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939B1 - 밥솥 승강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밥솥 승강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939B1
KR102545939B1 KR1020230025586A KR20230025586A KR102545939B1 KR 102545939 B1 KR102545939 B1 KR 102545939B1 KR 1020230025586 A KR1020230025586 A KR 1020230025586A KR 20230025586 A KR20230025586 A KR 20230025586A KR 102545939 B1 KR102545939 B1 KR 102545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lift
housing
lifting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환
Original Assignee
흥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부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흥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power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밥솥을 승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당이나 급식 등 다수의 인원이 식사를 하는 경우 대량으로 취사하는 밥이 수용되는 밥솥을 리프트에 의해 배식 위치로 순차 승강시켜 배식이 용이하게 한 밥솥 승강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는, 밥솥이 수납되는 외측을 감싸며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밥솥을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어 밥솥의 외측으로 평면을 이루며 식기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밥솥 승강용 리프트{Lift for raising and lowering rice cooker}
본 발명은 밥솥을 승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당이나 급식 등 다수의 인원이 식사를 하는 경우 대량으로 취사하는 밥이 수용되는 밥솥을 리프트에 의해 배식 위치로 순차 승강시켜 배식이 용이하게 한 밥솥 승강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급식 시설 등 다수의 인원에게 배식하는 장소에서는 밥이나 기타 음식 등을 대용량으로 한 번에 조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용량의 음식을 취사실에서 배식 위치로 이송할 때 이송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차나 카트 등을 이용해 취사실에서 배식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배식 위치로 이송한 상태에서 배식하기 적당한 높이로 다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를 직접 이동하기에는 큰 완력이 필요하게 되고, 이동 중 과도한 무게에 의해 허리나 팔 손목 등에 부상을 당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814112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에서는 업소용 취반기에서 사용되는 대형 밥솥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1개 이상의 대형밥솥을 적층시켜 취반기에서 배식대로, 또는 세척 장소에서 취반기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적층된 대형 밥솥들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대형 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 대차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대형 밥솥을 상부에서부터 적층해야 하기 때문에 취사 위치에서 상부로 삽입하여 적층할 때 작업자의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밥솥이 이동 과정에서 유동되거나 한쪽으로 쏠리게 되면 밥솥을 순차적으로 승강함에 있어서 일부분이 걸려 원활한 승강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814112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밥솥을 상부로 들어서 적층할 필요 없이 정면이 개방된 수용부를 통해 적층이 용이하고, 대차를 이용할 경우 대차에 적층된 밥솥을 그대로 수용부로 삽입하여 이를 순차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밥솥 승강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삽입되는 위치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부터 내측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제2 돌출부에 의해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후에는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수용부 내측에 밥솥이 수용되는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제1 돌출부가 구비되어 제1 돌출부에 의해 밥솥이 유동되지 않고 적층된 위치를 유지하면 순차적으로 승강될 수 있는 밥솥 승강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밥솥의 위치에 따른 적층 위치를 개별적으로 감지하여 정확한 높이로 밥솥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밥솥 승강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는, 밥솥이 수납되는 외측을 감싸며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밥솥을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어 밥솥의 외측으로 평면을 이루며 식기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밥솥이 전면으로 인출입되도록 개방되고, 내부에 밥솥이 수용되는 수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밥솥이 승강되는 경로에는 밥솥이 승강되는 위치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밥솥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승강 위치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에는 상기 승강 위치 감지부의 일측과 근접하게 설치되어 밥솥과 함께 승강되며 상기 승강 위치 감지부가 근접하면 밥솥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승강 위치 감지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에서 밥솥이 승강되는 외측에는 밥솥이 수납부를 이탈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이탈 감지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승강 위치 감지 센서 및 이탈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통해 승강부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되어 밥솥의 승강 등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부에서 밥솥이 수납되어 승강되는 양쪽 끝부분에는 밥솥의 삽입은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밥솥이 삽입되어 수납된 상태에서는 밥솥의 양측을 지지하며 밥솥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 내측에는 밥솥이 수납되는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어 밥솥의 승강 구동 시 밥솥의 위치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돌출부는, 밥솥이 삽입되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좁아지는 수납 유도 경사면이 형성되고, 밥솥이 삽입되는 내측으로는 밥솥이 이탈되지 않도록 단턱에 의해 지지하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는, 밥솥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며 밥솥을 승강시키는 승강바, 상기 승강바와 연결되게 구비되어 승강바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 