작 방향지정 버튼 623에의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재생 시작 방향지정 버튼 623에의 터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는 S525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526에 진행된다. S525에서는, CPU 201은,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의 표시 시작 방향을 현재의 표시 범위의 중심으로 결정하고, VR화상 중 현재의 표시 범위의 중심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메모리 202에 기록한다. 이 위치 정보는, 후술하는 S535에 있어서, 잘라내진 VR화상의 화상 파일의 속성정보에, 표시 시작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기록된다.
S526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잘라내기 버튼 60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잘라내기 버튼 604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527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532에 진행된다.
S527에서는, CPU 201은, 후술하는 불필요 개소 지정 처리에 의해 불필요 개소가 등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불필요 개소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S528에 진행되고, 불필요 개소가 등록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S501에 진행된다. 계속해서 S501로부터 S502 또는 S503에 진행되고, S526에서 잘라내기 버튼 60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다고 판정한 시점의 표시 범위에 근거해서 잘라내기 범위를 변경한다. 이렇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리뷰 화면에 있어서 잘라내기 범위를 변경하고 싶어졌을 경우는, 잘라내기 버튼 604에 대한 터치 조작을 행함으로써, 그 시점의 표시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시점의 표시 범위의 중앙의 위치에 근거해서 잘라내기 범위를 수정할 수 있다. S502 또는 S503에서 새로이 잘라내기를 행하면, 수정된 잘라내기 범위를 나타낸 바와 같이, S504에서 프리뷰 화면이 갱신된다. 또한, 프리뷰 화면에서는 잘라내기 범위의 수정은 할 수 없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프리뷰 화면에는 잘라내기 버튼 604는 비표시로 할지 그레이 아웃등의 조작 불능을 나타내는 표시 형태로 표시하여, S526의 판정은 행하지 않도록 한다. 그래도, 유저는, 프리뷰 화면을 보아서 잘라내기 범위의 변경을 행하고 싶어졌을 경우에, 캔슬 버튼 625에 대한 터치 조작을 행하고, 잘라내기 편집 화면에 되돌아가고나서 잘라내기 범위를 재지정 함으로써 잘라내기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S528∼S531의 처리는, 불필요 개소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의 처리이며, 후술하는 도12의 S1215∼S1218과 마찬가지의 처리이기 때문에,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S532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캔슬 버튼 625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캔슬 버튼 625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는 S533에 진행되고, 도4에서 전술한 잘라내기 편집 처리(잘라내기 편집 화면)에 되돌아간다. 캔슬 버튼 625에 대한 터치 조작이 없었을 경우에는 S534에 진행된다.
S534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보존 버튼 624에의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존 버튼 624에의 터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는 S535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505에 진행되어서 처리를 되풀이한다.
S535에서는, CPU 201은, 프리뷰 화면에서 확인한 잘라내기 범위에서 잘라내진 VR화상으로부터, VR뷰에서의 표시가 가능한 화상 파일을 생성해서 기록 매체 208에 기록한다. 여기에서는, 잘라내기 전의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S502 또는 S503에서 잘라내기의 처리가 실시되어, 메모리 202 또는 기록 매체 208에 보유되어 있었던 화상을 화상 파일로서 기록하는 것으로 한다. 단, S535의 시점에서 잘라내기 전의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화상처리부 204를 제어해서 새로이 180도의 VR화상을 잘라내서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잘라내진 VR화상의 화상 파일은, 신규 보존 파일로서 기록하는 것으로 한다. 단, 잘라내기 전의 360도의 VR화상의 화상 파일에 중첩 기재해 보존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잘라내진 VR화상의 화상 파일은, VR180의 규격에 준거한 포맷으로 기록한다. 잘라내진 VR화상의 화상 파일을 기록하면 도5의 처리를 종료하고, 도3의 S301에 되돌아가, 잘라내기 원래의 360도의 VR화상의 VR뷰 표시를 행한다. 또한, 도5의 처리의 종료후에, 신규로 보존된 잘라내진 180도의 VR화상의 VR뷰 표시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S535에서 기록하는 잘라내진 VR화상(VR뷰에서의 표시가 가능한 화상 파일)에 대해서 설명한다. 잘라내진 VR화상이 정지 화상이면, 잘라내기 범위내의 화상을 정거원통도법으로 직사각형내에 변형해서 넣은 화상이 멀티픽처 포맷으로 1파일내에 복수매 격납된 파일을 생성해서 기록한다. 잘라내기 전의 360도의 VR화상(원 화상)을, VR뷰가 아니라 통상의 평면화상으로서 표시했을 경우에는, 도18(a)와 같은 장방형내에 정거원통도법으로 묘화된 화상이 된다. 이 원 화상으로부터 전술의 처리에 의해 180도의 범위가 잘라내지면, VR뷰가 아니라 통상의 평면화상으로서 표시했을 경우에 도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정방형내에 정거원통도법으로 묘화된 화상이 기록된다. 이때, 잘라내기 범위내의 화상을 복사한 동일한 화상을, 시차가 없든, 우안용 화상, 좌안용 화상으로서 각각 동일 파일내에 기록한다. 또한, 유사적으로 시차를 가지도록(즉,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의 범위가 다소 상이하도록), 잘라내기 전의 1개의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2개의 180도의 범위를 잘라내서 생성해도 좋다. 이 경우도, 잘라내기 범위는 잘라내기 버튼 604가 터치 조작되었을 때의 표시 범위에 근거해서 결정된다. 잘라내진 정지 화상의 VR화상의 파일 이름은 예를 들면 "123456.VR.jpg"가 되고, 확장자 ".jpg"의 앞에 3문자의 문자열 ".VR"이 기술된다. 이렇게 정지 화상 파일로서 보존된 화상을 VR뷰에서 재생 표시하면, 도18(b)의 화상이 반구에 매핑되어서 표시된다. 잘라내진 정지 화상의 VR화상 파일을, 2안 VR뷰에서 재생해서 표시한 예(VR고글에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의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의 표시 예)를 도18(d)에 도시한다.
잘라내진 VR화상이 동화상이면, 잘라내기 범위내의 화상을 정거원통도법이 아니라 원 또는 타원내에 매핑한 영상(동화상)이 1개의 동화상의 영상내의 좌우에(사이드 바이 사이드로) 늘어 놓여진 동화상 파일을 생성해서 기록한다. 이때, 잘라내기 범위내의 화상을 복사한 동일한 화상을, 시차가 없든, 우안용 화상, 좌안용 화상으로서 각각 좌우에 나란히 기록한다. 이러한 동화상을 VR뷰가 아니라 통상의 평면화상으로서 표시하면 도18(c)와 같이 표시된다. 또한, 유사적으로 시차를 가지도록(즉,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의 범위가 다소 상이하도록), 잘라내기 전의 1개의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2개의 180도의 범위를 잘라내서 생성해도 좋다. 이 경우도, 잘라내기 범위는 잘라내기 버튼 604가 터치 조작되었을 때의 표시 범위에 근거해서 결정된다. 잘라내진 동화상의 VR화상의 파일 이름은 예를 들면 "123456.VR.mp4"가 되고, 확장자 ".mp4"의 앞에 3문자의 문자열 ".VR"이 기술된다. 잘라내진 동화상의 VR화상 파일을, 2안 VR뷰에서 재생해서 표시했을 경우가 있는 프레임의 표시 예(VR고글에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의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의 표시 예)는 도18(d)에 도시한 예와 마찬가지다.
도8에, 전술한 도4의 S414의 2화면 표시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203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메모리 202에 전개해서 CPU 201이 실행함에 의해 실현한다.
S801에서는, CPU 201은,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 2화면 표시의 초기 표시를 행한다. 도9(a)에,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의 2화면 표시의 초기 표시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2화면 표시의 표시 화면은, VR화상 602 중 잘라내기 범위 903안을 표시하는 상영역 901과, 같은 VR화상 602 중 제외 범위 904안을 나타내는 하영역 902로 구분된다. 초기 표시에서는, 상영역 901의 원형의 표시 영역에, 잘라내기 범위의 전체가 표시 범위내가 되도록 왜곡 원형화상이 표시된다. 이 표시 범위는, 도7(b)에서 설명한 반구 전체 표시와 마찬가지의 표시 범위다. 더욱, 초기 표시에서는, 하영역 902의 원형의 표시 영역에, 제외 범위의 전체가 표시 범위내가 되도록 왜곡 원형화상이 표시된다. 이 표시 범위는, 잘라내기 후에 파기되는 반구의 범위에 대응한다. 그 밖의, 전술과 동일 부호의 표시 아이템은, 전술한 것과 같다. 유저는 이렇게 잘라내기 범위 전체와 제외 범위 전체가 동시에 표시된 화면을 보는 것으로, 잘라내기 전의 360도의 VR화상 중, 잘라내기 후에 포함되는 잘라내기 범위에 어떤 피사체가 포함되고, 제외 범위에 어떤 피사체가 포함되는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통상의 잘라내기 편집 화면의 VR뷰에 있어서의, 반구 전체 표시보다도 큰 표시 배율에서는, 잘라내기 범위내의 일부밖에 표시되지 않고, 표시 범위는 항상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이 되기 때문에,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는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경계를 확인할 수는 없다. 또한, 프리뷰 화면에 있어서의, 반구 전체 표시보다도 큰 표시 배율에서는, 잘라내기 범위내의 일부밖에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는 1부분밖에 확인할 수는 없다. 경계를 1부분밖에 보지 않고 잘라내기 범위의 조정을 행했을 경우, 표시하고 있는 경계에 있어서 잘라내기 범위의 내부에 생각한 대로의 부분을 넣었다고 하여도, 표시하지 않고 있는 경계부근에 있어서 반대로 넣고 싶은 피사체가 잘라내기 범위로부터 밀려나와버린다고 한 것이 발생할 수 있다. 모든 경계부근에 있어서 생각한 대로의 부분이 넣어져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표시 범위를 복수회 또는 크게 변경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9(a)와 같은 2화면 표시에서는, 유저는, 표시 범위를 변경하지 않고 잘라내기 범위 전체와 제외 범위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더욱, 유저는, 그러한 확인을 행하면서, 터치 무브에 의해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잘라내기 범위에 넣어야 할 피사체를 존재를 알아차리지 않고 제외 범위에 넣어버리거나, 잘라내기 범위로부터 제외해야 할 피사체를 존재를 알아차리지 않고 잘라내기 범위내에 넣어버리거나 한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영역 902에 표시되는 제외 범위에 대해서는, 잘라내기 후에 파기되는 부분인 것이 이해하기 쉽도록, 소정색의 반투과 마스크, 모노크롬이나 세피아등으로 표시한다고 한 색변환, 망점 등을 실시해도 좋다.
S802에서는, CPU 201은, 위영역 901 또는 하영역 902에 있어서 터치 무브(영상범위 변경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터치 무브가 있었다고 판정하면 S803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804에 진행된다. S803에서는, CPU 201은, VR화상 602 중 잘라내기 범위가 되는 부분과 제외 범위가 되는 부분을 각각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CPU 201은, 위영역 901과 하영역 902 중 터치 무브가 행해진 한쪽의 영역에 표시되는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를, 터치 위치의 이동에 추종해서 변경한다. 또한, 이때, 앙부각 유효의 설정이면, 터치 무브의 횡이동 성분 및 종이동 성분의 쌍방에 추종해서 표시 범위를 변경한다. 앙부각 무효의 설정이면, 터치 무브의 횡이동 성분에 따라서 표시 범위를 이동하지만, 종이동 성분에 따라서는 표시 범위를 이동하지 않고, 포인터 603이 항상 앙부각 0도(수평방향)를 나타내고, 표시 범위는 상하에는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쪽의 영역에 표시되는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를, VR화상 602 중, 터치 무브가 있었던 영역에서의 표시 범위의 변경에 연동해서 변경하고, 터치 무브가 있었던 영역에서의 표시 범위로 되지 않고 있는 반대측의 반구부분으로 한다. 이것들에 의해, 디스플레이 205 위의 고정 위치(디스플레이 205의 화면상의 소정위치)에 표시된 포인터 603(위영역의 중앙위치)의 VR화상 60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변한다. CPU 201은, VR화상 602 중 포인터 603에 대응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한 반구의 범위를, 잘라내기 범위에 설정한다.
