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083B1 -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083B1
KR102549083B1 KR1020210014420A KR20210014420A KR102549083B1 KR 102549083 B1 KR102549083 B1 KR 102549083B1 KR 1020210014420 A KR1020210014420 A KR 1020210014420A KR 20210014420 A KR20210014420 A KR 20210014420A KR 102549083 B1 KR102549083 B1 KR 102549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agation delay
signal
unit
optical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153A (ko
Inventor
박지수
박일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14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08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66Radar-tracking systems; Analogou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28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2806Employing storage or delay devices which preserve the pulse form of the echo signal, e.g. for comparing and combining echoes received during different peri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는, 수신 레이다 신호의 전파 지연을 수행하는 제 1 전파 지연부 및 제 2 전파 지연부; 상기 수신 레이다 신호를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 또는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 중 어느 하나의 입력으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 1 절체기;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 또는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레이다 전송 신호로 출력하는 제 2 절체기; 및 목표 시험 거리를 토대로 목표 전파 지연을 계산하여 상기 제 1 절체기의 스위칭 제어, 상기 제 2 절체기의 스위칭 제어,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전파 지연 제어, 및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의 전파 지연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Propagation de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the distance of the target generated from the radar electronic target generator}
본 발명은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레이다 신호를 수신하여 반사 신호를 발생할 경우 레이다 전자 표적에 해당하는 지연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파 지연 장치 고유의 전파 지연값 이외에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을 고려하여 반사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이다는 송신한 전파가 표적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다음의 수학식 1을 사용해 표적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장치이다.
[수학식 1]
Figure 112021013158689-pat00001
여기서, R 은 표적까지의 거리이며, Δt 는 레이다의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 간의 시간 차이이고, c 는 전파의 속도이다.
이러한 레이다의 거리 검출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반사판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거리 R 떨어진 곳에 반사판을 설치하고, 레이더에서 거리 R 이 검출되는가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레이다 성능을 시험하는 다른 예로는, 레이다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파 지연 수단으로 Δt 시간만큼 지연시킨 후 레이다로 재송신하는, 전자적으로 표적을 발생하는 장치를 사용해 시험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레이다에서는 송신된 전파가 시간 Δt 만큼 지연되어 되돌아오므로 지연시간 Δt 에 해당하는 거리 R에 표적이 있다고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이 포함된 장치를 이하 “전자 표적 발생 장치”라고 하며, 이러한 전자 표적 발생 장치의 내부에 포함되어 전파가 시간 Δt 만큼 지연되도록 하는 장치를 이하 “전파 지연 장치”라고 한다.
전파 지연 장치에서 레이다의 고주파 신호를 시간 지연하기 위한 공지의 기술로는 도파관(wave guide), 필터(filter), 동축케이블(coaxial cable), 광케이블(optical cable) 등과 같은 수동소자들을 전파가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을 이용하는 아날로그(analog) 방식과, 고주파 신호를 디지털 샘플링한 후 메모리 소자에 기록하고 일정시간 지연 후 다시 읽어 출력하는 방식의 디지털 방식 등이 있다.
한편, 전파 지연 장치에는 전파 지연 소자들의 고유의 전파 지연 값 이외에, 전파 지연 장치의 내부 및 외부에 다른 전파 지연 성분들이 부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을 이하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 이라 한다.
전파 지연 장치의 내부에서 부가되는 전파 지연 성분의 예를 살펴보면, 장거리 전파 지연을 위해 자주 사용되고 있는 광케이블 방식에서는, 광케이블로 고주파 신호(Radio Frequency: RF)를 전송하기 위하여 고주파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전파 지연이 발생되어 광케이블에 의한 고유의 전파 지연 값에 부가되게 된다. 또한, 광케이블을 연결하거나 절환할 때 잉여의 광 케이블이 필요하게 되는데, 여기에서도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이 발생되어 광케이블에 의한 고유의 전파 지연 값에 부가된다.
전파 지연 장치 내부에서 부가되는 전파 지연 성분들의 다른 예로는, 메모리 소자를 사용하여 전파를 지연시키는 디지털 방식 전파 지연 장치에서 고주파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고, 이를 다시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이 발생되어 전파 지연 장치 고유의 전파 지연 값에 부가된다.
한편, 전파 지연 장치 외부에서 부가되는 전파 지연의 예로는,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 내부에서 고주파 신호의 전송을 위한 다수의 고주파 케이블(cable)에 의한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이 있다. 전파가 고주파 케이블을 통과할 때 케이블 길이에 비례하여 전파 지연이 발생함은 공지의 사실이며, 이러한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이 전파 지연 장치 고유의 전파 지연 값에 부가되게 된다.
