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84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845A
KR20220018845A KR1020200099477A KR20200099477A KR20220018845A KR 20220018845 A KR20220018845 A KR 20220018845A KR 1020200099477 A KR1020200099477 A KR 1020200099477A KR 20200099477 A KR20200099477 A KR 20200099477A KR 20220018845 A KR20220018845 A KR 20220018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cam
guide
display modu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효
전용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845A/ko
Priority to CN202110875289.1A priority patent/CN114060655B/zh
Priority to US17/393,094 priority patent/US11788672B2/en
Publication of KR20220018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지지부를 따라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직선이동부 및 상기 직선이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하며, 상기 직선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시청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화면이 가로형으로 고정되므로 다양한 시청모드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시청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을 출력하는 화면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부의 동작으로 직선이동부와 회전안내부가 순차적으로 동작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므로, 가로형 시청모드와 세로형 시청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지지부를 따라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직선이동부 및 상기 직선이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하며, 상기 직선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직선이동부 및 상기 직선이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하며, 상기 직선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회전안내부에 의해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측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지지하는 판 형상의 지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지지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패널과 함께 이동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몸체 및 상기 제1지지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지지몸체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지지몸체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부재가 제1지지몸체를 관통하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몸체와, 상기 제1지지몸체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지지몸체 및 상기 제1지지몸체와 상기 제2지지몸체에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한 회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몸체와 상기 제2지지몸체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몸체의 측면에는 벽걸이형 장착고리가 삽입되는 벽걸이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방향으로 상기 직선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직선이동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장공 형상의 홀부를 형성하는 가이드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이동부는 상기 가이드홀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이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외측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는 스크류바와, 상기 나사산에 맞물리며 상기 스크류바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바의 회전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볼너트와, 상기 볼너트에 결합되어 상기 볼너트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이동몸체부 및 일측은 상기 가이드홀부를 통해 상기 제1이동몸체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회전안내부에 연결되는 제2이동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동몸체부는, 상기 볼너트에 연결되며, 상기 볼너트와 함께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측에 걸리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에 연결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블럭도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측에 걸리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동몸체부는, 상기 제1지지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이동몸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몸체와, 상기 슬라이딩몸체의 양측에서 상기 제1이동몸체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이동몸체부에 고정되는 사이드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몸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제2이동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회전캠부와, 상기 회전캠부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캠부에 접하며 상기 회전캠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유도돌기 및 상기 제1지지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캠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이동되는 상기 회전캠부의 측면에 접하며 상기 회전캠부가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회전됨을 유도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로길이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세로길이 보다 긴 가로 시청형 모드이다. 또한 제2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로길이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세로길이 보다 짧은 세로 시청형 모드이다.
