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826B1 -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826B1
KR102541826B1 KR1020220093187A KR20220093187A KR102541826B1 KR 102541826 B1 KR102541826 B1 KR 102541826B1 KR 1020220093187 A KR1020220093187 A KR 1020220093187A KR 20220093187 A KR20220093187 A KR 20220093187A KR 102541826 B1 KR102541826 B1 KR 10254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erforated pipe
protective layer
asphalt
arrangemen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1020220093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826B1/ko
Priority to KR1020230071267A priority patent/KR102629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으로서, 보호층 위에 접착력이 있는 영역을 형성하여 별도의 부착시공 없이 유공관을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에도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Method For Constructing Waterproofing Layer Improved Workability Of Perforated Tube}
본 발명은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으로서, 보호층 위에 접착력이 있는 영역을 형성하여 별도의 부착시공 없이 유공관을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에도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위에는 교량의 공용연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교면방수층이 시공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교면방수층은 방수층 위에 상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이 배치되는 형태를 포함한다. 교량의 측면 배수구 쪽에는 교면방수층 시공 후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유공관이 시공되고 있다.
유공관 시공은 방수층 위에 올려놓은 후 접착 테이프로 고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시공의 편의성을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방수층 끝단의 일부에 보호층을 설치하지 않고 유공관을 시공하여 방수층의 방수재 접착력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시공 후 유공관을 도막방수재로부터 떼어내기가 쉽지 않아 위치수정이 어렵고, 도막방수재가 유공관 내부로 들어갈 수 있어 배수되는 물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방수층 끝단은 보호층에 의하여 보호되지 않아 아스콘 포설 시 방수층이 손상될 수 있어, 교면방수층의 내구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층을 방수층 끝단까지 시공한 경우에는 유공관 시공 시 별도의 접착테이프를 사용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층 위에 접착력이 있는 영역을 형성하여 별도의 부착시공 없이 유공관을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에도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으로서, 콘크리트 상판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아스팔트, 개질재, 점도조정제, 점착부여제, 및 필러를 포함하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막방수재층 위에 보호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 위에 상기 유공관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및 상기 유공관 위에 아스콘을 포설하여 아스팔트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 유공관배치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유공관배치영역은 상면에 상기 도막방수재보다 낮은 접착력을 갖고, 고무아스팔트,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공관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하여 상기 보호층의 상면에 부착되고, 필요시 부착된 위치의 재조정이 가능한, 교면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층은, 아스팔트에 의하여 1차 함침될 수 있고, 상기 유공관배치영역에 해당하는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 아스팔트에 의하여 2차 함침되어 형성된 제2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착층의 상면에 고무아스팔트,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층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된 상기 도막방수재층의 도막방수재의 일부가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통해 인입되어 형성된 제3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접착층의 상면에 고무아스팔트,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막방수재층 위에 보호층을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폭방향으로 복수의 보호층을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보호층 중 어느 하나인 제1보호층에 형성된 제1유공관배치영역의 상면에, 상기 제1보호층과 폭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보호층 중 어느 하나인 제2보호층의 일측테두리부를 상기 제1유공관배치영역에 형성된 제1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하여 부착시켜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보호층을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보호층 중 어느 하나인 제3보호층에 형성된 제3유공관배치영역의 상면의 일부에, 상기 제3보호층과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보호층 중 어느 하나인 제4보호층의 일측테두리부의 일부를 상기 제3유공관배치영역에 형성된 제1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하여 부착시켜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공관배치영역은 상기 보호층의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서 두께방향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유공관시공홈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관시공홈은 상기 보호층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에 고무아스팔트,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공관시공홈은 0.1 내지 0.3 mm의 깊이를 가지고, 5 내지 15 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 상면 일부에 유공관배치영역이 형성되어 있어, 보호층 위에 유공관을 부착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공관배치영역의 상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부착시공 없이도 유공관을 시공할 수 있어 시공 