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056B1 - 누룽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누룽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056B1
KR102542056B1 KR1020200090744A KR20200090744A KR102542056B1 KR 102542056 B1 KR102542056 B1 KR 102542056B1 KR 1020200090744 A KR1020200090744 A KR 1020200090744A KR 20200090744 A KR20200090744 A KR 20200090744A KR 102542056 B1 KR102542056 B1 KR 102542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ansfer
raw material
nurungji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909A (ko
Inventor
김석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도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도
Priority to KR102020009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05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버너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는 누룽지 성형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성형판의 순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레인; 상기 이송레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판을 서로 다른 이송레인으로 이동방향을 전환하고, 동일 이송레인 상에서 상기 성형판을 이송하기 위한 트랜스퍼(transfer); 상기 성형판에 누룽지 원료를 정량 공급하기 위한 원료투입부; 상기 원료투입부에 의하여 누룽지 원료가 상기 성형판에 공급되면 누룽지 원료를 펼치기 위한 스프레더(spreader); 상기 성형판에서 제조된 누룽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scraper);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분리된 누룽지를 이송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 및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누룽지가 분리된 성형판을 브러싱(brushing)하기 위한 브러셔(brush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레인 상에서 누룽지 성형판을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트랜스퍼가 구비되고, 이 트랜스퍼는 이동레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동일 이동레인 상에서의 성형판의 이송은 물론이고, 서로 다른 이동레인 측으로 성형판의 이송 시,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이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성형판의 순환 이동을 쉽고 간소화하여 장치의 가동효율을 높일 수 있는 누룽지 제조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누룽지 제조장치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레인 상에서 누룽지 성형판을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트랜스퍼가 구비되고, 이 트랜스퍼는 이동레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동일 이동레인 상에서의 성형판의 이송은 물론이고, 서로 다른 이동레인 측으로 성형판의 이송 시,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이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성형판의 순환 이동을 쉽고 간소화하여 장치의 가동효율을 높일 수 있는 누룽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룽지는 밥을 할 때 밥솥의 온도차이에 따라 생성되는 것으로 맛이 고소하고 독특하며, 밥을 대신하여 아침에 간편식이나, 간식 대용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누룽지 성형장치로는 쌀과 밥을 모두 누룽지 재료로 사용하고 누룽지 재료를 다양한 두께로 펼쳐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는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너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누룽지 재료가 공급되는 하판과, 하판을 덮는 상판으로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이동되면서 가열되는 성형판; 및 베이스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성형판의 하판에 공급된 누룽지 재료를 다양한 두께로 펼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펼침장치를 갖는 펼침부;를 포함하고, 성형판에 구비되는 누룽지 재료에 따라 가열되는 성형판을 선택적으로 반전시켜 누룽지를 성형하는 반전부를 더 포함하며, 반전부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을 잡는 그립퍼; 그립퍼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블럭; 승강블럭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승강실린더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쌀이나 밥의 누룽지 재료를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두께로 펼쳐 줌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누룽지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누룽지를 성형하기 위해 성형판을 순환 회전시켜 버너에 의하여 누룽지를 성형하게 되는데, 이 경우 순환 라인의 양단에서 이송레인을 전환하기 위한 반전부에 의하여 누룽지 재료에 따라 성형판을 선택적으로 반전시키거나, 또는 반전시키지 않더라도 성형판을 한쪽 레인에서 다른 쪽 레인으로 성형판을 승강 및 하강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기술은 레인의 전환 시, 성형판을 회전시켜 반전시키지 않더라도 성형판을 승강하여 다른 쪽 레인으로 이동 후, 하강시켜 내려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송작업은 시간이 많이 들고, 성형판이 레인상에서 순간적으로 분리되어야 하므로 이송효율 또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926545호(2018.12.03.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이동레인 상에서 누룽지 성형판을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트랜스퍼가 구비되고, 이 트랜스퍼는 이동레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동일 이동레인 상에서의 성형판의 이송은 물론이고, 서로 다른 이동레인 측으로 성형판의 이송 시,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이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성형판의 순환 이동을 쉽고 간소화하여 장치의 가동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누룽지의 공급 및 배출 시, 성형판의 상판을 열고 닫기 위해 가이드 수단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수단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가이더가 일련의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성형판의 이송만으로 상판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과 공정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는 버너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버너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는 누룽지 성형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성형판의 순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레인; 상기 이송레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판을 서로 다른 이송레인으로 이동방향을 전환하고, 동일 이송레인 상에서 상기 성형판을 이송하기 위한 트랜스퍼(transfer); 상기 성형판에 누룽지 원료를 정량 공급하기 위한 원료투입부; 상기 원료투입부에 의하여 누룽지 원료가 상기 성형판에 공급되면 누룽지 원료를 펼치기 위한 스프레더(spreader); 상기 성형판에서 제조된 누룽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scraper);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분리된 누룽지를 이송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 및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누룽지가 분리된 성형판을 브러싱(brushing)하기 위한 브러셔(brush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트랜스퍼는 서로 다른 이송레인으로 상기 성형판을 밀어 이송하기 위한 제 1 푸셔와, 상기 제 1 푸셔에 의하여 이송된 성형판을 동일 이송레인 상에서 밀어 이송하기 위한 제 2 푸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트랜스퍼는 상기 제 1 푸셔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이 상기 제 2 푸셔의 위치로 이동전에 상기 성형판의 상판과 하판의 정렬을 맞추기 위한 제 3 푸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판의 상판 일측부에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판의 상판과 하판은 타측부에는 힌지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성형판의 상판을 승강시켜 하판으로부터 열고, 상기 스크레이퍼에서 상기 스프레더까지 상판을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스프레더 이후에는 상판을 하강시켜 하판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성형판이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스크레이퍼에 진입되기 전까지 상기 상판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성형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승하는 경사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의 가이드돌기가 타고 진입하여 상기 상판이 승강되도록 하는 제 1 가이더와, 상기 제 1 가이더와 이어지고, 상기 스크레이퍼에서 상기 스프레더까지 상기 제 1 가이더에 의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판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 지지되는 제 2 가이더와, 상기 제 2 가이더와 이어지고, 상기 스프레더를 지나는 상기 상판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성형판의 이송방향으로 따라 하강하는 경사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의 가이드돌기가 타고 하강하면서