또한 상기 회전캠부는, 내측에 캠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몸체와, 상기 캠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캠돌기부 및 상기 제1캠돌기부와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상기 캠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캠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캠돌기부 또는 상기 제2캠돌기부는 상기 회전유도돌기에 걸려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회전캠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유도돌기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캠부에 접하며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회전캠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돌기부와, 상기 제1안내돌기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안내돌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캠부가 제1모드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돌기부 및 상기 제1안내돌기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안내돌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캠부가 제2모드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제3안내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안내돌기부와 상기 제3안내돌기부는 서로 마주하며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회전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패널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연결부는, 상기 회전캠부와 마주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는 스윙브라켓부와, 상기 스윙브라켓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회전캠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는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연결부는, 일측은 상기 스윙브라켓부에 삽입되며 타측은 상기 회전캠부에 삽입되는 고정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회전으로 가로 시청형 모드 또는 세로 시청형 모드로 전환되므로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캠부가 회전유도돌기와 안내부에 의해 회전이 안내되므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회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스탠드형과 벽걸이형으로 변경이 가능하므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지지부에 각각 제어부가 설치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경량화 할 수 있으며, 간편한 유지보수 구조를 제공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회전캠부와,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된 스윙브라켓부가 자력과 끼움식 결합구조에 의해 상호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탈착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몸체가 제1지지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직선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몸체에서 직선이동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가 제2이동몸체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선이동부와 회전캠부와 패널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연결부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로 시청형 모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몸체의 후측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가 제2안내돌기부에 접하며 가로 시청형 모드로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회전유도돌기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의 상승 동작시 회전유도돌기에 걸려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가 제3안내돌기부에 접하며 세로 시청형 모드로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세로 시청형 모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몸체부가 가이드부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의 하강 동작시 회전유도돌기에 걸려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가 회전유도돌기에 의해 회전된 상태에서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가 하강하며 제2안내돌기부에 접하므로 가로 시청형 모드로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걸이 모드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지지부(20)와 구동부(50)와 직선이동부(60)와 회전안내부(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패널(11)과 지지패널(12)과 제1제어부(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1)은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11)은 전방을 향하여 화상을 출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화상과 함께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1)은 사각형의 얇은 판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패널(12)은 디스플레이패널(11)의 후측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패널(11)을 지지하는 판 형상이다. 지지패널(12)에는 디스플레이패널(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제어부(13)는 지지패널(12)의 후측에 고정되며, 지지패널(12)과 함께 상하 이동 및 회전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회전안내부(90)에 의해 회전이 안내되어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회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1모드인 상태에서 직선이동부(6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직석이동부(6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며 회전되어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변환된다.
제1모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로길이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세로길이 보다 긴 가로 시청형 모드이다. 또한 제2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로길이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세로길이 보다 짧은 세로 시청형 모드이다.
[지지부]
지지부(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는,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와 회전연결부(35)와 제2제어부(40)와 가이드부(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는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와 회전연결부(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는 회전연결부(35)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가 이루는 각도는 예각 범위 이내이며,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가 벌어진 상태에서는 스탠드형 모드로 사용된다.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의 하측이 설치면을 향하여 설치되므로,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는 설정된 각도로 벌어진 상태에서 설치면에 세워진다.
또는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벽걸이형 모드로 사용된다.
