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793B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1793B1 KR102541793B1 KR1020210182311A KR20210182311A KR102541793B1 KR 102541793 B1 KR102541793 B1 KR 102541793B1 KR 1020210182311 A KR1020210182311 A KR 1020210182311A KR 20210182311 A KR20210182311 A KR 20210182311A KR 102541793 B1 KR102541793 B1 KR 1025417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member
- blocking
- flow
- pillow
- us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8752 abnormal post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991 scapul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7623 Lord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91 Musculoskelet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0666 Testudin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바디 부재; 바디 부재 내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디 부재의 형상 변형을 유도하는 유동 부재; 및 바디 부재 내에 구비되고, 바디 부재 내에서 유동 부재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바디 부재의 형상 변형을 제한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베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베개에 대한 것이다.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 처리 기기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가 구부정한 자세로 정보 처리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목, 어깨, 허리 등과 같은 신체에 근골격계 통증이 유발된다. 나아가, 경추의 정상 곡선, 예컨대, C-커브의 형태의 변형이 초래된다.
경추의 C-커브의 형태가 변형되면, 후두부가 전방으로 편향되는 일자목 자세나 거북목 자세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자세가 취해진다. 후두부가 전방으로 편향되지 않은 정상적인 자세에 비해 비정상적인 자세에서는 전방으로 편향된 후두부의 하중이 경추에 더욱 집중되므로, 경추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된다. 경추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면, 경추의 디스크의 노화가 가속되어 목 디스크 등과 같은 질병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때, 경추의 C-커브의 형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베개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베개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을 갖는 후두부 지지부 및 후두부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을 갖는 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베개의 경우, 목 지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뒷목이 직접적으로 압박되어 경추의 C-커브가 유도되도록 구비된다. 하지만, 목 지지부가 사용자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간혹, 일부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조건으로 인해 베개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베개는 후두부 지지부가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므로, 목 지지부에 의해 경추의 C-커브가 유도된다 할지라도, 후두부 지지부의 높이로 인해 목 지지부의 C-커브 유도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 더하여, 목 지지부는 경추를 직접적으로 지지하여 경추의 C-커브를 유도하는 것이지, 경추를 견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는 없다.
더욱이, 종래의 베개는 사용자의 후두부가 후두부 지지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압되므로, 사용자가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는 동안 후두부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불편함이 유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양질의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대응 가능하게 구비되고, 경추에 직접적으로 압박을 가하지 않으면서 경추의 C-커브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경추를 견인할 수 있는 베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대응 가능하게 구비되고, 경추에 직접적으로 압박을 가하지 않으면서 경추의 C-커브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경추를 견인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 부재; 상기 바디 부재 내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바디 부재의 형상 변형을 유도하는 유동 부재; 및 상기 바디 부재 내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 부재 내에서 상기 유동 부재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바디 부재의 형상 변형을 제한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베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부재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채널이 구비되고, 상기 유동 채널은, 상기 바디 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바디 부재의 내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부재는, 상기 차단 부재의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유동 부재가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차단 부재의 전방 및 후방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내부에 상기 유동 부재가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상기 유동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동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다른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에 기초하여 상기 유동 부재가 상기 바디 부재 내에서 유동함으로써,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어느 하나는 팽창 또는 압축되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다른 하나는 압축 또는 팽창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바디 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유동 채널이 구비되고, 제1 두께를 갖는 제1 차단부; 상기 제1 차단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두께와 상이한 제2 두께를 갖는 제2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부는, 상기 바디 부재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 부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베개는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대응 가능하게 구비되고, 경추에 직접적으로 압박을 가하지 않으면서 경추의 C-커브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경추를 견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베개의 차단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베개와 사용자의 신체 간의 접촉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베개와 접촉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베개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베개의 차단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베개와 사용자의 신체 간의 접촉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베개와 접촉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베개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단, 타단, 상면, 하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베개의 차단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베개와 사용자의 신체 간의 접촉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베개와 접촉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1)는 바디 부재(10), 유동 부재(20) 및 차단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부재(10)는 베개(1)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신체, 예컨대, 사용자의 어깨(C1) 및 뒤통수(C3)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 부재(10)의 내부에는 유동 부재(20) 및 차단 부재(30)가 구비되기 위한 내부 공간(11)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부재(10)는 내부 공간(11)에 구비되는 유동 부재(20) 및 차단 부재(30)의 상태를 사용자가 바디 부재(10)의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내부 공간(11)에 구비되는 유동 부재(20)는 유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바디 부재(10)의 형상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부재(10)가 사용자의 어깨(C1), 뒷목(C2) 및 뒤통수(C3)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압되면, 바디 부재(10) 내에서 유동 부재(20)가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부재(20)의 유동에 의해 바디 부재(10)의 형상 변형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한편, 내부 공간(11)에 구비되는 차단 부재(30)는 내부 공간(11)을 전후방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부재(30)에 의해 바디 부재(10)의 내부 공간(11)은 차단 부재(3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 수용부(111) 및 차단 부재(30)의 후방에 제공되는 제2 수용부(112)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차단 부재(30)의 전방은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베개(1)를 베고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방향(도 1의 양의 y축 방향)을 의미하고, 차단 부재(30)의 후방은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하는 방향(도 1의 음의 y축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에는 각각 소정의 유동 부재(20)가 유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어깨(C1) 및 뒤통수(C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바디 부재(10)에 압력이 전달되면,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유동 부재(20)의 적어도 일부는 후술할 차단 부재(30)의 유동 채널(311)을 통해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 중 다른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부재(20)의 이동에 의해,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는 각각 팽창 및/또는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용부(112)의 적어도 일부가 팽창되면, 사용자의 어깨(C1)가 상방으로 밀려서 사용자의 경추의 C-커브가 유도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1)의 적어도 일부가 팽창되면, 사용자의 뒤통수(C3)가 바디 부재(10)의 전방으로 밀려서 사용자의 경추의 C-커브가 유도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머리의 무게 중심이 베개(1)가 놓인 바닥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사용자의 경추가 견인될 수 있다.
