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924B1 -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924B1
KR102548924B1 KR1020160087950A KR20160087950A KR102548924B1 KR 102548924 B1 KR102548924 B1 KR 102548924B1 KR 1020160087950 A KR1020160087950 A KR 1020160087950A KR 20160087950 A KR20160087950 A KR 20160087950A KR 102548924 B1 KR102548924 B1 KR 102548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head unit
fluid guide
groove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134A (ko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924B1/ko
Priority to CN201720715253.6U priority patent/CN206879262U/zh
Publication of KR2018000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유닛의 상부쪽으로 유입된 수분이 헤드유닛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구성한 것으로서, 헤드유닛의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의 탑커버로서,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다수의 방열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면판; 상기 상면판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로장치를 탑재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갖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상면판의 배면 테두리에 결합되며, 상기 회로장치의 단자가 설치되는 배면커버; 및 상기 상면판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방열 구멍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방열 구멍이 위치된 곳을 제외한 방향으로 수분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 1 유체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on of inflow water in head uni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헤드유닛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헤드유닛(이하, '헤드유닛'이라 칭함)은 차량에 탑재되는 사용자 편의 시스템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오디오시스템, 오디오 세트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헤드유닛은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버튼을 구비한 프론트패널과, 프론트패널이 전방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박스 형태의 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헤드유닛의 본체는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에 관련된 회로장치 및 단자와, 단자를 노출시키면서도 회로장치를 보호하도록 박스 형태의 커버 또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케이싱은 다수의 판부재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제작되어 있다. 예컨대, 케이싱은 탑커버와 메인프레임 및 배면커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탑커버는 케이싱의 상면판에 해당된다. 메인프레임은 케이싱의 저면판의 양측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측면판을 포함한다. 탑커버인 케이싱의 상면판과 메인프레임의 측면판은 각각 볼트 체결을 통해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헤드유닛의 케이싱의 상면판은 대부분 평편한 판부재 표면 형상을 가지고 있거나, 외부 충격 또는 열응력에 의한 판부재의 휨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조적 관점에서 보강 절곡부를 구비하고 있고, 측면판과의 결합을 위해서 상면판의 테두리부가 하향으로 벤딩되어 있을 뿐, 수분 침투 방지 또는 수분이나 물방울의 흐름이 방열 홀(hole) 또는 방열 구멍쪽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은 수행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드유닛의 케이싱의 상면판 또는 측면판에는 다수의 방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방열 구멍의 위치는 방열 성능 극대화를 위하여, 발열이 상대적으로 심한 내부전원장치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헤드유닛은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을 하나의 유닛으로 만든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의 형태로 발전되어 있다.
또한, 차량 내부에는 탑승자의 쾌적한 운전 환경을 만들기 위한 공조 시스템인 HVAC(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이 설치되어 있다. 공조 시스템의 실내공기 배출구 및 헤드유닛은 탑승자 편의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차량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센터페시아의 내부에는 공조 시스템의 각종 에어덕트, 에어컨 내부 장치에 해당하는 증발기가 위치하고 있고, 헤드유닛의 본체도 위치되어 있다.
