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842B1 - 스마트 액상 제설함 - Google Patents

스마트 액상 제설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842B1
KR102548842B1 KR1020220062358A KR20220062358A KR102548842B1 KR 102548842 B1 KR102548842 B1 KR 102548842B1 KR 1020220062358 A KR1020220062358 A KR 1020220062358A KR 20220062358 A KR20220062358 A KR 20220062358A KR 102548842 B1 KR102548842 B1 KR 102548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removal
individual
snow
box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열
신보영
김현직
Original Assignee
(주) 제이진
심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이진, 심상열 filed Critical (주) 제이진
Priority to KR102022006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4Fixed devices, e.g. permanently- installed flush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3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et value given to the control el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제 보충이 용이하고 자동 분사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도로를 감시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설을 판단하는 스마트제어부와; 개별트레이가 내장된 제설함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별트레이에 각각 삽입되는 개별용기와; 상기 개별용기에 착탈되는 용기연결부와; 상기 용기연결부와 저장탱크가 배관으로 연결되어 밸브장치를 통해 개별용기에 담긴 액상 제설제가 저장탱크에 공급되되,
상기 스마트제어부가 제설 판단 시 밸브장치와 펌프를 제어하여 저장탱크의 액상 제설제를 살포수단을 통해 분사하는 스마트 액상 제설함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액상 제설함{Smart box containing liquid snow remover}
본 발명은 스마트 액상 제설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설제 보충이 용이하고 자동 분사 제어 및 주민들이 직접 수동 작동이 가능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도 액상으로 된 제설제를 보관하고, 필요 시기에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액상 제설함이 공개된 바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3870호(발명의 명칭 : 취약지역에 상시 배치하여 운영하는 반자동 액상 제설함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도 1로 보인 바와 같이, 용기에 액상의 제설제를 담고, 용기 담겨진 액상 제설제를 펌프로 펌핑하여 살포수단을 통해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설함에 있어서, 액상의 제설제를 담는 밀폐된 공간을 갖는 용기부(110), 그리고 그 용기부(110)와 구분되는 격실(120)을 포함하며, 상부에 함체통공(131)을 형성하는 함체(130);
상기 용기부(110)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의 펌핑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용기부(110)와 격실(120) 사이에 설치된 연결관(140);
상기 연결관(140)과 연결되어 용기부(110)에 저장된 제설제를 펌핑 하는 격실(120) 안에 설치된 모터 펌프(150), 그리고 그 모터 펌프(150)의 펌핑 압력으로 제설제를 살포하기 위해 상기 모터 펌프(150)와 함께 격실(120) 안에 수납되어 설치된 살포수단(160);
상기 함체(130)의 격실(120)과 외부가 상통하도록 형성된 개구부(170);
액상 제설제를 용기부(110)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함체(130)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180); 및
상기 모터 펌프(150)의 구동 전원을 선택하여 인가하는 제어부(300);
상기 모터 펌프(150), 제어부(300)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 및 함체 내측에 설치한 모터펌프(150), 살포수단(160), 호스(190), 회전드럼(230), 분사기(240), 제어부(400) 및 배터리(410)의 수리 또는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함체(130)에 형성한 함체통공(131)을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401)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취약지역에 상시 배치하여 운영하는 반자동 액상 제설함이다.
