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325B1 - 숯불 소화기 - Google Patents

숯불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325B1
KR102544325B1 KR1020230007781A KR20230007781A KR102544325B1 KR 102544325 B1 KR102544325 B1 KR 102544325B1 KR 1020230007781 A KR1020230007781 A KR 1020230007781A KR 20230007781 A KR20230007781 A KR 20230007781A KR 102544325 B1 KR102544325 B1 KR 102544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water
air
main body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숙
이기호
Original Assignee
박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숙 filed Critical 박정숙
Priority to KR102023000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에 사용된 숯을 재활용하기 위한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이 붙어 있는 상태의 숯을 숯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본체 내부에 수납시킨 다음 상부본체를 닫고 이후 물과 공기를 숯 용기 쪽으로 분사하여 숯불을 소화시킴과 동시에 숯에 묻어 있는 재를 떨어내어 숯의 재활용성을 높인 숯불 소화기이다.

Description

숯불 소화기{a charcoal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에 사용된 숯을 재활용하기 위한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이 붙어 있는 상태의 숯을 숯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본체 내부에 수납시킨 다음 상부본체를 닫고 이후 물과 공기를 숯 용기 쪽으로 분사하여 숯불을 소화시킴과 동시에 숯에 묻어 있는 재를 떨어내어 숯의 재활용성을 높인 숯불 소화기이다.
일반적으로 숯은 목재를 태워서 남은 탄소덩어리를 말하며, 육류와 같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 음식점 등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숯은 한번 착화가 되면 잘 꺼지지 않아서 음식의 조리를 끝난 다음에도 완전연소를 시키고 있으며, 이로써 일반 음식점 등에서는 음식의 조리비용이 급격히 상승되고 있으며, 숯불을 물로써 소화시킬 경우 숯이 물을 머금게 되어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건조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2304182호에 제안되어 있는 숯불 소화장치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내부에 착화된 숯을 수용하며 상기 숯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밀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숯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상기 숯을 소화(消火)하는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 내측에 내측면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공성 망체로 형성되어 재를 걸러내는 거름망; 내부에 상기 밀폐용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집진관이 연결된 하우징; 상기 집진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비산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팬; 및 일 측에 상기 집진관이 연결되어 상기 비산먼지가 공급되며, 상기 비산먼지를 세정수로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집진관이 연결되는 상부가 상기 집진관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팬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집진부 사이의 상기 집진관에 연결되어 상기 비산먼지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집진부로 분사하는 숯불 소화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밀폐용기에 의해 숯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숯을 소화시키는 장치이므로 숯의 소화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특히 밀폐용기의 밀폐성이 떨어질 경우 숯의 소화속도가 더욱 저하될 수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2402834호에 제안되어 있는 숯 재활용을 위한 숯불 소화장치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연소중인 숯이 수용되는 소화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 공간에 수용된 상기 숯이 소화되는 동안, 상기 소화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 상기 커버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중인 숯의 연소를 중지시키는 소화 수단;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 공간에 수용된 상기 숯에 대한 상기 소화 수단의 가동에 의한 소화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소화 공간에서 팽창하는 증기 및 분진의 팽창과 비산에 따른 상기 소화 공간 내부의 압력 팽창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 공간과 대기를 상호 연통시키는 채널을 내부에 형성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는 배기 수단; 및 상기 배기 수단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 팽창 현상에 수반하여 비산하는 상기 분진을 포집 여과하는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선단부 입구와, 상기 선단부 입구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하강배출 채널과, 상기 하강배출 채널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하강배출 채널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상승배출 채널과, 상기 상승배출 채널의 말단부 일측에 절개 형성되어 대기와 연통되는 말단부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링 수단은 상기 말단부 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필터링 수단의 수용 지지 및 탈착 결합이 가능하도록 필터 버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 버킷은, 상기 말단부 출구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상승배출 채널에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상승배출 채널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지지편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편에 대하여 직각 절곡되며 상기 상승배출 채널의 내측면에 맞닿은 외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제1 연결편과, 상기 제1 지지편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편에 대하여 직각 절곡되며 상기 상승배출 채널의 내측면에 맞닿은 외측 