이와 같은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은 의도하지 않은 지연으로서,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 가능한 최소 표적거리를 한정하게 된다.
일예로, 어느 한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 내부의 부가의 전파 지연 값들의 총합이 왕복 거리로 환산하였을 때 10m 인 경우를 가정한다. 해당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는 그 내부의 전파 지연 장치에서 전파 지연을 '0'으로 하여도,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으로서 10m 가 존재하므로 레이다에서는 10m 거리에 표적이 있다고 검출하게 되며, 따라서 해당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는 10m 이내의 거리 시험을 할 수 없다.
이러한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장치의 부가의 전파지연 값은 각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장치마다 변할 수 있지만, 한 레이다 전자표적 발생장치 내에서는 고정 값이므로 측정기를 이용하여 미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레이다는 장거리의 표적 검출뿐만 아니라, 차량의 충돌방지 시스템, 비접촉식 유량 게이지 등과 같은 근거리에 존재하는 표적들을 검출하는 센서로 널리 이용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 예와 같이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이 큰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로는 이와 같은 근거리 표적을 시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왔다.
즉,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55623호에서는 충돌방지 레이다 시험용 모의 표적을 통해, 반사판 등의 표적을 사용하거나 실제 도로에서 주행 시험을 시행할 필요 없이 실내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 충돌방지 레이다를 시험할 수 있는 차량, 선박, 기차 등에 장착되는 충돌 방지용 레이다의 동작 및 성능을 시험하는 레이다 표적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레이다 표적 장치에서는 전파 지연 장치 고유의 전파 지연값 이외에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이 존재하므로,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에 의한 전파 지연 값보다 작은 전파 지연으로 수신 레이다 신호를 재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전파 지연을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55623호 (2012.05.24)
본 발명의 목적은, 전파 지연 장치 고유의 전파 지연값 이외에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에 의한 전파 지연 값보다 작은 전파 지연으로 레이다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어,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전파 지연을 수행하여 전자 표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는, 수신 레이다 신호의 전파 지연을 수행하는 제 1 전파 지연부 및 제 2 전파 지연부; 상기 수신 레이다 신호를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 또는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 중 어느 하나의 입력으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 1 절체기;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 또는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레이다 전송 신호로 출력하는 제 2 절체기; 및 목표 시험 거리를 토대로 목표 전파 지연을 계산하여 상기 제 1 절체기의 스위칭 제어, 상기 제 2 절체기의 스위칭 제어,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전파 지연 제어, 및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의 전파 지연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는,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 보다 작은 전파 지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전파 지연이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수신 레이다 신호가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를 거쳐 레이다로 재전송 되도록 상기 제 1 절체기 및 상기 제 2 절체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전파 지연이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큰 경우, 상기 수신 레이다 신호가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를 거쳐 레이다로 재전송 되도록 상기 제 1 절체기 및 상기 제 2 절체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는 장거리 전파 지연용으로 광케이블을 구비한 광케이블 지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는 근거리 전파 지연용으로 동축케이블을 구비한 동축케이블 지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 지연기는, 광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광신호로 변환하는 전광 변환기;
상기 광신호를 지연시키며 서로 상이한 전파 지연 특성을 갖는 제 1 광케이블, 제 2 광케이블, 내지 제 n 광케이블; 상기 제어부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 1 광케이블, 상기 제 2 광케이블, 내지 상기 제 n 광케이블의 조합으로 전파 지연을 제어하는 광신호 절체기; 및 상기 광신호 절체기에서 제어된 상기 광신호를 광케이블 지연기 출력으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지연기는, 광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광신호로 변환하는 전광 변환기; 상기 광신호의 반사 경로를 제공하여 전파 지연을 수행하는 상단 거울부 및 하단 거울부; 상기 제어부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상단 거울부 또는 상기 하단 거울부를 구동하여 상기 상단 거울부와 상기 하단 거울부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상단 거울부와 상기 하단 거울부에서 전파 지연된 상기 광신호를 광케이블 지연기 출력으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축케이블 지연기는, 동축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지연시키며 서로 상이한 전파 지연 특성을 갖는 제 1 동축케이블, 제 2 동축케이블, 내지 제 n 동축케이블; 상기 제어부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동축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상기 제 1 동축케이블, 상기 제 2 동축케이블, 내지 상기 제 n 동축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는 입력신호 