상기 상판이 하판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제 3 가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원료유입부는 상기 성형판을 향해 형성되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누룽지 원료가 투입되는 공급호퍼와, 상기 공급호퍼 내부에 배치되어 누룽지 원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로부터 교반된 누룽지 원료를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배출하기 위한 공급스크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프레더는 장착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프레임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구동축이 구비된 제 1구동모터와, 상기 장착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종동축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에 구비되고, 벨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풀리와, 상기 제 1 구동추과 상기 종동축의 하단에 연결되고, 회전구동하여 상기 원료튜입부에 의하여 공급된 상기 성형판의 누룽지 원료를 펼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장착프레임의 승하강시키 위한 승하강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고, 피스톤로드가 상기 장착프레임 상부에 결합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실린더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분리용 실린더와, 상기 분리용 실린더의 분리용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승하강하면서 상기 성형판의 상판에 붙은 누룽지를 긁어내기 위한 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브러셔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제 2 구동모터와,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제 2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성형판의 상판에 잔존하는 누룽지 잔여물을 분리시키기 위한 원통형 브러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는 복수의 이동레인 상에서 누룽지 성형판을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트랜스퍼가 구비되고, 이 트랜스퍼는 이동레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동일 이동레인 상에서의 성형판의 이송은 물론이고, 서로 다른 이동레인 측으로 성형판의 이송 시,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이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성형판의 순환 이동을 쉽고 간소화하여 장치의 가동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누룽지의 공급 및 배출 시, 성형판의 상판을 열고 닫기 위해 가이드 수단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수단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가이더가 일련의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성형판의 이송만으로 상판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과 공정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장치가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져 완전한 자동화를 구현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트랜스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원료투입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스프레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스크레이프 및 브러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배출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가이드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누룽지 성형판(20)과, 복수의 이송레인(30)과, 성형판(20) 이송을 위한 트랜스퍼(40)와, 누룽지 원료 정량 공급을 위한 원료투입부(50)와, 누룽지를 펼치기 위한 스프레더(60)와, 제조된 누룽지를 성형판(2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스크레이퍼(70)와, 누룽지를 이송 배출을 위한 배출부(80) 및 성형판(20)의 브러싱을 위한 브러셔(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명세서상에서 성형판(20)의 이송방향으로 개략적으로 정하면, 성형판(20)은 도 1의 지면을 기준으로 제 1 이송레인(31)의 우측에서 좌측단부로 이동하고, 제 1 이송레인(31)의 좌측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제 2 이송레인(33)의 좌측단부로 이송된다. 이렇게 제 1 이송레인(31)에서 제 2 이송레인(33)로 이송된 성형판(20)은 제 2 이송레인(33)의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제 2 이송레인(33)의 우측단부에 도착된 성형판(20)은 하부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제 1 이송레인(31)의 우측단부로 이송되고, 제 1 이송레인(31)의 우측단부에는 배출부(80)가 구비되어 제조된 누룽지는 배출부(80)를 통하여 출하되며, 누룽지가 분리된 성형판(20)은 제 1 이송레인(31)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성형판(20)이 제 1 이송레인(31)에서 제 2 이송레인(33)로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좌측단부를 ‘제 1 전환측’이라 하고, 성형판(20)이 제 2 이송레인(33)에서 제 1 이송레인(31)로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우측단부를 ‘제 2 전환측’이라 한다. 또한 성형판(20)이 제 1 이송레인(31)을 따라 우측방향에서 좌측방향으로의 이동, 즉 제 1 이송레인(31)을 따른 이동방향을 ‘제 1 이송방향’이라 한다. 성형판(20)이 제 2 이송레인(33)을 따라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의 이동, 즉 제 2 이송레인(33)을 따른 이동방향을 ‘제 2 이송방향’이라 한다.
또한 도 1의 도시에서 성형판(2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성형판(20)의 좌측을‘일측’이라 하고, 성형판(20)의 우측을 ‘타측’이라 한다. 아울러 도 1의 지면을 기준으로 성형판(20)의 좌측을 전면이라 하고, 우측을 후면이라 한다.
도 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은 일정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누룽지를 성형하기 위한 구성품이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는 누룽지 원료가 투입된 성형판(20)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미도시)가 구비되고, 이 버너는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레인(30), 즉 2개소의 이송레인(3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2개의 파이프가 한 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각 버너의 상부에는 다수의 화구가 구비되어 있고, 이 화구에는 불꽃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노즐이 구비되며, 노즐과 근접한 일측에는 점화를 위한 점화플러그가 배치된다.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레인(30)은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성형판(20)의 순환이송이 가능하도록 복수로 나란히 배치된다.
즉 이송레인(30)은 제 1 이송레인(31)과 제 2 이송레인(33)이 나란히 배치된다.
이 경우 제 1 이송레인(31) 상에서는 성형판(20)이 제 1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 이송레인(33) 상에서는 성형판(20)이 제 2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에는 이송롤러(미도시)가 양측으로 배치되어 성형판(20)이 얹히게 되고, 트랜스퍼(40)에 의하여 성형판(20)이 이송롤러의 상부를 타고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각 이송레인(30)의 양단에는 트랜스퍼(40)가 구비되어 있고, 트랜스퍼(40)는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 즉 동일 이송레인(30) 상에서는 성형판(20)을 동일 이송레인(30)으로의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제 1 이송레인(31)에서는 제 1 이송방향으로, 제 2 이송레인(33)에서는 제 2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송레인(30)의 양단에서는 성형판(20)을 서로 다른 레인으로의 전환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전환이송이라 함은 제 1 전환측, 즉 이송레인(30)의 좌측단부에서 제 1 이송레인(31)에서 제 2 이송레인(33)로 성형판(20)을 이송하거나, 제 1 전환측, 즉 이송레인(30)의 우측단부에서 제 2 이송레인(33)에서 제 1 이송레인(31)로 성형판(20)을 이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성형판(20)이 이송레인(30) 상에서 이송은 트랜스퍼(40)에 의하여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트랜스퍼(40)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송레인(30)에는 성형판(20)의 이송을 위해 이송롤러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송레인(30)의 제 1 전환측과 제 2 전환측에서는 성형판(20)의 이송을 위한 평판 형태의 지지판(37)이 구비되어 있다. 이 지지판(37)은 제 1 전환측과 제 2 전환측에서 성형판(20)은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으로 이송롤러에 의한 성형판(20)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형태이므로 성형판(20)의 방향 전환 시, 이송롤러 대신 성형판(20)을 받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20)은 누룽지 원료가 투입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누룽지 원료가 눌려 누룽지가 제조된다.