가장자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제1 연결편과 마주보는 제2 연결편과,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기 상승배출 채널의 내측면에 맞닿은 외측 가장자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필터링 수단을 받침 지지하는 받침지지편과,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 및 상기 받침지지편에 의하여 형성되는 필터 버킷에 안착된 상기 필터링 수단이, 상기 소화 수단의 가동으로 인하여 상기 소화 공간으로 비산하는 상기 분진을 포집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지편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통 슬롯과, 상기 필터 버킷에 안착된 상기 필터링 수단에 의하여 포집된 분진을 제외한 증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상승배출 채널의 상단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는 제2 연통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재활용을 위한 숯불 소화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이 역시 숯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숯을 소화시키는 방식이어서 숯의 소화에 필요한 시간 소모가 많아지고, 장치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급격히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04182호(2021. 9. 2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02834호(2020. 5. 30.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불이 붙어 있는 상태의 숯을 숯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본체 내부에 수납시킨 다음 상부본체를 닫고 이후 물과 공기를 숯 용기 쪽으로 분사하여 숯불을 소화시킴과 동시에 숯에 묻어 있는 재를 떨어내어 숯의 재활용성을 높인 숯불 소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숯이 담겨 있는 숯 용기 쪽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의 단부에는 스프레이 노즐을 설치하여, 숯 용기에 담겨 있는 숯 전체로 물을 순간적으로 공급하여 숯불을 소화할 수 있는 숯불 소화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체의 챔버에는 물을 넣어서 숯불에서 떨어져나온 재가 걸러지도록 하며, 본체의 일측에는 배기용 송풍기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용 송풍기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는 챔버 내부에 별도로 구획되어 있는 흡기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재가 나가지 않도록 한 숯불 소화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숯불 소화기는 음식의 조리를 위해 사용한 숯을 재사용하기 위해 소화시키는 숯불 소화기에 있어서, 내부에 챔버가 형성되고 숯을 담은 숯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바스켓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힌지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에 설치되어 숯이 담긴 숯 용기 쪽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급수관과, 상기 상부본체에 설치되어 숯이 담긴 숯 용기 쪽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급기용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숯불 소화기는 불이 붙어 있는 상태의 숯을 숯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본체 내부에 수납시킨 다음 상부본체를 닫고 이후 물과 공기를 숯 용기 쪽으로 분사하여 숯불을 소화시킴과 동시에 숯에 묻어 있는 재를 떨어내어 숯의 재활용성을 높인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숯이 담겨 있는 숯 용기 쪽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의 단부에는 스프레이 노즐을 설치하여, 숯 용기에 담겨 있는 숯 전체로 물을 순간적으로 공급하여 숯불을 소화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본체의 챔버에는 물을 넣어서 숯불에서 떨어져나온 재가 걸러지도록 하며, 본체의 일측에는 배기용 송풍기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용 송풍기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는 챔버 내부에 별도로 구획되어 있는 흡기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재가 나가지 않도록 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타실시 예시도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에 사용된 숯을 재활용하기 위한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이 붙어 있는 상태의 숯을 숯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본체 내부에 수납시킨 다음 상부본체를 닫고 이후 물과 공기를 숯 용기 쪽으로 분사하여 숯불을 소화시킴과 동시에 숯에 묻어 있는 재를 떨어내어 숯의 재활용성을 높인 숯불 소화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숯불 소화기는 음식의 조리를 위해 사용한 숯을 재사용하기 위해 연소중인 숯을 소화시키는 숯불 소화기에 있어서, 내부에 챔버(1a)가 형성되고 숯(C)을 담은 숯 용기(CC)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바스켓(2)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1) 상부에 설치되어 힌지(1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상부본체(3)와, 상기 상부본체(3)에 설치되어 숯(C)이 담긴 숯 용기(CC) 쪽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급수관(4)과, 상기 상부본체(3)에 설치되어 숯(C)이 담긴 숯 용기(CC) 쪽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급기용 송풍기(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먼저, 본체(1)는 하부에 바퀴(16)가 설치되어 이동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내부에 빈 공간인 챔버(1a)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1a)에는 바스켓(2)이 설치되어 있어서 연소상태의 숯(C)을 담은 숯 용기(CC)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본체(3)는 본체(1)와 힌지(10)로 결합되어 있어서 개폐가 이루어지며, 상부본체(3)의 일측에는 패킹(18)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1)에는 패킹(18)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부본체(3)가 본체(1)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4)은 상부본체(3)에 설치되어 숯 용기(CC) 쪽으로 물을 분사해주기 위한 이동관으로서,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1)가 설치되어 전기신호에 의해 물의 분사를 수행하게 되고, 상기 급기용 송풍기(5)는 상부본체(3)에 설치되어 숯 용기(CC) 쪽으로 공기를 분사해주기 위한 송풍기이다.
