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735B1 -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735B1
KR102547735B1 KR1020200099403A KR20200099403A KR102547735B1 KR 102547735 B1 KR102547735 B1 KR 102547735B1 KR 1020200099403 A KR1020200099403 A KR 1020200099403A KR 20200099403 A KR20200099403 A KR 20200099403A KR 102547735 B1 KR102547735 B1 KR 102547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vestock product
processing
management system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828A (ko
Inventor
김익환
Original Assignee
(주)협신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협신식품 filed Critical (주)협신식품
Priority to KR102020009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7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5/00Apparatus for mixing meat, sausage-meat, or meat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Zo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공정 단계에 구비된 RFID 리더기가 축산물에 부착된 RFID 태그 장치로부터 독출한 정보를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RFID 태그 장치로부터 독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축산물의 가공을 위한 가공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가공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독출한 정보는, 상기 축산물의 식별정보, 및 상기 축산물의 가공 이력 및 상태 중 하나 이상에 연관된 작업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공정보는 상기 축산물에 대하여 향후 수행될 작업의 종류 및 작업의 특성 중 하나 이상을 정의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가공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가공정보를 상기 RFID 리더기에 상응하는 상기 공정 단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육류 등 도축 가공물의 절단, 발골, 부위별 정형 및 포장 등 제품화를 위한 전 과정을 자동화된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PROCESSING LIVESTOCK PRODUCT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
실시예들은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도축 가공물(육류)의 절단, 발골, 부위별 정형 및 포장 등 제품화를 위한 전 과정을 자동화된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도축 공정 중 수작업이 필요한 박피 및 탈모 공정 후의 가공물을 이미지 처리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작업 결과물의 품질을 관리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축산물 중 소 또는 돼지와 같은 육류의 경우, 소비자에게 최상의 상태에서 축산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가축 품종을 선택하여 사양 관리를 하고, 최적의 조건에서 출하 및 도축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예컨대, 도축된 소 또는 돼지의 육류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금속 등 이물질이 섞여 들어갈 경우 소비자에게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축산물의 가공 과정 중 박피 및 탈모와 같은 공정은 현재까지 이를 자동화할 수단이 없어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수작업된 결과물의 상태는 작업자 또는 관리 감독자가 이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다음 가공 공정으로 진행시키게 되는데, 이는 확인하는 사람에 따라 결과물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어 품질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축산물의 공정 및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도축된 소, 돼지 등의 육류를 예냉실에 입고 후 부위별로 육가공시 가공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바코드 형태로 관리하며 PDA에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상 육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도축 가공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바코드 라벨의 판독을 통해 출고 날짜, 주문 거래처와 같은 출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 정도에 불과하며, 가공 과정에서의 감염이나 이물질의 선별, 또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박피, 탈모와 같은 공정의 결과물의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육질을 최적화하는 수준의 관리 기능은 제공하고 있지 못한 한계를 갖는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06845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축 가공물(육류)의 절단, 발골, 부위별 정형 및 포장 등 제품화를 위한 전 과정을 자동화된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도축 공정 중 수작업이 필요한 박피 및 탈모 공정 후의 가공물을 이미지 처리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작업 결과를 관리할 수 있는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공정 단계에 구비된 RFID 리더(reader)기가 축산물에 부착된 RFID 태그(tag) 장치로부터 독출한 정보를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RFID 태그 장치로부터 독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축산물의 가공을 위한 가공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가공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독출한 정보는, 상기 축산물의 식별정보, 및 상기 축산물의 가공 이력 및 상태 중 하나 이상에 연관된 작업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공정보는 상기 축산물에 대하여 향후 수행될 작업의 종류 및 작업의 특성 중 하나 이상을 정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가공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가공정보를 상기 RFID 리더기에 상응하는 상기 공정 단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경매 서버로부터 도축 가공물의 부분육 경매에 관련된 경매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경매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공정보 생성부는, 상기 경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축산물의 가공 형태, 가공 부분 및 가공 수량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공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도축 가공물에 연관된 재고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재고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경매정보 및 상기 재고정보에 기초하여 도축 가공물의 예측된 판매량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판매 예측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공정보 생성부는, 상기 예측된 판매량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가공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축산물의 가공된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때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축산물의 가공 결과에 관련된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분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공정보 생성부는, 상기 분석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가공 공정의 완료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가공정보를 수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픽셀(pixel) 중 