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724B1 -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 - Google Patents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724B1
KR102546724B1 KR1020210058411A KR20210058411A KR102546724B1 KR 102546724 B1 KR102546724 B1 KR 102546724B1 KR 1020210058411 A KR1020210058411 A KR 1020210058411A KR 20210058411 A KR20210058411 A KR 20210058411A KR 102546724 B1 KR102546724 B1 KR 102546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isture
installation
vent
adhesiv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1321A (ko
Inventor
김범수
홍성한
이동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백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백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백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21005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2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신호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을 빛을 발산하는 복수의 조명 유닛들; 상기 조명 유닛들이 실장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기 설치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설치 공간으로 액체 상태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설치 공간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 외부로 상기 설치 공간의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방수 투습 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투습 벤트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는 벤트 설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설치 공간과 마주보는 투습 시트 유닛과,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상면에 안착되는 탄성 유닛과, 상기 탄성 유닛의 상면과 접촉되며 상기 벤트 설치부에 고정되는 벤트 커버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FLOOR TRAFFIC LIGHTING APPARATUS WITH WATERPROOF AND MOISTURE TRANSMITTING VENT PORTION}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신호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횡단보도의 도보 측에는,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을 위하여 멈춤 신호 및 횡단 신호를 표시하는 지주식 신호등 이외에, 바닥 신호등이 설치되는 사례가 있다.
바닥 신호등은 LED 와 같은 조명 유닛이 설치된 상면만 외부로 노출되며, 나머지 부분은 지면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조명 유닛은, 24시간 작동하고, 제품이 지면에 매립되는 특성상 내외부의 온도 차가 커지기 쉽다. 맑고 습도가 낮은 날씨에는 문제가 없지만, 대기 중의 습도가 높거나 일교차가 큰 경우 바닥 신호등의 미세한 틈 사이로 들어간 수증기가 내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결로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결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물이 생기면 내부 전자 부품에 누전, 합선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제품 고장뿐만 아니라 화재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835671호(2018.02.28)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수 및 투습 성능이 우수한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바닥 신호등 장치는,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을 통하여 빛을 발산하는 복수의 조명 유닛들; 상기 조명 유닛들이 실장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기 설치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설치 공간으로 액체 상태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설치 공간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 외부로 상기 설치 공간의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방수 투습 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투습 벤트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는 벤트 설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설치 공간과 마주보는 투습 시트 유닛과,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상면에 안착되는 탄성 유닛과, 상기 탄성 유닛의 상면과 접촉되며 상기 벤트 설치부에 고정되는 벤트 커버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벤트 설치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와 접하는 제1 설치홀과, 상기 제1 설치홀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설치홀과 연통되며 상기 설치 공간과 접하는 제2 설치홀과, 상기 제1 설치홀 및 상기 제1 설치홀의 직경 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설치 단자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설치홀은 상기 설치 단차면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은 상기 제1 설치홀과 같거나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설치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테두리는 상기 설치 단차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중앙은 상기 제2 설치홀을 통하여 상기 설치 공간과 마주보며, 상기 탄성 유닛에는 상기 제2 설치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 유닛의 외경은 상기 제1 설치홀과 같거나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벤트 커버 유닛에는, 상기 탄성 유닛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유닛의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복수의 투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은,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질의 멤브레인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유닛의 일면 및 이면은, 각각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상면 및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의 하면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상기 일면 및 상기 이면에는, 실리콘 양면테이프, 아크릴 양면테이프, 부틸 양면테이프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외면은 상기 제1 설치홀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은, 중앙에 복수의 상기 투습홀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설치홀보다 작으며 상기 제2 설치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은, 상기 탄성 유닛과 밀착되는 제1 유닛 몸체와, 상기 제1 유닛 