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633B1 - 전동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전동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633B1
KR102544633B1 KR1020207035873A KR20207035873A KR102544633B1 KR 102544633 B1 KR102544633 B1 KR 102544633B1 KR 1020207035873 A KR1020207035873 A KR 1020207035873A KR 20207035873 A KR20207035873 A KR 20207035873A KR 102544633 B1 KR102544633 B1 KR 102544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electric actuator
housing
engagement groov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3083A (ko
Inventor
켄지 코쇼
시노부 카미무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유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유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유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3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hand-operated valves or for combined motor and hand operation
    • F16K31/05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hand-operated valves or for combined motor and hand operation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hand-operated valves or for combined motor and hand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3Mechanically-actuated centrifugal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1/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combining techniqu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1V1/00 - G01V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20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herein an auxiliary movement thereof, or of an attachment thereto, is necessary before the main movement is possible or effective, e.g. for unlatching, for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Abstract

전동 액추에이터는, 하우징과, 전동 구동부와,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고 또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셀렉터 부재(61)와, 셀렉터 부재(61)에 설치된 위치 보지 부재(65) 및 피검지체(63)와, 검지기(67)와, 하우징 내의 협동면에 설치된 계합홈과, 위치 보지 부재(65)를 협동면을 향해 접근시키도록 셀렉터 부재(61)를 회전축선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 부재(71)를 구비한다. 계합홈은, 위치 보지 부재(65)가 계합홈에 계합했을 때에, 피검지체(63)가 검지기(67)의 검지 가능 영역과 검지 불능 영역 중 한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검지기(67)는, 피검지체(63)를 검지하고 있는지 아닌지로 전동 구동부로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동 액추에이터
본 발명은, 밸브 등에 접속되는 출력축을 전동(電動) 구동부에 의해 구동하는 전동 액추에이터(actuator)에 관한 것이다.
볼 밸브나 버터플라이 밸브 등의 밸브에서는, 개폐 조작을 위한 구동 장치로서, 전동 액추에이터가 이용되는 일이 있다. 전동 액추에이터는, 전동 모터 등 전동 구동부의 구동력을 밸브의 밸브체 등에 접속되는 출력축(예를 들면 스템)에 전달해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수 점검이나 정전 등일 때에, 수동(手動)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출력축을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는 수동 조작 기구를 구비한 전동 액추에이터도 있다.
전동 액추에이터의 수동 조작을 행하고 싶은 경우나 긴급 정지시키고 싶은 경우, 전동 액추에이터에 배선되어 있는 전력 공급 라인상에 설치된 브레이커 등의 개폐기(開閉器)로 전동 액추에이터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개폐기가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 등, 즉시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전동 액추에이터 내에서 전동 구동부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케이싱 내에 설치한 전동 모터의 동축(動軸)으로 기어 유닛을 통해 출력축을 구동하고, 기어 유닛의 맞물림 기어군(群)의 하나인 클러치기어를 클러치버튼의 압압(押壓) 스트로크로 이탈(離脫)시키는 클러치간(桿)을 상하동(上下動) 가능하게 설치하며, 이 클러치버튼의 압압 해제 스트로크로 액추에이터의 전원을 ON-OFF 하는 스위치를 병설(倂設)하여, 클러치버튼의 압압으로, 전원을 OFF로 함과 아울러, 출력축에 고정한 출력기어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클러치기어를 이탈시키고, 이 상태에서, 케이싱의 상면에 돌출한 출력축과 연동(連動)하는 수동 조작단(操作端)에 의해, 수동 조작을 가능하게 한 액추에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모터의 구동을 치차(齒車) 감속(減速) 기구를 통해 출력축으로 출력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내의 기준면(基準面)에 인터록 스위치를 고정하고, 인터록 스위치의 근방 위치에 출력축과 연동하는 수동축을 입설(立設)하며, 캠부(部)를 가지는 연결체를 수동축에 대해 상하동 가능하게 접속하여, 연결체의 하단(下端)이 기준면에 맞닿아(當接) 있을 때, 연결체의 캠부가 인터 스위치의 스위치부(部)에 맞닿도록 하고, 연결체에 접속된 수동 조작축을 상승시켰을 때에, 캠부가 스위치부로부터 이탈하여, 전력 공급이 정지됨과 아울러, 연결체의 통부(筒部) 내에 설치된 각부(角部)와 수동축 상단(上端)에 형성된 각부(角部)를 계합(係合)시켜 연결체를 통해 수동 조작축과 수동축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전동 액추에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 평8-21557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제4744915호 공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에서는, 클러치버튼이나 수동 조작축의 상하동만으로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의 전환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오조작(誤操作)으로 전환이 행해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전력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수동 조작을 행하고 있을 때에, 전력 공급이 재개(再開)되면, 출력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수동 조작부가 회전해 버려, 작업자에게 위험이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용이하게 또 안전하게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전동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에 비추어, 본 발명은,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지지되는 출력축을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를 구비한 전동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하는 작동단부(作動端部)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단부(操作端部)를 