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446B1 -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446B1
KR100712446B1 KR1020060021359A KR20060021359A KR100712446B1 KR 100712446 B1 KR100712446 B1 KR 100712446B1 KR 1020060021359 A KR1020060021359 A KR 1020060021359A KR 20060021359 A KR20060021359 A KR 20060021359A KR 100712446 B1 KR100712446 B1 KR 100712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cooker
key
inner cylinde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우정
Original Assignee
한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우정 filed Critical 한우정
Priority to KR1020060021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2Catering trolle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Landscapes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증숙실을 가진 증숙기에서 증숙을 마친 적어도 2 이상의 조리기를 한개씩 또는 한꺼번에 적재하여 안전하고 편하게 다른 곳으로 운반하여 하역할 수 있고, 취급사용이 편리한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가 완전히 트이고 앞판과 뒷판의 중앙에 다단으로 잠금홈이 부가된 키 안내공을 가진 외통에, 상기 키 안내공과 동형의 키 안내공을 가지며 승강 안내공과 슬라이더 안내봉 및 스프링걸이를 가진 내통을 삽입하고, 앞면과 뒷면의 중앙에 횡장공형 키공을 가지며 양쪽 가에는 상기 승강 안내공을 관통하여 안내되는 아암과, 슬라이더 안내봉에 안내되는 슬라이더가 부착된 조리기대를 상기 내통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하며, 상기 내통의 앞뒷판 상단에 주어진 플랜지와 상기 스프링걸이 간에 조리기대용 복귀스프링을 장전하고, 상기 키 안내공을 관통하도록 끼워서 필요한 위치의 잠금홈에다 조리기대를 걸어잠그는 키로 이루어진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조리기 운반장치, 리프트형 카트, 조리기대, 키 안내공, 다단식 잠금홈.

Description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CARRYING APPARATUS FOR A STEAM KETT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의 분해도
도 2는 일부가 생략된 조리기대의 사시도
도 3은 복수 조리기를 재치할 때 조리기대의 높이 변화예를 나타낸 조 리기 운반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다층 증숙기로부터 증숙 후의 조리기를 운반대로 옮겨 실을 때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외통 21,32: 키 안내공
21a,32a: 종공 21b,32b: 잠금홈
30: 내통 33: 슬라이더 안내봉
34: 조리기대 34a: 아암
34b: 키공 35: 슬라이더
37: 스프링걸이 38: 복귀스프링
40: 키
본 발명은 다단식 증숙기에서 증숙 완료된 여러 개의 조리용기(밥솥)를 안전하게 실어 나를 수 있게 한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일 장소에서 다수인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대형 일반 음식점, 호텔, 각종 수련원, 신병훈련소, 학교 등의 주방에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밥을 지을 수 있는 대형 증숙기를 필요로 한다. 대형 증숙기는 밥솥을 다층으로 장전하도록 제작한 밥짓기 전용의 것과, 독립형 증숙실을 다층으로 꾸미고 밥 또는 밥과 국 등의 이종 조리물이 담긴 솥을 장전하여 증숙할 수 있게 제작된 것으로, 대부분 다층형이다.