최근 들어, 유럽연합은 자국내 판매되는 자동차에 비상 호출 시스템인 e-Call(Emergency Call) 세톱박스의 장착을 의무화한다고 밝힌바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업계들이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예컨대, e-Call 세톱박스의 장착으로 인하여 차량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물론 자체적인 비상 구호 장치와 네트워크를 갖고 있는 업체들도 센터페시아 등과 같은 비교적 공간 확보가 어려운 조건의 차량 내부에 e-Call 세톱박스와 같은 비상 호출 시스템의 설치용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센터페시아 내부에는 공조 시스템의 메인 에어덕트가 센터페시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배출 에어덕트는 메인 에어덕트로부터 분기되어 각 실내공기 배출구까지 연장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AVN 장치와 같은 헤드유닛은 배출 에어덕트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e-Call 세톱박스는 배출 에어덕트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헤드유닛의 위쪽에서 센터페시아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센터페시아 내부는 공조 시스템의 메인 에어덕트 또는 배출 에어덕트의 내부 찬공기로부터 발생한 냉열에 의한 열교환으로 인하여, 수분이 응결되기 쉬운 곳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들 에어덕트들로 인하여 응결되고, e-Call 세톱박스로부터 낙수되는 수분이 헤드유닛의 상면판쪽으로부터 방열 구멍을 통해서 헤드유닛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헤드유닛의 내부에 실장된 회로장치의 회로 부품은 유입된 수분에 의한 쇼트로 인하여 회로 고장 모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헤드유닛의 회로 고장 모드가 발생된 차량은 면밀히 검사된 바 있었고, 그 검사 결과, 헤어덕트에서 발생한 습기가 e-Call 세톱박스를 따라 흐른 뒤 헤드유닛의 케이싱의 상면판에 낙하되었고, 케이싱의 상면판에 다수로 존재하는 방열 구멍을 통해 헤드유닛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파악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유닛에는 그의 상단으로 유입된 습기가 헤드유닛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주는 구조 또는 수단이 없고, 습기 유입으로 인해 회로 고장 모드 발생 가능성이 매우 큰 실정이므로, 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헤드유닛에 대한 제품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헤드유닛의 케이싱의 상면판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유체 가이드부가 케이싱의 상면판 및 측면판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헤드유닛의 상부쪽으로 유입된 수분이 헤드유닛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는,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의 회로장치 또는 오디오 세트의 탑재를 위한 케이싱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의 탑커버로서,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다수의 방열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면판; 상기 상면판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로장치를 탑재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갖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상면판의 배면 테두리에 결합되며, 상기 회로장치의 단자가 설치되는 배면커버; 및 상기 상면판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방열 구멍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방열 구멍이 위치된 곳을 제외한 방향으로 수분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 1 유체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판에서 상기 케이싱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로부터 포집한 수분을 하향으로 가이드하여 배출시키는 제 2 유체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싱의 폭방향으로 직선 형상 또는 절곡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면판의 표면보다 돌출된 형상의 리브(rib)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유체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표면보다 들어가 있는 홈형상의 그루브(groove)로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에서 수직 방향의 양측 끝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그루브의 상부와 상기 리브의 일측 끝단이 위치한 곳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판에서 하향으로 절곡된 테두리부에 상기 그루브와 상호 연결되는 제 1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부에서 수직 방향의 양측 끝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 1 홈부와 상기 그루브의 경계에 개재 또는 충진된 방수부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방열 구멍이 위치한 곳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상면판의 경사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홈부는, 상기 제 2 유체 가이드부를 향하는 상기 제 2 홈부의 일측 끝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 2 유체 가이드부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홈부의 타측 끝단부는 폐쇄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상면판은, 상기 제 2 유체 가이드부 쪽으로 수분 또는 유체가 포집되도록 경사각에 대응하게 경사져 있다.
상기 경사각은, 상기 제 2 유체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가 서로 근접하는 기준 지점을 기준으로 하되, 상기 기준 지점을 지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저면과 평행한 X축기준으로 상면판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인 제 1 경사각; 및 상기 기준 지점을 지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저면과 평행한 Y축기준으로 상면판 폭 방향과 이루는 각도인 제 2 경사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는, 헤드유닛의 케이싱의 상면판에 경사면 및 방열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수분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 1 유체 가이드부가 경사면과 방열 구멍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때, 제 1 유체 가이드부의 형상은 방열 구멍 방향으로의 수분 흐름을 막는 대신 방열 구멍이 없는 쪽으로 수분 흐름을 가이드 함으로써, 헤드유닛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는, 제 2 유체 가이드부가 제 1 유체 가이드부의 경사 하향쪽 단부 위치에 대응되도록 케이싱의 측면판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유체 가이드부로부터 포집한 수분이 제 2 유체 가이드부를 따라 하향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는, 헤드유닛의 방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수분 유입으로 인한 헤드유닛의 회로 고장 모드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에서 헤드유닛의 케이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싱의 상면판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싱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싱의 배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싱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의 케이싱의 상면판의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에서 헤드유닛의 케이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차 헤드유닛은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의 회로장치를 탑재한 제품(예: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 또는 오디오 세트, 혹은 제품, 장치, 세트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탑재 가능하거나, 또는 모듈형 장착이 가능한 장치를 통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 헤드유닛은 비대칭 육면체 형태의 케이싱(1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수분(W)은 케이싱(100)의 위쪽에서 상면판(110) 쪽으로 떨어진 물방울 혹은 물방울이 모여 만든 소량의 유체를 의미할 수 있다.