가지며, 상기 조작단부의 조작에 의해 회전축선(回轉軸線) 둘레로 회전 가능하고 또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셀렉터(selector) 부재와, 상기 회전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셀렉터 부재의 작동단부측에 설치된 위치 보지(保持) 부재와, 상기 회전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셀렉터 부재의 작동단부에 설치된 피검지체(被檢知體)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기 피검지체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기(檢知器)와, 상기 위치 보지 부재와 계합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의 협동면(cooperation surface)에 설치된 제1 계합홈과, 상기 위치 보지 부재를 상기 협동면을 향해 접근시키도록 상기 셀렉터 부재를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계합홈은, 상기 위치 보지 부재가 상기 제1 계합홈에 계합했을 때에,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검지기에 의해 검지 가능하게 되는 검지 가능 영역과 상기 검지기에 의해 검지 불가능해지는 검지 불능 영역 중 한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지기는,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검지 가능 영역에 위치할 때와 상기 검지 불능 영역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전동 구동부로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에서는, 조작단부의 조작에 의한 회전축선 둘레의 셀렉터 부재의 회전에 의해, 셀렉터 부재의 작동단부에 설치된 피검지체를 검지기의 검지 가능 영역과 검지 불능 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고, 셀렉터 부재의 작동단부에 설치된 피검지체가 검지기의 검지 가능 영역에 위치하는지 검지 불능 영역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전동 구동부로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이 전환된다. 또한, 셀렉터 부재가 부세 부재에 의해 협동면을 향해 부세되어, 셀렉터 부재의 작동단부측에 설치된 위치 보지 부재가 협동면에 설치된 제1 계합홈에 계합한 상태에서는, 셀렉터 부재의 회전축선 둘레의 회전이 방해받으므로, 위치 보지 부재와 제1 계합홈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부세 부재의 부세력(付勢力)에 대항해서 셀렉터 부재를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회전축선 둘레의 이동과 회전축선 둘레의 회전의 양쪽 모두가 필요해진다.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에서는, 상기 검지기는, 상기 피검지체를 검지하면 상기 전동 구동부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계합홈은, 상기 위치 보지 부재가 상기 제1 계합홈에 계합했을 때에,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검지 가능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로 로크하는(lock) 것이 가능해져, 보수 점검 등에서의 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협동면에, 상기 제1 계합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계합홈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계합홈은, 상기 위치 보지 부재가 상기 제2 계합홈에 계합했을 때에, 상기 검지 가능 영역과 상기 검지 불능 영역 중 다른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력 공급 상태 및 전력 공급 차단 상태의 양쪽 모두에서 로크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전성이 더 높아진다. 이 경우, 상기 제1 계합홈과 상기 제2 계합홈이 직교(直交)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상기 협동면은, 상기 셀렉터 부재가 관통(貫通)하는 상기 하우징의 주벽(周壁)의 내측면이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상기 전동 구동부가 전동 모터이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동 모터는, 상기 구동회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있으며, 상기 검지기는, 상기 피검지체를 검지했을 때에, 상기 구동회로와 상기 전동 모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출력축이 전동(傳動) 기구를 통해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가, 상기 전동 기구를 통해 상기 출력축에 회전을 전달 가능한 수동 조작축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동 조작시에 전동 모터에서 생긴 역기전력(逆起電力)이 구동회로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검지기가 상기 피검지체의 접촉에 의해 상기 피검지체를 검지하는 리미트 스위치이고, 상기 위치 보지 부재가 상기 셀렉터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셀렉터 부재에 접속된 핀 형상의 다른 부재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 액추에이터에 따르면,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회전축선 둘레의 이동과 회전축선 둘레의 회전의 양쪽 모두가 필요해지며, 전환 동작은 용이하면서, 오동작이 방지된다. 또한, 기구가 간단하면서, 전환을 위한 동작을 알지 못하는 한, 전환을 행할 수 없으므로, 안전성이 높아진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액추에이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2] 수동 조작하기 위해,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의 수동축에 렌치를 접속한 상태의 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3] 하우징의 일부만을 남기고 플레이트 부재를 생략한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나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의 치차 전동(傳動)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치차의 배치를 나타내기 위해, 도 3에 나타나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의 치차 전동 기구를 위쪽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5]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의 전력 공급 전환 기구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6]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의 전력 공급 전환 기구의 셀렉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전동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의 내측벽(內側壁)에 형성된 계합홈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 전동 액추에이터의 모터 구동 제어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a]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b]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c]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d]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액추에이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최초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액추에이터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나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액추에이터로서, 수동(手動) 조작 기구를 구비한 전동(電動) 액추에이터(11)를 예시하고 있다.