이를 위해 성형판(20)은 상판(21)과 하판(23)으로 구성되고, 상판(21)과 하판(23)의 일측은 힌지결합부(25)가 구비되어 상판(21)을 하판(23)으로부터 선회하여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상판(21)의 타측에는 가이드돌기(21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돌기(21a)는 후술한 가이드수단(100)에 의하여 상판(21)을 하판(23)으로부터 열거나, 상판(21)으로 하판(23)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성형판(20)은 대략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경우 성형판(20)의 가이드돌기(21a)는 도 1의 지면상에서 성형판(20)의 이동방향으로 기준으로 좌측(또는 타측)에 배치되고, 힌지결합부(25)는 우측(일측)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40)는 이송레인(30)의 양단에 구비되어 성형판(20)을 이송레인(30) 상에서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상에서 각각 제 1 이송방향 및 제 2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동시에 제 1 전환측에서는 성형판(20)이 제 1 이송레인(31)에서 제 2 이송레인(33)로 이동시키고, 제 2 전환측에서는 성형판(20)이 제 2 이송레인(33)에서 제 1 이송레인(31)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트랜스퍼(40)는 서로 다른 이송레인(30)으로 성형판(20)을 밀어 이송하기 위한 제 1 푸셔(41)와, 제 1 푸셔(41)에 의하여 이송된 성형판(20)을 동일 이송레인(30) 상에서 밀어 이송하기 위한 제 2 푸셔(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트랜스퍼(40)는 제 1 푸셔(41)에 의하여 성형판(20)이 제 2 푸셔(43)의 위치로 이동전에 성형판(20)의 상판(21)과 하판(23)의 정렬을 맞추기 위한 제 3 푸셔(45)가 더 구비된다.
먼저 제 1 푸셔(41)는 제 1 이송레인(31)의 좌측단부 일측과 제 2 이송레인(33)의 우측단부 타측에 배치되는 제 1 실린더(41a)와, 제 1 실린더(41a)에 구비된 제 1 피스톤 로드(41b)와, 이 제 1 피스톤로드(41b)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밀판(41c)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제 1 실린더(41a)의 작동으로 상기 피스톤로드와 밀판은 이송레인(30)의 내측 방향으로 인출되어 성형판(20)을 밀게 되고, 이때 제 1 이송레인(31)과 제 2 이송레인(33)부터 이송된 성형판(20)은 각각 제 2 이송레인(33)과 제 1 이송레인(31)로 이송되어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즉 제 1 푸셔(41)는 제 1 전환측과 제 2 전환측에서 서로 다른 이송레인(30)으로 성형판(20)을 밀어 이송함으로써 성형판(20)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푸셔(41)는 서로 다른 이송레인(30), 즉 제 1 전환측에서는 이송레인(30)의 좌측단부에서 제 1 이송레인(31)부터 제 2 이송레인(33)로 성형판(20)을 밀어 제 1 이송방향에서 제 2 이송방향으로 이동방향으로 전환하게 된다. 아울러 제 2 전환측에서는 이송레인(30)의 우측단에서 제 2 이송레인(33)부터 제 1 이송레인(31)로 성형판(20)을 밀어 제 2 이송방향에서 제 1 이송방향으로 이동방향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 경우 제 1 푸셔(41)의 제 1 실린더(41a)는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는 가이드블록(47)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가이드블록(47)에는 제 1 피스톤로드(41b)의 인입출시, 제 1 밀판(41c)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47a)가 제 1 밀판(41c)에 결합되어 있다. 이 가이드바(47a)는 가이드블록(47)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통하여 제 1 피스톤로드(41b)와 함께 인입출 된다.
다음으로 제 2 푸셔(43)는 제 1 이송레인(31)의 좌측단부와 제 2 이송레인(33)의 우측단부에 배치되는 제 2 실린더(43a)와, 제 2 실린더(43a)에 구비된 제 2 피스톤로드(43b)와, 제 2 피스톤로드(43b)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밀판(43c)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제 1 실린더(41a)의 작동으로 제 2 피스톤로드(43b)와 제 2 밀판(43c)은 이송레인(30)의 좌측단부에서는 제 2 이송레인(33) 상에서 성형판(20)을 제 2 이송방향으로 밀어 이송하게 된다. 아울러 이송레인(30)의 우측단부에서는 제 1 이송레인(31) 상에서 성형파
는 제 1 이송방향으로 밀어 이송하게 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의 배치되는 다수의 성형판(20)은 제 1 이송레인(31)의 우측단부와 제 2 이송레인(33)의 좌측단부에 배치된 성형판(20)을 제 2 푸셔(43)가 밀게 되면 각 이송레인(30) 상에 배치되는 성형판(20)들은 각각 제 1 및 제 2 이송방향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40)는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 상에서 각각 제 1 이송방향과 제 2 이송방향, 즉 각 이송레인(30) 상에서의 성형판(20)의 이송은 제 2 푸셔(43)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렇게 제 2 푸셔(43)에 의하여 동일 이송레인(30) 상에서 한 단계씩 이송된 성형판(20)은 제 2 푸셔(43)에 의하여 좌측단부에서 제 1 이송레인(31)부터 제 2 이송레인(33)로 성형판(20)의 이동방향 전환되고, 우측단부에서는 제 2 이송레인(33)부터 제 1 이송레인(31)로 성형판(20)의 이동방향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퍼(40)의 제 1 및 제 2 푸셔(43)에 의하여 베이스프레임(10)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을 따라 순환이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40)에는 제 3 푸셔(45)가 구비되는데, 제 3 푸셔(45)는 제 1 전환측과 제 2 전환측에서 각각 제 1 이송레인(31)과 제 2 이송레인(33)과 동일 라인 상에 배치는 제 3 실린더(45a)와, 제 3 실린더(45a)에 구비된 제 3 피스톤로드(45b)와, 제 3 피스톤로드(45b)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3 밀판(45c)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3 푸셔(45)는 제 1 푸셔(41)에 의하여 성형판(20)이 제 2 푸셔(43)의 위치로 이동전에 성형판(20)의 상판(21)과 하판(23)의 정렬을 맞추게 된다.
