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631B1 - 디바이스 보호커버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보호커버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631B1
KR102547631B1 KR1020220137437A KR20220137437A KR102547631B1 KR 102547631 B1 KR102547631 B1 KR 102547631B1 KR 1020220137437 A KR1020220137437 A KR 1020220137437A KR 20220137437 A KR20220137437 A KR 20220137437A KR 102547631 B1 KR102547631 B1 KR 102547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fusion
manhole cover
cover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호
Original Assignee
최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호 filed Critical 최윤호
Priority to KR102022013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631B1/ko
Priority to PCT/KR2022/017180 priority patent/WO202409064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72Cover entirely made of synthe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파가 투과되는 폴리머 복합소재의 맨홀뚜껑으로 종래 주물맨홀의 간접송신방식과는 달리 직접송신방식이고,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에 내장된 디바이스 구조에 의해 수위 및 유독가스를 측정하는 한편, 맨홀뚜껑저면부(520)에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를 융착함에 있어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을 융착하되 ① 양자 융착면적을 최대화하여 최대융착력(M)이 발휘되게 한 것이고, ② 경사테두리결착홈(514)에 삽입되는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경사각(α)에 의해 앵커력(A)이 발휘되게 한 것이며, ③ 상기 최대융착력(M)과, 그리고 융착경사각(α)의 앵커력(A)의 합력(T)이 대형통과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에 대한 최대저항 지지력이 되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디바이스 보호커버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Polymer smart manhole cover of melting with device cover by direct transmit mode and system of smart monitoring by direct transmit mode thereof}
본 발명은 디바이스 보호커버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전파가 투과되는 폴리머 복합소재의 맨홀뚜껑으로 종래 주물맨홀의 간접송신방식과는 달리 직접송신방식이고,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에 내장된 디바이스 구조에 의해 수위 및 유독가스를 측정하는 한편, 맨홀뚜껑저면부(520)에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를 융착함에 있어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을 융착하되 ① 양자 융착면적을 최대화하여 최대융착력(M)이 발휘되게 한 것이고, ② 경사테두리결착홈(514)에 삽입되는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경사각(α)에 의해 앵커력(A)이 발휘되게 한 것이며, ③ 상기 최대융착력(M)과, 그리고 융착경사각(α)의 앵커력(A)의 합력(T)이 대형통과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에 대한 최대저항 지지력이 되게 한 것이고, ④ 200~230oC의 용융상태의 맨홀뚜껑융착면(512)에 경화된 상온상태의 보호커버 융착면(532)을 가압 융착시키되 그 융착 깊이 t=5~10mm이고, 경사각 α=2~5o이며, 삽입공차 Δ=1.0~2.5mm이 되게 함으로써 갓 성형된 용융상태의 맨홀뚜껑의 냉각수축에 의해 보호커버 융착면(532)에 강하게 융착되게 한 것이며, ⑤ 상기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사이에 고정볼트 머리부(534a)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그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의 고정력을 크게 높인 것에 특징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맨홀은 그 내부를 통과하는 통과물질에 대한 점검구이다.
통과물질은 주로 하수, 상수, 도시가스 등이다. 맨홀내부는 밀폐공간이다. CO, H2S, CH4, NH3 등의 유해가스가 그 공간에 누적되기도 한다.
유해가스는 통상 맨홀과 연결된 하수관을 흐르는 혼입된 유해물질이나 맨홀 내로 유입된 이물질로 인해 발생된다.
또한 집중호우나 기습적 폭우로 인해 맨홀 내의 수위가 급격히 상승됨으로써 맨홀 뚜껑이 열리게 되고, 그 맨홀 뚜껑이 원위치에서 멀리 벗어나 이탈 분실되기도 한다. 맨홀 뚜껑이 열린 상태는 차량전복의 위험성과, 추락사고로 인해 치명적 인사상의 위험성이 있다.
집중호우나 기습적 폭우는 지하 주차장을 포함 저지대 침수지역의 재산피해가 막대하다.
밀폐공간의 맨홀 내부에는 발생ㆍ누적된 유해가스로 인해 점검자의 생명에 치명적이다.
이와 같이 집중호우의 급격한 수위상승으로 인해 맨홀뚜껑이 개방됨으로써 차량전복 및 추락사고의 치명적 인사상의 위험성에 대한 사전예방과, 그리고 맨홀내부의 밀폐공간에 쌓인 유해가스로 인한 점검자의 치명적 생명에 대한 사전예방을 위한 24시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모니터링관리 시스템은 통상 맨홀내부의 수위계측값 및 유해가스농도계측값을 실시간 송신하여 이를 수신한 지상 원격 중앙관제실에서의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상기 계측값의 송신은 맨홀내부에서 맨홀뚜껑을 통해 송신된다.
현재 사용되는 맨홀은 모두가 주물맨홀이다.
통상 맨홀의 구조는 도로에 매설된 맨홀하우징과 그 위에서 개폐되는 맨홀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맨홀뚜껑 위로 빠른 속도의 대형차량이 통과된다. 맨홀뚜껑의 지지강도는 「대형차량재하하중」과 「차량속도충격하중」 및 「회전바퀴 마찰력」에 대한 저항강도이다.
주물맨홀은 그 저항강도에 대해서는 조금도 부족함이 없는 재질이다.
그러나 주물맨홀은 그 재질상 전파통과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일반적으로 맨홀내부의 수위측정 및 유해가스농도측정을 한 후, 그 측정값은 맨홀뚜껑을 통과하여 지상중앙관제실로 송신된다.
