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034B1 -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034B1
KR102545034B1 KR1020210018957A KR20210018957A KR102545034B1 KR 102545034 B1 KR102545034 B1 KR 102545034B1 KR 1020210018957 A KR1020210018957 A KR 1020210018957A KR 20210018957 A KR20210018957 A KR 20210018957A KR 102545034 B1 KR102545034 B1 KR 102545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ail
type
moving body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5230A (ko
Inventor
노수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페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페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페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1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034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은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일 블럭 및 레일 블럭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레일 블럭은 상기 이동체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위치하되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 제1 구동롤러 및 제2 구동롤러; 및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제2 구동롤러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순환 구동되며, 상기 이동체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체인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BLOCK TYPE TWO-WAY TRANSPORT SYSTEM}
본 발명은 양방향 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하는 거리만큼 단위 블럭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는 양방향 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팜 분야의 기술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스마트팜 분야는 비닐하우스뿐만 아니라 동굴이나 터널 같은 좁고 긴 장소에 식물 성장을 촉진시키는 LED시스템을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이 좁고 길기 때문에 생산한 식물을 수확하여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안쪽 공간까지 식물 재배에 필요한 물품을 이동시키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하지만 물품 이송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 컨베이어 밸트(1)를 설치하는 것은 물품 이송 시스템이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특히 양방향 운송을 위해서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밸트를 하나 더 설치하거나 U자로 컨베이어 밸트를 설치할 때 필요한 곡률 반경 때문에 훨씬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베이어 밸트를 길이가 긴 공간에 설치할 경우 매우 긴 체인 내지 밸트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길이가 길어질수록 체인/밸트의 탄력 유지나 설치, 관리 등에 문제가 많이 발생하므로 원거리 운송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길고 좁은 협소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양방향 운송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 제10-1975399호 "컨베이어밸트 이송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거리 운송이 용이한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공간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설치가 가능한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동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장 공간 활용이 가능한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은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일 블럭 및 상기 레일 블럭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 블럭은 상기 이동체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위치하되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 제1 구동롤러 및 제2 구동롤러; 및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제2 구동롤러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순환 구동되며, 상기 이동체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체인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인레일은 외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의 측면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은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일 블럭 및 상기 레일 블럭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 블럭은 상기 이동체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위치하되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이동체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구동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롤러의 외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의 측면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체의 측면 길이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인접 구동롤러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레일 블럭 중 한쪽 또는 양쪽 끝에 위치한 레일 블럭에는 상기 이동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레일 블럭이 공중에 위치하도록 천장과 레일 블럭을 연결하는 상부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일 블럭의 하부에 위치하는 적재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좌우측에 측벽이 구비되어 있거나 상기 이동체가 관통되도록 전후방의 일부 영역이 뚫린 상자형일 수 있다.
상기 레일 블럭은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의 작동을 시작하고, 이동체가 서로 이웃하는 레일 블럭으로 모두 이동한 후 상기 구동롤러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신호는 상기 제1 방향 쪽으로 이웃하는 다음 레일 블럭의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신호는 상기 제2 방향 쪽으로 이웃하는 다음 레일 블럭의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부분에 신호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서로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신호 연결부가 연결됨으로써 센서의 감지 신호가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은 협소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고, 원거리 운송이 용이하며, 원하는 길이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블럭 단위로 가동할 수 있어 가동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천장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1도는 종래 컨베이어 밸트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예시적인 레일 블럭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예시적인 이동체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예시적인 이동체의 사시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예시적인 레일 블럭의 사시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예시적인 이동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레일 블럭(10: 10-1, 10-2, ..., 10-N-1, 10-N)을 연결하여 형성하며, 이동체(20)가 복수 개의 레일 블럭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A방향)으로 이동하고 마지막 레일 블럭에서 방향을 바꾸어 다시 타측에서 일측(B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양방향으로 물품을 운송하는 시스템이다.
레일 블럭(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1), 구동롤러(12: 12-1. 12-2), 체인레일(13), 제어부(14), 센서(15: 15-1, 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는 레일 블럭의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서 레일 블럭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레일 블럭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20)도 지지 플레이트(11)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1)는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에 체결구(111)가 있어 전방 및/또는 후방에 연결되는 다른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또는 후방은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있어 서로 이웃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어느 한 방향을 의미할 뿐 앞쪽, 뒤쪽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3에서 체결구(111)를 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홈으로 도시하였으나 서로 이웃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체결구도 적용될 수 있다.
구동롤러(12)는 지지 플레이트(11)의 중앙에 위치하여 후술할 이동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롤러로서 이동체의 이동을 위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롤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 제1 구동롤러(12-1)와 제2 구동롤러(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11)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구동롤러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체인레일(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구동롤러(즉 제1 구동롤러(12-1)와 제2 구동롤러(12-2))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구동롤러의 회전에 따라 순환 구동되는 체인이다.
