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846B1 - 돛배 유등 - Google Patents

돛배 유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846B1
KR102601846B1 KR1020220083443A KR20220083443A KR102601846B1 KR 102601846 B1 KR102601846 B1 KR 102601846B1 KR 1020220083443 A KR1020220083443 A KR 1020220083443A KR 20220083443 A KR20220083443 A KR 20220083443A KR 102601846 B1 KR102601846 B1 KR 102601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ing
lighting unit
side wall
s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호
Original Assignee
노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호 filed Critical 노상호
Priority to KR102022008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2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water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배 유등은, 몸체; 몸체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다수개의 활대가 이격 배치된 돛대; 상기 다수개의 활대에 부착되는 돛과,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1 조명부; 상기 활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돛에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활대에 구비된 제2 조명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돛대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3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조명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방수 기능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돛배 유등{LIGHTING FIXTURES INSIDE OF SAILBOAT}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물에 띄운 후 조명장치를 점등하여 관람할 수 있는 돛배 유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 기능과 높은 심미감을 가지면서 벌레 퇴치가 가능한 조명장치가 적용된 돛배 유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등(油燈)은 과거에 기름을 연료로 하여 야간에 사람이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등불을 말한다. 현재 이와 같은 유등은 다양한 축제 등에 전시되어 관람할 수 있는 일종의 미적 전시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유등은 관람객에게 심미감을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등 중 강물이나 하천 등에 띄워 전시하는 유등은 내부에 장식등이 및 전구(이하 조명장치)를 외부로 노출시켜 발광하거나 내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고 투명한 창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발광시킬 수 있다. 이때 조명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조명장치에 전선을 연결하고 전력을 인가시켜 조명장치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등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전시되기 때문에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인접한 유등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전선의 수면 위로 이동하는 부유물이나 수면의 높낮이 차에 의해 연결된 전선이 끊어져 조명장치가 불시에 OFF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누전이나 쇼트 등의 전기적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람에 의해 유등이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상당히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누전이나 쇼트 등의 전기적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이며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이미지 연출이 가능하며 설치장소가 제한적이지 않는 유등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하천이나 강물에 유등을 띄우는 경우, 유등의 빛에 의해 각종 벌레가 유등 근방에 유인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유인되는 벌레에 대한 퇴치도 가능한 유등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다만, 상술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기 공개된 기술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439호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공개일 2012. 12.10)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8651호 '엘이디 조명이 구비된 선박의 항로 표시장치' (공개일 2012.02.0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수 기능을 가진 조명부를 적용한 돛배 유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이미지가 연출되도록 조명장치의 심미감을 향상시킨 돛배 유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벌레 퇴치 기술이 적용된 돛배 유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배 유등은, 몸체; 몸체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다수개의 활대가 이격 배치된 돛대; 상기 다수개의 활대에 부착되는 돛과,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1 조명부; 상기 활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돛에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활대에 구비된 제2 조명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돛대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3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조명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방수 기능의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 기능의 구조는, 중공부의 측벽; 상기 측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발광하는 LED 모듈;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측벽의 상면 사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제1 방수패드; 및 상기 제2 기판과 측벽의 하면 사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제2 방수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측벽 중에 적어도 하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돛은 반사 재질 및 확산 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광된 빛에 대한 반사 및 산란을 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명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LED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LED 모듈 중에 적어도 하나는 벌레 퇴치용 빛을 출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방수 기능을 가진 조명부를 적용함으로써, 하천 또는 강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돛이 반사 재질 및 확산 재질을 포함함에 따라, 제1 내지 제3 조명부 중에 적어도 하나에서 발광된 빛이 돛에서 반사 및 산란을 연출함으로써, 조명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벌레 퇴치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조명부에서 출사되는 빛에 의해 유인되는 하천 또는 강물의 벌레를 퇴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돛배 유등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제1 조명부(510)에 대한 일 측면도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제1 조명부(51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돛배 유등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돛배 유등은 몸체(100), 돛대(200), 부력체(300), 돛(400), 조명부(500), 전력공급부(600), 제어부(700) 및 닻(80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판(110)과, 상판(110)과 일정간격 이격된 하판(120)과,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의 양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측판(130)을 각각 포함한다. 측판(130)은 상판(110)과 하판(120)의 좌우측면에 부착되어 몸체(100)를 이룬다. 몸체(100)는 목재, 철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목재로 제작된다. 이때, 부식 및 파손 방지를 위해, 몸체(100)의 표면에는 황토(黃土)를 입히거나 물들일 수 있다.
