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793B1 -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793B1
KR102546793B1 KR1020220123675A KR20220123675A KR102546793B1 KR 102546793 B1 KR102546793 B1 KR 102546793B1 KR 1020220123675 A KR1020220123675 A KR 1020220123675A KR 20220123675 A KR20220123675 A KR 20220123675A KR 102546793 B1 KR102546793 B1 KR 102546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distribution cables
distribution
slider
righ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원
Original Assignee
원광전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전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광전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주에 배선되는 복수의 배전케이블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고 안전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고 아울러 배전케이블의 흔들림을 감소시킴으로써 배전계통을 정상적으로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는, 좌우 양쪽에 제1,2배전케이블(1,2)이 각각 관통 배선되는 스페이서(10)와; 상기 스페이서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0)와;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면서 좌우 양쪽이 각각 상기 스페이서 배선된 제1,2배전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30)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판형의 스페이서 본체(11),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중앙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홀(12),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좌우 양쪽에 상기 가이드홀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각각 격리 배선되는 제1,2배선홀(13,14)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배선홀은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중앙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제1,2안착홈(13-1,14-1)과 제1,2구속턱(13-2,14-2)이 교대로 반복하여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중앙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각각 지지되는 제1,2지지봉(32,33)을 포함하되, 상기 제1,2지지봉은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상기 제1,2배선홀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호 간에 간격이 변하더라도 지지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SPACE MAINTAINING APPARATUS OF DISTRIBUTION CABLE}
본 발명은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배전케이블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간격을 유지하는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배전케이블은 변전소에서 직접 수용가에 전력을 분배하는 선로로서,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전주에 고정되어 수용가로 전달된다.
한편,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케이블은 사이 거리가 먼 경우, 쳐진 배전케이블끼리 바람에 의해 흔들려 접촉하여 선로 고장이 발생하거나 단선될 우려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스페이스 유지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979416호는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핀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본체파이프와 제2 본체파이프, 상기 제1 본체파이프와 상기 제2 본체파이프가 일직선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하는 본체스토퍼, 상기 제1 본체파이프와 상기 제2 본체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배전선을 각각 파지하는 전선클램프, 상기 전선클램프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1 본체파이프와 상기 제2 본체파이프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는 클램프막대, 상기 클램프막대의 끝단에 설치되는 완충피스톤, 상기 완충피스톤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본체파이프와 상기 제2 본체파이프의 외측으로 상기 전선클램프의 이동시 완충시키는 외측스프링, 상기 완충피스톤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본체파이프와 상기 제2 본체파이프의 내측으로 상기 전선클램프의 이동 시 완충시키는 내측스프링, 상기 완충피스톤의 둘레에서 탄성력에 의해 출몰하며 상기 완충피스톤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막대의 둘레에 걸쳐져 상기 클램프막대에서 상기 완충피스톤을 고정하는 막대고정핀, 상기 제1 본체파이프와 상기 제2 본체파이프의 각 내주에서 돌출되고 상기 전선클램프의 유효이동 거리 내에서 상기 막대고정핀이 상기 완충피스톤에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클램프막대가 상기 완충피스톤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부, 및 상기 분리방지부의 양단에 위치되어 상기 막대고정핀이 탄성력에 의해 이탈되어 상기 완충피스톤에서 상기 클램프막대를 분리시킴으로써, 각 전선클램프에 고정된 배전선이 연동을 방지하는 막대분리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파이프와 상기 제2 본체파이프는 상기 제1 본체파이프와 상기 제2 본체파이프에 양측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 본체파이프와 상기 제2 본체파이프가 일직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호 겹쳐져 상기 본체스토퍼가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하는 스토퍼공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스토퍼는 상기 스토퍼공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본체파이프와 상기 제2 본체파이프의 양측에 위치된 상기 본체스토퍼의 