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894B1 - 패널 - Google Patents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894B1
KR102541894B1 KR1020207020520A KR20207020520A KR102541894B1 KR 102541894 B1 KR102541894 B1 KR 102541894B1 KR 1020207020520 A KR1020207020520 A KR 1020207020520A KR 20207020520 A KR20207020520 A KR 20207020520A KR 102541894 B1 KR102541894 B1 KR 102541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element
upward
downward
tongu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977A (ko
Inventor
에디 알버릭 부케
Original Assignee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filed Critical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Publication of KR2020010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3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3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 E04F2201/0146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with snap action of the edge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5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5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 E04F2201/016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with snap action of the edge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2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grooves positioned on the rear-side of the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3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and grooves being formed by projecting or recessed parts of the panel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의 반대되는 에지에 각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플링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커플링부를 포함하고, 제1 커플링부는 상향 텅, 상향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랭크 및 상향 그루브를 포함하며, 제2 커플링부는 하향 텅, 하향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향 플랭크 및 하향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향 텅은 제1 로킹 요소가 제공되며, 하향 플랭크는 제2 로킹 요소가 제공되며, 하향 텅은 제3 로킹 요소가 제공되고, 상향 플랭크는 제4 로킹 요소가 제공되는 패널, 특히 바닥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널
본 발명은 패널, 특히 바닥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상호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포함하는 커버링, 특히 바닥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상호 연결 가능한 바닥 패널과 같은 상호 연결 가능한 패널은 일반적으로 반대되는 에지에서 상보적인 커플링 프로필을 이용함으로써 패널의 에지에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전통적으로, 직사각형의 바닥 패널은 전통적인 앵글링 방법에 의해 긴 에지에서 연결된다. 짧은 측에서, 서로 다른 커플링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는데, 짧은 에지 커플링 메커니즘은 예컨대 드롭 다운이라고도 불리는 버티컬 폴딩에 기반할 수 있으며, 커플링될 패널의 짧은 에지에 배치된 하향 텅이 아래쪽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하향 텅이 이미 설치된 패널의 짧은 에지에 배치된 상향 그루브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패널의 예가 US7896571에 개시되어 있는데, 짧은 에지 커플링 메커니즘이 이웃한 패널의 상호 커플링된 짧은 에지를 수직으로 로킹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비록 짧은 에지에서 이러한 수직 로킹 효과는 짧은 에지에서 바닥 패널 사이의 커플링을 안정화하도록 의도되지만, 커플링 에지는 조립 동안 그리고 실제 사용 동안 인장을 받기 때문에, 커플링 에지에서 실제로 종종 파손이 발생하는데, 이는 이러한 타입의 드롭 다운 커플링의 신뢰성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웃한 패널에 개선된 방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는 개선된 패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커플링된 패널의 커플링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측과 하측이 제공되며, 평면을 정의하는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배치된 코어를 포함하는 패널, 특히 바닥 패널을 제공하는데, 적어도 하나의 제1 커플링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커플링부는 코어의 반대되는 에지에 각자 연결되고, 제1 커플링부는 상향 텅, 상향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랭크 및 상향 텅과 상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상향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향 그루브는 이웃한 패널의 제2 커플링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제2 커플링부는 하향 텅, 하향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향 플랭크 및 하향 텅과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하향 그루브를 포함하며, 하향 그루브는 이웃한 패널의 제1 커플링부의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예컨대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2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예컨대 외향 돌출부 및/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로킹 요소가 제공되며, 하향 플랭크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예컨대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1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예컨대 함몰부 및/또는 돌출부의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로킹 요소가 제공되고,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예컨대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4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예컨대 외향 돌출부 및/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제3 로킹 요소가 제공되며, 상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예컨대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3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예컨대 함몰부 및/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제4 로킹 요소가 제공된다.
패널은 후크형 커플링 수단이 제공되는데, 상향 텅과 하향 그루브 및 상향 그루브와 하향 텅은 협력하며, 서로 뒤에서 걸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들 요소는 적어도 수평 바닥에 배치될 때, 수평 방향으로 두 커플링된 패널의 (수평) 로킹을 제공한다. 제1, 2, 3, 4 로킹 요소는 적어도 수평 바닥에 배치될 때, 수직 방향으로 두 커플링된 패널의 수직 로킹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수평 방향은 패널의 평면의 방향으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수직 방향은 수평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간주될 수 있다.
수직 방향의 로킹은 제1, 2 로킹 요소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리고 제3, 4 로킹 요소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3 로킹 요소는 외향 돌출부로 구현되고, 제2, 4 로킹 요소는 (내향) 함몰부로 구현된다. 커플링된 상태에서, 돌출부는 대응되는 리세스와 협력하며, 서로 맞춰진다. 커플링된 상태에서 서로 접촉되는 함몰부와 돌출부의 표면은 적어도 수평 요소를 가져, 수직 로킹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제1, 3 로킹 요소가 (내향) 함몰부로 구현되고, 제2, 4 로킹 요소가 외향 돌출부로 함몰되는 것도 그러하다. 다른 조합/변경이 또한 가능한데, 예를 들어 제1, 4 로킹 요소 또는 제2, 3 로킹 요소가 외향 돌출부로 구현된다.
커플링부의 일측(예컨대 하향 플랭크의 측)에 제1, 2 로킹 요소를, 그리고 커플링부의 타측(예컨대 상향 플랭크의 측)에 제3, 4 로킹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수직 로킹 요소가 커플링부의 영역에 걸쳐 분포된다. 이러한 분포는 로킹 요소의 수평 및 수직 분리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는 예컨대 수직 모션에 의한 커플링 시, 로킹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상호 작용하는 로킹 요소가 차례로 커플링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는 이들 로킹 요소에서 소재 응력과 변형을 줄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들 힘의 감소는 로킹 요소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이 앵글링 모션을 이용해 커플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플링된 패널이 앵글링 모션으로 언커플링될 수 있는 것을 허용한다.
패널에 제1, 2 로킹 요소 또는 제3, 4 로킹 요소를 제공하여, 로킹 요소 쌍 중 하나를 효과적으로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으며, 상향 플랭크를 향해 각을 이룰 수 있고, 하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진 하향 텅의 일측의 일부는 하향 플랭크를 향해 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각과 경사는 이른바 "닫힌 그루브" 시스템을 생성하는데, 경사진 부분은 커플링된 패널의 수직 로킹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닫힌 그루브"를 갖는 두 패널을 커플링하기 위해, 커플링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닫힌 그루브"는 따라서 커플링된 패널의 수직 로킹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패널을 커플링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부분이 경사진 방향과 수직 방향에 의해 둘러싸인 각은 예컨대 0 내지 45°, 특히 0 내지 10°일 수 있다. 각은 0°를 제외할 수 있는데, 이는 각을 이루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방향이 아니라, 수직 방향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닫힌 그루브" 시스템에서, 수직 로킹은 전형적으로 그 둘러싸인 각을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는데, 각이 커질수록 이웃한 패널을 커플링하기 어려워진다.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으며,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각을 이룰 수 있고, 하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진 하향 텅의 일측의 일부는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각과 경사는 이른바 "열린 그루브" 시스템을 생성하는데, 이는 커플링 및 언커플링하기에 상대적으로 쉽고, 커플링부의 변형을 (또는 적어도 "닫힌 그루브"에서 만큼) 요하지 않는다. 그 부분이 경사진 방향과 수직 방향에 의해 둘러싸인 각은 예컨대 0 내지 45°, 특히 0 내지 10°일 수 있다. 각은 0°를 제외할 수 있는데, 이는 각을 이루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방향이 아니라, 수직 방향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모든) 측은 상향 플랭크로부터 먼 방향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고, 하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하향 텅의 (모든) 측은 하향 플랭크로부터 먼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진다.