S804에서는, CPU 201은, 위영역 901에서 핀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위영역 901에서 핀치 조작이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805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807에 진행된다. S805에서는, CPU 201은, 후술하는 S809에서 하영역 902에 있어서의 제외 범위의 화상을 S801의 초기 표시보다도 확대 또는 축소하고 있었을 경우에, 제외 범위의 화상의 표시 배율을, 제외 범위의 전체가 표시되는 배율, 즉 초기 표시의 배율로 리셋한다. S806에서는, CPU 201은, 위영역 901에서 행해진 핀치 조작에 따라서, 위영역 901에 표시되는, VR화상 602 중 잘라내기 범위의 부분의 화상의 표시 배율을 변경하고, 해당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해서 표시한다. 잘라내기 범위의 화상을 확대해서 표시하면, 유저는, 잘라내기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피사체의 상세를 확인할 수 있다.
S807에서는, CPU 201은, 하영역 902에서 핀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하영역 902에서 핀치 조작이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808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810에 진행된다. S808에서는, CPU 201은, 전술한 S806에서 위영역 901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화상을 S801의 초기 표시보다도 확대 또는 축소하고 있었을 경우에, 잘라내기 범위의 화상의 표시 배율을, 잘라내기 범위의 전체가 표시되는 배율, 즉 초기 표시의 배율로 리셋한다. S809에서는, CPU 201은, 하영역 902에서 행해진 핀치 조작에 따라서, 하영역 902에 표시되는, VR화상 602 중 제외 범위의 부분의 화상의 표시 배율을 변경하고, 해당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해서 표시한다. 제외 범위의 화상을 확대해서 표시하면, 유저는, 제외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피사체의 상세를 확인할 수 있다.
도9(b)에, 하영역 902에서 핀치 아웃을 행한 것에 따라서 하영역 902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대했을 경우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하영역 902에 표시되는 범위는, 제외 범위의 전체가 아니라 일부로 되어버리지만, 도9(a)의 초기 표시보다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모양을 확인하기 쉽다. 이 상태로부터 위영역 901에서 핀치 조작이 행해지면, S805의 처리에 의해 표시 배율이 리셋되어, 하영역 902에 있어서의 표시 배율은 도9(a)에 도시한 초기 표시의 표시 배율로 되돌아간다. 이렇게하여,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어느 쪽인가는 반드시 전체가 들어가는 표시 배율로 표시함으로써, 반드시 어느 쪽인가의 왜곡 원형화상에서,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부분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S804∼S809의, 2화면 표시 처리에 있어서의 핀치 조작에 따른 배율의 변경에서는, 표시 배율만이 변경되고, 잘라내기 범위의 변경은 행해지지 않는다. 다시 말해, VR화상 602에 대한 포인터 603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S810에서는, CPU 201은, 잘라내기 버튼 60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잘라내기 버튼 604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811에 진행되고, CPU 201은, 전술의 도5의 잘라내기 프리뷰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에는, 잘라내기 프리뷰 처리에서의 1회째의 S502 또는 S503에서, CPU 201은, 잘라내기 버튼 604가 터치된 시점에서 위영역 901에 표시된 표시 범위의 중앙(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위치)이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이 되도록 잘라내기를 행한다. 또한, 불필요 개소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는, 전술의 도4의 S426∼S431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해도 좋다.
S812에서는, CPU 201은, 보존 버튼 62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존 버튼 624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813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814에 진행된다. S813에서는, CPU 201은, 보존 버튼 624가 터치된 시점에서 위영역 901에 표시된 표시 범위의 중앙(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위치)이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이 되도록, 잘라내기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 201은,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위영역 901에서의 표시 범위의 중앙을 중심으로 한 180도의 범위(중심으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각각 90도의 범위)를 잘라낸다. 그리고, CPU 201은, 잘라내진 VR화상을 VR뷰에서의 표시가 가능한 화상 파일로서 기록 매체 208에 기록한다. 잘라내기 후의 기록 처리는, 전술한 S535와 마찬가지의 처리다. S813의 처리를 마치면, 2화면 표시 처리를 종료해서 도3의 S301에 되돌아간다.
S814에서는, CPU 201은, 캔슬 버튼 625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캔슬 버튼 625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2화면 표시 처리를 종료하고, S415에 되돌아가서 잘라내기 편집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2화면 표시 처리로 조정한 표시 범위(포인터 603의 VR화상 60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잘라내기 편집 화면에 넘겨진다. 캔슬 버튼 625에 대한 터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S802에 되돌아가서 처리를 되풀이한다.
또한, 2화면 표시 처리는, 잘라내기 편집 화면에서 유저가 2화면 확인 버튼 610에 대한 터치 조작을 행했을 경우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잘라내기 범위의 가설정 지시가 있었던 것에 따라서, 잘라내기 범위의 프리뷰 표시로서 2화면 표시를 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4의 S425에서 잘라내기 버튼 604가 터치 조작된 것에 따라서, 도5의 잘라내기 프리뷰 처리 대신에, 도8의 2화면 표시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도10에, 전술한 도4의 S416과 도5의 S517의 끝 미조정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203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메모리 202에 전개해서 CPU 201이 실행 함에 의해 실현한다. 도10의 끝 미조정 처리는, VR화상의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부근을 확대해서 표시하고, 잘라내기 범위를 유저가 미조정하기 위한 처리다.
S1001에서는, CPU 201은, VR뷰로부터의 화상 잘라내기용으로 끝 미조정 화면의 초기 표시를 행한다.
도11(a)에, 끝 미조정 처리에 천이한 직후에 디스플레이 205에 표시되는 끝 미조정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도11(a)는, 수평방향표시와 수직방향표시의 2종류 있는 끝 미조정 화면 중, 수평방향표시의 예다. 메인 영역 1101에는, 잘라내기 편집 화면 또는 프리뷰 화면에서 표시되어 있었던 것과 같은 VR화상 602의 일부인,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부분이 표시된다. 메인 영역 1101에서는, VR화상 602는 주변부가 왜곡되지 않는 정도의 표시 배율로 표시되기 때문에, 잘라내기 범위의 단부(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까지는 표시되지 않는다. 포인터 603은 메인 영역 1101의 고정 위치(메인 영역 1101의 중앙)에 표시된다. 포인터 603이 VR화상에 대하여 잘라내기 편집 화면에서 표시되어 있었던 위치와 같은 위치가 되도록, 배경의 VR화상의 표시 위치가 결정된다. 유저는 메인 영역 1101을 보는 것으로, 잘라내기 범위의 중심에 무엇이 찍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영역 1101의 하측에, 좌우로 늘어 놓고, 끝 표시 영역인 좌측영역 1102과 우측영역 1103이 표시된다. 좌측영역 1102과 우측영역 1103에는, 잘라내기 범위 중,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를 포함하는 부분이 표시된다.
좌측영역 1102에는, 잘라내기 범위 중 일부의 경계부분(잘라내기 범위의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이 표시된다. 초기 표시 및 리셋 직후이면, 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수직위치(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앙부각의 위치)에 있어서의 좌측의 경계부분이 표시된다. 좌측영역 1102에는 잘라내기 범위내를 나타내는 화상영역 1102a와 잘라내기 범위외(제외 범위내)를 나타내는 제외 영역 1102b가 좌우로 구분해서 서로 인접하게 표시되어,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좌측영역 1102에 있어서의 화상영역 1102a와 제외 영역 1102b의 위치 관계는 고정이며, 후술하는 터치 무브가 있어도 변하지 않는다.
우측영역 1103에는, 잘라내기 범위 중, 좌측영역 1102에 표시되는 범위와는 180도 반대측의 일부의 경계부분(좌측영역 1102에 표시되는 범위와는 불연속 경계부분)이 표시된다. 초기 표시 및 리셋 직후이면, 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수직위치(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앙부각의 위치)에 있어서의 우측의 경계부분이 표시된다. 우측영역 1103에는 잘라내기 범위내를 나타내는 화상영역 1103a와 잘라내기 범위외(제외 범위내)를 나타내는 제외 영역 1103b가 좌우로 구분해서 서로 인접하게 표시되어,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우측영역 1103에 있어서의 화상영역 1103a와 제외 영역 1103b의 위치 관계는 고정이며, 후술하는 터치 무브가 있어도 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유저 조작에 따라서 잘라내기 전의 VR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위치를 변경해도, 잘라내기 범위의 끝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 잘라내기 범위의 끝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의 위치란, 화상영역 1103a와 제외 영역 1103b와의 경계위치, 및 화상영역 1102a와 제외 영역 1102b와의 경계위치다.
유저는 이러한 표시를 보고, 예를 들면, VR화상 602 중 차도부분을 제외 범위로 하고, 보도부분을 잘라내기 범위내에 넣고 싶은 경우에, 잘라내기 범위내에 생각한 대로의 부분이 넣어져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간단히 확인하고, 잘라내기 범위의 미조정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통상의 잘라내기 편집 화면의 VR뷰에 있어서의, 반구 전체 표시보다도 큰 표시 배율에서는, 잘라내기 범위내의 일부밖에 표시되지 않고, 표시 범위는 항상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이 되기 때문에,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는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경계를 확인할 수는 없다. 또한, 프리뷰 화면에 있어서의, 반구 전체 표시보다도 큰 표시 배율에서는, 잘라내기 범위내의 일부밖에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는 1개소밖에 확인할 수는 없다. 경계를 1개소밖에 보지 않고 잘라내기 범위의 조정을 행했을 경우, 표시하고 있는 경계에 있어서 잘라내기 범위의 내부에 생각한 대로의 부분을 넣었다고 하여도, 다른 쪽의 경계부근에 있어서 반대로 넣고 싶은 피사체가 잘라내기 범위로부터 밀려나와버린다고 한 것이 발생할 수 있다. 쌍방의 경계부근에 있어서 생각한 대로의 부분이 넣어져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표시 범위를 복수회 또는 크게 변경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11(a)와 같은 끝 미조정 화면에서는, 유저는, 표시 범위를 변경하지 않고,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를 확인하고, 잘라내기 범위내에 생각한 대로의 부분이 넣어져 있는 것인가 아닌가 확인할 수 있다. 더욱, 도11(a)와 같은 끝 미조정 화면에서는, 유저는, 복수의 경계부분(양 끝의 경계부분)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잘라내기 범위내에 생각한대로의 부분이 넣어져 있는 것인가 아닌가의 확인등을 단시간이나 적은 조작 횟수로 행할 수 있다.
좌측영역 1102의 좌상부(제외 영역 1102b의 상부)에는, 터치 아이콘인 수평/수직전환 버튼 1104를 표시한다. 이 위치에 수평/수직전환 버튼 1104를 표시함으로써, 화상영역 1102a에 표시된 잘라내기 범위내의 영상의 시인성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수평방향표시와 수직방향표시를 전환하였을 경우에도, 수평/수직전환 버튼 1104는, 표시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전환후의 잘라내기 범위내의 영상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표시한다. 또한, 수평/수직전환 버튼 1104는, 우측영역 1103의 우하부(제외 영역 1103b의 하부)에 표시해도 좋다. 이 위치에서도, 수평방향표시와 수직방향표시의 쌍방에서 잘라내기 범위내의 영상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우측영역 1103의 우하부(제외 영역 1103b의 하부)에는, 터치 아이콘인 리셋 버튼 1105를 표시한다. 이 위치이면, 수평방향표시와 수직방향표시의 쌍방에서 잘라내기 범위내의 영상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고 리셋 버튼 1105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리셋 버튼 1105는, 같은 이유로 좌측영역 1102의 좌상부(제외 영역 1102b의 상부)에 표시해도 좋다.
도11(c)에, 수평방향표시와 수직방향표시의 2종류 있는 끝 미조정 화면 중, 수직방향표시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메인 영역 1101의 표시 내용은 수평방향표시와 마찬가지다. 메인 영역 1101의 하측에, 좌우로 늘어 놓고, 끝 표시 영역인 좌측영역 1112와 우측영역 1113이 표시된다. 좌측영역 1112와 우측영역 1113에는, 잘라내기 범위 중,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를 포함하는 부분이 표시된다.
