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022B1 - 엘이디 바닥 신호등 - Google Patents

엘이디 바닥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022B1
KR102015022B1 KR1020190054395A KR20190054395A KR102015022B1 KR 102015022 B1 KR102015022 B1 KR 102015022B1 KR 1020190054395 A KR1020190054395 A KR 1020190054395A KR 20190054395 A KR20190054395 A KR 20190054395A KR 102015022 B1 KR102015022 B1 KR 102015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ed
pedestrian
lower case
l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이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경 filed Critical 이재경
Priority to KR102019005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이디 바닥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져 보도와 도로를 경계하는 경계석의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LED패널에 형성된 회로패턴의 부식으로 단선 또는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수밀패킹과; 케이스 내측의 공간을 구획하여 개별적인 방열 및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의 내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LED패널과; 외부 또는 내부 공기의 이동이 차단되게 구성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LED패널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 열이 포함되는 공기를 이동에 의해 팽창되게 하부케이스의 저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팽창부재와; 팽창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하부케이스이 저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저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고개를 숙인체 스마트폰을 보면서 보행을 하는 보행자의 경우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횡단보도에서 사고가 빈번에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단보도 대기선 바닥에 보행신호를 점등하여 보행자에게 추가적인 신호정보를 제공하므로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이디 바닥 신호등{LED signal light installed on the ground}
본 발명은 엘이디(LED) 바닥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폰을 보면서 보행을 하는 보행자의 경우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횡단보도에서 사고가 빈번에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단보도 대기선 바닥에 보행신호를 점등하여 보행자에게 추가적인 신호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엘이디 바닥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는 차량이 다니는 도로를 안전하게 횡단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로의 교차로 부위나 그밖의 도로 횡단자가 많은 곳에 주로 마련된다.
횡단보도에는 주기적으로 멈춤신호와 횡단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 신호등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고, 이러한 횡단보도 신호등은 지주를 통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설치된다.
상기 횡단도보 신호등은 보행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치된 것이지만 고개를 들어야만 신호를 확인할 수 있어 고개를 숙이고 휴대폰을 사용하는 보행자는 신호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이에 횡단보도 인근의 보도나 횡단보도 내의 바닥면에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에 대한 기술이 다수 제안되었다.
상기의 바닥신호등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239호(2009. 08. 07. 공개)에는 바닥 매립형 신호등이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239호의 바닥 매립형 신호등은 횡단보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백색도료가 도포되고, 백색도료와 백색도료 사이의 바닥에 일정 넓이를 갖는 요홈이 형성되며, 요홈의 바닥에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적색 LED 램프와 청색 LED 램프가 구비된 LED 램프장치가 매립 설치되고, 횡단보도의 보행신호에 따라 LED 램프장치의 적색 LED 램프와 청색 LED 램프가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것을 통해 바닥 매립형 신호등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바닥신호등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9852호(2007. 02. 01. 등록)에는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계한 보도블럭의 조명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79852호의 인도에 설치된 보도블럭과 같은 규격이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부로 빛이 발산되는 조명장치를 내삽하고, 횡단보도의 보행자용 신호등과 연계되어 조명장치가 신호등과 같은 작동을 하도록 전원선을 인입시켜 내부의 조명장치를 점등토록 하며, 이러한 신호표시용 블럭을 횡단보도에 근접하는 인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계한 보도블럭의 조명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바닥신호등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8404호(2017. 11. 10. 등록)에는 발광보도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98404호(2017. 11. 10. 등록)에는 상부면에 다수의 원통형 발광돌출부가 마련되는 블록본체; 블록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블록본체 및 LED 조명기판을 받쳐주는 받침체; 받침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LED를 통해 블록본체의 원통형 발광돌출부에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기판; 블록본체의 하단을 밀폐하는 마감베이스; 블록본체의 내부 하부와 LED 조명기판 사이에 충전되는 에폭시층;을 포함하는 발광보도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선행문헌들은 바닥에 매립되게 설치되므로 LED램프로 부터 발생하는 열이 제대로 분산되 못하여 PCB패널에 설치된 LED의 수명이 단축되어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의 선행문헌들은 바닥면과 같은 수평한 상태로 LED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가 LED패널이 설치된 위치에 근접되어야만 신호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05794호(2018.12.05. 