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837B1 - 바닥신호등 - Google Patents

바닥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837B1
KR102273837B1 KR1020210056667A KR20210056667A KR102273837B1 KR 102273837 B1 KR102273837 B1 KR 102273837B1 KR 1020210056667 A KR1020210056667 A KR 1020210056667A KR 20210056667 A KR20210056667 A KR 20210056667A KR 102273837 B1 KR102273837 B1 KR 102273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airtight
convex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철
김영근
Original Assignee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Abstract

복수 개의 램프를 가진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을 덮는 투명커버; 상기 투명커버를 덮으면서 수용하는 투명케이스; 상기 투명케이스의 하부개구부에 삽입체결된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발광유닛과 하부커버 사이로 주입된 몰딩액이 경화된 몰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유닛은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커버에는 경사진 상기 발광유닛과 대응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투명커버의 상면에 기밀홈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케이스의 내면에 상기 기밀홈과 대응되는 기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밀홈의 내부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밀돌출부의 하면에 상기 제1 요철부와 대응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바닥신호등{FLOOR SIGNAL LIGHT}
본 발명은 바닥신호등으로서, 횡단보도에 인접한 보도나 횡단보도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는 차량이 다니는 도로를 안전하게 횡단하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로의 교차로 부위나 그 밖의 도로 횡단자가 많은 곳에 주로 마련된다.
횡단보도에는 주기적으로 멈춤 신호와 횡단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 신호등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고, 이러한 횡단보도 신호등은 지주를 통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설치된다.
그런데 횡단도보 신호등은 보행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치된 것이지만 고개를 들어야 신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예를 들어 고개를 숙이고 휴대폰을 사용하는 보행자가 신호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횡단보도 인근의 보도나 횡단보도 내의 바닥면에서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에 대한 기술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바닥신호등은 광이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고 보행자에게는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는 램프의 규정 경사각도를 취하지 않으며, 나아가 하중과 같은 외력에 의한 유격 발생 시 외부의 수분이 쉽게 침투되어 램프가 고장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2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램프가 규정 경사각도를 취하면서 방수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바닥신호등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은, 복수 개의 램프를 가진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을 덮는 투명커버; 상기 투명커버를 덮으면서 수용하는 투명케이스; 상기 투명케이스의 하부개구부에 삽입체결된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발광유닛과 하부커버 사이로 주입된 몰딩액이 경화된 몰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유닛은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커버에는 경사진 상기 발광유닛과 대응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투명커버의 상면에 기밀홈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케이스의 내면에 상기 기밀홈과 대응되는 기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밀홈의 내부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밀돌출부의 하면에 상기 제1 요철부와 대응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발광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램프와, 상기 복수 개의 상기 램프가 상부에 장착된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일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하부커버 상면의 일측부에 일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몰딩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기판과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커버는, 하면에 복수 개의 상기 램프가 삽입되는 램프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기판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판수용홈의 테두리에는 상기 기판의 테두리 하면이 걸림지지되도록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요철부의 돌출길이 또는 홈깊이는 상기 기밀홈의 깊이보다 수치가 적고, 상기 제2 요철부의 홈깊이 또는 돌출길이는 상기 기밀돌출부의 돌출길이보다 수치가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은, 본 발명은 발광유닛이 경사지게 배치되고, 하부커버에는 경사진 발광유닛과 대응되는 경사부가 구성됨으로써, 하부커버의 간섭을 피하면서 발광유닛의 기판이 규정 경사각도에 부합하는 경사각도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커버의 상면에 기밀홈이 구성되고 투명케이스의 내면에 기밀홈과 대응되는 기밀돌출부가 구성되며, 기밀홈의 내부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철부가 구성되고 기밀돌출부의 하면에 제1 요철부에 대응되는 제2 요철부가 구성됨으로써, 수분의 침투를 기밀홈과 기밀돌출부가 일차적으로 차단하고, 이에 더하여 제1 요철부과 제2 요철부가 추가로 이차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수분의 침투에 대한 차단을 더욱 더 확실하게 보장하는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바닥신호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B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바닥신호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은 발광유닛(100), 투명커버(200), 투명케이스(300), 하부커버(400), 및 몰딩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유닛(100)은 기판(120)에 램프(110)가 장착된 모듈로서, 광을 발하도록 구성되어 보행자에게 일정 신호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램프(110)는 LED램프가 활용될 수 있고, 나아가 광을 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종래의 어떠한 램프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투명커버(200)는 발광유닛(100)을 위에서 덮는 커버부재로서, 발광유닛(100)을 견고하면서도 안전하게 커버링하여 보호하면서도 발광유닛(100)으로부터 발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투명커버(200)는 발광유닛(100)을 커버함으로써 발광유닛(10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 발광유닛(100)과 후술되는 투명케이스(300) 사이의 공간을 채워줌으로써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축 팽창하는 내부 공기층을 최소화함에 따라, 유격 발생에 의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투명커버(200)는 발광유닛(100)의 광이 일정 정도 이상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임에 따라, 투명의 의미가 반투명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의미로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투명케이스(300)는 투명커버(200)를 덮으면서 수용하는 구조로서, 투명커버(200)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인 수용부(310)가 형성된다.