작업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공관배치영역에 형성된 접착층은 도막방수재보다 낮은 접착력을 가짐으로써, 유공관을 시공한 이후에도 유공관의 위치를 용이하게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 위에 유공관이 시공됨에 따라 도막방수재가 유공관으로 인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배수 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은 도막방수재층 위에 전체적으로 시공될 수 있어 도막방수재층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방수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은 유공관배치영역에 2층 구조의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유공관의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보호층 배치 시 서로 인접하는 보호층을 서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시공함으로써, 보호층의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공관시공홈에 의하여 상면에 배치되는 유공관의 움직임을 제한함과 동시에 부착시킴에 따라 작업자가 유공관을 보다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 종래 기술에 따른 교면방수공법에 의해 시공된 교면방수층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방수공법의 시공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방수공법에 의해 시공된 교면방수층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착층이 형성된 보호층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착층 및 제2접착층이 형성된 보호층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A-A'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착층 및 제3접착층이 형성된 보호층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B-B'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호층을 배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면방수공법에 의해 시공된 교면방수층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종래에는 유공관을 방수층 위에 올려놓은 후 접착 테이프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유공관을 따라 접착테이프를 사용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시공의 편의성을 위해서 방수층 끝단의 일부에 보호층을 설치하지 않고 방수층의 방수재 접착력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유공관 시공 후 유공관을 방수재로부터 떼어내기가 쉽지 않아 위치수정이 어렵고, 방수재가 유공관 내부로 들어갈 수 있어 배수되는 물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방수층 끝단은 보호층에 의하여 보호되지 않아 아스콘 포설 시 방수층이 손상될 수 있어, 교면방수층의 내구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부 영역에 접착층이 형성된 보호층(30) 위에 유공관(40)을 시공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교면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콘크리트 상판(C) 위에 프라이머층(10), 도막방수재층(20), 보호층(30), 및 아스팔트포장층(A)을 차례로 형성하며, 보호층(30) 상면 일부에 도막방수재층(20)의 도막방수재 대비 낮은 접착력을 가지는 유공관배치영역(31)을 형성하여 유공관(40)을 시공하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이러한 보호층(30)의 특징에 의하여, 유공관(40)을 시공한 이후에도 위치 재수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30) 위에 유공관(40)이 설치되는 구조에 의하여, 유공관(40) 내부로 도막방수재층(20)의 도막방수재가 인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배수되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도막방수재층(20)이 전체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보호층(30) 위에 접착력이 있는 영역을 형성하여 별도의 부착시공 없이 유공관(40)을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에도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교면방수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방수공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방수공법의 시공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성 및 시공정확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으로서, 콘크리트 상판(C)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10) 위에 아스팔트, 개질재, 점도조정제, 점착부여제, 및 필러를 포함하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막방수재층(20) 위에 보호층(30)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30) 위에 유공관(40)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30) 및 상기 유공관(40) 위에 아스콘을 포설하여 아스팔트포장층(A)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콘크리트 상판(C) 위에 프라이머층(10)을 형성하는 단계(S110)는, 콘크리트 상판(C)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0)을 형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상기 프라이머층(10)은 도막방수재층(20)과 콘크리트 상판(C)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콘크리트 상판(C) 위에 프라이머층(10)을 형성하는 단계(S110)는 콘크리트 상판(C) 위에 상기 교면방수층(1)을 시공하기 위해 선행되는 전처리 작업 단계에 해당한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20)을 형성하는 단계(S120)는 상기 프라이머층(10) 위에 아스팔트, 개질재, 점도조정제, 점착부여제, 및 필러를 포함하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20)을 형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상기 도막방수재층(20)은 상기 콘크리트 상판(C)으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형성된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은, 상기 도막방수재를 이루는 조성물에 의하여 방수기능을 구현하여 방수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막방수재층(20)은 상기 도막방수재를 이루는 조성물에 의하여 비교적 높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도막방수재층(20) 위에 보호층(30)을 형성하는 단계(S130)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 위에 유공관배치영역(31)이 형성된 보호층(30)을 배치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상기 보호층(30)은 상기 도막방수재층(20)을 전체적으로 덮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호층(30)은 종래와는 다르게 취약부인 도막방수재층(20)의 끝단까지도 모두 