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415B1 -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 - Google Patents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415B1
KR102544415B1 KR1020210098103A KR20210098103A KR102544415B1 KR 102544415 B1 KR102544415 B1 KR 102544415B1 KR 1020210098103 A KR1020210098103 A KR 1020210098103A KR 20210098103 A KR20210098103 A KR 20210098103A KR 102544415 B1 KR102544415 B1 KR 102544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ewing
sportswear
seam
fabr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517A (ko
Inventor
이나현
Original Assignee
이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현 filed Critical 이나현
Priority to KR102021009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4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10Edg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제 결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원단 사이로 심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된 심과 원단을 동시에 봉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Sewing method of sportswear fabrics using plant}
본 발명은 봉제 결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복의 특정부에 있어서 운동복의 특정부 맵시를 살리면서 착용감을 좋게 함과 동시에 효율적이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복이라 함은, 운동중에 흘리는 땀을 잘 흡수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그 보다도 중요하게는 통풍이 잘되어야만 땀을 식히(건조)면서 땀의 흐름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체온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지속적인 운동을 유지토록 하는 옷이 최상의 운동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땀에 젖은 운동복을 보다 깨끗이 세탁한 후 위생적으로 건조 유지되어야 하고, 운동복을 착·탈의시는 발·다리에 운동복을 오염시킴 없이 갈아입을 수 있도록 야외 탈의장 등 좁은 공간에서도 간편하고 쉽게 착·탈의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다양한 스포츠의 발달과 더불어 개인 체력 향상이나 다이어트 등의 용도로 많은 수의 사람들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운동복도 개발 및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 운동복의 소매 등이나 카라 등에 적용되는 운동복 원단(1)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도 1에서와 같이, 두세 줄의 봉제사(2) 결합법을 적용하여 원단(1)들간의 결합을 이루고 있는데, 이 경우 봉제사(2)가 일정 두께 튀어나옴으로써 그 부분에 있어서 피부와의 접촉에 의한 착용감의 불편함을 가져오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결합법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디자인상 적용되기가 어려움은 물론 운동복의 카라나 소매 등에 적용 시에는 옷의 맵시가 매우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8375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동복의 특정 부분에 있어서 맵시를 효율적으로 살려주는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제 결합 부위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면서 결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제 결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원단 사이로 심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된 심과 원단을 동시에 봉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심은 적어도 일측면에 가열 시 상기 원단의 일면에 결합되는 가열접합영역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은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원단의 일면에 임시 접착되는 접착액이 적용된 임시접착영역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복의 목 부분 카라 및 소매 깃에 심을 적용함으로써 그 부분에 대한 옷의 맵시를 최대한 보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복 원단 결합 시 심을 이용하여 봉제사들이 잘 풀리지 않도록 하여 결합 상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셋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심이나 테이핑 소재를 적용하여 봉제 결합에 들어가는 원단 사용률을 줄이며, 실 봉제만을 통한 결합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로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넷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복의 원단 결합부위에 있어서 표면 너비를 최소화하고 봉제사로 인한 솔기 두께를 거의 없앰으로써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운동복 원단에 적용되는 봉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에 적용되는 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에 적용되는 봉제사의 일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봉제사의 측단면도;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봉제사가 운동복 원단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에 적용되는 봉제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은 봉제 결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원단(1) 사이로 심(101)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된 심(101)과 원단(1)을 동시에 봉제사(2)에 의하여 봉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서로 결합하고자 하는 두 개 원단(1)의 결합 영역에 원단(1)의 일면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심(101)을 설치하게 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심(101)이 적용되는 원단(1) 위치는 운동복의 특정부에서 형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한 위치로서 운동복의 소매부나 카라 등이 형성되는 부위에 적용되는 원단(1)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심(101)은 소정 두께와 강성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유연한 천재질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다리미 등의 가열에 의하여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상기 원단(1)의 접합면에 용융되면서 결합되는 접합물질이 적용된 형태를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운동복의 특정 부위에 있어서 적용되는 상기 원단(1)들의 결합 영역에 원단(1)들 사이로 상기 심(101)이 적용된 후, 다리미 등을 이용 가열함으로써 원단(1)과 심(101)이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양측 원단(1)과 심(101)을 봉제사(2)에 의하여 봉제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형태 유지를 이루는 소정 강직성을 가진 심(101)에 의하여 원단(1)의 결합부가 최초 형태를 유지하며 봉제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복의 목 부분 카라 및 소매 깃에 심을 적용함으로써 그 부분에 대한 옷의 맵시를 최대한 보존할 수 있게 되고, 운동복 원단 결합 시 심을 이용하여 봉제사들이 잘 풀리지 않도록 하여 결합 상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에 적용되는 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심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에 적용되는 심(102)은 판상의 메인심(103)과, 상기 메인심(103)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구비되며 가열 시 상기 원단(1)의 일면에 결합되는 가열접합영역부(107)와, 상기 메인심(103)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원단(1)의 일면에 임시 접착되는 접착액이 적용된 임시접착영역부(105)를 동시에 구비한다.
