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627B1 - 의료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627B1
KR102542627B1 KR1020210036492A KR20210036492A KR102542627B1 KR 102542627 B1 KR102542627 B1 KR 102542627B1 KR 1020210036492 A KR1020210036492 A KR 1020210036492A KR 20210036492 A KR20210036492 A KR 20210036492A KR 102542627 B1 KR102542627 B1 KR 102542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ser
front cover
main fram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632A (ko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최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석 filed Critical 최원석
Priority to KR102021003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6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5Splash shields for protection of the surgeon, e.g. splash guards connected to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61B2090/502Headgear, e.g. helmet, specta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 커버부;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프레임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후두 받침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조명 장치 {Lighting Apparatus for Medic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료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이스 쉴드(Face Shield)는 안면 보호 장비 또는 안면 보호대라고도 하며, 사용자의 안면의 앞쪽에 투명한 커버부를 구비하여 공기 중의 유해한 물질로부터 사용자의 얼굴과 눈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그 중에서도 조명이 구비된 의료용 페이스 쉴드(Face Shield)는 의료용 조명 장치라고도 하며, 수술 과정 중 오염(contamination)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고, 공기로 운반되는 오염균(contaminant) 및 생체액에 대한 노출로부터 의료 전문가를 보호하기 위해서, 수술 환경과 같은 의료 환경에서의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장치다.
KR 2019-0097685 A1 (2019.08.21, 발명의 명칭: 의료용 헤드세트 카메라 모듈 및 의료용 영상 시스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광원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자 착용 편의성이 향상된 의료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 커버부;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프레임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후두 받침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메인 프레임 및 이와 결합된 후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후면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길이 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정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이 상기 후면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길이 조정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이 상기 후면 프레임에 대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안티-포그(anti-fog) 처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부의 전면(全面)에 안티-포그(anti-fog) 처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부에서 상기 광원부와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안티-포그(anti-fog) 처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부에서 사용자의 눈과 대응되는 영역에 안티-포그(anti-fog) 처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은, 사용자의 두 눈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착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료용 조명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료용 조명 장치에서 전면 커버부 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의료용 조명 장치의 전면 커버부만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의 전면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의 전면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료용 조명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료용 조명 장치에서 전면 커버부 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의료용 조명 장치의 전면 커버부만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100)는 프레임(110), 전면 커버부(120), 광원부(130), 이마 받침부(140), 후두 받침부(15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이 구비된 의료용 페이스 쉴드(Face Shield)는 의료용 조명 장치라고도 하며, 이러한 의료용 조명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의 앞쪽에 투명한 커버부를 구비하여 공기 중의 유해한 물질로부터 사용자의 얼굴과 눈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의료용 조명 장치는 병원균의 확산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어, 대면접촉이 불가피한 진료 시 의료진과 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개인보호장비(PP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와 같은 기존의 의료용 조명 장치는 크기 조절을 위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 밴드, 신축성 있는 스트랩 또는 노치 밴드 등을 구비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길이 조절 부재들은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으며, 길이 조절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100)는 각 구성요소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자 착용 편의성이 향상되며, 나아가 복수 개의 광원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110)은 메인 프레임(111), 후면 프레임(113) 및 길이 조정부(114)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11)은 착용자의 머리의 전면 및 상면을 따라 형성되며, 후술할 전면 커버부(120)가 결합된 착탈부(125), 광원부(130), 이마 받침부(140) 등과 결합하여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후면 프레임(113)은 착용자의 머리의 후면을 따라 형성되며, 후술할 후두 받침부(150)와 결합하여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후면 프레임(113)에는 후두 받침부(150)와는 별도로 후두 지지대(115)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두 지지대(115)는 사용자의 후두 부분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프레임(111)과 후면 프레임(113)은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이 중 적어도 일부가 일체(one-body)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후면 프레임(113)에는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 조정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길이 조정부(114)를 포함하는 프레임(110)의 길이 조정 메커니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1)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요철부(111a)가 형성되고, 후면 프레임(113)과 연결된 길이 조정부(114)에는 돌출부(114a)와 걸림부(114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 조정부(114)는 일종의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로서 작동할 수 있다. 