제1지지몸체(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측에 위치하며, 구동부(50)와 직선이동부(60)와 회전안내부(90)가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지지몸체(33)는 제1지지몸체(3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는 제1방향(A1)으로 연장되며,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연결부(35)는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에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35)는, 제1지지몸체(30)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36)와, 제2지지몸체(33)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37)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재(36)는 제2연결부재(3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제2연결부재(37)와 제2지지몸체(33)는 제1연결부재(36)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제어부(40)는 제1지지몸체(30)에 고정되며,케이블부재(200)를 통해 제1제어부(13)와 연결된다. 제1제어부(13) 보다 제2제어부(40)의 중량이 많이 나가며, 제1제어부(13) 보다 제2제어부(40)의 부피가 크다. 제1제어부(13)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어와 관련된 동작을 하며, 제2제어부(40)는 구동부(50)의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신호를 입력받는 기능 및 제1제어부(13)와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제어부(13)와 제2제어부(40)가 분리되므로, 유지보수 및 부품 교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량이 감소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3)는 제1지지몸체(30)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2제어부(40)는 제1지지몸체(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부(13)와 제2제어부(40)를 연결하는 케이블부재(200)가 제1지지몸체(30)를 관통하며 설치될 수 있다. 제1지지몸체(30)에는 케이블부재(200)가 설치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설치홀부(31)가 구비된다. 따라서 케이블부재(200)가 설치홀부(31)를 통해 제1제어부(13)와 제2제어부(40)를 연결하므로, 케이블부재(200)의 설치길이가 감소되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2지지몸체(33)의 측면에는 벽걸이형 장착고리가 삽입되기 위한 벽걸이홈부(34)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홈부(34)는 제2지지몸체(33)의 후측에 띠 형상의 홈부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벽걸이홈부(34)는 제2지지몸체(33)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므로 장착고리가 벽걸이홈부(34)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몸체(33)가 제1지지몸체(3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0)와 직선이동부(6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몸체(30)에서 직선이동부(6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는, 제1방향(A1)으로 직선이동부(6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방향(A1)은 상하 방향이며, 제2방향(A2)은 좌우 방향으로 설정한다. 또한 제1방향(A1)과 제2방향(A2)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1방향(A1)과 제2방향(A2)은 서로 직각을 이루며 교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부(43)는 가이드홀부(44)와 가이드레일(4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45)은 직선이동부(60)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며, 제1이동몸체부(70)의 제1방향(A1)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45)은 제1지지몸체(30)의 후측으로 돌출되며, 복수 개가 평행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홀부(44)는 가이드레일(45)의 양측에 장공 형상의 홀부를 형성한다. 가이드홀부(44)는 제1방향(A1)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의 홀부이며, 가이드레일(45)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다. 또한 직선이동부(60)는 가이드홀부(44)를 통해 가이드레일(45)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가이드레일(45)을 따라 제1방향(A1)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직선이동부(60)의 상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
구동부(50)는 지지부(20)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0)는, 구동모터(52)와 구동축(54)을 포함하며, 구동모터(52)에 변속부(53)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52)는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다른 종류의 전기모터도 구동모터(52)로 사용될 수 있다. 구동모터(52)에 출력축이 바로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52)의 동력을 전달받아 변속을 하는 변속부(53)의 출력부에 구동축(54)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부(50)는 제1지지몸체(30)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직선이동부]
직선이동부(60)는 구동부(5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지지부(20)를 따라 제1방향(A1)으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선이동부(60)는, 스크류바(61)와 베어링홀더(62)와 커플링(63)과 볼너트(64)와 제1이동몸체부(70)와 제2이동몸체부(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바(61)는 구동부(5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외측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바(61)는 상하 방향인 제1방향(A1)으로 설치되며,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베어링홀더(62)는 스크류바(61)의 양측에 설치되며, 스크류바(6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어링홀더(62)는 제1지지몸체(30)의 후측에 고정되며, 스크류바(61)와 마주하는 내측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커플링(63)은 구동축(54)과 스크류바(61)를 연결시키는 커넥터의 기능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플링(63)은 제1방향(A1)으로 설치되며, 하측에는 구동축(54)이 삽입되며 상측에는 스크류바(61)가 삽입된다. 따라서 구동축(54)과 커플링(63)과 스크류바(61)의 회전은 동기화된다.
볼너트(64)는 나사산에 맞물리며 스크류바(61)의 외측에 설치되고, 스크류바(61)의 회전에 의해 제1방향(A1)으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볼너트(64)는 볼너트몸체(65)와 날개부재(66)를 포함한다.
볼너트몸체(65)는 제1방향(A1)으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스크류바(61)가 설치되는 중공이 제1방향(A1)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스크류바(61)와 마주하는 볼너트몸체(65)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구비되어 스크류바(61)의 외측에 구비된 수나사에 맞물린다.
날개부재(66)는 볼너트몸체(65)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다. 날개부재(66)에 제1이동몸체부(70)의 이동브라켓(71)이 고정된다.
제1이동몸체부(70)는 볼너트(64)에 결합되어 볼너트(64)와 함께 이동되며, 가이드레일(45)을 따라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몸체부(70)는 이동브라켓(71)과 이동블럭(75)을 포함한다.
이동브라켓(71)은 볼너트(64)에 연결되며, 볼너트(64)와 함께 제1방향(A1)으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브라켓(71)은 볼너트(64)의 날개부재(66)에 고정되며, 볼너트몸체(65)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고정브라켓(72)과, 고정브라켓(72)에서 연장되어 가이드부(43)와 마주하는 연장브라켓(73)을 포함한다.
이동블럭(75)은 가이드레일(45)의 외측에 걸리며, 가이드레일(4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블럭(75)은 이동브라켓(71)의 연장브라켓(73)에 연결된다.
