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085B1 - 다용도 주방가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주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085B1
KR101333085B1 KR1020110122167A KR20110122167A KR101333085B1 KR 101333085 B1 KR101333085 B1 KR 101333085B1 KR 1020110122167 A KR1020110122167 A KR 1020110122167A KR 20110122167 A KR20110122167 A KR 20110122167A KR 101333085 B1 KR101333085 B1 KR 101333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kitchen
lifting
furniture body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523A (ko
Inventor
정운창
Original Assignee
정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창 filed Critical 정운창
Priority to KR1020110122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08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가족화 되며 1인 가구가 늘어 가는데 따라 비교적 소형으로 지어지는 다가구 주택의 주방이나 원룸형 주택의 주방에 설치되는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내부에 냉장고가 구비된 가구본체와, 상기 가구본체에 수납된 냉장고의 타측 공간에 전기밥통과 같은 소형 가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수납부와, 상기 가구본체 상면으로 승하강 되도록 구성되며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선반과, 가구본체 전면으로 회동되는 테이블과 슬라이딩되며 착탈되는 좌석판으로 구성된 식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송시 전체 부피를 축소하여 이송의 편의성과, 주방에 설치한 후에도 필요에 따라 식탁부를 펼치거나 닫아두어 주방공간의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용도 주방가구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주방가구{Versatile kitchen furniture}
본 발명은 주방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식탁 및 선반을 일체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핵가족화와 1인 가구가 늘어 가는데 따라 비교적 소형으로 지어지는 다가구 주택의 주방이나 원룸형 주택의 주방에 설치되는 냉장고가 내장된 가구본체와, 상기 가구본체의 상면에서 승하강 되는 수납선반과, 가구본체 전면으로 펼쳐지는 식탁부를 구비하여 사용시 주방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된 다용도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되는 주방용 가구는 각종 식기류, 조리용구 및 주방용 전자제품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벽체 상단에 설치되는 수납선반이나 싱크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납하거나 걸어두어 주방을 사용하는 이가 조리를 하기에 편리함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방가구는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과, 식사를 할 수 있는 테이블과 의자 및 냉장고 등의 모든 주방 용품이 각기 주방의 한 자리를 차지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주방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게 설치된 붙박이형 주방가구는 주방의 한 공간을 분할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기 다른 공간 부분에 놓여져 주방의 공간을 차지하므로 주방 공간이 많이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주방 사용시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불편함을 갔게 된다.
특히 핵가족화 되어가며 1인 가구가 늘어 가는 추세에 따라 주택의 소형화 및 독신자들을 위한 원룸에 설치되는 다양한 주방가구와 주방용 전자용품이 주방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주방이 협소해지고, 이로인해 요리등을 하기에 부적합하게 주방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붙박이형으로 설치되는 주방가구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선출원된 출원번호 제20-1997-014600호의 싱크대 수납 이동식탁은 붙박이형 싱크대와, 상기 붙박이 싱크대에 수납될 수 있도록 다리에 롤러가 부착된 이동식탁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이동식탁을 싱크대에서 꺼내 사용함으로서 주방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주방에 설치된 싱크대와 겹쳐질 수 있는 주방가구는 단순히 식탁하나에 한정되어 식탁을 사용하기 위한 의자는 여전히 주방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그외의 주방가구와 전자제품은 여전히 주방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전체 주방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주방가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핵가족 또는 미혼 독신자들을 위해 건설된 소형 주택 또는 원룸에서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기 구비되는 주방가구를 일체화하여 주방가구의 이동 및 설치가 쉬우며, 주방에 설치 후 주방을 차지하는 부피가 최소화되어 주방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크기로 형성되어 일측 공간에는 상부 개폐형 냉장고가 설치되는 냉장고수납부가 형성되고, 냉장고수납부 타 측으로 소형 가전제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자기기수납부가 형성된 가구본체와, 상기 냉장고수납부에 안치되며 