케이싱(100)이 비대칭 육면체라고 호칭되는 이유는 일반적인 육면체와 달리 육면체 중 어느 1면(예: 케이싱(100)의 탑커버에 해당하는 상면판(110)) 전체 또는 일부분이 케이싱의 저면(예: 케이싱(100)의 메인프레임(120)의 저면)을 기준면(예: X-Y평면)에 비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100)은 금속 판재를 판금 가공에 의해 제작하거나, 별도의 사출 금형을 이용하여 분해 조립 가능하게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케이싱(100)은 상면판(110), 메인프레임(120), 배면커버(130)를 포함하여서, 케이싱(100)의 내부에 장착될 각종 회로장치(예: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에 관련된 회로장치)(미 도시) 또는 단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케이싱(100)의 정면 부위는 개방되어 있고, 각종 상기 회로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론트패널(미 도시)(예: 디스플레이 장치, 버튼 및 베젤(bezel))이 결합되는 곳을 의미할 수 있다(도 1에서 좌측 개구된 부위 임).
케이싱(100)의 배면 부위는 메인프레임(120)에 조립된 배면커버(13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케이싱(100)의 저면 및 양측면은 메인프레임(120)의 저면 및 양측면에 해당하고, 케이싱(100)의 상면은 메인프레임(120)의 상부에 조립된 상면판(110)에 의해 폐쇄된다.
상면판(110)은 케이싱(100)의 탑커버를 지칭한다. 상면판(110)의 일측(도 1에서 좌측)에는 경사면(113)이 형성된다.
경사면(113)은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경사를 이루는 상면판(110)의 상면을 의미하나, 상면판(110)의 제작에 따라 변경 가능하므로, 수분(W) 배출 방향의 변경에 따라 상기 하경사의 방향도 선택될 수 있고, 특정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면판(110)의 타측(도 1에서 우측)에는 다수의 방열 구멍(111)이 형성된다. 상면판(110)은 금속 판부재를 절곡, 포밍, 벤딩 등의 기계 가공 방법에 의해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상면판(110)에는 볼트구멍을 갖는 접시형 볼트헤드 안착부(112)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메인프레임(120)은 한글 'ㄷ'자 단면 형상의 금속 판부재로서, 역시 상기 기계 가공 방법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메인프레임(120)의 각 측면판(121)에는 다수의 볼트 가공 부위(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측면판(121)에는 볼트 가공 부위(122)와 겹치지 않은 측면판(121)의 위치를 기준으로 측면판(121)의 표면보다 돌출된 돌기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돌기부(123)는 측면판(121)에서 1개 이상의 개소에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측면판(121)에 결합되며, 케이싱(100)을 차량에 끼워 넣듯이 설치시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는 역할 또는 설치면과의 간격 유지 또는 갭 유지 역할을 담당한다.
메인프레임(120)은 상면판(110)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프레임(120)은 상기 회로장치를 탑재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갖는다.
배면커버(130)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면커버(130)는 메인프레임(120)과 상기 상면판(110)의 배면 테두리에 결합된다. 이런 배면커버(130)는 상기 회로장치의 단자(예: 소켓 또는 터미널 등)가 설치되는 곳을 의미한다.
제 1 유체 가이드부(200)는 상면판(1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상면판(110)에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 1 유체 가이드부(200)는 상면판(110)의 경사면(113)과 방열 구멍(111) 사이의 위치에 형성된다. 제 1 유체 가이드부(200)는 돌출턱 또는 리브와 같은 구조물로서, 수분(W)의 유동을 막는 베리어(barrier)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제 1 유체 가이드부(200)는 미리 정한 상향 돌출 높이(예: 상면판(110)의 경사면(113)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의 높이로서, 실험을 통해 물방울 정도의 수분(W)이 타고 넘지 못할 정도의 수치를 갖는 높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 1 유체 가이드부(200)는 수분(W)의 흐름이 상기 방열 구멍(111) 쪽으로 향하더라도, 이를 배출 방향(예: 제 2 유체 가이드부(300)가 위치한 방향)으로 유도 또는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제 1 유체 가이드부(200)는 방열 구멍(111)이 위치된 곳을 제외한 방향으로 수분의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싱(100)에 탑재되어서 방열이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되는 전원장치(미 도시)가 케이싱(100)의 배면쪽 내부 공간에 위치될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방열 구멍(111)은 배면커버(130)에 가까운 쪽을 기준으로 