레일,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승강 가이드, 상기 승강 가이드 사이에 구비되어 정위치에서 회전되는 승강 스크류, 상기 승강 스크류와 너트 체결 구조로 결합되어 승강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승강 너트 및 상기 승강 스크류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 스크류가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바는 밥솥이 안착되는 하부에서 승강바와 수직 방향을 이루며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밥솥의 지지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바는 상기 승강 가이드와 결합됨에 있어서 승강바의 양측에서 승강바가 동시에 승강 가이드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승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는, 밥솥을 상부로 들어 올려 적층할 필요 없이 정면에서 바로 적층할 수 있어서 밥솥을 상부로 들어 올릴 때 발생하는 작업자의 피로도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밥솥이 수용될 때 밥솥을 정위치로 유도하며 수용되도록 유도하고, 수용된 상태에서는 정위치에서 유동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승강되도록 하여 승강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적층된 밥솥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감지하여 정확한 높이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에 밥솥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에서 승강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의 동작 상태도
본 발명은 밥솥을 간편하게 수납하여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으로, 특히 전면이 개방되어 밥솥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밥솥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밀하게 설정된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밥솥(100)이 수납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에 수납된 밥솥(100)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밥솥(100)의 외측으로 평평한 공간을 형성하여 배식 시 식기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상부 플레이트(4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400)에는 밥솥(100)이 승강되며 돌출되는 인출홀(410)이 형성된다.
상기 밥솥(100)은 상부에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밥솥(100)의 상부 둘레를 따라 밥솥(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며 하우징(200) 내부에서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돌출 단턱(1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덮개(110)의 상부에는 다른 밥솥(100)을 상부에 올려 거치할 때 다른 밥솥(100)의 하부 형상과 대응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에 거치되는 밥솥(1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적층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0)은, 내부에 밥솥(100)이 수납되는 수납부(210)가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며 마련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210)는 밥솥(100)의 직경보다 조금 큰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밥솥(100)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 내측에는 상기 승강부(300)가 승강되는 경로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밥솥(100)이 승강되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승강 위치 감지부(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위치 감지부(220)가 설치되는 상부에는 밥솥(100)이 승강될 때 센서의 고장이나 오류로 인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지지바(23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210)에서 개방된 전면에는 밥솥(100)이 수납부(210)를 이탈하면 이를 감지하는 이탈 감지 센서(2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하우징(200)에 수납된 밥솥(100)의 위치 감지와, 이탈 감지 및 승강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250)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0)의 전면에는 밥솥(100)의 승강 동작을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6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260)는 상기 컨트롤러(250)와 연동되어 작업자가 밥솥(100)의 승하강 동작을 조작할 때, 컨트롤러(250)를 통해 밥솥(100)의 위치와 이탈 여부 등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며 안전하게 밥솥(100)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부(210) 내측에서 밥솥(100)이 수납되는 양측에는 밥솥(100)이 수납될 때 정확한 위치로 수납되도록 유도하는 제1 돌출부(2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납부(210)에서 밥솥(100)이 수납되는 뒤쪽과 그 양측에 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밥솥(100) 측으로 돌출되어 밥솥(100)의 승하강 위치를 지지하는 제2 돌출부(2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돌출부(211)는 밥솥(100)이 외측에서 수납되는 방향으로는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이루어져 밥솥(100)의 수납 시 밥솥(100)이 정확한 위치로 수납되도록 유도하는 수납 유도 경사면(211a)이 형성되고, 밥솥(100)이 수납되는 내측에는 수납된 밥솥(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 방지턱(211b)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 위치 감지부(220)는, 밥솥(100)이 승강되는 높이 및 위치에 따라 하부에서부터 제1 위치 감지부(221), 제2 위치 감지부(222), 제3 위치 감지부(223) 및 제4 위치 감지부(224) 총 4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위치 감지부(221)는 밥솥(100)의 가장 하부 위치를 감지하고, 제4 위치 감지부(224)는 밥솥(100)이 승강되는 최 상부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그 사이로 제2 위치 감지부(222) 및 제3 위치 감지부(223)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에는 하우징(200)의 양측에서 탈착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내부를 보호할 수 있는 하우징 커버(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다수개의 밥솥(100)을 적층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며 배식하기 용이한 위치로 밥솥(100)을 위치시켜 연속적으로 편리한 배식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에 밥솥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210)에는 밥솥(100)이 적층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밥솥(100)은 덮개(110)의 상부에 형성된 적층홈(111)에 밥솥(100)의 하부가 걸리며 좌우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적층된다.
