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288B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288B1
KR102545288B1 KR1020207000080A KR20207000080A KR102545288B1 KR 102545288 B1 KR102545288 B1 KR 102545288B1 KR 1020207000080 A KR1020207000080 A KR 1020207000080A KR 20207000080 A KR20207000080 A KR 20207000080A KR 102545288 B1 KR102545288 B1 KR 102545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m
hinge
spectacles
s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426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도나
Original Assignee
사필로 소시에타 아지오나리아 화브리카 이탈리아나 라보라지온 옥치알리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필로 소시에타 아지오나리아 화브리카 이탈리아나 라보라지온 옥치알리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사필로 소시에타 아지오나리아 화브리카 이탈리아나 라보라지온 옥치알리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20002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4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hand, e.g. lorgnette, 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6Coil spring pushed upon actu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30Pist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전방 조립 장착부(2) 및 상기 전방 조립 장착부의 개별의 대향하는 측방향 돌기(6)들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아암(5)들을 포함하는 안경이 설명된다. 각각의 아암에는 내측 측방향 측면부(5a) 및 대향하는 외측 측방향 측면부(5b)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 측방향 측면부는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머리를 향하여 지향된다. 안경은 아암(5)들중 적어도 하나에 개별의 지지 요소(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요소는 장착부(2)에 대한 관절 연결을 위하여 개별의 돌기(6)에 인접한 아암 일부의 영역에서 아암의 외측 측면부(5b)에 고정되고, 외측 측면부(5b) 뒤에서 아암의 길이 방향 전개의 방향으로 아암의 외측 측면부로부터의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가지면서 연장된다. 지지부(8)는 표면(8d)을 유지하며, 이것은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볼 수 있고, 장식 패턴을 지지하거나 또는 장식되도록 의도된다.

Description

안경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특징들을 가진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류 분야에서, 안경의 측방향 아암들의 표면을 이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일반적으로 장식 패턴 또는 치장(예를 들어, 로고(logo) 또는 특정의 장식 형상)을 적용하기 위하여,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시야에 보이는 아암들의 외측 측면부의 표면을 이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만약 통상적인 유형의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얼굴 프로파일을 둘러싸는 헤드스카프(headscarf) 또는 베일 또는 스카프로써 그의 머리를 덮고 싶다면, 측방향 아암들은 착용한 머리 덮개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길이의 대부분이 덮여서 유지되는 것이 불가피하며, 결과적으로 아암을 포함하는 장식들을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인용된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설명된 한계를 극복하도록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구성된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래에 설명될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따라서 구성된 안경으로써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예시되는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안경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2 의 안경의 특정 부분에 대한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도 3 은 작동 상태로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도 2 의 특정 부분에 대한 부분적인 도면이다.
도 4 는 특정 부분이 비 작동 상태로 도시된 도 3 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 은 작동 상태 및 비 작동 상태로 각각 도시된 도 4 의 특정 부분을 확대된 축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는 도 5 및 도 6 의 특정 부분의 구성 요소에 대한 확대 축적의 도면으로서 위로부터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은 착용된 상태로 도시된 도 3 의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다른 실시예를 위한, 힌지의 분리된 부분들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힌지 요소들중 하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 은 힌지 요소들이 조립되어 있는, 도 8 의 힌지의 부분적인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안경은 전체적으로 도면 번호 1 로 표시되어 있다.
안경(1)은 전방 장착부(2)를 가진 프레임 및 한쌍의 측방향 아암(5)들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브리지(4)에 의해 중심에서 연결된 렌즈 유지용 테두리(3)를 유지하는 전방 장착부(2)를 가진다. 측방향 아암들은 힌지 유형 장치(7)들에 의하여 전방 장착부(2)의 측방향 돌기(lateral lugs, 6)들에 관절 연결되며, 힌지 유형 장치의 힌지 축은 Z 로 표시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5)에는 내측 측방향 측면부(internal lateral flank, 5a) 및 대향하는 외측 측방향 측면부(5b)가 형성되며, 내측 측방향 측면부는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머리를 향하여 지향되고, 상기 측방향 측면부들은 아암의 제 1 단부(5c)로부터 아암의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2 단부(5d)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1 단부는 대응하는 돌기(6)에 대하여 관절 연결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은 각각의 아암(5)에 개별의 지지 요소(8)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요소는 개별의 관절 돌기(6)를 향하여 지향된 단부(5c)에 인접한 아암 일부의 영역에서, 대응하는 아암의 외측 측방향 측면부(5b)에 고정된다.