가이드레일(45)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제1방향(A1)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이동블럭(75)도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가이드레일(45)의 외측에 걸리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블럭(75)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블럭(75)에 고정되는 이동브라켓(71)의 제1방향(A1) 이동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안내부(9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100)가 제2이동몸체부(8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선이동부(60)와 회전캠부(100)와 패널연결부(1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몸체부(80)의 일측은 가이드홀부(44)를 통해 제1이동몸체부(70)에 연결되며, 제2이동몸체부(80)의 타측은 회전안내부(90)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이동몸체부(80)는 제1지지몸체(30)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2이동몸체부(80)와 연결되는 제1이동몸체부(70)는 제1지지몸체(30)부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1이동몸체부(70)와 제2이동몸체부(80)는 가이드홀부(44)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가이드레일(45)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이동몸체부(80)는, 슬라이딩몸체(81)와 사이드부재(82)와 회전지지축(8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몸체(81)는 제1지지몸체(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이동몸체부(7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슬라이딩몸체(81)는 제1지지몸체(30)의 전방에 위치한다.
사이드부재(82)는 슬라이딩몸체(81)의 양측에서 제1이동몸체부(70)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 형상이다. 사이드부재(82)는 제1이동몸체부(70)의 이동블럭(75)에 접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되므로, 이동블럭(75)과 함께 사이드부재(82)도 제1방향(A1)으로 이동된다.
회전지지축(83)은 슬라이딩몸체(81)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축(83)은 슬라이딩몸체(81)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이다.
가이드레일(45)을 지지하는 제1지지몸체(30)를 기준으로 할때, 제1지지몸체(30)의 전방에는 제2이동몸체부(80)가 위치하며, 제1지지몸체(30)의 후방에는 제1이동몸체부(70)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1이동몸체부(70)와 제2이동몸체부(80)는 가이드레일(45)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제2이동몸체부(80)에 연결된 회전캠부(100)의 이동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안내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연결부(16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연결부(16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안내부(90)는 직선이동부(60)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연결하며, 직선이동부(60)의 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전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직선이동부(60)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회전안내부(90)의 캠 형상에 의해 회전된다. 캠(Cam) 형상이란 회전운동을 유도하는 캠의 모양을 말한다. 회전안내부(90)에 구비된 회전캠부(100)는 판 형상의 캠이며, 회전캠부(100)의 캠 모양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회전된다.
캠은 윤곽 또는 홈이 평면곡선으로 나타나는 평면캠과, 공간곡선으로 나타나는 입체캠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캠의 외측으로 돌기가 돌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가 고정된 회전유도돌기(110)에 접하며 회전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전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돌기가 돌출된 회전안내부(90)의 캠 형상이 고정된 부재에 걸리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모드와 제2모드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안내부(90)는, 회전캠부(100)와 회전유도돌기(110)와 안내부(120)와 링베어링(150)과 패널연결부(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회전캠부(100)는 제2이동몸체부(8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측으로 이동되는 동작과 회전되는 동작을 하나의 구동부(50)로 구현하기 위해, 회전캠부(100)를 캠 형상으로 만든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100)는, 캠몸체(101)와 제1캠돌기부(105)와 제2캠돌기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캠몸체(101)는 내측에 캠홀부(102)가 구비되며, 제2이동몸체부(8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캠몸체(101)는 판 형상이며, 제2이동몸체부(80)의 회전지지축(83)이 캠몸체(101)의 캠홀부(102)에 삽입된다. 캠몸체(101)는 제1지지몸체(30)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1지지몸체(30)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캠몸체(101)에는 제2고정부재(167)가 설치되기 위한 제1장착홀부(103)와, 고정연결부재(170)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제2장착홀부(104)가 구비된다. 제1장착홀부(103)는 캠홀부(102)의 외측에 위치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제2장착홀부(104)도 캠홀부(102)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장착홀부(103)와 함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한편 회전지지축(83)의 외측에는 링베어링(15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링베어링(15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베어링이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이 구속된 회전지지축(83)의 외측에 위치한 캠몸체(101)가 회전할 때 마찰 발생을 저감시켜 캠몸체(101)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제1캠돌기부(105)는 캠몸체(10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2캠돌기부(107)는 제1캠돌기부(105)와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캠몸체(10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캠돌기부(105)와 제2캠돌기부(107)는 캠몸체(101)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캠돌기부(105)와 제2캠돌기부(107)는 직각을 이룰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예각 범위 내에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회전캠부(100)의 회전각도를 고려하여 제1캠돌기부(105)와 제2캠돌기부(107)의 각도가 둔각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회전캠부(100)가 제1방향(A1)인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캠돌기부(105) 또는 제2캠돌기부(107)는 회전유도돌기(110)에 걸려서 회전될 수 있다. 제1캠돌기부(105) 또는 제2캠돌기부(107)가 회전되는 경우, 회전캠부(100)도 같이 회전을 한다.