체인레일의 구동에 따라 이동체(20)가 지지 플레이트의 위에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체인레일과 이동체(2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체인레일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체가 밀려 이동될 수 있다.
하지만 미끄러짐 없이 이동체를 신뢰성 있게 이동시키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레일(13)의 외측에 돌기(131)를 형성하고 이동체(20)에 돌기에 대응하는 요홈부(21)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어부(14)는 구동롤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각각의 레일 블럭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구동롤러를 작동시키면 체인레일이 구동되고 이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는 이동체(20)를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만 선택적으로 구동롤러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이동체를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란 이동해야 할 이동체가 지지 플레이트(11) 위에 있을 때, 이웃하는 앞선 레일 블럭(10)에서 이동체가 다가올 때이다. 그리고 이동체를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없을 때란 지지 플레이트(11)로부터 이동체가 모두 이웃하는 다음 레일 블럭으로 모두 이동되고 이웃하는 앞선 레일 블럭에서 다가오는 이동체가 없을 때이다.
센서(15)는 제어부가 이동체를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이동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센서(15)는 지지 플레이트(11)에서 제1 방향(A)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 센서(15-1) 및 제2 방향(B)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2 센서(15-2)를 포함하여 복수 개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15)는 제어부(14)와 연결되어 지지 플레이트를 이동하는 이동체가 있는지 여부를 제어부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센서(15)는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제어부와도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제어부는 이웃하는 앞선 레일 블럭(10)에서 이동체가 다가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제어부끼리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센서와 제어부 사이의 정보 교환, 또는 제어부와 제어부 사이의 정보 교환을 위해 지지 플레이트에는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부분에 신호 연결부(1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정보 교환을 위해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연결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레일 블럭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을 경우 레일 블럭마다 제어부 및 센서를 구비할 필요 없이 전체 구동롤러(12)의 구동을 동시에 On/Off하는 하나의 전원부만 구비하면 되며, 전원부로부터 각 구동롤러로의 전원 공급은 신호 연결부(112)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체(20)는 레일 블럭(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이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동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한 이동을 위해 바퀴(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인레일(13)의 돌기(131)에 대응하는 요홈부(21)가 한쪽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체에 보다 많은 물품을 수납하여 이송하기 위해 이동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의 상부에 적재함(30)이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물품을 양방향으로 운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100)을 설치할 공간에 원하는 길이만큼 복수 개의 레일 블럭(10)을 서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100)을 설치 공간의 하부에 설치할 때, 레일 블럭(10)을 원하는 높이로 설치하기 위해 레일 블럭을 지지하는 다리(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레일 블럭(10)의 출발 위치(S)에 이동체(20)를 위치시키고 레일 블럭을 작동시킨다.
이때 모든 레일 블럭의 구동롤러를 구동시킬 수도 있으나 출발 위치에 있는 레일 블럭 10-1만 작동시킬 수도 있다.
레일 블럭 10-1의 제어부(14)가 레일 블럭 10-1의 구동롤러(12)를 구동시킴으로써 체인레일(13)이 순환 구동되면, 이동체(20)는 체인레일과 결합한 상태로 제1 방향(A)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이동체(20)가 체인레일과 결합된 상태로 이동되기는 하지만 지지 플레이트에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의 좌우측에 측벽(11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이러한 제1 방향(A)으로의 이동체(20) 이동은 제1 센서(15-1)에 의해 감지되며, 감지된 신호는 다음 레일 블럭 10-2의 제어부(14)로 전달되어 이동체(20)가 다음 레일 블럭 10-2에 도달하기 전에 레일 블럭 10-2가 작동을 시작할 수 있게 한다.
이동체(20)는 제2 구동롤러(12-2)의 위치까지 이동된 이후 체인레일(13)의 방향이 꺾임에 따라 체인레일(13)과 앞부분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되지만 체인레일이 밀어줌으로써 제1 방향(A)으로 계속 이동하며, 다음 레일 블럭 10-2의 체인레일(13)과 앞부분부터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제1 방향(A)으로의 이동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을 위해 요홈부(21)가 형성된 이동체(20)의 측면 길이(L)는 레일 블럭 10-1의 제2 구동롤러(12-2)와 레일 블럭 10-2의 제1 구동롤러(12-1) 사이의 간격(D)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 참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체(20)는 마지막 레일 블럭 10-N까지 이동될 수 있으며, 이동체(20)가 마지막 레일 블럭 10-N의 제2 구동롤러 위치에 왔을 때는 체인 레일과 분리되지 않고 체인레일과 함께 회전하면서 방향을 전환하여 제2 방향(B)으로의 이동을 시작한다. 이때 방향 전환을 위해 마지막 레일 블럭 10-N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5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50)는 구동롤러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체인레일과 회전가이드 측벽 사이의 간격이 이동체(20)의 폭에 대응하여 체인레일이 제2 구동롤러(12-2)를 감싸고 돌 때 이동체(20)가 체인레일과 분리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동체(20)가 제2 방향(B)으로 이동하면, 제2 센서(15-2)가 이를 감지하여 다음 레일 블럭 10-N-1의 제어부(14)로 감지 신호를 전달하고, 이에 이동체(20)가 다음 레일 블럭 10-N-1에 도달하기 전에 레일 블럭 10-N-1이 작동을 시작할 수 있게 한다.