사이에서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스토퍼스프링, 및 상기 제1 본체파이프와 상기 제2 본체파이프의 양측에 위치된 상기 본체스토퍼를 연결하여 상기 클램프막대가 내측으로 이동시 상기 클램프막대의 끝단에 가압되어 상기 스토퍼공에서 상기 본체스토퍼를 이탈시키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스페이스 유지장치이며, 신축과 탄성 구조만을 이용하여 배전선들이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는 있지만 스페이스 유지장치가 배전선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매달린 상태이기 때문에 배전선의 흔들림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등록특허 제10-197941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주에 배선되는 복수의 배전케이블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고 안전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고 아울러 배전케이블의 흔들림을 줄이는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는, 좌우 양쪽에 제1,2배전케이블이 각각 관통 배선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에 장착되면서 좌우 양쪽이 각각 상기 스페이서 배선된 제1,2배전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판형의 스페이서 본체,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중앙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홀,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좌우 양쪽에 상기 가이드홀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각각 격리 배선되는 제1,2배선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배선홀은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중앙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제1,2안착홈과 구속턱이 교대로 반복하여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중앙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가이드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각각 지지되는 제1,2지지봉을 포함하되, 상기 제1,2지지봉은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상기 제1,2배선홀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호 간에 간격이 변하더라도 지지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좁은 간격으로 모아질 때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과 연동하여 상기 스페이서에서 직각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접촉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에 의하면, 전주에 배선되는 복수의 배전케이블들이 스페이서의 제1,2배선홀에 배선되어 서로 접촉되지 않는 간격을 유지하고, 그러면서도 제1,2배전케이블이 외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완충하여 제1,2배전케이블을 접촉과 흔들림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2배전케이블을 지지대의 탄성력 및 제1,2배선홀의 구조(안착홈과 구속턱의 교번 구조)를 통해 지지하여 탄성력만 이용하는 것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배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배전케이블이 제1,2배선홀을 따라 이동할 때 제1,2배전케이블이 서로 가까워지더라도 접촉방지구가 접촉을 막아 더욱 효과적인 간격 유지와 보호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의 작용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에 적용된 접촉방지구를 보인 스페이서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에 적용된 접촉방지구를 보인 사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와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는, 제1,2배전케이블(1,2)이 각각 배선되는 스페이서(10), 스페이서(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20), 슬라이더(20)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제1,2배전케이블(1,2)을 지지하는 지지대(30)을 포함한다.
스페이서(10)는 판재 또는 블록 형태인 스페이서 본체(11), 스페이서 본체(11)의 중앙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12), 가이드홀(12)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쪽에 각각 형성되며 제1,2배전케이블(1,2)이 관통 배선되는 제1,2배선홀(13,14)을 포함하며, 즉, 제1,2배전케이블(1,2)은 각각 스페이서(10)를 통해 1차로 지지되고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간격이 유지된다.
스페이서 본체(11)는 도면에 일체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 배선되어 있는 제1,2배전케이블(1,2)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상하 2분할식 또는 좌우 3분할식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분할식의 경우 제1,2배선홀(13,14)은 조립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이다. 상하 2분할식인 경우 제1,2배전케이블(1,2)의 상하 양쪽에서 상부체와 하부체를 조립하고, 좌우 3분할식의 경우 중앙 베이스의 좌우 양쪽에 형성된 제1,2배선홀에 제1,2배전케이블(1,2)을 삽입한 후 좌우 덮개를 상기 중앙 베이스에 조립한다.
가이드홀(12)은 스페이서 본체(11)의 중앙에 형성되어 슬라이더(20)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1,2배선홀(13,14)은 제1,2배전케이블(1,2)이 횡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장공의 형태이며, 스페이서 본체(11)의 중앙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사형의 제1,2배선홀(13,14)에 따르면, 제1,2배전케이블(1,2)들의 상호 간의 간격에 맞춰 스페이서(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스페이서(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제1,2배전케이블(1,2)들이 횡방향으로 흔들리고 상호 간에 간격 변화를 일어킬 때 이들 현상을 유도한다. 즉, 제1,2배선홀(13,14)이 평행한 경우 제1,2배전케이블(1,2)의 상호 간의 간격 변화를 유도하지 못하고 막게 된다.
