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276B1 - 버튼장치 - Google Patents

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276B1
KR102543276B1 KR1020210064996A KR20210064996A KR102543276B1 KR 102543276 B1 KR102543276 B1 KR 102543276B1 KR 1020210064996 A KR1020210064996 A KR 1020210064996A KR 20210064996 A KR20210064996 A KR 20210064996A KR 102543276 B1 KR102543276 B1 KR 102543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uide
push
substrat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197A (ko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부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부품(주) filed Critical 동아전기부품(주)
Priority to KR1020210064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2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부와, 기판부의 배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위치부와, 기판부에 장착되는 백하우징부와, 백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위치부를 선택 가압하는 푸시부와, 기판부에 장착되는 프론트하우징부와, 프론트하우징부에 장착되고 푸시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여, 기판부의 전면에 대한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버튼장치{BUTTON DEVICE}
본 발명은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 배면에 택트스위치를 배치하여 조작 공간을 확보하고, 내부 시인 방지를 위한 구조를 적용할 필요가 없는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튼장치는 기판 전면에 택트스위치가 배치되고, 버튼과 체결된 가이드부가 샤프트를 선택 가압하여 각각의 택트스위치가 조작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택트스위치가 기판의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버튼과 기판 사이에 별도의 조명구조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버튼의 캡 사이로 내부 시인 방지 구조를 필요로 하므로, 추가 공간 확보를 위해 제품 사이즈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64580호(2017.06.12.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푸쉬버튼 조립체)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판 배면에 택트스위치를 배치하여 조작 공간을 확보하고, 내부 시인 방지를 위한 구조를 적용할 필요가 없는 버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장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의 배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위치부; 상기 기판부에 장착되는 백하우징부; 상기 백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부를 선택 가압하는 푸시부; 상기 기판부에 장착되는 프론트하우징부; 상기 프론트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상기 푸시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하우징부는 상기 기판부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부를 커버하는 백몸체부; 및 상기 백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시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백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부는 상기 기판부를 관통하는 푸시막대부; 상기 푸시막대부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백하우징부에 핀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푸시축부; 상기 푸시막대부의 일단부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푸시막대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와 선택 접촉되는 푸시접촉부; 및 상기 푸시막대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푸시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하우징부는 프론트판부; 상기 프론트판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론트상부; 상기 프론트판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프론트하부; 상기 프론트판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판부에 지지되는 프론트지지부; 및 상기 프론트판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프론트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상부에는 조명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몸체부; 상기 가이드몸체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푸시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이드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몸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와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조작몸체부; 및 상기 조작몸체부에 형성되고, 미끌림을 방지하는 조작논슬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장치는 스위치부가 기판부의 배면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기판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조작부를 조작하면, 조작부와 연동되는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푸시부가 스위치부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기판부의 전면에 대한 설계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가 스위치부의 제1스위치를 조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가 스위치부의 제2스위치를 조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튼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가 스위치부의 제1스위치를 조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가 스위치부의 제2스위치를 조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1)는 기판부(10)와, 스위치부(20)와, 백하우징부(30)와, 푸시부(40)와, 프론트하우징부(50)와, 가이드부(60)와, 조작부(70)를 포함한다.
기판부(10)는 각종 회로가 실장되고, 스위치부(20)는 기판부(10)의 배면에 복수개 배치된다. 일예로, 스위치부(20)는 제1스위치(21)와, 제1스위치부(21)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2스위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부(20)는 가압됨에 따라 설정된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백하우징부(30)는 기판부(10)에 장착된다. 일예로, 백하우징부(30)는 기판부(10)의 배면에 장착되어 스위치부(20)를 커버할 수 있다. 백하우징부(30)는 기판부(10)에 나사 조립될 수 있다.
푸시부(40)는 백하우징부(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위치부(20)를 선택 가압한다. 일예로, 푸시부(40)는 기판부(10)를 관통하고, 제1스위치(21)와 제2스위치(22)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되어 이들을 선택 가압할 수 있다.