이러한 투명케이스(300)는 투명커버(200)와 마찬가지로 발광유닛(100)의 광이 일정 정도 이상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임에 따라, 투명의 의미가 반투명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의미로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400)는 투명케이스(300)의 하부개구부(310a)에 삽입체결된다.
투명케이스(300)는 수용부(310)의 입구로서 수용부(310)의 하부에 개방된 구조의 하부개구부(310a)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개구부(310a)는 수용부(310)의 하부 구조로서, 하부커버(40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이며, 이때 하부커버(400)는 투명케이스(300)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바닥신호등은 제조 시 상하 뒤집은 상태로 구성요소들이 적층되면서 제조되며, 마지막으로 몰딩재가 주입경화되어 몰딩부(500)가 형성됨으로써 제조완료된다. 즉, 투명케이스(300), 투명커버(200), 발광유닛(100), 하부커버(400)가 상하 뒤집은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음, 몰딩재가 주입경화되어 몰딩부(50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몰딩부(500)는 하부커버(400)에 형성된 구멍(400a)을 통해 발광유닛(100)과 하부커버(400) 사이로 주입된 몰딩액이 경화된 부분이다.
이때 몰딩액은 에폭시, 우레탄, 열가소성 플라스틱 폴리머 등과 같이 열에 의해 용융되어 빈 공간에 용이하게 채워진 후 굳어질 수 있는 물질이라면, 종래의 어떠한 물질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닥신호등은, 인도 측에 서 있는 보행자가 신호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발광유닛(100)이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며, 나아가 발광유닛(100)에 수분의 침투를 막도록 방수구조가 구성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B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발광유닛(100)은 복수 개의 램프(110)와 기판(120)을 포함한다.
즉, 발광유닛(100)은 복수 개의 램프(110)와, 복수 개의 램프(110)가 상부에 장착된 하나의 기판(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판(120)이 복수 개가 아닌 한 개로서 복수 개로 이루어진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투명커버(200)에 조립 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작업부하도 낮출 수 있으며, 나아가 제조 시에도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발광유닛(100)이 경사지게 배치되고, 하부커버(400)에는 경사진 발광유닛(100)과 대응되는 경사부(도 3 및 도 5의 410)가 형성될 수 있다.