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유닛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 몸체와 상기 제2 유닛 몸체 사이에는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의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접착제 유동홈이 배치되며, 상기 제2 유닛 몸체에는, 상기 제2 유닛 몸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유동홈의 일부가 상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복수의 접착제 주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주입홈들은, 상호 간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접착제 주입홈과 다른 하나의 상기 접착제 주입홈 사이에는 상기 제2 유닛 몸체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2 설치홀의 내면과 접촉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닛 몸체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는 복수의 고정 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 돌기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의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상기 접착제 주입홈과 대칭되며, 상기 접착제가 상기 접착제 주입홈에 주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제가 상기 접착제 유동홈을 통하여 완전하게 유동되면, 상기 제1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유닛 몸체와 상기 제1 설치홀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가 완전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일측 및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상기 일측과 마주보며 상기 일측과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중심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타측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중심과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테두리 사이의 길이의 1/8 내지 1/4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의 상하 방향 높이는,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두께에 대응되며, 상기 고정돌기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고정 돌기의 돌출 길이는 점진적으로 증가되며, 상기 고정 돌기의 측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함몰 깊이는,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수직 방향 단면 크기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수직 방향 단면 크기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함몰 깊이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습홀의 크기는, 상기 고정돌기의 평면 방향 단면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평면 방향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돌기는 적어도 3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설치홀의 관통 깊이는,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의 두께, 정상 상태의 상기 탄성 유닛의 두께 및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두께의 합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의 두께, 최대 수축 상태의 상기 탄성 유닛의 두께 및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두께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들과 상기 설치 공간을 측면에서 커버하는 한 쌍의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보다 작은 연장 길이를 가지며, 상기 벤트 설치부는 한 쌍의 상기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벤트 설치부는, 상기 제2 측면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방수 및 투습 성능이 우수한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의 방수 투습 벤트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방수 투습 벤트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방수 투습 벤트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도 4의 방수 투습 벤트부를 A-A 선도에 따라 절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방수 투습 벤트부의 일부를 확대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투습 벤트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방수 투습 벤트부의 일부를 확대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 장치(1)는, 횡단 보도의 도보측 지면에 설치되며, 초록색 또는 붉은색 광을 발광하는 조명 유닛들이 상면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바닥 신호등 장치(1)는 내외부 온도 차이에 의하여, 바닥 신호등 장치(1)의 내부에 습도가 높아지는 경우,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방수 투습 벤트부(100)를 포함한다. 이때, 방수 투습 벤트부(10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바닥 신호등 장치(1)의 내부로 액체 상태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바닥 신호등 장치(1)는, 내부에 설치 공간(218)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200)과, 본체 하우징(200)의 상면(211)을 통하여 발광되는 복수의 조명 유닛(미도시)들과, 상기 조명 유닛들이 실장되며 본체 하우징(200)의 설치 공간(218)에 배치되는 기판 유닛(미도시)과, 본체 하우징(200)의 측면(213)에 설치되며, 본체 하우징(200)의 외부에서 설치 공간(218)으로 액체 상태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설치 공간(218)에서 본체 하우징(200)의 외부로 설치 공간(218)의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방수 투습 벤트부(1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바닥 신호등 장치(1)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의 방수 투습 벤트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방수 투습 벤트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방수 투습 벤트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 및 6은, 도 4의 방수 투습 벤트부를 A-A 선도에 따라 절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4의 방수 투습 벤트부의 일부를 확대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체 하우징(200)은, 예시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 공간(218)이 폐쇄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측면(212)과, 제1 측면(212)과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측면(212)들과 설치 공간(218)을 측면에서 커버하는 한 쌍의 제2 측면(213)을 포함한다. 이때, 본체 하우징(200)은, 상면(211)과 마주보며 상면(211), 제1 측면(212) 및 제2 측면(213)들과 설치 공간(218)을 폐쇄하는 하면(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2 측면(213)은 제1 측면(212)보다 작은 연장 길이를 가진다.