또한, 제1,2배선홀(13,14)은 제1,2배전케이블(1,2)의 이동을 구속하여 급작스러운 이동에 따른 손상을 막기 위하여 일측면(바깥쪽면)에 제1,2안착홈(13-1,14-1)과 제1,2구속턱(13-2,14-2)이 교대로 반복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다수개로 구성되는 제1,2안착홈(13-1,14-1) 중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제1,2안착홈(13-1,14-1)에 제1,2배전케이블(1,2)이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제1,2배전케이블(1,2)의 벌어짐과 좁아짐 모두가 가능하도록 한다.
슬라이더(20)는 스페이서(10)의 가이드홀(12)에 직선 왕복 이동(도면 기준 상하 종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대(30)의 이동을 안내한다.
슬라이더(20)는 지지대(30)의 조립을 통해 스페이서(10)이 가이드홀(12)에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고, 또는 지지대(30)과 관계없이 스페이서(10)에 전후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직선 왕복 이동하게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스페이서(10)의 전후 양쪽에 고정되어 슬라이더(2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슬라이더(20)의 전후 방향 이탈을 막는 덮개가 포함될 수 있다.
슬라이더(20)는 가이드홀(12) 안에서 제1,2배전케이블(1,2)을 지지하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하 양쪽에 각각 탄성부재(21)가 적용된다. 탄성부재(21)는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이며 가이드홀(12)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슬라이더(20)를 탄력 지지한다.
지지대(30)는 제1,2배전케이블(1,2)과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를 매개로 하여 가이드홀(12)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스페이서(10)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큰 흔들림없이 제1,2배전케이블(1,2)을 지지하고, 구체적인 구성은 고정봉(31), 고정봉(31)의 길이방향 양쪽에 각각 연결되며 제1,2배전케이블(1,2)을 지지(연결)하는 제1,2지지봉(32,33)을 포함한다.
고정봉(31)은 길이방향의 양쪽이 각각 관통된 구조이며 고정구(34)를 통해 슬라이더(20)에 고정된다. 고정구(34)는 고정봉(31)과 슬라이더(20)를 관통하는 축핀 및 상기 축핀의 반대쪽에 체결되는 너트이고, 이들의 구성에 따르면, 지지대(30)를 슬라이더(20)에 고정함과 더불어 지지대(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대(30)의 더욱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고정구(34)의 축핀이 관통되는 베어링(35)이 포함되고, 베어링(35)은 슬라이더(2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면 중 37은 상기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홀(12)의 직경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판이다.
고정봉(31)은 내부에 제1,2지지봉(32,33)을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코일스프링)(36)이 포함된다.
제1,2지지봉(32,33)은 일측이 고정봉(31)의 양쪽에 각각 삽입되어 탄성부재(36)를 통해 지지되고 자유단부인 타측이 제1,2배전케이블(1,2)에 지지된다. 제1,2지지봉(32,33)은 타측에 제1,2배전케이블(1,2)의 둘레면에 지지되는 반원형 또는 제1,2배전케이블(1,2)을 감싸는 원형 클램프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2지지봉(32,33)은 탄성부재(36)의 탄성력을 통해 제1,2배전케이블(1,2)을 제1,2배선홀(13,14)의 바깥쪽 면으로 밀어 제1,2안착홈(13-1,14-1)에 안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스 유지 장치의 초기 설치 상태이며, 제1,2배전케이블(1,2)은 제1,2배선홀(13,14)의 어느 하나의 제1,2안착홈(13-1,14-1) 안에 삽입 안착되어 있고 아울러 지지대(30)의 제1,2지지봉(32,33)은 제1,2배전케이블(1,2)을 각각 제1,2안착홈(13-1,14-1)의 바깥쪽 면에 밀착되도록 탄력 지지한다. 