가구본체와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냉장고와, 상기 가구본체 전면으로 회동되는 테이블 및 좌석판으로 구성된 식탁부를 갖는 다용도 주방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여러 주방가구를 하나로 통합 구성하여, 핵가족화와 미혼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건설된 소형주택이나 원룸과 같이 소형으로 지어진 주택의 좁은 주방에 가구본체에서 승하강되도록 형성된 수납선반 및 가구본체 전면으로 회동되어 펼쳐지는 식탁부와 의자와 같이 전체부피가 가변되어 이동이 쉽고, 주방에 주방가구를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가구본체에 회동 및 슬라이딩되어 밀착되는 식탁부로 인해 주방 공간을 더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러 종류의 주방가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어 주방을 꾸리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힌 상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펼쳐진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납선반의 승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방가전제품 수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식탁부를 구성하는 테이블과 좌석의 작동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확대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수납부의 작동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냉장고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냉장고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가구의 절첩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다용도 주방가구는 냉장고 수납부와, 주방전자기기 수납부가 형성된 일정크기의 가구본체(100)와, 상기 가구본체 상부에 위치하며 승하강 되는 수납선반(200)과, 상기 가구본체(100) 전면으로 펼쳐질 수 있는 식탁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가구본체(100)는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선반(200)이 승하강 작동되어 설치 및 해체될 수 있도록 후방 양측으로 승강가이드(110)가 형성되며, 승강가이드(110)에는 가구본체(100) 측면으로 승강가이드(110)를 타고 승하강 되는 수납선반(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홀(112)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하부 양단에는 좌석부(320)이 슬라이딩 되며 가구본체(100)의 하부 전면에 밀착되거나 일정간격 이격 되도록 슬라이딩가이드(150)가 형성된다.
상기 가구본체(100) 일측에는 냉장고(10)를 수납할 수 있는 냉장고 수납부(120)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전자렌지 및 밥통 등의 소형 주방 가전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수납부(130)가 구성되며, 전자기기수납부(130)의 하부에는 주방 가전용품을 전자기기수납부(130)에 안치한 상태에서 주방 가전용품을 노출되게 하거나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되게 전자기기수납부(130)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캠과 같이 작동되는 작동구(140)가 결합구성되며, 작동구(140)의 양측단에는 작동구(140)를 회동시킬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회동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12)의 일단이 체결되고, 스프링(12)의 타측단은 가구본체(100) 내부에서 작동구(140)를 당겨주도록 전자기기수납부(130)의 양측 후방에 체결되며, 작동구(140)의 양측면에는 작동구(140)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손잡이(142)가 형성된다.
상기 전자기기수납부(140)의 내부 하측에는 전자기기가 놓여져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승강판(132)이 구비되고, 승강판(132)이 놓여진 바닥면은 일정부분 개구되어 작동구(140)가 승강판(130)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자기기수납부(130)는 앞뒤로 놓여지는 전자제품의 사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뒤쪽 수납공간에는 전자기기를 수납할 수 있게 하되 상부에 수납부를 개폐하는 받침도어(134)를 구비하여 전자제품을 꺼내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하며, 전자기기수납부(140)의 앞쪽 수납공간에만 승강판(132)을 구성하여 작동구(140)를 회동시키는데 따라 승하강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수납부(120)에는 냉장고(400)가 안치되되 냉장고(400)는 냉장실(401)에서 승하강 되는 승강부가 형성되고, 냉장고(400)의 냉각하는 구동부(400a)는 냉장실(401)의 공간이 최대화 되도록 작동구(140)의 후면의 여유 공간에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400)에 구성된 승강부는 상면 덮개(406)를 닫았을 때 테이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덮개(406)를 열었을 때 수납된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냉장실(401) 내부 양측 벽면에 가이드홈(402)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승강케이지(410)의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409)가 구비되며, 후면에는 냉장고(400) 내부에 삽입되는 승강케이지(41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웨이트(420)가 승하강 작동되도록 웨이트작동공(404)이 형성되며, 냉장고(400)에서 웨이트작동공(404)과 냉장실(401)을 나누는 격벽 상부에는 웨이트(420)와 승강케이지(410)를 연결하는 와이어(422)가 감겨 중심축으로서 힘의 방향을 전화시키는 롤(408)이 결합된다.
