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648B1 -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648B1
KR102545648B1 KR1020210001995A KR20210001995A KR102545648B1 KR 102545648 B1 KR102545648 B1 KR 102545648B1 KR 1020210001995 A KR1020210001995 A KR 1020210001995A KR 20210001995 A KR20210001995 A KR 20210001995A KR 102545648 B1 KR102545648 B1 KR 10254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flow path
way valve
temperat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9735A (ko
Inventor
신용복
Original Assignee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6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01P2005/105Using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가 최대한 보장될 수 있게 하고, 전기자동차의 성능 향상으로 인해 높은 에너지가 사용되면서 발열량 또한 증대되는 추세에서 모터를 포함한 전기 부품의 발열을 제어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성능 및 수명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은, 저온 라디에이터(LTR), 라디에이터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팬을 포함하는 방열부와,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유출구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는 제1 단위유로, 상기 라디에이터의 유입구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PE모듈을 연결하는 제2 단위유로,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의 유입구와 상기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는 제3 단위유로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유출구와 상기 PE모듈을 연결하는 제4 단위유로를 포함하는 유로부와, 상기 제3 단위유로 및 제4 단위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1 사방밸브와, 상기 제1 단위유로 및 제2 단위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2 사방밸브와, 상기 제4 단위유로 상에 상기 제2 사방밸브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 펌프와, 상기 제1 단위유로 상에 상기 제1 사방밸브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2 펌프와, 상기 방열부, 제1 사방밸브, 제2 사방밸브,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가 최대한 보장될 수 있게 하고, 전기자동차의 성능 향상으로 인해 높은 에너지가 사용되면서 발열량 또한 증대되는 추세에서 모터를 포함한 전기 부품의 발열을 제어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성능 및 수명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엔진과 변속기로 대표되는 내연기관의 동력전달시스템과는 다르게 전기자동차에서는 모터, 전력변환장치 및 배터리가 그 역할을 분담하여 동력의 발생, 변화 및 저장 역할을 각각 수행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동력전달시스템을 통한 발열은 대부분 전류의 흐름에 의하여 발생된다.
그리고 최근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 증대 및 동력 성능의 향상으로 인해 전기자동차의 동력전달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부품에서의 발열량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열관리를 위한 시스템이 기존의 공냉식에서 수냉각 방식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한편, 전기자동차는 엔진 열원이 없으므로, 겨울철 실내의 난방을 위해서 통상 저항(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실내에 공급한다.
그러나 이러한 난방 방식은 1회 충전을 통한 주행가능거리를 줄이고, 이는 전기자동차의 성능, 상품성 등의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발전과 더불어 기존의 에어컨 시스템을 포함한 통합적인 열관리 시스템의 중요성이 전기자동차 산업의 중요한 기술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즉, 상술한 것처럼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와는 달리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원을 가지고 있지 않아 겨울철 난방 에너지를 배터리 전원에서 활용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난방에 따른 배터리 소모는 해당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 감소로 이어지므로,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열관리 시스템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모터를 포함한 구성품에서의 발열량을 더욱 증대될 것이고, 이와 같이 높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데 따른 모터를 포함한 전기 부품의 발열을 제어하고, 배터리의 성능 및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열관리 시스템의 제공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33115호(2019.03.29.공개), “전기 자동차 통합 열관리시스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41415호(2019.04.22.공개), “열 커패시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및 완전 전기 자동차들을 위한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190331호(2012.10.11.공고), “전동식 워터 펌프”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가 최대한 보장될 수 있게 하고, 전기자동차의 성능 향상으로 인해 높은 에너지가 사용되면서 발열량 또한 증대되는 추세에서 모터를 포함한 전기 부품의 발열을 제어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성능 및 수명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동력전달시스템에 대한 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저온 라디에이터(LTR), 라디에이터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팬을 포함하는 방열부와,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유출구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는 제1 단위유로, 상기 라디에이터의 유입구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PE모듈을 연결하는 제2 단위유로,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의 유입구와 상기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는 제3 단위유로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유출구와 상기 PE모듈을 연결하는 제4 단위유로를 포함하는 유로부와, 상기 제3 단위유로 및 