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358B1 -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 Google Patents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358B1
KR102246358B1 KR1020200125626A KR20200125626A KR102246358B1 KR 102246358 B1 KR102246358 B1 KR 102246358B1 KR 1020200125626 A KR1020200125626 A KR 1020200125626A KR 20200125626 A KR20200125626 A KR 20200125626A KR 102246358 B1 KR102246358 B1 KR 10224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ox
waterproof
enclosure
protrusion
waterproof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박동훈
김동한
오용희
Original Assignee
엘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5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방향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LED모듈, 하부면, 측면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 위치하는 내함홈부를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LED모듈을 수용하는 하부내함, 상기 하부내함의 상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에 의해 상기 하부내함과 결합되는 상부내함, 하부면, 측면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 위치하는 외함홈부를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하부내함을 수용하는 하부외함, 상기 하부외함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내함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에 의해 상기 하부외함과 결합되는 상부외함, 상기 내함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내함과 상기 하부내함을 밀봉하는 제1 방수부재 및 상기 외함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외함과 상기 하부외함을 밀봉하는 제2 방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부재는 상기 제2 방수부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Floor traffic lights with waterproof function}
본 발명은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ED모듈을 수용하는 내함과 내함을 수용하는 외함을 구비하고 외함에 물 등의 외부유입물이 침투하여도 내함 안으로 물 등의 외부유입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횡단보도 대기선 바닥에 보행신호를 점등하여 보행자에게 추가적인 신호정보를 제공하여, 보행 편의와 교통사고 방지에 기여하는 바닥신호등이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다수의 보행자들이 횡단보도를 횡단할 때 전방을 주시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보고 있기 때문에 보행자들의 시선은 지면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그래서 지면에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되는 바닥신호등을 설치하여 보행자들에게 횡단보도의 신호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닥신호등은 일반적으로 주로 횡단보도 연석과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측면과 하부면은 보도에 매설된다. 그리고 바닥신호등 내부에는 물 등의 외부유입물에 취약한 전자장비들이 다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강우 등 기상환경 변화에 의해서 바닥신호등 내부로 물 등의 외부유입물이 침투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어 내부의 전자장비들이 물 등의 외부유입물에 의해 훼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5671호(공개일자: 2018년 3월 7일, 발명의 명칭: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방수기능을 갖는 내함과 외함을 구비하여 물 등의 외부유입물로부터 내부의 전자장비의 훼손을 방지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방향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LED모듈, 하부면, 측면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 위치하는 내함홈부를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LED모듈을 수용하는 하부내함, 상기 하부내함의 상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에 의해 상기 하부내함과 결합되는 상부내함, 하부면, 측면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 위치하는 외함홈부를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하부내함을 수용하는 하부외함, 상기 하부외함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내함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에 의해 상기 하부외함과 결합되는 상부외함, 상기 내함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내함과 상기 하부내함을 밀봉하는 제1 방수부재, 및 상기 외함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외함과 상기 하부외함을 밀봉하는 제2 방수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부재는 상기 제2 방수부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은,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방수부재를 관통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은, 상기 제1 방수부재는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방수돌기를 포함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은, 상기 제1 방수부재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돌기는 상기 내측 돌출부 부분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내측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 절곡부의 외측에서 상기 내측 돌출부를 관통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은, 상기 방수돌기는 제1 방수돌기 및 상기 제1 방수돌기를 둘러싸는 제2 방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방수돌기 및 제2 방수돌기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방수돌기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수돌기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은, 상기 외측 제1 결합부는 상기 하부내함의 길이방향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 제1 결합부는 하부내함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은, 상기 제2 방수부재는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방수돌기를 포함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은, 상기 제2 방수부재는 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에 대응하는 제2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홈부는 내부에 상기 제2 결합부를 수용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은, 상기 하부내함은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내함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부내함과 상기 하부외함은 상기 상기 내함지지부에 의해 이격되어 위치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은, 상기 하부외함은 하부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요철부(凹凸部)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함지지부는 상기 요철부(凹凸部) 중 요부(凹部)에 수용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은 외부의 물 등의 외부유입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의 전자장비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에서 상부외함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내함과 하부내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내함의 내함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의 길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방수기재 및 제2 방수기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외함 및 하부외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의 폭방향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1)은 LED모듈(100), 하부내함(200), 상부내함(300), 하부외함(400), 상부외함(500), 제1 방수부재(600) 및 제2 방수부재(7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LED모듈(100)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방향으로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LED모듈(100)은 복수개의 LED(Light-Emitting Diode)소자를 포함하며,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하여 적색광과 녹색광이 점등 또는 점멸하도록 제어된다. 