절체기; 및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 1 동축케이블, 상기 제 2 동축케이블, 내지 상기 제 n 동축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축케이블 지연기 출력으로 출력시키는 출력 신호 절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방법은, 제어부에서 목표 시험 거리를 입력받는 목표 시험 거리 입력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목표 시험 거리를 토대로 목표 전파 지연을 계산하는 목표 전파 지연 계산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목표 전파 지연과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을 비교하는 목표 전파 지연 비교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목표 전파 지연이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작은 경우, 수신 레이다 신호가 제 2 전파 지연부를 거쳐 레이다로 재전송 되도록 제 1 절체기 및 제 2 절체기를 제어하고, 상기 목표 전파 지연이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큰 경우에는 수신 레이다 신호가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를 거쳐 레이다로 재전송 되도록 상기 제 1 절체기 및 상기 제 2 절체기를 제어하는 전파 지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는,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 보다 작은 전파 지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는 장거리 전파 지연용으로 광케이블을 구비한 광케이블 지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지연기는, 광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광신호로 변환하는 전광 변환기; 상기 광신호를 지연시키며 서로 상이한 전파 지연 특성을 갖는 제 1 광케이블, 제 2 광케이블, 내지 제 n 광케이블; 상기 제어부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 1 광케이블, 상기 제 2 광케이블, 내지 상기 제 n 광케이블의 조합으로 전파 지연을 제어하는 광신호 절체기; 및 상기 광신호 절체기에서 제어된 상기 광신호를 광케이블 지연기 출력으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는 근거리 전파 지연용으로 동축케이블을 구비한 동축케이블 지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축케이블 지연기는, 동축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지연시키며 서로 상이한 전파 지연 특성을 갖는 제 1 동축케이블, 제 2 동축케이블, 내지 제 n 동축케이블; 상기 제어부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동축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상기 제 1 동축케이블, 상기 제 2 동축케이블, 내지 상기 제 n 동축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는 입력신호 절체기; 및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 1 동축케이블, 상기 제 2 동축케이블, 내지 상기 제 n 동축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축케이블 지연기 출력으로 출력시키는 출력 신호 절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은, 전파 지연 장치 고유의 전파 지연값 이외에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에 의한 전파 지연 값보다 작은 전파 지연으로 레이다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은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전파 지연을 수행하여 전자 표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파 지연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케이블 지연기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광케이블 지연기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의 동축케이블 지연기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는, 수신 레이다 신호(110)의 전파 지연을 수행하는 제 1 전파 지연부(101) 및 제 2 전파 지연부(102), 수신 레이다 신호(110)를 제 1 전파 지연부(101) 또는 제 2 전파 지연부(102) 중 어느 하나의 입력으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 1 절체기(103), 제 1 전파 지연부(101) 또는 제 2 전파 지연부(102)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레이다 전송 신호(115)로 출력하는 제 2 절체기(104), 및 목표 시험 거리를 토대로 목표 전파 지연을 계산하여 제 1 절체기(103)의 스위칭 제어, 제 2 절체기(104)의 스위칭 제어,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전파 지연 제어, 및 제 2 전파 지연부(102)의 전파 지연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0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2 전파 지연부(102)는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 보다 작은 전파 지연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목표 시험 거리를 토대로 목표 전파 지연을 계산하는 것은 다음 수학식 2로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1013158689-pat00002
여기서, Δt 는 목표 전파 지연이며, R 은 목표 시험 거리(입력된 표적발생 거리)이고, c 는 전파의 속도이다.
제어부(105)는 목표 전파 지연이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작은 경우, 레이다 신호가 제 2 전파 지연부(102)를 통해 레이다로 재전송 되도록 제 1 절체기(103) 및 제 2 절체기(10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5)는 목표 전파 지연이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큰 경우, 레이다 신호가 제 1 전파 지연부(101)를 통해 레이다로 재전송 되도록 제 1 절체기(103) 및 제 2 절체기(10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수신 레이다 신호(110)는 제 1 절체기(103)를 통해 제 1 전파 지연부(101) 또는 제 2 전파 지연부(102)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도록 제어부(105)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고, 제 2 절체기(104)는 제 1 전파 지연부(101) 또는 제 2 전파 지연부(102) 중 선택된 지연부의 출력을 스위칭하여 레이다 전송 신호(115)로 출력한다.
제 1 전파 지연부(101)는 다수의 고주파 신호의 전파 지연 방식 중에서 광케이블 방식이나 디지털 방식 등으로 구현되며, 이 경우 물리적 크기가 작아 장거리 전파 지연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나, 전광 변환 및 광전 변환, AD 변환 및 DA 변환 등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이 많은 단점이 있다.