제4 단위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1 사방밸브와, 상기 제1 단위유로 및 제2 단위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2 사방밸브와, 상기 라디에이터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PE모듈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상기 제4 단위유로 상에 상기 제2 사방밸브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 펌프와,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배터리 모듈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상기 제1 단위유로 상에 상기 제1 사방밸브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2 펌프와, 상기 방열부, 제1 사방밸브, 제2 사방밸브,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셀 온도에 따라 상기 팬, 제1 사방밸브, 제2 사방밸브,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작동모드, 상기 PE모듈의 온도에 따라 상기 팬, 제1 사방밸브, 제2 사방밸브,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작동모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장치들 온도에 따라 상기 팬, 제1 사방밸브, 제2 사방밸브,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3 작동모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팬, 제1 사방밸브, 제2 사방밸브,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4 작동모드가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작동모드에는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가 5℃를 초과할 때 상기 제1 사방밸브를 상기 제1 단위유로 및 제2 단위유로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사방밸브를 상기 제3 단위유로 및 제4 단위유로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팬은 오프(OFF) 시키고 제1 펌프 및 제2 펌프는 온(ON) 시키고 작동회전속도 1000RPM으로 VCU(Vehicle Control Unit, 전자제어장치) 지령 RPM 제어시키는 제1 모드와,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가 0℃ 미만일 때 상기 팬은 오프(OFF) 시키고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는 온(ON) 시키고 상기 제1 사방밸브는 상기 제3 단위유로 및 제4 단위유로에 대한 폐쇄 상태로 작동시키며 상기 제2 사방밸브는 상기 제1 단위유로 및 제2 단위유로에 대한 폐쇄 상태로 작동시키는 제2 모드와,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가 0∼5℃일 때 상기 팬은 오프(OFF) 시키고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는 온(ON) 시키고 상기 제1 사방밸브는 상기 제3 단위유로 및 제4 단위유로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며 상기 제2 사방밸브는 상기 제1 단위유로 및 제2 단위유로에 대한 폐쇄 상태로 작동시키는 제3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작동모드에는 상기 PE모듈의 온도가 30℃ 미만일 때 상기 팬은 로우(Lo)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는 온(ON) 시키는 제1 모드와, 상기 PE모듈의 온도가 30∼65℃일 때 상기 팬은 하이(Hi)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는 온(ON) 시키는 제2 모드와, 상기 PE모듈의 온도가 65℃를 초과할 때 상기 팬은 하이(Hi)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는 온(ON) 시키는 제3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작동모드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장치들 온도가 5∼15℃일 때 상기 제2 펌프를 온(ON) 시키고 작동회전속도 최소 1000RPM으로 VCU지령 RPM 제어시키는 제1 모드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장치들 온도가 15∼30℃일 때 상기 제2 펌프를 온(ON) 시키는 제2 모드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장치들 온도가 30℃를 초과할 때 상기 제2 펌프를 온(ON) 시키는 제3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작동모드의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펌프는 온(ON) 상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작동모드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충전 방식이 고속 충전인 동시에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가 5℃ 이상일 때 상기 제1 펌프를 온(ON) 시키고 작동회전속도 최소 1000RPM으로 VCU지령 RPM 제어시키고 상기 제2 펌프를 온(ON) 시키는 제1 모드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충전 방식이 일반 충전인 동시에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가 5℃ 이상일 때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를 각각 온(ON) 시키는 제2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작동모드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압강하로 인해 LDC가 작동 시 상기 제1 펌프를 온(ON) 시키는 제3 모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작동모드에는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가 50℃ 이상으로 상승 시 충전을 중지하는 제4 모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가 최대한 보장될 수 있게 되고, 전기자동차의 성능 향상으로 인해 높은 에너지가 사용되면서 발열량 또한 증대되는 추세에서 모터를 포함한 전기 부품의 발열이 제어되는 동시에 배터리의 성능 및 수명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의 작동모드별 유로 연결 및 밸브 개폐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의 작동모드별 유로 연결 및 밸브 개폐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은 방열부(10), 유로부(20), 제1 사방밸브(30), 제2 사방밸브(40), 제1 펌프(50), 제2 펌프(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열부(10)는 저온 라디에이터(LTR, 11), 라디에이터(12) 및 라디에이터(12)의 팬(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로부(20)는 저온 라디에이터(11) 유출구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100)을 연결하는 제1 단위유로(21), 라디에이터(12)의 유입구와 전기자동차의 PE모듈(200)을 연결하는 제2 단위유로(22), 저온 라디에이터(11)의 유입구와 배터리 모듈(100)을 연결하는 제3 단위유로(23) 및 라디에이터(11)의 유출구와 PE모듈(200)을 연결하는 제4 단위유로(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PE모듈(200)은 모터, 인버터, 감속기 등을 통합한 것으로서, 내연기관의 엔진 및 파워트레인에 대응되는 구성을 말한다.