즉, 길이 조정부(114)가 일 방향, 예를 들어 도 5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길이 조정부(114)의 돌출부(114a)가 걸림부(114b)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걸림부(114b)는 요철부(111a)와 치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길이 조정부(114)가 타 방향, 예를 들어 도 5에서 보았을 때 왼쪽으로 이동하면, 길이 조정부(114)의 돌출부(114a)와 걸림부(114b)가 이격되고, 이에 따라 걸림부(114b)도 요철부(111a)로부터 이격되며, 따라서 메인 프레임(111)이 후면 프레임(11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메인 프레임(111)이 후면 프레임(113)에 대해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이를 다시 표현하면, 길이 조정부(114)와 요철부(111a)의 치합 여부에 따라, 후면 프레임(113)에 대해 메인 프레임(111)이 이동 가능할 수도 있고,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길이 조정의 가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길이 조정부(114)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메인 프레임(111)이 후면 프레임(113)에 대해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길이 조정부(114)를 제2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길이 조정부(114)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길이 조정부(114)가 복수 개의 요철부(111a) 중 어디에 치합(또는 체결)되는지에 따라,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도 3의 화살표 A 방향)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로써, 길이 조정 메커니즘으로써의 다양한 기구적 구성이 프레임(110)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전면 커버부(120)는 투명한 합성수지(예를 들어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로 제작된 안면 보호대의 일종이다. 이와 같은 전면 커버부(120)의 적어도 일부에는 안티-포그(anti-fog)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커버부(120)의 적어도 일부에 하이드로 필릭(hydrophillic) 코팅 또는 하이드로 포빅(hydrophobic) 코팅 처리가 되어서, 전면 커버부(120)의 내측에 김(fog)이 서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티-포그(anti-fog) 처리는 전면 커버부(120)의 전면(全面)에 처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전면 커버부(120)의 일부에만 처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면 커버부(120)의 일부에만 처리된 실시예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술하기로 한다.
전면 커버부(120)와 착탈부(125)는 회전축(123)에 의해 축결합 되어 있다. 따라서 전면 커버부(120)는 착탈부(125)에 대해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착탈부(125)는 프레임(110)에 고정 결합되므로, 결과적으로 전면 커버부(120)가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착탈부(125)는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착탈부(125)의 나사 부분을 조이면 착탈부(125)가 프레임(110)에 부착되고, 착탈부(125)의 나사 부분을 풀어주면 착탈부(125)가 프레임(11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광원부(130)는 메인 프레임(111)의 일 단부에 결합되며, 두 개 이상의 광원(131)(1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 이상의 광원(131)(132)들은 수직 방향(즉, 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광원(131)(132)들은 사용자의 양쪽 눈과 인접한 영역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두 개 이상의 광원(131)(132)들은 사용자의 두 눈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만약 광원이 하나만 구비될 경우, 광원으로 인한 그림자가 형성되어 수술자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100)는, 두 개 이상의 광원(131)(132)을 구비하여, 두 개의 광원이 상호 작용하여 그림자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한편, 광원(131)(132)은 피사체를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31)(132)은 광을 생성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소스 장치를 적용할 수 있으며,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LED 일 수 있다.
광원부(130)의 일 측에는 광원부(13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135)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135)을 이용하여 수술 중에도 용이하게 광원부(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마 받침부(140)는 메인 프레임(111)에서 사용자의 이마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마 받침부(140)는 사용자의 이마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마 받침부(140)는 프레임(110)에 대해 도 3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마 받침부(140)는 프레임(110)에 대해 인입 및/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에 맞게 그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마 받침부(140)의 위치 조절을 위한 다양한 기구적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후두 받침부(150)는 후면 프레임(113)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후두(後頭)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두 받침부(150)는 프레임(110)에 대해 도 3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두 받침부(150)는 프레임(110)에 대해 인입 및/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에 맞게 그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두 받침부(150)의 위치 조절을 위한 다양한 기구적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두 받침부(150) 내에는 전원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두 받침부(150) 내에 광원부(130) 등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100)는 복수 개의 광원을 구비하여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자 착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의 전면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200)는, 다른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며, 전면 커버부(220)에서 안티-포그(anti-fog) 처리된 영역이 도 1의 실시예에 비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상세히, 안티-포그(anti-fog) 처리된 영역은 그 물리적 특성상 빛을 일정 