바람직하게는 제3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 및/또는 제4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은 (ⅰ) 제1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L1)과 (ⅱ) 상향 텅의 최대 높이를 정의하는 수평선(LH)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로킹 요소 및/또는 제4 로킹 요소의 특정한 위치는 먼저 제3 로킹 요소 및/또는 제4 로킹 요소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를 유도하여, 커플링된 패널 사이에 갭 형성을 방지하고, 커플링된 패널 사이에 닫힌 심(seam)을 보장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제1 로킹 요소의 적어도 일부 위에 (그리고 전형적으로 또한 제2 로킹 요소의 적어도 일부 위에) 제3 로킹 요소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제4 로킹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함으로써, 커플링 동안 전체적인 소재 변형이 제한되어 유지될 수 있는데, 이는 커플링 동안 소재 응력 증가를 줄이며, 패널 사이에 구현된 커플링의 내구성의 신뢰성에 유리하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전형적으로, 제3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은 제4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과 일치한다. 수평 중심선은 로킹 요소에 의해 정의된 중심(중앙)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으로, 패널 그 자체에 의해 정의된 평면 내에서 연장되거나, 그 평면에 평행하다. 상향 텅의 최대 높이를 정의하는 수평선(LH)은 또한 상향 텅의 상단에 접하는 가상의 선인데, 또한 이러한 선은 패널 그 자체에 의해 정의된 평면 내에서 연장되거나, 그 평면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제3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 및/또는 제4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은 (ⅰ) 제2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과 (ⅱ) 상향 텅의 최대 높이를 정의하는 수평선 사이에 배치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전형적으로, 제1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제2 로킹 요소의 중심선과 일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예컨대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6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예컨대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5 로킹 요소가 제공되고, 상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예컨대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5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예컨대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6 로킹 요소가 제공된다. 제5 로킹 요소 및 (그와 상보적인) 제6 로킹 요소의 존재는 커플링된 상태의 두 패널 사이에 원하는 수직 로킹 효과를 개선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3 로킹 요소와 제5 로킹 요소 중 한 로킹 요소는 돌출부로 형성되고, 제3 로킹 요소와 제5 로킹 요소 중 다른 로킹 요소는 함몰부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4 로킹 요소와 제6 로킹 요소 중 한 로킹 요소는 돌출부로 형성되고, 제4 로킹 요소와 제6 로킹 요소 중 다른 로킹 요소는 함몰부로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3 로킹 요소는 돌출부로 형성되고, (그와 이웃한) 제5 로킹 요소는 함몰부로 형성되는 한편, 제4 로킹 요소는 함몰부로 형성되고, 제6 로킹 요소는 돌출부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3 로킹 요소와 제5 로킹 요소에 의해 형성된 윤곽은 실질적으로 에스자 형상("S" 형상 또는 "Z" 형상)을 가질 것이다. 여기서, 제4 로킹 요소와 제6 로킹 요소에 의해 형성된 윤곽은 거울 반전된 (상보적인) 에스자 형상(반전된 "S" 형상 또는 반전된 "Z" 형상)을 가질 것이다. 제3 로킹 요소와 제5 로킹 요소는 (따라서)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4 로킹 요소와 제6 로킹 요소는 (따라서)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5 로킹 요소의 중심선과 제6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제3 로킹 요소의 중심선 위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5 로킹 요소 및/또는 제6 로킹 요소는 모든 다른 로킹 요소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5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 및/또는 제6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은 (ⅰ) 제1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L1)과 (ⅱ) 상향 텅의 최대 높이를 정의하는 수평선(LH) 사이에 배치된다. 제5 로킹 요소 및/또는 제6 로킹 요소의 특정한 위치는 먼저 제5 로킹 요소 및/또는 제6 로킹 요소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를 유도하여, 커플링된 패널 사이에 갭 형성을 방지하고, 커플링된 패널 사이에 닫힌 심을 보장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제1 로킹 요소의 적어도 일부 위에 (그리고 전형적으로 또한 제2 로킹 요소의 적어도 일부 위에) 제5 로킹 요소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제6 로킹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함으로써, 커플링 동안 전체적인 소재 변형이 제한되어 유지될 수 있는데, 이는 커플링 동안 소재 응력 증가를 줄이며, 패널 사이에 구현된 커플링의 내구성의 신뢰성에 유리하다.
전형적으로, 제1 로킹 요소와 제2 로킹 요소는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제3 로킹 요소와 제4 로킹 요소는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만약 적용된다면) 제5 로킹 요소와 제6 로킹 요소는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과 상향 텅의 상측 사이의 트랜지션은 볼록한 꼭짓점을 정의하는데, 제4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상기 볼록한 꼭짓점의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전술한 트랜지션은 상기 두 측(상향 텅의 (먼) 외측과 상측)이 서로 만나는 구체적인 지점(또는 구체적인 코너)일 수 있거나, 상향 텅의 상기 두 측을 연결하는 전형적으로는 곡선의 영역(또는 구역 또는 부위)일 수 있다. 트랜지션이 한 영역(또는 구역 또는 부위)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구역의 중심(지점)은 예컨대 볼록한 꼭짓점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볼록한 꼭짓점은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평평한,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배향된 부분과 상향 텅의 상측의 평평한, 바람직하게는 경사진 부분 사이의 트랜지션에 의해 정의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랜지션은 두 측이 서로 만나는 명확한 코너인데, 볼록한 꼭짓점은 상기 코너와 일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향 플랭크와 하향 그루브의 상측 사이의 트랜지션은 오목한 꼭짓점을 정의하는데, 제3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상기 오목한 꼭짓점의 중심선과 상기 제2 로킹 요소의 중심선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이 경우, 전술한 트랜지션은 상기 두 측(하향 그루브의 상측과 하향 플랭크)이 서로 만나는 구체적인 지점(또는 구체적인 코너)일 수 있거나, 상기 두 측을 연결하는 전형적으로는 곡선의 영역(또는 구역 또는 부위)일 수 있다. 트랜지션이 한 영역(또는 구역 또는 부위)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구역의 중심(지점)은 예컨대 오목한 꼭짓점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향 플랭크와 하향 그루브의 상측 사이의 트랜지션은 오목한 꼭짓점을 정의하는데, 제3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상기 오목한 꼭짓점의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상향 텅의 상측의 적어도 일부,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부는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진다. 바람직하게는 하향 그루브의 상측의 적어도 일부,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부는 하향 플랭크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다. 바람직하게는 두 경사는 0과 5° 사이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각을 함께 둘러싼다. 상향 텅의 상측의 경사는 (패널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인) 수평 평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로 배치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이다. 상향 텅의 상측의 경사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데, 이는 상측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배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하향 그루브의 상측은 바람직하게는 (상향 텅의 상측의 경사와 비교할 때) 마찬가지로 경사진 배향을 갖는데, 이는 더 바람직하게는 하향 텅의 방향으로 상향이다. 패널의 코어(몸체)에 하향 텅을 연결하는 브리지의 하면은 하향 그루브의 상측에 의해 정의된다. 하향 그루브의 경사진 상측을 적용하는 것은 코어에서 하향 텅의 방향으로 봤을 때, 브리지의 변하는 두께를 야기할 것이다. 브리지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코어에 가까우면 상대적으로 크고, 하향 텅에 가까우면 상대적으로 작은 이러한 위치 의존적인 브리지 두께에서, 브리지 두께는 여러 이점을 갖는다. 코어에 가까운 브리지의 더 두꺼운 부분은 브리지에 더 우수한, 그리고 충분한 강도(strength)와 단단함(robustness)을 제공하는 한편, 하향 텅에 가까운 브리지의 더 얇은 부분은 브리지의 가장 약한 지점을 형성하여, 커플링 동안 제1 변형의 위치(회전 지점)를 결정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 지점이 하향 텅에 가깝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향 그루브로 하향 텅을 삽입할 수 있게 변형될 소재의 양이 최소로 유지될 수 있다. 더 적은 변형은 더 적은 소재 응력을 유발하는데, 이는 커플링 프로필(들) 및 패널(들)의 수명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은 두 실질적으로 수직 측부를 포함하는데, 제1 로킹 요소는 상기 실질적으로 수직 측부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하향 플랭크는 두 실질적으로 수직 측부를 포함하는데, 제2 로킹 요소는 상기 실질적으로 수직 측부 사이에 배치된다. 커플링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하나의 수직 측부는 하향 플랭크의 적어도 하나의 수직 측부에 맞물린다. 이는 흔히 패널 사이에 구현된 커플링에 더 우수한 안정성과 단단함을 제공할 것이다.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일부 및/또는 하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을 이루거나 경사질 수 있는데, 제3 및/또는 제4 로킹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을 이루거나 경사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곡선을 이루거나 경사진 부분은 예컨대 각을 이루는 에지에 대해, 커플링될 패널의 상호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2 커플링부는 예컨대 개개의 플랭크에 상향 및 하향 텅을 연결하는 브리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일부 및/또는 상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의 곡선 또는 경사는 커플링부의 브리지부를 향할 수 있다.