이 같은 다층 증숙기에 쓰이는 조리용기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솥이나 냄비에 비해 훨씬 크고 무겁다. 여기에 조리물이 담기면 무게가 더 나간다. 다층 증숙기에서 익힌 조리물은 당해 조리용기를 인출하여 주방 내의 안전한 곳(배식부)으로 옮긴 다음에 배식 또는 급식에 임하게 된다. 대형 증숙기에서 갇 꺼낸 조리용기는 뜨거우므로 옮길 때에는 열상을 입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종래에는 이처럼 뜨겁고 무거운 조리용기를 인력으로 운반했었다. 그러기에는 너무 위험하고 힘겨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조리용기를 층층이 적층하여 증숙하도록 된 증숙기로, 또는 다층 증숙실을 가진 증숙기에서 증숙을 마친 적어도 2 이상의 조리용기를 한꺼번에 적재하여 안전하고 편하게 다른 곳으로 운반하여 하역하고, 조리물이 담긴 복수의 조리용기도 다층 증숙기의 각 증숙실에 장전하기도 편리한 다층 증숙기용 조리용기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위가 완전히 트이고 앞판과 뒷판의 중앙에는 종공과 이 종공에 다단으로 잠금공이 부가된 안내공을 가진 외통에 앞판과 뒷판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키 안내공과 동형의 키 안내공과 양쪽 가에 형성된 종형 바 안내공 그리고 상기 바 안내공의 외측에 설치된 종형 슬라이더 안내봉 및 복귀스프링의 하단 고정용 스프링걸이를 가진 내통을 삽입하고, 앞면과 뒷면의 중앙에 횡장공형 키공이 천공되고 양쪽 가에는 상기 바 안내공을 관통하여 안내되는 바와 슬라이더 안내봉에 안내되는 슬라이더가 부착된 조리기대를 상기 내통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하며, 상기 내통의 앞뒷판 상단에 주어진 플랜지와 상기 스프링걸이 간에 조리기대용 복귀스프링을 장전하고, 상기 키 안내공을 관통하도록 끼워서 필요한 위치의 잠금공에다 조리기대를 걸어잠그는 키로 이루어진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대는 외통(20)과 내통(30)을 근간으로 한다.
외통(20)은 조리기의 적재와 인출이 가능하도록 위를 완전히 틔운 대형 사각 형 통이며, 끌거나 밀고 다닐 때 이용하는 손잡이(22)가 부착된 앞판과 그 맞은 편에 위치한 뒷판의 중앙에는 키 안내공(21)이 형성되어 있다. 키 안내공(21)은 종공(21a)과 잠금홈(21b)으로 되어 있으며, 키 안내공(21) 속에 끼워진 키(40)가 조리기대(34:밥솥 받침대)를 받쳐서 고정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종공(21a)은 키(40)가 수직상으로 오르내릴 수 있는 안내홈이며, 복수개의 잠금홈(21b)은 키(40)를 고정시키는 홈으로서, 상부홈(1단) 또는 중간홈(2단) 또는 하부홈(3단) 중에서 어느 한 곳에 조리기대(34)를 고정할 때 키(40)를 수직상으로 이동시켜 해당 잠금홈(21b)에 고정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 (23)은 조리기 운반장치를 다층 증숙기에 갖다댈 때 상호 접촉으로 손상을 방지하고 잡음이 생기지 않도록 손잡이(22)에 설치한 패드이고, 조리용기를 옮겨 실을 때 중계용 지지로울러로 사용된다. 또한 (25)는 바닥에 설치된 히터로서 조리물이 식지 않도록 가온시키는데 사용된다.
내통(30)은 외통(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위로 1 이상의 조리기를 안전하게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외통(20)과 마찬가지로 위는 조리기의 자유로운 수납과 수납된 조리기의 인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위가 완전히 열린 사각형 통이며, 앞판과 그 반대편에 위치한 뒷판의 중앙에도 상기한 키 안내공(21)과 동형의 키 안내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키 안내공(32)도 잠금홈(32b) 일체형 종공(32a)으로 되어 있다. 또, 키 안내공(32)이 형성된 전, 후면판의 양측에는 조리기대(34)의 사방에 형성된 아암(34a)이 관통 설치되는 승강안내공(31)이 수직상으로 뚫려 있다. 또한 승강안내공(31)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인출된 각 아암(34a)의 외단에는 소 켓형 슬라이더(35)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승강안내공(31)의 외측에는 수직 안내봉(3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직 안내봉(33)에는 조리기대(34)의 슬라이더(35)가 승강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도 2와 함께 설명하면, 내통(30)에 설치된 조리기대(34)는 평면 형상은 내통(30)을 따르면서도 크기는 약간 작게 해서 내통(30) 내에서 자유로이 오르내릴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키 안내공(21,32)이 형성된 내통(30)의 면과 같은 면의 외면에서 양쪽 가에는 아암(34a)이 부착되어 있고 같은 방향의 아암(34a)의 외측단에는 소켓형의 슬라이더(35)가 부착되어 있다.