공고)의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은 상부면으로 빛이 투과되고, 양측과 하단이 개구된 장방형의 발광케이스; 발광케이스의 내부 상부에 삽입 설치되어 발광케이스의 상부로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기판; 발광케이스 내부의 LED 조명기판의 하부에 삽입 설치되어 LED 조명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지지블록; 발광케이스 내부의 기판지지블록과 베이스블록의 사이에 설치되어 발광케이스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 하중에 의해 발광케이스 및 LED 조명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 발광케이스의 내부 하부에 삽입 설치되고, 바닥면에 착지되어 발광케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블록; 발광케이스와 LED 조명기판, 그리고 기판지지블록을 일체로 결합하고, LED 조명기판에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에폭시;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는 발광케이스의 내부 상단과 LED 조명기판의 상단 사이, LED 조명기판의 하단과 기판지지블록의 상단 사이, 기판지지블록의 전면과 발광케이스의 내부 전면 사이, 기판지지블록의 후면과 발광케이스의 내부 후면 사이, 그리고 기판지지블록의 하부에 충전되고, 기판지지블록의 상단 전방과 상단 후방에 발광케이스의 내부 상단면에 접촉되는 이격돌출부가 마련되고, 각 이격돌출부의 내측면에 기판끼움돌기가 마련되고, 기판지지블록 상단의 양 이격돌출부 사이에 LED 조명기판의 하단을 받쳐주는 다수의 기판받침돌기가 전후방향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선행기술은 LED조명기판의 하부에 형성된 기판지지블록과 LED조명기판을 감싸는 에폭시가 형성되어 있어 LED조명기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제대로 방열되지 못하여 열섬현상과 같이 블록본체의 내측에 열을 가두게 되고, 이러한 열에 의해 LED조명기판의 변형이 발생하여 LED조명기판의 회로가 단선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LED조명기판의 과열에 의해 열화되어 LED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재시공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239호(2009. 08. 0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9852호(2007. 02. 0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8404호(2017. 11. 1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05794호(2018.12.05.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개를 숙인체 스마트폰을 보면서 보행을 하는 보행자의 경우,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횡단보도에서 사고가 빈번에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단보도 대기선 바닥에서 점등한 보행신호를 보행자에게 추가적인 신호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보행 편의와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패널이 커버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 신호등에서 떨어진 위치에서도 쉽게 보행자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바닥 신호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신호등의 외부로 열이 발산되지 않으면서 내부에서 열을 순환시켜 용이하게 방열되도록 하여 LED패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져 보도와 도로를 경계하는 경계석의 일측 지면에 매립되게 구성되는 케이스와;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LED패널에 형성된 회로패턴의 부식으로 의한 단선 또는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과; 케이스 내측의 공간을 구획하여 개별적인 방열 및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의 내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LED패널과; 외부 또는 내부 공기의 이동이 차단되게 이루어진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LED패널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 열이 포함되는 공기를 이동시켜 방열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저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팽창부재와; 팽창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하부케이스이 저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저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바닥 신호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는, 횡단보도가 형성된 도로와 보도를 경계하는 경계석에 근접하는 보행자에게 보행자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LED패널이 기울기를 가지며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는, 상부에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LED패널에서 조사되는 빛이 난반사를 일으켜 고개를 숙인체 스마트폰을 보면서 보행하는 보행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밀패킹은, 하부케이스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의 내측으로 일측이 인입되게 설치되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서 수밀성을 갖도록 다단의 날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팽창부재는, 외부의 습기가 포함된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이동되지 못하게 차단된 상태의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된 LED패널에 의해 구획된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에서 열이 포함된 공기가 개별적으로 이동하여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팽창 가능하게 제1설치홈과 제2설치홈에 설치되어 제1벤트관과 제2벤트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개를 숙인체 스마트폰을 보면서 보행을 하는 보행자의 경우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횡단보도에서 사고가 빈번에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단보도 대기선 바닥에서 점등한 보행신호를 보행자에게 추가적인 신호정보를 제공함으로서 횡단보도의 보행에 따른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패널이 커버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 신호등에서 떨어진 위치에서도 쉽게 보행자신호를 확인할 수 있어 보행중 횡단보도의 위치를 파악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횡단보도 대기선 바닥에서 점등한 보행신호를 보행자에게 추가적으로 제공하므로서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 팽창되는 공기를 이동시켜 열방출의 효과를 가지도록 함은 물론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LED패널에 형성된 회로의 부식에 의한 쇼트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열에 의해 팽창되는 공기를 이동시켜 LED패널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서 LED패널의 변형에 따른 유지보수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불필요한 시공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는 점자블록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들로 하여금 보도와 차도의 경계를 명확하게 알 수 있어 안전한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b은 도 1에 도시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을 분리하여 저부 쪽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B선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C-C선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D-D선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상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상부케이스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7c는 도 2에 도시된 상부케이스를 평면을 나타낸 도면.