상기 메인심(103)은 천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소정 강직성을 가짐과 동시에 플렉시블한 성질을 지닌다.
그리고, 상기 임시접착영역부(105)는 소정의 접착액이 발라진 테이프 형태를 이루어 심(102)을 두 개의 원단(1)이 결합되는 부위로 가 설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접착영역부(105)를 이용 양측 원단(1)에 가결합시킨 후, 상기 가열접합영역부(107)를 이용 다리미 등을 이용 두 개의 결합되는 원단(1) 외측을 가열함으로써 심(102)과 원단(1)의 접착면이 열적 결합을 추가적으로 이루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양측 원단(1)과 심(102)을 봉제사에 의하여 봉제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형태 유지를 이루는 소정 강직성을 가진 심(102)에 의하여 원단(1)의 결합부가 형태를 유지하며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임시접착영역부(105)를 이용 심(102)을 원단의 결합부위에 배치시킴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추가적으로 열적 결합 및 봉제사 결합을 통하여 원단(1)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심(10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면상 형태의 테이핑(120)이 추가적으로 적용된다.
상기 테이핑(120)은 열 가열에 따라서 심(101) 또는 원단(1)에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며 공지된 원단 결합에 적용되는 테이핑 구조가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핑(120) 부재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원단(1)이 결합되는 부위의 두께를 조절하거나 또는 강성을 더 크게 이루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즉, 테이핑(120) 부재의 적용 개수를 이용 원단(1)의 두께를 더 크게 하거나 테이핑(120)들 사이의 결합력을 이용하여 특정 부위 원단(1)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에 적용되는 봉제사의 일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봉제사의 측단면도이며,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봉제사가 운동복 원단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복 원단 봉제 결합 방법에 적용되는 봉제사(10)는 관 형태의 외부가열접합부(16)와, 상기 외부가열접합부(16) 내측에 설치되는 관 형태의 내부패브릭부(14)와, 상기 내부패브릭부(14)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봉제사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가열접합부(16)는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 시 용융되면서 원단에 상기 내부패브릭부(14)가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소정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당히 얇은 두께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내부패브릭부(14) 또한 상당히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되 소정 섬유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봉제사부(12)는 일반적인 봉제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패브릭부(14)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외력이 작용 시에는 소정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봉제사(10)는 일반적인 봉제사와 최대한 비슷한 직경을 가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심(101, 102)이나 테이핑(120)이 적용되어 결합된 원단(1)들을 봉제 결합할 때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봉제사(10)를 이용 원단(1)들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봉제사(10) 외부를 다리미 등을 이용 가열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외부가열접합부(16)가 용융되면서 내부패브릭부(14)가 원단(1)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원단(1)들 사이에 외력이 가하여지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봉제사(10)들의 결합 상태를 이용하여 원단(1)들간 결합이 유지되도록 하되, 내부에 배치된 메인봉제사부(12)는 내부패브릭부(14)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당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메인봉제사부(12)가 완충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여 원단(1)들의 결합 상태를 보다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에 적용되는 봉제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사(20)는 관 형태의 외부가열접합부(28)와, 상기 외부가열접합부(28) 내측에 설치되는 관 형태의 용융발향부(26)와, 상기 용용발향부(26) 내측에 설치되는 관 형태의 내부패브릭부(24)와, 상기 내부패브릭부(24)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봉제사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가열접합부(28)와, 내부패브릭부(24) 및 메인봉제사부(22)는 전술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용융발향부(26)는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 시 용융되면서 소정 향을 발산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용융발향부(26)는 상기 내부패브릭부(24) 외측면에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미질 등을 통하여 원단(1)에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사(20)를 결합 시 상기 용융발향부(26)의 발향정도에 따라서 원단(1)에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하면서 봉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원단