그런데 주물은 전파통과가 불가능한 재질이다.
전파통과가 불가능한 주물뚜껑을 전파가 통과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주물뚜껑에 전파관통공이 뚫려야한다. 종래 모든 주물맨홀뚜껑의 중앙부에 전파관통공이 자리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전파관통공은 맨홀뚜껑의 내외공간이 하나로 연통된 통로로서 전파매개공간이다. 그 전파매개공간에는 전파송신용 안테나가 설치된다. 전파송신용 안테나는 맨홀 내ㆍ외부를 잇는 통신매개체이다.
주물맨홀뚜껑에 전파관통공이 없다면, 그 맨홀뚜껑을 통해 전파송신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주물맨홀뚜껑의 전파관통공의 송신안테나를 통해서만 송신이 가능하다면, 이는 “간접송신방식”이고, 이와 반대로 전파관통공 및 송신안테나가 없이 맨홀뚜껑을 투과하는 전파송신은 이에 상대적으로 “직접송신방식”이다.
주물맨홀뚜껑의 “간접송신방식”은 전파관통공 및 송신안테나와 그리고, 그 표층면 노출이 그 특징이다. 주물맨홀뚜껑의 표층면은 대형차량의 바퀴가 직접 닿는 곳이다. 또한 그 표층면은 송신안테나가 조립된 전파관통공이 노출된 곳이다.
이제, 상기 “간접송신방식”의 특징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제점으로,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이 주물맨홀뚜껑의 표층면에 노출된 안테나에 반복적으로 강하게 접촉됨으로써 안테나가 제자리에서 이탈되거나 파괴될 뿐만 아니라, 여기에다 「차량속도충격하중」이 반복적으로 더해짐으로써 강한 충격과 함께 진동이 안테나의 조립구조에 반복적으로 가해져 그 조립이 느슨해지면서 안테나의 이탈이 더한층 가중되고, 그 이탈과 함께 안테나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다.
두 번째 문제점으로, 반복적인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의 진동과 충격이 안테나의 조립구조에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써 그 조립이 느슨해지면서 안테나의 설령 이탈까지는 이르지 않는다하더라도 안테나와 조립부품사이 또는 안테나와 전파관통공사이의 틈새분리가 불기피하여 그 틈새로 침투된 빗물로 인해 습기에 민감한 PCB(인쇄회로기판), 배터리(128), 모뎀장치 등의 부식촉진 및 오작동으로 인한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다.
세 번째 문제점으로, “간접송신방식”은 주물맨홀뚜껑의 전파관통공에 송신안테나가 그 표층면에 노출된 조립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빗물에 대한 「방수구조」뿐만 아니라,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의 진동 및 충격이 주물맨홀뚜껑의 표층면의 안테나에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써 “직접송신방식”과는 달리 별도의 안테나조립구조가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그 별도조립구조에 대하여 안테나의 이탈방지구조 및 분해방지구조 등의 부가구조가 그 내구성유지를 위해 더 필요하게 됨으로써 안테나를 중심으로 한 그 관련구조가 더한층 복잡하여 비효율적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상기 관점에서 “간접송신방식”에 관한 구체적 종래기술을 예를 들어 그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종래기술-1; 공개특허 10-2022-0103283호(ICT 기반 맨홀뚜껑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리 시스템)
종래기술-1은 도1, 2, 3, 4에 도시되어있다.
종래기술-1의 맨홀은 주물맨홀이다.
이에 의하면, 센서모듈(120)의 수위감지센서(124) 및 가스센서(125)에 의한 계측값의 송신이 주물맨홀뚜껑(110)의 관통공(113)에 조립된 송신안테나(126)에 의해 지상 원격중앙관제실로 송신된다. 모니터링을 위해서다. 이때 전파매개공간[관통공(113)]에 조립된 송신안테나는 맨홀 내ㆍ외부를 잇는 통신매개체이므로 이는 주물맨홀의“간접송신방식”이다.
주물맨홀뚜껑(110)의 관통공(113)에 조립된 송신안테나(126)는 단순히 실링부재(114)로 둘러싸인 조립구조이다. 이렇게 노출된 조립구조는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의 반복적인 접촉 및 진동과 충격에 매우 취약한 구조로서 송신안테나(126)가 쉽게 이탈되거나 조립된 틈새 벌어짐이 불가피한 것이므로 종래기술-1의 주물맨홀에도 상기에서 살핀바와 같이 “간접송신방식”이 갖는 3가지 문제점이 그대로 유발됨은 물론이고, 그 유발원인역시 동일하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1의 3가지 문제점에 대하여는 위에서 살핀 것을 그대로 원용하기로 한다.
한편, 종래기술-1은 “간접송신방식”으로 송신안테나(126)가 조립된 구조이므로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의 반복적인 접촉 및 진동과 충격으로 인해 송신안테나(126)의 조립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틈새사이로 빗물이 침투되어 습기에 민감한 센서모듈(120)의 인쇄회로기판 및 배터리(128)부식 및 오작동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1의 맨홀내부에서의 수위변화 및 유해가스농도계측은 도1에서와 같이 주물맨홀뚜껑(110)저면부의 수위감지센서(124)및 가스센서(125)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4는 종래기술-1의 하수관리 시스템의 주요구성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종래기술-2; 특허 10-2001960호(스마트 맨홀 뚜껑의 안테나모듈 방수 및 매립 구조)
종래기술-2는 도5, 6에 도시되어있다.
종래기술-2의 맨홀은 주물맨홀이다.