아암(34a)은 안내봉(33)에 끼워져 유도되는 슬라이더(35)가 조리기대(34) 상에서 내통(30) 밖에 위치하는 슬라이더(35)를 의식해 불가분 외통(20)을 관통해야 되고, 그러면서도 조리기대(34)가 오르내릴 때 아암(34a)이 장애가 되어서도 아니된다. 승강안내공(31)은 바로 이 점을 감안하여 천공한 것이다. 키공(34b)은 횡장공으로 하여 종공(21a,32a)에서 잠금홈(21b,32b)으로 키(40)를 이동시켜 외통(20)과 내통(30)에 조리기대(34)를 잠그고,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켜 외통(20)과 내통(30)에 대한 조리기대(34)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각 방향의 슬라이더(35)의 하단 간에는 복귀스프링의 하단을 거는 스프링걸이(37)도 부착되어 있다.
같은 면의 중앙에 뚫린 키공(34b)은 상기 종공(21a,32a)의 안내를 받고 잠금홈(21b,32b)에다 조리기대(34)를 걸어잠그는 막대형 키(40)를 꽂기 위한 것이다.
도 1로 돌아가서, 내통(30)의 전, 후면 상단에 주어진 플랜지(36)에는 복귀스프링(38)의 상단이 걸려지고, 스프링의 하단은 조리기대(34)의 스프링걸이(37)에 걸려져 있다. 이 복귀스프링(38)은 내통(30) 내에서 조리기대(34)가 항상 복귀방향(상향)으로 쏠리게 하고, 동시에 조리기대(34)에 적재되는 조리기의 적재량에 상응하여 탄력적으로 늘어지면서 조리기대(34)가 과하게 내려가지 못하게 받쳐주고, 또한 숫적으로 많든 적든 간에 적재된 조리기를 인출할 때에도 최상위 조리기가 항상 내통(30) 위로 노출되어 인출하기 쉽도록 조리기대(3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통(30)은 키 안내공(32)이 천공된 앞판을 슬라이더(35)가 부착된 조리기대(34)의 아암(34a)을 승강안내공(31)의 바깥쪽으로 위치하도록 내리 끼우고 상기 앞판의 양측에 측판의 양단을 맞대어 용접하며, 조리기대(34)를 내통(30)의 위쪽으로 한껏 올린 상태에서 플랜지(36)와 스프링걸이(37)에 복귀스프링(38)을 장전하여 완성한다.
키(40)는 내,외통(30,20)의 키 안내공(32,21)을 모두 횡단하여 잠금홈(32b) (21b)에 걸어잠글 수 있을 정도로 긴 환봉이다.
상기한 외통(20)에 상기한 내통(30)을 삽입하고, 각 방향의 종공(21a,32a)이 동일 선상에 놓이게 조정한 후 그 종공(21a,32a)을 관통하도록 끼우면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가 완성된다.