한편, 제 2 전파 지연부(102)는 동축케이블 전파 지연 방식으로 구현되며, 이 경우 물리적 크기가 커서 단거리 전파 지연 장치의 구현에 주로 사용되나,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이 적은 장점이 있다.
제 1 전파 지연부(101) 및 제 2 전파 지연부(102)는 제어부(105)에서 제공하는 전파 지연 제어신호(117)에 따라 전파 지연 값을 조절하게 되며, 이러한 전파 지연은 전파 지연 요소들 중 한 가지 전파 지연 요소를 사용하거나 또는 복수의 전파 지연 요소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신 전송 선로(106)는 제 1 절체기(103)의 일측 접점의 고주파 신호를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입력으로 전달하며, 고주파 케이블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 전송 선로(106)에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과정,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과정, 신호의 크기를 줄이는 감쇄과정과 같은 고주파 신호처리 과정들이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주파 신호처리 과정들은 모두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송신 전송 선로(107)는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출력인 고주파 신호를 제 2 절체기(104)의 일측 접점으로 전달하며, 고주파 케이블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 전송 선로(107)에도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과정,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과정, 신호의 크기를 줄이는 감쇄과정과 같은 고주파 신호처리 과정들이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주파 신호처리 과정들도 모두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을 가지고 있다.
즉,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은 제 1 전파 지연부(101) 내부의 전파 지연과 이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을 포함하며, 마찬가지로 제 2 전파 지연부(102)도 제 2 전파 지연부(102)의 입력 인터페이스인 수신 전송 선로(112)와 출력 인터페이스인 송신 전송 선로(114)에 대해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을 일부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전파 지연부(101)와 제 2 전파 지연부(102)는 서로 다른 전파 지연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즉 제 2 전파 지연부(102)의 최소 전파 지연은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작은 전파 지연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05)는 목표 시험 거리(116)에 따라 변환한 전파 지연 값이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클 경우, 제 1 전파 지연부(101)를 선택하여 수신 레이다 신호(110)의 신호를 지연시켜 레이다 전송 신호(115)로 출력하는 한편, 목표 시험 거리(116)에 따라 변환한 전파 지연 값이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사용이 불가하므로 제 2 전파 지연부(102)를 선택하여 수신 레이다 신호(110)의 신호를 지연시켜 레이다 전송 신호(115)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는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 보다 작은 전파 지연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파 지연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 1 전파 지연부(101)는 장거리 전파 지연용으로 광케이블을 구비한 광케이블 지연기(2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전파 지연부(102)는 근거리 전파 지연용으로 동축케이블을 구비한 동축케이블 지연기(21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레이다(10)의 시험 과정에서 외부의 방해전파를 극소화하기 위해 쉴드룸(shield room)(20) 안에서 수행하는 예를 보여준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는 전처리 장치(210)와 후처리 장치(220)로 나누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처리 장치(210)는 매우 높은 레이다 신호 주파수를 낮추어 신호처리가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곳으로, 쉴드룸(20) 안쪽에 설치될 수 있으며, 레이다 신호 수신 안테나(211), 수신부(212), 수신신호 절체기(213), 동축케이블 지연기(214), 송신신호 절체기(217), 송신부(216), 및 송신 안테나(2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처리 장치(220)는 쉴드룸(20)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처리 장치(210)의 신호를 받아 레이다 시험에 적합한 신호로 가공하고, 표적 발생거리에 따라 레이다 신호를 시간 지연 시킨 후, 전처리 장치(210)로 재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수신 증폭기(221), 광케이블 지연기(222), 송신 증폭기(223), 및 제어부(1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처리 장치(210)와 후처리 장치(220) 사이의 고주파 신호 연결은 수신신호 전송 케이블(231) 및 송신신호 전송 케이블(232)로 연결되고, 후처리 장치(220) 내 제어부(105)는 광케이블 지연기(222) 및 동축케이블 지연기(214)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후처리 장치(220) 내 제어부(105)의 절체기 제어신호(118)는 전처리 장치(210) 내의 수신신호 절체기(213)와 송신신호 절체기(217)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광케이블 지연기(222)는 도 1의 제 1 전파 지연부(101), 도 2에서 동축케이블 지연기(214)는 도 1의 제 2 전파 지연부(102), 도 2의 수신신호 절체기(213)는 도 1의 제 1 절체기(103), 및 도 2의 송신신호 절체기(217)는 도 1의 제 2 절체기(104)에 대응될 수 있다.