전동 액추에이터(11)는, 개략적으로 상자 형상을 가진 하우징(13)과, 하우징(13) 내에 배치된 전동 구동부로서의 전동 모터(15)와, 치차 전동 기구를 통해서 전동 모터(15)의 회전축(15a)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출력축(19)과, 출력축(19)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어축(21)과, 수동 조작 기구(23)와, 전동 모터(15)로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력 공급 전환 기구(25)를 구비하며, 전력 공급 전환 기구(25)에 의해 전동 모터(15)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수동 조작 기구(23)를 이용하여 출력축(19)을 수동 조작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3)은, 본체부(13a)와 커버부(13b)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해 본체부(13a)의 상부에 커버부(13b)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조립된다. 본체부(13a)의 상부에는, 플레이트 부재(14)가 장착되어 있다. 본체부(13a), 커버부(13b) 및 플레이트 부재(14)는 플라스틱 재료나 금속 재료 등 적절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전동 모터(15)로서는, AC 모터, DC 모터, 스텝 모터, 서보 모터 등 임의의 타입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구동부로서 전동 모터(15)가 사용되고 있지만, 다른 타입의 전기 구동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축(19) 및 제어축(21)은, 적당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지만,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축(19)은, 하우징(13)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밸브의 스템 등에 접속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어축(21)은, 일단부가 출력축(19)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플레이트 부재(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의 밸브체의 개폐에 이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제어축(21)의 상부에, 하우징(13)의 외부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한 밸브 개도계(開度計)(27)가 설치되어 있어, 제어축(21)에 연결되는 출력축(19)의 회전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치차 전동(傳動) 기구(17)는, 복수의 치차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부(13a) 내에 수용되어, 플레이트 부재(14)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차 전동 기구(17)는, 도 3 및 도 4에 상세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15)의 회전축(15a)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회전축(15a)에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치차(35)와, 제1 중간축(29)에 장착되며 또 피니언치차(35)와 맞물리는 제1 중간치차(37)와, 제1 중간치차(37)와 동축(同軸)으로 제1 중간축(29)에 장착되며 또 제1 중간치차(37)와 연동(連動)하여 회전하는 제2 중간치차(39)와, 제2 중간축(31)에 장착되며 또 제2 중간치차(39)와 맞물리는 제3 중간치차(41)와, 제3 중간치차(41)와 동축으로 제2 중간축(31)에 장착되며 또 제3 중간치차(4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4 중간치차(43)와, 출력축(19)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출력축(19)에 고정되며 또 제4 중간치차(43)와 맞물리는 입력치차(45)로 구성되며, 전동 모터(15)의 회전축(15a)의 회전이 피니언치차(35), 제1 중간치차(37), 제2 중간치차(39), 제3 중간치차(41), 제4 중간치차(43) 및 입력치차(45)를 통해서 출력축(19)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중간축(29) 및 제2 중간축(31)은, 양단부가 각각 하우징(13)의 본체부(13a)의 저부(底部)와 플레이트 부재(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중간축(29)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중간치차(37) 및 제2 중간치차(39)는, 제1 중간축(29)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1 중간축(29)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제1 중간축(29)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중간축(29)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중간축(31)에 장착되어 있는 제3 중간치차(41) 및 제4 중간치차(43)는, 제2 중간축(31)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2 중간축(31)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제2 중간축(31)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중간축(31)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수동 조작 기구(23)는, 수동축(47)과, 수동축(47)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수동(手動)치차(49)와, 제3 중간축(33)에 장착되며 또 수동치차(49)와 맞물리는 제5 중간치차(51)와, 제5 중간치차(51)와 동축으로 제3 중간축(33)에 장착되며 또 제1 중간축(29)에 장착되는 제1 중간치차(37)와 맞물리는 제6 중간치차(53)로 구성되며, 수동축(47)의 회전이 수동치차(49), 제5 중간치차(51), 제6 중간치차(53), 제1 중간치차(37), 제2 중간치차(39), 제3 중간치차(41), 제4 중간치차(43) 및 입력치차(45)를 통해 출력축(19)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3 중간축(33)은, 양단부가 각각 하우징(13)의 본체부(13a)의 저부와 플레이트 부재(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3 중간축(33)에 장착되어 있는 제5 중간치차(51) 및 제6 중간치차(53)는, 제5 중간축(33)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5 중간축(33)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제5 중간축(33)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5 중간축(33)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중간치차(37)에, 피니언치차(35)와 수동치차(49)를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 제1 중간축(29)에 전동 모터(15)의 회전축(15a)과 수동축(47)의 양쪽 모두의 회전을 전달시켜, 전동 모터(15)와 수동축(47) 중 어느 쪽이라도 출력축(19)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동축(47)은, 플레이트 부재(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는, 하우징(13)의 커버부(13b)의 천정부(天井部)에 설치된 수동 조작용 개구부(55)로 돌출해 있고, 해당 단부에 렌치 등의 조작 부재(57)를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47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47a)는, 예를 들면 육각 렌치를 감합(嵌合) 가능한 육각 형상 구멍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수동 조작용 개구부(55)에는, 캡(59)이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캡(59)이 장착되어, 연결부(47a)로의 액세스를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한편, 수동 조작시에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동 조작용 개구부(55)로부터 캡(59)이 분리되어, 연결부(47a)에 렌치 등의 조작 부재(57)가 접속되어, 수동축(47)이 수동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수동치차(49) 등을 통해 출력축(19)이 회전 구동된다.