보호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방수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고, 상측에서 포설되는 아스콘이 상기 도막방수재층(2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층(30)은 도막방수재층(20) 위에 전체적으로 시공될 수 있어 도막방수재층(20)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방수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층(30)은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 유공관배치영역(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은 보호층(30) 위에 유공관(4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종래에서 유공관(40)이 시공되는 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층(30) 상면 일부에 접착층이 형성된 유공관배치영역(31)이 형성되어 있어, 보호층(30) 위에 유공관(40)을 부착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은 상면에 상기 도막방수재보다 낮은 접착력을 갖고, 고무아스팔트,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접착층(32)은 상측에서 시공되는 유공관(40)을 실질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접착력을 가지는 구성으로,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접착층(32)은 도막방수재보다 낮은 접착력을 가지고 있으며, 상면에 배치되는 유공관(40)을 접착시키기에 충분하면서도, 다시 떼어내기에도 용이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1접착층(32)은 도막방수재층(20)을 이루는 도막방수재보다 현저하게 낮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공관배치영역(31)에 형성된 접착층은 도막방수재보다 낮은 접착력을 가짐으로써, 유공관(40)을 시공한 이후에도 유공관(40)의 위치를 용이하게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공관배치영역(31)의 상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부착시공 없이도 유공관(40)을 시공할 수 있어 시공 작업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보호층(30) 위에 유공관(40)을 배치하는 단계(S140)는 상기 보호층(30)의 상면에 형성된 유공관배치영역(31)에 유공관(40)을 배치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공관(40)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하여 상기 보호층(30)의 상면에 부착되고, 필요시 부착된 위치의 재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유공관(40)은 교량 상면 위에 방수시공을 한 이후에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복수의 유공관관통홀이 형성된 관의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공관(40)은 원형관, 사각관 등 다양한 형태의 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원형관을 포함하는 유공관(40)을 예시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공관(40)은 종래와는 다르게 보호층(30)의 상면에 형성된 유공관배치영역(3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막방수재보다 현저하게 낮은 두께로 형성되어 도막방수재보다 낮은 접착력을 갖는 제1접착층(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유공관(40)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에 배치되더라도 내부에 제1접착층(32)이 인입되지 않아, 복수의 유공관관통홀이 막히지 않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층(30) 위에 유공관(40)이 시공됨에 따라 도막방수재가 유공관(40)으로 인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배수 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공관(40)은 필요 시 부착된 위치의 재조정이 가능하며, 위치 재조정 시에는 작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떼어내 질 수 있고 다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교면방수공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30) 및 상기 유공관(40) 위에 아스콘을 포설하여 아스팔트포장층(A)을 형성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방수공법에 의하여, 콘크리트 상판(C) 위에 프라이머층(10), 도막방수재층(20), 보호층(30), 유공관(40), 및 아스팔트포장층(A)을 포함하는 교면방수층(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방수공법에 의해 시공된 교면방수층(1)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면방수층(1)은 콘크리트 상판(C) 위에 프라이머층(10)이 배치되고, 상기 프라이머층(10) 위에 도막방수재층(20)이 배치되고, 상기 도막방수재층(20) 위에 보호층(30)이 배치되고, 상기 보호층(30) 위에 유공관(40)이 배치되고, 상기 보호층(30) 및 상기 유공관(40) 위에 아스팔트포장층(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교면방수층을 형성함에 따라, 본 발명의 교면방수공법은 보호층 위에 유공관을 부착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고 별도의 부착시공 없이도 유공관을 시공할 수 있어 시공 작업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배수 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시공 시 도막방수재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3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층(30)은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 유공관배치영역(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에 유공관배치영역(31)이 형성된 보호층(3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4(b)는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에 유공관배치영역(31)이 형성된 보호층(3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4(c)는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에 유공관배치영역(31)이 형성된 보호층(3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와 같이 보호층(30) 상면 일부에 유공관배치영역(31)이 형성되어 있어, 보호층(30) 위에 유공관(40)을 부착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착층(32)이 형성된 보호층(3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은 상면에 상기 도막방수재보다 낮은 접착력을 갖고, 고무아스팔트(33),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에 형성된 유공관배치영역(31)에 제1접착층(32)이 형성된 보호층(3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보호층(30)을 이용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상기 제1접착층(32)의 상측에 유공관(40)을 위치시켜 부착함으로써 시공할 수 있고, 상기 보호층(30)을 이용하여 시공된 교면방수층(1)은 좌측으로 물을 배수할 수 있다.