그리고 적층된 밥솥(100)들을 수납할 때 제1 돌출부(211)의 수납 유도 경사면(211a)에 의해 밥솥(100)이 승강되는 정위치로 유도되며 수납된다.
이때, 밥솥(100)의 돌출 단턱(120)이 반 이상 수납부(210)로 삽입되면, 밥솥(100)의 중간 지점이 수납 유도 경사면(211a)을 통과하면서 이탈 방지턱(211b)에 의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제2 돌출부(212)의 위치까지 삽입되며 밥솥(100)을 승강시키기 위한 정확한 위치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에서 승강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강부(300)는, 밥솥(100)의 하부를 지지하여 밥솥(100)을 승강시키는 승강바(310)와, 상기 승강바(31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경로를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 레일(320) 및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320)과 연결되고 상기 승강바(31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320)을 따라 승강바(310)와 함께 승강되는 승강 가이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바(310)는 밥솥(100)이 안착되는 양측으로 연장되고 그 사이에 승강바(310)와 수직 방향을 이루는 보강 플레이트(31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밥솥(100)을 정위치로 안착할 수 있는 밥솥 안착홈(3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310)를 승강시킴에 있어서, 스크류 회전에 의해 승강바(310)를 승강시키는 승강 스크류(340) 및 상기 승강 스크류(340)와 너트 구조로 결합되어 승강 스크류(340)가 회전되면 승강 스크류(340)의 나선을 따라 상하 승하강되는 승강 너트(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 스크류(340)의 하부에는 승강 스크류(340)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크류 구동 모터(3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 구동 모터(360)는 컨트롤러(250)에 의해 속도 및 회전 수가 제어되며, 정확한 위치로 밥솥(100)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310)는 상기 승강 가이드(330)와 결합됨에 있어서, 승강 브라켓(37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승강 브라켓(370)은 승강 너트(350)와도 결합되어 승강 너트(350)가 상하 이동될 때 승강바(310)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바(310)가 승강됨에 있어서, 상기 승강 브라켓(370)의 일측에는 승강 위치 감지 센서(380)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 위치 감지 센서(380)는 상기 승강 위치 감지부(220)와 근접하게 구비되어, 승강바(310)가 승하강될 때, 상기 승강 위치 감지부(220)와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밥솥(100)의 승강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승강 위치 감지 센서(380)는 컨트롤러(250)와 연동되어 감지된 값에 의해 스크류 구동 모터(360)의 회전을 제어하여 밥솥(100)의 승강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다수개의 밥솥(100)을 적층시켜 상기 승강바(31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컨트롤러(250)의 제어에 의해 밥솥(100)을 배식 위치로 순차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승강용 리프트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하우징(200)의 수납부(210)가 비워진 상태에서 다수개의 밥솥(100)이 적층된 상태로 수납부(210)에 수납된다.
이때, 승강부(300)는 제1 위치 감지부(221)에 승강 위치 감지 센서(380)가 근접한 상태로 위치되어, 밥솥(100)이 승강되는 최 하단의 위치가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작부(260)를 조작하면, 컨트롤러(250)는 상기 승강 위치 감지 센서(380)에서 감지된 값을 기준으로 스크류 구동 모터(360)를 구동시켜 승강바(310)를 승강시킨다.