구조적인 유사성의 결과로서, 지지 요소(8)들중 오직 하나만이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지지 요소(8)는 단부(8a)를 가지며, 상기 단부의 영역에서 단부는 아암의 외측 측방향 측면부(5b)에 고정되고, 단부(8a)로부터 아암의 길이 방향 전개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것의 대향하는 단부에서 끝나도록, 외측 측면부(5b)로부터의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가지면서 아암 자체 뒤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지지 요소(8)는 단부(8a,8b)들 사이의 길이 방향 범위의 방향으로 주 치수(main dimension)를 가지며, 길이 방향 치수는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의 길이 방향 치수의 일부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D 로 표시된 아암과 지지부 사이의 간격은 지지부의 길이 방향 범위의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고, 지지부의 단부(8b)의 영역에서 최소값을 취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지지 요소(8)는 한쌍의 대향하는 표면(8c,8d) 사이에서 정의되는, 감소된 횡단 두께의 형태를 가진다. 표면(8c)은 아암의 외측 측면부(5b)를 지향하도록 연장되는 반면에, 표면(8d)은 반대측에서 연장되며, 따라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보이도록 유지된다. 표면(8d)은 유리하게는 장식되거나 또는 장식 패턴(decorative pattern)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도 7 을 참조하면, 만약 안경이 예를 들어 스카프 또는 베일(veil) 또는 헤드스카프(headscarf) 형태인, 헤드기어(9)의 제품과 관련하여 사용되고, 상기 헤드 기어의 제품이 머리를 덮도록 연장되어 얼굴 프로파일의 윤곽 둘레를 감싼다면, 헤드 기어의 직물 플랩(fabric flap)들은 측방향 아암들의 영역에서 각각의 아암의 외측 측면부(5b)와 그것을 향하는 대응 지지부(8)의 내측 표면(8c)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개재되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부의 외측 표면(8d)은 헤드기어의 플랩 위에서 보이도록 유지됨으로써, 지지부상에 제공된 장식이 보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지지부(8)와 아암의 외측 측면부(5b) 사이에 제공된 감소된 간격(D)의 결과로서, 헤드기어(9)의 직물 플랩들은 각각의 지지 요소(8)와 대응 아암(5) 사이에 안정된 방식으로 위치되어 유지된다.
지지부의 표면(8d)은 그것의 미감/장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망의 형상, 프로파일, 만곡과 관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의 표면(8d)은 돌, 보석 또는 인조 다이아몬드로 장식될 수 있고, 단부(8a)로부터 대향하는 단부(8b)의 방향으로 윤곽이 테이퍼지는 프로파일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8)는 대응하는 아암(5)에 관절 연결 방식으로 장착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힌지 유형 관절 연결 수단(10)이 제공됨으로써 지지부는 힌지축(X)을 중심으로 폐쇄 위치(도 3)와 개방 위치(도 4)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데, 상기 폐쇄 위치에서 지지부는 외측 측면부(5b) 뒤의 아암에 인접하게 연장되고, 개방 위치에서 지지부는 아암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인다.