도 5(b)는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에 형성된 유공관배치영역(31)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에 형성된 유공관배치영역(31) 각각에 제1접착층(32)이 형성된 보호층(3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보호층(30)을 이용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상기 제1접착층(32) 각각의 상측에 유공관(40)을 위치시켜 부착함으로써 시공할 수 있고, 상기 보호층(30)을 이용하여 시공된 교면방수층(1)은 좌측 및 우측으로 물을 배수할 수 있다.
도 5(c)는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에 형성된 유공관배치영역(31)에 제1접착층(32)이 형성된 보호층(3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보호층(30)을 이용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상기 제1접착층(32)의 상측에 유공관(40)을 위치시켜 부착함으로써 시공할 수 있고, 상기 보호층(30)을 이용하여 시공된 교면방수층(1)은 우측으로 물을 배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공관배치영역(31)의 상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부착시공 없이도 유공관(40)을 시공할 수 있어 시공 작업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착층(32) 및 제2접착층(34)이 형성된 보호층(3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7은 도 6의 A-A'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층(30)은, 아스팔트(33)에 의하여 1차 함침될 수 있고,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에 해당하는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 아스팔트(33)에 의하여 2차 함침되어 형성된 제2접착층(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착층(34)의 상면에 고무아스팔트(33),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7(a)는 아스팔트(33)에 의하여 1차 함침된 보호층(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보호층(30)은 아스팔트(33)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함침될 수 있으며, 상기 아스팔트(33)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접착력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스팔트(33)에 의하여 1차 함침된 보호층(30)의 접착력은 하측에 배치되는 도막방수재층(20) 및 상측에 배치되는 아스팔트포장층(A) 사이의 전단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 및 도 7(b)는 유공관배치영역(31)에 아스팔트(33)에 의하여 2차 함침되어 형성된 제2접착층(34)을 포함하는 보호층(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때 상기 보호층(30)은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에 유공관배치영역(31)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층(30)에 해당한다.