한편, 바디 부재(10)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면, 후술할 차단 부재(30)의 유동 채널(311)을 통해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 중 다른 하나로 이동된 유동 부재(20)는 유동 채널(311)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로써, 바디 본체(10)의 형상도 초기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후두부의 무게중심이 베개(1)가 높인 바닥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사용자의 뒤통수(C3)는 바디 부재(10)의 전방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자의 어깨(C1)는 바디 부재(10)의 후방에 의해 지지되며, 사용자의 뒷목(C2)은 바디 부재(10)의 전방과 후방 사이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경추가 직접적으로 가압되지 않더라도, 경추의 C-커브의 형태가 유도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경추가 견인될 수 있다.
한편, 바디 부재(10)의 후방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어깨(C1)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바디 부재(10)의 후방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디 부재(10)의 후방은 사용자의 어깨(C1)의 견갑골과 접촉되어 가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견갑골의 형상에 대응하여 바디 부재(10)의 후방에 배치된 유동 부재(20)가 유동될 수 있다. 이로써, 바디 부재(10)의 후방은 사용자의 흉추를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 있고,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 흉추는 경추의 전만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바디 부재(10)의 후방에 가해지는 압력은 바디 부재(10)가 접하고 있는 바닥면으로부터 바디 부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경추의 C-커브의 형태를 유지시킨 상태로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는 동안 뒤척이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뒤척임에 의해 바디 부재(10)가 쉽게 움직이지 않으므로, 경추의 C-커브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바디 부재(10)의 외측에는 보호 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 부재는 바디 부재(10)의 외측에 배치되어 바디 부재(10)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보호 부재는 바디 부재(10)의 형상 변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소정의 신축성을 가져서 바디 부재(10)의 반복적인 형상 변형에도 파손되지 않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동 부재(20)는 바디 부재(10)의 형상 변형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경추의 C-커브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경추를 견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동 부재(20)는 바디 부재(10) 내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유동 부재(20)는 일 예로 사용자의 신체, 예컨대, 사용자의 어깨(C1), 뒷목(C2) 및 뒤통수(C3)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이 가능하되, 소정의 복원력을 갖는 재질의 유동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유동 부재(20)는 바디 부재(10)의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에 각각 유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유동 부재(20)에 압력이 전달되면,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유동 부재(20)는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 중 다른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부재(10)의 후방이 사용자의 어깨(C1)에 의해 가압되기 시작하면, 제2 수용부(112)에 구비된 유동 부재(20)가 후술할 차단 부재(30)의 유동 채널(311)을 통해 제1 수용부(111)로 이동된다. 제2 수용부(112)로부터 제1 수용부(111)로 이동된 유동 부재(20)는 바디 부재(10)의 전방을 팽창시킬 수 있다. 이렇게 팽창된 바디 부재(10)의 전방이 사용자의 뒷목(C2)에 의해 가압되면, 후술할 차단 부재(30)의 유동 채널(311)이 차단되고, 팽창된 바디 부재(10)의 전방에 의해 사용자의 뒷목(C2)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사용자의 뒤통수(C3)가 바디 부재(10)의 전방으로 밀리게 된다. 동시에, 바디 부재(10)의 후방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C1)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므로, 사용자의 경추에 C-커브가 유도된다. 팽창된 바디 부재(10)의 전방에 의해 바디 부재(10)의 전방으로 밀린 뒤통수(C3)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1)가 놓인 바닥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짐으로써, 사용자의 경추가 견인될 수 있다.
