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184B1 - 높이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184B1
KR102541184B1 KR1020180133287A KR20180133287A KR102541184B1 KR 102541184 B1 KR102541184 B1 KR 102541184B1 KR 1020180133287 A KR1020180133287 A KR 1020180133287A KR 20180133287 A KR20180133287 A KR 20180133287A KR 102541184 B1 KR102541184 B1 KR 102541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ring
roll
slide bracket
rol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562A (ko
Inventor
강승규
조현철
최우혁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세아메카닉스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3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1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Abstract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하는 슬라이드 브라켓;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롤 형태로 감긴 금속 테이프를 포함하고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결합된 롤스프링; 및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롤스프링 거치되는 스프링 안착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하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풀리면서 상기 본체가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상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감기면서 상기 본체가 상부로 이동하는 높이조절 장치는 본체의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조정 가능하여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 장치{Height-adjustable Device}
본 발명은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제품은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고정형으로 설치하여 움직이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실외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나, 컴퓨터, TV, 세탁기, 에어컨과 같은 일반 소비자가 사용하는 제품들은 한 곳에 설치하여 설치된 채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에 맞추서 다양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진 전자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니즈에 맞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현재 필요에 따라 맞춰 구매를 하더라도 설치 장소가 바뀌거나 용도가 바뀌는 경우 다른 형태의 전자제품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앉아서 보는 경우, 서서 보는 경우, 누워서 보는 경우 각각 최적의 높이가 달라진다. 또한, 음향장치의 경우 감상하는 사용자의 앉은 위치 높이 설치된 방의 크기 등에 따라 최적의 설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실외에 설치하는 전자제품도 상황에 따라 높이 변화가 필요한 경우에 높이 조절 가능한 스탠드에 대한 니즈가 있다. 다만, 이를 전동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 모터와 같이 비싼 부재가 들어가야 하고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높이를 조절가능한 높이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하는 슬라이드 브라켓;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롤 형태로 감긴 금속 테이프를 포함하고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결합된 롤스프링; 및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롤스프링 거치되는 스프링 안착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하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풀리면서 상기 본체가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상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감기면서 상기 본체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롤스프링은 소정 길이 이상 늘어나면 동일한 탄성력을 가지는 정하중 스프링이고, 상기 롤스프링은 탄성력이 상기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의 무게의 합보다 더 크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롤스프링의 탄성력과 상기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의 무게의 합의 차이는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상기 스탠드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롤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안착부 사이의 마찰력의 합에 상응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 하나당 상하 방향으로 두 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드 바의 형상에 상응하여 오목하게 인입된 슬라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스프링은 복수개가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안착부는 상기 복수 개의 롤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의 하부에 위치하여 바닥에 거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장치는 본체의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조정 가능하여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높이조절 장치를 구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높이조절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높이조절 장치의 슬라이드 브라켓과 높이 조정부의 결합 상태를 일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4의 슬라이드 브라켓과 높이 조정부의 결합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장치의 롤스프링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장치 설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높이조절 장치의 롤스프링이 인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높이조절 장치의 롤스프링의 상태에 따른 본체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높이조절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자장치의 예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나 프로젝터,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장치를 본체라고 하며, 도 1은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높이조절 장치는 화면이 출력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를 지지하는 스탠드(150)와 바닥에 거치하기 위한 지지부(170)를 포함하며 상하방향으로 본체(110)가 이동할 수 있다. 스탠드는 바닥에 거치되는 형태가 아닌 벽에 붙어 있거나 천장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높이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스탠드(150)와 지지부(170)는 본체(110)를 바닥에 세우기 위한 구조로 스탠드(150)는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바닥면이 넓고, 스탠드(150)는 본체(110)를 사용하기에 적당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스탠드(150)의 하부는 지지부(170)와 결합하고 상부는 본체(110)와 결합한다.
본 발명의 본체(110)는 상기 지지부(170)에 고정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 슬라이드 브라켓(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140)은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본체(110)에 고정하고, 상기 스탠드(15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다.
스탠드(150)는 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면에서 보이는 하부 스탠드(151)는 백커버(160)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외관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는 슬라이드 브라켓(140)이 위치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있고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양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바(152)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152)를 따라 슬라이드 브라켓(14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바(152)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좌우 양측에서 슬라이드 브라켓(140)을 지지할 수 있다.