도 8a는 도 2에 도시된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도 2에 도시된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9은 도 2에 도시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수밀패킹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하부케이스에 설치되는 발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패창부재에 의해 열이 포함된 공기가 이동하여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패창부재에 의해 열이 포함된 공기가 이동하여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이 횡단보도 대기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의 팽창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신호등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신호등은 보도와 차도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계블럭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개를 숙인체 스마트폰을 보면서 보행하는 보행자가 주변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고 경계석을 넘어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케이스(100)에 경사지게 설치된 LED패널(300)을 보행자 신호와 연동하여 보행자에게 추가적인 신호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신호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2b은 도 1에 도시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을 분리하여 저부 쪽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B선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C-C선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D-D선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상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상부케이스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7c는 도 2에 도시된 상부케이스를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a는 도 2에 도시된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2에 도시된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9은 도 2에 도시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수밀패킹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하부케이스에 설치되는 발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신호등은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로 이루어져 보도와 도로를 경계하는 경계석의 일측 지면에 매립되게 구성되는 케이스(100)와,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LED패널(300)에 형성된 회로패턴의 부식으로 단선 또는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 사이에 설치되는 수밀패킹(200)과, 상기 케이스(100) 내측의 공간을 구획하여 개별적인 방열 및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110)의 내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LED패널(300)과, 외부 또는 내부의 공기의 이동이 차단되게 구성된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LED패널(30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 열이 포함되는 공기를 이동시켜 방열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20)의 저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팽창부재(400)와, 팽창부재(4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부케이스(120)의 저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20)의 저부에 볼트 또는 나사못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커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전체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상부를 밟았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돌기(111)가 등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에는 하부케이스(120)의 저부를 통해 끼워지는 볼트가 너트와 결합하여 상부케이스(110)와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등간격으로 너트끼움홈(112)이 형성되며, 측면 모서리 부분에는 하부케이스(120)의 위치홈(123)과 결합하여 볼트와 너트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위치돌기(113)가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11)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LED패널(300)에서 조사되는 빛이 난반사를 일으켜 고개를 숙인체 스마트폰을 보면서 보행하는 보행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횡단보도가 형성된 도로와 보도를 경계하는 경계석에 근접하는 보행자에게 보행자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LED패널(300)이 기울기를 가지며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11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14)는 상부케이스(110)의 내측면을 따라 도로 쪽 보다 보도 쪽으로 위치되는 높이를 낮게 하여 LED패널(300)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20)는 상부케이스(110)와 같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상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21)이 형성된 내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볼트가 끼워지는 볼트결합공(122)이 형성되며, 상부케이스(110)에 형성된 위치돌기(113)가 결합되는 위치홈(123)이 상부 양측 모서리 쪽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저부에 팽창부재(4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설치홈(124-1)과 제2설치홈(125-1)이 형성되며, 제1설치홈(124-1)과 제2설치홈(125-1)이 형성된 일측에는 LED패널의 제어 및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보드(129)가 