이에 따라, 적층된 다수개의 밥솥(100) 중 최 상층의 밥솥(100)이 상부 플레이트(400)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때, 승강바(310)는 상기 승강 위치 감지 센서(380)가 제2 위치 감지부(222)에근접함에 따라 적층된 밥솥(100) 중 최 상층의 밥솥(100)이 상부 플레이트(4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승강된 것으로 인식하여 승강을 중단하고 현재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최 상층의 밥솥(100)이 모두 비워지면 최 상층의 밥솥(100)을 제거하고, 다시 조작부(260)를 조작하여 그 하부에 적층되어있던 밥솥(100)이 상부 플레이트(400)의 상부로 승강되도록 한다.
이때, 승강 위치 감지 센서(380)는 제3 위치 감지부(223)에 근접하여 2번째로 적층된 밥솥(100)이 상부 플레이트(400)의 상부로 돌출된 것으로 인식하고 그 위치를 유지한다.
이후, 2번째로 적층된 밥솥(100)이 비워지면 상기 동작을 반복하며 그 하층에 적층되어있던 밥솥(100)을 승강시킨다.
이때, 승강 위치 감지 센서(380)는 제4 위치 감지부(224)에 근접하여 가장 하부에 적층되어있던 밥솥(100)이 상부 플레이트(400)의 상부로 돌출된 것으로 인식하고, 모든 밥솥(100)이 승강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울리거나 작업자에게 이를 통보하여 미리 새로운 밥솥(100)을 준비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다수개의 밥솥(100)을 적층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배식하기 편리한 위치인 상부 플레이트(400)의 상부로 승강시켜 배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식당이나 급식 시설 등에서 대용량의 밥을 제공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밥솥을 적층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승강시켜 편리하게 배식할 수 있고, 배식이 완료되면 다른 밥솥을 배식 위치로 승강시켜줌에 따라 작업자가 밥솥을 매번 교체할 필요 없이 적층된 밥솥이 순차 승강되며 연속적인 배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내부에 밥이 수용된 상태의 밥솥을 작업자가 직접 배식 위치로 배치시킬 때 발생하는 허리나 손목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100 : 밥솥 110 : 덮개
111 : 적층홈 120 : 돌출 단턱
200 : 하우징 210 : 수납부
211 : 제1 돌출부 211a : 수납 유도 경사면
211b : 이탈 방지턱 212 : 제2 돌출부
220 : 승강 위치 감지부 221 : 제1 위치 감지부
222 : 제2 위치 감지부 223 : 제3 위치 감지부
224 : 제4 위치 감지부 230 : 안전 지지바
240 : 이탈 감지 센서 250 : 컨트롤러
260 : 조작부 270 : 하우징 커버
300 : 승강부 310 : 승강바
311 : 보강 플레이트 311a : 밥솥 안착홈
320 : 승강 가이드 레일 320 : 승강 가이드 레일
330 : 승강 가이드 340 : 승강 스크류
350 : 승강 너트 360 : 스크류 구동 모터
370 : 승강 브라켓 380 : 승강 위치 감지 센서
400 : 상부 플레이트 410 : 인출홀

Claims (8)

  1. 밥솥(100)이 수납되는 외측을 감싸며 구비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되어 밥솥(10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300); 및
    상기 하우징(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밥솥(100)의 외측으로 평면을 이루며 식기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상부 플레이트(40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밥솥(100)이 전면으로 인출입되도록 개방되고, 내부에 밥솥(100)이 수용되는 수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210)에서 밥솥(100)이 수납되어 승강되는 양쪽 끝부분에는 밥솥(100)의 삽입은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밥솥(100)이 삽입되어 수납된 상태에서는 밥솥(100)의 양측을 지지하며 밥솥(1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돌출부(21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돌출부(211)는, 밥솥(100)이 삽입되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좁아지는 수납 유도 경사면(211a)이 형성되고, 밥솥(100)이 삽입되는 내측으로는 밥솥(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단턱에 의해 지지하는 이탈 방지턱(21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승강용 리프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서 밥솥(100)이 승강되는 경로에는 밥솥(100)이 승강되는 위치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밥솥(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승강 위치 감지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300)에는 상기 승강 위치 감지부(220)의 일측과 근접하게 설치되어 밥솥(100)과 함께 승강되며 상기 승강 위치 감지부(220)가 근접하면 밥솥(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승강 위치 감지 센서(3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승강용 리프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의 수납부(210)에서 밥솥(100)이 승강되는 외측에는 밥솥(100)이 수납부(210)를 이탈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이탈 감지 센서(2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승강용 리프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에는 상기 승강 위치 감지 센서(380) 및 이탈 감지 센서(240)에서 감지된 신호를 통해 승강부(3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250) 및 상기 컨트롤러(250)와 연동되어 밥솥(100)의 승강 등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승강용 리프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210) 내측에는 밥솥(100)이 수납되는 뒤쪽과 그 양측에 구비되어 밥솥(100)의 승강 구동 시 밥솥(100)의 위치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 돌출부(2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승강용 리프트.