제1캠돌기부(105)의 측면은 평면을 형성하며 캠몸체(101)와 연결되며, 이러한 제1캠돌기부(105)의 측면을 제1캠측면(106)으로 한다. 제1캠돌기부(105)와 제1캠돌기부(105)를 연결하는 측면은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캠돌기부(107)의 단부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2캠측면(108)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로길이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세로길이 보다 긴 가로 시청형 모드이다. 또한 제2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로길이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세로길이 보다 짧은 세로 시청형 모드이다.
회전캠부(100)가 가이드홀부(44)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캠돌기부(105)가 제2방향(A2)인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경우를 제1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회전캠부(100)가 가이드홀부(44)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캠돌기부(105)가 제1방향(A1)인 상하방향으로 위치된 경우를 제2모드로 설정한다.
회전캠부(100)는 설정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이며, 회전지지축(8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방향(A1)으로 이동되며 회전유도돌기(110)와 안내부(120)에 의해 제1캠돌기부(105)와 제2캠돌기부(107)의 위치와 방향이 가변된다.
회전유도돌기(110)는 회전캠부(100)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회전캠부(100)에 접하며 회전캠부(100)의 회전을 유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유도돌기(110)는 제1지지몸체(3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이다. 또한 회전유도돌기(110)의 외측에는 회전캠부(100)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롤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유도돌기(110)의 외측에는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회전캠부(100)와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안내부(120)는 제1지지몸체(30)에 고정되며, 회전캠부(100)가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회전됨을 유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안내부(120)는 회전캠부(100)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이동되는 회전캠부(100)의 측면에 접하며 회전캠부(100)의 회전과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내부(120)는, 제1안내돌기부(121)와 제2안내돌기부(130)와 제3안내돌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안내돌기부(121)는 회전캠부(100)에 접하며 제1방향(A1)으로 이동되는 회전캠부(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안내돌기부(121)는 회전캠부(100)를 사이에 두고 회전유도돌기(110)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제1안내돌기부(121)는 제1방향(A1)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1안내돌기부(121)는 제1지지몸체(3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지지몸체(30)에 고정되는 막대 형상이다. 제1안내돌기부(121)는 회전캠부(100)의 측면에 접하므로 회전캠부(1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제2안내돌기부(130)는 회전캠부(100)가 제1모드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안내돌기부(130)는 제1안내돌기부(121)의 일측(하측)에 위치하며, 제1안내돌기부(1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2안내돌기부(130)는 제1지지몸체(3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지지몸체(30)에 고정되는 막대 형상이다. 가이드홀부(44)의 하측에 제2안내돌기부(130)가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방향(A1)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회전캠부(100)는 제2안내돌기부(130)에 접하며 하측 이동이 구속된다. 또한 제1캠돌기부(105)가 수평방향인 제2방향(A2)으로 위치하지 못하고,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 회전캠부(100)가 제2안내돌기부(130)에 접하며 회전되므로 제1캠돌기부(105)가 제2방향(A2)으로 위치한다.