수신 증폭기(221)는 수신부(212)의 출력신호가 광케이블 지연기(222)에 전달되는 동안 수신신호 절체기(213) 및 수신신호 전송 케이블(231)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보상하고, 광케이블 지연기(222)에 필요한 적절한 전력 레벨이 되도록 조절하기 위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증폭기(223)는 광케이블 지연기(222) 출력이 송신부(216)에 전달되는 동안 송신신호 전송 케이블(232) 및 송신신호 절체기(217)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보상하고, 송신부(216)에 필요한 적절한 전력 레벨이 되도록 조절하기 위해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광케이블 지연기(222)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케이블 지연기(222)는 광케이블 지연기 입력(321)을 광신호로 변환하는 전광 변환기(301), 광신호를 지연시키고 서로 상이한 전파 지연 특성을 갖는 제 1 광케이블(309), 제 2 광케이블(310), 내지 제 n 광케이블(311), 제어부(105)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117)를 토대로 제 1 광케이블(309), 제 2 광케이블(310), 내지 제 n 광케이블(311)의 조합으로 전파 지연을 제어하는 광신호 절체기(302), 및 광신호 절체기(302)에서 제어된 광신호를 광케이블 지연기 출력(322)으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30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광케이블(309), 제 2 광케이블(310), 내지 제 n 광케이블(311)은 그 길이에 비례하여 전파 지연 값이 증가하며, 광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파 지연 값들이 각기 다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광케이블의 통과를 위해 입력된 레이다 전파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전광 변환기(301)와, 광신호를 다시 전파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전 변환기(30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광케이블 지연기(222)는 광케이블로 구성된 다수의 전파 지연 요소들을 전파 지연 제어신호(117)에 의해 광신호 절체기(302) 들의 연결 또는 단락의 조합으로 다수의 전파 지연 값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광케이블(309)은 1[ms], 제 2 광케이블(310)은 2[ms], 제 n 광케이블(311)은 4[ms]의 전파 지연 특성을 가지도록 광케이블의 길이를 조정하여 설치한 경우에 다수의 전파 지연 값들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만일, 전파 지연 제어신호(117)로 광신호 절체기(302)를 제어하여 제 1 광케이블(309)만 연결하도록 제어하면, 광케이블 지연기(222)의 입출력 간의 기본 전파 지연은 1[ms] 가 된다.
한편, 전파 지연 제어신호(117)로 광신호 절체기(302)를 제어하여 제 1 광케이블(309) 및 제 n 광케이블(311)만 연결하도록 제어하면, 광케이블 지연기(222)의 입출력 간의 기본 전파 지연은 1[ms]+4[ms]=5[ms] 가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광케이블 지연기(222)는 전파 지연 제어신호(117)에 따라 다수의 전파 지연 값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의 광케이블 지연기(222)의 경우, 광케이블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서 큰 전파 지연을 구현하더라도 작은 물리적 크기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광 변환기(301), 광전 변환기(308), 광신호 절체기(302) 사이의 광신호 전달을 위한 광케이블들로 인해 고유의 전파 지연 값에 많은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이 더해지는 단점이 있다.
도 4는 도 2의 광케이블 지연기(222)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상세 구성도이다.
도 4의 광케이블 지연기(222)는 광케이블 지연기 입력(321)을 광신호로 변환하는 전광 변환기(301), 광신호의 반사 경로를 제공하여 전파 지연을 수행하는 상단 거울부(330) 및 하단 거울부(340), 제어부(105)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117)를 토대로 상단 거울부(330)를 구동하여 상단 거울부(330)와 하단 거울부(340)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구동부(331), 및 상단 거울부(330)와 하단 거울부(340)에서 전파 지연된 광신호를 광케이블 지연기 출력(322)으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3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케이블 지연기 입력(321)은 전광 변환기(301)를 통해 광신호로 변환되어 하단 거울부(340) 및 상단 거울부(330) 내에서 반사가 수행되는데, 이때 전파 지연 제어신호(117)로 구동부(331)를 제어하여 상단 거울부(330)와 하단 거울부(340) 간 거리를 가변함으로써 상단 거울부(330) 및 하단 거울부(340) 내에서의 반사 거리 또한 가변된다. 이후, 상단 거울부(330) 및 하단 거울부(340) 내에서 반사가 수행된 광신호는 광전 변환기(308)에서 광전 변환되어 광케이블 지연기 출력(322)으로 출력 된다.