  8. 삭제
KR1020230025586A 2023-02-27 2023-02-27 밥솥 승강용 리프트 KR102545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586A KR102545939B1 (ko) 2023-02-27 2023-02-27 밥솥 승강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586A KR102545939B1 (ko) 2023-02-27 2023-02-27 밥솥 승강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939B1 true KR102545939B1 (ko) 2023-06-21

Family

ID=8698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586A KR102545939B1 (ko) 2023-02-27 2023-02-27 밥솥 승강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9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135A (ko) * 1994-12-21 1996-07-20 이영득 굴러가는 기능을 가진 바이오세라믹 아이스박스
JP2009172173A (ja) * 2008-01-24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加熱装置及び配膳車
KR20130057697A (ko) * 2011-11-24 2013-06-03 문수진 배식용기 자동 승하강장치
KR101814112B1 (ko) 2016-09-19 2018-01-0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KR20220157088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라온마루 로봇 조리 시스템용 조리용기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135A (ko) * 1994-12-21 1996-07-20 이영득 굴러가는 기능을 가진 바이오세라믹 아이스박스
JP2009172173A (ja) * 2008-01-24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加熱装置及び配膳車
KR20130057697A (ko) * 2011-11-24 2013-06-03 문수진 배식용기 자동 승하강장치
KR101814112B1 (ko) 2016-09-19 2018-01-0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KR20220157088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라온마루 로봇 조리 시스템용 조리용기 자동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7957A1 (en) Large capacity pressure cooker
US7168905B1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8875620B2 (en) Automated rack/basket lifting system for deep open vat frying system
JP3434466B2 (ja) フライヤーリフティングリッド用モノレールサポート
KR102545939B1 (ko) 밥솥 승강용 리프트
KR101814112B1 (ko)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KR102550714B1 (ko) 로봇 조리 시스템용 조리용기 자동공급장치
KR102571941B1 (ko) 급식용 탕 조리시스템
KR101323806B1 (ko) 배식용기 자동 승하강장치
KR102329224B1 (ko) 식판 카트리지 결합형 식판 디스펜서
JP5903449B2 (ja) 配膳用ストック棚つき車椅子
KR101475008B1 (ko) 떡증숙장치
KR101925390B1 (ko) 가변형 식탁
KR100712446B1 (ko)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KR20180088295A (ko) 밥솥 운반용 리프트카
US5449264A (en) Apparatus for distributing products from a central uni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 units
EP2650247B1 (en) A stairlift device
CN210115920U (zh) 一种送餐机器人用餐盘罩
CN114973511B (zh) 一种食品售卖机的食品输出室结构和食品输出方法
DK177369B1 (da) Konsol samt anvendelse
KR200418147Y1 (ko)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KR102348953B1 (ko) 그릇 수거장치
CN211834112U (zh) 一种顶碗装置
JP3588819B2 (ja) 昇降キャリッジの停止位置検出装置
JP2001190407A (ja) 立体炊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