전력 공급 전환 기구(25)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검지체(63) 및 위치 보지 부재(65)를 가진 셀렉터 부재(61)와, 피검지체(63)를 검지하기 위해 하우징(13) 내에 설치된 검지기(67)와, 하우징(13) 내에 설치되고 또 위치 보지 부재(65)와 계합 가능한 계합홈(69a, 69b)이 형성되어 있는 협동면(69)과, 위치 보지 부재(65)를 협동면(69)을 향해서 접근시키도록 셀렉터 부재(61)를 부세하는 부세 부재(71)로 구성되어 있다. 검지기(67)는, 피검지체(63)의 검지기(67)로의 접근에 의해 피검지체(63)를 검지하면, 전원(83)과 전동 구동부로서의 전동 모터(15)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하여, 전동 모터(15)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검지기(67)로서, 레버 등의 검지부(67a)에 대한 피검지체(63)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기계적으로 피검지체(63)를 검지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피검지체(63)의 접근 이반(離反)을 검지할 수 있으면, 예를 들면, 전자(電磁)적으로 검지하는 전자센서나 광학적으로 검지하는 광학센서 등 다른 방식으로 피검지체(63)를 검지하는 센서를 검지기(67)로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셀렉터 부재(61)는, 도 6에 상세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작동단부를 가진 대략 원주(圓柱) 형상의 축부(61a)와, 작동단부의 반대측의 축부(61a)의 단부에 축부(61a)보다 대경(大徑)이 되도록 형성된 조작단부로서의 손잡이부(61b)를 포함하고 있다. 손잡이부(61b)는, 하우징(13)의 본체부(13a)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또 손잡이부(61b)보다 약간 큰 직경의 원통 모양의 손잡이부 수용 오목부(凹部)(73)에 수용되어 있으며, 축부(61a)가 손잡이부 수용 오목부(73)의 저부(底部)를 관통하여 하우징(13) 안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셀렉터 부재(61)는, 하우징(13)의 주벽(周壁)을 관통하여, 작동단부가 하우징(13)의 내부로 돌출함과 아울러, 조작단부가 하우징(13)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부(61b)의 외주면(外周面)에는, O링(75)을 배치하기 위한 환상(環狀)홈(61c)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부(61b)의 외주면과 손잡이부 수용 오목부(73)의 내주면 사이를 씰링하여, 외부로부터 손잡이부 수용 오목부(73)를 통해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하우징(13)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축부(61a)는 회전축선(R) 둘레로 회전 가능하며 또 회전축선(R)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우징(13)에 지지되어 있다. 즉, 셀렉터 부재(61)는, 조작자가 손잡이부(61b)를 파지(把持)하는 것에 의해, 회전축선(R) 둘레로 회동(回動)시키거나, 회전축선(R)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 수용 오목부(73) 내에서, 축부(61a)와 손잡이부(61b)와의 단차부(段差部)(61d)와 손잡이부 수용 오목부(74)의 저면(底面)과의 사이에는, 부세 부재(71)로서 코일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어, 셀렉터 부재(61)가 바깥쪽을 향해서 부세되도록 되어 있다. 부세 부재(71)는, 셀렉터 부재(61)를 협동면(69)을 향해서 회전축선(R) 방향으로 부세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저렴하고 입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코일 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축부(61a)와 손잡이부(61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축부(61a)와 손잡이부(61b)를 별체(別體)로 형성하여,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축부(61a)에서 하우징(13)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피검지체(63)와 위치 보지 부재(65)가 설치되어 있다. 피검지체(63)는, 핀 형상을 갖고 있으며, 셀렉터 부재(61)의 회전축선(R)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축부(61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축부(61a)의 작동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피검지체(63)는, 셀렉터 부재(61)와는 별체의 핀 부재로 형성되어, 나합(螺合)에 의해 셀렉터 부재(61)의 축부(61a)에 고정되어 있지만, 셀렉터 부재(61)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치 보지 부재(65)는, 셀렉터 부재(61)의 회전축선(R)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축부(61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보지 부재(65)는, 축부(61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셀렉터 부재(61)와 별체로 형성하여 축부(61a)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셀렉터 부재(61)의 축부(61a)가 관통하는 하우징(13)의 본체부(13a)의 주벽의 내측면에 협동면(69)이 설치되며, 셀렉터 부재(61)의 축부(61a)에서 피검지체(63)보다 협동면(69)에 가까운 측에 위치 보지 부재(6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2 계합홈(69b)이 손잡이부 수용 오목부(73)의 저부를 관통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셀렉터 부재(61)의 작동단부를 선두(先頭)로 해서 손잡이부 수용 오목부(73)에 삽입하고, 제2 계합홈(69b)을 거쳐 위치 보지 부재(65)를 하우징(13) 안까지 통과시킨 후에, 손잡이부(61b)로부터 먼 측에서 위치 보지 부재(65)에 인접하여 고정링(留輪)(79)을 장착해서, 위치 보지 부재(65)가 제2 계합홈(69b)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협동면(69)에는,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계합홈, 즉 제1 계합홈(69a)과 제2 계합홈(69b)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 위치 보지 부재(65)를 결합시킬 수 있어, 회전축선(R) 둘레의 셀렉터 부재(6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계합홈(69a)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계합홈(69b)이 서로 직교하도록 협동면(69)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계합홈(69a) 및 제2 계합홈(69b)은, 셀렉터 부재(61)가 부세 부재(71)로 부세되어 위치 보지 부재(65)가 제1 계합홈(69a)에 계합하고 있을 때에 피검지체(63)가 검지기(67)에 의해 검지 가능하게 되는 검지 가능 영역에 위치하고, 셀렉터 부재(61)가 부세 부재(71)로 부세되어 위치 보지 부재(65)가 제2 계합홈(69b)에 계합하고 있을 때에 피검지체(63)가 검지기(67)에 의해 검지 불가능해지는 검지 