이는 제 1 푸셔(41)에 의하여 성형판(20)이 제 1 전환측에서 제 1 이송레인(31)부터 제 2 이송레인(33)로 이동전과, 제 2 전환측에서 제 2 이송레인(33)부터 제 1 이송레인(31)로 이동전에 제 3 푸셔(45)의 실린더가 작동하여 제 3 피스톤로드(45b)와 제 3 밀판(45c)이 제 1 이송방향과 제 2 이송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출된다. 이렇게 인출된 제 3밀판(45c)은 제 1 이송레인(31)의 좌측단부와 제 2 이송레인(33)의 우측단부에서 이동방향을 전환을 대기 중인 성형판(20)을 받치게 되면 서로 비틀어져 있거나, 또는 어긋나있는 성형판(20)의 상판(21)과 하판(23)이 접촉되면서 정확하게 포개질 수 있다. 따라서 제 3 푸셔(45)는 성형판(20)이 이동방향을 전환하기 전에 비틀어지거나, 서로 어긋나 있는 상판(21)과 하판(23)을 받쳐 서로 정확하게 포개져 정렬이 이루어지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트랜스퍼(40)의 작동상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의 도시는 제 1 전환측, 즉 이송레인(30)의 좌측단부 측에서의 성형판(20)의 이동방향 전환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전환측, 즉 이송레인(30)의 우측단부 측에서의 성형판(20)의 이동방향 전환 과정은 좌측단부 측과 달리 제 1 푸셔(41)와 제 2 푸셔(43)는 제 2 이송레인(33)의 우측단부 측에 설치되고, 제 3 푸셔(45)는 제 1 이송레인(31)의 우측단부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전환측과 제 2 전환측에서 제 1 푸셔(41) 내지 제 3 푸셔(45)는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이송되는 성형판(20)을 순환이송하기 위해 이송레인(30)의 양단에서 성형판(20)의 이동방향을 전환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배열위치와 상관없이 그 기능과 작용은 동일하다.
먼저 도 4의 도시와 같이 제 2 전환측에서 제 3 푸셔(45)에 의하여 제 1 이송레인(31)의 성형판(20)이 제 1 이동방향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제 1 전환측에서 제 1 푸셔(41)에 성형판(20)이 배치된다. 이 경우 제 3 푸셔(45)의 제 3 피스톤로드(45b)가 인출되어 성형판(20)의 일면을 지지하여 받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의 도시의 도시와 같이 제 1 전환측에서 제 1 푸셔(41)의 제 1 피스톤로드(41b)가 인출되면서 제 1 밀판(41c)이 성형판(20)을 밀어 제 2 이송레인(33)로 성형판(20)의 이동방향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 경우 제 1 푸셔(41)의 제 1 피스톤로드(41b)가 인출되기 전에 제 3 푸셔(45)의 제 3 피스톤로드(45b)는 인입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 1 전환측에서 성형판(20)의 이동방향으로 전환되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제 2 푸셔(43)의 제 2 피스톤로드(43b)가 인출되어 제 2 밀판(43c)이 성형판(20)을 밀면 성형판(20)은 제 2 이송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경우 제 2 전환측에서는 제 1 푸셔(41)와 제 2 푸셔(43)는 각각 제 2 이송레인(33)과 제 1 이송레인(31)에 배치되어 제 1 전환측에서의 동작과 동일하게 작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40)는 성형판(20)을 제 1 이송레인(31)과 제 2 이송레인(33)을 따라 순환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성형판(20)의 이송거리는 하나의 성형판(20)의 이송을 통해 전체 성형판(20)이 밀리면서 이동하므로 성형판(20)의 폭 길이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40)의 제 1 푸셔(41) 및 제 2 푸셔(43)는 성형판(20)을 밀어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제 1 푸셔(41)의 경우에는 성형판(20)의 일측를 밀고, 제 2 푸셔(43)의 경우에는 좌측단부에서는 성형판(20)의 전면을 밀고, 우측단부에는 성형판(20)의 후면을 밀게 된다.
특히 제 1 전환측, 즉 제 1 이송레인(31)의 좌측단부에 성형판(20)을 제 2 이송레인(33)로 미는 경우 제 1 푸셔(41)의 밀판은 성형판(20)의 상판(21) 일측을 밀게 된다.
이 경우 성형판(20)의 상판(21) 일측부에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어 제 1 푸셔(41)의 제 1 밀판(41c)과 접촉되기 때문에 정확한 지점, 즉 제 1 밀판(41c)의 중심부에 가이드돌기(21a)가 접촉되지 않는 경우 성형판(20)이 제 2 이송레인(33)로 이송되면서 비틀어지거나, 또는 이동위치를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밀판(41c)에는 가이드돌기(21a)와 길이가 동일한 접촉돌기(41d)를 형성하여 성형판(2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밀리게 함으로써 성형판(20)이 제 2 이송레인(33)로 이동 시, 비틀어지거나, 또는 이동위치를 벗어
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료투입부(50)는 성형판
(20)에 누룽지 원료를 투입하게 되는데, 누룽지 원료는 불린 쌀이나 밥을 교반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원료투입부(50)는 성형판(20)을 향해 형성되는 투입구(55)가 구비된 공급호퍼(51)와, 공급호퍼(51) 내부에 배치되는 누룽지 원료를 잘 섞어 주기 위한 교반기(53)와, 교반기(53)로부터 교반된 누룽지 원료를 투입구(55)를 통하여 배출하기 위한 공급스크루(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원료투입부(50)는 공급호퍼(51)로 공급된 누룽지 원료를 교반기(53)로 교반하여 회전하는 공급스크루(57)에 의하여 투입구(55)를 통해 누룽지 원료를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성형판(20)은 후술할 가이드수단(100)에 의하여 상판(21)이 개방된 상태로 이동하고, 투입구(55)로부터 배출되는 누룽지 원료는 하판(23)에 공급된다.