따라서, 연소 상태의 숯(C)이 담겨 있는 숯 용기(CC)를 바스켓(2)에 안착시키고, 상부본체(3)를 닫은 다음 스위치(7)를 누르게 되면, 급수관(4)을 통해 물이 분사됨과 동시에 급기용 송풍기(5)에 의해 공기를 분사하여 연소상태의 숯을 소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급수관(4)의 단부에는 스프레이 분사노즐(9)이 설치되어 급수관(4)을 통과한 물이 숯 용기(CC) 전체로 배출되며, 급기용 송풍기(5)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혼합관(6)을 거쳐 물과 함께 동시에 숯(C)으로 분사됨으로써 숯불의 소화와 함께 건조를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스프레이 분사노즐(9)은 급수관(4)을 통과한 물이 넓은 면적으로 펼쳐지면서 분사될 수 있는 노즐로서, 물이 스프레이 분사노즐(9)을 통과하면서 노즐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파이럴 형상의 돌기로 인해 빠른 속도로 회전되면서 분사됨에 따라 숯 용기(CC) 전체로 물이 분사되며, 이로써 연소 상태의 숯불을 빠른 속도로 소화시킬 수 있고, 상기 급기용 송풍기(5)는 숯불의 소화로 생기는 재(A)를 본체(1)의 바닥 쪽으로 떨어뜨림과 동시에 물이 묻은 숯을 빠른 속도로 건조해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숯불 소화기는 물의 공급에 의한 숯불의 소화와 함께 숯(C)의 표면에 묻어 있는 재(A)를 제거하면서 숯을 건조시키는 과정이 한 번에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숯의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2)에는 숯(C)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재(A)가 본체(1)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의 챔버(1a)에는 물(W)이 채워져 있어서 숯(C)에서 떨어져 나온 재(A)가 물(W)에 의해 걸러져 침전되게 된다.
즉, 상기 바스켓(2)의 하부면과 측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급기용 송풍기(5)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와, 급수관(4)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신속히 통과될 수 있으며, 본체(1)의 챔버(1a) 내부에는 일정한 수위의 물(W)이 채워져 있어서 급수관(4)에 의해 공급되는 물과 숯(C)에서 떨어져 나온 재(A)가 물(W) 쪽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로써 재(A)는 물에 의해 걸러져서 바닥 쪽으로 침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청소구(17)가 구비되어 있어서 본체(1)에 쌓이는 재(A)를 외부로 빼내는 청소를 수행할 수 있고, 드레인(23)이 설치되어 있어서 물(W)이 일정한 수위 이상으로 올라올 경우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배기용 송풍기(12)가 설치되어 챔버(1a)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되, 급기용 송풍기(5)로부터 분사된 공기는 챔버(1a) 내부에 구획되어 있는 흡기통로(13)를 거쳐 배기용 송풍기(12)로 들어가고, 이후 배출통로(14)와 공기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배기용 송풍기(12)는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어 챔버(1a)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급기용 송풍기(5)에 의해 챔버(1a)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챔버(1a)에 채워져 있는 물(W) 쪽으로 분사되어 재(A)는 물(W)에 걸러지게 되고, 재가 걸러진 공기는 챔버(1a)에서 구획되어 있는 흡기통로(13) 쪽으로 들어가서 배기용 송풍기(12)에 의해 다시 아래로 분사되고 이후 배출통로(14)와 공기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구(15)의 일측에는 별도의 배기용 덕트(22)를 더 설치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사용자 쪽으로 배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3)의 일측에는 상부본체(3)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20)가 설치되고, 작동을 위한 스위치(7)가 설치되며, 상부본체(3)와 본체(1)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11)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부본체(3)가 본체(1)에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작동이 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부본체(3)의 일측에는 손잡이(20)가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0)를 잡고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힌지(10)를 중심으로 상부본체(3)가 회동되면서 열리며, 상기 스위치(7)는 숯불의 소화를 위한 작동명령을 입력해주는 구성이며, 상기 리미트스위치(11)는 상부본체(3)가 본체(1)에 완전히 결합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센서로서, 리미트스위치(11)에 의해 상부본체(3)가 본체(1)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스위치(7)에 의한 명령에도 숯불의 소화작업이 진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본체(3)가 본체(1)에 완전히 결합되어 리미트스위치(11)에 의한 감지신호가 제어용기판(8) 쪽으로 전달이 되어야만 스위치(7)에 의해 숯불의 소화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3)와 본체(1) 사이에는 가스쇼바(19)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부본체(3)가 열린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본체(1) 쪽으로 급격히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부본체(3)는 상부본체 자체의 무게와 급기용 송풍기(5) 등에 의해 상부본체(3)가 열린 상태에서 본체(1) 쪽으로 급격히 닫힐 수 있으므로, 상기 가스쇼바(19)에 의해 개폐가 급격히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손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타실시 예시도로서, 도 6은 본체(1)에서 상부본체(3)를 열어서 본체(1) 내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스위치(7)와 제어용 기판(8) 및 리미트스위치(11)의 위치를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다르게 가져간 실시예이다.