정도 반사시킬 수 있어서, 광원부(130)에서 조사된 광의 일부가 전면 커버부(220)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에 다시 입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200)는, 전면 커버부(220)에서 광원부(도 1의 130 참조)와 대응되는 영역(221)에는 안티-포그(anti-fog)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즉, 전면 커버부(220)에서 광원부(도 1의 130 참조)와 대응되는 영역(22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만 안티-포그(anti-fog)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광원부(도 1의 130 참조)에서 조사된 빛이 전면 커버부(220)에서 반사되지 아니하고 전면 커버부(220)를 통과하여 피사체에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광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의 전면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300)는, 다른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며, 전면 커버부(320)에서 안티-포그(anti-fog) 처리된 영역이 도 1의 실시예에 비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상세히, 안티-포그(anti-fog) 처리에는 소정의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된다. 그런데 안티-포그(anti-fog) 처리는 사용자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사용자의 시선의 영역에만 안티-포그(anti-fog) 처리가 되어도 충분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눈과 대응되는 영역의 이외의 영역은, 안티-포그(anti-fog) 처리가 되지 않아서 일정 정도 김서림 현상이 발생한다고 하여도, 실제 사용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 장치(300)는, 전면 커버부(320)에서 사용자의 눈(미도시)과 대응되는 영역(321)에만 안티-포그(anti-fog)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전면 커버부(320)에서 사용자의 눈(미도시)과 대응되는 영역(32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안티-포그(anti-fog)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안티-포그(anti-fog) 처리를 위한 소정의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함으로써, 제조 단가가 낮아지고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의료용 조명 장치
110 : 프레임
120 : 전면 커버부
130 : 광원부
140 : 이마 받침부
150 : 후두 받침부

Claims (8)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 커버부;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프레임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후두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부는 사용자의 눈과 대응되는 영역과, 상기 광원부와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안티-포그(anti-fog) 처리가 되며,
    상기 프레임은 사용자의 머리의 전면 및 상면을 따라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및 이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머리의 후면을 따라 형성되는 후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후면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이 중첩되는 영역의 폭이 비중첩되는 영역의 폭보다 넓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이 중첩되는 영역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정부가 배치되되, 상기 길이 조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노출되는, 의료용 조명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길이 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정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이 상기 후면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길이 조정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이 상기 후면 프레임에 대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조명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은, 사용자의 두 눈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조명 장치.
KR1020210036492A 2021-03-22 2021-03-22 의료용 조명 장치 KR10254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492A KR102542627B1 (ko) 2021-03-22 2021-03-22 의료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492A KR102542627B1 (ko) 2021-03-22 2021-03-22 의료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632A KR20220131632A (ko) 2022-09-29
KR102542627B1 true KR102542627B1 (ko) 2023-06-12

Family

ID=8346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492A KR102542627B1 (ko) 2021-03-22 2021-03-22 의료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6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956A (ja) * 1998-12-11 2000-06-27 Sekimura:Kk 防護面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844B1 (ko) * 2010-02-06 2012-08-24 김기천 시상봉합면에 위치하는 길이조절형 헤드밴드
KR20190097685A (ko) 2018-02-13 2019-08-21 이창우 의료용 헤드세트 카메라 모듈 및 의료용 영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956A (ja) * 1998-12-11 2000-06-27 Sekimura:Kk 防護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632A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4910A (en) Head-supported illumination device
US20190277481A1 (en) Head-mounted lighting device
CN1929800A (zh) 眼睛外科保护罩
JP6185686B1 (ja) 医療用頭部装着型照明装置
CN106132224A (zh) 手术面部护具、手术框架、手术偏振屏蔽件以及手术系统
US20210345706A1 (en)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Contamination
JP3211531U (ja) 診療用装置
KR102542627B1 (ko) 의료용 조명 장치
US11969046B2 (en) Protective apparel system with a lens assembly
JP5747924B2 (ja) 細隙灯顕微鏡
US10401004B2 (en) Head-mounted type lighting device
US10390906B2 (en) Medical luminaire
CA2270837A1 (en) Device for optically examining and/or treating the human eye
JPH09122065A (ja) 内視鏡
KR102282550B1 (ko) 의료용 보호장비
JP6448075B1 (ja) 頭部装着型照明装置
JP3022512U (ja) 頭部または顔面装着型医療用照明装置
JPWO2020089737A5 (ko)
JP7461994B2 (ja) 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及び医療用光学照明装置
WO2023056024A1 (en) Light therapy treatment devices
JP2022174969A (ja) 放射線防護シールド
JP2020000478A (ja) 歯科用/医療用ハンドピース及びその歯科用/医療用ハンドピースを用いた医療用システム
DE3019620A1 (de) Am kopf zu tragende beleuchtungsvorrichtung
JPH0453548A (ja) レーザ光照射用ハンドピース
TWM485027U (zh) 具有照明功能之電銲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