이 경우 원료투입부(50)는 정량의 누룽지 원료를 공급하기 위해 공급스크루(57)의 회전속도와 공급 시간을 등을 제어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더(60)는 원료투입부(50)로 공급된 누룽지 원료를 고르게 펼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스프레더(60)는 장착프레임(61)이 구비되고, 장착프레임(61)은 좌우측면에 개방된 사각형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장착프레임(61)의 상부에는 제 1 구동모터(62)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제 1 구동모터(62)의 제 1 구동축(63)은 장착프레임(61)의 내부로 배치되어 그 단부에 풀리(65)가 연결된다. 또한 장착프레임(61)의 내부에는 풀리(65)가 연결되는 종동축(64)이 복수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 풀리(65)에는 벨트(66)로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작동 시, 종동축(64) 역시 동시에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구동축(63)과 종동축(64)은 장착프레임(61)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제 1 구동축(63)과 종동축(64)이 노출된 단부에는 누룽지 원료를 펼치기 위한 블레이드(67)가 연결된다.
따라서 원료투입부(50)에 의하여 성형판(20)의 하판(23)에 공급되는 누룽지 원료는 스프레더(60)의 제 1 구동모터(62)가 작동되고, 제 1 구동축(63)과 종동축(64)에 구비된 블레이드(67)가 회전하여 누룽지 원료를 균일한 두께로 펼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프레더(60)는 승하강을 위한 승하강수단이 구비되는데, 이 승하강수단은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 장착되는 승하강실린더(68)와, 승하강실린더(68)의 피스톤로드(68a) 단부는 장착프레임(61)의 상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승하강실린더(68)가 작동하면 피스톤로드(68a)의 인입출에 따라 장착프레임(61)이 승강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누룽지 원료가 공급된 성형판(20)이 이송되어 스프레더(60)의 하부에 배치되면 승강되어 있던 장착프레임(61)이 승하강실린더(68)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68a)가 인출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스프레더(60)의 블레이드(67)도 하강하여 누룽지 원료를 펼치고, 누룽지 원룡의 펼침 작업이 종료되면 승하강실린더(68)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68a)가 인입되면 장착프레임(61)은 승강하고, 이 상태로 다음 작업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
이 경우 스프레더(60)의 장착프레임(61)에는 승하강실린더(68) 양측으로 가이드봉(68b)이 구비되어 장착프레임(61)의 승하강 동작 시, 안정적인 지지구조가 이루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성형판(20)에 하나의 누룽지가 제조되도록 원료투입부(50)과 스프레더(60)이 설명하였다. 그러나, 성형판(20)의 크기나 누룽지의 크기에 따라 하나의 성형판에서 다수 개의 누룽지를 생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성형판에 성형판 진행방향으로 2개의 누룽지를 직렬로 배치하거나, 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2개의 누룽지가 병렬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원류투입부(50)의 투입구(55)를 분기하여 하나의 성형판으로 2개의 누룽지 원료가 이격되어 배출되도록 하며, 또한 스프레더(60) 역시 블레이더나 스프레더를 증설 배치하게 된다.
스프레더(60)에 의하여 누룽지 원료가 성형판(20)의 하판(23)에서 고르게 펼쳐지면 성형판(20)은 제 1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후술할 가이드수단(100)에 의하여 성형판(20)의 상판(21)은 하판(23)을 덮어 닫게 된다.
이후 트랜스퍼(40)에 의하여 성형판(20)은 제 1 이송레인(31)을 따라 제 1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1 전환측에서는 트랜스퍼(40)에 의하여 제 1 이송레인(31)에서 제 2 이송레인(33)로 성형판(20)이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이렇게 이동방향이 전환된 성형판(20)은 제 2 이송레인(33)을 따라 제 2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하던 성형판(20)은 제 2 전환측에서 트랜스퍼(40)에 의하여 제 2 이송레인(33)에서 제 1 이송레인(31)로 이동방향으로 전환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방향이 전환된 성형판(20)은 후술한 가이드수단(100)에 의하여 상판(21)이 개방되어 세워지게 된다. 이때 스크레이퍼(70)는 상판(21)에 붙어 있는 제조된 누룽지를 긁어 분리하게 되고, 분리된 누룽지는 배출부(80)를 통하여 출하된다.
이하에서 완정된 누룽지를 성형판(2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스크레이퍼(70)와 이렇게 분리된 누룽지를 출하하기 위한 배출부(8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70)는 가이드수단(100)에 의하여 하판(23)으로부터 상판(21)이 열리면 제조된 누룽지는 하판(23)에 붙어 있거나 또는 상판(21)에 붙어 있을 수 있다. 만약 하판(23)에 누룽지가 붙어 있는 경우에는 배출부(80)에 의하여 배출이 가능하나, 상판(21)에 누룽지가 붙어 있는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상판(21)에 붙어 있는 누룽지를 긁어 낼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상판(21)에 붙은 누룽지를 긁어내 상판(21)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스크레이퍼(70)는 베이스프레임(10)이 장착되는 분리용 실린더(71)와, 이 실린더에 구비되는 분리용 피스톤로드(73)와, 분리용 피스톤로드(73) 단부에 구비되는 끌판(7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분리용 실린더(71)가 작동되어 분리용 피스톤로드(73)가 인출되어 하강하게 되면 끌판(75)이 상판(21)에 붙어 있는 누룽지를 긁어내 하판(23)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이 경우 끌판(75)은 누룽지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도록 상판(21)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누룽지의 분리가
쉽고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술한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성형판(20)으로부터 분리된 누룽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80)는 도 1.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80)는 제 1 이송레인(31)의 우측단부 측에서 베이스프레임(10)의 외측에 수직하게 세워진 가이드판(81)이 제 1 이송레인(31)을 따라 설치되고, 가이드판(81)의 좌측단부는 제 1 이송레인(31)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가이드판(81)의 우측단부에서 이격되어 제 1 이송레인(31)의 외측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제 1 배출가이드(82)가 구비되고, 제 1 배출가이드(82)는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상판(21)으로부터 분리되어 하판(23)에 낙하된 누룽지를 제 1 이송레인(31)의 외측방향, 즉 배출 측으로 안내하여 이송하게 된다.