불능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선(R) 둘레로 셀렉터 부재를 회전시켜, 위치 보지 부재(65)를 제1 계합홈(69a)에 계합시킬지 제2 계합홈(69b)에 계합시킬지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전동 구동부로서의 전동 모터(15)로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보지 부재(65)가 제1 계합홈(69a) 또는 제2 계합홈(69b)에 계합하면, 피검지체(63)가 검지기(67)의 검지 가능 영역 또는 검지 불능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셀렉터 부재(61)가 로크되어, 위치 보지 부재(65)를 협동면(69)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도록 부세 부재(71)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셀렉터 부재(61)를 회전축선(R)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축선(R) 둘레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검지기(67)가 피검지체(63)를 검지하는 상태 또는 피검지체(63)를 검지할 수 없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전동 액추에이터(11)에서는, 외부로부터 힘을 작용시키지 않는 상태일 때, 부세 부재(71)에 의한 부세력에 의해서 위치 보지 부재(65)가 협동면(69) 즉 하우징(13)의 본체부(13a)의 주벽의 내측면을 향해 밀어 붙여지므로, 위치 보지 부재(65)를 2개의 계합홈(69a, 69b) 중 한쪽에 계합시켜 두면, 셀렉터 부재(61)를 로크하여 회전을 방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 또는 전력이 차단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셀렉터 부재(61)가 로크된 상태로 되어 있을 경우,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부(61b)에 외력을 작용시켜 부세 부재(71)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셀렉터 부재(61)를 회전축선(R) 방향으로 하우징(13) 내에 밀어넣은 후에 회전축선(R) 둘레로 회전시켜, 검지기(67)의 검지 가능 영역 및 검지 불능 영역 중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피검지체(63)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즉, 전동 구동부로서의 전동 모터(15)에 대한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의 전환을 위해서는, 부세 부재(71)의 부세력에 대항하면서의 회전축선(R) 방향의 셀렉터 부재(61)의 이동 후에 회전축선(R) 둘레의 셀렉터 부재(61)의 회전을 행한다고 하는 2단계의 동작이 필요하게 되어, 셀렉터 부재(61)가 로크된 상태로 되어 있으면, 단순히 손잡이부(61b)에 회전축선(R) 방향의 힘을 가하거나, 손잡이부(61b)를 회전시키는 형태로 하는 것만으로는,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할 수 없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전력의 공급과 차단의 전환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협동면(69)이 하우징(13)의 본체부(13a)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지만, 하우징(13) 내에서 셀렉터 부재(61)가 관통하는 하우징(13)의 본체부(13a)의 측벽으로부터 셀렉터 부재(61)의 회전축선(R) 방향으로 검지기(67)보다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격벽(隔壁) 등의 벽부(壁部)에 협동면(69)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세 부재(71)에 의해 하우징(13)의 본체부(13a)의 측벽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보지 부재(65)가 부세되게 된다. 따라서,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부(61b)에 외력을 작용시켜서 부세 부재(71)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셀렉터 부재(61)를 회전축선(R) 방향으로 하우징(13) 내로부터 인출(引出)한 후에 회전축선(R) 둘레로 회전시켜, 검지기(67)의 검지 가능 영역 및 검지 불능 영역 중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피검지체(63)를 이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의 전동 액추에이터(11)의 전동 구동부인 전동 모터(15)의 모터 구동 제어 기구(81)를 설명한다.
모터 구동 제어 기구(81)는, 전원(83)과, 전원회로(85)와, 회전위치센서(87)와, 입력신호판정회로(89)와, 모터구동회로(91)와, 검지기(67)로서의 리미트 스위치와, 전동 구동부로서의 전동 모터(15)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회로(85)는, 전동 모터(15)가 AC 모터일 경우에는, 전원(83)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교류 전류로 변환해서 모터구동회로(91)에 공급하고, 전동 모터(15)가 DC 모터일 경우에는, 전원(83)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해서 모터구동회로(91)에 공급한다. 회전위치센서(87)는, 출력축(19)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출력축(19)에 장착된 캠에 의해 출력축(19)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전동 액추에이터(11)가 밸브의 개폐(開閉)에 사용될 때에, 밸브의 개도(開度)를 검출한다. 전원(83)으로부터는, 전동 액추에이터(11)를 순방향(順方向)으로 작동시킬지 역방향으로 작동시킬지로 전압의 공급방향이 전환되도록 되어 있고, 입력신호판정회로(89)는, 전원으로부터 2개의 전압단자(도시하지 않음) 중 어느 쪽에 정전압(正電壓)(플러스 전압)이 인가되었는지를 입력신호로서, 전동 모터(15)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고 있는지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고 있는지를 판정하며, 회전위치센서(87)로부터의 출력을 참조하여, 출력축(19)이 예정된 각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시키도록 모터구동회로(91)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전동 액추에이터(11)가 밸브의 개폐에 사용될 때, 입력신호판정회로(89)는, 2개의 전압단자 중 어느 쪽에 정전압이 인가되었는지를 입력신호로서 전동 모터(15)를 밸브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하고 있는지 밸브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고 있는지를 판정하고, 회전위치센서(87)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참조하여, 예정된 회전 위치(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까지 전동 모터(15)를 구동시켜 예정된 회전 위치에 도달하면 전동 모터(15)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모터구동회로(91)를 작동시킨다. 모터구동회로(91)는, 입력신호판정회로(89)로부터의 지시신호에 따라서 전동 모터(15)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하여 전동 모터(15)를 회전시킨다.