좌측영역 1112에는, 잘라내기 범위 중 일부의 경계부분이 표시된다. 초기 표시 및 리셋 직후이면, 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수평위치(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방위각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측의 경계부분이 표시된다. 좌측영역 1112에는 잘라내기 범위내를 나타내는 화상영역 1112a와 잘라내기 범위외(제외 범위내)를 나타내는 제외 영역 1112b가 상하로 구분해서 서로 인접하게 표시되어,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좌측영역 1112에 있어서의 화상영역 1112a와 제외 영역 1112b의 위치 관계는 고정이며, 후술하는 터치 무브가 있어도 변하지 않는다.
우측영역 1113에는, 잘라내기 범위 중, 좌측영역 1112에 표시되는 범위와는 180도 반대측의 일부의 경계부분이 표시된다. 초기 표시 및 리셋 직후이면, 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수평위치(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방위각의 위치)에 있어서의 하측의 경계부분이 표시된다. 우측영역 1113에는 잘라내기 범위내를 나타내는 화상영역 1113a와 잘라내기 범위외(제외 범위내)를 나타내는 제외 영역 1113b가 상하로 구분해서 서로 인접하게 표시되어,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경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우측영역 1113에 있어서의 화상영역 1113a와 제외 영역 1113b의 위치 관계는 고정이며, 후술하는 터치 무브가 있어도 변하지 않는다.
좌측영역 1112의 좌상부(제외 영역 1112b의 상부)에는, 터치 아이콘인 수평/수직전환 버튼 1104를 표시한다. 이 표시 위치는 도11(a)와 같다. 이 표시 위치는, 도11(a)의 제외 영역 1102b와 도11(c)의 제외 영역 1112b가 중복(오버랩)하는 영역이다. 또한, 우측영역 1113의 우하부(제외 영역 1113b의 하부)에는, 리셋 버튼 1105를 표시한다. 이 표시 위치는 도11(a)와 같다. 이 표시 위치는, 도11(a)의 제외 영역 1103b와 도11(c)의 제외 영역 1113b가 중복(오버랩)하는 영역이다.
S1002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리셋 버튼 1105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리셋 버튼 1105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는 S1001에 진행되고, 후술하는 S1014 또는 S1020에서 변경된 표시 위치를 원래의 표시 위치에 되돌린다. 이 리셋에 의해, 수평방향표시이면 잘라내기 범위의 상하 중앙부분의 좌경계, 우경계의 표시가 되고, 수직방향표시이면 잘라내기 범위의 좌우 중앙의 상경계, 하경계의 표시가 된다. 리셋 버튼 1105에 대한 터치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S1103에 진행된다.
S1003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수평/수직전환 버튼 110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수평/수직전환 버튼 1104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는 S1004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005에 진행된다.
S1004에서는, CPU 201은, 끝 미조정 화면(끝 표시 영역)이 수평방향표시이었을 경우에는 수직방향표시로, 수직방향표시이었을 경우에는 수평방향표시로 전환한다. 예를 들면, 도11(a)와 같이 표시하고 있었던 상태에서 수평/수직전환 버튼 110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으면 도11(c)의 표시로 전환한다. 또한, 도11(c)와 같이 표시하고 있었던 상태에서 수평/수직전환 버튼 110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으면 도11(a)의 표시로 전환한다.
S1005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메인 영역 1101에서 터치 무브가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메인 영역 1101에 터치다운 되어서 터치 무브가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메인 영역 1101을 기점으로 한 터치 무브가 행해졌을 경우는 S1006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008에 진행된다.
S1006에서는, CPU 201은, 터치 무브에 의한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서, 메인 영역 1101에 표시되는 VR화상의 표시 범위를 변경한다. 이 처리는, 전술한 도3의 S306의 처리와 마찬가지다.
S1007에서는, CPU 201은, 터치 무브에 의한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서, 수평방향표시이면 좌측영역 1102와 우측영역 1103에 있어서의 VR화상의 표시 범위(즉, 화상영역 1102a와 화상영역 1103a에 표시되는 부분)를 변경한다. 수직방향표시이면 좌측영역 1112와 우측영역 1113에 있어서의 VR화상의 표시 범위(즉, 화상영역 1112a와 화상영역 1113a에 표시되는 부분)를 변경한다. 이것은, 메인 영역 1101에서의 터치 무브에 따라서 잘라내기 범위가 변경되어, VR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범위의 위치 관계가 변하기 때문이다.
S1008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터치 버튼의 표시 영역을 제외하는 좌측영역 1102, 우측영역 1103, 좌측영역 1112, 우측영역 1113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다운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터치 버튼의 표시 영역을 제외하는 좌측영역 1102, 우측영역 1103, 좌측영역 1112, 우측영역 1113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다운이 있었을 경우는 S1009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1023에 진행된다.
S1009에서는, CPU 201은, 메모리 202에 보유된, 상하터치 무브 또는 좌우터치 무브인 것을 나타내는 무브 플래그를 클리어(오프) 해서 초기화한다.
S1010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 205의 상하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단위이동량의 터치 무브가 있을 때마다, 상하 방향의 이동 성분이 좌우 방향의 이동 성분보다도 크면 상하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상하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졌을 경우는 S1011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016에 진행된다.
S1011에서는, CPU 201은, 메모리 202에 보유된, 좌우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의 도중인 것을 나타내는 좌우 무브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좌우 무브 플래그가 ON이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상하 방향의 이동 성분은 무시하기 때문에, S1016에 진행된다. 좌우 무브 플래그가 오프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1012에 진행된다.
S1012에서는, CPU 201은, 상하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의 도중인 것을 나타내는 상하 무브 플래그를 온으로 설정(온으로서 메모리 202에 기록)하고, S1013에 진행된다.
S1013에서는, CPU 201은, 끝 미조정 화면(끝 표시 영역)의 수평방향표시와 수직방향표시 중, 현재의 표시 모드가 수평방향표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수평방향표시일 경우에는 S1014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고 수직방향표시일 경우에는 S1015에 진행된다.
S1014에서는, CPU 201은, 좌측영역 1102, 우측영역 1103에 있어서의 VR화상의 표시 위치를 잘라내기 범위의 경계를 따라 갱신한다. 이것은, 360도의 VR화상이 매핑된 전구 중 잘라내기 범위로서 반구가 지정되어 있었을 경우에, 원형으로 되는 반구의 잘라내기 경계를 따라 표시 범위가 이동한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VR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범위와 제외 영역의 위치 관계는 변하지 않고, 화상영역 1102a내에 표시되는 VR화상의 범위와 화상영역 1103a내에 표시되는 VR화상의 범위가 변한다. 화상영역 1102a와 화상영역 1103a는 표시 범위가 변하여도 서로 잘라내기 경계가 180도 상이한 부분을 표시한다고 하는 관계를 유지한다. 따라서, 유저가 상하로 180도분의 터치 무브를 행하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잘라내기 범위의 경계의 모든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S1014의 처리에서는 잘라내기 범위는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메인 영역 1101의 표시 내용은 변경되지 않는다.
도11(b)에, 도11(a)의 상태로부터 좌측영역 1102에 대한 하향의 터치 무브를 행하고, 화상영역 1102a에 표시되는 화상부분을 아래로 이동(표시 범위를 위로 이동)하도록 스크롤했을 경우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좌측영역 1102에 표시되는 부분은, VR화상 중 수평방향(지평선 방향)의 경계부분을 표시하고 있었던 도11(a)의 상태로부터, 잘라내기 범위의 경계를 따라 이동하고, 도11(b)에서는 좌측영역 1102에 하늘의 방향의 경계부분이 표시되어 있다. 우측영역 1103에 표시되는 부분은, 잘라내기 범위의 경계 중, 좌측영역 1102에 표시되는 하늘의 방향과 180도 반대측의 지면방향의 화상으로 되어 있다.
S1015에서는, CPU 201은, 화상영역 1112a, 화상영역 1113a에 표시되는 VR화상의 표시 범위를, 상하의 터치 무브에 따라서 변경한다. 이것은, 잘라내기 전의 VR화상에 대한 잘라내기 범위의 경계의 위치가 상하의 터치 무브에 따라서 이동한다고 하는 것이다. 잘라내기 범위의 각도는 180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좌측영역 1112와 우측영역 1113의 어느 쪽의 위치로부터 상하의 터치 무브가 행해져도, 화상영역 1112a와 화상영역 1113a의 양쪽의 표시 범위가 변한다. 예를 들면, 잘라내기 범위를 좁히는 방향으로의 경계의 이동에 의해 화상영역 1112a의 표시 범위가 변하면, 잘라내기 범위의 각도를 180도로 유지하는 것 같은, 잘라내기 범위를 넓히는 방향으로의 경계의 이동에 의해 화상영역 1113a의 표시 범위도 변한다. 이것에 의해 잘라내기 범위가 변하고, 메인 영역 1101에 표시되는 범위도 변경된다. 유저는, 어디까지가 잘라내기 범위내로 되고, 어디까지가 제외 범위로 되는 것인지를 경계부근(화상영역 1112a와 화상영역 1113a)에서 확인하면서 상하로 터치 무브를 행하고, 잘라내기 범위를 엄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처리에 있어서는, 잘라내기 범위의 넓이(180도)는 변하지 않고, 잘라내기 전의 VR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위치가 변경된다.
S1016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 205의 좌우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단위이동량의 터치 무브가 있을 때마다, 좌우 방향의 이동 성분이 상하 방향의 이동 성분보다도 크면 좌우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좌우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졌을 경우는 S1017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022에 진행된다.
S1017에서는, CPU 201은, 메모리 202에 보유된, 상하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의 도중인 것을 나타내는 상하 무브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상하 무브 플래그가 ON이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좌우 방향의 이동 성분은 무시하기 때문에, S1022에 진행된다. 상하 무브 플래그가 오프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1018에 진행된다.
S1018에서는, CPU 201은, 좌우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의 도중인 것을 나타내는 좌우 무브 플래그를 온으로 설정(온으로서 메모리 202에 기록)하고, S1019에 진행된다.
S1019에서는, CPU 201은, 끝 미조정 화면(끝 표시 영역)의 수평방향표시와 수직방향표시 중, 현재의 표시 모드가 수직방향표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수직방향표시일 경우에는 S1020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고 수평방향표시일 경우에는 S1021에 진행된다.
S1020에서는, CPU 201은, 좌측영역 1112, 우측영역 1113에 있어서의 VR화상의 표시 위치를 잘라내기 범위의 경계를 따라 표시 위치를 갱신한다. 이것은, 전술의 S1014와 마찬가지의 처리다. 단, S1014와는 좌측영역 1112, 우측영역 1113에 있어서의 VR화상의 표시방향이 90도 상이하다. S1020의 처리에서는 잘라내기 범위는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메인 영역 1101의 표시 내용은 변경되지 않는다.
도11(d)에, 도11(c)의 상태로부터 우측영역 1113에 대한 좌향의 터치 무브를 행하고, 화상영역 1113a에 표시되는 화상부분을 왼쪽으로 이동(표시 범위를 화상영역 1113a의 방향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스크롤했을 경우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우측영역 1113에 표시되는 부분은, VR화상 중 수직방향하측(지면방향)의 경계부분을 표시하고 있었던 도11(c)의 상태로부터, 잘라내기 범위의 경계를 따라 이동하고, 도11(d)에서는 우측영역 1113에 수평방향(지평선 방향)의 경계부분이 표시되어 있다. 좌측영역 1112에 표시되는 부분은, 잘라내기 범위의 경계 중, 우측영역 1113에 표시되는 방향과 180도 반대측의 수평방향(지평선 방향)의 화상으로 되어 있다.
S1021에서는, CPU 201은, 화상영역 1102a, 화상영역 1103a에 표시되는 VR화상의 표시 범위를, 좌우의 터치 무브에 따라서 변경한다. 이것은, 잘라내기 전의 VR화상에 대한 잘라내기 범위의 경계의 위치가 좌우의 터치 무브에 따라서 이동한다고 하는 것이다. 잘라내기 범위의 각도는 180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좌측영역 1102와 우측영역 1103의 어느 쪽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터치 무브가 행해져도, 화상영역 1102a와 화상영역 1103a의 양쪽의 표시 범위가 변한다. 예를 들면, 잘라내기 범위를 좁히는 방향으로의 경계의 이동에 의해 화상영역 1102a의 표시 범위가 변하면, 잘라내기 범위의 각도를 180도로 유지하는 것 같은, 잘라내기 범위를 넓히는 방향으로의 경계의 이동에 의해 화상영역 1103a의 표시 범위도 변한다. 이것에 의해 잘라내기 범위가 변하고, 메인 영역 1101에 표시되는 범위도 변경된다. 유저는, 어디까지가 잘라내기 범위내로 되고, 어디까지가 제외 범위로 되는 것인지를 경계부근(화상영역 1102a와 화상영역 1103a)에서 확인하면서 좌우로 터치 무브를 행하고, 잘라내기 범위를 엄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처리에 있어서는, 잘라내기 범위의 넓이(180도)는 변하지 않고, 잘라내기 전의 VR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위치가 변경된다.