제1 사방밸브(30)는 유로부(20)의 제3 단위유로(23) 및 제4 단위유로(24) 상에 설치된다.
제2 사방밸브(40)는 유로부(20)의 제1 단위유로(21) 및 제2 단위유로(22) 상에 설치된다.
제1 펌프(50)는 라디에이터(12)의 유출구로부터 전기자동차의 PE모듈(200)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유로부(20)의 제4 단위유로(24) 상에 제2 사방밸브(40)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2 펌프(60)는 저온 라디에이터(11)의 유출구로부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100)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유로부(20)의 제1 단위유로(21) 상에 제1 사방밸브(30)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어부(70)는 방열부(10), 제1 사방밸브(30), 제2 사방밸브(40),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70) 배터리 모듈(100)의 배터리셀 온도에 따라 팬(13), 제1 사방밸브(30), 제2 사방밸브(40),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작동모드, PE모듈(200)의 온도에 따라 팬(13), 제1 사방밸브(30), 제2 사방밸브(40),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작동모드, 배터리 모듈(100)의 장치들 온도에 따라 팬(13), 제1 사방밸브(30), 제2 사방밸브(40),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3 작동모드, 상기 배터리 모듈(100)의 충전 방식에 따라 팬(13), 제1 사방밸브(30), 제2 사방밸브(40),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4 작동모드가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의 제1 작동모드에는 배터리 모듈(100)의 배터리셀 온도가 5℃를 초과할 때 제1 사방밸브(30)를 유로부(20)의 제1 단위유로(21) 및 제2 단위유로(22)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고 제2 사방밸브(40)를 유로부(20)의 제3 단위유로(23) 및 제4 단위유로(24)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고 팬(13)은 오프(OFF)시키고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는 온(ON) 시키고 작동회전속도 최소 1000RPM으로 VCU(Vehicle Control Unit, 전자제어장치) 지령 RPM 제어시키는 제1 모드와, 배터리 모듈(100)의 배터리셀의 온도가 0℃ 미만일 때 팬(13)은 오프(OFF) 시키고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는 온(ON) 시키고 제1 사방밸브(30)는 유로부(20)의 제3 단위유로(23) 및 제4 단위유로(24)에 대한 폐쇄 상태로 작동시키며 제2 사방밸브(40)는 유로부(20) 의 제1 단위유로(21) 및 제2 단위유로(22)에 대한 폐쇄 상태로 작동시키는 제2 모드와, 배터리 모듈(100)의 배터리셀 온도가 0∼5℃일 때 팬(13)은 오프(OFF) 시키고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는 온(ON) 시키고 제1 사방밸브(30)는 유로부(20)의 제3 단위유로(23) 및 제4 단위유로(24)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며 제2 사방밸브(40)는 유로부(20)의 제1 단위유로(21) 및 제2 단위유로(22)에 대한 폐쇄 상태로 작동시키는 제3 모드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0)의 상기 작동모드 중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를 작동회전속도 최소 1000RPM으로 VCU(Vehicle Control Unit, 전자제어장치) 지령 RPM 제어시키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따른 것이다. 즉, 펌프계의 관로에서 정전 등으로 발생되는 펌프 급차단, 급가동 또는 밸브의 급속한 개폐동으로 수격작용이 발생되어 해당 펌프 및 그 밸브 그리고 관로 등에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의 방지를 위해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OFF 상태가 되지 않도록 최소 1000RPM으로 VCU 지령 RPM제어를 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도 2는 제어부(70)의 제1 작동모드에서 제1 모드를 예시한 것이고, 도 3은 제어부(70)의 제1 작동모드에서 제2 모드를 예시한 것이며, 도 4는 제어부(70)의 제1 작동모드에서 제3 모드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제어부(70)의 제2 작동모드에는 전기자동차의 PE모듈(200) 온도가 30℃ 미만일 때 팬(13)은 로우(Lo) 상태로 작동시키고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는 온(ON) 시키는 제1 모드와, 전기자동차의 PE모듈(200) 온도가 30∼65℃일 때 팬(13)은 하이(Hi) 상태로 작동시키고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는 온(ON) 시키는 제2 모드와, 전기자동차의 PE모듈(200) 온도가 65℃를 초과할 때 팬(13)은 하이(Hi) 상태로 작동시키고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는 온(ON) 시키는 제3 모드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의 제3 작동모드에는 배터리 모듈(100)의 장치들 온도가 5∼15℃일 때 제2 펌프(60)를 온(ON) 시키고 작동회전속도 최소 1000RPM으로 VCU지령 RPM 제어시키는 제1 