한편, 상면(211)은 상면(211)의 하부, 즉 설치 공간(218)에 배치되는 상기 조명 유닛들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211)에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미끄럼 방지 돌기(2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끄럼 방지 돌기(220)는 상면(211)과 접하는 일측에서 상면(211)과 이격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상기 조명 유닛들이 설치 공간(218)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기판 및 상기 조명 유닛들의 작동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그리고, 한 쌍의 제2 측면(213) 중 어느 하나의 제2 측면(213)에는 방수 투습 벤트부(100)가 설치되는 벤트 설치부(230)가 관통 형성된다. 벤트 설치부(230)는, 제2 측면(213)의 상측에 형성되고 제2 측면(213)의 중심을 기준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벤트 설치부(230)는, 본체 하우징(200)의 제2 측면(213)에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벤트 설치부(230)는 본체 하우징(200)의 외부와 접하는 제1 설치홀(231)과, 제1 설치홀(231)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 설치홀(231)과 연통되고 설치 공간(218)과 접하는 제2 설치홀(233)과, 제1 설치홀(231) 및 제1 설치홀(231)의 직경 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설치 단자면(232)을 포함한다. 제2 설치홀(233)은 상기 설치 단차면(232)의 중앙에 배치된다. 즉, 벤트 설치부(230)는, 설치 단차면(232)이 본체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계단 형상으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방수 투습 벤트부(100)가 설치 단차면(232)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설치홀(231)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들은, 예시적으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으며, 하나의 색상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색상을 발광할 수 있는 발광유닛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유닛은, 상기 조명 유닛들이 실장되며, 예시적으로 상기 조명 유닛들이 기설정된 제1 색상(녹색) 또는 제2 색상(붉은색)을 발광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200)의 내부 설치 공간(218)과 외부(지면)과의 차이에 의하여, 설치 공간(218) 내부의 습도가 증가하여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기판 유닛 또는 상기 기판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미도시)이 상기 습기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신호등(1)의 방수 투습 벤트부(100)는 상기 지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본체 하우징(200)의 설치 공간(218)의 습기는 상기 지면 측으로 배출하며, 우천 등에 의하여 상기 지면으로부터 액체 상태의 물이 설치 공간(218)으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방수 투습 벤트부(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방수 투습 벤트부(100)는, 본체 하우징(200)의 벤트 설치부(230)에 배치되며, 설치 공간(218)과 마주보는 투습 시트 유닛(130)과, 투습 시트 유닛(130)의 상면에 안착되는 탄성 유닛(120)과, 탄성 유닛의 상면(120)과 접촉되며 벤트 설치부(230)에 고정되는 벤트 커버 유닛(110)을 포함한다.
투습 시트 유닛(130)은 예시적으로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질의 멤브레인 구조로 형성되어, 기체 상태의 습기는 투과될 수 있으며, 액체 상태의 물은 차단할 수 있다.
투습 시트 유닛(130)은 제1 설치홀(231)과 같거나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제2설치홀(233)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투습 시트 유닛(130)의 테두리는 설치 단차면(232)에 안착된다. 이때, 투습 시트 유닛(130)의 중앙은 제2 설치홀(233)을 통하여 설치 공간(218)과 마주본다. 예시적으로, 제2 설치홀(233)을 통하여 설치 공간(218)에 노출되는 투습 시트 유닛(130)의 면적은 투습 시트 유닛(130)의 전체 면적의 40 % 내지 80 %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성 유닛(120)은 예시적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벤트 커버 유닛(110)과 투습 시트 유닛(130) 사이에 밀착되며, 탄성 유닛(120)의 테두리는 제2 설치홀(231)에 밀착되어, 설치 공간(218) 외부의 습기가 투습 시트 유닛(130)을 거치지 않고, 벤트 커버 유닛(110)과 벤트 설치부(23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설치 공간(218)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탄성 유닛(120)에는 제2 설치홀(233)에 대응되는 크기의 관통홀(121)이 형성되며, 탄성 유닛(120)의 외경은 제1 설치홀(231)과 같거나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탄성 유닛(120)의 일면 및 이면은, 각각 투습 시트 유닛(130)의 상면 및 벤트 커버 유닛(110)의 하면에 접착 고정되고, 탄성 유닛(120)의 상기 일면 및 상기 이면에는 접착 테이프가 배치되며, 탄성 유닛(120)의 외주면은 제1 설치홀(231)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접착 테이프는 실리콘 양면테이프, 아크릴 양면테이프, 부틸 양면테이프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한편, 벤트 커버 유닛(110)은, 중앙에 투습홀(116)들이 배치되며 제1 설치홀(231)보다 작으며 제2 설치홀(233)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투습홀(116)들은, 벤트 커버 유닛(110)이 탄성 유닛(1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탄성 유닛의 관통홀(121)과 연통된다. 즉, 탄성 유닛(120)의 관통홀(121)의 크기는 모든 투습홀(116)들의 크기의 합보다 크게 형성된다.