제3안내돌기부(140)는 회전캠부(100)가 제2모드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3안내돌기부(140)는 제1안내돌기부(121)의 타측(상측)에 위치하며, 제1안내돌기부(1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3안내돌기부(140)는 제1지지몸체(3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지지몸체(30)에 고정되는 막대 형상이다. 가이드홀부(44)의 상측에 제3안내돌기부(140)가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방향(A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회전캠부(100)는 제3안내돌기부(140)에 접하며 상측 이동이 구속된다. 또한 제2캠돌기부(107)가 수평방향인 제2방향(A2)으로 위치하지 못하고,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 제2캠돌기부(107)가 제3안내돌기부(140)에 접하며 회전되므로 제2캠돌기부(107)가 제2방향(A2)으로 위치한다.
또한 제2안내돌기부(130)와 제3안내돌기부(140)는 서로 마주하며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방향(A1)과 교차하는 제2방향(A2)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유도돌기(110)는 제2안내돌기부(130)와 제3안내돌기부(140)의 사이에 위치한다. 회전유도돌기(110)와 제2안내돌기부(130) 사이의 거리를 제1거리라 하고, 회전유도돌기(110)와 제3안내돌기부(140) 사이의 거리를 제2거리라 할 때, 제1거리는 제2거리 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유도돌기(110)에 의해 1차 회전된 회전캠부(100)가 제3안내돌기부(140)에 접하며 2차 회전이 되므로 회전캠부(10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연결부(160)는 회전캠부(100)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연결하며, 회전캠부(100)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연결부(160)는 스윙브라켓부(161)와 제1고정부재(165)와 제2고정부재(167)와 고정연결부재(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윙브라켓부(161)는 회전캠부(100)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윙브라켓부(16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측에 고정된다. 스윙브라켓부(16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패널(12)의 후측에 고정된다. 스윙브라켓부(161)는 지지패널(12)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로 제작되어 지지패널(1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스윙브라켓부(161)에는 제1고정부재(165)와 고정연결부재(170)가 고정되기 위한 홈부가 복수로 구비된다.
제1고정부재(165)는 스윙브라켓부(161)에 고정된다. 제1고정부재(165)는 자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자석에 붙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고정부재(165)가 스윙브라켓부(161)에 구비된 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이동구속부재(166)가 제1고정부재(165)를 관통하며 스윙브라켓부(161)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고정부재(165)가 스윙브라켓부(16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고정부재(167)는 제1고정부재(165)와 마주하는 회전캠부(100)에 고정된다. 제2고정부재(167)는 자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자석에 붙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고정부재(167)가 회전캠부(100)의 제1장착홀부(10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이동구속부재(168)가 제2고정부재(167)를 관통하며 회전캠부(10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고정부재(167)가 회전캠부(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65)와 제2고정부재(16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재(165)와 제2고정부재(167)는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165)와 제2고정부재(167)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고정연결부재(170)의 일측은 스윙브라켓부(161)에 삽입되며, 고정연결부재(170)의 타측은 회전캠부(100)에 삽입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연결부재(170)는, 스윙브라켓부(161)에 고정되는 삽입돌기(171)와, 삽입돌기(171)에서 연장되며 삽입돌기(171)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머리부재(172)를 포함한다.
삽입돌기(171)는 스윙브라켓부(161)에 체결되거나 끼움식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머리부재(172)는 회전캠부(100)의 제2장착홀부(104)에 체결되거나 끼움식으로 고정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걸이 모드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벽(190)에 구비된 걸이고리(191)가 제2지지몸체(33)에 구비된 벽걸이홈부(34)에 걸리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지지벽(190)에 고정된다.
한편 지지부(20)의 하측에는 회전구속부(18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회전구속부(180)는 제1지지몸체(3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회전지지돌기(181)와, 제2지지몸체(33)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2회전지지돌기(182) 및 제1회전지지돌기(18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제2회전지지돌기(182)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되는 잠금부재(1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잠금부재(183)가 회전되어 제2회전지지돌기(182)에 걸리므로 제1지지몸체(30)와 제2지지몸체(33)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제1방향', '제2방향'은 방향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방향(A1)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하 방향을, 제2방향(A2)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을 나타낸다.