축산 가공물에 상응하는 픽셀에 포함된 픽셀들의 컬러값에 기초하여 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픽셀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은,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공정 단계에 구비된 RFID 리더기가 축산물에 부착된 RFID 태그 장치로부터 독출한 정보를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RFID 태그 장치로부터 독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축산물의 가공을 위한 가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가공정보를 상기 RFID 리더기에 상응하는 상기 공정 단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은,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경매 서버로부터 도축 가공물의 부분육 경매에 관련된 경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경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축산물의 가공 형태, 가공 부분 및 가공 수량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은,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에 도축 가공물에 연관된 재고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경매정보 및 상기 재고정보에 기초하여 도축 가공물의 예측된 판매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예측된 판매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축산물의 가공 형태, 가공 부분 및 가공 수량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은,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축산물의 가공된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축산물의 가공 결과에 관련된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분석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가공 공정의 완료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가공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픽셀 중 축산 가공물에 상응하는 픽셀에 포함된 픽셀들의 컬러값에 기초하여 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픽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도축 가공물(육류)에 부착된 RFID 태그(tag) 장치를 기반으로 도축 가공물의 절단, 발골, 부위별 정형 및 포장 등 제품화를 위한 전 과정을 자동화된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어, 사람이 수작업으로 작업 단계를 진행시키거나 공정 현황을 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도축 공정 중 수작업이 필요한 박피 및 탈모 공정 후의 가공물을 이미지를 통해 분석하여, 이미지 처리에 기반하여 처리가 미흡한 부위 등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으므로, 공정 결과를 종래에 비해 개선하고 가공 축산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축산 가공물 중 부분육 경매 형태로 판매되는 제품의 경우 경매 자료를 바탕으로 가공 부분, 형태 및/또는 수량 등을 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판매자의 재고 부담을 줄이고 회전율을 높이며, 실제 수요에 맞는 품질의 제품을 순발력 있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축산물 가공 설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 및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에 의해 탈모 및/또는 박피 가공물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에 의한 가공 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육류 등 축산물을 가공하는 과정은 방혈이 끝난 도체를 대상으로 그 상태에 따라 박피 및/또는 탈모를 실시하는 단계(S11)를 포함할 수 있다. 박피는 가죽을 벗기는 과정으로서 머리와 사족을 절단한 후 도체의 사지 내측과 복부를 박피기에 물려 실시할 수 있다.
탈모는 탈모는 털을 제거하기 위해 물에 불리는 탕박조 작업과 직접 털을 깎아 내는 탈모기 작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모는 방혈이 끝난 도체를 그대로 탕박조에 침지시켜 털이 잘 빠지도록 일정 온도(예컨대, 약 65℃에서 6분간)로 가열한 다음, 탈모기로 옮겨 기계적으로 털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탈모기로 탈모를 실시하였다 하더라도 탈모기에서 나온 도체의 다리 안팎, 귀, 안면, 턱, 또는 몸체 등에 탈모되지 않은 잔털이 남은 경우, 이러한 잔모를 가스 불꽃으로 태우거나 냉수로 씻어내면서 예리한 칼로 수작업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이후의 가공 과정은, 박피 및/또는 탈모 과정이 완료된 축산물을 절단한 후 일정시간동안 일정온도에서 냉각시켜 육류의 육질이 수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 냉동 또는 냉장 보관 단계(S12)와, 상기 냉동 또는 냉장 보관된 육류에서 잔뼈를 제거하는 발골 단계(S13)와, 상기 발골 단계(S13)를 통해 잔뼈가 제거된 육류를 타격하여 육질을 개선시키는 타격 단계(S14)와, 상기 타격 단계(S14)에 의해 육질이 개선된 육류를 에어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세정 단계(S15)와, 상기 세정 단계(S15)를 거친 육류를 부위별 및/또는 용도별로 세절하는 세부 세절 단계(S16)와, 상기 세부 세절 단계(S16)를 통해 부위별로 세절된 육류에 에어를 분사하여 육류의 표면에 혼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2차 세정 단계(S17)와, 상기 2차 세정 단계(S17)를 거친 육류를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S18), 및 건조된 육류를 포장하는 포장단계(S19)를 포함할 수 있다.
냉동 또는 냉장 보관을 위해서는 반입된 소 또는 돼지와 같은 육류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야 하는데, 예를 들어, 육류의 중심인 척추를 기준으로 육류를 양분하여 절단한 후, 이를 다시 앞다리와 뒷다리의 중간부위를 줌심으로 하여 절단하는 방법으로 총 4등분으로 절단할 수 있다. 즉, 도축된 가축의 경우 통상 머리, 다리 및 내장 등이 제거된 상태로 반입되게 되며, 이를 척추를 기준으로 2등분 하고, 다시 앞다리와 뒷다리의 중간부분을 절단하여 총 4등분함으로써, 작업자가 다루기 쉬운 크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체를 6등분 또는 8등분으로도 절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절단된 육류를 일정시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함으로써, 육류가 수축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육류를 저온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발골 단계(S13) 내지 세정 단계(S15)시 육질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의 번식을 최소화하고 육류가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육류의 육질이 수축된 상태에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완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육류를 약 2℃ 내지 5℃로 일정시간 냉장 보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장 보관 단계(S12)를 거쳐 일정시간 상온에서 저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육류는 발골 단계(S13)로 이송되며, 발골 단계(S13)에서는 각 부위에 포함된 뼈를 제거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다리뼈를 비롯한 육류에 존재하는 뼈를 제거하고 이와 동시에 불필요한 지방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골 과정 중 육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육질의 심부 온도가 약 2℃ 내지 5℃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골 단계(S13)를 거친 육류는 일정시간 동안 일정 힘으로 타격하는 타격 단계(S14)로 이송된다. 타격 단계(S14)는 육류의 육질을 보다 부드럽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타격으로 인한 육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작은 힘(예컨대, 약 0.05J에서 0.1J)으로 일정 시간(예컨대, 1시간 가량) 동안 골고루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육류를 갈고리 등으로 작업장의 천정 등에 설치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매달아 놓은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육류를 사람 또는 기계를 이용하여 타격할 수도 있다.