상기 인용발명은 전통적 방식의 제설함이 갖는 수작업 제설의 장점을 유지 보존하면서 고상 제설제를 액상 제설제로 대체하여 취약 지역에 대한 집중제설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제설제 경화에 따른 문제 없이 취약 지역에 배치하여 누구나 필요에 따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상시 사용 가능한 제설함을 제공함으로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용발명은 액상 제설제가 보관되는 용기부(110)에 액상 제설제를 보충하여야 하므로 액상 제설제의 보관 용량이 크면 클수록 보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통상적인 제설함과 마찬가지로 인용발명 역시 작업자가 살포수단(160) 꺼내어 제설 부위에 수동을 뿌리기 전까지 제설이 이루어지지 못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38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설제 보충이 용이하고 자동 분사 제어 및 주민들이 직접 수동 작동이 가능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장탱크에 담겨진 액상 제설제를 펌프로 펌핑하여 살포수단을 통해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설함에 있어서,
제설함이 제설을 관리하는 도로를 감시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설을 판단하는 스마트제어부와; 개별트레이가 내장된 제설함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별트레이에 각각 삽입되는 개별용기와; 상기 개별용기에 착탈되는 용기연결부와; 상기 용기연결부와 저장탱크가 배관으로 연결되어 밸브장치를 통해 개별용기에 담긴 액상 제설제가 저장탱크에 공급되며, 상기 스마트제어부의 제설 판단 시 스마트제어부가 밸브장치와 펌프를 제어하여 저장탱크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살포수단이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전, 후면에서 개별용기를 개별트레이에 넣거나 빼는 작업 시 개별용기를 운반한 차량에서 직접 수평 방향으로 밀어 넣거나 뺄 수 있도록 본체의 전후면에 개폐문이 구비되며, 상기 용기연결부는 개별용기와 커플링 커넥터 결합방식으로 체결되고 개별 잠금이 가능하도록 용기연결부에 잠금 커넥터와 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본체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조절부와, 상기 수평조절부를 설치 장소의 바닥에 매립된 앙카볼트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볼트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제어부는 제설함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제설함 주위의 현재 온도 정보를 입력받고,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영상데이터에서 차량의 움직임, 도로의 바퀴 자국, 도로의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를 딥러닝(Deep Learning)하여 제설을 판단하며, 상기 살포수단은 제설을 판단한 스마트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분사부와, 사용자가 제설함에서 꺼내서 수동으로 제설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사건이 구비된 수동분사부가 상기 밸브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액상 제설제를 펌핑하는 펌프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액상 제설함을 제공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저장탱크에 대량의 액상 제설제를 장시간 넣을 필요 없이 다수개의 개별용기에서 자동으로 저장탱크로 액상 제설제를 공급하며, 빈 개별용기만 액상 제설제가 가득 찬 개별용기로 교체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액상 제설제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관리 시간 및 인력이 감축되어 유지 관리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하는 액상 제설제의 양을 거대한 하나의 저장탱크에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횡과 열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개별용기로 나누어 보관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제설함과 다른 모양 및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서 도로와 인도 사이의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제설함의 본체에 전후면에 개폐문을 형성하여 개별용기를 들어 올릴 필요 없이 개별용기 운반 차량에서 직접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및 지역 주민이 직접 수동분사부의 릴에 감겨있는 분사노즐을 꺼내서 분사시켜 수동으로 제설할 수 있으면서도 스마트제어부가 제설함 주변의 현재 온도를 감시하고, 도로를 감시하는 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설을 판단하고 살포수단의 자동분사부를 통해 제설을 실시할 수 있어서 관리자의 관여 없이 자동 제설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체의 내부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의 내부 구성요소를 예시한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의 설치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의 제설 판단을 위한 딥러닝 설명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와 도 3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은 저장탱크(400)에 담겨진 액상 제설제를 펌프(240)로 펌핑하여 살포수단(500)을 통해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설함에 있어서,
도로를 감시하는 카메라(210)와, 상기 카메라(210)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설을 판단하는 스마트제어부(200)와,
개별트레이(120)가 내장된 제설함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개별트레이(120)에 각각 삽입되는 개별용기(300)와,
상기 개별용기(300)에 착탈되는 용기연결부(310)와,
상기 용기연결부(310)와 저장탱크(400)가 배관(600)으로 연결되어 밸브장치(230)를 통해 개별용기(300)에 담긴 액상 제설제가 저장탱크(400)에 공급되되,