상기 보호층(30)은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아스팔트(33)에 의하여 1차로 함침된 보호층(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호층(30)은 실시예에 따라 아스팔트(33)에 의하여 1차로 함침된 이후에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에 아스팔트(33)에 의하여 2차로 함침된 상기 제2접착층(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층(34)은 상면에 형성되는 제1접착층(32)의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제1접착층(32)의 상면에 시공되는 유공관(40)을 부착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7(a)에서 보호층(30)을 함침한 아스팔트(33)와 도 6(b) 및 도 7(b)에서 상기 보호층(30)의 유공관배치영역(31)을 함침한 아스팔트(33)는 서로 상응하나, 실시예에 따라 일부 성분이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6(c) 및 도 7(c)는 유공관배치영역(31)에 제1접착층(32)이 형성된 보호층(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보호층(30)은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제2접착층(34)이 형성된 보호층(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호층(30)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에 상기 제2접착층(34)이 형성된 이후에, 상기 제2접착층(34)의 상면에 제1접착층(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공관배치영역(31)에 제1접착층(32)이 단독으로 형성된 보호층(30) 대비 유공관배치영역(31)에 제1접착층(32) 및 제2접착층(34)이 함께 형성된 보호층(30)은 보다 향상된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제1접착층(32) 및 제2접착층(34)에 의한 접착력은 도막방수재의 접착력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층(30)은 유공관배치영역(31)에 2층 구조의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유공관(40)의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층(30)은 유공관배치영역(31)에 형성된 제2접착층(34)만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유공관(40)을 상기 제2접착층(34)이 형성된 유공관배치영역(31)에 부착하여 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착층(32) 및 제3접착층(35)이 형성된 보호층(3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9는 도 8의 B-B'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층(30)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에 복수의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된 상기 도막방수재층(20)의 도막방수재의 일부가 상기 복수의 관통홀(31.1)을 통해 인입되어 형성된 제3접착층(35)을 포함하고, 상기 제3접착층(35)의 상면에 고무아스팔트(33),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9(a)는 유공관배치영역(31)에 복수의 관통홀(31.1)이 형성된 보호층(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때 상기 보호층(30)은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에 유공관배치영역(31)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층(30)에 해당한다.
상기 보호층(30)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 전반에 걸쳐서 복수의 관통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31.1) 각각은 서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하측에 배치되는 도막방수재층(20)의 도막방수재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 및 도 9(b)는 하측에 배치된 도막방수재층(20)의 도막방수재의 일부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의 복수의 관통홀(31.1)을 통해 인입되어 형성된 제3접착층(35)을 포함하는 보호층(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즉 상기 보호층(30)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에 복수의 관통홀(31.1)이 형성되는 경우에, 하측에 배치되는 도막방수재의 일부가 상기 복수의 관통홀(31.1)을 통해 인입되어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의 상면에 제3접착층(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착층(35)은 도막방수재의 일부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상면에 형성되는 제1접착층(32)의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c) 및 도 9(c)는 유공관배치영역(31)에 제1접착층(32)이 형성된 보호층(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즉 상기 보호층(30)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에 상기 제3접착층(35)이 형성된 이후에, 상기 제3접착층(35)의 상면에 제1접착층(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보호층(30)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에 도막방수재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3접착층(35)이 단독으로 형성되지 않아, 상기 보호층(30)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 유공관(40)의 위치를 용이하게 재조정할 수 있다.
또한 유공관배치영역(31)에 제1접착층(32)이 단독으로 형성된 보호층(30) 대비 유공관배치영역(31)에 제1접착층(32) 및 제3접착층(35)이 함께 형성된 보호층(30)은 보다 향상된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제1접착층(32) 및 제3접착층(35)에 의한 접착력은 도막방수재의 접착력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층(30)은 유공관배치영역(31)에 2층 구조의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유공관(40)의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층(30)은 유공관배치영역(31)에 형성된 제3접착층(35)만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유공관(40)을 상기 제3접착층(35)이 형성된 유공관배치영역(31)에 부착하여 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호층(30)을 배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a)는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각각에 형성된 제1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을 포함하는 제1보호층(30.1)과,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각각에 형성된 제2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을 포함하는 제2보호층(30.2)이 서로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실시예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a)에서와 같이 상기 제1보호층(30.1)과 상기 