본체(1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이해 모터와 같은 전자동 구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전자동 구동장치는 부품이 차지하는 부피와 무게 및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가 상하방향으로 본체를 이동 시키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위해 큰 부피의 부품을 넣는 것은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어 수동을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10)를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사용자가 본체(110)의 무게에 상응하는 힘으로 밀어 올려야 하고 반대로 하측으로 내릴 때 본체(110)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해야 한다. 본 발명은 본체(110)의 무게를 지지하는 탄성부로서 롤스프링(155)을 구비할 수 있다.
스탠드(150)의 상단에는 롤스프링(155)이 위치한다. 롤스프링(155)은 테이프 형상의 금속판을 롤형태로 말아놓은 판 스프링의 일종으로 롤 형태로 다시 말리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일측을 당기면 감김수가 줄어들며 풀리고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 모양으로 돌아온다. 롤스프링(155)의 단부는 슬라이드 브라켓(140)에 결합하여 본체(110)를 상부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높이조절 장치의 슬라이드 브라켓(140)과 스탠드(150) 및 본체(110)의 결합 상태를 일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 브라켓(140)과 높이 조정부의 결합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슬라이드 브라켓(140)은 본체(110)에 고정되는 부분과 상기 스탠드(150)의 롤스프링(155)과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브라켓(140)은 롤스프링(155)과 결합되고 본체(110)의 배면에 결합하는 수평빔(142a) 하나만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체(1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흔들림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하로 나란해 배치된 한 쌍으로 수평빔(142a, 142b)을 이용하여 본체(110)의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평빔(142)과 상기 수평빔(142)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빔(1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수평빔(142)과 각 슬라이드 바(152)가 교차하는 위치에 부드럽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롤러(14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2개의 가이드 롤러(145)가 좌우로 배치되어 하나의 수평빔(142)에 결합하면, 한 쌍의 수평빔(142)에 결합한 4개의 가이드 롤러(145)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5)는 슬라이드 바(15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56)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롤러(145)가 동일한 가이드 레일(15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바깥쪽을 향하도록 슬라이드 바(152)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145)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는 슬라이드 바(152)의 이격 거리보다 더 넓다. 즉,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가로방향의 너비는 슬라이드 바(152)의 너비보다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바깥쪽을 향하지 않고, 내측을 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가이드 롤러(145)는 한 쌍의 슬라이드 바(15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152)의 간격보다 더 큰 슬라이드 브라켓(140)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브라켓(140)과 본체(110) 사이에 슬라이드 바(152)를 위치시켜 슬라이드 브라켓(140)가 슬라이드 바(152)로부터 이탈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바(152)와 슬라이드 브라켓(140)이 뒤틀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브라켓(140)은 슬라이드 바(152)에 상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드 홈(14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스프링(155)의 단부는 한 쌍의 수평빔(142)과 결합한 베이스 플레이트(141)에 결합할 수 있다. 양측의 수직빔(143)만으로는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모서리 부분의 각도가 직각이 유지되지 않고 수평빔(142)이 비스듬하게 변형될 수 있어 베이스 플레이트(141)가 한 쌍의 수평빔(142)이 뒤틀리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롤스프링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롤스프링(155)과 선스프링의 하중과 스트로크(늘어나는 길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통상적인 용수철 형상의 선스프링은 한계까지는 당기는 힘에 비례하여 길이가 늘어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롤스프링(155)은 정하중 스프링(constant spring)으로 직선으로 잡아 늘릴 때 생기는 복귀력(하중)은 스트로크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즉 최대하중에 도달한 후에는 아무리 늘려도 탄성력은 일정하고, 테이프가 다 풀릴 때까지 즉 최대 스트로크에 도달할 때까지 일정한 탄성력으로 당기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본체(110)와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무게의 합(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 무게라 한다.) 보다 약간 큰 수준의 탄성력을 가지는 롤스프링(155)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본체(110)가 상하로 이동시 슬라이드 브라켓(140)과 슬라이드 바(152)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고, 롤스프링(155)이 안착된 스프링 안착부(153)에서 롤스프링(155)과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도 5의 (b)와 같이 롤스프링(155)의 탄성을 본체 무게 보다 마찰력 크기만큼 크도록 롤스프링(155)을 디자인할 수 있다. (본체 무게+마찰력=스프링 탄성력)
사용자가 본체(110)를 하부로 내리려고 하측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민 거리만큼 이동하고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롤스프링(155)이 상부로 당기려는 힘과 마찰력과 본체(110)의 자중이 균형을 이루며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롤스프링(155)의 탄성은 롤스프링(155)의 늘어난 길이에 관계없이 일정하므로, 본체(110)는 어느 위치에나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본체(110)를 상부로 올리려고 상측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균형을 이루던 힘이 상측 방향으로 더해져 롤 스프링이 원상복귀하는 힘에 의해 본체(110)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스프링(15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를 이용하여 본체(110)의 무게에 따라 롤스프링(155)의 개수를 조절하여 본체(110)의 무게와 롤스프링(155)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할 수 있다.