또한 외통(20)의 하단에 설치된 리프트형 승강조절장치는 커버를 씌워서 외관이 깨끗하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위의 요령으로 조립한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에서 조리기대(34)를 위로 올리고 잠금홈(21b,32b) 중에서 최상위 잠금홈에 키(40)를 걸어잠근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 4와 같이 다층 증숙기(A)에서 그 상단에 버금가는 높이에 위치하는 증숙실에 장전된 조리기(B)를 인출하여 옮겨싣거나 익힐 조리물이 담긴 조리기(B)를 다층 증숙기로 옮겨 각 증숙실에 장전할 때에 이런 식으로 조정한다. 이때 만약, 조리기 운반장치의 상단보다도 훨씬 높은 곳에 위치한 다층 증숙기의 증숙실에서 조리기를 인출하거나 장전하는 경우에는 X바형 카트(10)를 이용하여 위치를 이동하고 증숙기와 일치하도록 조리기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다층 증숙기(A)에 다가가서 잭(12)으로 X바(11)를 잭업하여 조리기의 인출 또는 장전높이를 조정한다.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B)는 내통(30)의 안쪽 평면적 이내로 제한하여 2 이상의 조리기를 적층하여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잠금홈(21b,32b) 중에서 상단 홈에 꽂힌 키(40)를 빼 종공(21a,32a)으로 옮긴 상태에서 다층 증숙기로부터 증숙이 완료된 조리기를 옮겨 싣는 것으로 가정하자. 조리기대(34)는 복귀스프링(38)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그보다 큰 조리기의 무게 때문에 내려간다. 하지만 복귀스프링(38)의 강력한 저항을 받기 때문에 조리기대(34)의 하강에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하강폭이 중간 키홈에 위아래로 근접한 경우이고 적재되는 조리기도 한 대 뿐이라면 키(40)의 양단을 잡고 내리거나 올리는 방법으로 중간 키홈에 맞춰서 걸어잠근다. 이리하면 내통(30) 내에서 조리기대(34)가 안정된다.
처음 적재한 조리기 위로 다른 조리기를 추가 적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 럴 때에는 중간 키홈에 키(40)를 잠그지 않은 상태로 방치하는 가운데 제2 조리기를 적재한다. 그러면 제2 조리기의 무게가 더해짐에 따라 조리기대(34)는 그에 상응하는만큼 복귀스프링(38)을 인장하면서 거기서 더 내려간다. 이때 키(40)가 중간과 하단 키공 사이에 위치하고 그 상태로 운반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키(40)의 양단을 잡아내려서 중간 키홈에 맞춰서 걸어잠가 내통(30) 내에서의 조리기대(34)의 안정을 도모한다. 이런 방법으로 제3 이상의 조리기도 추가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익히고자하는 조리물이 담긴 적어도 1 이상의 조리기를 싣고 다층 증숙기로 이동하여 증숙실에 장전할 때에는 순리상 최상위 조리기부터 하역하게 되므로 조리기대(34)에 작용하는 부하는 그곳을 떠나는 조리기의 수에 상응하는만큼 줄고, 점차적인 감량에 따라 조리기대(34)는 복귀스프링(38)에 의해 단계적으로 상승하다가 모든 조리기가 떠난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대로 본 발명의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는 증숙을 마친 적어도 2 이상의 조리기를 한꺼번에 옮겨 싣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다른 곳으로 운반할 수 있고, 리프트형 승강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운반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증숙기로 부터 뜨거운 조리용기를 안전하게 옮겨 실을 수 있고, 조리용기를 탑재한 상태로 뚜껑을 열고 내용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익힐 조리물이 담긴 복수의 조리기를 다층 증숙기로 옮겨 장전할 때에도 그 임무를 안전하고 편하게 수 행할 수 있어 대형주방이나 단체급식소 등에서 음식물 운반용 및 이동식 급식대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하부에는 지면에 대한 운반대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리프트형 카트(10)가 설치되고, 앞판과 뒷판의 중앙에는 키 안내공(21)을 가진 외통(20)과;
    앞판과 뒷판의 중앙에 상기 키 안내공(21)과 동형의 키 안내공(32)을 가지며 전후면 양쪽 가에는 승강 안내공(31)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안내공(31)의 외측에 종형 슬라이더 안내봉(33)을 가지며 상기 외통(20)에 삽입 설치되는 내통(30)과;
    앞면과 뒷면의 중앙에 횡장공형 키공(34b)이 천공되고, 전후면 양쪽 가에는 상기 승강안내공(31)을 관통하여 안내되는 아암(34a)을 가지며, 각 아암(34a)의 전단부에는 슬라이더 안내봉(33)에 끼워져 안내되는 슬라이더(35)가 형성되고, 양쪽 슬라이더(35)의 하단부에는 복귀스프링의 하단 고정용 스프링걸이(37)를 가지며 상기 내통(30)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한 조리기대(34)와;
    상기 내통(30)의 앞, 뒷판 상단에 주어진 플랜지(36)와 상기 조리기대의 스프링걸이(37)간을 마주 걸어서 장전한 조리기대용 복귀스프링(38); 및