S1022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터치업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터치업이 행해졌을 경우는 S1023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010에 되돌아가서 처리를 되풀이한다.
S1023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되돌아가기 버튼 1106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되돌아가기 버튼 1106을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없을 경우는 S1002에 되돌아가서 처리를 되풀이하고, 되돌아가기 버튼 1106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끝 미조정 처리를 종료한다.
끝 미조정 처리를 종료하면, 끝 미조정 처리를 종료한 앞의 처리에서도, 끝 미조정 처리로 조정한 잘라내기 범위는 넘긴다. 따라서, 예를 들면, 끝 미조정 처리로 잘라내기 범위의 미조정을 행하고, 끝 미조정 처리를 종료해서 도4의 잘라내기 편집 처리(잘라내기 편집 화면)에 되돌아갔을 경우, 그 후 표시 범위를 변경하지 않고 잘라내기 버튼 604를 터치하면, 끝 미조정 처리로 조정한 잘라내기 범위에서 잘라내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끝 미조정 화면에서도 잘라내기의 지시를 접수하도록 하고, 끝 미조정 화면에서 잘라내기의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에, 직접 S426 또는 S427에 진행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끝 미조정 화면에서도 잘라내기 보존의 지시를 접수하도록 하고, 끝 미조정 화면에서 잘라내기 보존의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에, 직접 S535에 진행되도록 해도 좋다.
도12에, 전술한 도4의 S418의 불필요 개소 지정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203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메모리 202에 전개해서 CPU 201이 실행함에 의해 실현한다.
S1201에서는, CPU 201은, 디스플레이 205에 불필요 개소 지정용 화면을 표시한다. 도13(a)에, 불필요 개소 지정용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전술과 동일 부호의 표시 아이템은, 전술한 것(잘라내기 편집 화면이나 프리뷰 화면의 표시 아이템)과 마찬가지다.
포인터 1301은, 불필요 개소 지정용 화면의 중앙에 고정해서 표시되어, VR화상 602 중 불필요 개소(불필요한 피사체의 위치, 제외하고 싶은 피사체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다. 포인터 603, 포인터 621과의 혼동을 막기 위해서, 포인터 603, 포인터 621과는 상이한 표시 형태로 표시된다(색, 형상, 모양등이 상이하다). 단, 포인터 1301은, 후술하는 불필요 개소 지정용 화면에 표시된 보존 버튼 62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을 나타내는 포인터로서 기능한다. 불필요 개소 등록 버튼 1302는 불필요 개소를 지정해서 등록하기 위한 터치 버튼이다. 불필요 개소 등록 버튼 1302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행해지면, VR화상 602 중 그 시점에서 포인터 1301이 나타내는 위치의 위치 정보가 불필요 개소로서 등록된다(메모리 202에 기록된다). 불필요 개소 정보 삭제 버튼 1303은, 등록된 불필요 개소의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터치 버튼이다. 불필요 개소 정보 삭제 버튼 1303을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행해지면, 등록된 불필요 개소의 정보가 1개 삭제(클리어)되어, 불필요 개소로서의 등록이 해제된다. 마진 설정 버튼 1304는, 불필요 개소를 기점으로 한 선택 무효범위의 마진을 설정하기 위한 터치 버튼이다. 종료 버튼 1305는, 불필요 개소 지정 처리를 종료하고 잘라내기 편집 처리에 되돌아가는 지시를 접수하는 터치 버튼이다.
S1202, S1203은, 터치 무브에 따른 표시 범위의 변경 처리이며, 도3의 S305, S306과 마찬가지의 처리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터치 무브에 의해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가 변경되어도, 포인터 1301의 표시 범위는 변경되지 않는다. 또한, 불필요 개소가 등록되어 있었을 경우, 변경후의 표시 범위에 선택 무효범위가 포함되어 있으면, 표시되는 VR화상 중 선택 무효범위를 식별가능한(강조한) 표시를 행한다. 이것에 대해서는 도13(b)를 사용해서 후술한다.
S1204, S1205는, 핀치 조작에 따른 표시 배율의 변경 처리이며, 도3의 S309, S310과 마찬가지의 처리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불필요 개소가 등록되어 있었을 경우, 표시 배율의 변경후의 표시 범위에 선택 무효범위가 포함되어 있으면, 표시되는 VR화상 중 선택 무효범위를 식별가능한 표시를 행한다.
S1206에서는, CPU 201은, 불필요 개소 등록 버튼 1302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불필요 개소 등록 버튼 1302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1207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1208에 진행된다. S1207에서는, CPU 201은, VR화상 602 중, 포인터 1301이 나타내는 위치의 위치 정보(앙부각의 각도정보와 방위각의 각도정보)를 불필요 개소로서, 대응하는 불필요 개소 정보를 등록한다. 불필요 개소 정보로서, 위치 정보와, 등록 번호(1로부터 순서대로 등록할 때마다 +1한 것)를 메모리 202에 기록한다. 또한, 포인터 1301이 나타내는 위치가 이미 불필요 개소로서 등록되었을 경우에는 S1207의 처리는 스킵한다.
불필요 개소가 새롭게 등록되면, CPU 201은, 새롭게 등록된 불필요 개소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잘라내기 각도와 마진 각도를 합친 각도의 영역을 선택 무효범위로서 설정한다. 선택 무효범위에 잘라내기 범위의 기준위치를 설정하면 등록된 불필요 개소가 잘라내기 범위에 포함되어버리기 때문에, 선택 무효범위는 잘라내기 범위의 기준위치로서 설정하기 위해서는 부적절한 부적절 범위라고도 할 수 있다. 선택 무효범위이외의 범위(선택 유효범위)에는, 잘라내기 범위의 기준위치를 설정해도, 등록된 불필요 개소가 잘라내기 범위에 포함되는 일은 없으므로, 선택 무효범위이외의 범위는 잘라내기 범위의 기준위치를 설정하는 데도 적절한 적절범위라고도 말할 수 있다. 잘라내기 각도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180도다. 마진 각도는 후술하는 S1210, S1211에서 유저가 임의로 변경가능하지만, 초기값은 10도다. 잘라내기 각도 180도, 마진 각도 10도일 경우는, 새롭게 등록된 불필요 개소를 중심으로 한 주위 100도(잘라내기 범위 180의 절반의 90도+10도)의 범위, 합계 200도의 범위가 선택 무효범위로 된다. 이미 이외에 등록된 불필요 개소가 있고, 선택 무효범위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설정된 선택 무효범위에, 새롭게 등록된 불필요 개소에 근거해서 설정되는 선택 무효범위를 머지한 범위가 선택 무효범위로서 설정된다. 선택 무효범위내의 어느 하나의 위치를 잘라내기 범위의 중심으로 하여 설정하면, 불필요 개소로서 지정한 위치의 피사체(영상)가 잘라내기 범위에 포함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다시 말해, 선택 무효범위내의 각 위치는, 잘라내기 범위의 중심으로 하여 설정해야 하지 않는 위치다. 그리고, CPU 201은, 설정된 선택 무효범위를 식별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205에 표시된 VR화상 602에 대하여 식별 표시를 행한다. 도13(b)에, 선택 무효범위의 식별 표시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표시된 VR화상 602 중, 선택 무효범위 1307은 사선에 의해 식별가능하게 표시되어 있다. 또한, 식별 표시의 표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반투과 마스크에서의 표시, 모노크롬이나 세피아등의 색변경에 의한 표시 등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택 무효범위를 강조해서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지만, 선택 무효범위와 그렇지 않은 범위를 식별가능하면 좋고, 선택 무효범위이외의 범위를 강조해서 표시해도 좋다. 또한, VR화상 602 중 선택 무효범위의 영상을 비표시로 하고, 선택 무효범위이외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S1207의 불필요 개소의 등록 처리에 있어서, 새롭게 등록되는 불필요 개소에 따라서, 잘라내기 전의 VR화상의 전체 범위가 선택 무효범위로 되어 버릴 경우는, 새로운 불필요 개소의 등록을 하지 않고, 추가등록할 수 없는 취지를 나타내는 에러 표시를 행한다. 잘라내기 전의 VR화상 중 선택 무효범위이외의 범위(선택 유효범위)의 넓이가 역치미만이 되어 버릴 경우도, 새로운 불필요 개소의 등록을 하지 않고, 추가등록할 수 없는 취지를 나타내는 에러 표시를 행한다.
선택 무효범위가 설정될 때까지의 흐름을, 도14(a)∼도14(g)의 이미지 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14(a)의 범위 1450은, VR화상 중 디스플레이 205에 표시되어 있는 영역(표시 범위)을 나타내고, 포인터 방향 1451은 가상 구체의 중앙에서 본 표시 범위의 중앙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포인터 1301이 나타내는 위치에 대응한다. 불필요 개소 후보 1452는 유저가 VR화상 중에서 잘라내기에 불필요한 개소(제외하고 싶은 개소)라고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다. 유저는, 잘라내기에 불필요한 개소가 있을 경우, 디스플레이 205의 표시 영역의 중심에 대응하는 포인터 방향 1451을, 잘라내기에 불필요한 개소 1452(잘라내기에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피사체)에 맞춘다. 그리고, 불필요 개소 등록 버튼 1302를 터치한다.
터치해서 불필요 개소가 1개 등록된 직후의 이미지 도가 도14(b)이다. 망점으로 나타내는 선택 무효범위 1453은, 포인터 방향 1451로부터, 잘라내기 각도 1454(180ㅀ)분의 영역을 표현한 것으로, 마진이 0도일 경우의 선택 무효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무효범위내의 위치 1455를 잘라내기의 중심으로 하여 지정하면, 잘라내기 범위는 도14(d)의 윤곽부 1456의 범위로 되고, 불필요 개소 1452가 포함되어버린다. 또한, 도14(d)에 있어서 검은 칠부는 제외 범위다.
마진 각도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 선택 무효범위는 불필요 개소를 중심으로 한 180도(반구)보다 넓은 범위로 설정되어, 도14(e)의 선택 무효범위 1457와 같이 된다. 또한, 도14(f)와 같이 불필요 개소를 복수 등록했을 경우(불필요 개소 1452와, 불필요 개소 1458의 2개소를 등록한 예), 각각을 중심으로 선택 무효범위를 산출하고, 모든 선택 무효범위를 합친 영역이, 선택 무효범위로 된다.
이렇게 설정(결정)된 선택 무효범위 중, 디스플레이 205에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도13(b)의 선택 무효범위 1307과 같이 식별가능하게 표시한다. 선택 무효범위 1307과 같은 식별 표시는, 불필요 개소 지정용 화면에 한정하지 않고, 도4에서 설명한 잘라내기 편집 처리의 잘라내기 편집 화면에서도 표시된다. 또한,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 무효범위의 식별 표시의 온/오프(표시/비표시)를 전환할 수 있어도 좋다. 또한, 선택 무효범위와 그렇지 않은 범위의 경계선을 표시해도 좋다. 더욱, 잘라내기 편집 화면에 있어서, 포인터 603이 선택 무효범위에 있을 경우, 포인터 603의 표시 형태의 변경, 경고 아이콘이나 경고 메시지등의 표시등으로, 포인터 603의 위치가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 지정 개소로서 부적절한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해도 좋다.