이와 같은 도 4의 광케이블 지연기는 연속적인 전파 지연 특성을 제공할 수 있어, 거리가 실시간으로 가변되어야 할 레이다의 도플러 특성 등의 시험을 수행하는 데에 장점이 있다.
도 5는 도 2의 동축케이블 지연기(214)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 지연기(214)는 동축케이블 지연기 입력(407)을 지연시키고 서로 상이한 전파 지연 특성을 갖는 제 1 동축케이블(402), 제 2 동축케이블(403), 내지 제 n 동축케이블(405), 제어부(105)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117)를 토대로 동축케이블 지연기 입력(407)을 제 1 동축케이블(402), 제 2 동축케이블(403), 내지 제 n 동축케이블(40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는 입력신호 절체기(401), 및 제어부(105)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117)를 토대로 제 1 동축케이블(402), 제 2 동축케이블(403), 내지 제 n 동축케이블(40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축케이블 지연기 출력(408)으로 출력시키는 출력 신호 절체기(4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 5는 도 2의 전처리 장치(210) 내의 동축케이블 지연기(214)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동축케이블 지연기(214)는 제 1 동축케이블(402), 제 2 동축케이블(403), 내지 제 n 동축케이블(405)로 구성된 다수의 전파 지연 요소들에 대해 전파 지연 제어신호(117)에 의해 입력신호 절체기(401) 및 출력 신호 절체기(406)를 제어하여 다수의 전파 지연 값들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동축케이블 자체의 물리적인 크기가 광케이블보다 크므로, 큰 전파 지연을 구현할수록 동축케이블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어 동축케이블 지연기의 물리적 크기가 매우 커지는 단점이 있으나, 동축케이블 이외의 부가 회로가 없으므로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이 매우 작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방법은, 제어부(105)에서 목표 시험 거리를 입력받는 단계(S100), 제어부(105)에서 목표 시험 거리를 토대로 목표 전파 지연을 계산하는 단계(S200), 제어부(105)에서 목표 전파 지연과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을 비교하는 단계(S300), 목표 전파 지연이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작은 경우, 레이다 신호가 제 2 전파 지연부(102)를 통해 레이다로 재전송 되도록 제 1 절체기(103) 및 제 2 절체기(104)를 제어하는 단계(S400), 및 목표 전파 지연이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큰 경우, 레이다 신호가 제 1 전파 지연부(101)를 통해 레이다로 재전송 되도록 제 1 절체기(103) 및 제 2 절체기(104)를 제어하는 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전파 지연부(101)는 장거리 전파 지연용으로 광케이블을 구비한 광케이블 지연기(22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2 전파 지연부(102)는 근거리 전파 지연용으로 동축케이블을 구비한 동축케이블 지연기(2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 레이다 신호(110)는 제 1 절체기(103)를 통해 제 1 전파 지연부(101) 또는 제 2 전파 지연부(102)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 제어되고, 제 2 절체기(104)는 제어부(105)의 제어에 의해 제 1 전파 지연부(101) 및 제 2 전파 지연부(102)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레이다 전송 신호(115)로 출력한다.
이때, 제 2 전파 지연부(102)의 최소 전파 지연은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작은 전파 지연 값을 갖도록 하여 제 1 전파 지연부(101)에서 구현이 불가능한 전파 지연을 제 2 전파 지연부(102)에서 구현함으로써,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 보다 작은 전파 지연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5)는, 목표 시험 거리(116)에 따라 변환한 전파 지연 값이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클 경우 제 1 전파 지연부(101)를 선택하여 수신 레이다 신호(110)를 지연시켜 레이다 전송 신호(115)로 출력한다. 반면, 목표 시험 거리(116)에 따라 변환한 전파 지연 값이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사용이 불가하므로 제 2 전파 지연부(102)를 선택하여 수신 레이다 신호(110)를 지연시켜 레이다 전송 신호(115)로 출력한다.