    상기 키 안내공(21,32)을 관통하도록 끼워서 필요할 때 잠금홈(21b,32b)에 조리기대(34)를 걸어잠그는 키(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통(20)과 내통(30)의 앞, 뒷판 중앙에 형성된 키안내공(21)(32)은 수직상의 종공(21a)(32a)과 이 종공(21a)(32a)에 다단의 잠금홈(21b) (32b)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외통(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리프트형 카트(10)는 잭(12)에 의해서 승강 작동되는 X바(11)와, 하체에 설치된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KR1020060021359A 2006-03-07 2006-03-07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KR100712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359A KR100712446B1 (ko) 2006-03-07 2006-03-07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359A KR100712446B1 (ko) 2006-03-07 2006-03-07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143U Division KR200418147Y1 (ko) 2006-03-07 2006-03-07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2446B1 true KR100712446B1 (ko) 2007-05-02

Family

ID=3826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359A KR100712446B1 (ko) 2006-03-07 2006-03-07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4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112B1 (ko) * 2016-09-19 2018-01-0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KR102002819B1 (ko) * 2019-02-15 2019-07-23 이수현 취반기용 밥솥 이송장치
CN110680092A (zh) * 2019-11-08 2020-01-14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餐具回收机器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660A (ko) * 2000-06-27 2002-01-05 전병수 초임계 및 아임계 이산화탄소와 보조용매를 이용한 해조류 및 갑각류(게, 새우), 극피동물(유령멍게, 불가사리, 성게 등)로부터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 색소 추출 및 해취 제거 방법 (이취,불쾌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660A (ko) * 2000-06-27 2002-01-05 전병수 초임계 및 아임계 이산화탄소와 보조용매를 이용한 해조류 및 갑각류(게, 새우), 극피동물(유령멍게, 불가사리, 성게 등)로부터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 색소 추출 및 해취 제거 방법 (이취,불쾌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66074000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112B1 (ko) * 2016-09-19 2018-01-0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KR102002819B1 (ko) * 2019-02-15 2019-07-23 이수현 취반기용 밥솥 이송장치
CN110680092A (zh) * 2019-11-08 2020-01-14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餐具回收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905B1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KR920005882B1 (ko) 압력 쿠커
US7276677B1 (en) Pressure cooking vessel
WO2017095746A1 (en) Portable outdoor cooker
CN108065765B (zh) 食物蒸锅与托架系统
US6926001B2 (en) Oven rack
US8025007B1 (en) Turkey fryer with vertically stacking cooking racks
KR100712446B1 (ko)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KR20100091907A (ko) 수납고
CA2804660A1 (en) Quick attaching chafing dish handle configured for safe chafing dish placement and removal and for nesting chafing dish storage
US5307789A (en) Multi-purpose gas heated cooking apparatus
US11297982B2 (en) Cake carrier
KR200418147Y1 (ko)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
US6588325B1 (en) Deep fat fryer lifting assembly
KR101814112B1 (ko)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US6415934B1 (en) Food product cooking basket
KR101925390B1 (ko) 가변형 식탁
US2156214A (en) Rack for rectangular roasters
US2941856A (en) Mobile carrier and dispenser in combination with a food service unit
KR101333085B1 (ko) 다용도 주방가구
CN211910989U (zh) 一种模块化可移动收放式厨柜
JP2003033236A (ja) 台所用棚
KR102545939B1 (ko) 밥솥 승강용 리프트
CN218651485U (zh) 餐桌
CN220546127U (zh) 一种蒸箱抽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