벤트 커버 유닛(110)은, 예시적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탄성 유닛(120)과 밀착되는 제1 유닛 몸체(112)와, 제1 유닛 몸체(11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유닛 몸체(111)를 포함한다.
제1 유닛 몸체(111)와 제2 유닛 몸체(112) 사이에는 벤트 커버 유닛(110)의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접착제 유동홈(113)이 배치된다.
제2 유닛 몸체(112)에는 상기 제2 유닛 몸체(112)에 함몰 형성되고 접착제 유동홈(113)의 일부가 상면을 통하여 노출되며, 상호 간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접착제 주입홈(114)이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 주입홈(114)은 5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닛 몸체(111)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접착제 주입홈(114)의 일측(114a) 및 접착제 주입홈(114)의 일측(114a)과 마주보며 일측(114a)과 제2 유닛 몸체(111)의 중심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제 주입홈(114)의 타측 사이(114b)의 길이(d1)는, 제2 유닛 몸체(111)의 중심과 제2 유닛 몸체(111)의 테두리 사이의 길이(d2)의 1/8 내지 1/4로 형성된다. 따라서, 접착제 주입홈(114)에 벤트 커버 유닛(110)을 벤트 설치부(230)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접착제가 보다 원활하게 주입될 수 있다.
접착제 주입홈(114)의 함몰 깊이는, 제2 유닛 몸체(111)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제1 유닛 몸체(112)의 상면 일부가 접착제 주입홈(114)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 주입홈(114)의 수직 방향 단면 크기는, 접착제 주입홈(114)의 타측(114b)에서 타측(114a)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접착제 주입홈(114)의 평면 형상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어느 하나의 접착제 주입홈(114)과 다른 하나의 접착제 주입홈(114) 사이에는 제2 유닛 몸체(111)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제2 설치홀(231)의 내면과 접촉되는 고정 돌기(115)가 형성되며, 고정 돌기(115)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고정 돌기(115)는, 벤트 커버 유닛(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접착제 주입홈(114)이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115)의 상하 방향 높이(h1)는, 제2 유닛 몸체(111)의 두께에 대응되며, 고정돌기(115)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고정 돌기(115)의 돌출 길이는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그리고, 고정 돌기(115)의 측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벤트 설치부(230)에 대한 벤트 커버 유닛(110)의 삽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돌기(115)는 예시적으로 3개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고정 돌기(115)가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투습 벤트부(100)가, 바닥 신호등 장치(1)에 설치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바닥 신호등 장치(1)의 본체 하우징(200)에 형성된 벤트 설치부(230)에 방수 투습 벤트부(100)의 투습 시트 유닛(130)과, 탄성 유닛(120)과, 벤트 커버 유닛(110)을 순서대로 배치시킨다.
그 다음, 투습 시트 유닛(130)을, 설치 안착면(232)에 안착시킨 다음, 투습 시트 유닛(130)의 상면에 탄성 유닛(120)을 밀착시켜, 탄성 유닛(120)을 투습 시트 유닛(130)에 접착시킨다.