모드와, 배터리 모듈(100)의 장치들 온도가 15∼30℃일 때 제2 펌프(60)를 온(ON) 시키는 제2 모드와, 배터리 모듈(100)의 장치들 온도가 30℃를 초과할 때 제2 펌프(60)를 온(ON) 시키는 제3 모드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의 제3 작동모드의 제1 내지 제3 모드에서 제1 펌프(50)는 온(ON) 상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의 제4 작동모드에는 배터리 모듈(100)의 충전 방식이 고속 충전인 동시에 배터리 모듈(100)의 배터리셀의 온도가 5℃ 이상일 때 제1 펌프(50)를 온(ON) 시키고 작동회전속도 최소 1000RPM으로 VCU지령 RPM 제어시키고 제2 펌프(60)를 온(ON) 시키는 제1 모드와, 배터리 모듈(100)의 충전 방식이 일반 충전인 동시에 배터리 모듈(100)의 배터리셀의 온도가 5℃ 이상일 때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60)를 각각 온(ON) 시키는 제2 모드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의 제4 작동모드에는 배터리 모듈(100)의 전압강하로 인해 LDC(Low DC-DC Converter)가 작동 시 제1 펌프(50)를 온(ON) 시키는 제3 모드가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의 제4 작동모드에는 배터리 모듈(100)의 배터리셀 온도가 50℃ 이상으로 상승 시 충전을 중지하는 제4 모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동력전달시스템에 대한 제어부의 다양하고 효율적인 제어를 통해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에 충전된 에너지가 해당 전기자동차의 주행에 최대한 활용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1회 충전을 기준으로 한 주행거리가 최대한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성능 향상으로 인해 높은 에너지가 사용되면서 발열량 또한 증대되는 추세에서 모터를 포함한 전기 부품의 발열이 제어되는 동시에 배터리의 성능 및 수명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방열부 11 : 저온 라디에이터
12 : 라디에이터 13 : 팬
20 : 유로부 21 : 제1 단위유로
22 : 제2 단위유로 23 : 제3 단위유로
24 : 제4 단위유로 30 : 제1 사방밸브
40 : 제2 사방밸브 50 : 제1 펌프
60 : 제2 펌프 70 : 제어부
100 : 배터리 모듈 200 : PE모듈

Claims (9)

  1. 전기자동차의 동력전달시스템에 대한 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저온 라디에이터(LTR), 라디에이터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팬을 포함하는 방열부;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유출구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는 제1 단위유로, 상기 라디에이터의 유입구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PE모듈을 연결하는 제2 단위유로,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의 유입구와 상기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는 제3 단위유로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유출구와 상기 PE모듈을 연결하는 제4 단위유로를 포함하는 유로부;
    상기 제3 단위유로 및 제4 단위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1 사방밸브;
    상기 제1 단위유로 및 제2 단위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2 사방밸브;
    상기 라디에이터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PE모듈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상기 제4 단위유로 상에 상기 제2 사방밸브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 펌프;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배터리 모듈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상기 제1 단위유로 상에 상기 제1 사방밸브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2 펌프; 및
    상기 방열부, 제1 사방밸브, 제2 사방밸브,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셀 온도에 따라 상기 팬, 제1 사방밸브, 제2 사방밸브,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작동모드, 상기 PE모듈의 온도에 따라 상기 팬, 제1 사방밸브, 제2 사방밸브,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작동모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장치들 온도에 따라 상기 팬, 제1 사방밸브, 제2 사방밸브,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3 작동모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팬, 제1 사방밸브, 제2 사방밸브,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4 작동모드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모드에는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가 5℃를 초과할 때 상기 제1 사방밸브를 상기 제1 단위유로 및 제2 단위유로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사방밸브를 