상향 플랭크의 상부 및/또는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상부는 베벨이 제공될 수 있다. 상부는 예컨대 그 상부의 하부 구역에서 접촉되며, 그 상부의 더 높은 구역에서 서로 멀어져, 베벨을 형성한다. 이러한 베벨은 상부 주변에 운동을 위한 공간 및 목재 바닥 패널을 구현하는 심미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베벨이 커플링부의 상부에 제공될 때, 커플링된 상태에서 베벨은 (제거된 소재의) V 형상을 형성한다. 제3, 4 로킹 요소는 이에 바람직하게는 베벨의 가장 낮은 부분보다 낮은 높이에, 또는 그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3, 4 로킹 요소는 패널이 커플링되어 있을 때, 위에서 보이지 않는다.
제3 로킹 요소는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상부에 비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향 텅의 일측의 상부는 따라서 로킹 요소의 끝단 또는 가장 먼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커플링 요소의 다른 요소는 패널의 코어와 상기 상부 사이에 배열될 수 있는데, 이는 비교적 콤팩트한 디자인을 야기한다. 이러한 콤팩트한 디자인은 그 요소가 돌출된 요소에 비해 손상에 취약하지 않고 보호된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제3 로킹 요소는 외향 돌출부일 수 있고, 제4 로킹 요소는 함몰부일 수 있는데, 특히 외향 돌출부는 단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또한 제3 로킹 요소는 함몰부이고, 제4 로킹 요소는 외향 돌출부일 수 있다. 함몰부는 돌출부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2 로킹 요소도 마찬가지이다. 돌출부/함몰부 조합은 제작하기에 상대적으로 쉬워, 생산하기에 상대적으로 쉽다.
하향 텅과 패널의 코어 사이에서, 코어에 하향 텅을 연결하는 브리지부가 존재할 수 있는데, 특히 브리지부는 코어와 하향 텅 사이에서 변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브리지부의 이러한 변하는 두께는 브리지부의 두께가 최소인 구역 또는 최소 두께를 갖는 구역을 갖는 브리지부를 야기한다. 이는 상기 구역이 브리지부의 가장 약한 구역을 형성하도록, 브리지부에서 가장 적은 양의 소재가 있는 구역이다. 특히 커플링부의 (적어도 일시적인) 변형이 발생하는 이른바 "닫힌 그루브" 로킹 시스템에서, 이러한 가장 약한 구역의 형태 또는 특징은 커플링부, 그리고 특히 그 브리지부의 변형이 일어나기 가장 쉬운 위치를 정의한다. 제2 커플링부, 특히 제2 커플링부의 브리지부는 따라서 커플링 동안 적어도 일시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커플링부, 특히 그 브리지부의 최소 두께는 패널의 전체 두께의 절반 미만일 수 있다. 제2 커플링부의 이러한 최소 두께를 가짐으로써, 비교적 얇은 영역이 제2 커플링부에 생성된다. 이러한 얇은 영역은 특히 커플링부의 (적어도 일시적인) 변형이 일어나는 "닫힌 그루브" 시스템에서 유용한데, 이러한 얇은 영역의 형태 또는 특징은 커플링부, 그리고 특히 브리지부의 변형이 일어나기 가장 쉬운 위치를 정의한다. 제2 커플링부, 특히 제2 커플링부의 브리지부는 따라서 커플링 동안 적어도 일시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3 로킹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제4 로킹 요소는 제1, 2 로킹 요소의 높이에 비해 높은 높이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3 로킹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제4 로킹 요소는 상향 텅의 가장 높은 지점에 비해 낮은 높이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3, 4 로킹 요소는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상향 텅의 가장 높은 지점과 제1, 2 로킹 요소의 높이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분포는 로킹 요소의 수직 분리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는 예컨대 수직 모션에 의한 커플링 시, 로킹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상호 작용하는 로킹 요소가 순차적으로 커플링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는 이들 로킹 요소의 소재 응력과 변형을 줄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들 힘의 감소는 로킹 요소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커플링된 상태에서, 갭이 상향 텅의 상측과 하향 그루브의 상측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데, 갭은 바람직하게는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으로부터 하향 플랭크로 갈수록 넓어진다. 상향 텅의 상측과 하향 그루브의 상측 사이의 갭의 존재는 상향 텅과 하향 그루브 그 자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것을 야기한다. 대신, 텅의 외측과 내측이 접촉된다. 갭은 패널의 커플링을 방해함 없이,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허용한다. 갭은 또한 예컨대 커플링 동안 커플링부에서 소재가 깎일 때 패널 소재가 수집되도록 허용한다. 이는 예컨대 제작 공차 때문에, 커플링부 중 하나가 이용 가능한 공간에 비해 약간 더 크게 형성될 때 일어날 수 있다.
제1 커플링 요소 아래에서, 특히 상향 텅 아래에서, 바닥에 배치될 때, 패널이 배치된 바닥과 상향 텅 사이에 갭이 존재하도록,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예컨대 코어로부터 상향 텅의 외측 또는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커플링 요소 아래 공간은 커플링 동안 제1 커플링 요소가 약간 하향으로 변형되거나 휘어지도록 허용할 수 있는데, 이는 두 패널의 커플링을 용이하게 한다. 커플링의 이러한 용이함은 커플링될 커플링부의 정확한 크기로부터 더 큰 공차 및 편차를 더 허용한다.
커플링된 상태에서, 복수의 갭이 커플링된 패널의 커플링부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갭이 커플링부의 상부와 제3, 4 로킹 요소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제2 갭은 제3, 2 로킹 요소와 텅의 내측 (또는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과 하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제3 갭은 텅의 내측(또는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과 하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과 제1, 2 로킹 요소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상향 텅의 상측과 하향 그루브의 상측 사이의 이들 갭의 존재는 상향 텅과 하향 그루브 그 자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것을 야기한다. 대신, 텅의 외측과 내측이 접촉된다. 갭은 패널의 커플링을 방해함 없이,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허용한다. 갭은 또한 예컨대 커플링 동안 커플링부에서 소재가 깎일 때 패널 소재가 수집되도록 허용한다. 이는 예컨대 제작 공차 때문에, 커플링부 중 하나가 이용 가능한 공간에 비해 약간 더 크게 형성될 때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전형적으로 바닥 커버링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대안적인 커버링, 예컨대 벽 커버링, 천장 커버링, 칼럼 커버링, 빔 커버링 또는 가구 커버링을 형성하기 위해 적용될 수도 있다. 패널은 2.5 내지 1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코어의 적어도 일부는 목재, 모래, 유리, 석고, 산화마그네슘 보드, 미네랄 보드, (목재) 플라스틱 합성물, PU, PET, PP, PE, PVC와 같은 플라스틱, 파티클 보드, HDF, MDF와 같은 임의의 재로 또는 그 혼합물(또는 조합)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은 패널을 보강하기 위해 유리 섬유 레이어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보강 레이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패널은 예컨대 길쭉할 수 있으며, 10 내지 100 cm의 폭을 가질 수 있고, 50 내지 250 c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패널의 코어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우레탄(PU), 폴리젖산(PLA),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에스터, 바람직하게는 분해성 폴리에스터 또는 그 조합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비교적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 이루어진다. 코어는 파티클, 더스트 및/또는 섬유와 같은 미네랄 충전제와 같은 충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특히 코어는 패널을 더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의 코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목재 섬유 코어, 예컨대 재생 목재 섬유 코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의 상단에서,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및/또는 종이로 이루어진 장식 레이어, 예컨대 장식 프린트 레이어 또는 코어에 직접적으로 프린팅된 장식 프린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장식 레이어의 상단에서, 장식 레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레이어가 존재할 수 있다. 코어의 바닥에서, 밸런싱 또는 (소음) 흡수 레이어가 존재할 수 있다.
