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695B1 -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 Google Patents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695B1
KR102548695B1 KR1020230039577A KR20230039577A KR102548695B1 KR 102548695 B1 KR102548695 B1 KR 102548695B1 KR 1020230039577 A KR1020230039577 A KR 1020230039577A KR 20230039577 A KR20230039577 A KR 20230039577A KR 102548695 B1 KR102548695 B1 KR 102548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element
crosswalk
floor traffic
upper case
dir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명석
신국식
Original Assignee
(주)뉴라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라인텍 filed Critical (주)뉴라인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와, 다수의 LED 소자가 실장된 상태로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PCB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ED 소자에서 발산된 빛이 인도 쪽으로 투과 방출되어, 일측의 횡단보도 대기자뿐만 아니라 맞은편의 대기자와 횡단보도를 횡단하고 있는 사람에게도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횡단보도의 횡단을 의미하는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와 횡단보도 앞에서의 멈춤을 의미하는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가 주변 바탕색상과는 다른 색상으로 점멸되도록 함으로써, 색을 판별하는 힘이 약한 색약인 또는 색맹인이 바닥신호등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좀 더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Floor traffic light with improved visibility}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대기선 지면에 횡방향으로 매립 시공하여 보행신호 정보를 제공하는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ED 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을 인도쪽으로만 방출되도록 하여 횡단보도 양쪽의 인도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람들이 신호등의 신호 정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색약인 또는 색맹인이 신호 정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는 차량이 다니는 도로를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도로의 교차로 주위나 그 밖의 도로 횡단자가 많은 곳에 주로 마련된다.
이러한 횡단보도에는 주기적으로 멈춤신호와 횡단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 신호등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고, 횡단보도 신호등은 지주를 이용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된다.
횡단보도 신호등은 보행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치된 것이지만 고개를 숙이는 경우 신호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고개를 숙이고 휴대폰을 사용하는 보행자의 경우 주변 상황을 인지하지 못해 횡단보도 신호등의 신호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고, 이로 인하여 횡단보도에서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많아 이를 방지하기 위해 횡단보도 대기선 바닥에 보행신호를 점등하여 보행자에게 추가적인 신호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바닥신호등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바닥신호등은 시인성 개선과 보완을 위하여 LED소자가 실장된 PCB를 상부 케이스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하거나, LED소자가 실장된 PCB상면에 반사판이나 확산판을 추가하는 방법들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일측면에 한정된 시인성과 눈부심을 증가시키는 문제요인을 만들었다.
또한, 횡단보도 신호등과 마찬가지로 바닥신호등도 주 색상인 적색, 녹색이 점등면에서 발광되거나 또는 점등면에서 녹색이 점멸을 함으로써 멈춤신호나 횡단신호와 같은 신호를 제공하는데, 색약인이나 색맹인은 바닥신호등에서 제공되는 색상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없어서 불명확하게 신호를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
등록특허: 10-2271084 (출원번호: 10-2021-0010633, 발명의 명칭: 알루미늄 하우징을 가지는 바닥신호등)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LED 소자에서 발산된 빛을 사람들이 대기하고 있는 횡단보도 양쪽의 인도 쪽을 향해서만 방출되도록 하여 대기하고 있는 사람들이 신호등의 신호 정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횡단보도를 가로질러 걸어가고 있는 사람들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도를 따라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횡단보도의 횡단을 의미하는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와 횡단보도 앞에서의 멈춤을 의미하는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가 주변 바탕색상과는 다른 색상으로 점멸되도록 함으로써, 색을 판별하는 힘이 약한 색약인 또는 색맹인이 바닥신호등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좀 더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정보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은 상부 케이스와, 다수의 LED 소자가 실장된 상태로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PCB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LED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으로서; 지표상에 노출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판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횡단보도 양측의 인도를 향하는 전후면과 차량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좌우측면 및 상기 전후면과 좌우측면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면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 돌기 사이의 상부 케이스 상판 및 상기 돌기의 좌우측면과 상면은 불투광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의 전후면은 투광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LED 소자에서 발산된 빛은 상기 돌기의 전후면을 통해서 상기 인도 쪽으로 투과 방출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의 전후면은 지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15 ~ 60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좌우측면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이다.