상기 제3 단위유로 및 제4 단위유로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팬은 오프(OFF) 시키고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는 온(ON) 시키고 작동회전속도 최소 1000RPM으로 VCU(Vehicle Control Unit, 전자제어장치) 지령 RPM 제어시키는 제1 모드와,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가 0℃ 미만일 때 상기 팬은 오프(OFF) 시키고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는 온(ON) 시키고 상기 제1 사방밸브는 상기 제3 단위유로 및 제4 단위유로에 대한 폐쇄 상태로 작동시키며 상기 제2 사방밸브는 상기 제1 단위유로 및 제2 단위유로에 대한 폐쇄 상태로 작동시키는 제2 모드와,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가 0∼5℃일 때 상기 팬은 오프(OFF) 시키고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는 온(ON) 시키고 상기 제1 사방밸브는 상기 제3 단위유로 및 제4 단위유로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며 상기 제2 사방밸브는 상기 제1 단위유로 및 제2 단위유로에 대한 폐쇄 상태로 작동시키는 제3 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모드에는 상기 PE모듈의 온도가 30℃ 미만일 때 상기 팬은 로우(Lo)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는 온(ON) 시키는 제1 모드와, 상기 PE모듈의 온도가 30∼65℃일 때 상기 팬은 하이(Hi)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는 온(ON) 시키는 제2 모드와, 상기 PE모듈의 온도가 65℃를 초과할 때 상기 팬은 하이(Hi)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는 온(ON) 시키는 제3 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작동모드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장치들 온도가 5∼15℃일 때 상기 제2 펌프를 온(ON) 시키고 작동회전속도 최소 1000RPM으로 VCU지령 RPM 제어시키는 제1 모드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장치들 온도가 15∼30℃일 때 상기 제2 펌프를 온(ON) 시키는 제2 모드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장치들 온도가 30℃를 초과할 때 상기 제2 펌프를 온(ON) 시키는 제3 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작동모드의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펌프는 온(ON)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작동모드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충전 방식이 고속 충전인 동시에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가 5℃ 이상일 때 상기 제1 펌프를 온(ON) 시키고 작동회전속도 최소 1000RPM으로 VCU지령 RPM 제어시키고 상기 제2 펌프를 온(ON) 시키는 제1 모드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충전 방식이 일반 충전인 동시에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가 5℃ 이상일 때 상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를 각각 온(ON) 시키는 제2 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작동모드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압강하로 인해 LDC가 작동 시 상기 제1 펌프를 온(ON) 시키는 제3 모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작동모드에는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가 50℃ 이상으로 상승 시 충전을 중지하는 제4 모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KR1020210001995A 2021-01-07 2021-01-07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KR102545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995A KR102545648B1 (ko) 2021-01-07 2021-01-07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995A KR102545648B1 (ko) 2021-01-07 2021-01-07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735A KR20220099735A (ko) 2022-07-14
KR102545648B1 true KR102545648B1 (ko) 2023-06-20

Family

ID=8240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995A KR102545648B1 (ko) 2021-01-07 2021-01-07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6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268B1 (ko) 2004-04-07 2008-03-27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냉각시스템, 그 냉각방법 및 차량
JP2014529985A (ja) 2011-08-17 2014-11-13 ルノー エス.ア.エス. 電動車両のための冷却システム