장식 레이어는 예컨대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종이는 프린팅된 멜라민 함침 종이, 예컨대 멜라민 수지 함침 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된 데코 시트일 수 있다. 종이는 캐리어, 예컨대 HDF 보드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종이는 뿌려진 장식 파우더 믹스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 파우더는 목재 섬유와 바인더, 그리고 선택적으로 색소 및/또는 내마모성 파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 파우더의 목재 섬유는 재생 목재 섬유와 같은 가공되지 않은 목재 섬유 또는 가공된 목재 섬유일 수 있다.
장식 레이어는 예컨대 뿌려진 장식 파우더 믹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 파우더는 목재 섬유와 바인더, 그리고 선택적으로 색소 및/또는 내마모성 파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 파우더의 목재 섬유는 재생 목재 섬유와 같은 가공되지 않은 목재 섬유 또는 가공된 목재 섬유일 수 있다. 장식 레이어는 예컨대 여러 레이어의 뿌려진 장식 파우더 믹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장식 레이어는 예컨대 목재 베니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목재 베니어는 캐리어, 예컨대 HDF 보드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목재 베니어는 뿌려진 장식 파우더 믹스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 파우더는 목재 섬유와 바인더, 그리고 선택적으로 색소 및/또는 내마모성 파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 파우더의 목재 섬유는 재생 목재 섬유와 같은 가공되지 않은 목재 섬유 또는 가공된 목재 섬유일 수 있다.
장식 레이어는 예컨대 코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코르크는 캐리어, 예컨대 HDF 보드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코르크는 뿌려진 장식 파우더 믹스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 파우더는 목재 섬유와 바인더, 그리고 선택적으로 색소 및/또는 내마모성 파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 파우더의 목재 섬유는 재생 목재 섬유와 같은 가공되지 않은 목재 섬유 또는 가공된 목재 섬유일 수 있다.
브리지부와 커플링부의 텅 사이의 트랜지션은 예컨대 둥글거나 (적어도 급격하지 않게) 완만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지션은 서로 다른 요소 사이에 점진적인 트랜지션을 제공하며, 커플링부에 부하나 힘이 가해질 때 트랜지션에서 크랙이 형성되거나 소재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브리지부와 커플링부의 플랭크 사이의 트랜지션은 또한 같은 이유로 둥글거나 완만할 수 있다.
패널은 예컨대 수직 모션으로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예컨대 패널의 두 반대되는 측에 제1, 2 커플링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은 길쭉하거나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제1 커플링부가 그 짧은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플링부는 이에 반대되는 짧은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 예컨대 긴 측에도 제1, 2 커플링부가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측은 앵글링 다운 프로필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돌거나 회전하는 운동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앵글링 다운 프로필은 예컨대 어느 한 측에 측향 그루브를, 그리고 반대되는 측에 측향 텅을 갖는다. 제1, 2 커플링부는 전형적으로 다른 측의 이러한 앵글링 모션 동안 커플링되기에 적합한데, 제1, 2 커플링부는 "zip-lock"이라고도 불리는 회전 하향 모션으로 제 위치에 잠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앵글링 모션을 이용해 언커플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포함하는 커버링, 특히 바닥 커버링 또는 벽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 제한적이지 않은 구절로 예시된다.
1. 상측과 하측이 제공되며, 평면을 정의하는 중심에 배치된 코어 및
코어의 반대되는 에지에 각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플링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커플링부를 포함하는 패널, 특히 바닥 패널 또는 벽 패널로서,
제1 커플링부는 상향 텅, 상향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랭크 및 상향 텅과 상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상향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향 그루브는 이웃한 패널의 제2 커플링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제2 커플링부는 하향 텅, 하향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향 플랭크 및 하향 텅과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하향 그루브를 포함하고, 하향 그루브는 이웃한 패널의 제1 커플링부의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예컨대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2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예컨대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1 로킹 요소가 제공되고,
하향 플랭크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예컨대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1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예컨대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2 로킹 요소가 제공되며,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예컨대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4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예컨대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3 로킹 요소가 제공되고,
상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예컨대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3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예컨대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4 로킹 요소가 제공되되는 패널.
2. 제1절에 있어서,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은 상향 플랭크로부터 먼 방향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고, 하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은 하향 플랭크로부터 먼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지는 패널.
3. 제1절 또는 제2절에 있어서, 제3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 및/또는 제4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은 (ⅰ) 제1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L1)과 (ⅱ) 상향 텅의 최대 높이를 정의하는 수평선(LH)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4. 제1절 내지 제3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3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 및/또는 제4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은 (ⅰ) 제2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L1)과 (ⅱ) 상향 텅의 최대 높이를 정의하는 수평선(LH)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5. 제1절 내지 제4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예컨대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6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예컨대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5 로킹 요소가 제공되고, 상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예컨대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5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예컨대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6 로킹 요소가 제공되는 패널.
6. 제5절에 있어서, 제3 로킹 요소와 제5 로킹 요소 중 한 로킹 요소는 돌출부로 형성되고, 제3 로킹 요소와 제5 로킹 요소 중 다른 로킹 요소는 함몰부로 형성되는 패널.
7. 제5절 또는 제6절에 있어서, 제4 로킹 요소와 제6 로킹 요소 중 한 로킹 요소는 돌출부로 형성되고, 제4 로킹 요소와 제6 로킹 요소 중 다른 로킹 요소는 함몰부로 형성되는 패널.
8. 제5절 내지 제7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3 로킹 요소와 제5 로킹 요소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및/또는 제4 로킹 요소와 제6 로킹 요소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패널.
9. 제5절 내지 제8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5 로킹 요소의 중심선과 제6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제3 로킹 요소의 중심선 위에 배치되는 패널.
10. 제5절 내지 제9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5 로킹 요소의 중심선 및/또는 제6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ⅰ) 제1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L1)과 (ⅱ) 상향 텅의 최대 높이를 정의하는 수평선(LH)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11. 제1절 내지 제10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과 상향 텅의 상측 사이의 트랜지션은 볼록한 꼭짓점을 정의하고, 제4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상기 볼록한 꼭짓점의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패널.
12. 제11절에 있어서, 볼록한 꼭짓점은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평평한,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배향된 부분과 상향 텅의 상측의 평평한, 바람직하게는 경사진 부분 사이의 트랜지션에 의해 정의되는 패널.
13. 제1절 내지 제12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향 플랭크와 하향 그루브의 상측 사이의 트랜지션은 오목한 꼭짓점을 정의하고, 제3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상기 오목한 꼭짓점의 중심선과 상기 제2 로킹 요소의 중심선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14. 제13절에 있어서, 하향 플랭크와 하향 그루브의 상측 사이의 트랜지션은 오목한 꼭짓점을 정의하고, 제3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상기 오목한 꼭짓점의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패널.
15. 제1절 내지 제14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향 텅의 상측은 상향 플랭크로부터 먼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지는 패널.
16. 제1절 내지 제15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향 그루브의 상측은 하향 플랭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지는 패널.
17. 제1절 내지 제16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향 텅의 실질적으로 모든 상측은 평평한 패널.
18. 제1절 내지 제17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은 두 실질적으로 수직 측부를 포함하고, 제1 로킹 요소는 상기 실질적으로 수직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19. 제1절 내지 제18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상향 플랭크를 향해 각을 이루고, 하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패널.
20. 제1절 내지 제19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각을 이루고, 하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패널.
21. 제1절 내지 제20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상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을 이루거나 경사지고, 제3 및/또는 제4 로킹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을 이루거나 경사진 부분에 배치되는 패널.
22. 제1절 내지 제21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향 플랭크의 상부 및/또는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상부는 베벨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제3, 4 로킹 요소는 베벨의 가장 낮은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패널.