상면판(11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판(110)의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이격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배열 및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방열 구멍(111)들이 배열되어 있는 경우, 제 1 유체 가이드부(200)는 방열 구멍(111)들의 배열 방향, 케이싱(100) 또는 상면판(110)의 폭방향인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유체 가이드부(200)는 상면판(110)에서 상면판(110)의 테두리부(114) 쪽으로 연장된 후 볼트헤드 안착부(112)를 만나기 직전 위치에서 볼트헤드 안착부(112)를 우회한 후 다시 테두리부(114)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테두리부(114)의 저부는 상면판(110)의 경사면(113)과 같이 경사져 있지 않는 대신, 메인프레임(120)의 결합위치와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면판(110)과 메인프레임(120)은 기밀하게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0)은 제 2 유체 가이드부(300)를 더 포함한다. 제 2 유체 가이드부(300)는 메인프레임(120)의 측면판(121)에서 케이싱(100)의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200)로부터 포집한 수분(W)을 하향으로 가이드하여 배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경사면(113)의 경사 또는 구배(勾配)와 제 1 유체 가이드부(200)에 의해 가이드 또는 포집된 수분(W)의 유동은 방열 구멍(111)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는 대신, 제 2 유체 가이드부(300)를 따라 하향으로 배출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싱의 상면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싱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싱의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싱(100)에서 상면판(110)은 제 2 유체 가이드부(300) 쪽으로 수분 또는 유체가 포집되도록 경사각(θ1, θ2)에 대응하게 경사져 있다.
즉, 경사각(θ1, θ2)은 X-Y평면을 기준으로 케이싱(100)의 상면판(110)의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진 기울기를 의미할 수 있다.
경사각(θ1, θ2)은 제 2 유체 가이드부(300)와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200)가 서로 근접하는 기준 지점(G)을 기준으로 하되, 상기 기준 지점(G)을 지나고 상기 메인프레임(130)의 저면과 평행한 X축기준으로 상면판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인 제 1 경사각(θ1), 및 상기 기준 지점(G)을 지나고 상기 메인프레임(130)의 저면과 평행한 Y축기준으로 상면판 폭 방향과 이루는 각도인 제 2 경사각(θ2)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 지점(G)은 설계 변경을 통해서, 상면판(110)의 상부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다양한 형태의 경사면(113)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준 지점(G)이 특정 지점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3 기준으로 케이싱(100)의 상면판(110)의 전방 부위가 후방 부위보다 높고, 도 4 기준으로 케이싱(100)의 상면판(110)의 일측 부위가 타측 부위보다 높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W)은 상면판(110) 쪽으로 유입된 후, 상면판(110)의 경사면(113)과 제 1 유체 가이드부(200)를 따라 유동한 후, 제 2 유체 가이드부(300)를 통해 하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적어도, 수분(W)은 제 1 유체 가이드부(200)에 의해 가로 막히기 때문에, 상면판(110)의 방열 구멍(111) 쪽으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케이싱(100)의 내부에 실장된 회로장치의 회로 부품이 수분(W)에 의한 쇼트로 인하여 회로 고장 모드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예컨대, 제 1 유체 가이드부(200)는 상기 케이싱(100)의 폭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 형상 또는 절곡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면판(110)의 표면보다 상향(Z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리브(rib)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유체 가이드부(300)는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표면보다 들어가 있는 홈형상의 그루브(groove)로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에서 수직 방향의 양측 끝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유체 가이드부(200)의 끝단에 도달한 수분은 매우 원활하게 제 2 유체 가이드부(300)인 그루브를 통해 하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특히, 케이싱(10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분 유동 통로인 제 1 홈부(115)를 더 포함한다. 제 1 홈부(115)는 제 2 유체 가이드부(300)인 그루브와 동일한 폭 및 깊이를 가지고 있다.