이렇게 제 1 배출가이드(82)에 의하여 배출 측으로 이송되는 누룽지는 제 1 컨베이어(83)를 통하여 상부로 이송되고, 제 1 컨베이어(83) 상단부분에는 제 2 배출가이드(84)가 구비되어 이송레인(30) 상부에 배치되는 배출챔버(86)로 누룽지를 안내하여 이송되도록 한다. 배출챔버(86) 내부에는 제 2 컨베이어(85)가 구비되어 누룽지를 이송레인(30)의 좌측단부 쪽으로 이송하고, 배출챔버(86)의 좌측단부 측에서는 누룽지의 출하를 위해 하방으로 누룽지가 이송될 수 있도록 미끄럼판(87)이 구비된다. 이 미끄럼판(87)을 타고 이송되는 누룽지는 수거용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출하될 수 있다.
한편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누룽지가 분리된 성형판(20)은 가이드수단(100)에 의하여 상판(21)이 개방된 상태로 제 1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스크레이퍼(70)의 의하여 누룽지가 분리된 상판(21)에는 누룽지 잔여물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잔여물은 이미 제조된 누룽지의 잔여물로 버너에 의하여 재가열하게 되면 잔여물을 탈 수 있고, 이렇게 잔여물이 타는 경우 누룽지에서 씁쓸한 맛이 낼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낮추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누룽지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브러셔(90)를 도입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셔(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의 장착되는 제 2 구동모터(91)와, 제 2 구동모터(91)에 연결되는 제 2 구동축(93)과, 이 제 2 구동축(93)에 연결되는 원통형의 브러쉬(95)로 구성된다.
따라서 브러셔(90)는 제 2 구동모터(91)가 구동되면 브러쉬(95)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브러쉬(95)에 의하여 성평판의 상판(21)에 붙어 있는 누룽지의 잔여물을 제거함으로써 성형판(20)을 세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배출부(80), 스크레이퍼(70), 브러셔(90) 및 스프레더(60) 구간에서는 성형판(20)의 상판(21)은 작업의 특성상 개방되어야 하고, 스프레더(60)에 의한 누룽지 원료의 펼침작업이 종료되면 상판(21)을 덮어야 성형판(20)이 이송되면서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어 누룽지가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출부(80), 스크레이퍼(70), 브러셔(90) 및 스프레더(60) 구간에서 성형판(20)의 상판(21)을 개방하고, 덮을 수 있도록 하되, 트랜스퍼(40)에 의한 성형판(20)의 이송만으로 성형판(20)의 상판(21)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가이드수단(100)을 도입하고 있다.
먼저 도 1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80)와 스크레이퍼(70)에 의한 가공공정에서는 누룽지를 긁어내어 배출하여야 하는 구간으로 상판(21)이 승강하여 열리는 승강구간이다. 아울러 스크레이퍼(70), 브러셔(90) 및 스프레더(60)에 의한 가공공정에서는 상판(21)이 세워진 채로 이송되어야 하므로 작업 가능한 구간으로 승강된 상태가 계속되는 유지구간이다. 또한 스프레더(60)에 의하여 누룽지 원료의 펼침작업이 종료된 이후에는 상판(21)을 하강시켜 하판(23)을 덮고,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는 구간으로 스프레더(60)에 의한 작업 이후부터는 상판(21)이 하강하는 하강구간이다.
다음으로 이들 구간에서 상판(21)을 승강, 유지 및 하강시키기 위한 가이드수단(100)은 승강구간에서는 배출부(80)에서 스크레이퍼(70)에 성형판(20)이 진입하기 전까지 제 1 이송방향을 따라 점층적으로 상승하는 경사를 갖는 제 1 가이더(101)가 구비된다. 유지구간에서는 스크레이퍼(70), 브러셔(90) 및 스프레더(60) 작업 구간까지 제 1 이송방향을 따라 상판(21)이 승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 2 가이더(103)가 구비된다. 하강구간에서는 스프레더(60) 이후부터 상판(21)이 하강하도록 제 1 이송방향을 따라 하강하는 경사를 갖는 제 3 가이더(105)가 구비된다.
가이드수단(100)의 제 1 가이더(101)에서는 제 2 전환측에서 성형판(20) 제 2 이송레인(33)에서 제 1 이송레인(31)로 이동방향이 전환되어 제 1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상판(21)에서 분리된 누룽지가 배출부(80)로 이송되기 위해서는 상판(21)이 하판(23)으로부터 승강하여 세워져야 한다. 이때 제 1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판(21)의 가이드돌기(21a)는 제 1 가이더(101)를 타고 상승하면서 상판(21)이 승강하여 제 1 가이더(101)의 종단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렇게 상판(21)이 세워져 이송되면 수직방향을 세워진 상판(21)이 그대로 유지되어야 스크레이퍼(70), 브러셔(90) 및 스프레더(60)에 의하여 각각 공정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제 2 가이더(103)는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판(21)의 가이드돌부가 홈 부분이 삽입홈(103a)에 삽입되어 상판(21)이 세워진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시키게 된다. 이렇게 제 2 가이더(103)에 의하여 상판(21)이 세워진 상태로 이송된 성형판(20)은 스프레더(60)에 의하여 누룽지 원료의 펼침작업이 종료되면 하강하여야 하므로 제 2 가이더(103)를 종단을 지난 성형판(20)의 상판(21)은 그 가이드돌기(21a)가 제 3 가이더(105)를 타고 하강하게 된다. 제 3 가이더(105)의 종단에서는 상판(21)은 완전히 하강하여 하판(23)을 덮게 되고, 이후 상판(21)과 하판(23)은 포개진 상태로 이송되면서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어 누룽지가 제조된다.