23. 제1절 내지 제22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3 로킹 요소는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상부에 비해 내측에 배치되는 패널.
24. 제1절 내지 제23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3 로킹 요소는 외향 돌출부이고, 제4 로킹 요소는 함몰부이며, 특히 외향 돌출부는 단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인 패널.
25. 제1절 내지 제24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패널의 코어와 하향 패널 사이에서 코어에 하향 텅을 연결하는 브리지부가 존재하고, 특히 브리지부는 코어와 하향 텅 사이에서 변하는 두께를 갖는 패널.
26. 제1절 내지 제25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3, 4 로킹 요소는 제1, 2 로킹 요소의 높이에 비해 높은 높이에 배열되는 패널.
27. 제1절 내지 제26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3, 4 로킹 요소는 상향 텅의 가장 높은 지점에 비해 낮은 높이에 배열되는 패널.
28. 제1절 내지 제27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3, 4 로킹 요소는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상향 텅의 가장 높은 지점과 제1, 2 로킹 요소의 높이 사이에 배열되는 패널.
29. 제1절 내지 제28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3, 4 로킹 요소는 수직 로킹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되는 및/또는 제1, 2 로킹 요소는 수직 로킹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되는 패널.
30. 제1절 내지 제29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커플링부, 특히 제2 커플링부의 브리지부는 커플링 동안 적어도 일시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패널.
31. 제1절 내지 제30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플링된 상태에서, 갭이 상향 텅의 상측과 하향 그루브의 상측 사이에 존재하고, 갭은 바람직하게는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으로부터 하향 플랭크로 갈수록 넓어지는 패널.
32. 제1절 내지 제31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커플링부, 특히 그 브리지의 최소 두께는 패널의 전체 두께의 절반 미만인 패널.
33. 제1절 내지 제32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커플링 요소 아래에서, 특히 그 상향 텅 아래에서, 바닥에 설치될 때, 패널이 배치된 바닥과 상향 텅 사이에 갭이 생기도록, 공간이 존재하는 패널.
34. 복수의 상호 연결된 제1절 내지 제33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패널을 포함하는 커버링, 특히 바닥 커버링 또는 벽 커버링.
본 발명은 아래 도면에 나타난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패널의 제1 커플링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패널의 제2 커플링부를 나타낸다.
도 3은 커플링된 상태의 도 1, 2의 제1, 2 커플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패널의 제1 커플링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패널의 제2 커플링부를 나타낸다.
도 6은 커플링된 상태의 도 4, 5의 제1, 2 커플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도 1-3에 나타난 실시예의 서로 다른 높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도 4-6에 나타난 실시예의 서로 다른 높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도 1-3, 7에 나타난 바와 같은 두 패널의 커플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도 1-3, 7에 나타난 바와 같은 두 패널의 언커플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a-11j는 다양한 대안적인 커플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패널의 제1 커플링부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패널의 제2 커플링부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패널(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패널(1)의 제1 커플링부(2)를 나타낸다. 패널(1)은 상측(3a)과 하측(3b)이 제공되는 중심에 배치된 코어(3)를 포함한다. 제1 커플링부(2)는 상향 텅(upward tongue)(4), 상향 텅(4)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상향 플랭크(upward flank)(5) 및 상향 텅(4)과 상향 플랭크(6) 사이에 형성된 상향 그루브(upward groove)(6)를 포함한다. 상향 그루브(6)는 이웃한 패널의 제2 커플링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향 플랭크(5)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4)의 일측(7)의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제2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외향 돌출부(8)의 형태의 제1 로킹 요소(8)가 제공된다.
상향 플랭크(5)의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제3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함몰부(9)의 형태의 제4 로킹 요소(9)가 제공된다. 상향 플랭크(5)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4)의 일측(17)의 일부는 수직 방향(V)에 대해 경사지며, 화살표(A1)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향 플랭크(5)로부터 멀리 각을 이룬다. 상향 플랭크(5)의 일부(19)는 곡선을 이루거나(19a) 경사져 있는데(19b), 제4 로킹 요소(9)는 곡선을 이루거나 경사진 부분(19a, 19b)에 배치된다. 상향 플랭크(5)의 상부(20)는 베벨(bevel)(21)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패널(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패널(1)의 제2 커플링부(10)를 나타낸다. 패널(1)은 상측(3a)과 하측(3b)이 제공되는 중심에 배치된 코어(3)를 포함한다.
제2 커플링부(10)는 하향 텅(downward tongue)(11), 하항 텅(1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하향 플랭크(downward flank)(12) 및 하향 텅(11)과 하향 플랭크(12) 사이에 형성된 하향 그루브(downward groove)(13)를 포함하는데, 하향 그루브(11)는 이웃한 패널의 제1 커플링부의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하향 플랭크(12)의 일측의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제1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함몰부(14)의 형태의 제2 로킹 요소(14)가 제공된다. 하향 플랭크(12)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11)의 일측(15)의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제4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외향 돌출부(16)의 형태의 제3 로킹 요소(16)가 제공된다.
하향 플랭크(12)를 향해 바라보는 하향 텅(11)의 일측(18)의 일부는 수직 방향(V)에 대해 경사지며, 화살표(A2)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향 플랭크(12)로부터 멀리 각을 이룬다. 하향 플랭크(12)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11)의 일측(15)의 일부는 곡선을 이루거나(22a) 경사져 있는데(22b), 제3 로킹 요소(16)는 곡선을 이루거나 경사진 부분(22a, 22b)에 배치된다. 하향 플랭크(12)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11)의 일측(15)의 상부(23)는 베벨(24)이 제공된다.
제3 로킹 요소(16)는 하향 플랭크(12)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11)의 일측(15)의 상부(23)에 비해 내측에 배치된다.
상향 플랭크(5)는 또한 이웃한 바닥 패널(1)의 함몰부(32)의 형태의 제5 로킹 요소(32)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외향 돌출부(31)의 형태의 제6 로킹 요소(31)가 제공된다. 제4, 6 로킹 요소(9, 31)는 도 1에서 서로 아래에 직접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일종의 Z 형상, S 형상, 지그재그 형상을 함께 형성한다.
상향 플랭크(5)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4)의 일측(7)과 상향 텅(4)의 상측(28) 사이의 트랜지션(33)은 볼록한 꼭짓점(33)을 정의하는데, 제3, 4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상기 볼록한 꼭짓점의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도 2는 패널(1)의 코어(3)와 하향 텅(11) 사이에서 코어(3)에 하향 텅(11)을 연결하는 브리지부(25)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데, 브리지부(25)는 변하는 두께를 갖는다. 브리지부(25)의 두께는 D1로 표시된 최소 두께를 갖는데, 브리지부(25)는 두께가 최소인 곳에서 가장 얇은 또는 가장 약한 영역(26)을 가지며, 그 곳에서 제2 커플링부(10)의 변형이 일어나기 가장 쉽다.
하향 플랭크(12)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11)의 일측(18)의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1)의 외향 돌출부(31)의 형태의 제6 로킹 요소(31)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함몰부(32)의 형태의 제5 로킹 요소(32)가 제공된다. 제3, 5 로킹 요소(16, 32)는 도 2에서 서로 아래에 직접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일종의 Z 형상, S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을 함께 형성한다.
하향 플랭크(12)와 하향 그루브(13)의 상측(29) 사이의 트랜지션(34)은 오목한 꼭짓점(34)을 정의한다.
도 3은 커플링된 상태의 도 1, 2의 제1, 2 커플링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커플링된 상태에서, 갭(27)이 상향 텅(4)의 상측(28)과 하향 그루브(13)의 상측(29) 사이에 존재하는데, 갭(27)은 상향 플랭크(5)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4)의 일측(17)으로부터 하향 플랭크(12)로 갈수록 넓어진다.