이에 의하면, 안테나(51)가 주물맨홀뚜껑(10)중앙부의 관통공(15c)에 조립된 구조이다. 전파매개공간[관통공(15c)]에 조립된 안테나(51)는 맨홀 내ㆍ외부를 잇는 통신매개체이므로 이는 주물맨홀의“간접송신방식”이다.
안테나모듈(50)은 도6에서와 같이 로워커버(52)와 어퍼커버(53)사이에 안테나(51)가 위치된 모듈이다. 모뎀장치(60)는 주물맨홀뚜껑(10)저부, 즉 안테나모듈(50)하부에 위치되어있다.
도6에서와 같이 종래기술-2의 안테나모듈(50)은 안테나(51)와 로워커버(52)와 어퍼커버(53)로 조립된 구조이면서 주물맨홀뚜껑(10)표면층에 노출된 구조이므로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의 반복적인 접촉 및 진동과 충격에 취약한 구조로서 안테나(51)가 쉽게 이탈되거나 조립된 틈새 벌어짐이 불가피한 것이어서 종래기술-2의 주물맨홀에도 상기에서 살핀바와 같이 “간접송신방식”이 갖는 3가지 문제점이 그대로 유발됨은 물론이고, 그 유발원인역시 동일하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2의 3가지 문제점에 대하여는 위에서 살핀 것을 그대로 원용하기로 한다.
한편, 종래기술-2는 “간접송신방식”으로 안테나(51)가 로워커버(52)와 어퍼커버(53)로 조립된 구조이므로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의 반복적인 접촉 및 진동과 충격으로 인해 안테나(51)의 조립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틈새사이로 빗물이 침투되어 습기에 민감한 센서모듈(120)의 인쇄회로기판 및 배터리(128)부식 및 오작동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2의 맨홀내부에서의 계측은 도6의 모뎀장치(60)에 의해 이루어진다. 종래기술-2의 계측시스템의 주요구성의 제어관계는 도4의 블록도와 유사하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1, -2의 문제점은 위에서 살핀바와 같이 주물맨홀뚜껑의 “간접송신방식”에 따른 문제점과 동일하다.
⒜ 본 발명은 주물맨홀뚜껑의 전파관통공에 조립되는 송신안테나에 의한 종래 간접송신방식과는 달리 전파가 투과되는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으로 전환함으로써 맨홀 내ㆍ외부를 잇는 통신매개체인 송신안테나의 전파관통공이 전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에 조립되는 송신안테나의 조립구조가 아예 필요 없게 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제작함을 그 목적이 있고,
⒝ 전파가 투과되는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제작함으로써 종래 간접송신방식과는 달리 직접송신방식구조는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의 진동과 충격으로 인해 간접송신방식의 노출 안테나가 이탈되거나 조립틈새가 아예 발생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내로의 빗물 침투됨이 없어 내장된 디바이스 구조의 오작동의 문제역시 전혀 발생되지 않아 디바이스 구조의 성능 및 그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맨홀뚜껑은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곳이면서 맨홀뚜껑과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결합되는 곳으로서 상기 2부재를 결합시킴에 있어 종래 볼트조립방식과는 달리 융착방식을 채택하면서 2부재의 융착면적을 최대화하여 최대융착력(M)이 발휘되게 함으로써 맨홀뚜껑위로의 통과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의 상하수직진동에 대하여 그 최대융착력(M)에 의해 전적으로 대항 저항되게 하고, 동시에 분리 이탈이 방지된 2융착부재사이에 낀 고정볼트 머리부(534a)의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에 의해 공간부(S)에 내장된 디바이스 구조(540)의 상하부 디바이스 케이스(550)를 견고하게 체결 고정하되 상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의 뚜껑부(556)가 보호커버저면부(535)에 밀착됨으로써 맨홀뚜껑의 강한 상하수직진동에 대한 상하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게 하며, 또한 초음파수위센서(548)가 조립된 보호커버 밑판(537)은 원주수직지지부(536)에 연결볼트(536b)에 의해 조립되게 함으로써 디바이스 구조(540)의 수리 및 배터리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최대 융착면적에 의한 최대융착력(M)과, 그리고 상기 경사테두리결착홈(514)과 이에 대응 삽입되는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경사각(α)으로 인한 앵커력(A)이 동시에 발휘됨으로써 이 2개의 합력(T)이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에 대한 최대저항 지지력이 되게 하고, 이 최대저항 지지력에 의해 안정된 상태에서 디바이스 구조(540)의 초음파수위센서(548) 및 가스센서디바이스(546)의 계측이 이루어짐으로써 높은 신뢰도의 계측값 및 이를 메인디바이스(544)로부터 폴리머맨홀뚜껑을 통해 지상 중앙관제실로 송신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고,
⒟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의 최저면부인 수평부(5374)에 직경 0.5~1mm의 구멍이 군집된 결로수분배수구멍 및 냄새감지흡입구(5374c)가 다수 군데 형성함으로써 공간부(S)내외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된 결로의 배출구가 되도록 하면서 맨홀하부에서 발생된 유독가스의 냄새가 가스센서디바이스(546)로의 유입통로가 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접송신방식의 맨홀뚜껑은 전파가 투과되는 폴리머 복합소재이며,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500)에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를 일체로 융착시킴에 있어 그 맨홀뚜껑저면부(520)의 맨홀뚜껑융착면(512)에 대하여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의 보호커버 융착면(532)을 가압ㆍ융착시키되 폴리머맨홀뚜껑은 갓 성형된 200~230oC의 용융상태의 맨홀뚜껑융착면(512)이고, 이에 대응 융착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는 이미 상온상태의 경화된 보호커버 융착면(532)이며, 맨홀뚜껑저면부(520)의 테두리경사결착홈(514)의 융착 깊이 t=5~10mm 및 경사각 α=2~5o이고, 이에 대응 삽입되는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 깊이 및 경사각은 테두리경사결착홈(514)의 것과 동일하며, 테두리경사결착홈(514)과 경사결착부(532a)의 삽입공차 Δ=1.0~2.5mm이고, 상기 보호커버 융착면(532)과 맨홀뚜껑융착면(512)사이에 끼어있는 고정볼트 머리부(534a)가 융착고정되는 한편, 보호커버 융착면(53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원주수직지지부(536)와 보호커버 융착면(532)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S)에는 상기 보호커버 융착면(532)과 맨홀뚜껑융착면(512)사이에 낀 고정볼트 머리부(534a)의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에 의해 디바이스 구조(540)의 4각형 박스형상(552)의 디바이스 케이스(550)가 고정되고, 초음파수위센서(548)는 그 나선결착부(548a)가 보호커버 밑판(537)에 조립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이다.