상기 스마트제어부(200)가 제설 판단 시 밸브장치(230)와 펌프(240)를 제어하여 저장탱크(400)의 액상 제설제를 살포수단(500)을 통해 분사하는 것이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은 기존 제설함의 제설제 잔량확인 불가, 쓰레기 투척, 제설제 분실, 파손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도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액상 제설제를 크기와 부피가 큰 하나의 통에 담아두는 것이 아니라 다수개의 개별용기(300)와 저장탱크(400)로 분할하여 보관하므로 제설함의 폭을 최소화 하거나 지형에 따라 높이와 가로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기존 제설함의 크기와 모양에서 탈피하여 도로와 인도 사이의 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고, 설치 환경에 어울리는 디자인으로 적용하여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함의 본체(100)는 FRP, ABS, PP 등의 산업폐기물에 해당하는 소재가 아닌 재활용 및 재생이 가능하고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될 수 있어서 내구성이 증대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본체(100) 외부에는 LED 등과 같은 발광장치가 설치되어 충돌방치, 심미감 증대, 제설함 인식률 향상으로 멀리서도 제설함을 알아보고 제설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다수개의 개별트레이(120)가 구성될 수 있고, 도 4에서 본체(100) 내부를 투영하여 예시한 바와 같이, 개별트레이(120)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어서 배관(600)의 배치가 용이하게 되고, 개별트레이(120)에 삽입된 개별용기(300)와 배관(600)을 연결하는 용기연결부(310)가 개별용기(3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어서 본체(100)의 전, 후면에서 개별용기(300)를 개별트레이(120)에 넣거나 빼는 작업 시 배관(600)이나 용기연결부(310)가 간섭되지 않을 수 있어서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연결부(310)는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잠금 커넥터와 레버가 구비되어 개별 잠금이 가능하고, 잠김상태로 개별용기(300) 또는 배관(600)에 커플링 커넥터 결합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어서 누수의 걱정 없이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커넥터에 잠금 기능이 구비되어 임의 분리를 차단하므로 본체(1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나 지진, 운송 중 발생되는 흔들림에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개별트레이(1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개폐문(110)을 구비한 것일 수 있어서 각각의 개별트레이(120)에 액상 제설제가 담긴 무거운 개별용기(300)를 제설함의 본체(100)에 넣거나 제거할 때 개별용기(300)를 들어 올려서 내려놓을 필요 없이 본체(100) 전후면의 개폐문(110)을 열고 개별용기(300)를 운반한 차량에서 직접 수평 방향으로 밀어 넣거나 뺄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액상 제설제의 보충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소모된 개별용기(300)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대량의 액상 제설제를 충전하는 것보다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문(110)은 관리자 또는 담당자만 락 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보충 및 유지 보수 작업 시에만 책임자가 스마트제어부(200)의 통신부(220)를 통해 원격으로 개폐문(110)의 도어락 장치를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제설함의 본체(100)에는 보충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개폐문(110)과 수동분사부(520)의 사용을 위해 열림 가능한 문이 별도록 구성되고, 수동분사부(520) 수납 부분과 보충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부분이 구분 및 경리되어 있어서 제설제의 도난, 쓰레기 불법 투기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의 스마트제어부(200)는 제설함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제설함 주위의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결빙 가능성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제설함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는 카메라(210)를 통해 도로의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영상 처리 및 분석을 통해 제설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설 판단에 따라 제설함 내부의 밸브장치(230)들과 펌프(240) 및 살포수단(500) 등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제설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제설함에 설치된 수위센서들을 통해 개별용기(300)들과 저장탱크(400)의 액상 제설제 수위를 감시하여 통신부(220)를 통해 무선통신으로 책임자나 관리자의 단말기에게 저장탱크(400) 및 개별용기(300)의 액체 제설제 수위를 실시간 전송하거나 액체 제설제 보충 알림, 제설 수행 알림 등의 알림을 실시할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액상 제설함은 제설, 방역, 미세먼지, 열섬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개별용기(300)에 담기는 용액을 달리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다용도로 사계절 이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목적에 따라 개별용기(300)만을 변경하면 되기 때문에 용도 변경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살포수단(500)은 도 3 내지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분사부(510)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제설함에서 꺼내서 수동으로 제설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사건이 구비된 수동분사부(520)가 밸브장치(230)를 통해 액상 제설제를 펌핑하는 펌프(24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제설함의 본체(100)에서 수동분사부(520)의 분사건을 꺼내서 분사건의 레버를 당기면 이를 스마트제어부(200)가 감지하여 해당 