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662B1 -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 Google Patents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662B1
KR102269662B1 KR1020210021331A KR20210021331A KR102269662B1 KR 102269662 B1 KR102269662 B1 KR 102269662B1 KR 1020210021331 A KR1020210021331 A KR 1020210021331A KR 20210021331 A KR20210021331 A KR 20210021331A KR 102269662 B1 KR102269662 B1 KR 102269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unit
pedestria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이티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티엑스 filed Critical (주)이티엑스
Priority to KR102021002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LED 광원을 이용해서 빛을 조사하더라도 핫 스팟이 형성되지 않고, 보행자나 운전자의 눈부심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광 손실량 최소화 및 휘도 증가를 통한 시인성 향상이 가능한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FLOOR SIGNAL LIGHTS WITH SURFACE EMMITTING AND WATERPROOF FUNCTION}
본 발명은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LED 광원을 이용해서 빛을 조사하더라도 핫 스팟이 형성되지 않고, 보행자나 운전자의 눈부심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광 손실량 최소화 및 휘도 증가를 통한 시인성 향상이 가능한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횡단보도 대기선 바닥에 보행 신호를 점등하여 보행자에게 추가적인 신호 정보를 제공하여 보행 편의와 교통사고 방지에 기여하는 보행자용 바닥 신호등이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대부분의 보행자들이 횡단보도에서 대기하거나, 횡단보도를 횡단할 때 전방을 주시하지 않고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보고 있기 때문에 보행자들의 시선은 지면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지면에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되는 바닥 신호등을 설치하여 보행자들에게 횡단보도의 신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바닥 신호등은 기판 상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함)를 실장해서 빛을 조사한다. 이러한 LED 광원은 소형, 저소비 전력, 고신뢰성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이러한 LED 광원은 점 광원의 특성을 갖고 있어서 빛을 조사할 경우 바닥 신호등에 핫 스팟(hot spot)이 형성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고, 보행자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눈부심 문제가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LED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경로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가이드를 사용해서 빛의 경로를 조절하게 되면 광 손실량 증가 및 휘도 감소로 인한 시인성 저하와 같은 다른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239호(2009.08.07 공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LED 광원을 이용해서 빛을 조사하더라도 핫 스팟이 형성되지 않고, 보행자나 운전자의 눈부심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광 손실량 최소화 및 휘도 증가를 통한 시인성 향상이 가능한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은 기판 부재와, 상기 기판 부재 상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광원 부재가 구비된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광원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을 반사하는 패턴 부재가 구비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이 산란되도록 산란 부재가 구비된 확산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을 분산시키는 도광판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패턴 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을 반사하는 광반사 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 부재에는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과 제2 반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은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되,
상기 제1 반사면의 제1 경사와 상기 제2 반사면의 제2 경사는 상호 상이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부는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부가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광원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힌지 부재와, 상기 광원부가 회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가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 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주변에 보행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보행자가 횡단 대기 중인 것을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보행자가 횡단 대기 중인 경우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이 보행자를 향해 조사되도록 상기 회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와 연동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보행자의 횡단 여부를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 점등 시에도 보행자가 횡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광원부가 스윙 동작하면서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이 단속적으로 보행자를 향해 조사되도록 상기 회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차량의 정차 여부를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 점등 시에도 차량이 정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광원부가 스윙 동작하면서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이 단속적으로 운전자를 향해 조사되도록 상기 회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가 없는 것을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가 없는 경우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이 횡단보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조사되도록 상기 회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광원부는 횡단보도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가 없는 경우 일측에 배치된 상기 광원부가 일측을 향해 경사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치된 상기 광원부가 타측을 향해 경사가 형성되도록 상기 회동부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은 수분 유입 방지를 위해 광원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부에 LED 광원 부재의 빛을 반사하는 패턴 부재가 구비되고,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LED 광원 부재의 빛을 산란시키는 확산부가 구비되며, 하우징부의 상면에는 LED 광원 부재의 빛을 분산시키는 도광판부가 구비되어 LED 광원 부재를 이용해서 빛을 조사하더라도 핫 스팟이 형성되지 않고, 보행자나 운전자의 눈부심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광 손실량 최소화 및 휘도 증가를 통한 시인성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에 구비된 패턴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에 구비된 회동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에 구비된 광원부의 회동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에 구비된 복수 개의 광원부가 일렬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에 구비된 복수 개의 광원부가 각각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은 기판 부재(110)와, 이러한 기판 부재(110) 상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광원 부재(120)가 구비된 광원부(100)와, 광원부(100)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부(100)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을 반사하는 패턴 부재(210)가 구비된 하우징부(200)와,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배치되되,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산란되도록 산란 부재(310)가 구비된 확산부(300), 및 하우징부(200)의 상면에 배치되어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을 분산시키는 도광판부(400)를 포함한다.