이 경우 제 1 가이더(101)에는 제 2 가이더(103)의 삽입홈(103a)으로 상판(21)의 가이드돌기(21a)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 제 1 가이더(101)의 종단과 이격되도록 제 2 가이더(103)에 연결되는 진입유도부(101a)가 구비된다. 이 진입유도부(101a)는 제 1 가이더(101)에 의하여 세워지는 상판(21)의 가이드돌기(21a)가 제 2 거이더의 삽입홈(103a)으로 쉽게 진입하는 것을 돕게 된다. 또한 제 1 가이더(101)와 진입유도부(101a)는 ‘∩’형태의 연결부재(101b)로 이어져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수단(100)은 상판(21)을 승강시켜 세우고, 하강시켜 하판(23)을 덮는 과정에서 트랜스퍼(40)에 의한 성형판(20)의 이송만으로 상판(21)을 하판(23)으로부터 열고 닫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수단(100)의 구동을 위해 별도의 구동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있다는 점에서 설비 비용의 절감은 물론이고,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프레임
20 : 성형판
21 : 상판 21a : 가이드돌기
23 : 하판 25 : 힌지결합부
30 : 이송레인
31 : 제 1 이송레인 33 : 제 2 이송레인
37 : 지지판
40 : 트랜스퍼
41 : 제 1 푸셔 41a : 제 1 실린더
41b : 제 1 피스톤로드 41c : 제 1 밀판
41d : 접촉돌기
43 : 제 2 푸셔 43a : 제 1 실린더
43b : 제 2 피스톤로드 43c : 제 2 밀판
45 : 제 3 푸셔 45a : 제 3 실린더
45b : 제 3 피스톤로드 45c : 제 3 밀판
47 : 가이드블록 47a : 가이드바
50 : 원료투입부
51 : 공급호퍼 53 : 교반기
55 : 투입구 57 : 공급스크루
60 : 스프레더
61 : 장착프레임 62 : 제 1 구동모터
63 : 제 1 구동축 64 : 종동축
65 : 풀리 66 : 벨트
67 : 블레이드 68 : 승하강실린더
68a : 피스톤로드 68b : 가이드봉
70 : 스크레이퍼
71 : 분리용 실린더 73 : 분리용 피스톤로드
75 : 끌판
80 : 배출부
81 : 가이드판 82 : 제 1 배출가이드
83 : 제 1 컨베이어 84 : 제 2 배출가이드
85 : 제 2 컨베이어 86 : 배출챔버
87 : 미끄럼판
90 : 브러셔
91 : 제 2 구동모터 93 : 제 2 구동축
95 : 브러쉬
100 : 가이드수단
101 : 제 1 가이더 101a : 진입유도부
101b : 연결부재 103 : 제 2 가이더
28
103a : 삽입홈 105 : 제 3 가이더
110 : 건조수단
29

Claims (12)

  1. 버너를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버너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판(21)과 하판(23)을 포함하는 성형판(2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배치되고 상기 성형판(20)을 순환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레인(30);
    상기 이송레인(30)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판(20)을 서로 다른 이송레인(30)으로 이동방향을 전환하고, 동일 이송레인(30) 상에서 상기 성형판(20)을 이송하기 위한 트랜스퍼(40);
    상기 성형판(20)에 누룽지 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원료투입부(50);
    상기 원료투입부(50)에 의해 상기 성형판(20)에 공급된 상기 누룽지 원료를 펼치기 위한 스프레더(60)(spreader);
    상기 성형판(20)에서 제조된 누룽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70)(scraper); 및
    상기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누룽지를 이송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80);
    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40)는
    상기 이송레인(30)의 일측에 대응되는 제 1 트랜스퍼(40); 및
    상기 이송레인(30)의 타측에 대응되는 제 2 트랜스퍼(40);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레인(30)은
    상기 성형판(20)을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중 제 1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이송레인(31); 및
    상기 제 1 이송레인(31)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성형판(20)을 상기 수평방향 중 상기 제 1 방향의 역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2 이송레인(33);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랜스퍼(40) 및 상기 제 2 트랜스퍼(40)는 각각
    서로 다른 이송레인(30)으로 상기 성형판(20)을 밀어 이송하기 위한 제 1 푸셔(41);
    상기 제 1 푸셔(41)에 의하여 이송된 성형판(20)을 동일 이송레인(30) 상에서 밀어 이송하기 위한 제 2 푸셔(43); 및
    상기 제 1 푸셔(41)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20)이 상기 제 2 푸셔(43)의 위치로 이동전에 상기 성형판(20)의 상판(21)과 하판(23)의 정렬을 맞추기 위한 제 3 푸셔(45);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푸셔(41)는
    제 1 실린더(41a);
    상기 제 1 실린더(41a)에 구비된 제 1 피스톤 로드(41b);
    상기 제 1 피스톤 로드(41b)의 끝단에 연결된 제 1 밀판(41c);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실린더(41a)가 고정되는 가이드블록(47); 및
    상기 제 1 밀판(41c)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피스톤 로드(41b)의 인입출 시 상기 제 1 밀판(41c)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47a);
    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가이드바(47a)는 상기 가이드블록(47)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 1 피스톤로드(41b)와 함께 인입출되고,
    상기 제 2 푸셔(43)는
    제 2 실린더(43a);
    상기 제 2 실린더(43a)에 구비된 제 2 피스톤 로드(43b); 및
    상기 제 2 피스톤 로드(43b)의 끝단에 연결된 제 2 밀판(43c);
    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푸셔(45)는
    제 3 실린더(45a);
    상기 제 3 실린더(45a)에 구비된 제 3 피스톤 로드(45b); 및
    상기 제 3 피스톤 로드(45b)의 끝단에 연결된 제 3 밀판(45c);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레인(31) 상에서 상기 성형판(20)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상기 제 2 이송레인(33) 상에서 상기 성형판(20)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 1 모드(First Mode)에서 상기 제 2 피스톤 로드(43b) 및 상기 제 3 피스톤 로드(45b)는 인출되고 상기 제 1 피스톤 로드(41a) 및 복수의 상기 가이드바(47a)는 인입되고,
    상기 성형판(20)이 제 1 이송레인(31) 상에서 상기 제 2 이송레인(33) 상으로 이송되거나 상기 성형판(20)이 제 2 이송레인(33) 상에서 상기 제 1 이송레인(31) 상으로 이송되는 제 2 모드(Second Mode)에서 상기 제 2 피스톤 로드(43b) 및 상기 제 3 피스톤 로드(45b)는 인입되고 상기 제 1 피스톤 로드(41a) 및 복수의 상기 가이드바(47a)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47)은 상기 수평방향과 수직하는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부분중첩(Partially Overlap)되고,
    상기 가이드블록(47)은 상기 수평방향 중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하는 제 3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보다 더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고,
    상기 제 3 방향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폭방향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제 2 피스톤 로드(43b)의 인출길이가 상기 제 3 피스톤 로드(45b)의 인출길이보다 더 긴 상태를 갖는 기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판(20)의 상기 상판(21) 일측부에는 가이드돌기(21a)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판(20)의 상기 상판(21)과 상기 하판(23)은 타측부에는 힌지결합부(2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80)에서 상기 성형판(20)의 상기 상판(21)을 승강시켜 상기 하판(23)으로부터 열고, 상기 스크레이퍼(70)에서 상기 스프레더(60)까지 상기 상판(21)을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스프레더(60) 이후에는 상기 상판(21)을 하강시켜 상기 하판(23)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수단(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100)은