여기에다,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최대 융착면적에 의한 최대융착력(M)과, 그리고 상기 경사테두리결착홈(514)과 이에 대응 삽입되는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경사각(α)으로 인한 앵커력(A)이 동시에 발휘되어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에 대한 최대저항 지지력이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이다.
그뿐 아니라,
디바이스 구조(540)를 고정함에 있어 보호커버 융착면(532)과 맨홀뚜껑융착면(512)사이에 낀 고정볼트 머리부(534a)의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에 의해 상기 공간부(S)내에 동일크기의 상하부 및 양측 대칭으로 배치된 디바이스 케이스(550)를 고정하되 보호커버저면부(535)에 상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의 뚜껑부(556)가 밀착되게 하여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500)위로 통과되는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으로 인한 충격진동에 대한 유격이 없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이다.
또한,
상기 2융착면사이에 낀 고정볼트 머리부(534a)의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4각형 박스형상(552)의 디바이스 케이스(550)는 디바이스 구조(540)의 메인디바이스(542), 가스센서디바이스(544), 배터리 팩(546)에 대한 케이스이고, 또 보호커버 밑판(537)의 체결부(5374a)에 조립된 디바이스 구조(540)의 초음파수위센서(548)는 고정너트(548b)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이다.
또한,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의 최저면부인 수평부(5374)에 직경 0.5~1mm의 구멍이 군집된 결로수분배수구멍 및 냄새감지흡입구(5374c)가 다수 군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이다.
상기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물맨홀뚜껑의 종래기술은 전파관통공에 조립된 송신용 안테나에 의한 간접송신방식인데 반하여,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의 본 발명은 아예 전파관통공이 필요 없는 투과방식의 “직접송신방식”이므로 양발명의 송신방식이 전혀 상이하고, 이에 따른 양자 맨홀뚜껑자체의 형상구조가 전혀 상이할 뿐만 아니라, 양자 송신관련 후속송신설치구조에 있어서도 구조적(단순ㆍ복잡) 효율성이 전혀 상이하다.
2) 종래기술의 간접송신방식은 맨홀 내ㆍ외부를 잇는 통신매개체인 송신안테나의 전파관통공으로 인해 노출조립구조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직접송신방식”은 비노출 투과방식이므로 대형차량통과에 의해 통신안테나의 이탈 및 조립틈새 벌어짐의 빗물로 인한 디바이스 구조오작동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3) 종래기술의 간접송신방식은 노출조립구조의 볼트조립방식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직접송신방식”은 용융에 의한 「융착방식」이다.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이 바로 「융착방식」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융착방식」은, 첫째, 융착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최대융착력(M)이 발휘되게 한 것이고, 둘째, 상기 경사테두리결착홈(514)과 이에 대응 삽입되는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경사각(α)에 의한 앵커력(A)이 발휘되게 한 것이며, 셋째, 상기 최대융착력(M)과, 그리고 융착경사각(α)의 앵커력(A)의 합력(T)이 대형통과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에 대한 최대저항 지지력이 되게 한 것이고, 넷째, 200~230oC의 용융상태의 맨홀뚜껑융착면(512)에 경화된 상온상태의 보호커버 융착면(532)을 가압 융착시키되 그 융착 깊이 t=5~10mm이고, 경사각 α=2~5o이며, 삽입공차 Δ=1.0~2.5mm이 되게 함으로써 갓 성형된 용융상태의 맨홀뚜껑의 냉각수축에 의해 보호커버 융착면(532)에 강하게 융착되게 한 것이며, 다섯째, 상기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사이에 고정볼트 머리부(534a)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그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의 고정력을 크게 높인 것에 그 특징이 있다.
4) 한편, 상기 최대융착력(M)과, 그리고 융착경사각(α)의 앵커력(A)의 합력(T)이 대형통과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에 대한 최대저항 지지력이 되게 한 안정적 상태에서 디바이스 구조(540)의 초음파수위센서(548) 및 가스센서디바이스(546)의 계측이 이루어짐으로써 높은 신뢰도의 계측값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메인디바이스(544)로부터 폴리머맨홀뚜껑투과를 통해 송신되는 특징이 있다.