즉, LED 광원 부재(120)에서 조사되는 점 광원의 빛이 확산부(30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확산 및 산란되고, 동시에 하우징부(200)의 패턴 부재(210)에 의해 반사되면서 확산부(300)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면 광원의 빛으로 분포되면서 상부로 조사된다.
이때, 하우징부(200)는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을 사용해서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휘도 향상을 통한 시인성 증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확산부(300)는 투명 소재의 에폭시 수지에 산란 부재(310)를 혼합해서 제조할 수 있으나, 고투명도를 갖는 소재라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광 손실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산란 부재(310)를 통해 LED 광원 부재(120)의 빛에 대한 진행 방향을 제어하여 균일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산란 부재(310)의 농도와 패턴 부재(210)를 조합하여 빛의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제품을 더욱 슬림(slim)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적은 개수의 LED 광원 부재(120)를 사용하더라도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열 발생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절감 및 비용 감소가 가능하게 된다.
확산부(300)는 광원부(100)를 인서트 물로 하는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광원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LED 광원 부재(120)에서 조사되는 빛이 공기층을 거치지 않고 직접 확산부(300)로 조사됨으로써 굴절률 차이에 따른 공기층에서의 광 손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광판부(400)는 하우징부(200)의 상면에 배치되어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을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확산부(300)를 통해 조사되는 빛의 진행 방향을 제어한다.
이러한 바닥 신호등은 횡단보도의 대기선에 매립되어 사용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하여 보행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스몸비(smombie)족과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집중하고 있는 보행자나, 보행 신호에 대한 주의력이 저하될 수 있는 교통 약자에게도 효과적으로 보행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 예방이 가능하게 된다. 교통 약자로는, 휠체어에 타고 있는 노약자나 환자, 목발을 집고 있는 환자, 유모차에 타고 있는 유아, 신장이 작은 어린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 뿐만 아니라 원활한 보행이 어려운 보행자는 교통 약자로 볼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은 수분 유입 방지를 위해 광원부(10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부(200)에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을 반사하는 패턴 부재(210)가 구비되고, 하우징부(200)의 내부에는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을 산란시키는 확산부(300)가 구비되며, 하우징부(200)의 상면에는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을 분산시키는 도광판부(400)가 구비되어 LED 광원 부재(120)를 이용해서 빛을 조사하더라도 핫 스팟이 형성되지 않고, 보행자나 운전자의 눈부심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광 손실량 최소화 및 휘도 증가를 통한 시인성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패턴 부재(210)는 하우징부(20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거나, 하우징부(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0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일 예로, 패턴 부재(210)는 원뿔 또는 다각형 뿔 형상으로 음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 부재(210)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우 외부에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형태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턴 부재(210)가 하우징부(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면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패턴 부재(210)가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패턴 부재(210)를 시각 장애인용 점자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패턴 부재(210)의 내부에는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을 반사하는 광반사 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패턴 부재(210)의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에는 다양한 종류의 광반사 물질이 충진될 수 있다. 또는, 패턴 부재(210)의 표면을 따라 광반사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턴 부재(210)의 내부에 광반사 물질이 구비되면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확산되면서 면발광을 통한 시인성 증대가 가능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에 구비된 패턴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부재(210)에는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211)과 제2 반사면(2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반사면(211)과 제2 반사면(212)이 형성되도록 패턴 부재(210)의 표면을 따라 광반사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면(211)과 제2 반사면(212)은 지면(G)과 경사지게 배치되되, 제1 반사면(211)의 제1 경사(θ1)와 제2 반사면(212)의 제2 경사(θ2)는 상호 상이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확산되면서 면발광을 통한 시인성 증대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부재(210)가 하우징부(20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1 반사면(211)과 제2 반사면(212)이 동일하게 배열된 패턴 부재(210)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균일하게 반사되면서 횡단보도에서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를 향해 조사됨으로써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부재(210)가 하우징부(20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1 반사면(211)과 제2 반사면(212)의 배열 상태가 상호 반대되는 형상으로 배열된 패턴 