도 4-6은 도 1-3에 나타난 패널에 대한 변경을 나타낸다. 도 4는 제1 커플링부를, 도 5는 제2 커플링부를, 도 6은 커플링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과 도 4-6 사이에 대응되는 특징은 동일한 번호가 제공된다. 주요 차이점은 도 1-3이 "열린 그루브(opend groove)" 시스템을 나타낸다면, 도 4-6은 "닫힌 그루브(closed groove)" 시스템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는 화살표(A3, A4)로 표시되어 있는데, 텅(4, 11)의 일측(17, 18)이 플랭크(5, 12)로부터 멀리가 아니라, 플랭크(5, 12)를 향해 보는 것을 나타낸다. 상향 텅(4) 아래에서, 바닥에 배치될 때, 패널이 배치된 바닥과 상향 텅(4) 사이에 공간(30)이 생기도록, 공간(30)이 존재한다. 비록 "닫힌 그루브" 실시예가 나타나 있으나, 동일한 또는 적어도 유사한 프로필이 "열린 그루브"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7, 8은 커플링된 상태에서, 제1, 2 로킹 요소의 높이(L1), 제3, 4 로킹 요소의 높이(L3) 및 상향 텅의 가장 높은 지점의 높이(LH)를 나타낸다. 제3, 4 로킹 요소의 높이(L3)는 상향 텅의 가장 높은 지점의 높이(LH)와 제1, 2 로킹 요소의 높이(L1) 사이에 배치된다. 도 7은 또한 베벨의 가장 낮은 부분의 높이(LB)를 표시한다. 그 높이(LB)와 제3, 4 로킹 요소의 높이(L3) 사이에서, 제3, 4 로킹 요소가 베벨을 통해 보이지 않도록, 거리가 존재한다. 로킹 요소의 높이는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제5, 6 로킹 요소의 중심선(L4)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제3 로킹 요소의 중심선(L3) 위에, 제1 로킹 요소의 중심선(L1) 위에, 그리고 상향 텅의 가장 높은 지점의 높이(L3) 아래에 배치된다. 제3 및/또는 제4 로킹 요소의 중심선(L3)은 상향 텅(4)의 상측(28)과 상향 플랭크(5)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4)의 일측(7) 사이의 트랜지션(33) 사이의 트랜지션과 국부적으로 일치하는데, 그 트랜지션은 볼록한 꼭짓점(33)을 정의한다. 제3 로킹 요소의 중심선(L3)은 제1 및/또는 제2 로킹 요소의 중심선(L1)과 오목한 꼭짓점(34)의 중심선 사이에 배치된다.
도 9는 도 1-3, 7에 나타난 바와 같은 두 패널의 커플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도 1-3, 7에 나타난 바와 같은 두 패널의 언커플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수직 화살표로 표시된) 수직 운동에 의한 커플링을 나타낸다. A 단계에서, 패널은 서로를 향해 움직인다. B 단계에서, 제1, 2 로킹 요소가 맞물린다. C 단계에서, 곡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부의 브리지부의 변형이 일어난다. D 단계에서, 제1, 2 로킹 요소가 제 위치에서 슬라이딩하며, 제3, 4 로킹 요소가 맞물린다. E 단계에서, 커플링이 완료된다. 도 10은 E 단계에서 커플링된 상태를 나타낸다. F 단계에서, 언커플링이 회전에 의해 시작되어(큰 화살표), 제2 커플링부의 브리지부의 변형을 야기한다(작은 화살표). G 단계에서, 커플링이 해제되는데, H 단계에서, 두 패널은 서로 자유로우며, 이는 도 9의 A 단계에 대응된다.
도 11a-11j는 커플링부에 대한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앞선 도면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커플링부는 길쭉한 패널의 짧은 측에 특히 적합하다. 이들 커플링부는 전형적으로 이러한 패널의 두 반대되는 측 또는 두 반대되는 짧은 측에 있다. 다른 측에서, 예컨대 이러한 패널의 두 반대되는 긴 측에서, 앵글링 다운 프로필(angling down profile)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1a-11j는 패널의 이들 반대되는 측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커플링부를 나타낸다. 이들 실시예 각각은 측향 그루브(sideward groove)(102)로 측향 텅(sideward tongue)(101)을 돌리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제 위치에서 각을 이룰 수 있다. 이들 실시예 각각에서 또한 갭(103)이 커플링된 상태에서 존재하는데, 이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축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측향 그루브(102)는 전형적으로 상부 립(104) 및 상부 립(104) 너머로 연장된 하부 립(105)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데, 상부 립(104)은 상향 숄더(106)가 제공되며, 이는 전형적으로 측향 텅(101) 아래 그루브와 협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루브(102)에 대한 입구는 각을 이루거나 챔퍼링된다(107). 커플링된 상태에서, 중간 공간(108)이 패널의 코어와 상향 숄더(106)의 외측 사이에서, 커플링 요소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1a, 11c, 11d, 11e에 나타난 바와 같은 실시예는 측향 텅의 둥근 바닥(109) 및 측향 그루브의 그에 대응되는 둥근 함몰부를 갖는데, 둥근 구조는 패널의 앵글링을 용이하게 한다. 도 11b, 11f, 11h, 11j의 실시예는 비교적 평평한 바닥(110)과 그에 대응되는 함몰부를 갖는데, 이는 제작하기에 용이하고 수직 로킹을 증가시킨다. 도 11a, 11f, 11j의 실시예는 이러한 앵글링 다운 프로필에서 베벨(111)의 사용을 나타낸다. 도 11g의 실시예는 앵글링 다운 프로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측향 그루브는 커플링된 상태에서 측향 그루브로 측향 텅을 강제하도록 허용하는 특정한 형상을 갖는다. 도 11i의 실시예는 측향 텅과 측향 그루브의 샌드위치 구조 또는 이중 구조를 나타낸다.
도 12, 13은 도 1, 2의 커플링부를 갖는 패널에 대한 변경을 나타낸다. 대응되는 특징은 동일한 참조 번호가 주어져 있다. 도 1, 2에서, 제3 로킹 요소(16)는 돌출부(16)의 형태로 하향 텅(11)의 외측에 제공되고, 제4 로킹 요소(9)는 함몰부(9)의 형태로 상향 플랭크(5)에 제공된다. 도 12, 13에서, 다른 내용이 주어져 있는데, 상향 플랭크(5)는 돌출부(16)의 형태의 제3 로킹 요소(16)가 제공되고, 하향 플랭크(12)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11)의 일측은 함몰부(9)의 형태의 제4 로킹 요소(9)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설명되고 나타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된 발명 컨셉은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개별적인 발명 컨셉은 설명된 예의 다른 세부 사항을 적용함 없이, 또는 적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특정한 응용에 이르기 위해 다양한 발명 컨셉이 (재)조합될 수 있다고 이해할 것이므로, 앞서 설명된 발명 컨셉의 모든 고려 가능한 조합의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는 없다.