5) 상기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사이에 고정볼트 머리부(534a)가 위치되어 그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의 고정력이 크게 높아진 상태에서 디바이스 구조(540)의 상하부 디바이스 케이스(550)를 체결 고정하되 상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의 뚜껑부(556)가 보호커버저면부(535)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통과차량에 의한 맨홀뚜껑의 강한 상하수직진동에 대한 상하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게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6) 본 발명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은 그 재질이 폴리머소재이다. 맨홀뚜껑이 폴리머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직접송신방식”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이 주어지는 한, 맨홀뚜껑의 형상구조에 관계없이 동일발명에 속한다. 본 발명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의 형상구조에 대해서는 특정형상구조에 한정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그렇다. 예컨대, 본원 출원인의 특허 제 10-2299739호의 “역류로 인한 뚜껑체의 이탈방지 폴리머 원형 맨홀 조립체”의 구조에도 상기 본 발명의 특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도11, 12 참조).
⒜ 본 발명은 주물맨홀뚜껑의 전파관통공에 조립되는 송신안테나에 의한 종래 간접송신방식과는 달리 전파가 투과되는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으로 전환함으로써 맨홀 내ㆍ외부를 잇는 통신매개체인 송신안테나의 전파관통공이 전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에 조립되는 송신안테나의 조립구조가 아예 필요 없게 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이 제작되는 효과가 있고,
⒝ 전파가 투과되는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제작함으로써 종래 간접송신방식과는 달리 직접송신방식구조는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의 진동과 충격으로 인해 간접송신방식의 노출 안테나가 이탈되거나 조립틈새가 아예 발생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내로의 빗물 침투됨이 없어 내장된 디바이스 구조의 오작동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디바이스 구조의 성능 및 그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 맨홀뚜껑은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곳이면서 맨홀뚜껑과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결합되는 곳으로서 상기 2부재를 결합시킴에 있어 종래 볼트조립방식과는 달리 「융착방식」을 채택하면서 2부재의 융착면적을 최대화하여 최대융착력(M)이 발휘되게 함으로써 맨홀뚜껑위로의 통과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의 상하수직진동에 대하여 그 최대융착력(M)에 의해 전적으로 대항 저항되게 하고, 동시에 분리 이탈이 방지된 2융착부재사이에 낀 고정볼트 머리부(534a)의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에 의해 공간부(S)에 내장된 디바이스 구조(540)의 상하부 디바이스 케이스(550)를 견고하게 체결 고정하되 상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의 뚜껑부(556)가 보호커버저면부(535)에 밀착됨으로써 맨홀뚜껑의 강한 상하수직진동에 대한 상하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게 하며, 또한 초음파수위센서(548)가 조립된 보호커버 밑판(537)은 원주수직지지부(536)에 연결볼트(536b)에 의해 조립되게 함으로써 디바이스 구조(540)의 수리 및 배터리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최대 융착면적에 의한 최대융착력(M)과, 그리고 상기 경사테두리결착홈(514)과 이에 대응 삽입되는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경사각(α)으로 인한 앵커력(A)이 동시에 발휘됨으로써 이 2개의 합력(T)이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에 대한 최대저항 지지력이 되게 하고, 이 최대저항 지지력에 의해 안정된 상태에서 디바이스 구조(540)의 초음파수위센서(548) 및 가스센서디바이스(546)의 계측이 이루어짐으로써 높은 신뢰도의 계측값 및 이를 메인디바이스(544)로부터 직접 폴리머맨홀뚜껑을 통해 지상 중앙관제실로 송신되는 효과가 있고,
⒟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의 최저면부인 수평부(5374)에 직경 0.5~1mm의 구멍이 군집된 결로수분배수구멍 및 냄새감지흡입구(5374c)가 다수 군데 형성함으로써 공간부(S)내외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된 결로의 배출구가 되도록 하면서 맨홀하부에서 발생된 유독가스의 냄새가 가스센서디바이스(546)로의 유입통로가 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 종래기술-1의 ICT 기반 맨홀뚜껑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 종래기술-1의 ICT 기반 맨홀뚜껑 조립체의 맨홀뚜껑의 배면도
[도3] 종래기술-1의 ICT 기반 맨홀뚜껑 조립체의 맨홀뚜껑의 측면도
[도4] 종래기술-1의 하수관리 시스템의 주요 구성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5] 종래기술-2의 맨홀 뚜껑의 안테나모듈 방수 및 매립 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6] 종래기술-2의 맨홀 뚜껑의 단면 구성도
[도7] 본 발명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의 단면사시도
[도8] 도7의 분해사시도
[도9] 본 발명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에 내장된 초음파수위센서와 디바이스 구조(540)의 배열상태도 및 디바이스 케이스의 형상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10] 본 발명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 및 보호커버 밑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1, 12] 본 발명 기술내용이 적용 가능한 예를 보인 도면
본 발명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접송신방식의 맨홀뚜껑은 전파가 투과되는 폴리머 복합소재이며, 맨홀뚜껑저면부(520)의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용융방식」에 의한 융착면적을 최대화하여 최대융착력(M)이 발휘되게 함으로써 맨홀뚜껑위로의 통과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의 상하수직진동에 대하여 그 최대융착력(M)에 의해 전적으로 대항 저항되게 하고, 동시에 분리 이탈이 방지된 2융착부재사이에 낀 고정볼트 머리부(534a)의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에 의해 공간부(S)에 내장된 디바이스 구조(540)의 상하부 디바이스 케이스(550)를 체결 고정하되 상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의 뚜껑부(556)가 보호커버저면부(535)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맨홀뚜껑의 강한 상하수직진동에 대한 상하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게 하며, 또한 초음파수위센서(548)가 조립된 보호커버 밑판(537)은 원주수직지지부(536)에 연결볼트(536b)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디바이스 구조(540)의 수리 및 배터리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최대 융착면적에 의한 최대융착력(M)과, 그리고 상기 경사테두리결착홈(514)과 이에 대응 삽입되는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경사각(α)으로 인한 앵커력(A)이 동시에 발휘됨으로써 이 2개의 합력(T)이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에 대한 최대저항 지지력이 되게 하고, 이 최대저항 지지력에 의해 안정된 상태에서 디바이스 구조(540)의 초음파수위센서(548) 및 가스센서디바이스(546)의 계측이 이루어짐으로써 높은 신뢰도의 계측값 및 이를 메인디바이스(544)로부터 폴리머맨홀뚜껑을 통해 지상 중앙관제실로 송신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이다.