S1208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불필요 개소 정보 삭제 버튼 1303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불필요 개소 정보 삭제 버튼 1303을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는 S1209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210에 진행된다. S1209에서는, CPU 201은, 메모리 202로부터 불필요 개소 정보를 취득한다. 불필요 개소 정보가 1개도 등록되지 않고 있을 경우는, 처리를 중단하고, S1210에 진행된다. 등록되어 있을 경우는, 등록 번호의 가장 큰 위치 정보(최후에 등록된 불필요 개소)의 각도가 표시의 중심이 되도록,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를 이동하고, 그 불필요 개소 정보를 메모리 202로부터 삭제한다. 그리고, 삭제된 불필요 개소에 근거하는 선택 무효범위를 클리어(해제)한다. 다시 말해, 삭제된 불필요 개소에만 근거하는 선택 무효범위를, 머지된 선택 무효범위로부터 제거하고, 제거한 부분에 관한 식별 표시를 비표시로 한다(선택 유효범위로서 표시한다). 불필요 개소 정보가 1개밖에 등록되지 않고 있었을 경우에 불필요 개소 정보의 삭제가 행해지면, 도13(b)에 도시한 선택 무효범위 1307과 같은 사선부는 없어진다.
S1210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마진 설정 버튼 130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마진 설정 버튼 1304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1211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1212에 진행된다. S1211에서는, CPU 201은, 메모리 202로부터 마진 설정 정보를 판독하고, 마진 설정 다이얼로그를 표시하고, 마진 설정 조작을 접수한다. 도13(c)에, 마진 설정 다이얼로그 1306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마진 설정 다이얼로그 1306이외의 배경의 영역은 어둡게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CPU 201은, 마진 설정 다이얼로그 1306의 상하의 화살표 마크에 대한 터치 조작이나, 상하에의 터치 무브조작, 텐키를 표시해서 행해지는 수치입력 조작에 따라서, 마진의 설정 수치를 변경한다. 변경된 수치는 메모리 202에 기억한다. 마진의 설정 수치가 변경되면, 그것에 따라 등록된 불필요 개소 정보에 근거하는 선택 무효범위의 넓이도, 마진의 변경분만큼 변경한다. 마진의 설정은, 1개의 불필요 개소에 근거해서 설정되는 선택 무효범위의 넓이를, 잘라내기 범위의 넓이(본 실시 형태에서는 180도)보다 어느 정도 넓게 할지의 설정이다. 마진 설정 정보의 수치의 범위는 0∼(360-잘라내기 각도)로 하고, 범위를 초과할 경우는, 수치의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마진 설정 다이얼로그 1306이외의 부분이 터치되었을 경우는, 마진 설정 다이얼로그 1306을 닫는다(비표시로 한다).
S1212에서는, CPU 201은, 터치패널 206a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보존 버튼 624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존 버튼 624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1213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1219에 진행된다.
S1213에서는, CPU 201은, 메모리 202에 불필요 개소가 등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불필요 개소가 1개이상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S1215에 진행되고, 1개도 등록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S1214에 진행된다.
S1214에서는, CPU 201은, 현재의 표시 범위의 중앙, 즉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으로 하고 있는 위치(불필요 개소 지정용 화면이면 포인터 1301이 나타내고 있는 위치)의 방위각 및 앙부각에 근거해서 잘라내기 범위를 결정하고, 잘라내기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360도의 VR화상으로부터, 표시 범위의 중앙을 중심으로 한 180도의 범위(중심으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각각 90도의 범위)를 잘라낸다. 그리고, 잘라내진 VR화상을 VR뷰에서의 표시가 가능한 화상 파일로서 기록 매체 208에 기록한다. 잘라내기 후의 기록 처리는, 전술한 S535와 마찬가지의 처리다. S1214의 처리를 마치면, 불필요 개소 지정 처리를 종료하고 도3의 S301에 되돌아간다.
S1215에서는, CPU 201은, 현재의 표시 범위의 중앙, 즉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으로 하고 있는 위치(불필요 개소 지정용 화면이면 포인터 1301이 나타내고 있는 위치)가, 선택 무효범위내로 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선택 무효범위내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S1216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1214에 진행된다.
S1216에서는, CPU 201은, 디스플레이 205에, 보존 버튼 624가 터치된 시점의 표시 범위에 근거하는 잘라내기 범위에, 등록된 불필요 개소가 들어가버리는 것을 통지하는 경고를 표시한다. 도13(d)에, S1216에서 표시되는 경고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다이얼로그 1308에는, 「불필요 개소가 들어가지만 좋습니까?」라고 하는 메시지와 함께, OK버튼 1309와 캔슬 버튼 1310이 표시된다. 유저는 이 표시를 보고, 보존 버튼 624에 대한 터치 조작을 행한 시점의 표시 범위에 근거하는 잘라내기 범위에, 등록된 불필요 개소가 들어가버리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S1217에서는, CPU 201은, OK버튼 1309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OK버튼 1309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S1214에 진행된다. 다시 말해, 잘라내기 범위에 불필요 개소가 들어가는 것을 유저가 승락했으므로, 불필요 개소가 포함되는 잘라내기 범위에서 잘라내기를 행하고, 잘라내진 VR화상을 보존한다. OK버튼 1309에 대한 터치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S1218에 진행된다.
S1218에서는, CPU 201은, 캔슬 버튼 1310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캔슬 버튼 1310에 대한 터치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S1217에 되돌아간다. 캔슬 버튼 1310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보존 버튼 624가 터치된 시점의 표시 범위에 근거하는 잘라내기 범위에서의 잘라내기 보존을 행하지 않고, 다이얼로그 1308을 비표시로 하여 S1202에 되돌아가서 처리를 되풀이한다.
S1215∼S1218의 처리에 의해, 유저가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선택 무효범위내에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을 지정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고를 표시하지 않고(즉, S1216∼S1218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포인터가 선택 무효범위내이었을 경우에는 잘라내기 보존의 지시를 무시해(무효로서)도 좋다. 혹은, 경고만 표시하고, OK인가 캔슬인가의 선택은 받지 않고 잘라내기 보존을 행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13(a)에서 설명한 각종 표시 아이템에 더하여, 점프 버튼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포인터 1301이 선택 무효범위내일 경우에, 점프 버튼에 대한 터치 조작(터치 위치의 이동을 수반하지 않는 터치 조작)에 따라서 포인터 1301이 선택 무효 범위외에 위치하도록 VR화상 602의 표시 범위를 변경시켜도 좋다.
또한, 도13(a)에서 설명한 불필요 개소 등록 버튼 1302 대신에, 혹은 더하여, 필요 개소 등록 버튼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필요 개소 등록 버튼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서, 그 시점에서 포인터 1301이 나타내는 VR화상 602의 위치를, 필요 개소의 위치 정보로서 메모리 202에 기록한다(등록한다). 그리고, 필요 개소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잘라내기 각도로부터 마진 각도를 뺀 각도의 영역이외의 영역을, 선택 무효범위로서 산출한다. 이미지 도에서 도시하면, 도14(g)에서 필요 개소 1459를 지정하면, 선택 무효범위 1460과 같이, 잘라내기 각도(예 180ㅀ)-마진 각도(예 10ㅀ)의 영역이외의 영역을, 선택 무효범위로서 설정한다. 불필요 개소나 필요 개소가 복수 있을 경우는, 모든 지정 위치(등록 위치)의 각각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선택 무효범위를 합친 영역을, 선택 무효범위로서 설정한다.
S1219에서는, CPU 201은, 종료 버튼 1305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종료 버튼 1305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S1202에 되돌아가서 처리를 되풀이하고, 종료 버튼 1305를 지정하는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불필요 개소 지정 처리를 종료하고 도4의 S419에 진행된다.
도15(a)∼도15(d), 도16(a)∼도16(c)를 사용하여, S502에서 설명한 앙부각 유효일 경우의 잘라내기 처리, S503에서 설명한 앙부각 무효일 경우의 잘라내기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5(a)에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편집 화면의 표시 예(즉, 잘라내기 범위 지정전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기준방향(표시 시작 방향)을 방위각 0도(예를 들면 북쪽), 앙부각 0도(천정축이나 중력방향축과 수직한 방향, 수평방향)로 한다. 도15(a)는, 잘라내기 편집 화면에서, 방위각 0도, 앙부각을 앙각 60도 정도로 했을 경우의 VR화상 602의 표시 예다. 다시 말해, 표시 범위의 중앙을 나타내는 포인터 603이, 수평방향보다도 위(상공측)를 향하는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15(a)는 전술의 앙부각의 유효/무효인 설정이 무효일 경우의 표시 예이며,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은 앙부각의 설정이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 형태로 되어 있다.
도16(a)는, 도15(a)의 표시 범위를, 360도의 VR화상이 매핑되는 가상구체상에 모식적으로 표현한 도다. 시청자의 시청 위치 1601을 중심으로 하고, 천정축 1602 주변 360도의 방위, 천정축 1602와 수직한 수평축 주변의 360도의 앙부각에 의해 구체상의 위치를 특정가능하다. 잘라내기 전의 360도의 VR화상은 구체 전체에 매핑되어, 구체 전체가 유효영상범위 1603으로 된다. 도16(a)에서는, 시청자로부터 보아서 북쪽(즉, 방위각 0도)의 상공에 있는 피사체 1604에 시선방향 1605를 향한 예다. 다시 말해, 표시 범위 1607의 중심이 시선방향 1605와 교차하는 것 같은 위치에 표시 범위 1607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16(a)∼도16(c)의 표시 범위는 데포르메해서 도시되어 있고, 도15(a)∼도15(d)의 표시 범위보다도 좁아져 있다. 그러나, 도16(a)∼도16(c)의 표시 범위의 중앙은, 도15(a)∼도15(d)에 도시하는 표시 범위의 중앙과 같은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범위 1607의 중앙은, 도15(a)의 포인터 603이 나타내는 위치이며, 잘라내기 지정 위치 1606이 된다.
앙부각 무효이고, 또한, 표시 범위를 도15(a), 도16(a)에 도시한 범위로 하고 있는 경우에 잘라내기 버튼 604에 의해 잘라내기 범위의 지정 조작이 행해지면, S503의 처리에 의해 잘라내기 처리가 행해지고, 도15(b)에 도시하는 표시 범위가 된다. 도15(b)는, 도15(a)의 상태로부터 잘라내기 버튼 604가 터치 조작되어서 잘라내기 범위가 설정된 직후의 프리뷰 화면의 표시 예다. 표시 범위의 앙부각은 잘라내기 전의 60도와 상이하고, 수평방향(앙부각 0도)으로 되어 있고, 포인터 621도 앙부각 0도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도15(b)의 표시 범위의 방위각은, 잘라내기 전의 도15(a)와 같은 0도(북쪽)이다. 방위각에 대해서는 잘라내기 전과 동일해지므로, 만일 잘라내기 전에 방위각 90도(동쪽)를 표시 범위로 하고 있으면, 직후의 프리뷰 화면의 표시 범위, 및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도 방위각 90도(동쪽)로 된다.
도16(b)는, 도15(b)의 상태의 잘라내기 범위를, 360도의 VR화상이 매핑되는 가상구체상에 모식적으로 표현한 도다. 구체 우측의 윤곽의 반구가 잘라내기 후의 180도의 VR화상이 되는 잘라내기 범위 1611(유효영상범위)이다. 반대측의 반구가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으로부터는 제외되어서 파기되는 제외 범위 1612(무효영상범위)이다. 잘라내기 범위 1611은 중앙위치 1613을 중앙으로 하는 반구의 범위다. 중앙위치 1613은 잘라내기 지정 위치 1606이 나타내고 있는 방위 0도, 및 잘라내기 지정 위치 1606에 관계 없이 앙부각 0도(수평)의 위치가 된다. 잘라내기 범위 1611의 중심위치 1613과, 잘라내기 범위의 지정 조작이 행해지기 직전의 시선방향 1605나 표시 범위 1607에 근거하는 잘라내기 지정 위치 1606은, 도시한 것처럼 일치하지 않고, 앙부각이 상이하고 있지만, 이것은, 앙부각을 무효의 설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잘라내기 범위 1611의 잘라내기 면 1610은, 천정축 1602와 평행해진다.
앙부각 유효이고, 또한, 표시 범위가 도15(c), 도16(a)에 도시하는 위치로 하고 있는 경우에 잘라내기 버튼 604에 의해 잘라내기 범위의 지정 조작이 행해지면, S502의 처리에 의해 잘라내기 처리가 행해지고, 도15(d)에 도시하는 표시 범위로 된다. 또한, 도15(c)는, 도15(a)와 같은 표시 범위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앙부각 유효/무효의 설정만 도15(a)와 상이하여 있고, 도15(c)에서는,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의 표시 형태가, 앙부각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표시 형태로 되어 있다. 도15(d)는, 도15(c)의 상태로부터 잘라내기 버튼 604가 터치 조작되어서 잘라내기 범위가 설정된 직후의 프리뷰 화면의 표시 예다. 표시 범위의 앙부각은 잘라내기 전의 60도와 같아져 있고, 포인터 621도 앙부각 60도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도15(d)의 표시 범위의 방위각은, 잘라내기 전의 도15(c)과 같은 0도(북쪽)이다.