    상기 성형판(20)이 상기 배출부(80)에서 상기 스크레이퍼(70)에 진입되기 전까지 상기 상판(21)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성형판(20)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승하는 경사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21)의 상기 가이드돌기(21a)가 타고 진입하여 상기 상판(21)이 승강되도록 하는 제 1 가이더(101)와, 상기 제 1 가이더(101)와 이어지고, 상기 스크레이퍼(70)에서 상기 스프레더(60)까지 상기 제 1 가이더(101)에 의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상판(21)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21)의 상기 가이드돌기(21a)가 삽입되어 안내 지지되는 제 2 가이더(103)와, 상기 제 2 가이더(103)와 이어지고, 상기 스프레더(60)를 지나는 상기 상판(21)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성형판(20)의 이송방향으로 따라 하강하는 경사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21)의 상기 가이드돌기(21a)가 타고 하강하면서 상기 상판(21)이 하판(23)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제 3 가이더(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투입부(50)는
    상기 성형판(20)을 향해 형성되는 투입구(55)가 구비되고, 상기 누룽지 원료가 투입되는 공급호퍼(51)와, 상기 공급호퍼(51)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누룽지 원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53)와, 상기 교반기(53)로부터 교반된 상기 누룽지 원료를 상기 투입구(55)를 통하여 배출하기 위한 공급스크루(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60)는
    장착프레임(61)과, 상기 장착프레임(61)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프레임(61)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구동축(63)이 구비된 제 1 구동모터(62)와, 상기 장착프레임(61)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종동축(64)과, 상기 장착프레임(61)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구동축(63)과 상기 종동축(64)에 구비되고, 벨트(66)에 의하여 연결되는 풀리(65)와, 상기 제 1 구동축(63)과 상기 종동축(64)의 하단에 연결되고, 회전 구동하여 상기 원료투입부(50)에 의하여 공급된 상기 성형판(20)의 상기 누룽지 원료를 펼치는 블레이드(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60)는 상기 장착프레임(61)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고, 피스톤로드가 상기 장착프레임(61) 상부에 결합되는 승하강실린더(68)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실린더(68)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봉(6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투입부(50)는 하나의 상기 성형판(20)에 2열로 상기 누룽지 원료를 투입하고,
    상기 스프레더(60)는 2열의 상기 누룽지 원료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7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는 분리용 실린더(71); 및
    상기 분리용 실린더(71)의 분리용 피스톤로드(73)의 하단에 연결되어 승하강하면서 상기 성형판(20)의 상기 상판(21)에 붙은 누룽지를 긁어내기 위한 끌판(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누룽지가 분리된 성형판(20)을 브러싱(brushing)하기 위한 브러셔(90)(brush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셔(9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는 제 2 구동모터(91)와,
    상기 제 2 구동모터(91)의 제 2 구동축(93)에 연결되어 상기 성형판(20)의 상판(21)에 잔존하는 누룽지 잔여물을 분리시키기 위한 원통형 브러쉬(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KR1020200090744A 2020-07-22 2020-07-22 누룽지 제조장치 KR102542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44A KR102542056B1 (ko) 2020-07-22 2020-07-22 누룽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44A KR102542056B1 (ko) 2020-07-22 2020-07-22 누룽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09A KR20220011909A (ko) 2022-02-03
KR102542056B1 true KR102542056B1 (ko) 2023-06-12

Family

ID=8026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744A KR102542056B1 (ko) 2020-07-22 2020-07-22 누룽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0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073B1 (ko) * 2012-03-05 2012-09-11 조성미 누룽지 제조장치
KR102108195B1 (ko) * 2019-11-19 2020-05-07 염상훈 인덕션방식의 전기 누룽지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266B1 (ko) * 1996-10-09 1999-06-15 이광수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00004822A (ko) * 2008-07-04 2010-01-13 서정일 누룽지 제조 장치
KR101926545B1 (ko) 2016-11-15 2018-12-11 (주)향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073B1 (ko) * 2012-03-05 2012-09-11 조성미 누룽지 제조장치
KR102108195B1 (ko) * 2019-11-19 2020-05-07 염상훈 인덕션방식의 전기 누룽지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09A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135B1 (ko) 전자동 튀김기
KR102282797B1 (ko) 연속 취반시스템용 조미액혼합장치
KR102542057B1 (ko)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US6178878B1 (en) Baking oven for producing thin-walled shaped products with baking forms each consisting of two form halves which open and close
KR101178131B1 (ko) 연속 박스 세척건조장치
KR102542056B1 (ko) 누룽지 제조장치
KR101113321B1 (ko)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
KR100868348B1 (ko) 건조기
KR100943734B1 (ko) 꼬치 제조장치
CN110522055B (zh) 一种辣椒烘焙箱
US4574495A (en) Method and drying plant for drying a material in batch operation
WO2003011013A1 (en) Sawdust injection mechanism
KR100923138B1 (ko) 꼬챙이 정렬 투입 기능이 구비된 꼬치 제조장치
KR101573291B1 (ko) 누룽지 제조 장치
CN112167686A (zh) 锅巴制作装置
US4320585A (en) Automatic drying installation
CN107348452A (zh) 一种关于花生的快餐食品生产线
KR20220119787A (ko) 다목적 수산물 건조장치
CN111567640A (zh) 一种自动续料智能高效茶叶杀青机
RU2175427C1 (ru) Установка сушильная конвейерная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US761088A (en) Drying-kiln.
JP3582787B2 (ja) 揚げ煎餅の製造装置
KR101810866B1 (ko)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
CN218097097U (zh) 一种营养蒸谷米干燥用循环烘干部件
JPH06104093B2 (ja) 個食連続炒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