상기 냉장고(400) 내부에는 덮개(406)를 열었을 때 수납된 식품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식품이 수납되며 냉장고(400)의 냉장실(401)에서 일정 간격 승하강 작동되는 승강케이지(410)가 삽입결합되되 승강케이지(410)의 상부 양측에는 가이드홈(402)에 끼워지는 돌기(412)가 형성되며, 승강케이지(410)는 냉장고의 냉기가 순활될 수 있는 순환공(414)이 망으로 형성된다.
상기 냉장고(400) 후면에 형성된 웨이트작동공(404)에는 승강케이지(410)에 담기는 식품의 무게를 감안하여 일정 무게를 갖도록 형성된 웨이트(420)가 삽입되며, 웨이트(420)의 양단과 승강케이지(410)의 양단은 와이어(422)로 연결되며 와이어(422)는 상기 롤(408)에 감겨 웨이트(420)와 승강케이지(410)에 작용되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상기 수납선반(200)은 가구본체(100) 상부에 위치하며 가구본체(100) 상면에서 일정높이로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후단 하부에 일정 길이의 승강봉(210)이 형성되어 가구본체(100) 후방 양측에 형성된 승강가이드(110)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승강봉(210)에는 승강가이드(110)에 형성된 고정홀(112)을 통해 끼워지는 고정핀(14)이 통과되며 승강 높이 조절하며 고정되도록 다수의 고정홀(112)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선반(200)은 상부 수납선반(220)과 하부 수납선반(230)으로 나누어져 절첩되도록 형성되되, 절첩되어 가구본체(100)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전체 형상이 사각형상을 이루 도록 상부 수납선반(200)과 하부 수납선반(200)은 내측 모서리 부분을 힌지 체결된다.
상기 식탁부(300)는 가구본체(100) 전면 상측으로 일정 폭으로 형성된 테이블(310)의 일단이 펼쳤을 때 가구본체(100) 상면과 평평해 지도록 힌지 결합되어 가구본체(100) 전면에서 절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이블(310) 저면 양측으로는 테이블(310)을 펼쳤을 때 자중에 의해 낙하되며 테이블(310)이 접히지 않도록 받쳐주는 테이블 받침대(312)가 힌지 결합된다.
상기 테이블(310)이 구성된 하부로 가구본체(100) 하부 전면에 밀착되거나 일정간격 떨어져 테이블(310)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좌석부(320)이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좌석부(320)은 가구본체(100) 하부 양측으로 형성된 슬라이딩가이드(150)에 삽입되어 좌석부(320)을 가구본체(100) 전면에 밀착 또는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조절하는 다리받침(322)과, 다리받침(322)에서 상측으로 일정 길이 평판으로 된 좌석다리(334)와, 좌석다리(334)의 내벽 상단에 결합되어 회동되게 결합되는 좌석판(336)과, 좌석판(336)의 바닥면에는 좌석판(336)이 펼쳐질 때 자중에 의해 펼쳐지는 좌석지지대(336a)가 좌석판(336)의 양단에서 좌석판(366)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가구는 첨부된 도면의 절첩순서도와 같이 다용도 주방가구를 가구본체(100) 상면에 위치한 수납선반(200)을 일정 높이로 들어올리며 가구본체(100)의 측면으로 관통된 고정홀(112)을 통해 승강가이드(110)와 승강봉(210)을 고정핀(14)으로 고정시키고, 가구본체(100)의 전면에 밀착되어 구성된 식탁부(300) 중 상부에 있는 테이블(310)을 전방으로 펼치며 테이블(310)에 가려져 있던 테이블 받침대(312)를 펼쳐 식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며, 하부에 밀착되어 있는 좌석판(336)을 전면으로 끓어내며 좌석판(336)을 회동시켜 펼치게 되면, 좌석판(336)과 좌석다리(334)를 연결하는 좌석다리(334) 중 좌석다리(334)의 가이드 홈(334a)에 결합된 일단이 승강되며 가이드 홈(334a)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334b)에 걸려 좌석판(336)이 접히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식탁부(300)는 요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측에 수납 형성된 냉장고 수납부(120)에 삽입되어 위치된 냉장고(400)는 덮개(406)를 열고 승강케이지(41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냉장고(400) 후면에 위치하며 와이어(422)로 승강케이지(410)와 연결 결합된 웨이트(420)의 무게로 인해 승강케이지(410)가 상부로 쉽게 들어 올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케이지(410)에 식품이 많이 담겨 웨이트(420) 보다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될 경우 빠르게 하강 될 때 냉장실(401) 바닥면에 구비된 완충부재(409)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냉장고(4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냉장고 수납부(120)의 타측에 형성된 전자기기수납부(130)에 삽입된 밥통을 빼내기 위해 