한편, 광케이블 지연기, 동축케이블 지연기 등 여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앞서 상술한 바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방법은 제 1 전파 지연부(101)의 최소 전파 지연 보다 작은 전파 지연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은, 전파 지연 장치 고유의 전파 지연값 이외에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들에 의한 전파 지연 값보다 작은 전파 지연으로 레이다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전파 지연을 수행하여 전자 표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실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기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들은 다양한 실시예의 많은 추가 조합 및 치환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진의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5)

  1. 전파 지연 장치로서,
    레이다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어 신호처리가 용이하게 하는 전처리 장치;
    상기 전처리 장치의 신호를 받아 레이다 시험에 적합한 신호로 가공하고, 표적 발생
    거리에 따라 상기 레이다 신호를 시간 지연 시킨 후, 상기 전처리 장치로 재전송하는 후처리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처리 장치는 레이다 신호 수신 안테나, 수신부, 수신신호 절체기, 제 2 전파 지연부, 송신신호 절체기, 송신부, 및 송신 안테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처리 장치는 수신 증폭기, 제 1 전파 지연부, 송신 증폭기, 및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처리 장치와 상기 후처리 장치 사이의 고주파 신호 연결은 수신신호 전송 케이블 및 송신신호 전송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 및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절체기 제어신호는 상기 수신신호 절체기와 상기 송신신호 절체기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 및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는 수신 레이다 신호의 전파 지연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신호 절체기는 상기 수신 레이다 신호를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 또는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 중 어느 하나의 입력으로 스위칭을 수행하고,
    상기 송신신호 절체기는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 또는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레이다 전송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목표 시험 거리를 토대로 목표 전파 지연을 계산하여 상기 수신신호 절체기의 스위칭 제어, 상기 송신신호 절체기의 스위칭 제어,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전파 지연 제어, 및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의 전파 지연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는,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 보다 작은 전파 지연 특성을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전파 지연이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수신 레이다 신호가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를 거쳐 레이다로 재전송 되도록 상기 수신신호 절체기와 상기 송신신호 절체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전파 지연이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큰 경우, 상기 수신 레이다 신호가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를 거쳐 레이다로 재전송 되도록 상기 수신신호 절체기와 상기 송신신호 절체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은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 내부의 전파 지연과 이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는 장거리 전파 지연용으로 광케이블을 구비한 광케이블 지연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는 근거리 전파 지연용으로 동축케이블을 구비한 동축케이블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지연기는,
    광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광신호로 변환하는 전광 변환기;
    상기 광신호를 지연시키며 서로 상이한 전파 지연 특성을 갖는 제 1 광케이블, 제 2 광케이블, 내지 제 n 광케이블;
    상기 제어부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 1 광케이블, 상기 제 2 광케이블, 내지 상기 제 n 광케이블의 조합으로 전파 지연을 제어하는 광신호 절체기; 및
    상기 광신호 절체기에서 제어된 상기 광신호를 광케이블 지연기 출력으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지연기는,
    광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광신호로 변환하는 전광 변환기;
    상기 광신호의 반사 경로를 제공하여 전파 지연을 수행하는 상단 거울부 및 하단 거울부;
    상기 제어부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상단 거울부 또는 상기 하단 거울부를 구동하여 상기 상단 거울부와 상기 하단 거울부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상단 거울부와 상기 하단 거울부에서 전파 지연된 상기 광신호를 광케이블 지연기 출력으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 지연기는,
    동축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지연시키며 서로 상이한 전파 지연 특성을 갖는 제 1 동축케이블, 제 2 동축케이블, 내지 제 n 동축케이블;
    상기 제어부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동축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상기 제 1 동축케이블, 상기 제 2 동축케이블, 내지 상기 제 n 동축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는 입력신호 절체기; 및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 1 동축케이블, 상기 제 2 동축케이블, 내지 상기 제 n 동축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축케이블 지연기 출력으로 출력시키는 출력 신호 절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10. 레이다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어 신호처리가 용이하게 하는 전처리 장치;
    상기 전처리 장치의 신호를 받아 레이다 시험에 적합한 신호로 가공하고, 표적 발생
    거리에 따라 상기 레이다 신호를 시간 지연 시킨 후, 상기 전처리 장치로 재전송하는 후처리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처리 장치는 레이다 신호 수신 안테나, 수신부, 수신신호 절체기, 제 2 전파 지연부, 송신신호 절체기, 송신부, 및 송신 안테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처리 장치는 수신 증폭기, 제 1 전파 지연부, 송신 증폭기, 및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처리 장치와 상기 후처리 장치 사이의 고주파 신호 연결은 수신신호 전송 케이블 및 송신신호 전송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 및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절체기 제어신호는 상기 수신신호 절체기와 상기 송신신호 절체기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전파 지연 장치의 전파 지연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목표 시험 거리를 입력받는 목표 시험 거리 입력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목표 시험 거리를 토대로 상기 목표 전파 지연을 계산하는 목표 전파 지연 계산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목표 전파 지연과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을 비교하는 목표 전파 지연 비교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목표 전파 지연이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작은 경우, 수신 레이다 신호가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를 거쳐 레이다로 재전송 되도록 상기 수신신호 절체기와 상기 송신신호 절체기를 제어하고, 상기 목표 전파 지연이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보다 큰 경우에는 수신 레이다 신호가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를 거쳐 레이다로 재전송 되도록 상기 수신신호 절체기와 상기 송신신호 절체기를 제어하는 전파 지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는,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 보다 작은 전파 지연 특성을 갖고,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의 최소 전파 지연은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 내부의 전파 지연과 이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가의 전파 지연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파 지연부는 장거리 전파 지연용으로 광케이블을 구비한 광케이블 지연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전파 지연부는 근거리 전파 지연용으로 동축케이블을 구비한 동축케이블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지연기는,
    광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광신호로 변환하는 전광 변환기;
    상기 광신호를 지연시키며 서로 상이한 전파 지연 특성을 갖는 제 1 광케이블, 제 2 광케이블, 내지 제 n 광케이블;
    상기 제어부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 1 광케이블, 상기 제 2 광케이블, 내지 상기 제 n 광케이블의 조합으로 전파 지연을 제어하는 광신호 절체기; 및
    상기 광신호 절체기에서 제어된 상기 광신호를 광케이블 지연기 출력으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방법.