롤스프링(155)의 테이프의 너비 또는 감김 횟수에 따라 탄성이 다르며, 감김수가 많을수록 탄성이 크고 감김수가 같으면 너비가 클수록 탄성이 크다. 감김수가 많으면 적은 개수의 롤스프링(155)을 이용할 수 있으나, 대신에 롤스프링(155)의 두께가 커지는 문제가 있어, 감김수가 적은 롤스프링(155)을 여러 개 이용하여 적정한 두께와 적정한 힘의 탄성을 가진 롤스프링(155)을 디자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장치의 탄성부의 설계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찰력을 고려하여 본체의 무게보다 약 11%정도 큰 탄성력으로 본체를 지지하도록 롤스프링 개수 및 크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9.5kg의 본체를 이용하는 경우 21.6kgf의 힘으로 지지하도록 탄성부를 설계할 수 있다.
도 6의 (a)와 같이 탄성력이 큰 롤스프링(155a)를 이용하면 적은 개수의 롤스프링(155a)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7kgf의 탄성이 있는 롤스프링(155a)을 3개를 사용하면 21kg의 힘으로 본체를 지지하는 탄성부를 설계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탄성을 제공하는 롤스프링(155a)은 더 두꺼운 부재를 사용해야 하므로 두께가 0.4mm짜리를 이용한다. 이 경우 롤스프링의 크기가 커져 높이조절장치의 두께가 두꺼워 지는 문제가 있다.
도 6의 (b)와 같이 두께가 0.25mm로 얇은 대신에 폭이 넓은 롤스프링(155b)을 5개 사용하면 개당 탄성력은 4kgf로 작으나 전체 합은 20kgf의 탄성부를 설계할 수 있다.
보다 정밀하게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해 도 6의 (c)와 같이 다른 크기의 롤스프링(155c, 155d))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감김수가 같은 경우 폭이 클수록 탄성이 크므로 폭이 25mm인 롤스프링(155c)와 폭이 15mm인 롤스프링(155d)를 혼합하여 21.6kgf의 탄성을 가진 탄성부를 설계할 수 있다.
스탠드(15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스프링 안착부(153)에 롤스프링(155)이 위치하고 접착제나 체결구로 고정되지 않고 롤스프링(155)의 형상에 상응하는 안착홈을 형성하여 롤스프링(155)이 안착홈에서 이탈하지 않고 회전하면서 풀리거나 감길 수 있다. 롤스프링(155)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의 스프링 안착부(153)는 롤스프링(155)의 너비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격벽(153a)을 구비할 수 있다. 격벽(153a)은 롤스프링(155)이 회전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높이조절 장치의 롤스프링(155)이 인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높이조절 장치의 롤스프링(155)의 상태에 따른 본체(11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와 같이 본체(110)가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 밀면 롤스프링(155)이 풀리면서 도 8의 (b)와 같이 본체(110)가 하부로 내려온다. 이때, 본체(110)의 자중에 의해 사용자가 최초에만 힘을 가하면 자동으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롤스프링(155)은 풀릴수록 탄성이 더 커지므로 점점 속도가 늦어지면서 상기 스토퍼(154)에 도달하면 이동을 멈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50)는 스프링 안착부(153)와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스토퍼(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54)는 슬라이드 브라켓(140)이 하측방향에서 더 이상 내려오지 않도록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가이드 롤러(145)는 가이드 레일(156)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부에 위치하고 롤스프링(155)은 본체(110)의 이동 거리만큼 풀린다.