따라서, 제1,2배전케이블(1,2)은 상호 간에 접촉없이 떨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1,2배전케이블(1,2)이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2배전케이블(1,2)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탄성부재(36)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 도 2의 (B)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2지지봉(32,33)이 모아지면서 제1,2배전케이블(1,2)의 이동을 지연시키고 또한, 제1,2구속턱(13-2,14-2)이 제1,2배전케이블(1,2)의 이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즉, 제1,2배전케이블(1,2)이 서로 모아지는 방향의 이동을 막지 않아 제1,2배전케이블(1,2)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또한, 제1,2배전케이블(1,2)의 이동을 지연시키게 되므로 제1,2배전케이블(1,2)의 큰 이동으로 인한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1,2배전케이블(1,2) 중 어느 하나만 이동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1배전케이블(1)이 제2배전케이블(2)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3의 (C)에서 보이는 것처럼, 고정봉(31)이 고정구(34)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더(20) 안에서 도면 기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때, 제1지지봉(32)은 수축 및 제2지지봉(33)은 신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배전케이블(1,2)은 탄성부재(36)의 탄성력과 제1,2안착홈(13-1,4-1)에 의한 삽입 통해 이탈을 일으키지 않고 서로 접촉되지 아니하며, 또한, 이동이 불가피한 경우 탄성력과 제1,2구속턱(13-2,14-2)에 의해 이동이 지연되고 줄어들게 되므로 급작스러운 이동을 일으키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제1,2배전케이블(1,2)이 제1,2배선홀(13,14)의 상부까지 이동하는 경우 제1,2배선홀(13,14)의 간격이 좁아 제1,2배전케이블(1,2)이 가까워지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제1,2배전케이블(1,2)의 접촉을 막기 위하여 접촉방지구가 포함된다.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접촉방지구(40)는 제1,2배전케이블(1,2)이 가이드홀(12)의 아래쪽에 있을 때에는 스페이서(10)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보관되고, 제1,2배전케이블(1,2)이 가이드홀(12)의 상부로 올라올 때에는 제1,2배전케이블(1,2) 사이를 막도록 배치되며, 슬라이더(20)의 승강과 연동하도로 구성되는데 특징이 있다.
접촉방지구(40)는 판형이며, 스페이서 본체(31)의 뒤쪽 면(지지대(30)의 반대쪽 면)이며 가이드홀(12)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쪽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평상시에는 스페이서 본체(31)의 뒤쪽 면에 붙은 상태이고 슬라이더(20)가 가이드홀(12)의 상부로 올라가는 경우 스페이서 본체(31)의 뒤쪽 면과 거의 직각 방향으로 회전 전환된다.
접촉방지구(40)의 회전 전환은 슬라이더(20)와 함께 승강하는 이탈방지판(37)의 승강과 연동한다. 이를 위하여 이탈방지판(37)에는 회전안내키(38)가 포함되고, 접촉방지구(40)에는 상하 종방향을 따라 곡선형의 레일(41)이 형성된다.
레일(41)은 저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스크류 형태의 곡선형으로 형성되면서 회전안내키(38)가 연결되어, 이탈방지판(37)이 상승할 때 스페이서 본체(31)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회전하고 이탈방지판(37)이 하강할 때 스페이서 본체(31)의 뒤쪽 면에 붙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접촉방지구(40)가 제1,2배선홀(13,14)의 상부쪽을 막고 있지만, 제1,2배전케이블(1,2)이 상부로 상승할 경우 회전하여 제1,2배선홀(13,14)을 막지 않게 된다.
한편, 이탈방지판(37)이 상승할 때 회전안내키(38)가 파손되지 않도록 회전안내키(38)는 단품으로 제작된 후 이탈방지판(37)의 좌우 양쪽에 각각 상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37-1)에 탄성부재(39)를 통해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안내키(38)는 탄성부재(39)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접촉방지구(40)의 레일(41)에 연결되어 있고, 레일(41)의 끝에 위치하는 경우 이탈방지판(37)이 더 상승하더라도 탄성부재(39)를 압축하면서 이탈방지판(37)의 상승을 막지 않고 접촉방지구(40)를 펼친 상태로 유지한다.