[제1실시예 동작]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가로 시청형 모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몸체(30)의 후측을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100)가 제2안내돌기부(130)에 접하며 가로 시청형 모드로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가로 시청형 모드로 있는 경우, 회전캠부(100)는 가이드홀부(44)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회전캠부(100)의 하측은 제2안내돌기부(130)에 접한 상태이다.
회전캠부(100)의 제1캠돌기부(105)는 제2방향(A2)인 수평방향에 위치하며, 제2캠돌기부(107)는 상측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만약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세워서 시청하려 하는 경우,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부(50)가 동작된다. 구동부(50)가 동작되어 스크류바(61)가 회전하면, 스크류바(61)를 따라 볼너트(64)가 제1방향(A1)으로 이동된다. 볼너트(64)와 함께 이동브라켓(71)이 제1방향(A1)으로 이동되며, 이동블럭(75)을 이동시킨다. 이동블럭(75)과 연결된 제2이동몸체부(80)도 제1방향(A1)으로 이동되며, 제2이동몸체부(8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캠부(100)도 제1방향(A1)으로 이동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1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회전유도돌기(110)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100)의 상승 동작시 회전유도돌기(110)에 걸려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회전캠부(100)가 회전유도돌기(110)에 걸린 경우, 회전캠부(100)가 회전을 한다. 회전캠부(100)의 제1캠돌기부(105)의 상측이 회전유도돌기(110)에 걸리면, 회전캠부(100)는 회전지지축(8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도 17기준)으로 회전을 하기 시작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100)가 제3안내돌기부(140)에 접하며 세로 시청형 모드로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세로 시청형 모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몸체부(70)가 가이드부(43)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축(83)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되는 회전캠부(100)의 제2캠돌기부(107)는 제3안내돌기부(140)에 접하며 반시계 방향(도 19기준)으로 추가 회전된다. 따라서 제3안내돌기부(140)에 제2캠돌기부(107)의 상측면이 접한 회전캠부(100)는 세로 시청형 모드로 정지된다. 제2캠돌기부(107)는 제2방향(A2)인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며, 제1캠돌기부(105)는 하측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회전캠부(10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며 90도 회전되므로 세로 시청형 모드로 위치가 변환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100)의 하강 동작시 회전유도돌기(110)에 걸려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부(100)가 하강하는 동작을 할 경우, 제2캠돌기부(107)가 회전유도돌기(110)에 걸린다. 따라서 회전캠부(100)는 회전지지축(8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100)가 회전유도돌기(110)에 의해 회전된 상태에서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도돌기(110)를 통과하며 하측으로 이동되는 회전캠부(100)는 제1안내돌기부(121)에 의해 측면이 가이드되며 하측으로 이동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100)가 하강하며 제2안내돌기부(130)에 접하므로 가로 시청형 모드로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돌기부(105)의 측면에 위치한 제1캠측면(106)이 제3안내돌기부(140)에 접하면서 회전캠부(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따라서 제2안내돌기부(130)에 제1캠돌기부(105)의 하측면이 접한 회전캠부(100)는 가로 시청형 모드로 정지된다. 제1캠돌기부(105)는 제2방향(A2)인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며, 제2캠돌기부(107)는 상측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회전캠부(100)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며 90도 회전되므로 가로 시청형 모드로 위치가 변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무게가 가벼운 OLED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회전시키는 동작도 가능하므로 다양한 소비자의 시청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비교적 가벼운 무게로 인하여 집안 어디서든 이동이 가능하며, 벽걸이와 스탠드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내부(220)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내부(2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내부(220)는 회전캠부(10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부재(232)와 제2센서부재(2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내부(220)는, 제1안내돌기부(121)와 제2안내돌기부(230)와 제1센서부재(232)와 제3안내돌기부(240)와 제2센서부재(242)를 포함한다.