상기 스위치(7)는 상부본체(3)의 외부에 별도의 스위치 박스를 설치하여 작동명령을 입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제어용 기판(8)은 본체(1) 내부에 숯 용기(CC)를 넣을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부본체(3)의 내부에서 일측에 밀착되어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1)는 상기 스위치 박스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부본체(3)와 본체(1)의 닫힘 상태를 확인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숯불 소화기는 불이 붙어 있는 상태의 숯을 숯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본체 내부에 수납시킨 다음 상부본체를 닫고 이후 물과 공기를 숯 용기 쪽으로 분사하여 숯불을 소화시킴과 동시에 숯에 묻어 있는 재를 떨어내어 숯의 재활용성을 높인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숯이 담겨 있는 숯 용기 쪽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의 단부에는 스프레이 노즐을 설치하여, 숯 용기에 담겨 있는 숯 전체로 물을 순간적으로 공급하여 숯불을 소화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본체의 챔버에는 물을 넣어서 숯불에서 떨어져나온 재가 걸러지도록 하며, 본체의 일측에는 배기용 송풍기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용 송풍기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는 챔버 내부에 별도로 구획되어 있는 흡기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재가 나가지 않도록 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본체 1a. 챔버
2. 바스켓 3. 상부본체
4. 급수관 5. 급기용 송풍기
6. 혼합관 7. 스위치
8. 제어용 기판 9. 분사노즐
10. 힌지 11. 리미트스위치
12. 배기용 송풍기 13. 흡기통로
14. 배출통로 15. 공기배출구
16. 이동바퀴 17. 청소구
18. 패킹 19. 가스쇼바
20. 손잡이 21. 솔레노이드 밸브
22. 배기용 덕트 23. 드레인
C. 숯(charcoal) CC. 숯 용기(charcoal container)
A. 재(ashes)

Claims (6)

  1. 음식의 조리를 위해 사용한 숯을 재사용하기 위해 연소중인 숯을 소화시키는 숯불 소화기에 있어서,
    내부에 챔버(1a)가 형성되고 숯(C)을 담은 숯 용기(CC)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바스켓(2)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1) 상부에 설치되어 힌지(1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상부본체(3)와, 상기 상부본체(3)에 설치되어 숯(C)이 담긴 숯 용기(CC) 쪽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급수관(4)과, 상기 상부본체(3)에 설치되어 숯(C)이 담긴 숯 용기(CC) 쪽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급기용 송풍기(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급수관(4)의 단부에는 스프레이 분사노즐(9)이 설치되어 급수관(4)을 통과한 물이 숯 용기(CC) 전체로 배출되며, 급기용 송풍기(5)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혼합관(6)을 거쳐 물과 함께 동시에 숯(C)으로 분사됨으로써 숯불의 소화와 함께 건조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특징인 숯불 소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2)에는 숯(C)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재(A)가 본체(1)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의 챔버(1a)에는 물(W)이 채워져 있어서 숯(C)에서 떨어져 나온 재(A)가 물(W)에 의해 걸러져 침전되는 것이 특징인 숯불 소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배기용 송풍기(12)가 설치되어 챔버(1a)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되, 급기용 송풍기(5)로부터 분사된 공기는 챔버(1a) 내부에 구획되어 있는 흡기통로(13)를 거쳐 배기용 송풍기(12)로 들어가고, 이후 배출통로(14)와 공기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특징인 숯불 소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3)의 일측에는 상부본체(3)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20)가 설치되고, 작동을 위한 스위치(7)가 설치되며, 상부본체(3)와 본체(1)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11)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부본체(3)가 본체(1)에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작동이 되지 않는 것이 특징인 숯불 소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3)와 본체(1) 사이에는 가스쇼바(19)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부본체(3)가 열린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본체(1) 쪽으로 급격히 닫히는 것을 방지한 것이 특징인 숯불 소화기.