그리고, 상기 돌기 사이의 상부 케이스의 상판 표면과 상기 돌기의 좌우측면 및 상면은 식각(蝕刻) 처리되어, 상기 LED 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의 투과가 차단되고 면발광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판 저면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와 각각 대응되는 반구 형상의 렌즈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PCB의 상면에는 확산판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확산판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와 각각 대응되는 반구 형상의 렌즈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PCB에 횡단 의미의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형상대로 제1LED 소자가 실장됨과 아울러 멈춤 의미의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형상대로 제2LED 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제1LED 소자와 제2LED 소자 주위를 둘러싸는 다수의 제3LED 소자가 실장되어; 상기 제3LED 소자가 녹색으로 점등시 제1LED 소자는 녹색 이외의 색으로 점등되고 제2LED 소자는 녹색으로 점등되며, 상기 제3LED 소자가 적색으로 점등시 제1LED 소자는 제1LED 소자는 적색으로 점등되고 제2LED 소자는 적색 이외의 색으로 점등된다.
여기서, 상기 PCB의 상면에는 확산판이 더 설치되되, 상기 확산판에는 상기 제1LED 소자에 의해 표시된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1격판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LED 소자에 의해 표시된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2격판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격판과 제2격판은 불투명 처리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제1LED 소자에 의해 표시된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3격판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LED 소자에 의해 표시된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4격판이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은 LED 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이 미끄럼 방지 역할을 하는 돌기의 전후면을 통해서 인도쪽을 향해서만 투과 방출되므로, 횡단보도의 대기위치에서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에게 신호등의 조명 신호를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일측의 횡단보도 대기자뿐만 아니라 맞은편의 대기자와 횡단보도를 횡단하고 있는 사람에게도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LED 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이 투과되는 돌기의 전후면은 15 ~ 60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양쪽의 인도를 연결하는 횡단보도의 전 구간에서 신호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돌기의 좌우측면은 불투광면으로 구성되어 LED 소자에서 발산된 빛이 투과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투과되므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LED 소자의 위쪽에 반구 형상의 렌즈홈이 구비되어, LED 소자에서 발산된 빛이 사방으로 확산된 후 확산된 빛이 돌기의 전후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므로, 돌기의 전후면이 면(面) 발광되어 시인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3LED 소자가 횡단의 의미를 갖는 녹색으로 점등될 때, 멈춤 의미를 갖는 제2LED 소자는 동일한 색상으로 점등되어 시각적으로 구분되지 않는 반면, 횡단 의미를 갖는 제1LED 소자는 녹색 이외의 색으로 점등되어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므로, 색약 또는 색맹을 갖는 보행자라 할지라도 횡단의 의미를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3LED 소자가 멈춤의 의미를 갖는 적색으로 점등될 때, 횡단 의미를 갖는 제1LED 소자는 동일한 색상으로 점등되어 시각적으로 구분되지 않는 반면, 멈춤 의미를 갖는 제2LED 소자는 적색 이외의 색으로 점등되어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므로, 색약 또는 색맹을 갖는 보행자라 할지라도 멈춤의 의미를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내지 제4격자판에 의해 LED 모듈에서 나오는 빛이 집중되어 보행자에게 비춰지므로 햇빛이 강한 날에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닥신호등의 상부 케이스를 보인 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닥신호등의 상부 케이스와 PCB를 보인 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닥신호등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 정보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바닥신호등의 확산판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닥신호등의 상부 케이스를 보인 도이며,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닥신호등의 상부 케이스와 PCB를 보인 도이고,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닥신호등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은 상부 케이스(10)와,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PCB(20)와,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0)는 