이동체(20)는 체인레일(13)과 결합되어 제1 구동롤러(12-1)의 위치까지 이동된 이후 체인레일(13)의 방향이 꺾임에 따라 체인레일(13)과 앞부분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되지만 체인레일이 밀어줌으로써 제2 방향(B)으로 계속 이동하며, 다음 레일 블럭 10-N-1의 체인레일(13)과 앞부분부터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제2 방향(B)으로의 이동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체(20)는 첫 번째 레일 블럭 10-1까지 이동될 수 있으며, 이동체(20)가 첫 번째 레일 블럭 10-1의 제1 구동롤러(12-1) 위치에 왔을 때는 체인 레일과 분리되지 않고 체인레일과 함께 회전하면서 방향을 전환하여 다시 출발 위치(S)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를 위해 첫 번째 레일 블럭에도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50)가 설치될 수 있고 이동체(20)는 복수 개의 레일 블럭을 따라 양방향으로 순환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100)은 길이별로 생산할 필요 없이 필요한 길이만큼 동일한 레일 블럭(10)을 복수 개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맞춤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회전반경이 작아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운송 시스템임에도 불구하고 최소한의 면적만 차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운송 시스템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더라도 길이에 따라 체인을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운송 시스템을 길게 설치하기 위해 체인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200)과 같이 체인레일(13)을 사용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100)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레일 블럭(10) 및 이동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 가이드(50)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200)은 이동체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 복수 개의 구동롤러(12')를 구비하고 체인레일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 개의 구동롤러(12')에 의해 이동체(20)가 이동된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100)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구동롤러(12')를 제외한 나머지 구송요소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10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구동롤러(12')에 대해서만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100)의 구동롤러(12)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200)의 구동롤러(12')는 이동체(20)와 직접 접촉한다.
구동롤러(12')와 이동체 사이의 마찰에 의해 이동체(20)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구동롤러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하기 위해 서로 인접하는 구동롤러 사이의 간격(D')은 이동체의 측면 길이(L)보다 짧게 구성한다.
하지만 미끄러짐 없이 이동체를 신뢰성 있게 이동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12')의 외측에 돌기(121)를 형성하고 이동체(20)에 돌기에 대응하는 요홈부(21)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동롤러(12')의 회전에 의해 돌기(121)가 이동체(20)의 요홈부(21)에 삽입되었다가 빠져나가면서 요홈부(21)를 밀어주며, 이동체(20)가 이동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3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300)은 앞서 살펴본 실시예들과 달리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이 설치 공간의 공중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레일 블럭(10)을 지지하는 다리(40) 대신 레일 블럭을 공중에 위치하도록 천장(C)과 레일 블럭을 연결하는 상부 지지대(60)에 의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300)은 공중에 설치되거나 레일 블럭이 천장에 바로 접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물품을 수납하는 적재함(30)이 레일 블럭(10)의 상부가 아닌 하부에 위치하면서 물품을 양방향으로 운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3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300)의 레일 블럭(10)은 윗부분이 닫힌 상자형일 수 있으며, 앞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레일 블럭(10)이 연결되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300)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300)의 레일 블럭(10)은 도 8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다만, 레일 블럭의 내부 구성이 잘 보이도록 도 8에서 상자형 레일 블럭(10)의 상부면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300)의 레일 블럭(10)은 앞선 실시예에서의 레일 블럭과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레일 블럭(10)의 지지 플레이트(11)에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지지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는 절개부(16-1, 16-2)가 형성되어 있는 차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300)의 이동체(2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이동체와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나 적재함(30)이 연결바(31)에 의해 이동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차이가 있다.