밸브장치(230)와 펌프(240)를 제어하므로 자동분사부(510)는 차단하고 수동분사부(520)에 연결된 밸브장치(230)를 개방하며 상기 펌프(240)의 작동으로 분사건에서 액상 제설제가 수동분사부(520)를 통해 분사되는 수동제설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수동분사부(520)의 호스는 릴 호스로 구성될 수 있어서 수동분사부(520)의 분사건을 잡아 당겨서 사용한 후 다시 당겼다가 놓으면 릴 장치에 의해 호스가 자동으로 감기므로 수동제설이 용이하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정리하기도 쉬어서 분실 및 파손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스마트제어부(200)가 도로를 감시하는 카메라(210)의 영상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관리자에게 전송하고 이를 확인한 관리자가 판단하여 스마트제어부(200)에 제설을 원격으로 지시하여 제설을 실시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마트제어부(200)는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210)의 영상데이터에서 차량의 움직임, 도로의 바퀴 자국, 도로의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를 딥러닝(Deep Learning)하여 제설을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제어부(200)는 도로를 촬영한 영상데이터에서 도로를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고, 도로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움직이는 물체를 차량으로 인식하여 평균적인 이동 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기상청 서버와 제설함이 설치된 위치의 GPS 정보를 바탕으로 감시 지역의 날씨 정보를 적용하여 맑은 날씨의 영상데이터를 기준으로 눈이 내리는 날씨의 영상데이터와 비교, 분석을 통해 도로의 명도 변화, 도로의 바퀴 자국 변화 등을 딥러닝할 수 있고, 이러한 딥러닝 과정에서 초기 또는 설정 단계에서는 관리자가 제설 판단 영상데이터를 수동 지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동 지정과 맑은 날씨의 감시 영역 영상데이터를 기준으로 각각의 날씨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는 딥러닝으로 제설 판단을 정확하게 자동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 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맑은 날씨의 도로 영상과 눈이 내려서 하얗게 쌓인 상태에서 도로의 명도는 큰 차이가 있으며, 눈이 하얗게 쌓인 도로를 차량들이 차선을 따라 주행할 경우 도로에는 차량의 바퀴가 지나가면서 눈을 녹인 부분과 차량의 바퀴가 지나가지 않은 부분에 눈이 쌓여 하얗게 된 부분이 극명하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이러한 차이와 변화를 스마트제어부(200)가 감시하므로 제설을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제어부(200)는 연결된 수위센서를 통해 개별용기(300)와 저장탱크(400)의 액상 제설제 수위를 감시하며, 저장탱크(400)의 액상 제설제량이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밸브장치(230)를 작동시켜 개별용기(300)로부터 저장탱크(400)에 액상 제설제를 자동 공급하고, 개별용기(300)의 액상 제설제량이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무선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에게 개별용기(300) 교체 알림을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밸브장치(230)는 스마트제어부(200)가 개폐 제어가 가능한 전동밸브와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밸브장치(230)에 유량센서가 구비되어 밸브장치(230)를 통과하는 유량을 감시하여 분사량과 적재량으로부터 잔량을 산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함의 본체(100)에는 태양광발전부(700)가 구비될 수 있어서 태양광발전부(700)의 태양광 패널에서 발전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하고, 이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친환경에너지 기술을 적용하여 제설함 자체가 외부 전력의 공급 없이도 자립형(Stand alone)으로 작동하고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함은 액상 제설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분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액상 제설제를 포함하고 있는 제설함의 본체(100)가 기울어지는 경우 수위 센서가 오작동할 수 있고, 액상 제설제의 잔량 관리가 부정확할 수 있으며, 액상 제설제의 분사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본체(100)의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본체(10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 6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부에는 본체(100)가 수평을 이루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평조절부(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평조절부(130)는 설치 장소의 바닥에 매립된 앙카볼트에 체결될 수 있고 바닥에 접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바닥 접촉 면적이 넓은 볼트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볼트체결부는 바닥의 기울어짐에 따라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본체 110: 개폐문 120: 개별트레이
130: 수평조절부 200: 스마트제어부 210: 카메라
220: 통신부 230: 밸브장치 240: 펌프
300: 개별용기 310: 용기연결부 400: 저장탱크
500: 살포수단 510: 자동분사부 520: 수동분사부
600: 배관 700: 태양광발전부

Claims (5)

  1. 저장탱크에 담겨진 액상 제설제를 펌프로 펌핑하여 살포수단을 통해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설함에 있어서,
    제설함이 제설을 관리하는 도로를 감시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설 여부를 판단하는 스마트제어부와,
    개별트레이가 내장된 제설함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별트레이에 각각 삽입되는 개별용기와,
    상기 개별용기에 착탈되는 용기연결부와,