돛대(200)는 일측단이 상판(110)을 관통한 후 하판(120)의 상면에 안착되어 하판(120)에 고정된다. 돛대(200)를 하판(120)에 고정시킬 때 별도의 브라켓(미도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돛대(2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형상으로 하판(120)과 수직을 이루며 세워진다. 돛대(200)의 외측면에는 활대(210)가 구비된다. 활대(210)는 돛대(200)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돛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다수개의 활대(210)는 상호 이웃한 활대(210)와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구비될 수 있으며 돛대(200)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룬다.
몸체(100)의 하측에는 부력체(300)가 설치된다. 부력체(300)는 몸체(100)를 강이나 하천 등의 수면 위로 부상시키기 위해 몸체(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부력체(300)는 몸체(100)의 중량에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체(300)는 부력체 고정대(310)와 부표(320)를 포함한다. 부력체 고정대(310)는 몸체(100)의 하판(120)의 하면과 밀착되어 접촉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부력체 고정대(310)는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상호 교차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는 몸체(100)가 수면 위에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몸체(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표(320)는 부력체 고정대(310)에 고정 설치되어 몸체(100)를 수면 위로 부상시키도록 부력을 갖는다. 부표(320)의 형상은 당업자의 설계변경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부력체 고정대(310)의 상면에는 삽입돌기(311)가 돌출 형성되며 하판(120)의 하면에는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부력체 고정대(310)는 삽입돌기(311)가 삽입홀에 삽입되어 하판(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삽입돌기(311)가 삽입홀에 삽입된 후 못, 스크류 나사 등으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부표(320)의 측면에는 지지고리(321)가 형성된다. 지지고리(321)에는 로프, 연결줄 등이 결속될 수 있다. 이는 활대(210)의 끝단을 로프로 결속한 후 로프를 당기고 지지고리(321)에 로프를 결속시키면 활대(2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돛(400)은 활대(210)와 이웃한 활대(210)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돛(400)은 몸체(100)가 풍속에 의해 흔들리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관통홀(410)이 형성된 천막이나 메쉬(Mesh)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돛(400)은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조명부(500)에서 조사되어 돛(400)에 반사된 빛의 확산 범위를 향상시키고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사 재질은 표면에 광택이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돛(400)은 반사 재질뿐만 아니라 형광, 축광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확산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확산 재질은 반투명 형태로 형성되어 빛의 산란(확산)을 도모할 수 있다.
돛(400)이 형광 물질 등과 같은 반사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활대(210)에 부착된 LED가 방출하는 빛이 돛(400) 상에서 반사되는 것에 의해, 돛(400) 모양이 야간에도 자연스럽게 관람 가능하게 연출될 수 있다. 또한, 바람에 돛(400)이 휘날리는 경우, 형광 물질의 반사 정도가 변하는 것에 의해, 야간에도 돛(400)이 휘날리는 형상을 조명으로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돛(400)이 반사 재질 외에 확산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빛의 반사에 따른 연출과 함께, 빛의 산란에 의한 연출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돛(400)에 의한 빛의 반사 및 산란으로 인한 조명의 심미감이 배가될 수 있다.
조명부(500)는 발광하는 장치로서, 몸체(100), 돛대(200) 및 돛(400)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500)는 제1 조명부(510), 제2 조명부(520) 및 제3 조명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조명부(510, 520, 530)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LED 모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제1 조명부(510)는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장치로서, 몸체(100) 측판(13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측판(130)의 측면에 빛을 조사한다. 이는 야간에 몸체(10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조명부(510)는 몸체(100) 측판(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판(130)의 측면 전체에 빛을 조사한다. 제1 조명부(510)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조명부(520)는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장치로서, 활대(210)에 부착되어 돛(400)에 빛을 조사한다. 이는 야간에 돛(40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돛(400)의 형상 및 색상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시킬 수 있다. 제2 조명부(520)는 활대(210)의 돌출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돛(400) 전체면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조명부(520)는 활대(2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조명부(530)는 상기 제1 내지 제2 조명부(510,520)와 동일한 장치로서, 돛대(200)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제3 조명부(5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돛대(200)의 길이방향 전체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도 3은 제1 조명부(510)에 대한 일 측면도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4는 제1 조명부(51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조명부(510)는 제1 기판(511), 제1 방수패드(512), 측벽(513), 제2 방수패드(514), 제2 기판(515) 및 LED 모듈(5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판(511, 515)은 측벽(513)에 의해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측벽(513)은 중공부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기판(511, 515)의 사이에서 스페이서 역할을 한다. LED 모듈(516)은 제1 기판(511)을 향하여 빛을 발광하도록 제2 기판(515)의 상면에 안착된다.