그뿐 아니라,
맨홀뚜껑저면부(520)의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가압 ㆍ융착함에 있어 폴리머맨홀뚜껑은 갓 성형된 200~230oC의 용융상태의 맨홀뚜껑융착면(512)이고, 이에 대응 융착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는 이미 상온상태의 경화된 보호커버 융착면(532)이며, 맨홀뚜껑저면부(520)의 테두리경사결착홈(514)의 융착 깊이 t=5~10mm 및 경사각 α=2~5o이고, 이에 대응 삽입되는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 깊이 및 경사각은 테두리경사결착홈(514)의 것과 동일하며, 테두리경사결착홈(514)과 경사결착부(532a)의 삽입공차 Δ=1.0~2.5mm이고, 상기 보호커버 융착면(532)과 맨홀뚜껑융착면(512)사이에 끼어있는 고정볼트 머리부(534a)가 융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이다.
또한,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의 공간부(S)에 내장된 디바이스 구조의 메인디바이스 케이스, 초음파수위센서 디바이스케이스, 가스센서 디바이스케이스 및 2배터리 팩 케이스가 양측 대칭의 상하배치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에서 발휘된 최대융착력(M)사이의 고정볼트 몸체부(534)에 의해 상기 양측 대칭의 상하부 디바이스 케이스(550)를 체결 고정하되 상기 상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의 뚜껑부(556)가 보호커버저면부(535)에 밀착 고정되게 함으로써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500)위로 통과되는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으로 인한 충격진동에 대한 유격이 없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이다.
또한,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의 최저면인 수평부(5374)에 직경 0.5~1.5mm의 구멍이 군집된 결로수분배수구멍 및 냄새감지흡입구(5374c)가 다수 군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이다.
여기서 디바이스 구조(540)의 가스센서디바이스(546)와 초음파수위센서(548)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스센서디바이스(546)는 맨홀내부의 유독가스냄새감지센서이다.
보호커버 밑판(537)에 형성된 결로수분배수구멍 및 냄새감지흡입구(5374c)를 통해 유입된 유독가스냄새가 가스센서디바이스(546)에 의해 감지된다.
초음파수위센서(548)는 맨홀하부의 수면위에 초음파를 발사ㆍ그 수위를 감지하는 비접촉측정방식이다. 비접촉측정방식은 중간설치구조가 전혀 불필요한 방식이다. 초음파는 초음파수위센서(548)의 나선결착부(548a)의 중심부의 통로(미도시)를 통해 발사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은 “직접송신방식”의 비노출 투과방식이므로 빗물침투 등으로 인한 디바이스 구조오작동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뿐 아니라, 본 발명은 전파가 투과되는 폴리머복합소재의 맨홀뚜껑으로 종래 주물맨홀의 간접송신방식과는 달리 직접송신방식이고,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에 내장된 디바이스 구조에 의해 수위 및 유독가스를 측정하는 한편, 맨홀뚜껑저면부(520)에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를 융착함에 있어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을 융착하되 ① 양자 융착면적을 최대화하여 최대융착력(M)이 발휘되게 한 것이고, ② 경사테두리결착홈(514)에 삽입되는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경사각(α)에 의해 앵커력(A)이 발휘되게 한 것이며, ③ 상기 최대융착력(M)과, 그리고 융착경사각(α)의 앵커력(A)의 합력(T)이 대형통과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에 대한 최대저항 지지력이 되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500;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510; 맨홀뚜껑 전면부, 520; 맨홀뚜껑저면부, 512; 맨홀뚜껑융착면, 514; 테두리경사결착홈,
530;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 532; 보호커버 융착면, 532a; 경사결착부, 532b; 고정볼트 머리 홈, 534; 고정볼트 몸체부, 534a; 고정볼트 머리부, 534b; 너트, 535; 보호커버저면부, 536; 원주수직지지부, 536a; 연결볼트구멍, 536b; 연결볼트, 536c; 보강살, 537; 보호커버 밑판, 5372; 경사부, 5372a; 연결부, 5372b; 연결볼트구멍, 5374; 수평부, 5374a; 체결부, 5374b; 체결홈, 5374c; 결로수분배수구멍 및 냄새감지흡입구,
540; 디바이스 구조,
542; 메인디바이스, 544; 가스센서디바이스, 546; 배터리 팩,
548; 초음파수위센서, 548a; 나선결착부, 548b; 고정너트,
550; 디바이스 케이스, 552; 4각형 박스형상, 552a; 결합돌출부, 552b; 고정볼트 관통공, 552c; 플러그 삽입구, 554; 고무패킹, 556; 뚜껑부,

Claims (9)

  1. 직접송신방식의 맨홀뚜껑은 전파가 투과되는 폴리머 복합소재이며,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500)에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를 일체로 융착시킴에 있어 그 맨홀뚜껑저면부(520)의 맨홀뚜껑융착면(512)에 대하여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의 보호커버 융착면(532)을 가압ㆍ융착시키되 폴리머맨홀뚜껑은 갓 성형된 200~230oC의 용융상태의 맨홀뚜껑융착면(512)이고, 이에 대응 융착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는 이미 상온상태의 경화된 보호커버 융착면(532)이며, 맨홀뚜껑저면부(520)의 테두리경사결착홈(514)의 융착 깊이 t=5~10mm 및 경사각 α=2~5o이고, 이에 대응 삽입되는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 깊이 및 경사각은 테두리경사결착홈(514)의 것과 동일하며, 테두리경사결착홈(514)과 경사결착부(532a)의 삽입공차 Δ=1.0~2.5mm이고, 상기 보호커버 융착면(532)과 맨홀뚜껑융착면(512)사이에 끼어있는 고정볼트 