"제1", "제2" 및 "제3"과 같이 본 출원서에 사용된 서수는 구별을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제3 로킹 요소"와 "제2 로킹 요소"라는 표현의 사용이 반드시 "제1 로킹 요소"의 동시 존재를 요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타일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상보적인" 커플링 프로필(또는 로킹 요소)은 이들 커플링 프로필(또는 로킹 요소)이 서로 협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이를 위해, 상보적인 커플링 프로필(또는 로킹 요소)이 반드시 상보적인 형태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수평", "수직", "경사"와 같은 표현은 마루와 같은 (실제의) 수평 지지 구조물에 배치되는 패널에 대한 상대적인 표현이다. 여기서, 패널에 의해 정의된 평면은 수평 평면이 된다. "수직 방향"의 로킹은 타일의 평면에 직각인 방향의 로킹을 의미한다. "수평 방향"의 로킹은 두 타일의 개개의 커플링된 에지에 직각이고, 타일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평행하거나 그와 일치하는 방향의 로킹을 의미한다. 본 출원서에서 "바닥 타일" 또는 "바닥 패널"이 언급될 경우, 이들 표현은 "타일", "벽 타일", "천장 타일", "커버링 타일"과 같은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서에 사용된 "~를 포함한다"는 동사 및 그 활용형은 "~를 포함한다"뿐만 아니라, "~를 갖는다", "실질적으로 ~로 구성된다", "~로 형성된다" 및 그 활용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2)

  1. 상측과 하측이 제공되며, 평면을 정의하는 중심에 배치된 코어 및
    코어의 반대되는 에지에 각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플링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커플링부를 포함하는 패널로서,
    제1 커플링부는 상향 텅, 상향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랭크 및 상향 텅과 상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상향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향 그루브는 이웃한 패널의 제2 커플링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제2 커플링부는 하향 텅, 하향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향 플랭크 및 하향 텅과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하향 그루브를 포함하고, 하향 그루브는 이웃한 패널의 제1 커플링부의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2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1 로킹 요소가 제공되고,
    하향 플랭크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1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2 로킹 요소가 제공되며,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4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3 로킹 요소가 제공되고,
    상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3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4 로킹 요소가 제공되며,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은 상향 플랭크로부터 먼 방향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고, 하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은 하향 플랭크로부터 먼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지며, 제3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 및/또는 제4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은 (ⅰ) 제1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L1)과 (ⅱ) 상향 텅의 최대 높이를 정의하는 수평선(LH)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제3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 및/또는 제4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은 (ⅰ) 제2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L1)과 (ⅱ) 상향 텅의 최대 높이를 정의하는 수평선(LH)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6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5 로킹 요소가 제공되고, 상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는 이웃한 바닥 패널의 외향 돌출부 또는 함몰부의 형태의 제5 로킹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함몰부 또는 외향 돌출부의 형태의 제6 로킹 요소가 제공되는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제3 로킹 요소와 제5 로킹 요소 중 한 로킹 요소는 돌출부로 형성되고, 제3 로킹 요소와 제5 로킹 요소 중 다른 로킹 요소는 함몰부로 형성되는 패널.
  5. 제3항에 있어서,
    제4 로킹 요소와 제6 로킹 요소 중 한 로킹 요소는 돌출부로 형성되고, 제4 로킹 요소와 제6 로킹 요소 중 다른 로킹 요소는 함몰부로 형성되는 패널.
  6. 제3항에 있어서,
    제3 로킹 요소와 제5 로킹 요소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및/또는 제4 로킹 요소와 제6 로킹 요소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패널.
  7. 제3항에 있어서,
    제5 로킹 요소의 중심선과 제6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제3 로킹 요소의 중심선 위에 배치되는 패널.
  8. 제3항에 있어서,
    제5 로킹 요소의 중심선 및/또는 제6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ⅰ) 제1 로킹 요소의 수평 중심선(L1)과 (ⅱ) 상향 텅의 최대 높이를 정의하는 수평선(LH)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과 상향 텅의 상측 사이의 트랜지션은 볼록한 꼭짓점을 정의하고, 제4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상기 볼록한 꼭짓점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볼록한 꼭짓점을 형성하는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부분과 상향 텅의 상측의 부분은 평평한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하향 플랭크와 하향 그루브의 상측 사이의 트랜지션은 오목한 꼭짓점을 정의하고, 제3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상기 오목한 꼭짓점의 중심선과 상기 제2 로킹 요소의 중심선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하향 플랭크와 하향 그루브의 상측 사이의 트랜지션은 오목한 꼭짓점을 정의하고, 제3 로킹 요소의 중심선은 상기 오목한 꼭짓점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패널.
  13. 제1항에 있어서,
    상향 텅의 상측은 상향 플랭크로부터 먼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지는 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하향 그루브의 상측은 하향 플랭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지는 패널.
  15. 제1항에 있어서,
    상향 텅의 모든 상측은 평평한 패널.
  16. 제1항에 있어서,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은 두 수직 측부를 포함하고, 제1 로킹 요소는 상기 수직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17. 제1항에 있어서,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상향 플랭크를 향해 각을 이루고, 하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패널.
  18. 제1항에 있어서,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각을 이루고, 하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패널.
  19. 제1항에 있어서,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상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을 이루거나 경사지고, 제3 및/또는 제4 로킹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을 이루거나 경사진 부분에 배치되는 패널.
  20. 제1항에 있어서,
    상향 플랭크의 상부 및/또는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상부는 경사부가 제공되고, 제3, 4 로킹 요소는 경사부의 가장 낮은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패널.
  21. 제1항에 있어서,
    제3 로킹 요소는 하향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하향 텅의 일측의 상부에 비해 내측에 배치되는 패널.
  22. 제1항에 있어서,
    제3 로킹 요소는 외향 돌출부이고, 제4 로킹 요소는 함몰부이며, 외향 돌출부는 단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인 패널.
  23. 제1항에 있어서,
    패널의 코어와 하향 텅 사이에서 코어에 하향 텅을 연결하는 브리지부가 존재하고, 브리지부는 코어와 하향 텅 사이에서 변하는 두께를 갖는 패널.
  24. 제1항에 있어서,
    제3, 4 로킹 요소는 제1, 2 로킹 요소의 높이에 비해 높은 높이에 배열되는 패널.
  25. 제1항에 있어서,
    제3, 4 로킹 요소는 상향 텅의 가장 높은 지점에 비해 낮은 높이에 배열되는 패널.
  26. 제1항에 있어서,
    제3, 4 로킹 요소는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상향 텅의 가장 높은 지점과 제1, 2 로킹 요소의 높이 사이에 배열되는 패널.
  27. 제1항에 있어서,
    제3, 4 로킹 요소는 수직 로킹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되는 및/또는 제1, 2 로킹 요소는 수직 로킹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되는 패널.
  28. 제23항에 있어서,
    제2 커플링부의 브리지부는 커플링 동안 적어도 일시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패널.
  29.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된 상태에서, 갭이 상향 텅의 상측과 하향 그루브의 상측 사이에 존재하고, 갭은 상향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상향 텅의 일측으로부터 하향 플랭크로 갈수록 넓어지는 패널.
  30. 제23항에 있어서,
    제2 커플링부의 브리지부의 최소 두께는 패널의 전체 두께의 절반 미만인 패널.
  31. 제1항에 있어서,
    제1 커플링 요소 아래에서, 바닥에 설치될 때, 패널이 배치된 바닥과 상향 텅 사이에 갭이 생기도록, 공간이 존재하는 패널.
  32. 복수의 상호 연결된 제1항에 따른 패널을 포함하는 커버링.
KR1020207020520A 2018-01-09 2019-01-09 패널 KR102541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0256 2018-01-09
NL2020256A NL2020256B1 (en) 2018-01-09 2018-01-09 Panel
PCT/EP2019/050459 WO2019137964A1 (en) 2018-01-09 2019-01-09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977A KR20200107977A (ko) 2020-09-16
KR102541894B1 true KR102541894B1 (ko) 2023-06-12

Family

ID=6162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520A KR102541894B1 (ko) 2018-01-09 2019-01-09 패널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11377856B2 (ko)
EP (2) EP4043663B8 (ko)
JP (1) JP7350774B2 (ko)
KR (1) KR102541894B1 (ko)
CN (1) CN111566293B (ko)
AU (1) AU2019207683A1 (ko)
BR (1) BR112020013952A2 (ko)
CA (1) CA3087641A1 (ko)
CL (1) CL2020001792A1 (ko)
EA (1) EA038612B1 (ko)
ES (1) ES2911808T3 (ko)
HR (1) HRP20220494T1 (ko)
HU (1) HUE063540T2 (ko)
MA (1) MA51561A (ko)
NL (1) NL2020256B1 (ko)
PL (2) PL3737804T3 (ko)
UA (1) UA125984C2 (ko)
WO (1) WO2019137964A1 (ko)
ZA (1) ZA2020037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4090B1 (en) 2010-01-11 2022-04-13 Välinge Innovation AB Surface covering with interlocking design
NL2020256B1 (en) * 2018-01-09 2019-07-15 Innovations4Flooring Holding N V Panel
NL2021884B1 (en) * 2018-10-26 2020-05-13 I4F Licensing Nv Panel, in particular a floor panel or wall panel
NL2021886B1 (en) * 2018-10-26 2020-05-13 I4F Licensing Nv Panel, in particular a floor panel or wall panel, and panel covering
EP3918148B1 (en) * 2019-01-30 2023-08-16 I4F Licensing Nv Panel and covering comprising the same
EP3798386A1 (en) * 2019-09-24 2021-03-31 Välinge Innovation AB Set of panels with mechanically locking edges
NL2024191B1 (en) * 2019-11-08 2021-07-20 I4F Licensing Nv Panel, in particular a floor panel or a wall panel
NL2024193B1 (en) * 2019-11-08 2021-07-20 I4F Licensing Nv Decorative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eiling or wall covering by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said panels with each other, and decorative covering of such interconnected panels
NL2024192B1 (en) * 2019-11-08 2021-07-28 I4F Licensing Nv Decorative panel, and decorative floor covering consisting of said panels
EP4069917A1 (en) 2019-12-03 2022-10-12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SE544438C2 (en) * 2019-12-13 2022-05-31 Vilox Ab Releasable joining system for floor panels, a floor panel, a floor system, a method for laying and a method for releasing a floor panel
CN115698449A (zh) * 2020-06-12 2023-02-03 瓦林格创新股份有限公司 包括基于矿物的层的建筑镶板
NL2026191B1 (en) * 2020-07-31 2022-04-04 I4F Licensing Nv Panel and covering
MX2023001166A (es) 2020-07-31 2023-02-22 I4F Licensing Nv Panel y revestimiento.