제1 기판(511)은 LED 모듈(516)에서 출사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511)은 확산판으로 작용하거나 확산판이 그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1 기판(511)의 주변은 빛에 대한 확산 기능을 가져, 조명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제2 기판(515)도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 LED 모듈(516)에서 발광된 빛은 제2 기판(515)을 투과하여 제2 기판(515)의 하부로도 출사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제2 기판(515)도 확산판으로 작용하거나, 확산판이 그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측벽(513)도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 LED 모듈(516)에서 발광된 빛은 측벽(513)을 투과하여 측벽(513)의 외부면으로도 출사될 수 있다. 물론, 측벽(513)도 확산판으로 작용하거나, 확산판이 그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하천이나 강물에서 적용되는 돛배 유등에 관한 것이므로, 하천 또는 강물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 조명부(510)는 방수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기판(511)과 측벽(513)의 상면 사이에는 제1 방수패드(512)가 구비되며, 제2 기판(515)과 측벽(513)의 하면 사이에는 제2 방수패드(5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방수패드(512, 514)는 측벽(513)의 상면 및 하면에 밀착되어, 해당 상면 및 하면으로의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 기능을 가진다.
즉, 제1 방수패드(512)는 측벽(513)의 상면 형상에 따라 중공부를 가지며, 제1 기판(511) 하면 테두리와 측벽(513) 상면의 사이에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방수패드(514)는 측벽(513)의 하면 형상에 따라 중공부를 가지며, 제2 기판(515) 상면 테두리와 측벽(513) 하면의 사이에서 밀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방수패드(512, 514)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수 기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제1 조명부(510)는 밀봉부(517)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밀봉부(517)는 제1 기판(511), 측벽(513) 및 제2 기판(515)이 이루는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밀봉하는 구성이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밀봉부(517)는 에폭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에폭시를 해당 구조체의 내부 공간에 함침함으로써, 방수 및 방습 기능이 구현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결로 현상으로부터 LED 모듈(516)을 보호하는 기능도 구현될 수 있다.
LED 모듈(516)은 빛을 발광하는 광원으로 작용하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LED 모듈(516)에서 출사되는 빛에 의해 하천 또는 강물의 벌레가 유인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LED 모듈(516) 중에 적어도 하나는 벌레 퇴치용의 빛을 발광하는 LED(이하, 이러한 LED 모듈을 “벌레 퇴치용 LED”라 지칭함)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벌레 퇴치용 LED는 벌레들이 싫어하는 특정 색온도의 빛을 발광하는 LED로서, 6500K 이상의 색온도의 빛을 발광하는 LED일 수 있다.
한편, 제1 기판(511), 제1 방수패드(512), 측벽(513), 제2 방수패드(514), 제2 기판(515), LED 모듈(516) 및 밀봉부(518)에 대해 제1 조명부(51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각 구성은 제2 조명부(520) 또는 제3 조명부(53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전력공급부(600)는 조명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한다. 즉, 전력공급부(600)는 제1 내지 제3 조명부(510, 520, 530)의 LED 모듈(516)을 발광시키도록 LED 모듈(516)에 전력을 공급하며, 몸체(100) 하판(120)에 고정된다. 물론, 전력공급부(600)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700)는 조명부(500) 및 전력공급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부(500)의 ON/OFF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700)는 하판(120)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700)는 전력공급부(60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 또는 인가하여 조명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0)를 통하여 제1 내지 제3 조명부(510, 520, 530)의 LED 모듈(516)의 ON/OFF를 각각 독립적 또는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를 통하여 제1 내지 제3 조명부(510, 520, 530)의 LED 모듈(516)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을 각각 독립적 또는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700)는 조명부(500)가 특정 시간에만 발광할 수 있도록 타이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조명부(500)가 ON/OFF되도록 조명부(500)를 제어한다.