머리부(534a)가 융착고정되는 한편, 보호커버 융착면(53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원주수직지지부(536)와 보호커버 융착면(532)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S)에는 상기 보호커버 융착면(532)과 맨홀뚜껑융착면(512)사이에 낀 고정볼트 머리부(534a)의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에 의해 디바이스 구조(540)의 4각형 박스형상(552)의 디바이스 케이스(550)가 고정되고, 초음파수위센서(548)는 그 나선결착부(548a)가 보호커버 밑판(537)에 조립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최대 융착면적에 의한 최대융착력(M)과, 그리고 상기 테두리경사결착홈(514)과 이에 대응 삽입되는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경사각(α)으로 인한 앵커력(A)이 동시에 발휘되어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에 대한 최대저항 지지력이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디바이스 구조(540)를 고정함에 있어 보호커버 융착면(532)과 맨홀뚜껑융착면(512)사이에 낀 고정볼트 머리부(534a)의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에 의해 상기 공간부(S)내에 동일크기의 상하부 및 양측 대칭으로 배치된 디바이스 케이스(550)를 고정하되 보호커버저면부(535)에 상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의 뚜껑부(556)가 밀착되게 하여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500)위로 통과되는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으로 인한 충격진동에 대한 유격이 없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 융착면(532)과 맨홀뚜껑융착면(512)사이에 낀 고정볼트 머리부(534a)의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4각형 박스형상(552)의 디바이스 케이스(550)는 디바이스 구조(540)의 메인디바이스(542), 가스센서디바이스(544), 배터리 팩(546)에대한 케이스이고, 또 보호커버 밑판(537)의 체결부(5374a)에 조립된 디바이스 구조(540)의 초음파수위센서(548)는 고정너트(548b)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의 최저면부인 수평부(5374)에 직경 0.5~1mm의 구멍이 군집된 결로수분배수구멍 및 냄새감지흡입구(5374c)가 다수 군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6. 직접송신방식의 맨홀뚜껑은 전파가 투과되는 폴리머 복합소재이며, 맨홀뚜껑저면부(520)의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용융방식」에 의한 융착면적을 최대화하여 최대융착력(M)이 발휘되게 함으로써 맨홀뚜껑위로의 통과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의 상하수직진동에 대하여 그 최대융착력(M)에 의해 전적으로 대항 저항되게 하고, 동시에 분리 이탈이 방지된 2융착부재사이에 낀 고정볼트 머리부(534a)의 연장선인 고정볼트 몸체부(534)에의해 공간부(S)에 내장된 디바이스 구조(540)의 상하부 디바이스 케이스(550)를 체결 고정하되 상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의 뚜껑부(556)가 보호커버저면부(535)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맨홀뚜껑의 강한 상하수직진동에 대한 상하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게 하며, 또한 초음파수위센서(548)가 조립된 보호커버 밑판(537)은 원주수직지지부(536)에 연결볼트(536b)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디바이스 구조(540)의 수리 및 배터리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최대 융착면적에 의한 최대융착력(M)과, 그리고 테두리경사결착홈(514)과 이에 대응 삽입되는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경사각(α)으로 인한 앵커력(A)이 동시에 발휘됨으로써 이 2개의 합력(T)이 대형차량의「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에 대한 최대저항 지지력이 되게하고, 이 최대저항 지지력에 의해 안정된 상태에서 디바이스 구조(540)의 초음파수위센서(548) 및 가스센서디바이스(546)의 계측이 이루어짐으로써 높은 신뢰도의 계측값 및 이를 메인디바이스(544)로부터 폴리머맨홀뚜껑을 통해 지상 중앙관제실로 송신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맨홀뚜껑저면부(520)의 맨홀뚜껑융착면(512)과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가압 ㆍ융착함에 있어 폴리머맨홀뚜껑은 갓 성형된 200~230oC의 용융상태의 맨홀뚜껑융착면(512)이고, 이에 대응 융착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는 이미 상온상태의 경화된 보호커버 융착면(532)이며, 맨홀뚜껑저면부(520)의 테두리경사결착홈(514)의 융착 깊이 t=5~10mm 및 경사각 α=2~5o이고, 이에 대응 삽입되는 보호커버 융착면(532)의 경사결착부(532a)의 융착 깊이 및 경사각은 테두리경사결착홈(514)의 것과 동일하며, 테두리경사결착홈(514)과 경사결착부(532a)의 삽입공차 Δ=1.0~2.5mm이고, 상기 보호커버 융착면(532)과 맨홀뚜껑융착면(512)사이에 끼어있는 고정볼트 머리부(534a)가 융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의 공간부(S)에 내장된 디바이스 구조의 메인디바이스 케이스, 초음파수위센서 디바이스케이스, 가스센서 디바이스케이스 및 2배터리 팩 케이스가 양측 대칭의 상하배치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에서 발휘된 최대융착력(M)사이의 고정볼트 몸체부(534)에 의해 상기 양측 대칭의 상하부 디바이스 케이스(550)를 체결 고정하되 상기 상부 디바이스 케이스(550)의 뚜껑부(556)가 보호커버저면부(535)에 밀착 고정되게 함으로써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500)위로 통과되는 대형차량의 「회전바퀴 마찰력」과 「차량속도충격하중」으로 인한 충격진동에 대한 유격이 없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530)의 최저면인 수평부(5374)에 직경 0.5~1.5mm의 구멍이 군집된 결로수분배수구멍 및 냄새감지흡입구(5374c)가 다수 군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호커버 구조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을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