설치되는 기판설치홈(126)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격벽(124)과 제2격벽(1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설치홈(126)의 제1격벽과 제2격벽의 사이에는 인접되는 다른 엘이디 바닥 신호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선설치홈(127)이 형성되며, 상기 전원선설치홈(127)은 전선홀(128)과 연결되게 형성되어 전원선이 하부케이스(120)의 일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 129는 전원을 컨트롤하는 제어보드이고, 상기 제어보드(129)는 인접된 다른 바닥 신호등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물론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 LED패널(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물론 전압에 따라 LED에서 색이 표현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20)에는 LED패널(300)에 의해 구획된 상부공간(115)과 하부공간(116)에서 발생되는 열이 복수의 팽창튜브(400)로 각각 이동될 있도록 기판설치홈(126)에 형성된 가장자리에 에어벤트(130)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벤트(130)는 제1벤트관(131)과 제2벤트관(1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벤트관(131)은 제1수직공(131-1)과 제1수평공(131-2)이 'ㄴ'자 형태로 연결되며, 제1수평공(131-2)의 끝단은 팽창튜브(400)와 결합되어 열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벤트관(132)은 제2수직공(132-1)과 제2수평공(132-2)이 'ㅗ'자 형태로 연결되며, 제2수평공(132-2)의 끝단은 팽창부재(400)와 결합되어 열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벤트관(132)과 LED패널(300)의 사이에 벤트연결관(133)이 설치되며, 상기 벤트연결관(133)은 상부공간(115)에서 발생하는 열이 제2팽창튜브(420)로 이동되게 하여 방열작용이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수밀패킹(200)은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의 습기가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20)의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 설치된다.
또한, 수밀패킹(200)의 내측으로 다단 형태로 이루어지는 날개부(210)가 형성되어 상부케이스(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121)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밀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LED패널(300)은 횡단보도에 설치된 보행자신호와 연동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다수의 LED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LED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 또는 반도체 형태로 이루어져 면발광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LED패널(300)은 제어보드(12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보드(129)는 횡단보도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컨트롤러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호의 컨트롤에 따른 제어신호를 LED패널(300)로 인가하여 녹색, 점멸 또는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보드는 신호등컨트롤함의 내측에 설치되어 보행신호의 상태를 수집하고, LED패널(300)의 등화제어, 조광제어, 이상 작동에 대해 제어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보드에는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신모듈이 더 포함되며, 이러한 통신모듈은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PC로 신호를 인가하여 특정지역에 위치하는 바닥신호등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팽창부재(40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의 사이에 설치된 수밀패킹(200)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LED패널(300) 또는 외부의 햇빛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는 홀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 지면에서 전달되는 차가운 기온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음 물론 공기를 이동시켜 열 순환에 의한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부케이스(120)의 저부에 형성된 제1설치홈(124-1)과 제2설치홈(125-1)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팽창부재(400)는 상하방향으로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라바 형식으로 이루어져 사각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팽창부재(40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에서 구획된 공간별로 열이 포함된 공기가 이동되며, 구획된 공간에서 열이 포함된 공기가 이동할 시에 이들 모두가 함께 이동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에어벤트(130)의 제1벤트관(131)과 제2벤트관(132)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500)는 합성수지 또는 습기에 부식이 발생되지 않는 서스(SUS: Steel Use Stainless)재질로 이루어져 지면의 차가운 기온이 하부케이스(120)의 저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커버(500)는 얇게 형성하여 지면의 기온이 팽창부재(400)로 전달되어 구획된 공간에서 이동되는 열이 포함된 공기의 냉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신호등의 작용을 도 11 내지 1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제1팽창부재에 의해 열이 포함된 공기가 이동하여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은 도 4에 도시된 제2팽창부재에 의해 열이 포함된 공기가 이동하여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이 횡단보도 대기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횡단보도 선이 형성된 보도와 차도의 사이에 설치된 경계석 일측의 지면에 매설되며, 지면에 매설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은 보행자신호를 컨트롤하는 신호등컨트롤함에 설치된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보행자신호등과 함께 연동되게 한다.