부재(210)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패턴 부재(210)를 통해 반사되는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상호 간에 간섭을 일으키면서 횡단보도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로 조사될 수 있으며, 이는 횡단보도를 향해 보행 중인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제1 반사면(211)과 제2 반사면(212)이 동일하게 배열된 패턴 부재(210)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횡단보도에서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의 시인성이 향상되고, 제1 반사면(211)과 제2 반사면(212)의 배열 상태가 상호 반대되는 형상으로 배열된 패턴 부재(210)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횡단보도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로 조사됨에 따라 횡단보도를 향해 보행 중인 보행자의 시인성이 향상되므로 바닥 신호등의 설치 환경에 맞게 택일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00)는 지면(G)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하우징부(200)는 지면(G)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원부(100)만 지면(G)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는 이를 위한 별도의 고정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100)의 경사는 횡단보도에서 대기 중인 보행자를 향해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정확하게 조사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에 구비된 회동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에 구비된 광원부의 회동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00)가 지면(G)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광원부(100)를 회동시키는 회동부(500)와, 이러한 회동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동부(500)가 구비되면 필요에 따라 광원부(100)의 경사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횡단보도에서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가 있는 경우 이러한 보행자를 향해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조사되도록 광원부(100)를 회동시키거나, 횡단보도를 향해 보행 중인 보행자가 있는 경우 이러한 보행자를 향해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조사되도록 광원부(100)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부(500)는 광원부(100)의 하면에 배치되는 힌지 부재(510)와, 광원부(100)가 회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520)를 포함하고, 제어부(600)는 광원부(100)가 회동하도록 구동 부재(5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광원부(100)에 구비된 LED 광원 부재(12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600)는 모든 LED 광원 부재(120)가 점등된 상태의 소모 전류를 기준으로 일부 LED 광원 부재(120)에 고장이 발생함에 따라 소모 전류가 달라지게 되는 경우 고장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고장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에 보행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감지부(700)를 통해 횡단보도에서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가 있는지 여부나, 횡단보도를 향해 보행 중인 보행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600)는 감지부(700)를 통해 보행자 유무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보행자 시인성 향상을 위해 광원부(100)가 회동하도록 회동부(500)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700)는 보행자가 횡단 대기 중인 것을 감지해서 제어부(600)에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600)는 보행자가 횡단 대기 중인 경우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보행자를 향해 조사되도록 회동부(500)를 제어함으로써 보행자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600)는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와 연동하도록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나, 횡단보도를 향해 보행 중인 보행자가 LED 광원 부재(120)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해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감지부(700)는 보행자의 횡단 여부를 감지해서 제어부(600)에 신호를 전송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 점등 시에도 보행자가 횡단하지 않는 경우 광원부(100)가 스윙 동작하면서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단속적으로 보행자를 향해 조사되도록 회동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몸비(smombie)족과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집중하고 있는 보행자의 경우 보행 신호에 따라 LED 광원 부재(120)에서 조사되는 빛이 변경되는 것을 확인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광원부(100)가 스윙 동작하게 되면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조사되는 각도가 변경되면서 이러한 빛이 단속적으로 보행자를 향하게 되어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몸비족과 같은 보행자나, 보행 신호에 대한 주의력이 저하될 수 있는 교통 약자에게도 효과적으로 보행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 예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감지부(70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인공 지능(AI)을 이용한 영상 인식을 통해 보행자가 스몸비족과 같은 보행자인지, 또는 휠체어에 타고 있는 노약자나 환자, 목발을 집고 있는 환자, 유모차에 타고 있는 유아, 신장이 작은 어린이 등의 교통 약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감지부(700)를 통해 교통 약자가 보행 신호 점등에 따라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것을 연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교통 약자가 횡단하는 조건(횡단 거리, 보행 속도, 보행 신호 잔여 시간 등)을 고려하여 보행 신호 연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보행 신호 연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보행 신호가 점등되어 있는 횡단 보도의 신호등, 바닥 신호등 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교통 신호가 점등되어 있는 신호등의 점등 신호도 