전자기기수납부(130)의 하부에 결합된 작동구(14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곡면으로 형성된 작동구(140)가 전자기기가 올려진 승강판(132)을 밀어올려 가구본체(100) 상부로 노출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작동구(140)는 양측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손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가구는 상술한 바와같이 펼치는 작업을 역순으로 하여 그 부피를 축소할 수 있으며, 일정한 주방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주방가구가 하나로 절첩 가능하게 통합되어 있어 주방에 가구를 들여 놓을 때 부피를 축소하여 쉽게 들여놓을 수 있게 되며, 또한 하나의 주방가구에 수납선반과 냉장고 및 식탁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주방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어 주방공간의 활용도가 올라가고, 또한 일측으로 주방전자제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주방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
10 : 냉장고 12 : 스프링 14 : 고정핀
100 : 가구본체 110 : 승강가이드 112 : 고정홀
120 : 냉장고 수납부 130 : 전자기기수납부 132 : 승강판
134 : 받침도어 140 : 작동구 142 : 손잡이
150 : 슬라이딩가이드
200 : 수납선반 210 : 승강봉 220 : 상부 수납선반
230 : 하부 수납선반
300 : 식탁부 310 : 테이블 312 : 테이블 받침대
320 : 좌석 322 : 다리받침 334 : 좌석다리
336 : 좌석판

Claims (5)

  1. 다용도 주방용 가구에 있어서,
    일측에 상면 개폐형 냉장고를 수납할 수 있는 냉장고 수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소형 전자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수납부가 형성된 가구본체와,
    상기 냉장고 수납부에는 식품이 놓여지며 승하강되는 승강부가 형성된 가구본체와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냉장고와,
    상기 가구본체 상부에 승하강 작동되어 전체 부피를 축소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선반과,
    상기 가구본체 전면에는 절첩 가동되어 필요에 따라 펼쳐지는 식탁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주방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선반이 가구본체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가구본체 후방 양측에는 승강가이드가 형성되고, 수납선반의 하부 양측에는 승강가이드에 삽입결합 되어 수납선반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승강봉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선반의 높이를 조정 후 위치 고정되도록 가구본체와 승강가이드는 관통된 고정홀이 형성되고, 승강봉에는 다수의 가구본체와 승강가이드의 고정홀과 연통되는 고정홀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주방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본체 전면에 형성된 식탁부는
    가구본체의 상단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하부에 위치하며 가구본체 전면으로 슬라이딩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된 좌석부로 구성되되
    상기 테이블 저면 양측에는 테이블을 펼쳤을 때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테이블의 저면과 가구본체의 전면에 각기 일면이 접촉되어 테이블이 접히지 않도록 지지하는 테이블 받침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좌석부는 가구본체에 밀착되어 있다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가구본체 하부 양측에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가이드에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딩 작동되는 다리받침과, 다리받침의 선단 상측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평판으로 된 좌석다리와, 상기 좌석다리의 가구본체 접촉면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좌석판과, 좌석판의 저면 양단에서 좌석판을 펼쳤을 때 좌석판이 접히지 않게 지지하는 일단이 좌석판 저면에 힌지 결합된 좌석지지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주방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냉장고의 냉장실에 삽입되는 승강케이지와,
    냉장실의 후면을 이루는 격벽 후방에 형성된 웨이트작동공에 설치되는 일정 무게를 갖도록 형성된 웨이트와,
    상기 승강케이지의 양단과 웨이트의 양단을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되되,