상기 지면에 매설된 바닥신호등은 제어보드에 의해 녹색, 점멸 또는 적색으로 표시되어 고개를 숙인체 스마트폰을 보면서 보행을 하는 보행자가 주변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녹색, 점멸 또는 적색으로 빛을 발산하는 LED의 점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과 햇빛이 강하게 비추는 여름철과 같이 외부 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진 케이스(100)의 내측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면, 하부케이스(120)에 설치된 복수의 팽창부재(400)로 열이 포함된 공기가 이동된다.
복수로 이루어진 팽창부재(400) 중 하나는 LED패널(300)에 의해 구획된 상부공간(115)에서 발생한 열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열이 포함된 공기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공간(115)의 열을 방열시키는 작용이 일어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복수로 이루어진 팽창부재(400) 중 다른 하나는 LED패널(300)에 의해 구획된 상부공간(115)에서 발생한 열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열이 포함된 공기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공간(115)의 열을 방열시키는 작용이 일어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공간(115)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팽창부재(400)와 연결되는 제2에어벤트관(132)은 제2수직공(132-1)과 제2수평공(132-2)이 교차되게 이루어져 기판설치홈(126)과 연결되는 것은 물론 LED패널(300)에 의해 구획된 상부공간(115)과 벤트연결관(133)을 통해 연결되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이 포함된 공기가 이동되어 발생되는 방열작용으로 열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공간(116)에서 발생하는 열과 상부공간(115)과 하부공간(116)에서 발생한 열이 팽창부재(400)로 이동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된 상태에서 내부의 공기만을 이동시켜 열 순환 작용이 일어나므로 열 팽창에 의해 케이스(100)의 파손을 방지할 있다.
상기 복수의 팽창부재(100)로 공급되어 저장되는 열이 포함된 공기는 하부케이스(120)의 저부에 설치된 합성수지 또는 서스재질의 커버(50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차가운 기온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팽창부재(400)에 저장된 상태에서 온도가 낮아지면 저장된 공기는 다시 상부공간(115)과 하부공간(116)의 열이 포함된 공기와 혼합이 이루어지는 작용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내부의 온도를 다시 낮추어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바닥 신호등에 설치되는 LED패널(300)의 LED램프의 형태를 달리하여 나타낸 것으로, 이는 제조사 또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는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이다.
또한, 케이스(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따른 온도의 상태를 확인하여 봉형태로 구성되는 LED램프를 이용하여 LED패널(300)을 제작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반도체 형태의 면발광 LED램프를 이용하여 LED패널(300)을 제작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바닥 신호등의 팽창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팽창부재(400)는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않는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팽창부재(410)를 제1설치홈(124-1)과 제2설치홈(125-1)에 모두 적용하거나 또는 사각형상의 팽창부재(400)와 원통형 팽창부재(410)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내부는 수밀성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여름철과 같이 외부의 온도가 높고, 햇빛이 강한 계절에는 하부케이스(12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케이스(110)의 측면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또는 내부의 열에 의해 공기가 팽창되면서 폭발과 같은 현상에 의해 케이스(100)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100) 내부에서 열이 포함된 공기의 이동에 의해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외부의 습기가 포함된 공기가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될 수 없어 습기에 의한 LED패널(300)의 부식 및 부식에 의한 쇼트 또는 단선 등이 발생되지 않아 유지보수가 용이한 것은 물론 그에 따른 비용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111)는 점자블록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들로 하여금 보도와 차도의 경계를 명확하게 알 수 있어 안전한 보행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바닥신호등이 가기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서 구청, 시설관리공단 또는 경찰청 등에 민원을 제기하지 않는 것은 물론, 이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케이스 110: 상부케이스