돌기(lug)에 있는 아암 및 상기 아암에 있는 지지부의 힌지 유형 축(Z 및 X)들은 각각 유리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지향된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10)는 통상적인 유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크류 유형 핀(screw type pin)을 포함하는 유형일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정도의 "마찰 작용"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는데, 즉, 회전하는 동안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마찰력은 지지 요소가 폐쇄 위치로부터 쉽게 (예를 들어, 흔들리거나 부딪히는 경우에 우발적으로)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강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폐쇄 상태를 향하는 지지부(8)의 탄성 복귀 수단을 포함하는, 아암에 있는 지지부의 힌지 유형 관절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힌지(10)는 실질적으로 아암들의 탄성 힌지 메커니즘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유형의, 탄성 힌지(resilient hinge)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메커니즘의 바람직한 형태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되어 있고 결속 로드(tie rod, 12)를 포함하는 박스 형상 덮개(11)(예를 들어, 아암의 외측 측면부에 용접됨)를 제공하는데, 상기 결속 로드는 지지부의 단부(8a)에 힌지 연결되고(상기 단부(8a)에는 결속 로드의 대응하는 단부 아일릿에 힌지 유사 방식으로 연결되기에 적절한 아일릿(eyelet)들이 제공된다), 결속 로드에는 헬리컬 스프링(13)이 설치되어, 덮개(11)에 고정되게 접합된 맞닿음 블록(11a)과 결속 로드의 맞닿음부(12a) 사이에서 상기 헬리컬 스프링(13)이 활성화된다. 블록(11a)은 결속 로드의 길이 방향 축과 평행하게 지향된 실린더형 요부에 의해 통과되며, 그 안에 미끄럼 유형 연결을 가진 결속 로드(12)가 삽입된다. 블록은 스크류 또는 핀(14)에 의해 덮개에 대하여 고정되며, 스크류 또는 핀은 덮개 자체를 통해 연장되고 결속 로드의 이탈(excursion)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진다. 결속 로드는 도 6a 에서 확대된 축척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부(8)의 단부(8a)에는 더욱 유리하게는 캠 유사 프로파일(cam-like profile, 15)이 형성되며, 이것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에서 지지부의 안정된 위치 점유를 허용하지만, 지지부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약간 움직일 때 폐쇄 위치를 향하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강제되는) 신속한 움직임 또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상태로 약간 움직일 때 개방 위치를 향하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강제되는) 신속한 움직임을 가져온다.
힌지(10)의 실시예에서, 탄성 유형이 위에서와 같이 설정되든 그렇지 않든, 힌지의 요소들 사이에 제공될 대응 아암(5)에 대하여 지지부(8)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도 8 내지 도 10 을 참조하면, 힌지 유형 축(X)을 중심으로 서로 연결된 힌지(10)의 요소들이 도면 번호 20a 및 20b 로 표시되어 있다. 힌지 요소들 각각은 번갈아서 지지부(8)의 단부에 제공되거나 또는 아암(5)의 측면부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탄성 힌지의 경우에 결속 로드(12)의 단부에 제공된다), 단일의 아일릿이 있는 수컷 요소(20a)는, 이격된 한쌍의 동일축 아일릿을 가진 다른 암컷 요소(20b)에 연결되도록 의도된다.
요소(20a)의 아일릿의 원형 표면 섹터(21a)가 제공되며, 이것은 아일릿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상승된 방식으로 연장된다. 상승된 섹터(21a)는 바람직스럽게는 표면들 각각에 형성되며, 이것은 요소(20a)의 아일릿에 축방향으로 대향한다.
따라서, 도면 번호 22 로 표시된 한쌍의 단차 맞닿음 표면(stepped abutment surfaces)들은 원형 섹터(21a)의 상승된 표면과 섹터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유사한 상승된 원형 섹터(21b)는 암컷 힌지 요소(20b)의 한쌍의 아일릿들의 서로 향하는 표면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며, 대응하는 단차 맞닿음 표면(23)이 형성된다. 힌지(10)의 암컷 요소(20a) 및 수컷 요소(20b)의 원형 섹터들의 표면(22,23)은, 각각 힌지의 회전 동안에 서로 연결된 힌지 요소들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맞닿음 상태로 서로 맞물리도록 의도되며, 원형 섹터(21a, 21b)들의 범위는 힌지 요소들에 대하여 허용된 상대적인 각도 회전의 범위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형 섹터(21a, 21b)들의 각도 범위를 유리한 방식으로 선택함으로써,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아암에 대하여, 지지부(8)에게 허용된 각도 회전 이동의 미리 결정된 한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와 아암 사이의 간격(D)의 범위를 폐쇄 위치에서 미리 결정함으로써,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양쪽에서 지지부와 아암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리 결정된 목적을 달성하여, 공지의 해법에 대하여 제시된 장점을 부여한다.
제 1 의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를 가진 안경을 제공함으로써, 만약 안경이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 기어 제품과 조합되어 측방향 아암들을 덮도록 한다면,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상에 제공된 장식들의 디스플레이와 가시성(visibility)을 허용한다.