세정 단계(S15)는 타격 단계(S14)를 통해 육질이 개선된 육류를 에어 세정을 통해 발골 단계(S13) 및 타격 단계(S14)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 및 미생물에 의한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의 압력은 300Pa 내지 500Pa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그 시간은 10분 정도 이루어지도록 하고 온도는 15℃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육류의 표면에 잔류하는 미생물이 육류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세부 세절 단계(S16)는 상기 세정 단계(S15)를 통해 이물질 등이 제거된 육류를 부위별로 세절할 수 있도록 한 단계이다. 즉, 발골 단계(S13) 및 타격 단계(S14)를 거친 육류에 대해 부위별 용도별로 세부세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세부 세절 단계(S16)를 거쳐 세절된 육류를 대상으로, 세부 세절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의 흡착과,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하도록하여 오염을 경감시키킬 수 있도록 육류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2차 세정 단계(S17)를 행한다. 세부 세절시에도 금속성 세절 장치나 칼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세절이 이루어지는 특성상 금속이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공기중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육류에 혼입될 수 있는 바, 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세부 세절 단계(S16)를 통해 부위별 용도별로 세절된 육류는 일정 온도(예컨대, 약 2℃ 내지 5℃)에서 장시간(예컨대, 24시간) 건조하는 건조 단계(S18)를 수행하고, 이후, 세절된 부위별 육류를 포장하는 포장 단계(S19)를 수행한다. 육류의 발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게 미생물의 침투가 최소화할 수 있게 진공포장지를 이용하여 밀폐 포장함으로써, 축산물의 가공을 마무리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도축 가공물(육류)의 절단, 발골, 부위별 정형 및 포장 등 제품화를 위한 전 과정을RFID 기반의 태그(tag)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자동화된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도축 공정 중 수작업이 필요한 박피 및 탈모 공정 후의 가공물을 이미지 처리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작업 결과물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축산물 가공 설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육류 도체(1)에 부착된 RFID 태그 장치(2)와 통신하는 각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도체(1)에 관련된 정보를 독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도체(1)에 대하여 수행된 가공 이력이나 향후 수행될 가공 공정 등을 정의하는 가공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경매 서버와 같은 외부 서버(4)와 더 통신하며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 및 이와 통신하는 각각의 단말, 장치, 서버 및 이에 포함된 각 모듈(module) 또는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복수의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에 대응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박피, 탈모, 세절, 냉장 또는 냉동 보관, 발골, 타격, 세정, 건조 및 포장 등의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의 수와 이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10)의 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축산물의 제품화에 필요한 실제 공정 단계 또는 장치의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도체(1)는 지지대(110)에 고정된 후 레일 등 이송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각각의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 사이를 통과하도록 이송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도체(1)에는 RFID 태그 장치(2)가 부착된다. RFID 태그 장치(1)는 독출(read) 신호를 인가할 경우 고유의 신호를 반사하는 안테나 형태의 태그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FID 태그 장치(1)는 능동적으로 RFID 신호를 전송하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일 수도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에는 RFID 리더기(20)가 구비되어, 해당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에 도달한 도체(1)에 부착된 RFID 태그 장치(2)로부터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리더기(20)는 도체(1)가 운반되는 레일 상의 특정 위치에 지속적으로 독출 신호를 조사하여, 도체(1)가 상기 위치에 도착하여 반사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통해 도체(1)가 공정 단계에 도착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도체(1)에 부착된 RFID 태그 장치(2)가 능동적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트랜스폰더일 경우, RFID 리더기(20)는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트랜스폰더의 RFID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RFID 태그 장치(2)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얻어진 RFID 태그의 정보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는 사용자 단말(10)과 RFID 리더기(20) 또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또는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과 외부 서버(4) 사이의 통신에서도 동일하다.