    상기 용기연결부와 저장탱크가 배관으로 연결되어 밸브장치를 통해 개별용기에 담긴 액상 제설제가 저장탱크에 공급되며, 상기 스마트제어부의 제설 판단 시 스마트제어부가 밸브장치와 펌프를 제어하여 저장탱크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살포수단이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전, 후면에서 개별용기를 개별트레이에 넣거나 빼는 작업 시 개별용기를 운반한 차량에서 직접 수평 방향으로 밀어 넣거나 뺄 수 있도록 본체의 전후면에 개폐문이 구비되며, 상기 용기연결부는 개별용기와 커플링 커넥터 결합방식으로 체결되고 개별 잠금이 가능하도록 용기연결부에 잠금 커넥터와 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본체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조절부와, 상기 수평조절부를 설치 장소의 바닥에 매립된 앙카볼트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볼트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제어부는 제설함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제설함 주위의 현재 온도 정보를 입력받고,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영상데이터에서 차량의 움직임, 도로의 바퀴 자국, 도로의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를 딥러닝(Deep Learning)하여 제설을 판단하며,
    상기 살포수단은 제설을 판단한 스마트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분사부와, 사용자가 제설함에서 꺼내서 수동으로 제설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사건이 구비된 수동분사부가 밸브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액상 제설제를 펌핑하는 펌프와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액상 제설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62358A 2022-05-20 2022-05-20 스마트 액상 제설함 KR102548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358A KR102548842B1 (ko) 2022-05-20 2022-05-20 스마트 액상 제설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358A KR102548842B1 (ko) 2022-05-20 2022-05-20 스마트 액상 제설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842B1 true KR102548842B1 (ko) 2023-06-28

Family

ID=86993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358A KR102548842B1 (ko) 2022-05-20 2022-05-20 스마트 액상 제설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8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33Y1 (ko) * 2001-05-18 2001-10-29 박영화 도로설치용 모래주머니 적치대
KR101140768B1 (ko) * 2011-01-26 2012-05-03 (주)즐거운미래 원격 제설 방재 시스템
KR101503870B1 (ko) 2013-03-15 2015-03-24 주식회사 아이알이시스 취약지역에 상시 배치하여 운영하는 반자동 액상 제설함
KR102182029B1 (ko) * 2020-04-29 2020-11-23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 이동형 원격 액상분사 시스템
KR20220010859A (ko) * 2020-07-20 2022-01-27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IoT(internet of things)를 이용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33Y1 (ko) * 2001-05-18 2001-10-29 박영화 도로설치용 모래주머니 적치대
KR101140768B1 (ko) * 2011-01-26 2012-05-03 (주)즐거운미래 원격 제설 방재 시스템
KR101503870B1 (ko) 2013-03-15 2015-03-24 주식회사 아이알이시스 취약지역에 상시 배치하여 운영하는 반자동 액상 제설함
KR102182029B1 (ko) * 2020-04-29 2020-11-23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 이동형 원격 액상분사 시스템
KR20220010859A (ko) * 2020-07-20 2022-01-27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IoT(internet of things)를 이용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1706A1 (en) Universal system for underground storage and elevation of solid waste containers
CA2447238C (en) Fuel gas filling system
KR20190010718A (ko) 전동 차량용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KR101221616B1 (ko) 노면 결빙방지장치
KR102548842B1 (ko) 스마트 액상 제설함
US20160356010A1 (en) Apparatus for removal and processing of frozen or semi-frozen materials
US10260209B1 (en) Mobile ice and snow utilization device and method
CN103228432A (zh) 用于压实垃圾的方法和设备
CN108133343A (zh) 用于农机的能源配送系统及其配送方法和能源补充点及其管理系统
KR101310727B1 (ko) 투설관 결빙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제설차
CN108100534A (zh) 隐藏式小区垃圾存放运输系统
KR102182029B1 (ko) 이동형 원격 액상분사 시스템
KR101756211B1 (ko) 유지 관리 편리성과 시설물 효율성 증대를 위한 마을 상수도 통합 관리 시스템
CN108100533A (zh) 多功能隐藏式垃圾存放运输装置
KR101054030B1 (ko) 도로결빙 방지시스템
WO2010149929A1 (fr) Dispositif modulaire de generation de puissance pour vehicule
KR102153752B1 (ko) 화학사고 대응이 가능한 차량이송용 저장장치
KR101503870B1 (ko) 취약지역에 상시 배치하여 운영하는 반자동 액상 제설함
KR102404672B1 (ko) 염수 살포 시스템
FR2960500A1 (fr) Station de transfert de batteries electriques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d'une telle station
CN214929241U (zh) 一种运输车
CN108045806A (zh) 多功能隐藏式垃圾存放运输系统
KR20130039228A (ko) 차량 탑재 이동형 간이 분사장치
CN213927713U (zh) 单车非机动车停放综合服务装置
CN108146946A (zh) 居民区垃圾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