제2보호층(30.2)이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보호층(30.1)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의 상면 위에, 상기 제2보호층(30.2)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의 하면을 배치하여, 상기 제1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에 형성된 제1접착층(32.1)이 상기 제2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의 하면을 부착시키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에 형성된 제1접착층(32.1)의 접착력에 의하여, 상기 제1보호층(30.1)과 상기 제2보호층(30.2) 사이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보호층(30.2)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의 상면 위에, 상기 제1보호층(30.1)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의 하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에 형성된 제1접착층(32.2)의 접착력에 의하여, 상기 제1보호층(30.1)과 상기 제2보호층(30.2) 사이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막방수재층(20) 위에 보호층(30)을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폭방향으로 복수의 보호층(30)을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보호층(30) 중 어느 하나인 제1보호층(30.1)에 형성된 제1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의 상면에, 상기 제1보호층(30.1)과 폭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보호층(30) 중 어느 하나인 제2보호층(30.2)의 일측테두리부를 상기 제1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에 형성된 제1접착층(32)의 접착력에 의하여 부착시켜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10(b)는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각각에 형성된 제3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을 포함하는 제3보호층(30.3)과,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각각에 형성된 제4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을 포함하는 제4보호층(30.4)이 서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실시예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b)에서와 같이 상기 제3보호층(30.3)과 상기 제4보호층(30.4)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3보호층(30.3)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3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의 상면 일부 위에, 상기 제4보호층(30.4)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4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의 하면 일부를 배치하여, 상기 제3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에 형성된 제1접착층(32.3) 일부가 상기 제4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의 하면 일부를 부착시키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에 형성된 제1접착층(32.3)의 접착력에 의하여, 상기 제3보호층(30.3)과 상기 제4보호층(30.4) 사이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4보호층(30.4)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4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의 상면 위에, 상기 제3보호층(30.3)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3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의 하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에 형성된 제1접착층(32.4)의 접착력에 의하여, 상기 제3보호층(30.3)과 상기 제4보호층(30.4) 사이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막방수재층(20) 위에 보호층(30)을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보호층(30)을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보호층(30) 중 어느 하나인 제3보호층(30.3)에 형성된 제3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의 상면의 일부에, 상기 제3보호층(30.3)과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보호층(30) 중 어느 하나인 제4보호층(30.4)의 일측테두리부의 일부를 상기 제3유공관배치영역(미도시)에 형성된 제1접착층(32)의 접착력에 의하여 부착시켜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보호층(30) 배치 시 서로 인접하는 보호층(30)을 서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시공함으로써, 보호층(30)의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3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은 상기 보호층(30)의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서 두께방향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유공관시공홈(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공관시공홈(31.2)은 상면에 시공되는 유공관(4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공관배치영역(31)에서 두께방향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공관시공홈(31.2)은 상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공관시공홈(31.2)은 상기 유공관시공홈(31.2)은 상기 보호층(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에 고무아스팔트(33),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보호층(30)은 상기 유공관시공홈(31.2)에 의하여 상면에 배치되는 유공관(40)의 움직임을 제한함과 동시에 부착시킴에 따라 작업자가 유공관(40)을 보다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공관시공홈(31.2)은 상면에 시공된 유공관(40)으로부터 인입되는 침투수를 오목하게 형성된 홈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공관(40)은 내부공간에 침투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유공관관통홀을 통해 상기 침투수를 하측에 배치된 상기 유공관시공홈(31.2) 측으로 주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공관시공홈(31.2)은 상기 침투수를 오목하게 형성된 홈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배수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공관시공홈(31.2)은 0.1 내지 0.3 mm의 깊이를 가지고, 5 내지 15 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공관시공홈(31.2)의 깊이 및 폭은 상기 유공관시공홈(31.2)의 상면에 배치되어 시공되는 유공관(40)에 상응하는 깊이 및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 