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RFID 태그 장치(2)로부터 얻어진 축산물 도체(1)의 식별정보, 이의 가공 이력 또는 상태 등 작업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상기 수신된 작업정보를 토대로, 해당 도체(1)에 대해 향후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의 종류나 특성 등을 정의하는 가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각 사용자 단말(10)과 별개의 장치로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 사용자 단말(10)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과 통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또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 사용자 단말(10)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접속 가능한 소정의 웹 페이지(web page)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 사용자 단말(10)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10)들이 모두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1에서 각 사용자 단말(10)은 노트북 컴퓨터의 형태로 도시되고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의 형태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각 사용자 단말(10) 및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스마트폰(smartphone)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 임의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 중 하나 이상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0)에는 카메라 등의 촬영수단(25)이 구비될 수 있다. 촬영수단(25)은 도체(1)의 이미지를 촬상함으로써 해당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 또는 이전의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에서 도체(1)에 대해 수행된 공정의 결과를 이미지를 통해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가공정보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가공정보를 수정하여 적절한 가공 품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주로 수작업으로 수행되거나 수작업이 많이 수반되는 박피 및/또는 탈모 공정에 위와 같은 이미지 분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촬영수단(25)에 의해 촬영된 도체(1)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미지에서 도체(1)에 해당하는 각 영역(예컨대, 픽셀(pixel))의 컬러값을 이용하여 박피 또는 탈모와 같은 공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경매 서버(4)로부터 도축 가공물의 부분육 경매에 관련된 경매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체(1)의 가공을 위한 가공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부분육 경매 결과를 통해 시장의 수요를 파악하고 판매를 예측하며, 이러한 예측 결과에 따라 축산물의 가공 형태, 가공 부분 및/또는 가공 수량 등을 조절함으로써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을 이용하는 축산물 판매 사업자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통신부(31) 및 가공정보 생성부(33)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이미지 분석부(34)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경매정보 수집부(32), 재고정보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35) 및/또는 판매 예측부(36)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31-36)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의 각 부(31-36)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을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부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부가 다른 부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의 각 부는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부(31)는 하나 이상의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에 구비된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여, RFID 리더기(20)가 도체(1)에 부착된 RFID 태그 장치(2)로부터 독출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RFID 태그 장치(2)로부터 독출되는 정보는, 도체(1)의 식별정보와 이에 대해 이미 수행된 가공 공정의 이력이나 현재 상태, 차후 수행되어야 하는 공정의 종류나 특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정보 생성부(33)는, 통신부(31)가 수신한 RFID 태그 정보를 통하여 도체(1)의 향후 가공을 위한 가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정보는 도체(1)에 대하여 향후 수행될 작업의 종류를 정의하는 것이거나, 해당 작업에 관련된 특성, 예컨대, 가공 부분, 가공 수량이나 크기, 가공 방법 등을 정의하는 것일 수 있다.
가공정보 생성부(33)에 의해 생성된 가공정보는 다시 통신부(31)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은 해당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의 작업자가 가공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가공정보는 RFID 태그 장치(2)로부터 독출한 정보를 전송해 온 사용자 단말(10)에 상응하는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이미지 분석부(34)는, 각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단계(200)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촬영수단(25)에 의해 촬영된 도체(1)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해당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체(1)에 대해 이전에 수행된 가공 공정의 결과를 평가한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주로 사람에 의한 수작업의 비중이 큰 박피 및 탈모 공정의 결과물을 평가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분석부(34)는,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서 도체(1)에 해당하는 영역(예컨대, 픽셀들)의 컬러값을 기반으로 박피나 탈모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가공정보 생성부(33)는, 이미지 분석부(34)의 분석 결과 판별된 부분에 대해 이전의 가공 공정을 다시 수행할 것을 지시하도록 가공정보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가공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판매 예측부(36)는, 현재 가공 공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축산물과 관련하여 과거 일정 기간 동안 이루어진 부분육 경매에 관련된 시장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가공 형태 및/또는 가공 부분의 육류에 대한 판매량의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가공정보 생성부(33)는, 판매 예측부(36)에 의해 생성된 예측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가공 공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체(1)의 가공 형태, 가공 부분 및/또는 가공 수량 등을 조절하도록 가공정보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가공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판매 예측부(36)에 의한 판매량 예측이 가능하도록, 경매정보 수집부(32)는 외부의 경매 서버(4)로부터 부분육 경매 결과를 나타내는 경매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판매량 예측에는 재고정보 DB(35)에 저장된 재고정보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이때, 경매정보 및 재고정보는 지육 또는 정육과 같은 축산 가공물의 형태나, 정육의 경우 부분육의 각 부위별로 세분되며, 경매정보는 각 가공물의 판매량 및 판매 가격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재고정보는 각 가공물의 재고 수량 및 생산일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외부 서버로부터 부분육 경매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1). 