111: 미끄럼방지돌기 112: 너트끼움홈
113: 위치돌기 114: 고정돌기
115: 상부공간 116: 하부공간
120: 하부케이스 121: 결합홈
122: 볼트결합공 123: 위치홈
124: 제1격벽 124-1: 제1설치홈
125: 제2격벽 125-1: 제2설치홈
126: 기판설치홈 127: 전원선설치홈
128: 전선홀 129: 제어보드
130: 에어벤트 131: 제1벤트관
131-1: 제1수직공 131-2: 제1수평공
132: 제2벤트관 132-1: 제2수직공
132-2: 제2수평공 133: 벤트연결관
200: 수밀패킹 210: 날개부
300: LED패널 400: 팽창부재
410: 원통형 팽창부재 500: 커버

Claims (5)

  1.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로 이루어져 보도와 도로를 경계하는 경계석의 일측 지면에 매립되게 구성되는 케이스(100)와;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LED패널(300)에 형성된 회로패턴의 부식으로 단선 또는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 사이에 설치되는 수밀패킹(200)과;
    케이스(100) 내측의 공간을 구획하여 개별적인 방열 및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110)의 내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LED패널(300)과;
    외부 또는 내부 공기의 이동이 차단되게 구성된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LED패널(30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 열이 포함되는 공기를 이동시켜 방열될 수 있도록 외부의 습기가 포함된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이동되지 못하게 차단된 상태의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된 LED패널(300)에 의해 구획된 상부공간(115)과 하부공간(116)으로에서 열이 포함된 공기가 개별적으로 이동하여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팽창 가능하게 제1설치홈(124-1)과 제2설치홈(125-1)에 설치되어 제1벤트관(131)과 제2벤트관(132)에 연결되게 하부케이스(120)의 저부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팽창부재(400)와;
    팽창부재(4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하부케이스(120)의 저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20)의 저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커버(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바닥 신호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횡단보도가 형성된 도로와 보도를 경계하는 경계석에 근접하는 보행자에게 보행자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LED패널(300)이 기울기를 가지며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바닥 신호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상부에 미끄럼방지돌기(111)가 형성되어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LED패널(300)에서 조사되는 빛이 난반사를 일으켜 고개를 숙인체 스마트폰을 보면서 보행하는 보행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바닥 신호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패킹(200)은,
    하부케이스(120)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121)의 내측으로 일측이 인입되게 설치되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 사이에서 수밀성을 갖도록 다단의 날개부(21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바닥 신호등.
  5. 삭제
KR1020190054395A 2019-05-09 2019-05-09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01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95A KR102015022B1 (ko) 2019-05-09 2019-05-09 엘이디 바닥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95A KR102015022B1 (ko) 2019-05-09 2019-05-09 엘이디 바닥 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022B1 true KR102015022B1 (ko) 2019-10-23

Family

ID=6846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395A KR102015022B1 (ko) 2019-05-09 2019-05-09 엘이디 바닥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022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0248A (zh) * 2019-10-30 2020-01-07 上海海事大学 一种新型机动车信号灯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061027B1 (ko) * 2019-08-05 2020-02-17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102117199B1 (ko) * 2019-10-28 2020-06-02 임형렬 내부 열 및 습기 배출장치를 갖는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2119656B1 (ko) * 2020-03-27 2020-06-09 주식회사 엠아이솔루션 Led를 이용한 지면 매립 신호등