상면 일부에 유공관배치영역이 형성되어 있어, 보호층 위에 유공관을 부착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공관배치영역의 상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부착시공 없이도 유공관을 시공할 수 있어 시공 작업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공관배치영역에 형성된 접착층은 도막방수재보다 낮은 접착력을 가짐으로써, 유공관을 시공한 이후에도 유공관의 위치를 용이하게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 위에 유공관이 시공됨에 따라 도막방수재가 유공관으로 인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배수 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은 도막방수재층 위에 전체적으로 시공될 수 있어 도막방수재층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방수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은 유공관배치영역에 2층 구조의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유공관의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보호층 배치 시 서로 인접하는 보호층을 서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시공함으로써, 보호층의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공관시공홈에 의하여 상면에 배치되는 유공관의 움직임을 제한함과 동시에 부착시킴에 따라 작업자가 유공관을 보다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교면방수층 C: 콘크리트 상판
10: 프라이머층 20: 도막방수재층
30: 보호층 30.1: 제1보호층
30.2: 제2보호층 30.3: 제3보호층
30.4: 제4보호층 31: 유공관배치영역
31.1: 관통홀 31.2: 유공관시공홈
32: 제1접착층
32.1: 제1유공관배치영역에 형성된 제1접착층
32.2: 제2유공관배치영역에 형성된 제1접착층
32.3: 제3유공관배치영역에 형성된 제1접착층
32.4: 제4유공관배치영역에 형성된 제1접착층
33: 아스팔트 34: 제2접착층
35: 제3접착층
40: 유공관 A: 아스팔트포장층

Claims (6)

  1. 삭제
  2.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으로서,
    콘크리트 상판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아스팔트, 개질재, 점도조정제, 점착부여제, 및 필러를 포함하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막방수재층 위에 보호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 위에 상기 유공관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및 상기 유공관 위에 아스콘을 포설하여 아스팔트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 유공관배치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유공관배치영역은 상면에 상기 도막방수재보다 낮은 접착력을 갖고, 고무아스팔트,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공관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하여 상기 보호층의 상면에 부착되고, 필요시 부착된 위치의 재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보호층은,
    아스팔트에 의하여 1차 함침될 수 있고, 상기 유공관배치영역에 해당하는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 아스팔트에 의하여 2차 함침되어 형성된 제2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착층의 상면에 고무아스팔트,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이 형성되는, 교면방수공법.
  3.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으로서,
    콘크리트 상판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아스팔트, 개질재, 점도조정제, 점착부여제, 및 필러를 포함하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막방수재층 위에 보호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 위에 상기 유공관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및 상기 유공관 위에 아스콘을 포설하여 아스팔트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 유공관배치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유공관배치영역은 상면에 상기 도막방수재보다 낮은 접착력을 갖고, 고무아스팔트,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공관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하여 상기 보호층의 상면에 부착되고, 필요시 부착된 위치의 재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된 상기 도막방수재층의 도막방수재의 일부가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통해 인입되어 형성된 제3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접착층의 상면에 고무아스팔트,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이 형성되는, 교면방수공법.
  4.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으로서,
    콘크리트 상판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아스팔트, 개질재, 점도조정제, 점착부여제, 및 필러를 포함하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막방수재층 위에 보호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 위에 상기 유공관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및 상기 유공관 위에 아스콘을 포설하여 아스팔트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 유공관배치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유공관배치영역은 상면에 상기 도막방수재보다 낮은 접착력을 갖고, 고무아스팔트,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공관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하여 상기 보호층의 상면에 부착되고, 필요시 부착된 위치의 재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도막방수재층 위에 보호층을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폭방향으로 복수의 보호층을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보호층 중 어느 하나인 제1보호층에 형성된 제1유공관배치영역의 상면에, 상기 제1보호층과 폭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보호층 중 어느 하나인 제2보호층의 일측테두리부를 상기 제1유공관배치영역에 형성된 제1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하여 부착시켜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보호층을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보호층 중 어느 하나인 제3보호층에 형성된 제3유공관배치영역의 상면의 일부에, 상기 제3보호층과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보호층 중 어느 하나인 제4보호층의 일측테두리부의 일부를 상기 제3유공관배치영역에 형성된 제1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하여 부착시켜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교면방수공법.