경매정보는 지육이 아닌 부분육에 대한 부위별 판매 수량과 판매 가격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소의 경우 안심, 채끝, 등심, 목심, 앞다리, 우둔, 설도, 양지, 사태, 갈비, 특수부위(토시, 제비추리, 안창살), 우족, 잡뼈, 꼬리, 사골 등의 각 부위별 판매 수량과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경매정보는 상장된 수량 대비 낙찰 물량 및 유찰 물량의 개수나 비율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경매정보는 경매를 통해 판매된 부분육의 등급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판매량 예측을 위하여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에 저장된 재고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S22). 한편, 재고정보는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에 저장되는 대신 외부의 판매 관리 서버(미도시) 등에 저장되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이들 서버로부터 재고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수신된 경매정보 및 재고정보를 기초로, 새로 가공이 이루어질 축산물 도체에 대한 가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3). 경매정보를 토대로 지육 또는 부분육에 대한 향후 예측된 판매량 정보를 생성하고, 예측된 판매량과 재고 수량의 비교를 통하여 향후 가공 형태, 부위 및/또는 수량을 조절하도록 가공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육 경매의 판매 추이를 분석한 결과 현재 재고 수량에 비해 더 큰 판매량이 예측될 경우, 도체(1)를 지육 형태로 가공하는 비율을 줄이고 절단 및 세절을 통해 부분육 형태로 가공하는 비율을 높이도록 가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도체(1)에 해당하는 품질 등급의 부분육에 대한 경매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등급의 부분육에 대한 판매 추이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가공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해당 도체(1)의 품질 등급은 RFID 태그 장치(2)에 기록되고 이를 독출한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에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가공되어야 할 도체(1)가 2A 등급의 한우 암소인데, 경매정보를 분석한 결과 2A 등급의 한우 암소의 부분육 판매 수량 및/또는 판매 가격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을 경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해당 도체(1)를 부분육보다는 지육 형태로 가공하도록 가공정보를 생성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부분육의 판매 수량 및/또는 판매 가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을 경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부분육 형태의 가공 수량을 늘리도록 가공정보를 생성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생성 또는 수정된 가공정보를 해당하는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S24). 이는, 사용자 단말(10)이 해당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에 도착한 도체(1)에 부착된 RFID 태그 장치(2)를 독출하여 얻은 정보를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에 전송하고,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이 이를 통하여 각 공정 단계(100, 200, 300, 400, 500, 600)에 위치한 도체(1)의 가공 이력과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가공된 도체(1)를 이미지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도체(1)에 대해 이전에 수행된 가공 공정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서는, 제1 공정 단계(100)에서 도체(1)에 대한 박피 및/또는 탈모 가공이 이루어지며, 그 다음 단계인 제2 공정 단계(200)에서 촬영수단(25)을 통해 박피 및/또는 탈모 가공의 결과를 이미지에 기반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미지에 기반한 가공 결과의 분석은 다른 임의의 공정 단계(300, 400, 500, 6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미지 분석을 위하여, 먼저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이전 가공 공정에서 가공된 도체(1)의 이미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5). 이미지 정보의 수집은, 도체(1)가 위치한 해당 공정 단계(200)의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카메라 등 촬영수단(25)이 도체(1)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이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에 촬영수단(25)이 구비되거나 또는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 자체가 촬영수단(25)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10)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에서는, 이미지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박피 및/또는 탈모 가공이 충분히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S26). 이때 검증이란, 이미지의 분석정보를 통해 이전의 가공 공정의 완료 여부를 결정하고, 이전의 가공 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도체(1)의 부분과 공정의 진행 정도 등을 산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가공 공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이미지에서 도체(1)에 해당하는 영역(예컨대, 픽셀들)의 컬러값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에 의해 탈모 및/또는 박피 가공물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먼저 이미지 정보를 단위 영역인 복수 개의 셀(cell)(50)로 분할할 수 있다. 각각의 셀(50)은 하나 또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이미지 정보에서 도체(1)에 해당하는 셀(50)들을 검출할 수 있다.