그 전체적인 형태가 장방형의 블록과 유사한 형태로서, 지표상으로 노출되는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하부 케이스(40)와 결합되고 지중에 매몰되는 측벽(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1)은 지표상에 노출되어 보행자들이 밟고 지나가는 부분으로서, 상판(11)의 상면에는 보행자의 미끄럼 방지 역할을 하는 다수의 돌기(13)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기(13)는 미끄럼 저항성이 경찰청 지침 규격에서 정한 미끄럼 저항성 40BPN 이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돌기(13)는 전체적인 형상이 하단이 상판(11)의 상면에 연결된 6면체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횡단보도(C) 양측의 인도(S)를 향하는 전후면(13a,13b)과, 차량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좌우측면(13c,13d) 및 상기 전후면(13a,13b)과 좌우측면(13c,13d)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면(13e)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은 투광면으로 구성되어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돌기(13)의 좌우측면(13c,13d)과 상면(13e)은 불투광면으로 구성하여 빛이 투과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돌기(13) 쪽으로 유입된 빛은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을 통해서만 외부로 투과 방출되고, 좌우측면(13c,13d)을 통해서는 투과 방출되지 못한다. 이로 인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의 진행 방향으로는 바닥 신호등의 빛 투과율이 제한되어 운전자의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좀 더 설명하면, 상기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은 지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15 ~ 60도의 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돌기(13)의 좌우측면(13c,13d)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13)의 좌우측면(13c,13d)은 위쪽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사각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렇듯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횡단보도(C) 일측의 인도(S)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람들과 횡단보도(C) 타측의 인도(S)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횡단보도(C)를 가로지르는 사람들에게도 신호등의 불빛이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여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13) 전후면(13a,13b)의 경사각이 60도보다 커지면, 횡단보도(C)의 일측 인도(S)에서 횡단보도(C)의 타측 인도(S)에 있는 바닥신호등을 봤을 때, 그 거리가 멀어질수록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이 점점 좁아지게 보여 최종적으로는 실선으로 보일 수밖에 없어 시인성이 감소된다.
마찬가지로 돌기(13) 전후면(13a,13b)의 경사각이 15도보다 작으면, 횡단보도(C)의 일측 인도에서 횡단보도(C)의 타측 인도(S) 쪽으로 점점 걸어갈수록 횡단보도(C)의 타측 인도(S) 쪽에 있는 바닥신호등의 돌기 전후면(13a,13b)이 점점 좁아지게 보여 마찬가지로 시인성이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돌기(13) 전후면(13a,13b)의 경사각을 15 ~ 60도로 한정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돌기(13)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케이스(10)의 상판(11) 상면도 불투광면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빛은 상부 케이스(10)의 상판(11)을 통해서도 외부로 투과 방출되지 못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돌기(13) 사이에 위치되는 상부 케이스(10)의 상판(11), 돌기(13)의 좌우측면(13c,13d), 돌기(13)의 상면(13e)이 빛이 투과되지 않거나 투과되더라도 아주 적은 양의 빛만 투과하도록 빛 투과율을 제한한 불투광면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불투광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식각(蝕刻) 처리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식각에 의해 부식면으로 처리되어 이 부식면을 통해서는 빛의 투과량이 최소화되고, 빛은 오로지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을 통해서만 외부로 투과 방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 인해, 보행 대기자의 눈부심이 방지됨과 아울러,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소자에서 조사되어 빛이 양측의 인도 방향으로만 향하도록 하여 횡단보도 전 구간에서 바닥의 신호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일측의 횡단보도 대기자뿐만 아니라 맞은편의 대기자와 횡단보도를 횡단하고 있는 사람에게도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PCB(20)에는 다수의 LED 소자(21)가 실장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LED 소자(21)는 빛을 발산한다. 이렇게 LED 소자(21)에서 발산된 빛은 앞서 기재한 대로 투광면인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을 통해서 인도(S) 쪽으로 투과 방출된다.