도16(c)는, 도15(d)의 상태의 표시 범위와 잘라내기 범위를, 360도의 VR화상이 매핑되는 가상구체상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다. 구체 우상측의 윤곽의 반구가 잘라내기 후의 180도의 VR화상이 되는 잘라내기 범위 1611(유효영상범위)이다. 반대측의 반구가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으로부터는 제외되어서 파기되는 제외 범위 1612(무효영상범위)이다. 잘라내기 범위 1611의 중앙위치 1613은 잘라내기 지정 위치 1606과 방위, 앙부각 함께 일치한다. 이것은, 앙부각을 유효의 설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VR화상의 잘라내기에서는, 앙부각 유효/무효의 초기 설정은 무효의 설정이며, 도16(b)에 도시하는 것 같은 잘라내기 범위에서 잘라내기가 행해진다. 이 잘라내기 범위이면, 유효영상범위는 바로 위(앙각 90도)로부터 바로 아래(부각 90도)까지이기 때문에, HMD로 시청하는 시청자는, 얼굴의 방향을 바꾸는 것만(목을 흔드는 것만)으로 간단히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의 전체를 바라볼 수 있다. 만일, 도16(c)와 같이, 바로 위를 초과해서 뒤쪽까지 유효영상범위를 가질 경우, 바로 위를 초과한 뒤쪽등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얼굴의 방향을, 바로 위를 초과한 배후측까지 향할 필요가 있다. 거기에는, 목을 흔들뿐만 아니라, 상체를 뒤로 젖히는, 상반신을 뒤트는, 서는 방향을 바꾸어서 배후를 향하는등의 신체적 부담이 비교적 큰 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시 말해,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을 자세변화에 따른 표시 범위의 변경에 의해 바라보는 것은, 신체적으로 비교적 대단하다. 이것에 대하여, 잘라내기 범위를 지정할 때의 표시 범위의 앙부각에 관계되지 않고, 도16(b)와 같이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한 범위를 잘라내는 것으로, 이러한 신체적 부담을 경감하고, 전체를 바라보는 것이 편한 VR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눈은 정면을 향했을 경우에 수평방향 전방이 보이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시야(즉, 잘라내기 범위)의 중심의 앙부각을 수평방향으로 하는 것은, 인체의 구조상도 위화감이 적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VR화상의 잘라내기에서는, 앙부각 유효/무효의 설정을 유효로 설정하면, 도16(c)에 도시한 것 같은 잘라내기 범위에서 잘라내기가 행해진다. 이 잘라내기 범위는, 잘라내기 후의 VR화상에 있어서 별하늘 전체를 바라볼 수 있어서 불필요한 지면부분을 제외할 수 있거나, 천장으로부터 본 실내의 넓은 범위를 바라볼 수 있거나 하는등, 피사체의 내용에 따라서는 적합하다.
또한, 앙부각 유효/무효의 설정의 변경에 의해, 도16(b)에 도시하는 잘라내기 범위 1611의 범위에서 잘라내기가 행해지는 것인가, 도16(c)에 도시하는 잘라내기 범위 1611에서 잘라내기가 행해지는 것인가, 라고 하는 것은 유저에 있어서 상상하기 어렵고,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앙부각 유효/무효의 설정의 차이에 의해 어떤 잘라내기 범위의 차이가 되는 것인지를, 유저가 이해하기 쉽도록 모식도를 사용해서 가이던스 표시하면 좋다.
도17(a)에,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가이던스 표시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도17(a)의 가이던스의 다이얼로그 1700은, 예를 들면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이 터치되어, 앙부각의 설정이 무효로부터 유효로 전환되었을 경우(도4의 S422, 도5의 S521)에 소정시간(예를 들면 5초) 표시된다. 다이얼로그 1700에는, 잘라내기 전의 모식도를 도시한 도형 1701과, 잘라내기 후의 모식도를 도시한 도형 1702와, 메시지 1704가 표시된다. 도형 1701은, 구체의 모식도를 사용한 가이드이며, 잘라내기 전에, 구체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지정 위치(화살표로 나타내는 위치)로서 앙부각 0도보다도 위의 위치를 지정했을 경우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형 1702는, 구체의 모식도를 사용한 가이드이며, 앙부각 설정이 유효일 경우의 잘라내기 범위를 나타내고 있고, 잘라내기 후는 잘라내기 지정 위치의 앙부각에 근거한 반구가 잘라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메시지 1704는, 잘라내기 범위의 앙부각의 설정을 유효하게 한 취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형 1701 대신에, 앙부각의 설정이 유효일 경우의 잘라내기 범위를 도시한 도17(b)의 도형 1703을 표시해도 좋다.
도17(b)에, 디스플레이 205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범위의 가이던스 표시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도17(b)의 가이던스의 다이얼로그 1700은, 예를 들면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이 터치되어, 앙부각의 설정이 유효로부터 무효로 전환되었을 경우(도4의 S421, 도5의 S520)에 소정시간(예를 들면 5초) 표시된다. 다이얼로그 1700에는, 잘라내기 전의 모식도를 도시한 도형 1701과, 잘라내기 후의 모식도를 도시한 도형 1703과, 메시지 1705이 표시된다. 도형 1701은, 구체의 모식도를 사용한 가이드이며, 잘라내기 전에, 잘라내기 지정 위치(화살표로 나타내는 위치)로서 앙부각 0도보다도 위의 위치를 지정했을 경우의 모식도를 나타내고, 도17(a)의 도형 1701과 같은 것이다. 도형 1703은, 구체의 모식도를 사용한 가이드이며, 앙부각 설정이 무효일 경우의 잘라내기 범위를 나타내고 있고, 잘라내기 후는 잘라내기 지정 위치의 앙부각에 관계없이, 구를 종으로 분할한 반구(중앙이 수평방향이 되는 반구)가 잘라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메시지 1705는, 잘라내기 범위의 앙부각의 설정을 무효로 한 취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형 1701 대신에, 앙부각의 설정이 무효일 경우의 잘라내기 범위를 도시한 도17(a)의 도형 1702를 표시해도 좋다.
도17(a), 도17(b)에 도시한 것 같은 가이드는, 앙부각의 설정을 전환하였을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전자 메뉴얼 등에 있어서 앙부각의 설정에 관한 설명을 표시할 경우에 표시해도 좋다. 또한, 설정 상태를 표현하는 정보, 예를 들면 앙부각 유효/무효 버튼 613으로서, 도17(a), 도17(b)에 도시한 것 같은 가이드를 표시해도 좋다. 또한, 잘라내기 전을 도시한 도형 1701을 표시하지 않고, 잘라내기 후를 도시한 도형(앙부각 무효의 경우는 도형 1702, 앙부각 유효의 경우는 도형 1703)을 표시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로 촬상된 VR화상으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화상을 생성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원래의 VR화상은 촬상 장치로 촬상된 VR화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컴퓨터 그래픽(CG)등으로 작성된 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VR콘텐츠를 잘라내서 생성할 때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각종 흐름도의 처리는, 반드시 조합해서 실시할 필요는 없고, 각각 따로따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여, 상술의 흐름도의 일부를 다른 실시 형태로 조합해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의 반구 전체 표시, 2화면 표시 처리, 끝 미조정 처리등은, 잘라내기 범위의 중앙을 지정하는 수법으로 잘라내기 범위를 지정하는 도4의 잘라내기 편집 처리와 조합하지 않더라도, 각 처리 단체로, 잘라내기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처리로서 실시가능하다. 다시 말해, 예를 들면, 도3의 S311에서 잘라내기 편집 버튼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도7(a), 도7(b)에서 설명한 반구 전체 표시에 직접 이행해서 잘라내기 범위를 지정할 수 있게 해도 좋다. 도8, 9에서 설명한 2화면 표시 처리나, 도10, 11에서 설명한 끝 미조정 처리에 직접 이행하여 잘라내기 범위를 지정할 수 있게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VR콘텐츠로부터, 유저의 잘라내기 범위의 지정 조작에 근거한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조작성 좋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CPU 201이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 상술의 각종 제어는 1개의 하드웨어가 행해도 좋고, 복수의 하드웨어(예를 들면, 복수의 프로세서나 회로)가 처리를 분담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을 그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근거해서 상세히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여러가지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더욱, 상술한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각 실시 형태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전자기기 200(스마트 폰등)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잘라내기 위한 조작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면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나 PDA, 휴대전화단말이나 휴대형의 화상 뷰어, 프린터 장치, 디지탈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영상 플레이어등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탈 카메라, 텔레비전 장치, 투영 장치, 타블렛 단말, AI스피커, 가전장치, 차재장치, 의료기기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이 개시된다. 다시 말해,
(A1)
전자기기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제1의 화면에서의 상기 VR콘텐츠의 표시중에, 유저로부터의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영상범위이며, 상기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했을 때의 표시 범위의 위치에 근거한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A2)
상기 제2의 영상범위는, 상기 제1의 화면의 표시 시작시의 상기 표시 범위에 포함되는 범위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에 기재된 전자기기.
(A3)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한 후에,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 수단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표시 범위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밖을 포함하게 되면, 비영상범위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 또는 (A2)에 기재된 전자기기.
(A4)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편집된 VR콘텐츠를 격납한 파일을 생성해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욱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A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A5)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에 근거하는 복수의 화상을 격납한 1개의 정지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4)에 기재된 전자기기.
(A6)
상기 정지 화상 파일의 파일명에서는, 확장자의 앞에 문자열 ".VR"이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5)에 기재된 전자기기.
(A7)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에 근거하는 복수의 동화상을 늘어놓은 1개의 동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4)∼(A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A8)
상기 동화상 파일의 파일명에서는, 확장자의 앞에 문자열 ".VR"이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7)에 기재된 전자기기.
(A9)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표시 범위에 관계 없이 소정의 위치에,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중심위치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A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A10)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한 후에,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중심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 수단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의 변경에 따라서 상기 아이템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9)에 기재된 전자기기.
(A11)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을 제1의 표시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을 상기 제1의 표시 형태와 상이한 제2의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0)에 기재된 전자기기.
(A12)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상범위를 나타내는 가이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한 후에,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를 나타내는 가이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A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A13)
상기 제2의 영상범위는, 상기 표시 범위에 비추어진 방향의 방위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범위에 비추어진 방향의 앙부각에는 근거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A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A14)
상기 제2의 영상범위는, 상기 표시 범위에 비추어진 방향의 방위와 앙부각에 근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A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A15)
유저로부터의 전환 지시에 따라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에 비추어진 방향의 방위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범위에 비추어진 방향의 앙부각에는 근거하지 않는 영상범위와, 상기 표시 범위에 비추어진 방향의 방위와 앙부각에 근거하는 영상범위와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더욱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A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A16)
디폴트의 제2의 영상범위는, 상기 표시 범위에 비추어진 방향의 방위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범위에 비추어진 방향의 앙부각에는 근거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5)에 기재된 전자기기.
(A17)
유저로부터의 방향 지정 지시에 따라서, 상기 편집된 VR콘텐츠의 최초에 표시하는 표시 범위의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욱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A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A18)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유저로부터의 미조정 지시에 따라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를 미조정하기 위한 제3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경계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A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A19)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유저로부터의 배율변경 지시에 따라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전체가 표시되는 표시 배율로 변경해서 상기 VR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1)∼(A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A20)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스텝과,
상기 제1의 화면에서의 상기 VR콘텐츠의 표시중에, 유저로부터의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영상범위이며, 상기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했을 때의 표시 범위의 위치에 근거한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A21)
컴퓨터를, (A1)∼(A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A22)
컴퓨터를, (A1)∼(A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일본 특허공개 2016-19249호 공보에는, 전방위 화상(VR콘텐츠) 중, 촬영자가 찍히고 있는 부분을 제외하도록 잘라내기를 행하거나, 촬영자가 향하고 있는 측(촬영자의 시선방향)을 중심으로 전개를 행하거나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방위 화상(VR콘텐츠)으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잘라내는 것에 대해서 고려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조작성 좋게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이 제공되도록, 이하의 구성도 개시된다. 다시 말해,
(B1)
전자기기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고,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제2의 영상범위의 제1의 화상과, 상기 제1의 영상범위 중,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밖의 범위의 제2의 화상을 늘어 놓아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화상과 상기 제2의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의, 유저에 의한 영상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B2)
상기 제1의 화상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전체가 들어가는 화상이며,
상기 제2의 화상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밖의 범위의 전체가 들어가는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1)에 기재된 전자기기.