다른 장점은 지지부가 헤드기어의 직물에 대한 유지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며, 이는 소망의 형상을 직물에 부과하기 위하여 또는 직물을 착용한 사람의 머리 또는 얼굴에 직물의 치수들을 적합화시키기 위하여, 폐쇄 위치에서 지지부가 (아암과 지지부 사이에 삽입되거나 수용된) 직물의 접힘을 안정되게 고정 및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폐쇄 위치에서 지지 요소는 감소된 간격을 가지고 아암의 외측 측면부와 매우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감소된 간격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베일 플랩(veil flap)의 보통의 두께를 포함할 수 있기에 충분하며, 여전히 베일 자체를 안정되고 확고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아암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지지부의 개방 위치는, 사용자가 베일 플랩을 해제시키려 한다면, 프레임으로부터 베일 플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제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천이 상태(translational condition)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1. 안경 2. 전방 장착부
3. 렌즈 유지용 테두리
4. 브리지 5. 측방향 아암

Claims (9)

  1. 전방 조립 장착부(2) 및, 상기 전방 조립 장착부의 대향하는 개별의 측방향 돌기(6)들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아암(5)들을 포함하는 안경으로서, 각각의 아암에는 안경이 착용된 상태에서 머리를 향하여 지향되는 내측 측방향 측면부(5a) 및, 대향하는 외측 측방향 측면부(5b)가 형성되고,
    안경은 아암(5)들중 적어도 하나에 개별의 지지부(8)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전방 조립 장착부(2)에 힌지 연결되도록 개별의 돌기(6)에 인접한 아암의 일부 영역에서 아암의 외측 측방향 측면부(5b)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는 아암의 외측 측방향 측면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가지고 아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부(8)는 표면(8d)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은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보이고, 장식되거나 또는 장식 패턴(decorative pattern)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지지부(8)는 아암(5)에서 힌지 연결되어 장착되며,
    안경은 지지부(8)와 아암(5) 사이에 힌지(1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부는 힌지(10)의 힌지축(X)을 중심으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 지지부(8)는 아암의 외측 측방향 측면부(5b)의 일측 상에서 아암에 인접하게 연장되고, 상기 개방 위치에서 지지부(8)는 아암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이며,
    힌지(10)의 힌지축(X)을 중심으로 아암에 대한 지지 요소(8)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아암에 대한 지지부의 힌지 연결에서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수단은 상호 맞닿음(reciprocal abutment)이 이루어질 수 있는 표면(22,23)들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22,23)들은 지지부(8) 및 아암(5)에 형성된 개별의 아일릿 형상부(eyelet-like formations)의 면의 미리 결정된 원형 섹터(21a,21b)상에 제공되고, 상기 아일릿 형상부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힌지(10)의 요소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8)와 아암(5) 사이의 힌지(10)의 힌지축(X)은 안경의 전방 조립 장착부(2)의 돌기(6)에 대하여 아암(5)의 힌지축(Z)과 평행하게 되는, 안경.
  5. 제 4 항에 있어서, 아암에 대한 지지부(8)의 힌지(10)는 폐쇄 위치를 향한 지지부(8)의 탄성 복귀 수단을 포함하는, 안경.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탄성 복귀 수단은 결속 로드(12)를 수용하기 위한 박스 형상 덮개(11)를 포함하고, 결속 로드(12)의 맞닿음부(12a)와 덮개(11)의 맞닿음 블록(11a) 사이에서 작동하는 스프링(13)은 상기 결속 로드(12)에 맞춰지고, 박스 형상 덮개(11)는 아암(5)에 고정되게 접합되고 지지부(8)는 덮개(11)의 외측 측부에서 돌출된 결속 로드(12)의 일 단부와 힌지 연결되는, 안경.
  8. 제 7 항에 있어서, 결속 로드(tie rod, 12)에 힌지 연결된 지지부(8)의 단부(8a)는 덮개(11)의 맞닿음 블록(11a)과 함께 작용하는 캠 형상 프로파일(15)을 가짐으로써, 지지부(8)는 폐쇄 위치에 안정되게 유지되고 일단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도달되어 통과하게 되면, 상기 지지부는 탄성 스냅-체결 움직임(resilient snap-fit movement)으로써 개방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움직일 때 스프링(13)에 의해 탄성적으로 강제되는 방식으로 개방 위치를 향하여 신속한 움직임으로써 움직이는, 안경.