전동 액추에이터(11)의 모터 구동 기구(81)에는, 상술한 셀렉터 부재(61)의 피검지체(63)를 검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가 검지기로서 설치되어 있어, 피검지체(63)를 검지하면, 전원(83)으로부터 전동 모터(15)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 즉 검지기(67)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검지체(63)를 검지했을 때에 모터구동회로(91)와 전동 모터(15)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도록, 모터구동회로(91)와 전동 모터(15)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동축(47)에 의해 출력축(19)을 구동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축(47)의 회전이 수동치차(49), 제5 중간치차(51), 제6 중간치차(53), 제1 중간치차(29), 제2 중간치차(31), 제3 중간치차(33), 제4 중간치차(43) 및 입력치차(45)를 통해 출력축(19)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동시에, 수동축(47)의 회전은 제1 중간치차(29) 및 피니언치차(35)를 통해 전동 모터(15)의 회전축(15a)에도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전동 모터(15)에서 생긴 역기전력(逆起電力)이 모터구동회로(91)에 전달되어, 모터구동회로(91)의 파손 등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검지기(67)가 모터구동회로(91)와 전동 모터(15)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수동 조작시에, 모터구동회로(91)와 전동 모터(15)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도록 되어 있으면, 수동축(47)의 회전에 의해 전동 모터(15)에 역기전력이 생겨도, 모터구동회로(91)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모터구동회로(91)로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a∼도 9d를 참조하여, 셀렉터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통상(通常) 상태에서는, 도 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셀렉터 부재(61)는, 위치 보지 부재(65)가 협동면(69)의 제2 계합홈(69b)에 계합하며, 셀렉터 부재(61)의 피검지체(63)가 축부(61a)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된 상태로 되어, 검지기(67)인 리미트 스위치의 검지 불능 영역에 위치해 있으며, 리미트 스위치는, 모터구동회로(91)와 전동 모터(15)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원(83)으로부터 모터구동회로(91)를 통해 전동 모터(15)로의 전력을 공급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전동 액추에이터(11)는, 입력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한편, 전동 액추에이터(11)의 보수 등을 위해 수동 조작을 행하고 싶은 경우나 긴급 정지시키고 싶은 경우 등, 전원(83)으로부터 전동 모터(15)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싶을 때에는, 최초로, 도 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세 부재(71)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셀렉터 부재(61)를 회전축선(R)을 따라 밀어넣는 것에 의해, 제2 계합홈(69b)으로부터 셀렉터 부재(61)의 위치 보지 부재(65)를 이간(離間)시킨다. 이에 의해, 제2 계합홈(69b)과 위치 보지 부재(65)의 계합이 해제되어, 셀렉터 부재(61)의 회전축선(R) 둘레의 회동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9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61b)를 파지하여 90°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피검지체(63)가 축부(61a)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되도록 셀렉터 부재(61)가 회동하게 된다. 이 결과, 피검지체(63)가 검지기로서의 리미트 스위치의 레버부(67a)에 맞닿아서 리미트 스위치가 피검지체(63)를 검지할 수 있는 검지 가능 위치로 피검지체가 이동하게 되고, 모터구동회로(91)와 전동 모터(15)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전원(83)으로부터 모터구동회로(91)를 통해 전동 모터(15)로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도 9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61b)를 파지한 채, 부세 부재(71)인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에 따라 셀렉터 부재(61)를 회전축선(R)을 따라서 외부를 향해 되돌리면, 도 9a에 나타나 있는 상태로부터 위치 보지 부재(65)가 90° 회전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셀렉터 부재(61)의 위치 보지 부재(65)가 제2 계합홈(69b)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1 계합홈(69a)에 계합하여, 셀렉터 부재(61)가 로크된다. 이에 의해, 셀렉터 부재(61)는 회전축선(R) 둘레의 회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전원(83)으로부터 모터구동회로(91)를 통한 전동 모터(15)로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며, 다시 검지기(67)로서의 리미트 스위치가 피검지체(63)를 검지할 수 없는 위치로 셀렉터 부재(61)를 회전시킬 때까지, 전동 모터(15)에 의한 전동 액추에이터(11)의 출력축(19)의 회전을 할 수 없게 되고, 전동 액추에이터(11)의 출력축(19)은, 수동축(47)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전동 모터(15)로의 전력의 공급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재차, 부세 부재(71)인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셀렉터 부재(61)를 회전축선(R)을 따라 밀어넣는 것에 의해, 제1 계합홈(69a)과 위치 보지 부재(65)의 계합을 해제시켜, 셀렉터 부재(61)의 회전축선(R) 둘레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 후에, 손잡이부(61b)를 파지하여 90°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피검지체(63)가 축부(61a)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태로부터 축부(61a)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태가 되도록 셀렉터 부재(61)를 회동시킨다.