(B3)
상기 제1의 화상 및 상기 제2의 화상은 왜곡한 원형의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1) 또는 (B2)에 기재된 전자기기.
(B4)
상기 제2의 영상범위는, 상기 제1의 화면의 표시 시작시의 상기 표시 범위에 포함되는 범위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B1)∼(B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B5)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화상과 상기 제2의 화상의 한쪽을 확대 또는 축소해서 표시할 경우에, 상기 제1의 화상과 상기 제2의 화상의 다른 쪽을 확대도 축소도 하지 않고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1)∼(B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B6)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화상이,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밖의 범위의 화상인 것이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1)∼(B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B7)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편집된 VR콘텐츠를 격납한 파일을 생성해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욱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B1)∼(B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B8)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에 근거하는 복수의 화상을 격납한 1개의 정지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7)에 기재된 전자기기.
(B9)
상기 정지 화상 파일의 파일명에서는, 확장자의 앞에 문자열 ".VR"이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8)에 기재된 전자기기.
(B10)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에 근거하는 복수의 동화상을 늘어놓은 1개의 동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7)∼(B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B11)
상기 동화상 파일의 파일명에서는, 확장자의 앞에 문자열 ".VR"이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10)에 기재된 전자기기.
(B12)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고,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제2의 영상범위의 제1의 화상과, 상기 제1의 영상범위 중,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밖의 범위의 제2의 화상을 늘어 놓아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스텝과,
상기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화상과 상기 제2의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의, 유저에 의한 영상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를 변경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B13)
컴퓨터를, (B1)∼(B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B14)
컴퓨터를, (B1)∼(B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종래 기술에서는, 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잘라내는 조작 과정에 있어서, 잘라내기 후의 VR콘텐츠의 영상의 범위의 끝에 잘라내기 전의 VR콘텐츠의 어느 범위가 포함되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생성할 때에, 잘라내지는 VR콘텐츠의 영상의 범위를 따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제공되도록, 이하의 구성도 개시된다. 다시 말해,
(C1)
전자기기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의 영상범위보다도 좁고,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상기 끝을 식별할 수 있게 표시하고, 상기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표시한 상태에서의 유저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C2)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표시하고 있을 때에, 유저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위치를 변경해도,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수단에 있어서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1)에 기재된 전자기기.
(C3)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 중 복수의 상이한 개소의 각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일부의 범위를, 각각의 끝을 식별할 수 있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1) 또는 (C2)에 기재된 전자기기.
(C4)
상기 복수의 상이한 개소는,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 중 서로 불연속인 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3)에 기재된 전자기기.
(C5)
상기 복수의 상이한 개소는,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 중, 상기 VR콘텐츠를 보는 방향이 서로 180도 상이한 복수의 개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4)에 기재된 전자기기.
(C6)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표시한 상태의 유저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넓이를 변경하지 않고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1) 내지 (C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C7)
상기 제2의 영상범위는, 상기 제1의 화면의 표시를 시작할 때의 상기 표시 범위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C1) 내지 (C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C8)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의 상기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의 표시 영역에 대한 유저로부터의 제1의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대한 유저로부터의 제1의 방향과 수직한 제2의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1) 내지 (C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C9)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표시할 때에,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에 대응하는 위치를 수직으로 표시할지 수평으로 표시할지를 전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1) 내지 (C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C10)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에 대응하는 위치를 수직으로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유저로부터 표시 위치의 리셋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 중 표시되는 일부의 범위를, 수평방향에 대응하는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에 리셋하고,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에 대응하는 위치를 수평으로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유저로부터 표시 위치의 리셋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 중 표시되는 일부의 범위를, 수직방향에 대응하는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에 리셋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9)에 기재된 전자기기.
(C11)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에 대응하는 위치를 수직으로 표시할 경우, 표시 영역 중 상하로 구분된 제1의 영역과 제2의 영역 중,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밖인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1의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제2의 영역에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에 대응하는 위치를 수평으로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영역 중 좌우로 구분된 제3의 영역과 제4의 영역 중,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밖인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3의 영역에 인접하는 제4의 영역에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표시하고,
상기 제1의 영역과 상기 제3의 영역의 중복하지 않는 부분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표시 아이템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제1의 영역과 상기 제3의 영역의 중복하는 부분에 상기 표시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9) 또는 (C10)에 기재된 전자기기.
(C12)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편집된 VR콘텐츠를 격납한 파일을 생성해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1) 내지 (C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C13)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에 근거하는 복수의 화상을 격납한 1개의 정지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12)에 기재된 전자기기.
(C14)
상기 정지 화상 파일의 파일명에서는, 확장자의 앞에 문자열 ".VR"이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13)에 기재된 전자기기.
(C15)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에 근거하는 복수의 동화상을 늘어놓은 1개의 동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12) 내지 (C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C16)
상기 동화상 파일의 파일명에서는, 확장자의 앞에 문자열 ".VR"이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15)에 기재된 전자기기.
(C17)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생성 스텝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의 영상범위보다도 좁고,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상기 끝을 식별할 수 있게 표시하고, 상기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표시한 상태에서의 유저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C18)
컴퓨터를, (C1) 내지 (C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C19)
컴퓨터를, (C1) 내지 (C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도 개시된다. 다시 말해,
(D1)
전자기기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에 대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에 대응하는 방위각 및 앙부각을 변경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영상범위이며, 상기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앙부각에 관계 없이, 상기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방위각에 근거한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D2)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앙부각에 관계 없이 수평방향에 대응하는 앙부각과, 상기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방위각과에 근거한 상기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1)에 기재된 전자기기.
(D3)
상기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앙부각에 관계 없이, 상기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방위각에 근거한 상기 제2의 영상범위는, 천정 및 천저의 어느 쪽도 넘지 않는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1) 또는 (D2)에 기재된 전자기기.
(D4)
앙부각을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욱 가지고,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앙부각이 무효로 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앙부각에 관계되지 않는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앙부각이 유효로 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앙부각 및 방위각에 근거한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1) 내지 (D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D5)
전자기기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에 대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에 대응하는 방위각 및 앙부각을 변경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영상범위이며, 유저에 의해 행해진 범위지정의 조작에 근거하는 방위각과, 수평방향에 대응하는 앙부각과에 근거한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D6)
상기 범위지정의 조작에 근거하는 방위각과, 수평방향에 대응하는 앙부각과에 근거한 상기 제2의 영상범위는, 천정 및 천저의 어느 쪽도 넘지 않는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5)에 기재된 전자기기.
(D7)
앙부각을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욱 가지고,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앙부각이 무효로 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범위지정의 조작에 대응하는 앙부각에 관계되지 않는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앙부각이 유효로 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범위지정의 조작에 대응하는 앙부각 및 방위각에 근거한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5) 또는 (D6)에 기재된 전자기기.
(D8)
상기 설정 수단에 있어서의 설정은 유저에 의한 전환 지시에 의해 전환되고, 상기 전환 지시를 접수하기 전의 초기 설정은 무효의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4) 또는 (D7)에 기재된 전자기기.
(D9)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VR콘텐츠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영상범위를, 구체를 모방한 도형을 사용해서 가이드 하는 가이던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1) 내지 (D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D10)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편집된 VR콘텐츠를 격납한 파일을 생성해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1) 내지 (D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D11)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에 근거하는 복수의 화상을 격납한 1개의 정지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10)에 기재된 전자기기.
(D12)
상기 정지 화상 파일의 파일명에서는, 확장자의 앞에 문자열 ".VR"이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11)에 기재된 전자기기.
(D13)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에 근거하는 복수의 동화상을 늘어놓은 1개의 동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10) 내지 (D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D14)
상기 동화상 파일의 파일명에서는, 확장자의 앞에 문자열 ".VR"이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13)에 기재된 전자기기.
(D15)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에 대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에 대응하는 방위각 및 앙부각을 변경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영상범위이며, 상기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앙부각에 관계 없이, 상기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방위각에 근거한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D16)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에 대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에 대응하는 방위각 및 앙부각을 변경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영상범위이며, 유저에 의해 행해진 범위지정의 조작에 근거하는 방위각과, 수평방향에 대응하는 앙부각과에 근거한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D17)
컴퓨터를, (D1) 내지 (D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D18)
컴퓨터를, (D1) 내지 (D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도 개시된다. 다시 말해,
(E1)
전자기기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유저로부터의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수단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영상범위인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일부의 범위보다 넓고,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를, 상기 제2의 영상범위가 어디까지인가를 식별할 수 있게 1화면내에 표시한 제2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E2)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잘라내기 지시의 접수전에,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의 영상범위보다도 넓은 범위를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영상범위가 어디까지인가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식별 표시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에 기재된 전자기기.
(E3)
상기 식별 표시는,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경계를 나타내는 표시,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밖의 범위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표시의 적어도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2)에 기재된 전자기기.
(E4)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잘라내기 지시의 접수후에,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외측을 비표시로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2) 또는 (E3)에 기재된 전자기기.
(E5)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유저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 내지 (E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E6)
상기 제2의 화면은, 상기 VR콘텐츠를 상기 제1의 화면에서의 표시 배율보다도 낮은 소정의 표시 배율로 표시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 내지 (E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E7)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화면에서 VR화상을 제1의 표시 배율로 표시하고 있을 때에, 제1의 유저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의 표시 배율을 3이상의 복수단계에서 단계적으로 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의 화면에서 VR화상을 제1의 표시 배율로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1의 유저 조작과는 상이한 제2의 유저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2의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6)에 기재된 전자기기.
(E8)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2의 유저 조작이 있었던 것에 따라서, 상기 제1의 화면으로 전환하고, 상기 제2의 화면으로 전환하기 전의 표시 배율로 상기 VR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7)에 기재된 전자기기.
(E9)
상기 제1의 표시 배율은 상기 제1의 화면의 표시를 시작할 때의 표시 배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7) 또는 (E8)에 기재된 전자기기.
(E10)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편집된 VR콘텐츠를 격납한 파일을 생성해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 내지 (E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E11)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에 근거하는 복수의 화상을 격납한 1개의 정지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0)에 기재된 전자기기.
(E12)
상기 정지 화상 파일의 파일명에서는, 확장자의 앞에 문자열 ".VR"이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1)에 기재된 전자기기.
(E13)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에 근거하는 복수의 동화상을 늘어놓은 1개의 동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0) 내지 (E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E14)
상기 동화상 파일의 파일명에서는, 확장자의 앞에 문자열 ".VR"이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3)에 기재된 전자기기.
(E15)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위치에 관계 없이, 화면상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중심위치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 내지 (E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E16)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유저로부터의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영상범위인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일부의 범위보다 넓고,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를, 상기 제2의 영상범위가 어디까지인가를 식별할 수 있게 1화면내에 표시한 제2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E17)
전자기기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상기 끝을 식별할 수 있게 표시하고, 상기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표시한 상태에서의 유저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E18)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생성 스텝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상기 끝을 식별할 수 있게 표시하고, 상기 끝을 포함하는 일부의 범위를 표시한 상태에서의 유저 조작에 따라서, 상기 VR콘텐츠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E19)
컴퓨터를, (E1) 내지 (E15), (E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E20)
컴퓨터를, (E1) 내지 (E15), (E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종래 기술에서는, 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잘라낼 때에, 잘라내기 후의 VR콘텐츠에 포함시키고 싶지 않은 영상을 제외하도록 잘라내기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VR콘텐츠로부터, 보다 좁은 범위의 VR콘텐츠를 조작성 좋게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이 제공되도록, 이하의 구성도 개시된다. 다시 말해,
(F1)
전자기기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VR콘텐츠에 있어서의 기준위치를 지정하는 지정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수단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영상범위이며, 상기 지정 조작에 의해 지정된 상기 기준위치에 근거한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편집된 VR콘텐츠에 포함시켜야 하지 않는 불필요 개소를 유저 조작에 따라서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상기 지정 조작을 접수하기 전에,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기준위치에 지정하면 상기 등록 수단에서 등록된 불필요 개소가 상기 편집된 VR콘텐츠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제1의 범위, 혹은 상기 기준위치에 지정했을 경우에 상기 등록 수단에서 등록된 불필요 개소가 상기 편집된 VR콘텐츠에 포함되지 않는 제2의 범위를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F2)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등록 수단에서 등록된 불필요 개소를 기준으로 한,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넓이 이상의 소정의 넓이의 범위를 상기 제1의 범위로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1)에 기재된 전자기기.