  14. 삭제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 지연기는,
    동축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지연시키며 서로 상이한 전파 지연 특성을 갖는 제 1 동축케이블, 제 2 동축케이블, 내지 제 n 동축케이블;
    상기 제어부의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동축케이블 지연기 입력을 상기 제 1 동축케이블, 상기 제 2 동축케이블, 내지 상기 제 n 동축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는 입력신호 절체기; 및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전파 지연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 1 동축케이블, 상기 제 2 동축케이블, 내지 상기 제 n 동축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축케이블 지연기 출력으로 출력시키는 출력 신호 절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방법.
KR1020210014420A 2021-02-01 2021-02-01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 KR102549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20A KR102549083B1 (ko) 2021-02-01 2021-02-01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20A KR102549083B1 (ko) 2021-02-01 2021-02-01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153A KR20220111153A (ko) 2022-08-09
KR102549083B1 true KR102549083B1 (ko) 2023-06-29

Family

ID=8284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420A KR102549083B1 (ko) 2021-02-01 2021-02-01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0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836B1 (ko) * 2014-08-27 2016-08-10 주식회사 아이유플러스 레이더 시험시스템의 지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23536B1 (ru) 2009-08-07 2016-06-30 Глаксосмитклайн Байолоджикалс Са Производные оксоаденина, конъюгированные с фосфо- или фосфонолипидами
KR20150134469A (ko) * 2014-05-21 2015-12-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더 테스트 시스템에 포함되는 지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836B1 (ko) * 2014-08-27 2016-08-10 주식회사 아이유플러스 레이더 시험시스템의 지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153A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6229A (en) Acoustic imaging apparatus
JP4712826B2 (ja) パルスドップラレーダ装置
EP2103002B1 (en) Time division duplex forward-to-reverse transition signal generator
KR100971766B1 (ko) 가변 고도 모의 장치 및 전파 지연 방법
US20080136703A1 (en) Equivalent time sampling radar
JP2803658B2 (ja) 合成開口ソーナーシステム
KR102549083B1 (ko) 레이다 전자 표적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표적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전파 지연 장치 및 방법
NL7906704A (nl) Radarstelsel.
JP2006258644A (ja) フェーズドアレイアンテナレーダおよび校正用送信チャープ信号取得方法
JP2002286831A (ja) 信号リピート装置
WO2018225144A1 (ja) 物体検知装置
CN215415884U (zh) 停车辅助传感器系统和检测所接收的信号的饱和的系统
JP4771790B2 (ja) デジタルrfメモリ装置
US200501817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transceiver
US71936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light signal reception
JPH1172560A (ja) ドップラーソーダ
KR101306606B1 (ko) 가상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영상보정장치
JPS61172408A (ja) アンテナ調整法
EP2322947A2 (en) Radar apparatus
RU2720818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повреждения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связи
US4866711A (en) Method of multiplex/demultiplex processing of information and equipment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02006030A (ja) 多点同時距離計測方法及び装置
CN112986963B (zh) 一种激光脉冲测距回波信号多路缩放结果选择控制方法
JP2001228240A (ja) Fmcwレーダの受信信号増幅装置
JP4072842B2 (ja) 地中探査レー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