    상기 승강케이지와 웨이트를 연결한 와이어는 힘의 방향을 전환 시킬 수 있도록 냉장실의 후면을 이루는 격벽 상부 양측에 결합된 롤에 감겨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주방가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수납부는 주방용 전자기기를 수납할 수 있게 일정 공간을 확보하여 형성하며, 내부 바닥면에는 전자기기가 놓여져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승강판이 구비되고, 승강판이 놓여진 바닥면은 일정부분 개구되며, 이 개구된 공간으로 승강판을 승하강 시키는 작동구의 일단이 축설되어 구성되되, 작동구의 타측단에는 스프링으로 가구본체 내부 후면과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작동구를 쉽게 회동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주방가구.
KR1020110122167A 2011-11-22 2011-11-22 다용도 주방가구 KR10133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167A KR101333085B1 (ko) 2011-11-22 2011-11-22 다용도 주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167A KR101333085B1 (ko) 2011-11-22 2011-11-22 다용도 주방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523A KR20130056523A (ko) 2013-05-30
KR101333085B1 true KR101333085B1 (ko) 2013-11-27

Family

ID=4866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167A KR101333085B1 (ko) 2011-11-22 2011-11-22 다용도 주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421B1 (ko) 2014-03-13 2015-10-26 우대곤 의자 일체형 원탁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386B1 (ko) 2014-03-07 2015-03-05 변무현 싱크대물막이의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033A (ja) * 1993-10-25 1995-05-09 Hasebe:Kk 調理台ユニット
JP4201650B2 (ja) 2003-06-09 2008-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キッチン装置
KR20110023029A (ko) * 2009-08-28 2011-03-08 이명호 일체형 다용도 식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033A (ja) * 1993-10-25 1995-05-09 Hasebe:Kk 調理台ユニット
JP4201650B2 (ja) 2003-06-09 2008-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キッチン装置
KR20110023029A (ko) * 2009-08-28 2011-03-08 이명호 일체형 다용도 식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421B1 (ko) 2014-03-13 2015-10-26 우대곤 의자 일체형 원탁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523A (ko)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1486C2 (ru) Раздвижные полки для холодильников и морозильников
CN101379354A (zh) 与家用设备相关的改进
US117711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od dehydration
US10709295B2 (en) Drying storage unit
KR101333085B1 (ko) 다용도 주방가구
KR20210091516A (ko) 다양한 활용을 위한 복합주방가구
KR20140025955A (ko)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KR20080011524A (ko)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WO2006067505A1 (en) Extendible refrigerator/appliance
KR100592479B1 (ko) 멀티 식탁
JP5199145B2 (ja) 収納庫
CN211672995U (zh) 一种新型带抽屉式多功能取暖桌
CN221060022U (zh) 一种厨房用组合柜
CN215590585U (zh) 一种具有集成式舱门的房车外厨房
CN216822336U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家具橱柜
CN215685885U (zh) 一种餐厅服务柜
JPH05130919A (ja) アイランドキツチン
KR100282654B1 (ko) 다용도 이동식 조리대
JP5448483B2 (ja) 収納庫
KR200363200Y1 (ko) 김치 냉장고에 적합한 선반
CN213664344U (zh) 一种多功能橱柜
KR200358395Y1 (ko) 주방용 가구
CN218650972U (zh) 一种带有可隐藏式餐桌的柜子
US20060107847A1 (en) Retractable small appliance caddy
KR200438650Y1 (ko) 식탁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