KR1020220137437A 2022-10-24 2022-10-24 디바이스 보호커버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 KR102547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437A KR102547631B1 (ko) 2022-10-24 2022-10-24 디바이스 보호커버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
PCT/KR2022/017180 WO2024090642A1 (ko) 2022-10-24 2022-11-03 디바이스 보호커버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437A KR102547631B1 (ko) 2022-10-24 2022-10-24 디바이스 보호커버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631B1 true KR102547631B1 (ko) 2023-06-23

Family

ID=8699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437A KR102547631B1 (ko) 2022-10-24 2022-10-24 디바이스 보호커버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7631B1 (ko)
WO (1) WO2024090642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179A (ko) * 2008-10-15 2010-04-23 김종삼 맨홀 뚜껑 및 맨홀 관리 시스템
JP2011042943A (ja) * 2009-08-19 2011-03-03 Metawater Co Ltd 水位計測用マンホールユニット
JP2015010403A (ja) * 2013-06-28 2015-01-19 東京都下水道サービス株式会社 多機能型のマンホール蓋
JP2019512183A (ja) * 2016-02-04 2019-05-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データ通信装置及びシステムのための取付構造体
KR102080629B1 (ko) * 2019-03-07 2020-02-24 코비코 주식회사 스마트 맨홀 뚜껑의 모뎀 설치부 방수 및 매립 구조
KR20200052541A (ko) * 2018-11-07 2020-05-15 김동현 수위 측정을 위한 맨홀유닛
KR20210034204A (ko) * 2019-09-20 2021-03-30 에스케이씨인프라서비스 주식회사 관제 시스템이 구비된 맨홀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03283A (ko) * 2021-01-15 2022-07-22 아이에스오에스컨설팅 주식회사 Ict 기반 맨홀뚜껑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179A (ko) * 2008-10-15 2010-04-23 김종삼 맨홀 뚜껑 및 맨홀 관리 시스템
JP2011042943A (ja) * 2009-08-19 2011-03-03 Metawater Co Ltd 水位計測用マンホールユニット
JP2015010403A (ja) * 2013-06-28 2015-01-19 東京都下水道サービス株式会社 多機能型のマンホール蓋
JP2019512183A (ja) * 2016-02-04 2019-05-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データ通信装置及びシステムのための取付構造体
KR20200052541A (ko) * 2018-11-07 2020-05-15 김동현 수위 측정을 위한 맨홀유닛
KR102080629B1 (ko) * 2019-03-07 2020-02-24 코비코 주식회사 스마트 맨홀 뚜껑의 모뎀 설치부 방수 및 매립 구조
KR20210034204A (ko) * 2019-09-20 2021-03-30 에스케이씨인프라서비스 주식회사 관제 시스템이 구비된 맨홀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03283A (ko) * 2021-01-15 2022-07-22 아이에스오에스컨설팅 주식회사 Ict 기반 맨홀뚜껑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642A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50542A1 (en) Spherical monitoring device for pneumatic tires
KR10203111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감시 시스템
US20030133750A1 (en) Pavement mar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47631B1 (ko) 디바이스 보호커버가 융착된 직접송신방식의 폴리머스마트맨홀뚜껑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관리시스템
US20120304752A1 (en) Sensor system for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ment
JP4821126B2 (ja) 燃料電池
KR100856388B1 (ko) 지하수 배수 구조물
KR100626273B1 (ko) 고정식 축중기의 보호겸 과속방지장치
CN207131415U (zh) 一种轨道工程盾构隧道混凝土管片结构
US7319198B2 (en) Housingless load cell
KR100528613B1 (ko) 역류를 방지하는 하수관의 역류방지 구조
CN105256884A (zh) 一种简易式坡面径流泥沙与壤中流收集装置
KR101975751B1 (ko) 도심 침수심 측정을 위한 연석
CN113764992B (zh) 一种配电柜自检维修装置
KR101965109B1 (ko) 지연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하 구조물
KR102271197B1 (ko) 배수구조를 구비한 방음터널
JP4362866B2 (ja) マンホールピット
CN112950958A (zh) 一种灌胶地磁检测设备及其安装方法
JP3979868B2 (ja) 合流式下水道の特殊人孔の構造
CN111703543A (zh) 一种用于溢油应急监测和易于投放的抗冰浮标
CN213039115U (zh) 一种窗户处理节点
KR102238666B1 (ko) 주차감지장치
KR102665798B1 (ko) 단지 내 전기맨홀 누수방지시설물
CN211089044U (zh) 一种埋地信号采集接线盒
CN219157770U (zh) 一种井盖及井盖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