도체(1)에 해당하는 셀(50)을 결정하기 위하여, 먼저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픽셀들의 컬러값을 기초로 컬러값의 변화가 문턱값 이상 크게 나타나는 부분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도체(1)의 외곽선(510)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출된 외곽선(510)이 셀 내를 통과하고 있는 셀(51)이나, 또는 외곽선(510)이 셀을 통과하지는 않지만 해당 셀이 온전히 외곽선(510)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위치하는 셀(52)을 도체(1)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각 셀(50) 내에 위치하는 픽셀들의 컬러값(예컨대, RGB 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평균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셀(50)들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가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셀(50)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곽선(510)이 셀 내를 통과하고 있는 셀(51)의 경우에는, 해당 셀(51)에 포함된 픽셀들 중 외곽선(510)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위치하는 픽셀들의 컬러값만을 이용하여 컬러값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박피 및 탈모 가공이 완료된 도체(1)의 경우, 축산물의 종류에 따라 연한 핑크색, 선홍색 또는 적색에 가까운 색상의 픽셀들이 이미지에 나타날 것이다. 반면, 박피나 탈모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에서는 동물의 외피나 털로 인해 그보다 어두운 색상의 픽셀들이 이미지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각 셀(50) 내의 픽셀들의 컬러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평균값이 일반적인 도체의 색상에 해당하는 기준값로부터 일정 수준 이상 벗어나는 셀(50)들에는 박피나 탈모가 완료되지 않은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평균값과 기준값의 비교는 RGB 형태를 갖는 컬러값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성분 각각을 대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박피나 탈모가 완료되지 않은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값은 2 이상의 서로 상이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박피 및 탈모가 완료된 도체(1)라고 하더라도 지방 부분으로서 백색에 가까운 색상을 갖는 부분과, 근육, 내장과 같은 부분으로서 적색에 가까운 색상을 갖는 부분이 도체(1)에 공존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방 부분의 일반적인 색상을 제1 기준값으로 하고, 근육, 내장 등의 일반적인 색상을 제2 기준값으로 하여, 셀(50) 내의 픽셀들의 컬러의 평균값을 제1 및 제2 기준값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셀(50) 내의 픽셀들의 컬러의 평균값이 제1 및 제2 기준값 중 어느 한 쪽에 근접할 경우 가공이 충분히 이루어진 것이지만, 셀(50) 내의 픽셀들의 컬러의 평균값이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 중 어느 쪽과 비교하더라도 문턱값 이상으로 큰 오차를 갖는 경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해당 셀(50)에서 가공이 잘 되지 않은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서로 상이한 두 종류의 색상을 토대로 2개의 기준값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원리가 3개 이상의 기준값을 이용한 비교에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컬러값에 기반한 분석은 셀(50) 내의 픽셀들의 표준 편차를 기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표준 편차를 이용한 분석은, 전술한 컬러의 평균값을 이용한 비교 과정을 대체하여 또는 평균값에 의한 비교 결과를 보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50) 내의 픽셀들 중 동물의 외피나 털에 해당하는 픽셀들이 일부 존재하더라도, 조명의 방향이나 동일한 셀(50)에 포함된 도체의 다른 부분의 상태 등에 따라서 셀(50)의 컬러값의 평균에는 큰 차이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셀(50) 내의 픽셀들이 통상에 비해 다양한 컬러값을 갖는다면, 해당 셀(50) 내의 픽셀들의 컬러값의 표준 편차는 가공이 완료된 일반적인 셀(50)들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은 셀(50) 내의 픽셀들의 컬러값의 표준 편차가 미리 설정된 문턱값 이상인 셀(50)들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가공이 완료되지 않은 부분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이상의 과정에 의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이전의 가공 공정이 품질 기준을 만족할 정도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S27). 예를 들어, 도체(1)에서 탈모 또는 박피가 완료되지 않은 영역이 검출되지 않거나 이러한 영역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미만일 경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품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이미지 분석을 통한 검사 결과 품질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은 해당 도체(1)에 대하여 품질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공정(예컨대, 박피 및/또는 탈모 가공)을 다시 실시할 것을 지정하도록 가공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S28). 또한, 수정된 가공정보는 전술한 방법으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3)으로부터 해당 공정 단계(200)의 사용자 단말(10)에 전송된다(S24). 따라서, 작업자가 가공정보를 보고 해당 도체(1)를 이전의 공정 단계(100)로 되돌려보내거나, 이송수단에서 도체(1)를 이전의 공정 단계(100)로 자동 이송하는 등의 방식으로 품질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을 통한 검새 결과 품질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에는, 도체(1)가 다음 가공 단계(300)로 이동하도록 이송수단이 제어된다(S29).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축산물 가공 공정들이 실시됨으로써 축산물이 판매 가능한 상품으로 가공 및 포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공정 단계에 구비된 RFID 리더기가 축산물에 부착된 RFID 태그 장치로부터 독출한 정보를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RFID 태그 장치로부터 독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축산물의 가공을 위한 가공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가공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독출한 정보는, 상기 축산물의 식별정보, 상기 축산물의 등급 정보, 및 상기 축산물의 가공 이력 및 상태 중 하나 이상에 연관된 작업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정보는 상기 축산물에 대하여 향후 수행될 작업의 종류 및 작업의 특성 중 하나 이상을 정의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가공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가공정보를 상기 RFID 리더기에 상응하는 상기 공정 단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축산물의 가공된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축산물의 가공 결과에 관련된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분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셀로 분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픽셀들의 컬러값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제1 문턱값 이상인 부분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축산물의 외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셀 중 상기 외곽선이 통과하는 셀들 및 상기 외곽선으로 둘러싸인 셀들을 상기 축산물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결정하며,