함께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600)는 유선 통신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의 입력 및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됨에 따라 유선 신호선의 연결이 어려운 다른 신호등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더 나아가 주변에 이동 중인 차량에도 이러한 신호를 전송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현재의 횡단 보도 주행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감지부(700)는 차량의 정차 여부를 감지해서 제어부(600)에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600)는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 점등 시에도 차량이 정지하지 않는 경우 광원부(100)가 스윙 동작하면서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단속적으로 운전자를 향해 조사되도록 회동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직진 차량이랑 좌회전 차량의 경우 진행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 확인이 용이한 반면, 우회전 차량의 경우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 확인이 쉽지 않으며, 회전 반경이 짧아서 보행자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보행 신호가 점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정차하지 않는 경우 감지부(700)를 통해 제어부(600)에 신호가 전송되면 제어부(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부(100)가 스윙 동작하도록 제어하게 되며, 이를 통해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조사되는 각도가 변경되면서 이러한 빛이 단속적으로 운전자를 향하게 되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보행자 교통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운전자를 향해 빛이 조사되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해서 또 다른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 동안 수 회 반복적으로 운전자를 향해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에 구비된 복수 개의 광원부가 일렬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에 구비된 복수 개의 광원부가 각각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때, 감지부(700)는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가 없는 것을 감지해서 제어부(600)에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600)는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가 없는 경우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횡단보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조사되도록 회동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횡단보도에서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횡단보도를 향해 접근 중인 보행자는 보행 신호를 확인할 수 없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0)가 LED 광원 부재(120)의 빛이 횡단보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조사되도록 회동부(500)를 제어하게 되면 횡단보도를 향해 접근 중인 보행자도 쉽게 보행 신호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횡단 여부를 쉽게 결정함으로써 무리한 횡단을 하지 않게 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광원부(100)는 횡단보도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제어부(600)는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가 없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배치된 광원부(100)가 일측을 향해 경사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치된 광원부(100)가 타측을 향해 경사가 형성되도록 회동부(50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횡단보도의 길이 방향은 차도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의미하고, 횡단보도의 폭 방향은 차도와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복수 개의 광원부(100)가 횡단보도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바닥 신호등이 일렬 배치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단일의 하우징부(200) 내부에 복수 개의 광원부(100)가 일렬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에 배치된 광원부(100)에는 일측을 향해 경사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치된 광원부(100)에는 타측을 향해 경사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면 횡단보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횡단보도를 향해 접근 중인 보행자도 쉽게 보행 신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광원부 110 : 기판 부재
120 : LED 광원 부재 200 : 하우징부
210 : 패턴 부재 211 : 제1 반사면
212 : 제2 반사면 300 : 확산부
310 : 산란 부재 400 : 도광판부
500 : 회동부 510 : 힌지 부재
520 : 구동 부재 600 : 제어부
700 : 감지부 θ1 : 제1 경사
θ2 : 제2 경사 G : 지면

Claims (15)

  1. 기판 부재와, 상기 기판 부재 상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광원 부재가 구비된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광원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을 반사하는 패턴 부재가 구비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이 산란되도록 산란 부재가 구비된 확산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을 분산시키는 도광판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 부재에는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과 제2 반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은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되,