(F3)
상기 소정의 넓이를, 상기 제2의 영상범위의 넓이보다 어느 정도 넓게 할지를 유저 조작에 따라서 설정하는 마진 설정 수단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2)에 기재된 전자기기.
(F4)
상기 등록 수단은, 복수의 불필요 개소를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등록 수단에서 등록된 복수의 불필요 개소의 각각을 기준으로 한 복수의 상기 소정의 넓이의 범위를 머지한 범위를 상기 제1의 범위로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2) 또는 (F3)에 기재된 전자기기.
(F5)
상기 등록 수단은, 상기 제2의 범위의 넓이가 역치 미만일 경우에는, 새로운 상기 불필요 개소의 등록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4)에 기재된 전자기기.
(F6)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범위의 넓이가 역치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불필요 개소의 추가등록을 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에러 표시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4) 또는 (F5)에 기재된 전자기기.
(F7)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상기 VR콘텐츠에 중첩해서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인디케이터의 표시 형태를,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의 범위로 결정되는지 상기 제2의 범위에 있는지에 따라서 상이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1) 내지 (F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F8)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VR콘텐츠 중 어느 위치가 상기 표시 범위로 되어 있는지에 관계 없이 상기 제1의 화면에 있어서의 특정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의 범위의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터치 위치의 이동을 수반하지 않는 터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의 범위의 밖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표시 범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7)에 기재된 전자기기.
(F9)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범위내를 기준위치로 하는 지정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 상기 불필요 개소가 상기 편집된 VR콘텐츠에 포함되는 취지의 경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1) 내지 (F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F10)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기준위치가 상기 제1의 범위내인 경우에는, 상기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1) 내지 (F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F11)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편집된 VR콘텐츠를 격납한 파일을 생성해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1) 내지 (F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F12)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에 근거하는 복수의 화상을 격납한 1개의 정지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11)에 기재된 전자기기.
(F13)
상기 정지 화상 파일의 파일명에서는, 확장자의 앞에 문자열 ".VR"이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12)에 기재된 전자기기.
(F14)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2의 영상범위에 근거하는 복수의 동화상을 늘어놓은 1개의 동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11) 내지 (F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F15)
상기 동화상 파일의 파일명에서는, 확장자의 앞에 문자열 ".VR"이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14)에 기재된 전자기기.
(F16)
전자기기이며,
제1의 화면에 있어서, 제1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VR콘텐츠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변화 또는 유저에 의한 표시 범위 변경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상기 VR콘텐츠에 있어서의 기준위치를 지정하는 지정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제1의 영상범위보다도 좁은 영상범위이며, 상기 지정 조작에 의해 지정된 상기 기준위치에 근거한 제2의 영상범위를 가지는 편집된 VR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편집된 VR콘텐츠에 포함시켜야 하지 않는 불필요 개소를 유저 조작에 따라서 등록하는 등록 스텝과,
상기 지정 조작을 접수하기 전에, 상기 VR콘텐츠 중, 상기 기준위치로 지정하면 상기 등록 스텝에서 등록된 불필요 개소가 상기 편집된 VR콘텐츠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제1의 범위, 혹은 상기 기준위치로 지정했을 경우에 상기 등록 스텝에서 등록된 불필요 개소가 상기 편집된 VR콘텐츠에 포함되지 않는 제2의 범위를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스텝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F17)
컴퓨터를, (F1) 내지 (F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F18)
컴퓨터를, (F1) 내지 (F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의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해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 ASIC)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해서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8년 12월 28일 제출의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18-248311, 2018년 12월 28일 제출의 일본국특허출원 특원2018-247844, 2018년 12월 28일 제출의 일본국특허출원 특원 2018-247843, 2018년 12월 28일 제출의 일본국특허출원 특원 2018-248329, 2018년 12월 28일 제출의 일본국특허출원 특원 2018-247845, 및, 2018년 12월 28일 제출의 일본국특허출원 특원 2018-247842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기재 내용의 모두를 여기에 인용한다.
200:전자기기 201:CPU 204:화상처리부 206a:터치패널

Claims (56)

  1. 전자기기로서,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 변화에 따라 또는 유저 조작의 접수에 따라 화면에 가상 구체로 매핑되는 전방위 화상의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유저로부터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잘라내기 지시가 접수되었을 때, 상기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된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서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기준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방위 화상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가상 구체로 매핑되는 잘라낸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잘라낸 화상의 화각은, 상기 전방위 화상의 화각보다 좁고,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의 화각보다 넓은, 전자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잘라낸 화상을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아이템을 고정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상하 방향이 아닌 수평 방향의 기준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방위 화상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잘라낸 화상을 생성하는 전자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수평 방향과 상하 방향의 기준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방위 화상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잘라낸 화상을 생성하는 전자기기.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위 화상의 화각은 360도이고, 상기 잘라낸 화상의 화각은 180도인 전자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위 화상과 상기 잘라낸 화상은, VR화상인 전자기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 변화에 따라 또는 유저 조작의 접수에 따라 화면에 가상 구체로 매핑되는 전방위 화상의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스텝과,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유저로부터 잘라내기 지시를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잘라내기 지시가 접수되었을 때, 상기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된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서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기준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방위 화상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가상 구체로 매핑되는 잘라낸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잘라낸 화상의 화각은, 상기 전방위 화상의 화각보다 좁고,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의 화각보다 넓은,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소정의 위치는, 상기 화면의 중앙 위치인 전자기기.
  4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잘라낸 화상의 중앙 위치인 전자기기.
  4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유저 조작에 따라 배율이 낮아지면 표시되는 전방위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고, 유저의 조작에 따라 배율이 높아지면 표시되는 전방위 화상의 일부를 축소하여, 상기 전방위 화상의 일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KR1020217021538A 2018-12-28 2019-12-25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9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8311 2018-12-28
JPJP-P-2018-247843 2018-12-28
JPJP-P-2018-247844 2018-12-28
JPJP-P-2018-248329 2018-12-28
JP2018247843A JP7204482B2 (ja) 2018-12-28 2018-12-28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247842A JP7327938B2 (ja) 2018-12-28 2018-12-28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18247845A JP7313822B2 (ja) 2018-12-28 2018-12-28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8248329A JP7208002B2 (ja) 2018-12-28 2018-12-28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248311A JP7278774B2 (ja) 2018-12-28 2018-12-28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247844A JP7214475B2 (ja) 2018-12-28 2018-12-28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8-247845 2018-12-28
JPJP-P-2018-247842 2018-12-28
PCT/JP2019/050758 WO2020138140A1 (ja) 2018-12-28 2019-12-25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170A KR20210100170A (ko) 2021-08-13
KR102549787B1 true KR102549787B1 (ko) 2023-06-30

Family

ID=7112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538A KR102549787B1 (ko) 2018-12-28 2019-12-25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683464B2 (ko)
EP (1) EP3904955A4 (ko)
KR (1) KR102549787B1 (ko)
CN (2) CN113260917B (ko)
BR (1) BR112021012648A2 (ko)
WO (1) WO2020138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2482B2 (ja) * 2016-10-31 2021-01-27 日本電気株式会社 視線推定装置、視線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7307568B2 (ja) * 2019-03-20 2023-07-12 任天堂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7350510B2 (ja) * 2019-05-14 2023-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WO2021021235A1 (en) * 2019-07-28 2021-02-04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rendering immersive video content with foveated meshes
CN113012182B (zh) * 2021-04-25 2023-03-28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偏移状态测试方法、测试设备及存储介质
KR20230096591A (ko) * 2021-12-23 2023-06-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종 가능한 실감 영상 콘텐츠의 생성 방법 및 이의 모션 시뮬레이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7653A (ja) * 2012-06-26 2014-01-16 Jvc Kenwood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撮像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8180051A (ja) * 2017-04-04 2018-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6574A1 (en) 2000-06-26 2001-12-27 Richards Angus Duncan VTV system
JP2005223416A (ja) 2004-02-03 2005-08-18 Sony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13752B1 (ko) 2004-03-11 2006-08-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노라마 영상의 스트리밍 방법
JP4854539B2 (ja) * 2007-02-21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89644B2 (ja) * 2010-07-27 2014-09-17 日本精機株式会社 周辺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2012029180A (ja) 2010-07-27 2012-02-09 Nippon Seiki Co Ltd 周辺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KR101252071B1 (ko) 2010-09-16 2013-04-12 이영우 파이프 고정 장치
JP5686244B2 (ja) 2010-12-21 2015-03-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84176B1 (ko) 2011-05-25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001255B2 (en) * 2011-09-30 2015-04-07 Olympus Imaging Corp.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trimming and enlarging a portion of a subject image based on touch panel inputs
JP5966341B2 (ja) 2011-12-19 2016-08-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用プログラム、画像表示装置
JP6108176B2 (ja) 2012-01-31 2017-04-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303270B2 (ja) * 2012-05-18 2018-04-04 株式会社リコー ビデオ会議端末装置、ビデオ会議システム、映像の歪み補正方法および映像の歪み補正プログラム
US20140267589A1 (en) * 2013-03-14 2014-09-18 Dai Nippon Printing Co., Ltd. Free viewpoint video display apparatus
KR101578600B1 (ko) * 2013-03-22 2015-12-17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67620B1 (ko) 2013-05-21 2020-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사진의 썸네일 이미지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306845B2 (ja) * 2013-09-12 2018-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281933B2 (ja) * 2013-09-13 2018-02-21 株式会社ドッドウエル ビー・エム・エス 映像表示機器及び映像表示方法
US9699437B2 (en) 2014-03-03 2017-07-04 Nextv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treaming content
JP2016019249A (ja) 2014-07-11 201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2016097896A (ja) * 2014-11-25 2016-05-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
JP5987931B2 (ja) 2015-02-09 2016-09-07 株式会社リコー 映像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プログラム、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およ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US9942294B1 (en) * 2015-03-30 2018-04-1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ymmetric and continuous media stream from multiple sources
JP6335395B2 (ja) * 2015-09-30 2018-05-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405830B1 (en) 2016-01-19 2024-10-16 Magic Leap, Inc. Augment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reflections
CN107621917A (zh) 2016-07-14 2018-01-23 幸福在线(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在虚拟现实图像中实现放大展示的方法及装置
KR102542515B1 (ko) * 2016-07-28 202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180017944A (ko) 2016-08-11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25575B1 (ko) 2016-08-12 2023-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845942B2 (en) 2016-08-31 2020-11-2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80060236A (ko) * 2016-11-28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6774862B (zh) 2016-12-03 2020-07-31 学能通(山东)智能设备有限公司 基于视线的vr显示方法及vr设备
CN108537721B (zh) 2017-03-02 2021-09-07 株式会社理光 全景图像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8040288B (zh) * 2017-12-20 2019-02-2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编辑方法、装置及智能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7653A (ja) * 2012-06-26 2014-01-16 Jvc Kenwood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撮像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8180051A (ja) * 2017-04-04 2018-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170A (ko) 2021-08-13
WO2020138140A1 (ja) 2020-07-02
BR112021012648A2 (pt) 2021-09-08
CN113260917A (zh) 2021-08-13
CN111385669A (zh) 2020-07-07
US11683464B2 (en) 2023-06-20
EP3904955A1 (en) 2021-11-03
CN113260917B (zh) 2022-12-16
EP3904955A4 (en) 2023-01-18
US20210321048A1 (en) 2021-10-14
CN111385669B (zh) 2023-08-01
US20200213575A1 (en) 2020-07-02
US11553170B2 (en)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787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924789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EP3591499B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477993B1 (ko) 표시 제어장치, 촬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JP7267764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21174317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0095436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11381750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313822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7214475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7204482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7327938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7208002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7278774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1069045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EP3621025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558599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4418671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24153412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