    상기 영역에 상응하는 셀들 각각에 대해 각 셀 내에 위치하는 픽셀들의 컬러값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평균값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과의 차이 및 산출된 상기 평균값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과의 차이가 모두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이며 산출된 상기 표준 편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셀을 박피 또는 탈모 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셀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제1 기준값과 상기 제2 기준값은 서로 상이한 색상에 상응하고,
    상기 가공정보 생성부는,
    상기 분석정보에서 상기 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셀의 비율을 미리 설정된 제2 문턱값과 비교함으로써 박피 또는 탈모 공정의 완료 여부를 결정하며,
    박피 또는 탈모 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박피 또는 탈모 공정을 다시 실시할 것을 지정하도록 상기 가공정보를 수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통신부는, 수정된 상기 가공정보를 박피 또는 탈모 공정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외곽선이 통과하는 셀들에 대하여, 상기 외곽선이 통과하는 셀들에 포함된 픽셀들 중 상기 외곽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위치하는 픽셀들의 컬러값만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값을 산출하도록 더 구성되고,
    경매 서버로부터 도축 가공물의 부분육 경매에 관련된 경매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경매정보 수집부로서, 상기 경매정보는 도축 가공물의 부분육에 대한 부위별 판매 수량 및 판매 가격과, 부분육의 상장된 수량 대비 낙찰 물량 및 유찰 물량의 개수 또는 비율과, 경매를 통해 판매된 부분육의 등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경매정보 수집부;
    상기 경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독출한 상기 축산물의 등급 정보에 상응하는 부분육의 판매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축산물의 지육 또는 부분육에 대한 예측된 판매량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판매 예측부; 및
    도축 가공물에 연관된 재고수량을 포함하는 재고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재고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공정보 생성부는, 상기 예측된 판매량 정보에 기초하여 지육과 부분육의 가공 비율을 조절하도록 상기 축산물의 가공 형태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가공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판매 예측부는, 상기 경매정보에 기초한 판매 추이를 상기 재고정보의 재고수량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예측된 판매량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가공정보 생성부는,
    부분육의 판매 수량 또는 판매 가격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을 경우 상기 축산물을 지육 형태로 가공하도록 상기 가공정보를 생성하며,
    부분육의 판매 수량 또는 판매 가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을 경우 상기 축산물을 부분육 형태로 가공하도록 상기 가공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으로서,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공정 단계에 구비된 RFID 리더기가 축산물에 부착된 RFID 태그 장치로부터 독출한 정보를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RFID 태그 장치로부터 독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축산물의 가공을 위한 가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가공정보를 상기 RFID 리더기에 상응하는 상기 공정 단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독출한 정보는, 상기 축산물의 식별정보, 상기 축산물의 등급 정보, 및 상기 축산물의 가공 이력 및 상태 중 하나 이상에 연관된 작업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정보는 상기 축산물에 대하여 향후 수행될 작업의 종류 및 작업의 특성 중 하나 이상을 정의하고,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은,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축산물의 가공된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축산물의 가공 결과에 관련된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분석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가공 공정의 완료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가공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이미지 정보를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셀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픽셀들의 컬러값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제1 문턱값 이상인 부분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축산물의 외곽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 개의 셀 중 상기 외곽선이 통과하는 셀들 및 상기 외곽선으로 둘러싸인 셀들을 상기 축산물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영역에 상응하는 셀들 각각에 대해 각 셀 내에 위치하는 픽셀들의 컬러값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산출된 상기 평균값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의 차이 및 산출된 상기 평균값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과의 차이가 모두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이며 산출된 상기 표준 편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셀을 박피 또는 탈모 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값과 상기 제2 기준값은 서로 상이한 색상에 상응하며,
    상기 가공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분석정보에서 상기 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셀의 비율을 미리 설정된 제2 문턱값과 비교함으로써 박피 또는 탈모 공정의 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박피 또는 탈모 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박피 또는 탈모 공정을 다시 실시할 것을 지정하도록 상기 가공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픽셀들의 컬러값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외곽선이 통과하는 셀들에 대하여, 상기 외곽선이 통과하는 셀들에 포함된 픽셀들 중 상기 외곽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위치하는 픽셀들의 컬러값만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은,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수정된 상기 가공정보를 박피 또는 탈모 공정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경매 서버로부터 도축 가공물의 부분육 경매에 관련된 경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에 도축 가공물에 연관된 재고수량을 포함하는 재고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매정보는 도축 가공물의 부분육에 대한 부위별 판매 수량 및 판매 가격과, 부분육의 상장된 수량 대비 낙찰 물량 및 유찰 물량의 개수 또는 비율과, 경매를 통해 판매된 부분육의 등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경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독출한 상기 축산물의 등급 정보에 상응하는 부분육의 판매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축산물의 지육 또는 부분육에 대한 예측된 판매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예측된 판매량 정보에 기초하여 지육과 부분육의 가공 비율을 조절하도록 상기 축산물의 가공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된 판매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상기 경매정보에 