즉, 횡단보도의 신호등이 적색인 경우에는 적색광을 발생시키며, 녹색인 경우에는 녹색광을 발생시킨다. 보행자는 LED모듈(100)이 발생시킨 빛의 종류를 구분하여 횡단보도의 진행신호와 정지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내함(200)은 하부면, 측면, 측면의 상단에 위치하는 내함홈부(210) 및 내함지지부(220)를 구비한다. 또한,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내부에 LED모듈(100)을 수용할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하부면과 측면을 갖는 장방형의 개방된 블록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안쪽에 LED모듈(100)이 실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내함홈부(210)는 하부내함(200)의 측면 상단에 위치하며 하부방향으로 파인 형태로 홈을 형성한다. 내함홈부(210)에는 제1 방수부재(600)가 끼움결합하게 되는데 상세한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함지지부(220)는 하부내함(200)의 하단에 위치하고 하부내함(200)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를 갖는다. 하부내함(200)의 하부면은 내함지지부(220)에 의해서 하부외함(400)의 상부면과 이격된다. 이렇게 하부내함(200)과 하부외함(400)이 상호 이격됨에 따라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하부외함(400)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물 등의 외부 유입물이 중력에 의해 한데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를 통해서 물 등의 외부 유입물이 하부외함(400) 내부로 침투하더라도 하부내함(200) 내부를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부내함(300)은 하부내함(2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부내함(300)은 상부가 개방된 하부내함(200)을 덮어 상부내함(300)과 하부내함(200)이 일체로서 하나의 블록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부내함(30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800)에 의해 하부내함(200)과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1 결합부(800)가 나사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내함(300)과 하부내함(200)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1 결합부(800)는 하부내함(200)의 길이방향의 측면에 결합되는 외측 제1 결합부(820) 및 하부내함(200)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내측 제1 결합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제1 결합부(820) 및 내측 제1 결합부(810)는 제1 방수부재(6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데 이의 상세한 결합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제1 방수부재(600)는 상부로 돌출되는 내함방수돌기(610) 및 내측 돌출부(620)를 포함한다. 제1 방수부재(600)는 하부내함(200)의 내함홈부(2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방수부재(600)는 전체적으로 폐루프를 형성하는 장방형의 띠 형태를 가지며, 실리콘수지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방수부재(600)는 신축성 및 탄력성을 가지며, 내함홈부(210)에 빈틈없이 끼움결합하게 된다. 제1 방수부재(600)는 상부내함(300)과 하부내함(200)이 제1 결합부(800)에 의해 결합될 때 상부내함(300)과 하부내함(200) 사이를 밀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상부내함(300) 및 하부내함(200)으로 침투하는 물 등의 외부유입물을 차단하여 방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방수부재(600)는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내함방수돌기(61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돌기는 제1 방수부재(600)와 유사하게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폐루프 형상을 가지며, 제1 방수부재(600)의 상단을 따라서 상부로 돌출되며, 신축성 및 탄력성을 가져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제1 방수부재(600)가 상부내함(300)과 맞닿을 때 물 등의 외부유입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방수부재(600)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620)를 포함할 수 있고, 방수돌기는 내측 돌출부(620) 부분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내측 절곡부(6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내측 절곡부(611)가 제1 방수부재(600)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되는 이유는 제1 결합부(800)가 내측 절곡부(611)의 외측에서 내측 돌출부(620)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고 내측 절곡부(611)의 외측에 제1 결합부(800)가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형상을 통해서 제1 결합부(800)가 상부내함(300)과 하부내함(200)을 밀착하도록 결합하면서도 물 등의 외부유입물이 내측으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내함방수돌기(610)는 제1 내함방수돌기(612) 및 제1 내함방수돌기(612)를 둘러싸는 제2 내함방수돌기(6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함방수돌기(612)와 제2 내함방수돌기(613) 모두 제1 방수부재(600)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800)는 외측 제1 결합부(820)와 내측 제1 결합부(8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외측 제1 결합부(820)는 제1 내함방수돌기(612) 및 제2 내함방수돌기(613)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내측 제1 결합부(810)는 제1 내함방수돌기(612)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제2 내함방수돌기(613)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외측 제1 결합부(820)는 내함방수돌기(61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나 내측 제1 결합부(810)는 제1 내함방수돌기(612)와 제2 내함방수돌기(613)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제1 결합부(800)가 상부내함(300) 또는 하부내함(200)과 사이에 형성할 수 있는 미세한 틈을 통해서 침투할 수 있는 물 등의 외부유입물을 차단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내측 제1 결합부(810)가 제1 내함방수돌기(612)와 제2 내함방수돌기(613)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외측 제1 결합부(820)의 경우 내함방수돌기(610)가 외측 제1 결합부(820)를 기준으로 일측 길이방향과 타측 길이방향이 서로 일직선으로 형성되므로 상부내함(300)이 하부내함(200)과 결합될 때 유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즉, 내측 절곡부(611)에 의해 내함방수돌기(610)가 내측으로 절곡되더라도 상부내함(300)과 상부외함(500)이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접촉되는 면의 거의 대부분이 내함방수돌기(610)에 의해서 밀봉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모서리 부분에 접촉면은 이와 다르다. 만일 제1 방수돌기와 제2 방수돌기가 내측 제1 결합부(810)의 내측에 모두 위치하게 된다면 상부내함(300)과 하부내함(200)의 결합시에 해당 모서리 부분에 유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는 폭 방향과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이다. 이렇게 틈이 발생하게 되면 그 틈을 통해서 물 등의 외부유입물이 침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내함(300)과 하부내함(200)의 모서리 부분의 결합부위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측 제1 결합부(81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제1 방수돌기와 제2 방수돌기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외함(400)은 하부면, 측면 및 측면의 상단에 위치하는 외함홈부(410) 및 요철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하부내함(200)을 수용할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하부면과 측면을 갖는 장방형의 개방된 블록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안쪽에 하부내함(200)을 수용할 수 있다.