전원(83)으로부터 전동 모터(15)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싶은 경우, 특히 보수 등으로 전동 액추에이터의 수동 조작을 행하고 싶은 경우, 오조작으로 전원(83)으로부터 전동 모터(15)로의 전력의 공급을 재개해서 전동 액추에이터가 입력신호에 따라 동작해 버리면, 조작자에게 위해를 가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전동 액추에이터(11)에서는, 전원(83)으로부터 모터구동회로(91)를 통해서 전동 모터(15)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있을 때, 셀렉터 부재(61)의 위치 보지 부재(65)가 제1 계합홈(69a)에 계합(係合)하고 있으므로, 전원(83)으로부터 전동 모터(15)로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의 전환을 위해서는, 단순한 회전축선(R) 둘레의 셀렉터 부재(61)의 회전뿐 아니라, 회전축선(R) 방향으로 부세 부재(71)인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셀렉터 부재(61)를 회전축선(R) 방향으로 밀어넣은 상태로 하지 않으면 셀렉터 부재(61)를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단순한 회전축선(R) 둘레의 셀렉터 부재(61)의 회전만으로는, 전동 모터(15)로의 전력의 공급을 재개시킬 수 없어, 오조작에 의한 전력의 차단으로부터 공급으로의 전환을 억제할 수 있고, 조작자가 안전하게 수동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동 액추에이터(11)에서는, 위치 보지 부재(65)를 제1 계합홈(69a)에 계합시켜 모터구동회로(91)와 전동 모터(15)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한 상태에서 수동 조작에 의해 출력축(19)을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수동 조작에 의한 출력축(19)의 회전이 치차 전달 기구(17)를 통해서 전동 모터(15)에 전달되어 역기전력이 생겨도, 모터구동회로(91)에는 전달되지 않아,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액추에이터(11)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협동면(69)이 하우징(13)의 측벽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하우징(13) 내에 설치된 격벽에 협동면(69)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구동부로서 전동 모터(15)가 사용되고 있지만, 전력 공급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부라면, 전동 실린더 등 다른 타입의 전동 구동부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검지기(67)인 리미트 스위치는, 피검지체(63)를 검지했을 때에 모터구동회로(91)와 전동 모터(15)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검지기(67)는, 피검지체(63)가 검지 가능 영역에 위치할 때와 검지 불능 영역에 위치할 때에, 모터구동회로(91)와 전동 모터(15)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과 차단을 전환할 수 있으면 되고, 피검지체(63)를 검지했을 때에 모터구동회로(91)와 전동 모터(15)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11 전동 액추에이터
13 하우징
15 전동 모터
17 치차 전동 기구
19 출력축
61 셀렉터 부재
63 피검지체
65 위치 보지 부재
67 검지기
69 협동면
69a 제1 계합홈
69b 제2 계합홈
71 부세 부재
83 전원
91 모터구동회로

Claims (11)

  1.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지지되는 출력축을 구동하는 전동(電動) 구동부를 구비한 전동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하는 작동단부(作動端部)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단부(操作端部)를 가지며, 상기 조작단부의 조작에 의해 회전축선(回轉軸線) 둘레로 회전 가능하고 또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셀렉터 부재와,
    상기 셀렉터 부재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회전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위치 보지(保持) 부재와,
    상기 회전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셀렉터 부재의 작동단부에 설치된 피검지체(被檢知體)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기 피검지체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기(檢知器)와,
    상기 하우징 내의 협동면(cooperation surface)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 보지 부재와 계합(係合)하는 제1 계합홈과,
    상기 위치 보지 부재를 상기 협동면을 향해 접근시키도록 상기 셀렉터 부재를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계합홈은, 상기 위치 보지 부재가 상기 제1 계합홈에 계합했을 때에,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검지기에 의해 검지 가능하게 되는 검지 가능 영역과 상기 검지기에 의해 검지 불가능해지는 검지 불능 영역 중 한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지기는,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검지 가능 영역에 위치할 때와 상기 검지 불능 영역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전동 구동부로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는, 상기 피검지체를 검지하면 상기 전동 구동부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계합홈은, 상기 위치 보지 부재가 상기 제1 계합홈에 계합했을 때에,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검지 가능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협동면에, 상기 제1 계합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계합홈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계합홈은, 상기 위치 보지 부재가 상기 제2 계합홈에 계합했을 때에, 상기 검지 가능 영역과 상기 검지 불능 영역 중 다른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홈과 상기 제2 계합홈이 직교(直交)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협동면은, 상기 셀렉터 부재가 관통(貫通)하는 상기 하우징의 주벽(周壁)의 내측면인, 전동 액추에이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가 전동(電動) 모터인, 전동 액추에이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동 모터는, 상기 구동회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있으며, 상기 검지기는, 상기 피검지체를 검지했을 때에, 상기 구동회로와 상기 전동 모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이 전동(傳動) 기구를 통해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가, 상기 전동 기구를 통해 상기 출력축에 회전을 전달 가능한 수동(手動) 조작축을 더 구비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가 상기 피검지체의 접촉에 의해 상기 피검지체를 검지하는 리미트 스위치인, 전동 액추에이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지 부재가 상기 셀렉터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셀렉터 부재에 접속된 핀 형상의 다른 부재인, 전동 액추에이터.