차단 부재(30)는 바디 부재(10)의 형상 변형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 부재(30)는 바디 부재(10) 내에 구비될 수 있고, 바디 부재(10) 내에서 유동 부재(20)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부재(30)는 바디 부재(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바디 부재(10)의 전방은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베개(1)를 베고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바디 부재(10)의 후방은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차단 부재(30)의 하단부는 후방측에 배치되고 차단 부재(30)의 상단부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차단부재(3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베개(1)의 단부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바디 부재(10)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차단 부재(30)가 바디 부재(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바디 부재(10)의 후방이 가압되었을 때, 바디 부재(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유동 부재(20)에 의해 바디 부재(10)의 전방이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부재(30)의 하단부는 도면에서와 같이 베개(1)의 내부 하면에 연결될 수 있고, 차단 부재(30)의 상단부는 베개(1)의 내부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차단 부재(30)는 유동 채널(311)이 구비되는 제1 차단부(31) 및 제1 차단부(31)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제2 차단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차단부(31)는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 중 다른 하나에 이동된 수용 부재(20)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 부재(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차단부(31)는 바디 부재(10)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부분이고, 바디 부재(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 차단부(31)는 유동 채널(311)이 구비되는 부분이므로, 제1 차단부(31) 바디 부재(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부재(10)의 전방에서 제1 차단부(31)의 폭(W1)은 바디 부재(10)의 후방에서 제1 차단부(31)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와 목의 하중 및 바디 부재(1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동 부재(20)의 하중에 의해, 제1 차단부(31)가 바디 부재(10)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차단부(31)는 유동 채널(311)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제1 두께(T1)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두께(T1)는 약 2mm 내지 약 3mm일 수 있다. 제1 차단부(31)의 두께가 2mm 미만이면, 제1 차단부(31)가 유동 부재(20)에 의해 파손될 수 있고, 제1 차단부(31)의 두께가 3mm를 초과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바디 부재(10)가 가압되는 정도에 한계가 발생한다.
이때, 유동 채널(311)는 제1 차단부(31)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채널(311)은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다가 바디 부재(1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의 신체가 바디 부재(10)의 전방 및 하방을 가압하면, 유동 채널(311)은 바디 부재(10)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차단될 수 있다. 유동 채널(311)이 차단되면, 유동 부재(20)가 바디 부재(10) 내에서 더 이상 이동될 수 없으므로, 바디 부재(10)의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유동 채널(311)이 차단되더라도, 유동 부재(20)가 갖는 유동성에 의해, 바디 부재(10) 내에서 유동 부재(20)는 사용자의 신체 형상에 대응하여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제2 차단부(32)는 제1 두께(T1)와 상이한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두께(T1)는 약 0.5mm 내지 약 1mm일 수 있다. 제2 차단부(32)의 두께가 0.5mm 미만이면, 제2 차단부(32)가 유동 부재(20)에 의해 파손될 수 있고, 제2 차단부(32)의 두께가 1mm를 초과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바디 부재(10)가 가압되는 정도에 한계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베개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도 7 및 도 8에서 바디 부재(10) 내에서 유동 부재(20)의 유동 방향은 이점쇄선 화살표로 도시하였으며, 유동 부재(20)의 유동에 따라 바디 부재(1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 방향은 일점쇄선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베개(1)를 사용하기 위한 초기 동작이 수행된다. 여기서, 초기 동작은 바디 부재(10)의 후방이 사용자의 어깨(C1)에 의해 가압되는 동작을 의미한다.
먼저, 바디 부재(10)의 후방이 사용자의 어깨(C1)에 의해 가압되면, 제2 수용부(112)의 내부에 수용된 유동 부재(20)가 유동 채널(311)을 통해 제1 수용부(111)의 내부로 이동된다. 유동 채널(311)을 통해 제2 수용부(112)의 내부로부터 제1 수용부(111)의 내부로 이동된 유동 부재(20)는 제1 수용부(111)를 팽창시킨다. 달리 말하면, 바디 부재(10)의 후방이 사용자의 어깨(C1)에 의해 가압되어 바디 부재(10)의 내부에서 유동 부재(20)의 이동을 유발하고, 유동 부재(20)의 이동에 의해, 바디 부재(10)의 전방이 팽창될 수 있다.