  9. 삭제
KR1020207000080A 2017-07-03 2018-06-22 안경 KR102545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074265 2017-07-03
IT102017000074265A IT201700074265A1 (it) 2017-07-03 2017-07-03 Occhiali
PCT/EP2018/066779 WO2019007711A1 (en) 2017-07-03 2018-06-22 GLAS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426A KR20200022426A (ko) 2020-03-03
KR102545288B1 true KR102545288B1 (ko) 2023-06-20

Family

ID=6057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080A KR102545288B1 (ko) 2017-07-03 2018-06-22 안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28957B2 (ko)
EP (1) EP3649504A1 (ko)
JP (1) JP2020525857A (ko)
KR (1) KR102545288B1 (ko)
CN (1) CN110914744A (ko)
IT (1) IT201700074265A1 (ko)
WO (1) WO2019007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5664S1 (en) * 2018-12-14 2023-05-09 Louis Vuitton Malletier Arms of spectacle frames
DE212019000320U1 (de) * 2019-01-16 2021-03-03 Andrey Konstantinovich Platonov Accessoire zum Halten von Haaren
USD1028069S1 (en) * 2022-02-15 2024-05-21 Christian Dior Couture Spectac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78596U (zh) * 2011-12-23 2013-09-04 维索蒂加工业股份公司 眼镜框架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62365A (fr) * 1956-11-26 1958-09-11 Perfectionnements aux lunettes
JPS51101153U (ko) * 1975-02-13 1976-08-13
JPH0628834U (ja) * 1992-09-11 1994-04-15 秀樹 古屋仲 クリップ付メガネおよび該メガネに使用するクリップ
JPH0734428U (ja) * 1993-11-29 1995-06-23 フクオカ精密株式会社 拡開制限機構を有するスリムなスプリング蝶番
US5739891A (en) * 1997-02-18 1998-04-14 Wei; Mo Sui Temple mounting structure of an eyeglasses
JP2002040377A (ja) * 2000-07-28 2002-02-06 Seiji Fukai 眼鏡フレーム
DE20115831U1 (de) * 2001-09-26 2001-12-13 Neu Wilhelm Brillengestell
ITBL20040003U1 (it) * 2004-03-24 2004-06-24 Cvijeta Kacavenda Cerniera con piastrina a vista, applicata all'elasticizzazione delle astine degli occhiali
US7677722B1 (en) * 2009-02-20 2010-03-16 Rita Mednick Device for attaching to eyeglass frame
CN202166797U (zh) * 2011-08-02 2012-03-14 石华堂 一种带夹子的眼镜
GB201203225D0 (en) * 2012-02-24 2012-04-11 Elevate Group Pty The Ltd Spectacle holder
CN202794745U (zh) * 2012-09-06 2013-03-13 洪杨顺 一种眼镜铰链的防摩擦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78596U (zh) * 2011-12-23 2013-09-04 维索蒂加工业股份公司 眼镜框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14744A (zh) 2020-03-24
IT201700074265A1 (it) 2019-01-03
EP3649504A1 (en) 2020-05-13
US11428957B2 (en) 2022-08-30
JP2020525857A (ja) 2020-08-27
WO2019007711A1 (en) 2019-01-10
KR20200022426A (ko) 2020-03-03
US20210149223A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288B1 (ko) 안경
US5483303A (en) Spectacles having adjustable temples and ear engaging members
US5760867A (en) Double-hinged adjustable eyeglasses
EP0046785B1 (en) Eyeglass frames having removable lens
EP2592463B1 (en) Lens receptor lock for glasses
JP6212540B2 (ja) 装飾用部品を備える眼鏡フレーム
US9465238B2 (en) Eyeglass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US6540349B1 (en) Spectacles frame
US8876282B2 (en) Eyewear system
US10048510B2 (en) Folding eyeglasses
JPS623774Y2 (ko)
KR101853486B1 (ko) 안경 다리용 힌지 장치
US9116362B2 (en) Eyeglass frame
KR200433694Y1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JP3113363U (ja) めがねゆるみ止め具
US3790259A (en) Eye protection frame assembly
KR102381937B1 (ko) 다리 길이 조정이 가능한 안경테
US7261411B1 (en) Eyeglasses structure
KR200172708Y1 (ko) 착탈식 보조안경
KR101808414B1 (ko) 안경 및 모자의 탈착용 선글라스
JP2002006265A (ja) 眼 鏡
US1161100A (en) Eye-shield protecting-spectacles.
KR940002848Y1 (ko) 모자용 착탈식 선글라스
EP2778748B1 (en) Eyeglass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