KR1020207035873A 2018-05-25 2019-04-24 전동 액추에이터 KR102544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0695 2018-05-25
JPJP-P-2018-100695 2018-05-25
PCT/JP2019/017494 WO2019225277A1 (ja) 2018-05-25 2019-04-24 電動アクチュエ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083A KR20210013083A (ko) 2021-02-03
KR102544633B1 true KR102544633B1 (ko) 2023-06-16

Family

ID=6861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873A KR102544633B1 (ko) 2018-05-25 2019-04-24 전동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42724B2 (ko)
JP (1) JP7217747B2 (ko)
KR (1) KR102544633B1 (ko)
CN (1) CN111989516B (ko)
TW (1) TWI794485B (ko)
WO (1) WO2019225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3199B (zh) * 2020-12-18 2023-02-21 太原理工大学 一种电磁控制换向的电驱阀门
CN114791753B (zh) * 2022-04-28 2022-12-13 江苏海博流体控制有限公司 一种带手动机构的电动执行器
USD1015487S1 (en) * 2022-11-04 2024-02-20 Georg Fischer Rohrleitungssysteme Ag Electric actuator for valv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076A (ja) 1998-07-14 2000-01-25 Eagle Kuranpu Kk 牽引巻上機
GB2347197A (en) 1996-02-20 2000-08-30 Bray Int Inc Rotary valve actuator
KR101488622B1 (ko) 2013-11-26 2015-02-04 최성인 모드 전환 전동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2060Y2 (ko) * 1972-10-04 1980-10-02
JPS6212945Y2 (ko) 1980-11-13 1987-04-03
JPH0821557A (ja) 1994-07-07 1996-01-23 Kitz Corp 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
GB2379563B (en) * 2000-03-14 2005-04-20 Kitz Corp Electric actuator and structure for fixing the same
US7163192B2 (en) 2002-06-20 2007-01-16 Kitz Corporation Actuator for valve
JP4744915B2 (ja) 2005-04-13 2011-08-10 株式会社キッツ 手動操作機構付き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4889473B2 (ja) * 2006-12-20 2012-03-07 株式会社山武 アクチュエータ、バルブ装置及びダンパ装置
CN102403831B (zh) * 2010-09-06 2015-04-01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电动机致动器
JP5914840B2 (ja) * 2012-05-11 2016-05-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工具の自動変速装置
DE102012213177B4 (de) 2012-07-26 2019-12-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chaltdom für ein Schalt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JP2014054160A (ja) 2012-08-08 2014-03-20 Jtekt Corp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6319160B2 (ja) * 2015-04-08 2018-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レクタブルワンウエイクラッチ
CN207161835U (zh) 2017-08-17 2018-03-30 中山市湘寿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安全防烫水龙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47197A (en) 1996-02-20 2000-08-30 Bray Int Inc Rotary valve actuator
JP2000026076A (ja) 1998-07-14 2000-01-25 Eagle Kuranpu Kk 牽引巻上機
KR101488622B1 (ko) 2013-11-26 2015-02-04 최성인 모드 전환 전동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94485B (zh) 2023-03-01
JPWO2019225277A1 (ja) 2021-06-24
CN111989516A (zh) 2020-11-24
WO2019225277A1 (ja) 2019-11-28
EP3805622A4 (en) 2022-03-02
US20210301939A1 (en) 2021-09-30
US11742724B2 (en) 2023-08-29
JP7217747B2 (ja) 2023-02-03
CN111989516B (zh) 2022-09-16
KR20210013083A (ko) 2021-02-03
TW202004064A (zh) 2020-01-16
EP3805622A1 (en)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4633B1 (ko) 전동 액추에이터
US6768234B2 (en) Electric actuator and fixing structure of the actuator
JP6434987B2 (ja) 時間遅延を伴う手動式安全スイッチ
JP2019183541A (ja) 安全スイッチ
CN103693155A (zh) 后变速器
KR101040133B1 (ko) 밸브 액츄에이터 제어 시스템
KR20100003639U (ko) 전동식 볼밸브의 구동장치
US20110193003A1 (en) Torque limiter and valve actuator
KR101740337B1 (ko) 무선으로 정밀한 유량제어가 가능한 전동 볼 밸브
EP3805622B1 (en) Electric actuator
CN102804321B (zh) 用于带有摇臂的保护开关的开关单元
JP2007071357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KR200487429Y1 (ko) 센서링을 이용한 가스차단기
JP2020140838A (ja) 操作支援機能付き操作スイッチユニットおよび操作支援システム
KR101607840B1 (ko) 스카치 요크 구조의 자동 개폐 밸브
KR101412647B1 (ko) 밸브스템 동작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모터구동밸브
CN203481092U (zh) 开关装置
JPWO2009031224A1 (ja) スイッチ装置
KR102053032B1 (ko) 밸브 구동 장치
CN103256426B (zh) 双向动作手轮机构
RU119056U1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привод запорного клапана
JP6374287B2 (ja) 遮断弁
KR101778005B1 (ko) 공기모터 구동기 자동 안전정지 시스템
JP3571260B2 (ja) 手動機構付き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
JPH043367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