NL2026190B1 (en) * 2020-07-31 2022-04-04 I4F Licensing Nv Panel and covering
US20230304300A1 (en) * 2020-07-31 2023-09-28 I4F Licensing Nv Panel and Covering
EP3971364A1 (de) * 2020-09-17 2022-03-23 Surface Technologies GmbH & Co. KG Paneel
NL2026581B1 (en) * 2020-09-30 2022-06-01 I4F Licensing Nv Panel, cove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panel
NL2026858B1 (en) * 2020-11-09 2022-06-27 I4F Licensing Nv Decorative panel, and covering of such decorative panels
CN113833228B (zh) * 2021-09-29 2023-03-10 中山市大自然格瑞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地板锁扣及地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962A2 (en) 2009-06-12 2010-12-16 4Sight Innovation B.V. Floor panel and floor coverin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uch floor panels
WO2016029255A1 (en) 2014-08-29 2016-03-03 Kell Richard William Vertical joint system for a surface covering panel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546600A (en) 1999-06-30 2001-01-22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Panel and fastening system for panels
EP1420125B1 (de) * 2002-11-15 2008-05-14 Flooring Technologies Ltd. Einrichtung bestehend aus zwei miteinander verbindbaren Bauplatten und einem Einsatz zum Verriegeln dieser Bauplatten
KR100566083B1 (ko) * 2003-08-07 2006-03-30 주식회사 한솔홈데코 조립식 바닥재
DE102005059540A1 (de) * 2005-08-19 2007-06-14 Bauer, Jörg R. Lösbar aneinander zu befestigende, flächige Bauteile, sowie Bauteil
CN101845879B (zh) * 2006-04-14 2014-04-09 深圳市燕加隆实业发展有限公司 地板块、地板系统及铺设地板系统的方法
US8281549B2 (en) * 2006-04-14 2012-10-09 Yekalon Industry, Inc. Floor panel, flooring system and method for laying flooring system
BE1017403A5 (nl) * 2006-12-21 2008-08-05 Flooring Ind Ltd Vloerelement, vergrendelingsysteem voor vloerelementen, vloerbekleding en werkwijze voor het samenstellen van dergelijke vloerelementen tot een vloerbekleding.
DE102011086846A1 (de) * 2011-01-28 2012-08-02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Paneel
EP4050180A1 (en) * 2011-03-18 2022-08-31 Välinge Innovation AB Vertical joint system and associated surface covering system
US8806832B2 (en) * 2011-03-18 2014-08-19 Inotec Global Limited Vertical joint system and associated surface covering system
US9771721B2 (en) * 2012-02-07 2017-09-26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floor covering formed from such floor pane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floor panels
EP3725973B1 (en) * 2014-02-26 2023-01-18 I4F Licensing Nv Panel interconnectable with similar panels for forming a covering
FR3024990B1 (fr) * 2014-08-25 2018-11-16 Gerflor Panneau de sol pour la realisation d'un revetement.
RS56653B1 (sr) * 2014-12-08 2018-03-30 Innovations4Flooring Holding N V Panel sa zakačnim zabravnim sistemom
BE1023545B1 (nl) * 2015-10-23 2017-04-28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Set van vloerpanelen voor het vormen van een vloerbekleding
US10648182B2 (en) * 2015-12-31 2020-05-12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NL2018970B1 (en) * 2017-05-23 2018-12-04 Innovations 4 Flooring Holding Nv Multi-purpose tile system
NL2020256B1 (en) * 2018-01-09 2019-07-15 Innovations4Flooring Holding N V Panel
NL2021886B1 (en) * 2018-10-26 2020-05-13 I4F Licensing Nv Panel, in particular a floor panel or wall panel, and panel covering
NL2021885B1 (en) * 2018-10-26 2020-05-13 I4F Licensing Nv Multi-purpose tile system, tile covering, and tile
NL2021884B1 (en) * 2018-10-26 2020-05-13 I4F Licensing Nv Panel, in particular a floor panel or wall panel
NL2022114B1 (en) * 2018-12-03 2020-06-30 I4F Licensing Nv Decorative panel, and decorative floor covering consisting of said panels
NL2024630B1 (en) * 2020-01-09 2021-09-07 I4F Licensing Nv Glue-down decorative floor covering system
WO2021245261A1 (en) * 2020-06-04 2021-12-09 I4F Licensing Nv Decorative panel, and decorative floor covering consisting of said panels
CN115698450A (zh) * 2020-06-12 2023-02-03 瓦林格创新股份有限公司 包括基于矿物的层的建筑镶板
MX2023001166A (es) * 2020-07-31 2023-02-22 I4F Licensing Nv Panel y revestimient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962A2 (en) 2009-06-12 2010-12-16 4Sight Innovation B.V. Floor panel and floor coverin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uch floor panels
WO2016029255A1 (en) 2014-08-29 2016-03-03 Kell Richard William Vertical joint system for a surface covering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45942A2 (en) 2023-09-20
JP2021509704A (ja) 2021-04-01
EP4043663B8 (en) 2023-08-23
CL2020001792A1 (es) 2020-09-21
CN111566293A (zh) 2020-08-21
EP3737804B1 (en) 2022-03-30
EP4043663A1 (en) 2022-08-17
JP7350774B2 (ja) 2023-09-26
CA3087641A1 (en) 2019-07-18
BR112020013952A2 (pt) 2020-12-01
WO2019137964A1 (en) 2019-07-18
HRP20220494T1 (hr) 2022-05-27
EA202091649A1 (ru) 2020-11-30
EP3737804A1 (en) 2020-11-18
ZA202003707B (en) 2022-10-26
KR20200107977A (ko) 2020-09-16
CN111566293B (zh) 2022-02-08
MA51561A (fr) 2021-06-02
NL2020256B1 (en) 2019-07-15
ES2911808T3 (es) 2022-05-20
PL4043663T3 (pl) 2024-02-05
HUE063540T2 (hu) 2024-01-28
EP4043663B1 (en) 2023-07-12
PL3737804T3 (pl) 2022-06-06
UA125984C2 (uk) 2022-07-20
US20230142257A1 (en) 2023-05-11
EA038612B1 (ru) 2021-09-22
US20210002907A1 (en) 2021-01-07
US11377856B2 (en) 2022-07-05
AU2019207683A1 (en)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894B1 (ko) 패널
US10267046B2 (en) Panel interconnectable with similar panels for forming a covering
US6385936B1 (en) Floor tile
EP3623544B1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KR102535444B1 (ko) 플로어 커버링을 형성하기 위한 플로어 패널
US11441319B2 (en) Panel and covering
US20240117641A1 (en) Panel for producing a free-lying floor covering
CN113994057B (zh) 地板镶板和具有所述镶板的地板覆盖物
WO2019137965A1 (en) Panel, in particular a floor panel or wall panel
NZ758601B2 (en) Panel and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