  5.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으로서,
    콘크리트 상판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아스팔트, 개질재, 점도조정제, 점착부여제, 및 필러를 포함하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막방수재층 위에 보호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 위에 상기 유공관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및 상기 유공관 위에 아스콘을 포설하여 아스팔트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 유공관배치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유공관배치영역은 상면에 상기 도막방수재보다 낮은 접착력을 갖고, 고무아스팔트,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제1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공관은 상기 유공관배치영역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하여 상기 보호층의 상면에 부착되고, 필요시 부착된 위치의 재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유공관배치영역은 상기 보호층의 길이방향에서의 좌측테두리부의 상면, 및 길이방향에서의 우측테두리부의 상면 중 1 이상에서 두께방향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유공관시공홈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관시공홈은 상기 보호층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에 고무아스팔트, 부틸고무, 아스팔트겔, 및 핫멜트 중 1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형성되는, 교면방수공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시공홈은 0.1 내지 0.3 mm의 깊이를 가지고, 5 내지 15 mm의 폭을 가지는, 교면방수공법.

KR1020220093187A 2022-07-27 2022-07-27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KR10254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187A KR102541826B1 (ko) 2022-07-27 2022-07-27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KR1020230071267A KR102629429B1 (ko) 2022-07-27 2023-06-02 고품질 유공관 시공이 가능한 교면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187A KR102541826B1 (ko) 2022-07-27 2022-07-27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267A Division KR102629429B1 (ko) 2022-07-27 2023-06-02 고품질 유공관 시공이 가능한 교면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826B1 true KR102541826B1 (ko) 2023-06-13

Family

ID=867626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187A KR102541826B1 (ko) 2022-07-27 2022-07-27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KR1020230071267A KR102629429B1 (ko) 2022-07-27 2023-06-02 고품질 유공관 시공이 가능한 교면방수공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267A KR102629429B1 (ko) 2022-07-27 2023-06-02 고품질 유공관 시공이 가능한 교면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18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012A (ja) * 1994-12-27 1996-07-16 Showa Shell Sekiyu Kk 道路橋における二次排水装置
KR102346321B1 (ko) * 2021-06-08 2022-01-04 솜인이엔씨 주식회사 활성탄 미분말을 이용한 교면방수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290B1 (ko) * 2021-06-03 2021-12-06 이에스지산업 주식회사 아스팔트 함침 부직포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 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012A (ja) * 1994-12-27 1996-07-16 Showa Shell Sekiyu Kk 道路橋における二次排水装置
KR102346321B1 (ko) * 2021-06-08 2022-01-04 솜인이엔씨 주식회사 활성탄 미분말을 이용한 교면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429B1 (ko) 202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7197B2 (ja) 橋梁用導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10097140A (ko)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101773079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42683A (ko) 소음저감형 지하주차장 바닥시공방법
KR101498512B1 (ko) 유도배수를 위한 공간 확보용 가드
KR102541826B1 (ko) 유공관 시공작업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KR100903608B1 (ko) 터널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KR200187661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KR102424341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1798580B1 (ko) 콘크리트 구조체에 일체 시공되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JP4978171B2 (ja) 新規誘発目地構造
CN110761496A (zh) 防水屋顶及屋面防水方法
JP5764418B2 (ja) 塗膜防水工法、該工法を使用して形成された塗膜防水全層及び該工法に使用される防水下層構造体
KR100689886B1 (ko) 방수보호시트 및 방수보호시트를 이용한 점착방수공법
JP7034460B2 (ja) 屋根防水改修システム
HUE027571T2 (en) External wall insulation system
KR100665207B1 (ko) 보강 재킷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기둥 보강 방법
JP2009013662A (ja) 目地補修構造および目地補修方法
JP6782079B2 (ja) 断熱下地材、及び断熱下地構造
KR101657624B1 (ko) 부분 절연형 시트-도막 복합 방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891462B1 (ko) 도막 방수층과 시트 방수층의 이음부에 시공되는 방수 연결재
KR102194894B1 (ko) 무근콘크리트 타설높이 조절판을 가진 콘크리트 코너 충격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