    상기 제1 반사면의 제1 경사와 상기 제2 반사면의 제2 경사는 상호 상이한 크기를 갖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을 반사하는 광반사 물질이 구비되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7. 기판 부재와, 상기 기판 부재 상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광원 부재가 구비된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광원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을 반사하는 패턴 부재가 구비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이 산란되도록 산란 부재가 구비된 확산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을 분산시키는 도광판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가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광원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힌지 부재와, 상기 광원부가 회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가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 부재를 제어하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9. 제8항에 있어서,
    주변에 보행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보행자가 횡단 대기 중인 것을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보행자가 횡단 대기 중인 경우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이 보행자를 향해 조사되도록 상기 회동부를 제어하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와 연동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보행자의 횡단 여부를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 점등 시에도 보행자가 횡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광원부가 스윙 동작하면서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이 단속적으로 보행자를 향해 조사되도록 상기 회동부를 제어하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차량의 정차 여부를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 점등 시에도 차량이 정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광원부가 스윙 동작하면서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이 단속적으로 운전자를 향해 조사되도록 상기 회동부를 제어하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가 없는 것을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가 없는 경우 상기 LED 광원 부재의 빛이 횡단보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조사되도록 상기 회동부를 제어하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15. 제1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광원부는 횡단보도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횡단 대기 중인 보행자가 없는 경우 일측에 배치된 상기 광원부가 일측을 향해 경사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치된 상기 광원부가 타측을 향해 경사가 형성되도록 상기 회동부를 각각 제어하는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KR1020210021331A 2021-02-17 2021-02-17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KR102269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331A KR102269662B1 (ko) 2021-02-17 2021-02-17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331A KR102269662B1 (ko) 2021-02-17 2021-02-17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662B1 true KR102269662B1 (ko) 2021-06-28

Family

ID=7660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331A KR102269662B1 (ko) 2021-02-17 2021-02-17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695B1 (ko) * 2022-09-30 2023-06-28 (주)뉴라인텍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239A (ko) 2008-02-04 2009-08-07 장익식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102108789B1 (ko) * 2019-12-11 2020-05-11 곽재호 시인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면발광 바닥 신호등
KR102132003B1 (ko) * 2020-04-28 2020-07-09 주식회사 명신전자 바닥신호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239A (ko) 2008-02-04 2009-08-07 장익식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102108789B1 (ko) * 2019-12-11 2020-05-11 곽재호 시인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면발광 바닥 신호등
KR102132003B1 (ko) * 2020-04-28 2020-07-09 주식회사 명신전자 바닥신호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695B1 (ko) * 2022-09-30 2023-06-28 (주)뉴라인텍 시인성이 향상된 바닥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0420B2 (en) Swivel-mounted vehicle headlamp with multifunctional light distribution patterns
KR101749467B1 (ko)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헤드라이트 장치
US20140268837A1 (en) Multi-pattern headlamp assembly and system
US9050926B2 (en)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device
TW201534504A (zh) 車輛前照燈
US8931940B2 (en) Vehicle lamp module
US8651712B2 (en)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device
KR102269662B1 (ko) 면발광 및 방수 기능이 구비된 바닥 신호등
JP6953790B2 (ja) 車両用灯具
KR102356084B1 (ko)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시스템
KR102343401B1 (ko) 매트릭스 sbl 광학계를 갖는 헤드램프
KR20220157127A (ko)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33907A (ko) 가로등 유닛
KR102331250B1 (ko) Led 및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교차로 교통안전 경고 시스템
KR102207944B1 (ko) 차량용 차선 지시등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29150A (ja) 照明システム
JP7238280B2 (ja) 通知装置
KR101846990B1 (ko) 도로정보표시장치
KR102105488B1 (ko) 회전형 교통 신호 안내 장치
JP3800921B2 (ja) 車両誘導用照明装置
KR20210022794A (ko) 차량의 가이드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5189A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102452333B1 (ko) 차량용 실내 조명 장치
KR20200117516A (ko) 광선형 차단기
KR10217305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 유도선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