프론트하우징부(50)는 기판부(10)에 장착된다. 일예로, 프론트하우징부(50)는 기판부(10)의 전면에 장착된다. 기판부(10)의 전면에 스위치부(20)가 없으므로, 프론트하우징부(50)는 다양한 조명 설치를 위한 구조, 근접버튼 적용을 위한 구조 등이 설계 가능하다.
가이드부(60)는 프론트하우징부(50)에 장착되고, 푸시부(4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일예로, 가이드부(60)는 프론트하우징부(5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70)는 가이드부(6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다. 일예로, 조작부(70)는 가이드부(60)를 커버하고,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하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70)를 하방으로 조작하면, 가이드부(60)와 연결된 푸시부(40)를 상방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푸시부(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스위치(22)를 압박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조작부(70)를 상방으로 조작하면, 가이드부(60)와 연결된 푸시부(40)를 하방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푸시부(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스위치(21)를 압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하우징부(30)는 백몸체부(31)와 백홀부(32)를 포함한다.
백몸체부(31)는 스위치부(20)를 커버하기 위해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기판부(10)의 배면에 나사 조립된다. 이러한 백몸체부(31)에는 기판부(10)와 밀착되어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도록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백홀부(32)는 백몸체부(31)에 형성되고, 푸시부(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착된다. 일예로, 백홀부(32)는 백몸체부(3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푸시부(40)가 삽입될 수 있다. 그 외, 백홀부(32)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백돌기(33)는 기판부(10)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어 조립 위치를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부(40)는 푸시막대부(41)와, 푸시축부(42)와, 푸시접촉부(43)와, 푸시연결부(44)를 포함한다.
푸시막대부(41)는 기판부(10)를 관통한다. 일예로, 푸시막대부(41)는 기판부(10)에 형성되는 홀을 관통하여 백몸체부(31)에 삽입되고, 제1스위치(21)와 제2스위치(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푸시축부(42)는 푸시막대부(41)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백하우징부(30)에 핀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다. 일예로, 푸시축부(42)는 푸시막대부(41)의 양면에서 돌출되고, 백홀부(32)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푸시접촉부(43)는 푸시막대부(41)의 일단부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되고, 푸시막대부(41)가 회전됨에 따라 스위치부(20)와 선택 접촉된다. 일예로, 푸시접촉부(43)는 푸시막대부(41)의 후단부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제1스위치(21)와 제2스위치(22)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푸시연결부(44)는 푸시막대부(41)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가이드부(60)와 연결된다. 일예로, 푸시연결부(44)는 푸시막대부(41)의 전단부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지지부(441)와, 연결지지부(441)를 연결하고 가이드부(6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축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하우징부(50)는 프론트판부(51)와, 프론트상부(52)와, 프론트하부(53)와, 프론트지지부(54)와, 프론트결합부(55)를 포함한다.
프론트판부(51)는 기판부(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프론트판부(51)는 기판부(10)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프론트상부(52)는 프론트판부(51)의 상부에 형성된다. 일예로, 프론트상부(52)는 프론트판부(51)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기판부(10)에 지지되거나 기판부(10)와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하부(53)는 프론트판부(51)의 하부에 형성된다. 일예로, 프론트하부(53)는 프론트판부(51)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기판부(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프론트지지부(54)는 프론트판부(5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기판부(10)에 지지된다. 일예로, 프론트지지부(54)는 프론트판부(51)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기판부(10)에 접촉되는 지지돌기부(541)와, 지지돌기부(541)에서 돌출되어 기판부(10)에 형성된 홀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삽입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톤트결합부(55)는 프론트판부(5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가이드부(6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프론트결합부(55)는 프론트판부(5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결합지지부(551)와, 결합지지부(5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부(60)와 결합되는 결합돌기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상부(52)에는 조명이 구비된다. 일예로, 프론트상부(52)에는 상부덕트부(521)가 형성되어 기판부(10)에 밀착되고, 기판부(10)에 직접 장착되거나 기판부(10)에 연결되는 상부램프부(522)는 기판부(10)의 제어로 점등될 수 있다. 상부램프부(522)에서 조사되는 광은 상부덕트부(521)를 통해 전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부덕트부(521)에는 광을 전방으로 유도하도록 광반사층이 코팅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60)는 가이드몸체부(61)와, 가이드연결부(62)와, 가이드결합부(63)를 포함한다.