특히, 빛에 의한 벌레의 유인 작용은 일반적으로 야간에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다수의 LED 모듈(516) 중 벌레 퇴치용 LED에 대해 야간 시간에만 O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전력공급부(600)의 충전량을 확인한 후 사용자에게 특정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공급부(600)의 충전량이 설정된 충전량보다 적으면 전력공급부(600)를 교체하거나 충전시키도록 사용자에게 특정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닻(800)은 하판(120)의 하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닻(800)은 유속 또는 풍속에 의해 몸체(10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하판(12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수중(水中)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즉, 닻(800)의 타측에는 무게추가 형성되어 몸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 무게추는 적어도 몸체(100)의 중량보다 크게 제작되어 몸체(10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닻(800)은 사용자에 의해 몸체(100)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몸체 110 : 상판
120 : 하판 121 : 삽입홀
130 : 측판 200 : 돛대
210 : 활대 300 : 부력체
310 : 부력체 고정대 320 : 부표
321 : 지지고리 400 : 돛
500 : 조명부 510 : 제1 조명부
511 : 제1 기판 512 : 제1 방수패드
513 : 측벽 514 : 제2 방수패드
515 : 제2 기판 516 : LED 모듈
517 : 밀봉부 520 : 제2 조명부
530 : 제3 조명부 600 : 전력공급부
700 : 제어부 800 : 닻

Claims (5)

  1. 몸체;
    몸체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다수개의 활대가 이격 배치된 돛대;
    상기 다수개의 활대에 부착되는 돛과,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1 조명부;
    상기 활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돛에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활대에 구비된 제2 조명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돛대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3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조명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방수 기능의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조명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조명부는 각각 벌레 퇴치용 LED를 포함하는 다수의 LED 모듈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벌레 퇴치용 LED는 야간 시간에만 온이 되도록 상기 전력공급부를 제어하며,
    상기 방수 기능의 구조는,
    중공부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측벽;
    상기 측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의 상면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발광하는 상기 LED 모듈;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측벽의 상면 사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제1 방수패드;
    상기 제2 기판과 측벽의 하면 사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제2 방수패드; 및
    상기 제1 기판, 측벽 및 제2 기판이 이루는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밀봉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돛배 유등.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돛은 반사 재질 및 확산 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광된 빛에 대한 반사 및 산란을 연출하는 돛배 유등.
  5. 삭제
KR1020220083443A 2022-07-07 2022-07-07 돛배 유등 KR102601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443A KR102601846B1 (ko) 2022-07-07 2022-07-07 돛배 유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443A KR102601846B1 (ko) 2022-07-07 2022-07-07 돛배 유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846B1 true KR102601846B1 (ko) 2023-11-13

Family

ID=8874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443A KR102601846B1 (ko) 2022-07-07 2022-07-07 돛배 유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8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651A (ko) 2010-07-19 2012-02-01 주식회사 다우해양 엘이디 조명이 구비된 선박의 항로 표지장치
KR20120008439U (ko) 2011-05-31 2012-12-10 태주조명연구소(주)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KR200465817Y1 (ko) * 2010-12-28 2013-03-18 이범구 해충퇴치용 라이팅바
KR200472974Y1 (ko) * 2013-10-23 2014-06-05 노상호 황포돛배 유등
KR101618264B1 (ko) * 2015-10-01 2016-05-04 새빛이앤엘 (주) 보안등 및 가로등용 판형 엘이디 램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651A (ko) 2010-07-19 2012-02-01 주식회사 다우해양 엘이디 조명이 구비된 선박의 항로 표지장치
KR200465817Y1 (ko) * 2010-12-28 2013-03-18 이범구 해충퇴치용 라이팅바
KR20120008439U (ko) 2011-05-31 2012-12-10 태주조명연구소(주)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KR200472974Y1 (ko) * 2013-10-23 2014-06-05 노상호 황포돛배 유등
KR101618264B1 (ko) * 2015-10-01 2016-05-04 새빛이앤엘 (주) 보안등 및 가로등용 판형 엘이디 램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7069B2 (en) Spherical lamp with easy heat dissipation
KR100798680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수단
JP2009266780A (ja) 発光体および照明器具
JP4277047B1 (ja) Ledランプ
JP5022860B2 (ja) 演出用照明装置
JP2011028890A (ja) 屋外照明装置
CN101018978A (zh) 带有百叶窗构件的光源
KR101285691B1 (ko) 주차장용 조명장치
KR102601846B1 (ko) 돛배 유등
KR200472974Y1 (ko) 황포돛배 유등
KR101068201B1 (ko)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JP2007270435A (ja) 自発光装置
US10240734B1 (en) Outdoor lamp capable of changing colors
DE60124679D1 (de) Integrationssystem eines reflektors, das in einer wasserdichten beleuchtungsvorrichtung mit leuchtstofflampen angeordnet ist
KR200460629Y1 (ko) 컬러 조명장치
KR100945173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101257751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안내표지판
JP5328465B2 (ja) ポール付き照明器具
CN213040417U (zh) 一种适用多场景安装的led灯具
KR100909021B1 (ko) 광섬유를 이용한 열주형 등기구
KR200416175Y1 (ko) 수중 조명등
KR20070076790A (ko) 엘이디의 조도 향상을 위한 렌즈
JP2006059603A (ja) ソーラーライト
KR20120103291A (ko) 매립등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립등
JP2002251903A (ja) Led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