외함홈부(410)는 하부외함(400)의 측면 상단에 위치하며 하부방향으로 파인 형태로 홈을 형성한다. 외함홈부(410)에는 제2 방수부재(700)가 끼움결합하게 되는데 상세한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요철부(凹凸部)(420)는 하부외함(400)의 하부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凹凸部)(420)를 통해서 하부내함(200)의 내함지지부(220)는 요철부(凹凸部)(420)의 요부(凹部)에 수용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부외함(500)은 하부외함(4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부외함(500)은 상부가 개방된 하부외함(400)을 덮어 상부외함(500)과 하부외함(400)이 일체로서 하나의 블록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부외함(5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900)에 의해 하부외함(400)과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제2 결합부(900)가 나사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외함(500)과 하부외함(400)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방수부재(700)는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외함방수돌기(720) 및 측면에 형성되는 제2 홈부(710)를 포함한다.
제2 방수부재(700)는 하부외함(400)의 외함홈부(4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방수부재(700)는 전체적으로 폐루프를 형성하는 장방형의 띠 형태를 가지며, 실리콘수지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방수부재(700)는 신축성 및 탄력성을 가지며, 외함홈부(410)에 빈틈없이 끼움결합하게 된다. 제2 방수부재(700)는 상부외함(500)과 하부외함(400)이 제2 결합부(900)에 의해 결합될 때 상부외함(500)과 하부외함(400) 사이를 밀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상부외함(500) 및 하부외함(400)으로 침투하는 물 등의 외부유입물을 차단하여 방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홈부(710)는 제2 방수부재(700)의 측면에서 제2 결합부(900)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제2 홈부(710)는 내부에 제2 결합부(900)를 수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방수부재(600)와 제2 방수부재(700)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다. 이때 제1 방수부재(600)는 제2 방수부재(700)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제1 방수부재(600)가 제2 방수부재(700)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게 되면 위치가 동일하거나 그와 반대되는 경우보다 더 효과적인 방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외함(500)과 하부외함(400)의 경계로 물 등의 외부유입물이 침투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침투된 물 등의 외부유입물은 중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흘러 모이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1)이 하부 방향이 지면을 향하게 설치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모인 물 등의 외부유입물은 제1 방수부재(600)의 높이까지 차오르지 않는 이상 하부내함(200)의 내부로 침투될 가능성이 적다. 또한, 물 등의 외부유입물이 제2 방수부재(700)를 통과한 직후라 하더라도 제1 방수부재(600)가 제2 방수부재(700)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물 등의 외부유입물이 중력을 거슬러 제1 방수부재(600)까지 도달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렇게 제1 방수부재(600)와 제2 방수부재(700)의 높이차를 이용해서 본 발명의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1)은 더욱 향상된 방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100: LED모듈
200: 하부내함
210: 내함홈부
220: 내함지지부
300: 상부내함
400: 하부외함
410: 외함홈부
420: 요철부(凹凸部)
500: 상부외함
600: 제1 방수부재
610: 내함방수돌기
611: 내측 절곡부
612: 제1 내함방수돌기
613: 제2 내함방수돌기
620: 내측 돌출부
700: 제2 방수부재
710: 제2 홈부
720: 외함방수돌기
800: 제1 결합부
810: 외측 제1 결합부
820: 내측 제1 결합부
900: 제2 결합부

Claims (10)

  1.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방향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LED모듈;
    하부면, 측면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 위치하는 내함홈부를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LED모듈을 수용하는 하부내함;
    상기 하부내함의 상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에 의해 상기 하부내함과 결합되는 상부내함;
    하부면, 측면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 위치하는 외함홈부를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하부내함을 수용하는 하부외함;
    상기 하부외함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내함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에 의해 상기 하부외함과 결합되는 상부외함;
    상기 내함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내함과 상기 하부내함을 밀봉하는 제1 방수부재; 및