KR1020230007781A 2023-01-19 2023-01-19 숯불 소화기 KR102544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781A KR102544325B1 (ko) 2023-01-19 2023-01-19 숯불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781A KR102544325B1 (ko) 2023-01-19 2023-01-19 숯불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325B1 true KR102544325B1 (ko) 2023-06-15

Family

ID=8676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781A KR102544325B1 (ko) 2023-01-19 2023-01-19 숯불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3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060A (ko) * 2009-02-20 2010-08-30 임영식 에어 분사 및 흡입 배출에 의한 숯통 내 잔재물 제거장치
KR20100115097A (ko) * 2009-04-17 2010-10-27 최진달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KR102304182B1 (ko) 2019-05-10 2021-09-23 박경신 숯불 소화장치
KR102402834B1 (ko) 2021-10-22 2022-05-30 정재성 숯 재활용을 위한 숯불 소화장치
KR102483447B1 (ko) * 2022-02-28 2023-01-02 주식회사 청호그린테크 숯불 클리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060A (ko) * 2009-02-20 2010-08-30 임영식 에어 분사 및 흡입 배출에 의한 숯통 내 잔재물 제거장치
KR20100115097A (ko) * 2009-04-17 2010-10-27 최진달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KR102304182B1 (ko) 2019-05-10 2021-09-23 박경신 숯불 소화장치
KR102402834B1 (ko) 2021-10-22 2022-05-30 정재성 숯 재활용을 위한 숯불 소화장치
KR102483447B1 (ko) * 2022-02-28 2023-01-02 주식회사 청호그린테크 숯불 클리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1159A (en) Exhaust hood with disposable filter assembly and filter-condition sensor
KR102304182B1 (ko) 숯불 소화장치
US9125535B2 (en) Pulse filter cleaner for portable cyclonic dust collector/vacuum cleaner
US9399184B2 (en) Deflagration suppression screen for portable cyclonic dust collector/vacuum cleaner
US8652242B2 (en) Dust collection device
KR102353355B1 (ko) 숯불 클리너 장치
KR102113747B1 (ko) 이동식 철판구이 시스템
KR102544325B1 (ko) 숯불 소화기
KR102483447B1 (ko) 숯불 클리너 장치
CN215198870U (zh) 一种用于切丝机的除尘装置
KR20070008002A (ko) 배기 후드
CN113082886B (zh) 垃圾竖槽排气装置及真空收集系统
KR20240003946A (ko) 숯불 소화장치
JPH0439550A (ja) 加熱調理装置
KR101779134B1 (ko) 집진기
KR100352056B1 (ko) 이동식 집진장치
KR200257557Y1 (ko) 숯불 숙성기
JPH11221297A (ja) こんろ火災消火装置
JPH0123380Y2 (ko)
KR200296341Y1 (ko) 연기배출 및 세척이 용이한 연기 배출장치
WO2003096864A1 (en) Liquid bath filter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pparatus
CN217274366U (zh) 一种用于吸油烟机的预防着火系统
JPH0642599Y2 (ja) 電気掃除機
KR20230170390A (ko) 제연기능이 구비된 숯 재활용을 위한 숯불 소화장치
KR102654397B1 (ko) 조리흄 제거 기능을 구비한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