그 다음, 탄성 유닛(120)의 상면에 벤트 커버 유닛(110)을 안착시킨다. 보다 상세히, 벤트 커버 유닛(110)의 하면은 탄성 유닛(120)과 접착되며, 벤트 커버 유닛(110)의 고정 돌기(115)들은 제1 설치홀(231)의 외면에 밀착되어, 벤트 커버 유닛(110)이 제1 설치홀(23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체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제1 설치홀(231)의 관통 깊이는, 벤트 커버 유닛(110)의 두께, 정상 상태의 탄성 유닛(120)의 두께 및 투습 시트 유닛(130)의 두께의 합보다 작게 형성되며, 벤트 커버 유닛(110)의 두께, 최대 수축 상태의 탄성 유닛(120)의 두께 및 투습 시트 유닛(130)의 두께의 합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벤트 커버 유닛(110)의 상면이 본체 하우징(210)의 제2 측면(213)과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접착제를 벤트 커버 유닛(110)의 접착제 주입홈(114)에 공급하여, 접착제 주입홈(114)과 연통되는 접착제 유동홈(113) 측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가 접착제 유동홈(113)을 통하여 완전하게 유동되면, 제1 유닛 몸체(112) 및 제2 유닛 몸체(111)와 제1 설치홀(231)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가 완전하게 배치되어, 벤트 유닛 커버(110)의 테두리가 제1 설치홀(231)의 내면 사이가 완전하게 밀폐된 상태에서 벤트 유닛 커버(110)가 제1 설치홀(231)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투습홀(116)의 크기는, 고정돌기(115)의 평면 방향 단면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접착제 주입홈(114)의 평면 방향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방수 및 투습 성능이 우수한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를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투습 벤트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방수 투습 벤트부의 일부를 확대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방수 투습 벤트부의 접착제 주입홈(114)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방수 투습 벤트부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방수 투습 벤트부(100)의 접착제 주입홈(114)의 수직 방향 단면 크기는, 접착제 주입홈(114)의 일측(114a)에서 타측(114b)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며, 접착제 주입홈(114)의 함몰 깊이는, 접착제 주입홈(114)의 타측(114b)에서 일측(114a)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주입홈(114)은 평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타측(114b)에서 일측(114a)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접착제가 보다 원활하게 접착제 유동홈(113)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0)

  1.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을 통하여 빛을 발산하는 복수의 조명 유닛들;
    상기 조명 유닛들이 실장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기 설치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설치 공간으로 액체 상태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설치 공간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 외부로 상기 설치 공간의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방수 투습 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투습 벤트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는 벤트 설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설치 공간과 마주보는 투습 시트 유닛과,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상면에 안착되는 탄성 유닛과, 상기 탄성 유닛의 상면과 접촉되며 상기 벤트 설치부에 고정되는 벤트 커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벤트 설치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와 접하는 제1 설치홀과, 상기 제1 설치홀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설치홀과 연통되며 상기 설치 공간과 접하는 제2 설치홀과, 상기 제1 설치홀 및 상기 제1 설치홀의 직경 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설치 단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설치홀은 상기 설치 단차면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은 상기 제1 설치홀과 같거나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설치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테두리는 상기 설치 단차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중앙은 상기 제2 설치홀을 통하여 상기 설치 공간과 마주보며,
    상기 탄성 유닛에는 상기 제2 설치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 유닛의 외경은 상기 제1 설치홀과 같거나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벤트 커버 유닛에는, 상기 탄성 유닛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유닛의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복수의 투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신호등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은,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질의 멤브레인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유닛의 일면 및 이면은, 각각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상면 및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의 하면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상기 일면 및 상기 이면에는, 실리콘 양면테이프, 아크릴 양면테이프, 부틸 양면테이프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외면은 상기 제1 설치홀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신호등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은, 중앙에 복수의 상기 투습홀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설치홀보다 작으며 상기 제2 설치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은, 상기 탄성 유닛과 밀착되는 제1 유닛 몸체와, 상기 제1 유닛 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유닛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 몸체와 상기 제2 유닛 몸체 사이에는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의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접착제 유동홈이 배치되며,
    상기 제2 유닛 몸체에는, 상기 제2 유닛 몸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유동홈의 일부가 상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복수의 접착제 주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신호등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주입홈들은, 상호 간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접착제 주입홈과 다른 하나의 상기 접착제 주입홈 사이에는 상기 제2 유닛 몸체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2 설치홀의 내면과 접촉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닛 몸체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는 복수의 고정 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 돌기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의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상기 접착제 주입홈과 대칭되며,
    상기 접착제가 상기 접착제 주입홈에 주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제가 상기 접착제 유동홈을 통하여 완전하게 유동되면, 상기 제1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유닛 몸체와 상기 제1 설치홀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가 완전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신호등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일측 및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상기 일측과 마주보며 상기 일측과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중심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타측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중심과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테두리 사이의 길이의 1/8 내지 1/4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의 상하 방향 높이는,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두께에 대응되며,
    상기 고정돌기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고정 돌기의 돌출 길이는 점진적으로 증가되며, 상기 고정 돌기의 측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신호등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함몰 깊이는,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수직 방향 단면 크기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신호등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수직 방향 단면 크기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함몰 깊이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신호등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홀의 크기는, 상기 고정돌기의 평면 방향 단면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평면 방향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돌기는 적어도 3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신호등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설치홀의 관통 깊이는,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의 두께, 정상 상태의 상기 탄성 유닛의 두께 및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두께의 합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벤트 커버 유닛의 두께, 최대 수축 상태의 상기 탄성 유닛의 두께 및 상기 투습 시트 유닛의 두께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들과 상기 설치 공간을 측면에서 커버하는 한 쌍의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보다 작은 연장 길이를 가지며,
    상기 벤트 설치부는 한 쌍의 상기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벤트 설치부는, 상기 제2 측면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신호등 장치.