도 8의 (b)와 같이 하부로 내려온 상태에서 다시 사용자가 상측으로 본체(110)를 밀어 올리면 롤스프링(155)의 탄성에 의해 도 8의 (a) 상태로 복귀한다. 본체(110)본체(110)본체(11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높이조절 장치는 본체(110)의 높이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조정 가능하여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 본체 140: 슬라이드 브라켓
141: 베이스 플레이트 142: 수평빔
143: 수직빔 144: 슬라이드 홈
145: 가이드 롤러 146: 체결
150: 스탠드 151: 하부 스탠드
152: 슬라이드 바 153: 스프링 안착부
154: 스토퍼 155: 롤스프링
156: 가이드 레일 170: 지지부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하는 슬라이드 브라켓;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롤 형태로 감긴 금속 테이프를 포함하고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결합된 롤스프링; 및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롤스프링이 거치되는 스프링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스프링은 소정 길이 이상 늘어나면 동일한 탄성력을 가지는 정하중 스프링이며,
    상기 롤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의 무게의 합보다 더 크고,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하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풀리면서 상기 본체가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상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감기면서 상기 본체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스프링의 탄성력과 상기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의 무게의 합의 차이는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상기 스탠드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롤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안착부 사이의 마찰력의 합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 하나당 상하 방향으로 두 개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드 바의 형상에 상응하여 오목하게 인입된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스프링은 복수개가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안착부는 상기 복수 개의 롤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의 하부에 위치하여 바닥에 거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장치.
KR1020180133287A 2018-11-02 2018-11-02 높이조절 장치 KR102541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87A KR102541184B1 (ko) 2018-11-02 2018-11-02 높이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87A KR102541184B1 (ko) 2018-11-02 2018-11-02 높이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562A KR20200050562A (ko) 2020-05-12
KR102541184B1 true KR102541184B1 (ko) 2023-06-12

Family

ID=7067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287A KR102541184B1 (ko) 2018-11-02 2018-11-02 높이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1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845A (ko) 2020-08-07 2022-0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3744A (en) * 1994-09-06 1996-12-10 Citizen Watch Co., Ltd.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battery pack
US5668570A (en) * 1993-06-29 1997-09-16 Ditzik; Richard J. Desktop computer with adjustable flat panel screen
JP2005134523A (ja) 2003-10-29 2005-05-26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
US20060168865A1 (en) 2003-01-09 2006-08-03 Takao Watanabe Thi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ulling out display part
KR100770984B1 (ko) * 2003-05-23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99209B1 (ko) * 2013-10-04 2014-06-27 천동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84991B1 (ko) 2016-07-18 2017-10-16 주식회사 펜터다임 착탈식 전원어댑터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716A (ko) *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로보테크 이동로봇 충전스테이션의 착탈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8570A (en) * 1993-06-29 1997-09-16 Ditzik; Richard J. Desktop computer with adjustable flat panel screen
US5583744A (en) * 1994-09-06 1996-12-10 Citizen Watch Co., Ltd.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battery pack
US20060168865A1 (en) 2003-01-09 2006-08-03 Takao Watanabe Thi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ulling out display part
KR100770984B1 (ko) * 2003-05-23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134523A (ja) 2003-10-29 2005-05-26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
KR101399209B1 (ko) * 2013-10-04 2014-06-27 천동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84991B1 (ko) 2016-07-18 2017-10-16 주식회사 펜터다임 착탈식 전원어댑터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562A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489B2 (en) Extension mechanism for a mounting system
EP2045689B1 (en)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US20120162760A1 (en) Portable Projection Screen
US10240717B1 (en) Projector lift
US20070235614A1 (en) Movable extension assembly for a mounting system
US20020073632A1 (en) Pivotal arm lift for television display
US20060039128A1 (en) Structure for hanging an electronic device
US20100006717A1 (en) Height Positioning Device for a Presentation Device
KR102541184B1 (ko) 높이조절 장치
JP5174650B2 (ja) 黒板装置及びスクリーンの設置方法
US20090278018A1 (en)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JP2013231751A (ja) 可動型インタラクティブボードシステム
KR2006013385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이 조절 구조
JP4578548B2 (ja) モニタ位置調節装置
US20160130867A1 (en) Window Shade Allowing Adjustment of the Amount of Incoming Light in Different Sections
KR20180020726A (ko) 실외기용 방진 거치대
JP2008220533A (ja) 薄型テレビのスライド保持機能付き家具
JP6691844B2 (ja) 曲面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6802221B2 (ja) エアコンシステム
JP2019184712A (ja) 可動式スクリーンの設置装置
JP2004077710A (ja) モニタスタンド
KR100595201B1 (ko) 박형 영상표시장치의 높낮이 조절 스탠드
CN208185815U (zh) 重型可移动支架
KR20200066874A (ko) 디스플레이 장치
RU9516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демонстрационный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й мобильный комплек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