참고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유체 가이드부(200)인 리브의 일측 끝단은 일측 테두리부(114)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리브의 타측 끝단은 방열 구멍(111)의 배열이 끝나는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연장되어 있을 뿐, 타측 테두리부(114a)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제 1 홈부(115)는 제 2 유체 가이드부(300)인 그루브의 상부와 제 1 유체 가이드부(200)인 리브의 일측 끝단이 위치한 곳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판(110)에서 하향으로 절곡된 테두리부(114)에서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그루브와 상호 연결된다. 이때, 제 1 홈부(115)에서 수직 방향의 양측 끝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수분(W) 또는 유체의 유동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분(W)이 유동하는 도중에, 제 1 홈부(115)와 그루브인 제 2 유체 가이드부(300)간의 경계면 또는 틈새를 따라 케이싱(100)의 내부로 수분(W)을 유입시키지 못하도록, 케이싱(100)은 방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방수부(400)는 도료성 합성 수지, 접착제, 방수제, 방수 코팅제, 패킹 또는 실링 부재 중 어느 하나로서, 제 1 홈부(115)와 제 2 유체 가이드부(300)인 그루브와의 경계에 개재 또는 충진되어 갭(gap)을 없앨 수 있다. 이렇게 방수부(400)가 더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는 수분 유입 방지 성능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 성능 극대화를 위해서, 필요한 경우, 방수부(400)는 상기 제 2 유체 가이드부(300) 쪽 부위만 아니라, 상면판(110)과 메인프레임(120)이 서로 맞닿아 접촉되는 경계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배면커버(130)에도 다수의 수직 방열 구멍(131)과 간격 유지용 배면 돌기부(13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수분은 앞서 언급한 제 2 유체 가이드부(300)를 따라 하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배면커버(130)의 단자(600) 쪽으로도 침투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싱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방열 구멍(111)도 앞서 설명한 제 2 경사각(θ2)과 같은 원리로 경사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각 방열 구멍(111)은 판금 가공에 의해 구멍을 가공할 때, 각 방열 구멍(111)을 만들기 위한 상면판(110)의 일부분을 각각 한글 'ㄷ'자 형태로 절개하고, 절개에 의해 만들어진 자유단부(111a)를 수직 방향으로 꺾은 후 다시 수평 방향으로 꺾는 이중 절곡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자유단부(111a)의 끝단과 상편판(110)의 절개된 테두리 사이에는 갭, 즉 방열 구멍(1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열 구멍(111)은 케이싱(10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지만, 케이싱(100)의 상향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면판(111)을 향해 떨어지는 물방울이 방열 구멍(111)의 자유단부(111a)에 의해 직접적으로 방열 구멍(111)의 구멍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여, 방열 성능 및 방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방열 구멍(111)도 앞서 설명한 제 2 경사각(θ2)과 같은 원리로 경사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방열 구멍(111)의 개구 방향(Q)도 수직 방향(수분(W)등과 같은 물방울이 떨어지는 방향 또는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경사각(θ2)만큼 비스듬하게 향하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상기 제 2 경사각(θ2)이 없는 구멍에 비하여 수분(W: 물방울)의 유입 차단율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의 케이싱의 상면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응용예에 따른 케이싱(100a)은 제 1 유체 가이드부(100)를 기준으로 방열 구멍(111)이 위치한 곳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면판(110a)의 경사면(113)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200)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홈부(500)를 더 포함한다. 제 2 홈부(500)는 그루브 형상과 같이 길게 연장된 수분 유동 통로를 의미할 수 있다. 제 2 홈부(500)도 상면판(110a)의 경사각(θ1, θ2)에 대응한 구배를 가지고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수분이 제 1 홈부(115) 쪽으로 유동할 수 있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홈부(500)는 앞서 설명한 도 1의 제 2 유체 가이드부(300)를 향하는 상기 제 2 홈부(500)의 일측 끝단부(510)가 개방되어 있다. 반면, 제 2 유체 가이드부(300)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홈부(500)의 타측 끝단부(520)는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면(113)을 따라 유동하여 제 2 홈부(500)에 도달한 수분 또는 물방울은 폐쇄되지 않은 제 2 홈부(500)의 일측 끝단부(510) 쪽으로만 유동하고, 이후, 상면판(110a)의 테두리부(114)의 제 1 홈부(115)를 통해 하향으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즉, 수분의 유동은 1차적으로 제 2 홈부(500)에 의해 가이드되고, 2차적으로 제 1 유체 가이드부(20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음으로써, 더욱더 수분이 방열 구멍(111) 쪽으로 유입되지 않게 다단계 방지 기능이 실현되어서, 응용예에 따른 본 발명은 방수 성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 제 1 유체 가이드부 또는 제 2 유체가이드부 등은 리브 또는 그루브의 형태 또는 이들을 조합 및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로 수분이 방열 구멍 쪽으로 유동 또는 유입되지 않게 설계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a : 케이싱 110, 110a : 상면판
111 : 방열 구멍 112 : 볼트헤드 안착부
113 : 경사면 114, 114a : 테두리부
115 : 제 1 홈부 120 : 메인프레임
130 : 배면커버 200 : 제 1 유체 가이드부
300 : 제 2 유체 가이드부 400 : 방수부
500 : 제 2 홈부 600 : 단자

Claims (10)

  1.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의 회로장치의 탑재를 위한 케이싱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의 탑커버로서,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다수의 방열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면판;
    상기 상면판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로장치를 탑재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갖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상면판의 배면 테두리에 결합되며, 상기 회로장치의 단자가 설치되는 배면커버; 및