KR1020210058411A 2021-05-06 2021-05-06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 KR102546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411A KR102546724B1 (ko) 2021-05-06 2021-05-06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411A KR102546724B1 (ko) 2021-05-06 2021-05-06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321A KR20220151321A (ko) 2022-11-15
KR102546724B1 true KR102546724B1 (ko) 2023-06-23

Family

ID=8404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411A KR102546724B1 (ko) 2021-05-06 2021-05-06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043B1 (ko) 2023-08-01 2023-12-15 주식회사 에스티엘 바닥 신호등 및 그 조립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1773A (ja) 2012-03-14 2013-09-26 Omron Corp ファンユニット、および電気機器
KR101382455B1 (ko) 2011-11-02 2014-04-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장치
KR102149174B1 (ko) * 2020-03-10 2020-08-28 주식회사 퍼비스 엘이디 바닥 신호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207B1 (ko) * 2010-11-22 2013-07-01 우창산업(주) 벤트 캡 장치
KR20130031049A (ko) * 2011-09-20 2013-03-2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벤트 필터
KR101835671B1 (ko) 2017-11-10 2018-03-07 (주)경동하이테크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455B1 (ko) 2011-11-02 2014-04-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장치
JP2013191773A (ja) 2012-03-14 2013-09-26 Omron Corp ファンユニット、および電気機器
KR102149174B1 (ko) * 2020-03-10 2020-08-28 주식회사 퍼비스 엘이디 바닥 신호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043B1 (ko) 2023-08-01 2023-12-15 주식회사 에스티엘 바닥 신호등 및 그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321A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217B2 (en) LED lamp
AU2008317040B2 (en) Optic positioning device
KR102278415B1 (ko) 바닥형 보행 신호등
AU2007100196A4 (en) Heat dissipating LED signal lamp source structure
US20080037255A1 (en) Heat Dissipating LED Signal Lamp Source Structure
KR102546724B1 (ko)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
EP2944867A1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A2982750C (en) Luminaire housing
KR102334281B1 (ko)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273837B1 (ko) 바닥신호등
KR100909475B1 (ko) 분수용 수중 조명등기구
KR101823877B1 (ko) 발광 안전보도블록
JP3158706U (ja) 平板ブロックおよびマット構造体
JP2004137814A (ja) 点字ブロック型補助信号灯及び交通信号装置
US9915420B2 (en) Illuminating device with sealed optics
KR20230057180A (ko) 바닥 신호등
KR102140707B1 (ko) 방열수단을 구비한 led투광기
KR200416175Y1 (ko) 수중 조명등
CN206682721U (zh) 防水型灯座及植物生长灯
KR102601846B1 (ko) 돛배 유등
JP6188602B2 (ja) 照明モジュール
KR101637235B1 (ko) 방수 및 투습성을 갖는 엘이디등기구
KR20190061295A (ko) 매립형 유도등
KR102628238B1 (ko) 결빙방지 수단을 갖는 바닥신호등
CN209294838U (zh) 一种具有导光功能的户外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