KR102126461B1 (ko) * 2019-12-31 2020-06-24 어성진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127321B1 (ko) * 2020-03-27 2020-06-26 이재경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2133975B1 (ko) * 2020-01-08 2020-07-16 주식회사 엠아이솔루션 Led를 이용한 지면 매립 신호등
KR102137236B1 (ko) * 2020-05-13 2020-07-23 주식회사 태온정보통신 방열 및 방습 기능을 갖는 엘이디 바닥신호등
KR102149174B1 (ko) * 2020-03-10 2020-08-28 주식회사 퍼비스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197259B1 (ko) 2020-03-10 2020-12-31 주식회사 필립트론 신호등 정보 안내시스템
KR102225003B1 (ko) * 2020-08-18 2021-03-09 (주)뉴라인텍 공기 순환방식에 의한 방열 및 방한 기능을 갖는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246358B1 (ko) * 2020-09-28 2021-04-29 엘컴텍 주식회사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KR102259178B1 (ko) * 2019-12-11 2021-05-31 홍요셉 운전자 친화적 바닥 신호등
KR20210063737A (ko) * 2019-11-25 2021-06-02 이창기 방습 및 내열 특성이 우수한 횡단보도 보행 보조 바닥 신호등
KR20210067428A (ko) * 2019-11-29 2021-06-08 최규철 횡단보도신호등 연동형 바닥신호등
KR102265680B1 (ko) * 2021-02-18 2021-06-16 배명석 방열 및 방한 기능이 개선된 바닥형 보행신호등
KR102271084B1 (ko) * 2021-01-26 2021-06-30 주식회사 효성티앤에스 알루미늄 하우징을 가지는 바닥신호등
KR102278415B1 (ko) * 2020-07-24 2021-07-15 임형렬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2281080B1 (ko) * 2020-05-06 2021-07-23 주식회사 효성티앤에스 지중 방열수단이 구비된 led발광 바닥신호등
KR102330579B1 (ko) * 2021-08-25 2021-12-01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38305A (ko) 2022-03-09 2022-03-28 이동순 빛 손실을 최적화한 에너지 절전형 횡단보도 보행자 바닥신호등
KR102628238B1 (ko) * 2023-08-14 2024-01-23 서승원 결빙방지 수단을 갖는 바닥신호등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142B1 (ko) * 1983-10-03 1990-12-22 엠. 데이빜 로버트 열 팽창 보상기
KR100679852B1 (ko) 2005-12-30 2007-02-07 권성국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계한 보도블럭의 조명시스템 및그에 의한 보도블럭
KR20090085239A (ko) 2008-02-04 2009-08-07 장익식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101015490B1 (ko) * 2010-01-19 2011-02-22 이영희 발광 블록
KR101451622B1 (ko) * 2014-05-14 2014-10-22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바(Bar)형 지중 매입등
KR20160089916A (ko) * 2015-01-20 2016-07-29 주식회사 한동테크 보행자 경계지시등용 조명기구
KR101798404B1 (ko) 2016-11-24 2017-11-16 (주)경동하이테크 발광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905794B1 (ko) 2018-03-14 2018-12-05 주식회사 바른신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142B1 (ko) * 1983-10-03 1990-12-22 엠. 데이빜 로버트 열 팽창 보상기
KR100679852B1 (ko) 2005-12-30 2007-02-07 권성국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계한 보도블럭의 조명시스템 및그에 의한 보도블럭
KR20090085239A (ko) 2008-02-04 2009-08-07 장익식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101015490B1 (ko) * 2010-01-19 2011-02-22 이영희 발광 블록
KR101451622B1 (ko) * 2014-05-14 2014-10-22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바(Bar)형 지중 매입등
KR20160089916A (ko) * 2015-01-20 2016-07-29 주식회사 한동테크 보행자 경계지시등용 조명기구
KR101798404B1 (ko) 2016-11-24 2017-11-16 (주)경동하이테크 발광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905794B1 (ko) 2018-03-14 2018-12-05 주식회사 바른신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027B1 (ko) * 2019-08-05 2020-02-17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102117199B1 (ko) * 2019-10-28 2020-06-02 임형렬 내부 열 및 습기 배출장치를 갖는 바닥형 보행 신호등