US20160107507A1 (en) 2014-10-21 2016-04-21 Atieva, Inc. EV Multi-Mode Thermal Management System
US20190351732A1 (en) 2018-05-18 2019-11-21 Nio Usa, Inc. Thermal system topology of cascaded refrigerant and coolant circui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210B2 (en) * 1999-06-07 2002-05-2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Temperature controller for vehicular battery
KR101190331B1 (ko) 2012-06-27 2012-10-11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전동식 워터 펌프
KR20180062639A (ko) * 2016-12-01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냉식 냉각-승온시스템
KR20190033115A (ko) 2017-09-20 2019-03-29 주식회사 두원공조 전기 자동차 통합 열관리시스템
US10847851B2 (en) 2017-10-12 2020-11-24 Hanon Systems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hybrid and full electric vehicles using heat capacitor
KR102530943B1 (ko) * 2018-07-25 2023-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KR20200072595A (ko) * 2018-12-06 2020-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냉각 시스템
KR102533382B1 (ko) * 2019-01-09 2023-05-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관리 시스템
KR20200142617A (ko) * 2019-06-12 2020-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268B1 (ko) 2004-04-07 2008-03-27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냉각시스템, 그 냉각방법 및 차량
JP2014529985A (ja) 2011-08-17 2014-11-13 ルノー エス.ア.エス. 電動車両のための冷却システム
US20160107507A1 (en) 2014-10-21 2016-04-21 Atieva, Inc. EV Multi-Mode Thermal Management System
US20190351732A1 (en) 2018-05-18 2019-11-21 Nio Usa, Inc. Thermal system topology of cascaded refrigerant and coolant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735A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6207B2 (en) Hybrid vehicle powertrain cooling system
CN107230812B (zh) 一种混合动力汽车动力电池的冷却控制系统及方法
CN106169627B (zh) 用于电气化车辆的车舱和电池冷却控制
KR101195077B1 (ko) 이중 방식의 냉각제 배관을 가진 열관리 시스템
US6467286B2 (en) Cooling apparatus of hybrid vehicle, including serially-connected cooling systems for electric devices which have different heat resisting allowable temperatures
CN109572486B (zh) 一种混合动力汽车动力电池热管理系统及控制方法
US20160344075A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N107017440B (zh) 包括热电装置的电池热管理系统
US20130269911A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vehicle having electric traction motor and range extending device
US1001705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based on energy flow mode of vehicle
US20180281557A1 (en) Hvac system of electric vehicle
US101246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ically powered heating devices within electrified vehicles
KR20120053138A (ko) 냉각수 폐열을 이용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난방 제어 방법
CN102897019A (zh) 用于管理电动车的废热的系统和方法
JP6886961B2 (ja) 温度調整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JP6463977B2 (ja) 車載電池温調システム
KR20120051826A (ko) 냉각수 폐열을 이용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난방시스템
CN102582418A (zh) 车用冷却系统
KR102257214B1 (ko) 액체 냉각재 전달 회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을 위한 냉각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JP2020133588A (ja) バッテリ昇温装置
CN102725156A (zh) 电力驱动式车辆
WO2020129257A1 (ja) 温度調整回路
JP6183133B2 (ja) 電池暖機システム
JP6886960B2 (ja) 温度調整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CN112977168A (zh) 具有可组合的电池组和电驱动部件冷却回路的电动化车辆热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