기초한 판매 추이를 상기 재고정보의 재고수량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예측된 판매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축산물의 가공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부분육의 판매 수량 또는 판매 가격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을 경우 상기 축산물을 지육 형태로 가공하도록 상기 가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이, 부분육의 판매 수량 또는 판매 가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을 경우 상기 축산물을 부분육 형태로 가공하도록 상기 가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6항에 따른 축산물 가공 관리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99403A 2020-08-07 2020-08-07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47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403A KR102547735B1 (ko) 2020-08-07 2020-08-07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403A KR102547735B1 (ko) 2020-08-07 2020-08-07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828A KR20220018828A (ko) 2022-02-15
KR102547735B1 true KR102547735B1 (ko) 2023-06-26

Family

ID=8032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403A KR102547735B1 (ko) 2020-08-07 2020-08-07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485B1 (ko) * 2022-03-23 2023-02-15 김관철 계육가공 관리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371B1 (ko) 2014-11-28 2016-04-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0679B1 (ko) 2017-08-31 2018-05-23 강원호 육류 수요 및 생산량 예측을 통한 고객 맞춤형 큐레이션 시스템
KR101881707B1 (ko) 2017-12-20 2018-07-24 김정일 거래처 정보를 고려한 육류 유통 비용 절감 시스템
KR102110453B1 (ko) 2019-09-06 2020-05-13 임주환 농산물 가공 유통 시스템 및 방법
WO2020110210A1 (ja) 2018-11-28 2020-06-04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予測収益提案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953A (ko) * 2000-10-16 2002-04-22 최인규 바코드 독출기능을 갖는 휴대형 정보단말기
KR100722956B1 (ko) * 2005-03-02 2007-05-30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수요예측을 통한 주문제안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9511B1 (ko) * 2005-03-24 2007-08-21 청림식품 주식회사 도축가공 시스템
KR100786823B1 (ko) * 2005-12-30 2007-12-20 한이진 도계 공정에서 품질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7571B1 (ko) * 2006-04-07 2008-07-21 김승진 무선태그를 이용한 제품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527A (ko) * 2007-04-23 2009-01-0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농산물 및 그 가공품의 종합관리 시스템
KR101045588B1 (ko) * 2009-07-20 2011-07-05 이채호 거래 상황정보를 이용한 네트워크 패킷의 실시간 가변가격 결정 표시 장치
KR20110024981A (ko) * 2009-09-03 2011-03-09 김홍기 주류의 거래시스템 및 거래방법
KR20150072479A (ko) * 2013-12-19 2015-06-3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가축이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15782A (ko) * 2016-08-03 2018-02-14 배준범 축산물 가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77164A (ko) * 2017-12-23 2019-07-03 윤승용 빅데이터를 활용한 육류소비 자동 예측이 가능한 신선한 육류유통시스템
KR101906845B1 (ko) 2018-02-19 2018-10-11 곽성섭 축산물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371B1 (ko) 2014-11-28 2016-04-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0679B1 (ko) 2017-08-31 2018-05-23 강원호 육류 수요 및 생산량 예측을 통한 고객 맞춤형 큐레이션 시스템
KR101881707B1 (ko) 2017-12-20 2018-07-24 김정일 거래처 정보를 고려한 육류 유통 비용 절감 시스템
WO2020110210A1 (ja) 2018-11-28 2020-06-04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予測収益提案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10453B1 (ko) 2019-09-06 2020-05-13 임주환 농산물 가공 유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828A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5099C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source information for a source unit with a product converted therefrom
US6231435B1 (en) Electronic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the carcass of a slaughtered animal through a processing plant
Barbut Automation and meat quality-global challenges.
US6148249A (en)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f articles
CN104715321A (zh) 基于重量守恒的屠宰场过程监控溯源系统
CA2462471A1 (en) Method of linking a food source with a food product
KR102547735B1 (ko)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U8052891A (en) Automatic carcass grad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279815A (zh) 一种屠宰信息溯源系统及方法
US20220042960A1 (en) Method for determining properties of foods
CN104616204B (zh) 一种自动生猪屠宰线上的多元、精细、智能化胴体肉品分级方法
WO2017181214A1 (en) Tracking meat from source to customer
CN110135863A (zh) 一种牲畜分割分包溯源系统
CN112906773A (zh) 基于云服务的生猪屠宰线胴体品质分级和监控方法及系统
US20030236063A1 (en) Optimal hog carcass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200402361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labeling livestock products, and managing data associated with those products
Tenrisanna et al. Trends and forecasting of meat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Indonesia: Livestock development strategies
EP1174034A1 (en) Method for trimming pork bellies
KR102428731B1 (ko) 맞춤형 소고기 상품 추천 및 손질 방법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EP229757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protein food safety
DK181542B1 (en) Meat cut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meat
US20240000088A1 (en) A method of tracking a food item in a processing facility, and a system for processing food items
WO2023280606A1 (en) A method for digital process monitoring in a slaughterhouse
KR102648469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돼지 도체 등급 판정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16816A (ko) 축사의 운영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한 매출 예측 분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