    상기 상면판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방열 구멍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방열 구멍이 위치된 곳을 제외한 방향으로 수분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 1 유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
    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판에서 상기 케이싱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로부터 포집한 수분을 하향으로 가이드하여 배출시키는 제 2 유체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싱의 폭방향으로 직선 형상 또는 절곡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면판의 표면보다 돌출된 형상의 리브(rib)로 형성된 것
    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체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표면보다 들어가 있는 홈형상의 그루브(groove)로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에서 수직 방향의 양측 끝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
    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그루브의 상부와 상기 리브의 일측 끝단이 위치한 곳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판에서 하향으로 절곡된 테두리부에 상기 그루브와 상호 연결되는 제 1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부에서 수직 방향의 양측 끝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
    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 1 홈부와 상기 그루브의 경계에 개재 또는 충진된 방수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
    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방열 구멍이 위치한 곳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상면판의 경사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홈부는,
    상기 제 2 유체 가이드부를 향하는 상기 제 2 홈부의 일측 끝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 2 유체 가이드부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홈부의 타측 끝단부는 폐쇄되어 있는 것
    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상면판은,
    상기 제 2 유체 가이드부 쪽으로 수분 또는 유체가 포집되도록 경사각에 대응하게 경사져 있는 것
    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은,
    상기 제 2 유체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유체 가이드부가 서로 근접하는 기준 지점을 기준으로 하되,
    상기 기준 지점을 지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저면과 평행한 X축기준으로 상면판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인 제 1 경사각; 및
    상기 기준 지점을 지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저면과 평행한 Y축기준으로 상면판 폭 방향과 이루는 각도인 제 2 경사각을 포함하는 것
    인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KR1020160087950A 2016-07-12 2016-07-12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KR102548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950A KR102548924B1 (ko) 2016-07-12 2016-07-12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CN201720715253.6U CN206879262U (zh) 2016-07-12 2017-06-19 车辆主机单元的水分流入防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950A KR102548924B1 (ko) 2016-07-12 2016-07-12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134A KR20180007134A (ko) 2018-01-22
KR102548924B1 true KR102548924B1 (ko) 2023-06-28

Family

ID=6109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950A KR102548924B1 (ko) 2016-07-12 2016-07-12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8924B1 (ko)
CN (1) CN206879262U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74B1 (ko) * 2010-03-16 2012-06-01 갑을오토텍(주)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모터의 수분 유입방지장치
KR20130000405U (ko) * 2011-07-08 2013-0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KR20130126133A (ko) * 2012-05-11 2013-11-20 주식회사 을지 수분침투가 방지되는 통풍장치
KR101373439B1 (ko) * 2012-06-05 2014-03-13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가스감지장치의 방수구조
KR101902445B1 (ko) * 2014-01-20 2018-09-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분 침투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879262U (zh) 2018-01-12
KR20180007134A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14496A1 (ja) 自動車用カウル部構造
US9783128B2 (en) Vehicle camera defogging vent with glare mitigation
JP6204353B2 (ja)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US9812850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20120091154A1 (en) Waterproof box
JP555667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665639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WO2017126328A1 (ja) 配線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
JP6885126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10006313A (ja) 車両用カウルルーバの衝撃力吸収構造
WO2020110624A1 (ja) 電気機器用ケース及び電力制御装置
CN101335776A (zh) 对讲门铃子机装置
US20130028464A1 (en) Speaker apparatus
KR102548924B1 (ko)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CN204205471U (zh) 一种线束护线盒
CN112219068A (zh) 室外机
TW201300723A (zh) 導風罩
US9676354B2 (en) Bumper absorber structure
JP5394302B2 (ja) 電気接続箱
KR101889445B1 (ko)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WO2018074354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CN212339595U (zh) 防水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JP4835115B2 (ja) 電装品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1889444B1 (ko) 이중 흡입을 통한 교차 공기 유속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JP3956779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