램프(110)에 발하는 광이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고 보행자에게는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차도가 아닌 인도 측을 향하도록 기판(120)은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바닥신호등 기술분야에서의 규정 경사각도인 10도에 부합하는 경사각도를 이룬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기판(120)은 상측에 배치되는 하부커버(400)에 의해 간섭될 수 있는데, 하부커버(400)에 의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하부커버(400)에는 경사진 발광유닛(100)과 대응되는 경사부(4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판(120)은 일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아울러, 상기 경사부(410)는 하부커버(400) 상면의 일측부에 일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경사부(410)는 방수를 위해 기판(120)과의 사이에 몰딩부(500)가 적정 두께로 배치되도록 기판(120)과 적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투명커버(200)는 하면에 복수 개의 램프(110)가 삽입되는 램프수용홈(210)이 형성되고, 기판(120)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기판수용홈(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판수용홈(220)의 테두리에는 기판(120)의 테두리 하면이 걸림지지되도록 돌출된 걸림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230)는 투명커버(200)에 대한 기판(120)의 조립을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으며, 나아가 기판(120)과 걸림부(230)의 밀착부분에 의해 수분이 발광유닛(100)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분의 침투를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투명커버(200)의 상면에는 기밀홈(240)이 형성되고, 투명케이스(300)의 내면에는 기밀홈(240)과 대응되도록 기밀돌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밀홈(240)에는 기밀돌출부(320)가 삽입되는데, 이러한 기밀홈(240)은 내부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철부(24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돌출부(320)는 하면에 제1 요철부(240a)에 삽입되는 제2 요철부(3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홈(240)에는 제1 요철부(240a)로서 요철돌기가 형성되고, 기밀돌출부(320)에는 제2 요철부(320a)로서 요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케이스(300)에 투명커버(200)가 조립 시 투명케이스(300)의 기밀홈(240)에 투명커버(200)의 기밀돌출부(320)가 삽입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서 일차적인 방수구조가 이루어지고, 이에 더하여 기밀홈(240)의 제1 요철부(240a)와 기밀돌출부(320)의 제2 요철부(320a)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구조로서 이차적인 방수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신호등은 배치구조 상 바닥에 설치됨으로써 보행자에 의해 계속적으로 하중을 받음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부품들에는 크랙 또는 유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크랙 또는 유격을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기밀홈(240)과 기밀돌출부(320)가 일차적으로 차단하고, 이에 더하여 기밀홈(240)의 제1 요철부(240a)와 기밀돌출부(320)의 제2 요철부(320a)가 추가로 이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수분의 침투에 대한 차단을 더욱 더 확실하게 보장하는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기밀홈(240)에서 제1 요철부(240a)는 적어도 하나, 즉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되게 기밀돌출부(320)에서 제2 요철부(320a)도 적어도 하나, 즉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이차적으로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방수구조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요철부(240a)의 돌출길이 또는 홈깊이는 기밀홈(240)의 깊이보다 수치가 적고, 제2 요철부(320a)의 홈깊이 또는 돌출길이는 기밀돌출부(320)의 돌출길이보다 수치가 적다.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철부(240a)인 요철돌기의 돌출길이는 기밀홈(240)의 깊이보다 수치가 적고, 제2 요철부(320a)인 요철홈의 홈깊이는 기밀돌출부(320)의 돌출길이보다 수치가 적다.
이에 따라 제1 요철부(240a)가 형성된 기밀홈(240)과 제2 요철부(320a)가 형성된 기밀돌출부(320)의 내구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상술된 구체적인 구조에 의하여, 외력에 의해 충격을 받는 경우 기밀홈(240)과 기밀돌출부(320)에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발광유닛(100)이 경사지게 배치되고, 하부커버(400)에는 경사진 발광유닛(100)과 대응되는 경사부(410)가 구성됨으로써, 하부커버(400)의 간섭을 피하면서 발광유닛(100)의 기판(120)이 규정 경사각도에 부합하는 경사각도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커버(200)의 상면에 기밀홈(240)이 구성되고 투명케이스(300)의 내면에 기밀홈(240)과 대응되는 기밀돌출부(320)가 구성되며, 기밀홈의 내부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철부(240a)가 구성되고 기밀돌출부(320)의 하면에 제1 요철부(240a)와 대응되는 제2 요철부(320a)가 구성됨으로써, 수분의 침투를 기밀홈(240)과 기밀돌출부(320)가 일차적으로 차단하고, 이에 더하여 제1 요철부(240a)과 제2 요철부(320a)가 추가로 이차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수분의 침투에 대한 차단을 더욱 더 확실하게 보장하는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발광유닛 110 : 램프
120 : 기판 200 : 투명커버
210 : 램프수용홈 220 : 기판수용홈
230 : 걸림부 240 : 기밀홈
240a : 제1 요철부 300 : 투명케이스
310 : 수용부 310a : 하부개구부
320 : 기밀돌출부 320a : 제2 요철부
400 : 하부커버 400a : 구멍
410 : 경사부

Claims (4)

  1. 복수 개의 램프를 가진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을 덮는 투명커버;
    상기 투명커버를 덮으면서 수용하는 투명케이스;
    상기 투명케이스의 하부개구부에 삽입체결된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발광유닛과 하부커버 사이로 주입된 몰딩액이 경화된 몰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유닛은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커버에는 경사진 상기 발광유닛과 대응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투명커버의 상면에 기밀홈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케이스의 내면에 상기 기밀홈과 대응되는 기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밀홈의 내부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밀돌출부의 하면에 상기 제1 요철부와 대응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신호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램프와, 상기 복수 개의 상기 램프가 상부에 장착된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일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하부커버 상면의 일측부에 일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몰딩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기판과 이격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신호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는,
    하면에 복수 개의 상기 램프가 삽입되는 램프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기판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판수용홈의 테두리에는 상기 기판의 테두리 하면이 걸림지지되도록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신호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의 돌출길이 또는 홈깊이는 상기 기밀홈의 깊이보다 수치가 적고,
    상기 제2 요철부의 홈깊이 또는 돌출길이는 상기 기밀돌출부의 돌출길이보다 수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신호등.