가이드몸체부(61)는 프론트판부(51)의 전방에서 프론트판부(5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가이드연결부(62)는 가이드몸체부(6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푸시부(4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일예로, 가이드연결부(62)는 프론트판부(51)를 관통하고,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홀이 형성되어 연결축부(44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축부(442)는 가이드연결부(62)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결합부(63)는 가이드몸체부(6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프론트하우징부(5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조작부(70)와 결합된다. 일예로, 가이드결합부(63)는 가이드몸체부(61)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주보는 결합판부(631)와, 결합판부(631)에 형성되는 결합홀부(632)와, 결합판부(631)의 외측에서 돌출되는 결합걸림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지지부(551)는 가이드몸체부(61)를 관통하고, 결합돌기부(552)는 결합홀부(632)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몸체부(61)의 배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복원부(64)에는 스프링이 지지되면, 외력이 제거된 후 가이드몸체부(61)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은 프론트판부(51)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70)는 조작몸체부(71)와, 조작논슬립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몸체부(71)에는 가이드부(60)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된다. 일예로, 조작몸체부(71)는 내부에 삽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가이드부(6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조작몸체부(71)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사이드홀부(711)에 결합걸림부(63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조작논슬립부(72)는 조작몸체부(71)에 형성되고, 미끌림을 방지한다. 일예로, 조작논슬립부(72)는 조작몸체부(71)와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 외, 조작논슬립부(72)는 논슬립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되고, 조작몸체부(7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조립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푸시축부(42)가 백홀부(32)에 장착된 상태에서, 백몸체부(31)를 기판부(10)의 배면에 조립한다. 이때, 푸시막대부(41)는 기판부(10)를 관통하고, 푸시접촉부(43)는 상하 배치되는 제1스위치(21)와 제2스위치(22)를 마주본다.
한편, 가이드결합부(63)가 조작부(70)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고, 프론트결합부(55)는 가이드몸체부(61)를 관통하여 가이드연결부(6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기판부(10)의 전면에 프론트하우징부(5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푸시연결부(44)와 가이드연결부(62)가 연결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70)를 올리면(도 3 참조), 조작부(70)와 연동되는 가이드부(60)는 결합돌기부(552)가 회전축이 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가이드연결부(62)와 연결된 푸시부(40)는 푸시축부(42)가 회전축이 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푸시부(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푸시접촉부(43)가 제1스위치(21)를 가압한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부(70)를 내리면(도 4 참조), 조작부(70)와 연동되는 가이드부(60)는 결합돌기부(552)가 회전축이 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가이드연결부(62)와 연결된 푸시부(40)는 푸시축부(42)가 회전축이 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푸시부(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푸시접촉부(43)가 제2스위치(22)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버튼장치(1)는 스위치부(20)가 기판부(10)의 배면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기판부(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조작부(70)를 조작하면 조작부(70)와 연동되는 가이드부(60) 및 가이드부(6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푸시부(40)가 스위치부(20)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기판부(10)의 전면에 대한 설계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기판부 20 : 스위치부
30 : 백하우징부 31 ; 백몸체부
32 : 백홀부 40 : 푸시부
41 : 푸시막대부 42 : 푸시축부
43 : 푸시접촉부 44 : 푸시연결부
50 : 프론트하우징부 51 : 프론트판부
52 : 프론트상부 53 : 프론트하부
54 : 프론트지지부 55 : 프론트결합부
60 : 가이드부 61 : 가이드몸체부
62 : 가이드연결부 63 : 가이드결합부
70 : 조작부 71 : 조작몸체부
72 : 조작논슬립부

Claims (7)

  1. 기판부;
    상기 기판부의 배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위치부;
    상기 기판부에 장착되는 백하우징부;
    상기 백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부를 선택 가압하는 푸시부;
    상기 기판부에 장착되는 프론트하우징부;
    상기 프론트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상기 푸시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하우징부는
    상기 기판부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부를 커버하는 백몸체부; 및