1,2 : 제1,2배전케이블,
10 : 스페이서, 11 : 스페서 본체
12 : 가이드홀, 13,14 : 제1,2배선홀
13-1,14-1 : 제1,2안착홈, 13-2,14-2 : 제1,2구속턱
20 : 슬라이더, 21 : 탄성부재
30 : 지지대, 31 : 고정봉
32,33 : 제1,2지지봉, 34 : 고정구
35 : 베어링, 36 : 탄성부재
37 : 이탈방지판, 38 : 회전안내키
39 : 탄성부재, 40 : 접촉방지구
41 : 레일,

Claims (4)

  1. 좌우 양쪽에 제1,2배전케이블(1,2)이 각각 관통 배선되는 스페이서(10)와;
    상기 스페이서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0)와;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면서 좌우 양쪽이 각각 상기 스페이서에 배선된 제1,2배전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30)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판형의 스페이서 본체(11),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중앙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홀(12),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좌우 양쪽에 상기 가이드홀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각각 격리 배선되는 제1,2배선홀(13,14)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배선홀은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중앙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제1,2안착홈(13-1,14-1)과 제1,2구속턱(13-2,14-2)이 교대로 반복하여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중앙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각각 지지되는 제1,2지지봉(32,33)을 포함하되, 상기 제1,2지지봉은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이 상기 제1,2배선홀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호 간에 간격이 변하더라도 지지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봉은 베어링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을 서로 다른 높이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승강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판(37), 상기 스페이서의 뒤쪽 면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의 접촉을 방지하는 접촉방지구(40)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방지구는 상기 이탈방지판의 승강과 연동하여 상기 이탈방지판이 상승할 때 상기 스페이서와 직각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이탈방지판이 하강할 때 상기 스페이서쪽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
  4. 삭제
KR1020220123675A 2022-09-28 2022-09-28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 KR102546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675A KR102546793B1 (ko) 2022-09-28 2022-09-28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675A KR102546793B1 (ko) 2022-09-28 2022-09-28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793B1 true KR102546793B1 (ko) 2023-06-22

Family

ID=8698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675A KR102546793B1 (ko) 2022-09-28 2022-09-28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7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84B1 (ko) * 2008-12-23 2009-05-27 (주)유진씨엔이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CN108631227A (zh) * 2018-04-27 2018-10-09 芜湖爱梦网络科技有限公司 电缆线束用的固定装置
KR101979416B1 (ko) 2018-07-31 2019-05-15 주식회사 광원 배전선로 스페이스 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84B1 (ko) * 2008-12-23 2009-05-27 (주)유진씨엔이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CN108631227A (zh) * 2018-04-27 2018-10-09 芜湖爱梦网络科技有限公司 电缆线束用的固定装置
KR101979416B1 (ko) 2018-07-31 2019-05-15 주식회사 광원 배전선로 스페이스 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952B2 (en) Cable management ring
KR101038975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곡선지지장치
KR101386253B1 (ko) 내진보강장치
KR101079244B1 (ko) 특고압 송배전선의 장력조절용 애자링커
KR102153719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KR102546793B1 (ko)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
KR100892595B1 (ko) 건축단지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지지대
US20160040446A1 (en) Aseismic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panel to a beam
KR102491958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US20110214949A1 (en) Stabilization devices
KR102491957B1 (ko) 충돌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간격 유지기구
US8618414B2 (en) Holding device for an overhead line and overhead line configuration
SE470414B (sv) Ventilavledaranordning
KR101092839B1 (ko) 추락방지 안전맨홀
KR100682530B1 (ko)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KR102042388B1 (ko) 설치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신주용 송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859753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전선 분리구 결합구조
KR20110076645A (ko) 아웃리거 접합 장치
KR101834449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148629B1 (ko) 충격흡수와 선택적으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100865074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CN112531599B (zh) 应用于电压电流线的防护装置
KR102063421B1 (ko)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0861132B1 (ko)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CN211252281U (zh) 一种柔性接触网承力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