    상기 외함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외함과 상기 하부외함을 밀봉하는 제2 방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부재는 상기 제2 방수부재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내함은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내함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부내함과 상기 하부외함은 상기 내함지지부에 의해 이격되어 위치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방수부재를 관통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부재는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방수돌기를 포함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부재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돌기는 상기 내측 돌출부 부분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내측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 절곡부의 외측에서 상기 내측 돌출부를 관통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돌기는 제1 방수돌기 및 상기 제1 방수돌기를 둘러싸는 제2 방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방수돌기 및 제2 방수돌기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방수돌기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수돌기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제1 결합부는 상기 하부내함의 길이방향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 제1 결합부는 하부내함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수부재는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방수돌기를 포함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수부재는 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에 대응하는 제2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홈부는 내부에 상기 제2 결합부를 수용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외함은 하부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요철부(凹凸部)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함지지부는 상기 요철부(凹凸部) 중 요부(凹部)에 수용되는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KR1020200125626A 2020-09-28 2020-09-28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KR10224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626A KR102246358B1 (ko) 2020-09-28 2020-09-28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626A KR102246358B1 (ko) 2020-09-28 2020-09-28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358B1 true KR102246358B1 (ko) 2021-04-29

Family

ID=7572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626A KR102246358B1 (ko) 2020-09-28 2020-09-28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37B1 (ko) * 2021-04-30 2021-07-06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바닥신호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671B1 (ko) 2017-11-10 2018-03-07 (주)경동하이테크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KR102032809B1 (ko) * 2019-08-09 2019-10-17 굿아이텍주식회사 바닥신호등
KR102015022B1 (ko) * 2019-05-09 2019-10-23 이재경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061027B1 (ko) * 2019-08-05 2020-02-17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40635A (ko) * 2018-10-10 2020-04-20 양승웅 횡단보도에 형성되는 바닥 신호등
KR102108789B1 (ko) * 2019-12-11 2020-05-11 곽재호 시인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면발광 바닥 신호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671B1 (ko) 2017-11-10 2018-03-07 (주)경동하이테크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KR20200040635A (ko) * 2018-10-10 2020-04-20 양승웅 횡단보도에 형성되는 바닥 신호등
KR102015022B1 (ko) * 2019-05-09 2019-10-23 이재경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061027B1 (ko) * 2019-08-05 2020-02-17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102032809B1 (ko) * 2019-08-09 2019-10-17 굿아이텍주식회사 바닥신호등
KR102108789B1 (ko) * 2019-12-11 2020-05-11 곽재호 시인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면발광 바닥 신호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37B1 (ko) * 2021-04-30 2021-07-06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바닥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027B1 (ko)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101968879B1 (ko) Led 바닥형 보행신호 보조장치
KR102246358B1 (ko)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KR102291900B1 (ko) 횡단보도신호등 연동형 바닥신호등
KR101865706B1 (ko) 발광형 보도블럭
KR101182962B1 (ko) 감시 카메라
KR100849198B1 (ko) 도로경계석용 연결구
KR20200040635A (ko) 횡단보도에 형성되는 바닥 신호등
KR102317117B1 (ko) 방수 엘이디 바닥신호등
WO2019091123A1 (zh) 一种光缆分线盒
KR102118912B1 (ko) 횡단보도의 정지선에 매립되는 보행보조기능과 내부 열기를 외부로 방출할수 있는 방열기능을 갖는 보행신호등
KR102315565B1 (ko) 횡단보도에 형성되는 바닥 신호등
KR102269189B1 (ko) 우수한 기밀성을 갖는 led 바닥 신호등
KR101203711B1 (ko) 차선 표시블록
KR100528613B1 (ko) 역류를 방지하는 하수관의 역류방지 구조
KR102344713B1 (ko) 정전기 차단 및 간접 조명 기능을 갖는 조경용 데크
TWM592980U (zh) 顯示裝置及框架組件
JP2009155928A (ja) 雨水排水機能を有する歩車道境界部構造物
KR0121631Y1 (ko) 지중선 보호판
KR102536136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KR102260590B1 (ko)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 모듈 패키지
JP6920640B2 (ja) 照明器具
CN215872276U (zh) 一种可用于闸机刷卡处的防水结构
KR20180005819A (ko) 경계석 부착용 안전 유도 표지판
JP2018179769A (ja) 電力量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