KR1020210056667A 2021-04-30 2021-04-30 바닥신호등 KR102273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667A KR102273837B1 (ko) 2021-04-30 2021-04-30 바닥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667A KR102273837B1 (ko) 2021-04-30 2021-04-30 바닥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837B1 true KR102273837B1 (ko) 2021-07-06

Family

ID=7686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667A KR102273837B1 (ko) 2021-04-30 2021-04-30 바닥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8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538B1 (ko) 2021-09-01 2021-12-23 박장우 발광 인지율을 개선한 바닥신호등
KR102355440B1 (ko) * 2021-08-24 2022-02-08 주식회사 더오성 친환경 소재를 갖는 엘이디 바닥신호등
KR102404196B1 (ko) 2021-12-14 2022-06-02 우리들행복일자리 사회적협동조합 환경친화적 바닥신호등
KR102536136B1 (ko) 2022-11-15 2023-05-26 (주)명성라이픽스 방수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239A (ko) 2008-02-04 2009-08-07 장익식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20200040635A (ko) * 2018-10-10 2020-04-20 양승웅 횡단보도에 형성되는 바닥 신호등
KR102132003B1 (ko) * 2020-04-28 2020-07-09 주식회사 명신전자 바닥신호등
KR102246358B1 (ko) * 2020-09-28 2021-04-29 엘컴텍 주식회사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239A (ko) 2008-02-04 2009-08-07 장익식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20200040635A (ko) * 2018-10-10 2020-04-20 양승웅 횡단보도에 형성되는 바닥 신호등
KR102132003B1 (ko) * 2020-04-28 2020-07-09 주식회사 명신전자 바닥신호등
KR102246358B1 (ko) * 2020-09-28 2021-04-29 엘컴텍 주식회사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440B1 (ko) * 2021-08-24 2022-02-08 주식회사 더오성 친환경 소재를 갖는 엘이디 바닥신호등
KR102342538B1 (ko) 2021-09-01 2021-12-23 박장우 발광 인지율을 개선한 바닥신호등
KR102404196B1 (ko) 2021-12-14 2022-06-02 우리들행복일자리 사회적협동조합 환경친화적 바닥신호등
KR102536136B1 (ko) 2022-11-15 2023-05-26 (주)명성라이픽스 방수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837B1 (ko) 바닥신호등
KR102061027B1 (ko)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102132003B1 (ko) 바닥신호등
KR102317117B1 (ko) 방수 엘이디 바닥신호등
KR101905794B1 (ko)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KR102303036B1 (ko) 광 굴절 구조를 갖는 바닥 신호등
KR102342538B1 (ko) 발광 인지율을 개선한 바닥신호등
KR102133975B1 (ko) Led를 이용한 지면 매립 신호등
KR101930933B1 (ko) 매립형 태양광 엘이디 도로 표지병
KR102324262B1 (ko) 매립식 도로 표지병
KR102269189B1 (ko) 우수한 기밀성을 갖는 led 바닥 신호등
KR20210067428A (ko) 횡단보도신호등 연동형 바닥신호등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15565B1 (ko) 횡단보도에 형성되는 바닥 신호등
KR20230174135A (ko) 도로 표지병
KR102143921B1 (ko) 사출성형 기반 바닥신호등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0209B1 (ko) 방수 기능이 강화된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KR200492413Y1 (ko) 도로 표지병
JP3634602B2 (ja) 自発光式道路鋲
KR20210150062A (ko) 바닥 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61296A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매립형 유도등
KR102568531B1 (ko) 무진동원리가 적용된 바닥신호등
KR102546724B1 (ko) 방수 투습 벤트부가 적용된 바닥 신호등 장치
KR102310210B1 (ko) 시공성이 향상된 바닥형 보행 신호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