복수 개의 레일 블럭(10-1, 10-2, ..., 10-N-1, 10-N)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11)에 대응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가이드(50)에도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복수 개의 레일 블럭 및 회전가이드의 절개부가 서로 연결되어 연결바(31)가 관통하여 이동하는 길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체(20)가 복수 개의 레일 블럭을 따라 양방향 순환 이동을 할 때 연결바(31)에 의해 연결된 적재함(30)도 이동체와 함께 양방향 순환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300)은 시스템이 설치되는 곳의 바닥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협소공간의 천장 공간 활용에 매우 적합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한정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종래 컨베이어 밸트
10, 10-1, 10-2, 10-N-1, 10-N : 레일 블럭
11 : 지지 플레이트 12, 12' : 구동롤러
12-1 : 제1 구동롤러 12-2 : 제2 구동롤러
13 : 체인레일 14 : 제어부
15 : 센서 15-1 : 제1 센서
15-2 : 제2 센서 20 : 이동체
21 : 요홈부 22 : 바퀴
30 : 적재함 40 : 다리
50 : 회전가이드 111 : 체결구
112 : 신호 연결부 131 : 돌기
A : 제1 방향 B : 제2 방향
C : 천장
D : 서로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구동롤러 사이의 간격
D' : 서로 인접하는 구동롤러 사이의 간격
L : 이동체의 측면 길이 S : 출발 위치

Claims (15)

  1.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일 블럭; 및
    상기 레일 블럭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 블럭은
    상기 이동체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위치하되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 제1 구동롤러 및 제2 구동롤러; 및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제2 구동롤러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순환 구동되며, 상기 이동체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체인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의 측면 길이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인접 구동롤러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레일은 외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의 측면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3.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일 블럭; 및
    상기 레일 블럭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 블럭은
    상기 이동체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위치하되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이동체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구동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의 측면 길이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인접 구동롤러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의 외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의 측면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레일 블럭 중 한쪽 또는 양쪽 끝에 위치한 레일 블럭에는 상기 이동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레일 블럭이 공중에 위치하도록 천장과 레일 블럭을 연결하는 상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블럭의 하부에 위치하는 적재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좌우측에 측벽이 구비되어 있거나 상기 이동체가 관통되도록 전후방의 일부 영역이 뚫린 상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블럭은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의 작동을 시작하고, 이동체가 서로 이웃하는 레일 블럭으로 모두 이동한 후 상기 구동롤러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신호는 상기 제1 방향 쪽으로 이웃하는 다음 레일 블럭의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신호는 상기 제2 방향 쪽으로 이웃하는 다음 레일 블럭의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부분에 신호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신호 연결부가 연결됨으로써 센서의 감지 신호가 이웃하는 레일 블럭의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KR1020210018957A 2021-02-10 2021-02-10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KR102545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957A KR102545034B1 (ko) 2021-02-10 2021-02-10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957A KR102545034B1 (ko) 2021-02-10 2021-02-10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230A KR20220115230A (ko) 2022-08-17
KR102545034B1 true KR102545034B1 (ko) 2023-06-20

Family

ID=8311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957A KR102545034B1 (ko) 2021-02-10 2021-02-10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0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2366B2 (ja) * 2012-05-23 2014-09-0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KR101676569B1 (ko) * 2014-08-29 2016-11-15 신정주 다량의 옷걸이 이송관리 장치
DE102017118357A1 (de) * 2017-08-11 2019-02-14 Weiss Gmbh Transportvorrichtung
KR101975399B1 (ko) 2018-04-27 2019-05-07 허인순 컨베이어벨트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230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0355B2 (en) Storage and/or order collection system
US7871231B2 (en) Vertical carrying apparatus
US20170314858A1 (en) Lumber kiln conveyor system
US6520735B2 (en) Method of automation for flow through storage
US9577765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140277693A1 (en) Storage, retrieval and sortation system
KR20110090976A (ko) 케이스를 회전시키는 횡형 롤러 벨트 컨베이어 및 방법
JP7069479B2 (ja) コンベヤシステム用のパレット、コンベヤシステム、及び該コンベヤ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TWI821806B (zh) 貨物裝卸控制方法、控制裝置、貨物裝卸裝置及倉儲系統
EP2468662B1 (en) Article transfer device and stacker crane with same
JPH11157642A (ja) 物品移載装置
CN105035432A (zh) 一种纸箱提手的自动安装设备和安装方法
US3410225A (en) Mechanism for orienting pallets
US20030155212A1 (en) U-shaped accumulator device with endless belts
CN110422527A (zh) 一种自动化立体仓库
KR102545034B1 (ko) 블럭식 양방향 운송 시스템
AU727777B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rive
WO2014152483A1 (en) Remotely driven shuttle
CN211618934U (zh) 一种适用于自动化疫苗冷藏储存库的疫苗药品传输机械臂
US10294036B2 (en) Horizontal motorized dynamic system for pallet-carrier racks
US9561910B1 (en) Vertical assembly line
JPS63295730A (ja) 粗糸ボビン搬送装置
CN102180361B (zh) 一种智能编组站
CN204473666U (zh) 一体式立体存储与传送装置
CN210972550U (zh) 存货装置及货品储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