그리고, 앞서 기재한 것처럼 LED 소자(21)에서 발산되는 빛은 식각 처리되어 불투광면이 된 상부 케이스(10)의 상판(11)과 돌기(13)의 좌우측면(13c,13d) 및 돌기(13)의 상면(13e)으로는 투과되는 것이 차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부 케이스(10)의 상판(11) 저면에 반구 형상의 렌즈홈(14)을 형성시키고 있다.
상기 렌즈홈(14)은 상판(11)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3)와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렌즈홈(14)과 돌기(13)는 서로 1:1로 대응되고, 렌즈홈(14)의 수직으로 위쪽에 돌기(13)가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렌즈홈(14)은 LED 소자(21)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켜 확산된 빛이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투광면인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을 통해 방출되는 빛은 렌즈홈(14)에 의해 확산된 빛이기 때문에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은 면(面) 발광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40)는 장방형의 블록 타입으로 제작되고, 상부 케이스(10)의 측벽(12) 하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렌즈홈(14)을 상부 케이스(10)의 상판(11)에 형성시키지 않고, PCB(20)의 상면에 확산판(30)을 설치하고, 이 확산판(30)에 렌즈홈(31)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LED 바닥신호등은 상판(11)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3)와 각각 대응되는 반구 형상의 렌즈홈(31)을 확산판(30)에 형성시키고, 이 확산판(30)을 PCB(20)의 상면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로써 상판(11)의 저면에 렌즈홈(14)을 형성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바닥신호등은 색을 판별하는 힘이 약한 색약인 또는 색맹인이 바닥신호등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좀 더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발명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PCB(20)에 다수의 LED 소자를 실장할 때,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제1LED 소자(21a)와 제2LED 소자(21b) 및 제3LED 소자(21c)를 구분하여 실장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바닥신호등의 확산판을 보인 도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LED 소자(21a)는 횡단 의미의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형상대로 PCB(20)에 실장되고, 제2LED 소자(21b)는 멈춤 의미의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형상대로 PCB(20)에 실장되며, 제3LED 소자(21c)는 제1LED 소자(21a)와 제2LED 소자(21b)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PCB(20)에 실장되어 배경역할을 하도록 한다.
횡단보도(C)를 횡단하라는 의미를 갖는 '보행'이라는 글자의 형상대로 제1LED 소자(21a)를 PCB(20)에 실장하고, 횡단보도(C)를 건너가지 말고 그 앞에서 멈추라는 의미를 갖는 '대기'라는 글자의 형상대로 제2LED 소자(21b)를 PCB(20)에 실장하며, '보행'과 '대기' 글자 주위를 둘러싸도록 제3LED 소자(21c)를 PCB(20)에 실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3LED 소자(21c)가 횡단의 의미를 갖는 녹색으로 점등되면, 제1LED 소자(21a)는 녹색 이외의 색(예를 들면, 흰색)으로 점등되고 제2LED 소자(21b)는 녹색으로 점등된다. 따라서 색약인 또는 색맹인의 눈에는(색을 정상적으로 구분하는 사람들의 눈에도) '대기'라는 글자는 보이지 않고 '보행'이라는 글자가 도드라지게 구분되어 횡단보도(C)를 건너야 할 때임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제3LED 소자(21c)가 멈춤의 의미를 갖는 적색으로 점등되면, 제1LED 소자(21a)는 적색으로 점등되고 제2LED 소자(21b)는 적색 이외의 색(예를 들면, 흰색)으로 점등된다. 따라서 색약인 또는 색맹인의 눈에는(색을 정상적으로 구분하는 사람들의 눈에도) '보행'이라는 금자는 보이지 않고 '대기'라는 글자가 도드라지게 구분되어 횡단보도(C)를 건너지 않아야 할 때임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LED 소자(21a)와 제2LED 소자(21b) 및 제3LED 소자(21c)가 PCB(20)에 실장된 상태에서 PCB(20)의 상면에 설치되는 확산판(30)에는 격판을 구비하여 제1LED 소자(21a)와 제2LED 소자(21b)에서 발산된 빛이 외각으로 새어나가 주변 빛과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고 집중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확산판(30)의 상면에 제1LED 소자(21a)에 의해 표시된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1격판(32)을 돌출 형성시킴과 아울러, 제2LED 소자(21b)에 의해 표시된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2격판(33)을 돌출 형성시킨다. 