한편, 베개(1)의 사용을 위한 초기 동작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1)의 사용을 위한 후기 동작이 수행된다. 후기 동작은 바디 부재(10)의 후방이 사용자의 어깨(C1)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팽창된 바디 부재(10)의 전방이 사용자의 뒤통수(C3)에 의해 가압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어깨(C1) 및 뒤통수(C3)가 함께 바디 부재(10)를 가압하면, 사용자의 어깨(C1) 및 뒤통수(C3)의 하중에 의해, 바디 부재(10)의 전방과 후방 사이가 압축된다. 이렇게 압축되는 바디 부재(10)의 내부에는 차단 부재(30)가 구비되므로, 차단 부재(30) 역시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유동 부재(20)의 이동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유동 채널(311)은 차단 부재(30)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바디 부재(10) 및 차단 부재(30)의 압축에 의해, 유동 채널(311)이 바디 부재(10)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유동 부재(20)의 이동 통로가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 채널(311)이 차단되면, 유동 부재(20)가 바디 부재(10) 내에서 더 이상 이동될 수 없으므로, 바디 부재(10)가 사용자의 어깨(C1) 및 뒤통수(C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뒤통수(C3)는 팽창된 바디 부재(10)의 전방이 갖는 곡률 및 중력에 대응하여 바디 부재(10)의 전방으로 밀리게 된다. 바디 부재(10)의 전방으로 밀린 뒤통수(C3)에 의해 사용자의 경추에 C-커브가 유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의 무게 중심이 베개(1)가 놓인 바닥면을 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경추가 견인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베개 10: 바디 부재
11: 내부 공간 20: 유동 부재
30: 차단 부재 31: 제1 차단부
32: 제2 차단부 111: 제1 수용부
112: 제2 수용부 311: 유동 채널
11: 내부 공간 20: 유동 부재
30: 차단 부재 31: 제1 차단부
32: 제2 차단부 111: 제1 수용부
112: 제2 수용부 311: 유동 채널
Claims (8)
- 바디 부재;
상기 바디 부재 내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바디 부재의 형상 변형을 유도하는 유동 부재; 및
상기 바디 부재 내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 부재 내에서 상기 유동 부재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바디 부재의 형상 변형을 제한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채널이 구비되고,
상기 유동 채널은,
상기 바디 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바디 부재의 내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유동 채널이 구비되고, 제1 두께를 갖는 제1 차단부;
상기 제1 차단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두께와 상이한 제2 두께를 갖는 제2 차단부를 포함하는,
베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는,
상기 차단 부재의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유동 부재가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차단 부재의 전방 및 후방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내부에 상기 유동 부재가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상기 유동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동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다른 하나로 이동될 수 있는,
베개.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에 기초하여 상기 유동 부재가 상기 바디 부재 내에서 유동함으로써,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어느 하나는 팽창 또는 압축되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다른 하나는 압축 또는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베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바디 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베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는,
상기 바디 부재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개. - 제1 항, 제3 항, 제4 항, 제5 항 및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 부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베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2311A KR102541793B1 (ko) | 2021-12-20 | 2021-12-20 | 베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2311A KR102541793B1 (ko) | 2021-12-20 | 2021-12-20 | 베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1793B1 true KR102541793B1 (ko) | 2023-06-13 |
Family
ID=8676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2311A KR102541793B1 (ko) | 2021-12-20 | 2021-12-20 | 베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179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7170U (ja) * | 2013-08-27 | 2013-11-14 | 株式会社アテックス | 枕 |
KR20200096437A (ko) * | 2020-07-24 | 2020-08-12 | 윤성균 | 수면자세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베개 |
-
2021
- 2021-12-20 KR KR1020210182311A patent/KR1025417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7170U (ja) * | 2013-08-27 | 2013-11-14 | 株式会社アテックス | 枕 |
KR20200096437A (ko) * | 2020-07-24 | 2020-08-12 | 윤성균 | 수면자세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베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74809B1 (en) | Pillow | |
KR101575894B1 (ko) | 베개 | |
US5018231A (en) | Neck guard pillow | |
JP2006305349A (ja) | 枕 | |
KR101863814B1 (ko) | 얼굴 주름 방지용 베개 | |
KR102541793B1 (ko) | 베개 | |
JP6512944B2 (ja) | シート用パッドおよび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装置 | |
KR101820357B1 (ko) | 지압돌기가 구비되는 안마베개 | |
KR20170132418A (ko) | 침구용 탄성부재 | |
KR20180001158A (ko) | 수면자세에 의한 인체맞춤형 기능성 베개 | |
JP3211873U (ja) | クッション | |
KR101733982B1 (ko) | 요추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 |
JP2020500625A5 (ko) | ||
JP3217333U (ja) | マット一体型枕 | |
JP6434517B2 (ja) | 快適枕 | |
KR102563803B1 (ko) | 베개 | |
JP6593889B2 (ja) | 枕用クッション材 | |
KR102123260B1 (ko) | 기능성 베개 | |
JP6564671B2 (ja) | マットレス | |
KR101703326B1 (ko) | 등받이 쿠션 | |
KR102355396B1 (ko) | 베개 | |
KR101912048B1 (ko) |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 |
TWI655939B (zh) | 頸圈後片調整組 | |
CN208973212U (zh) | 一种新型防皱纹枕头 | |
KR200469732Y1 (ko) | 주름방지용 베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