    상기 백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시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백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는
    상기 기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백몸체부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상기 스위치부 사이에 배치되는 푸시막대부;
    상기 푸시막대부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백하우징부에 핀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푸시축부;
    상기 푸시막대부의 일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개의 상기 스위치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푸시막대부가 회전됨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스위치부와 선택 접촉되는 푸시접촉부; 및
    상기 푸시막대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푸시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연결부는
    상기 푸시막대부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지지부; 및
    상기 연결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하우징부는
    프론트판부;
    상기 프론트판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론트상부;
    상기 프론트판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프론트하부;
    상기 프론트판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판부에 지지되는 프론트지지부; 및
    상기 프론트판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프론트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상부에는 조명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몸체부;
    상기 가이드몸체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푸시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이드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몸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와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조작몸체부; 및
    상기 조작몸체부에 형성되고, 미끌림을 방지하는 조작논슬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KR1020210064996A 2021-05-20 2021-05-20 버튼장치 KR102543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996A KR102543276B1 (ko) 2021-05-20 2021-05-20 버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996A KR102543276B1 (ko) 2021-05-20 2021-05-20 버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197A KR20220157197A (ko) 2022-11-29
KR102543276B1 true KR102543276B1 (ko) 2023-06-16

Family

ID=8423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996A KR102543276B1 (ko) 2021-05-20 2021-05-20 버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2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3458A (ja) * 2013-11-27 2015-06-04 日本精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220Y2 (ko) * 1986-05-27 1991-12-09
JP3626582B2 (ja) * 1997-10-24 2005-03-09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電子機器のシーソーボタン装置
KR101203688B1 (ko) * 2010-08-10 2012-11-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779339B1 (ko) * 2015-12-29 2017-09-20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3458A (ja) * 2013-11-27 2015-06-04 日本精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197A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4780A (en) Virtual touch screen switch
JP3849221B2 (ja) 照光つまみ付スイッチ
JP2009181711A (ja) スイッチ装置
FR2860097A1 (fr) Clavier muni de touches a enfoncement ainsi que bouton equipe d'un tel clavier, en particulier pour tableau de commande de vehicule automobile.
EP2031112B1 (en) Clothes handling apparatus having button for control panel assembly
JP3972612B2 (ja) 複合スイッチ
KR102543276B1 (ko) 버튼장치
CN105304370A (zh) 车辆用开关装置
KR20130046367A (ko)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및 화상 형성 장치
JPH0314747Y2 (ko)
JPH09213174A (ja) ロッカースイッチ
JP4166586B2 (ja) ハンドルスイッチ
JP4969343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KR100388275B1 (ko) 세탁기의 조작노브 장착구조
JP5619570B2 (ja) 操作パネル
JP2019046595A (ja) 配線スイッチ構造、及びスイッチ装置
EP1739792B1 (en) Circuit unit device
JP3990184B2 (ja) スイッチ装置
WO2019171770A1 (ja) 切替スイッチ及びスイッチ装置
KR100373641B1 (ko) 자동차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오작동방지용 스위치구조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100662292B1 (ko) 세탁기용 조작부의 버튼장치
JP3279809B2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KR100992425B1 (ko) 오동작 방지구조를 갖는 휠리모컨 스위치
JP6962959B2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