이때, 제1격판(32)과 제2격판(33)은 착색 또는 코팅 등을 통해 불투면 처리를 함으로써 제1격판(32)과 제2격판(33)을 통해서는 LED 소자에서 발산된 빛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렇게 제1격판(32)과 제2격판(33)을 구비하면 제1LED 소자(21a)에서 발산되는 빛은 제1격판(32)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만 외부로 방출되고, 제2LED 소자(21b)에서 발산되는 빛은 제2격판(33)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만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빛의 집중도가 높아져 시인성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10)의 저면에 제1LED 소자(21a)에 의해 표시된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3격판(15)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제2LED 소자(21b)에 의해 표시된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4격판(16)이 돌출 형성된다. 이렇게 하면 제1격판(32)과 제2격판(33)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된 빛은 제3격판(15)과 제4격판(16)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므로 빛의 집중도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의 신호 정보에서 금지(대기) 신호인'-'를 'X'로 대체할 수 있다. 나아가, 신호 정보를 특정문자와 기호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교통관련 기준표기에 준한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보행이미지,대기이미지)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정보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일부적용, 즉 보행에 대해서만 적용하고 대기시는 표기를 제외하여 적용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대기시에만 적용하고 보행시는 표기를 제외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10: 상부 케이스 11: 상판
12: 측벽 13: 돌기
13a: 전면 13b: 후면
13c: 좌측면 13d: 우측면
13e: 상면 14: 렌즈홈
15: 제3격판 16: 제4격판
20: PCB 21: LED 소자
21a: 제1LED 소자 21b: 제2LED 소자
21c: 제3LED 소자 30: 확산판
31: 렌즈홈 32: 제1격판
33: 제2격판 40: 하부 케이스
C: 횡단보도 S: 인도

Claims (10)

  1. 상부 케이스(10)와, 다수의 LED 소자(21)가 실장된 상태로 상기 상부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PCB(20)와,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40)를 포함하는 LED 바닥신호등에 있어서,
    지표상에 노출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상판(11)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13)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13)는 횡단보도(C) 양측의 인도(S)를 향하는 전후면(13a,13b)과 차량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좌우측면(13c,13d) 및 상기 전후면(13a,13b)과 좌우측면(13c,13d)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면(13e)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 돌기(13) 사이의 상부 케이스(10) 상판(11) 및 상기 돌기(13)의 좌우측면(13c,13d)과 상면(13e)은 불투광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은 투광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LED 소자(21)에서 발산된 빛은 상기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을 통해서 상기 인도(S) 쪽으로 투과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13)의 전후면(13a,13b)은 지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15 ~ 60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13)의 좌우측면(13c,13d)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13) 사이의 상부 케이스(10)의 상판(11) 표면과 상기 돌기(13)의 좌우측면(13c,13d) 및 상면(13e)은 식각(蝕刻) 처리되어, 상기 LED 소자(21)에서 발산되는 빛의 투과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상판(11) 저면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13)와 각각 대응되는 반구 형상의 렌즈홈(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CB(20)의 상면에는 확산판(30)이 설치되되, 상기 확산판(30)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13)와 각각 대응되는 반구 형상의 렌즈홈(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CB(20)에는 횡단 의미의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형상대로 제1LED 소자(21a)가 실장됨과 아울러 멈춤 의미의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형상대로 제2LED 소자(21b)가 실장되고 상기 제1LED 소자(21a)와 제2LED 소자(21b) 주위를 둘러싸는 다수의 제3LED 소자(21c)가 실장되어,
    상기 제3LED 소자(21c)가 녹색으로 점등시 제1LED 소자(21a)는 녹색 이외의 색으로 점등되고 제2LED 소자(21b)는 녹색으로 점등되며,
    상기 제3LED 소자(21c)가 적색으로 점등시 제1LED 소자(21a)는 제1LED 소자(21a)는 적색으로 점등되고 제2LED 소자(21b)는 적색 이외의 색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PCB(20)의 상면에는 확산판(30)이 더 설치되되,