CN110660248A (zh) * 2019-10-30 2020-01-07 上海海事大学 一种新型机动车信号灯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278171B1 (ko) 2019-11-25 2021-07-15 이창기 방습 및 내열 특성이 우수한 횡단보도 보행 보조 바닥 신호등
KR20210063737A (ko) * 2019-11-25 2021-06-02 이창기 방습 및 내열 특성이 우수한 횡단보도 보행 보조 바닥 신호등
KR102291900B1 (ko) * 2019-11-29 2021-08-19 최규철 횡단보도신호등 연동형 바닥신호등
KR20210067428A (ko) * 2019-11-29 2021-06-08 최규철 횡단보도신호등 연동형 바닥신호등
KR102259178B1 (ko) * 2019-12-11 2021-05-31 홍요셉 운전자 친화적 바닥 신호등
KR102126461B1 (ko) * 2019-12-31 2020-06-24 어성진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133975B1 (ko) * 2020-01-08 2020-07-16 주식회사 엠아이솔루션 Led를 이용한 지면 매립 신호등
KR102197259B1 (ko) 2020-03-10 2020-12-31 주식회사 필립트론 신호등 정보 안내시스템
KR102149174B1 (ko) * 2020-03-10 2020-08-28 주식회사 퍼비스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119656B1 (ko) * 2020-03-27 2020-06-09 주식회사 엠아이솔루션 Led를 이용한 지면 매립 신호등
KR102127321B1 (ko) * 2020-03-27 2020-06-26 이재경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2281080B1 (ko) * 2020-05-06 2021-07-23 주식회사 효성티앤에스 지중 방열수단이 구비된 led발광 바닥신호등
KR102137236B1 (ko) * 2020-05-13 2020-07-23 주식회사 태온정보통신 방열 및 방습 기능을 갖는 엘이디 바닥신호등
KR102278415B1 (ko) * 2020-07-24 2021-07-15 임형렬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2225003B1 (ko) * 2020-08-18 2021-03-09 (주)뉴라인텍 공기 순환방식에 의한 방열 및 방한 기능을 갖는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246358B1 (ko) * 2020-09-28 2021-04-29 엘컴텍 주식회사 외함과 내함 구조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KR102271084B1 (ko) * 2021-01-26 2021-06-30 주식회사 효성티앤에스 알루미늄 하우징을 가지는 바닥신호등
KR102265680B1 (ko) * 2021-02-18 2021-06-16 배명석 방열 및 방한 기능이 개선된 바닥형 보행신호등
KR102330579B1 (ko) * 2021-08-25 2021-12-01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38305A (ko) 2022-03-09 2022-03-28 이동순 빛 손실을 최적화한 에너지 절전형 횡단보도 보행자 바닥신호등
KR102628238B1 (ko) * 2023-08-14 2024-01-23 서승원 결빙방지 수단을 갖는 바닥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022B1 (ko)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126461B1 (ko)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137236B1 (ko) 방열 및 방습 기능을 갖는 엘이디 바닥신호등
KR101835671B1 (ko)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KR102278415B1 (ko) 바닥형 보행 신호등
US7192155B2 (en) Airfield edge-light utilizing a side-emitting light source
KR102271084B1 (ko) 알루미늄 하우징을 가지는 바닥신호등
KR102133975B1 (ko) Led를 이용한 지면 매립 신호등
KR102404196B1 (ko) 환경친화적 바닥신호등
KR20200040635A (ko) 횡단보도에 형성되는 바닥 신호등
KR102118912B1 (ko) 횡단보도의 정지선에 매립되는 보행보조기능과 내부 열기를 외부로 방출할수 있는 방열기능을 갖는 보행신호등
KR101681103B1 (ko) 발광 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119656B1 (ko) Led를 이용한 지면 매립 신호등
KR102281080B1 (ko) 지중 방열수단이 구비된 led발광 바닥신호등
JP4277047B1 (ja) Ledランプ
KR102225003B1 (ko) 공기 순환방식에 의한 방열 및 방한 기능을 갖는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20230076530A (ko) 바닥 신호등
KR100960992B1 (ko) 점자보도블럭 발광장치
KR20180096400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080104708A (ko) Led를 이용한 전등
KR102117199B1 (ko) 내부 열 및 습기 배출장치를 갖는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2561889B1 (ko) 동결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KR102237370B1 (ko) 공기구멍을 구비한 led 가로등 장치
KR101496225B1 (ko) 엘이디 가로등기구
KR20230037813A (ko) Led 바닥형 보행 신호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