101, 102: 심
105: 임시접착영역부
107: 가열접합영역부

Claims (3)

  1. 봉제 결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원단 사이로 복수 개의 테이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테이핑 사이로 심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심과 원단 및 테이핑을 봉제사를 이용 봉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봉제사를 이용 봉제 결합된 부위를 다리미를 이용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핑은 열 가열에 따라서 상기 심 또는 원단에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봉제사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부가열접합부와,
    상기 외부가열접합부 내측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내부패브릭부와,
    상기 내부패브릭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봉제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가열접합부는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 시 용융되면서 상기 원단에 상기 내부패브릭부가 결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메인봉제사부는 섬유재로 이루어진 봉제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패브릭부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외력이 작용 시에는 소정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은 적어도 일측면에 가열 시 상기 원단의 일면에 결합되는 가열접합영역부를 구비하는,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은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원단의 일면에 임시 접착되는 접착액이 적용된 임시접착영역부를 구비하는,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
KR1020210098103A 2021-07-26 2021-07-26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 KR102544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103A KR102544415B1 (ko) 2021-07-26 2021-07-26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103A KR102544415B1 (ko) 2021-07-26 2021-07-26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517A KR20230016517A (ko) 2023-02-02
KR102544415B1 true KR102544415B1 (ko) 2023-06-15

Family

ID=8522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103A KR102544415B1 (ko) 2021-07-26 2021-07-26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4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97B1 (ko) 2013-08-06 2014-09-26 주식회사 엘브이엠 접착심지 및 이를 이용한 의류제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757B1 (ko) 2011-07-11 2013-07-08 임선옥 무봉제를 이용한 조립형 의류 제작 방법
KR20130142043A (ko) * 2012-06-18 2013-12-27 이명철 의류용 접합부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97B1 (ko) 2013-08-06 2014-09-26 주식회사 엘브이엠 접착심지 및 이를 이용한 의류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517A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2731B1 (en) Athletic protective undergarment
US8769716B2 (en) Moisture control garment
JP6284090B1 (ja) 冷却衣服用冷却装置と、それを装着した冷却衣服
US7191720B2 (en) Method of manufacture for stitchless garment
EP2476324A1 (en) Waterproof moisture-permeable underwear and waterproof moisture-permeable liner
TWM552932U (zh) 布料
KR100664873B1 (ko)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KR20170081662A (ko) 이중-층 트림 피스
JP2012180629A (ja) 特にサイクリング用のシートパッド付スポーツ衣料
KR20050043668A (ko)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KR102544415B1 (ko) 심을 이용한 운동복 원단의 봉제 결합 방법
US20070130809A1 (en) Sewing method for wrinkle-free shirt
KR200492525Y1 (ko) 속옷 일체형 의류
JP2015105461A (ja) シートパッド付サイクリングスーツとその製造方法
KR101228289B1 (ko) 기능성 셔츠와 그 제조방법
US20100263105A1 (en) Comfortable and Cool Shirt Collar
JP2017043863A (ja) 被服
KR20170092846A (ko) 땀 흡수 패드 부착한 의류상의
JP2015175086A (ja) サイクリングウェア
JP2021031802A (ja) インナー
JP7318999B2 (ja) 冷却衣服と、その製造方法
JP3221226U (ja) シャツ
JP7214213B2 (ja) 冷却衣服と、その製造方法
JP7159521B2 (ja) 靴下
KR200415976Y1 (ko) 의류용 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