    상기 확산판(30)에는 상기 제1LED 소자(21a)에 의해 표시된 문자 또는 기호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1격판(32)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LED 소자(21b)에 의해 표시된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2격판(33)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격판(32)과 제2격판(33)은 불투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저면에는 상기 제1LED 소자(21a)에 의해 표시된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3격판(15)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LED 소자(21b)에 의해 표시된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4격판(16)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양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KR1020230039577A 2022-09-30 2023-03-27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KR102548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614 2022-09-30
KR20220125614 2022-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695B1 true KR102548695B1 (ko) 2023-06-28

Family

ID=8699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577A KR102548695B1 (ko) 2022-09-30 2023-03-27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043B1 (ko) * 2023-08-01 2023-12-15 주식회사 에스티엘 바닥 신호등 및 그 조립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404B1 (ko) * 2016-11-24 2017-11-16 (주)경동하이테크 발광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835671B1 (ko) * 2017-11-10 2018-03-07 (주)경동하이테크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KR102127321B1 (ko) * 2020-03-27 2020-06-26 이재경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2269662B1 (ko) * 2021-02-17 2021-06-28 (주)이티엑스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KR102271084B1 (ko) 2021-01-26 2021-06-30 주식회사 효성티앤에스 알루미늄 하우징을 가지는 바닥신호등
KR102330579B1 (ko) * 2021-08-25 2021-12-01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404B1 (ko) * 2016-11-24 2017-11-16 (주)경동하이테크 발광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835671B1 (ko) * 2017-11-10 2018-03-07 (주)경동하이테크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KR102127321B1 (ko) * 2020-03-27 2020-06-26 이재경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2271084B1 (ko) 2021-01-26 2021-06-30 주식회사 효성티앤에스 알루미늄 하우징을 가지는 바닥신호등
KR102269662B1 (ko) * 2021-02-17 2021-06-28 (주)이티엑스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KR102330579B1 (ko) * 2021-08-25 2021-12-01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043B1 (ko) * 2023-08-01 2023-12-15 주식회사 에스티엘 바닥 신호등 및 그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8695B1 (ko)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Bullough Factors affecting sign visibility, conspicuity, and legibility: Review and annotated bibliography
KR101919981B1 (ko) 주간 식별이 용이한 면발광 횡단보도
KR20090028878A (ko) 어린이보호구역 다기능 통합표지판
KR102331250B1 (ko) Led 및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교차로 교통안전 경고 시스템
Lay Design of traffic signs
KR100997484B1 (ko) 횡단보도 교통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스쿨존 교통신호 조경물
KR960042484A (ko) 도로용 교통신호제어시스템
JP2005056689A (ja) 遮音壁用照明装置
KR102271279B1 (ko) 발광 점자블록을 이용한 횡단보도 신호 표시 시스템
KR200412605Y1 (ko)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계한 보도블럭의 조명장치
KR100806861B1 (ko) 교통안내 경계석
JP2002289006A (ja) 認識標示投光装置
KR20210097521A (ko)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
JP2003119732A (ja) 車両進入防止システム
JPH11288234A (ja) 情報表示装置
JP3872582B2 (ja) 交通標識器
KR102519607B1 (ko) 고보조명을 이용한 횡단보도 시스템
KR20000020225U (ko) 색맹운전자 식별용 교통신호등
KR102486004B1 (ko) 보행신호등
KR102532489B1 (ko) 보행자신호등과 연동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작동방법
RU17489U1 (ru) Опознавательный знак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бщего пользования
KR20100134172A (ko) 도로용 안전경고 표시구
KR101541757B1 (ko) 안내표시가 발광되는 안내표지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06144343A (ja) 誘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