제1안내돌기부(121)는 제1방향(A1)을 따라 설치되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안내돌기부(230)는 제1안내돌기부(121)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안내돌기부(1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이드홀부(44)의 하측에 제2안내돌기부(230)가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회전캠부(100)와 접하는 제2안내돌기부(230)의 상측면에는 제1센서부재(232)가 설치된다. 제1센서부재(232)와 제2안내돌기부(230)의 상측면은 동일 평면을 갖는다. 제1센서부재(232)는 접촉 방식으로 회전캠부(100)가 제2안내돌기부(230)에 접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제1센서부재(232)가 비접촉 방식으로 동작되어 회전캠부(100)가 제2안내돌기부(230)에 접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제3안내돌기부(240)는 제1안내돌기부(121)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안내돌기부(1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이드홀부(44)의 상측에 제3안내돌기부(240)가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회전캠부(100)와 접하는 제3안내돌기부(240)의 하측면에는 제2센서부재(242)가 설치된다. 제2센서부재(242)와 제3안내돌기부(240)의 하측면은 동일 평면을 갖는다. 제2센서부재(242)는 접촉 방식으로 회전캠부(100)가 제3안내돌기부(240)에 접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제2센서부재(242)가 비접촉 방식으로 동작되어 회전캠부(100)가 제3안내돌기부(240)에 접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회전캠부(100)가 제2안내돌기부(230)에 접하며 가로 시청형 모드로 위치하는 경우 제1센서부재(232)가 동작된다. 제1센서부재(232)는 제2안내돌기부(230)에 회전캠부(100)가 접촉됨을 감지하므로 기기의 작동이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회전캠부(100)가 제3안내돌기부(240)에 접하며 세로 시청형 모드로 위치하는 경우 제2센서부재(242)가 동작된다. 제2센서부재(242)는 제3안내돌기부(240)에 회전캠부(100)가 접촉됨을 감지하므로 기기의 작동이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내부(320)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내부(3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내부(320)는 회전캠부(100)의 이동을 감지하는 기능과 회전캠부(100)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내부(320)는, 제1안내돌기부(121)와 제3안내돌기부(340)와 안내돌기몸체(341)와 제2센서부재(342)와 충격흡수부재(346)를 포함한다.
제1안내돌기부(121)는 제1방향(A1)을 따라 설치되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안내돌기부(340)는 제1안내돌기부(121)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안내돌기부(1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3안내돌기부(340)는, 가이드홀부(44)의 상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돌기몸체(341)와, 안내돌기몸체(341)의 하측을 감싸며 설치되는 충격흡수부재(346) 및 충격흡수부재(346)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제2센서부재(342)를 포함한다.
충격흡수부재(346)와 마주하는 안내돌기몸체(341)는 단차를 이루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충격흡수부재(346)와 안내돌기몸체(341)가 접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충격흡수부재(346)와 안내돌기몸체(341)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346)는 고무나 우레탄 등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생산된다. 따라서 회전캠부(100)가 충격흡수부재(346)에 접하는 경우, 충격 및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346)의 하측면에는 제2센서부재(342)가 설치된다. 제2센서부재(342)와 충격흡수부재(346)의 하측면은 동일 평면을 갖는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3안내돌기부(34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안내돌기부(130)(도시생략)가 제3안내돌기부(340)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4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내부(420)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내부(4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내부(420)는 제1안내돌기부(121)와 제2안내돌기부(430)와 제3안내돌기부(440)를 포함한다.
제1안내돌기부(121)는 제1방향(A1)을 따라 설치되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안내돌기부(430)는 제1안내돌기부(121)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안내돌기부(1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2안내돌기부(430)는, 가이드홀부(44)의 하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안내돌기몸체(431)와, 제2안내돌기몸체(431)의 상측에 위치하며 회전캠부(100)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2지지판(433) 및 제2안내돌기몸체(431)와 제2지지판(433)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지지판(433)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변형부재(432)를 포함한다. 제2탄성변형부재(432)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다양한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3안내돌기부(440)는 제1안내돌기부(121)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안내돌기부(1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3안내돌기부(440)는, 가이드홀부(44)의 상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안내돌기몸체(441)와, 제3안내돌기몸체(441)의 상측에 위치하며 회전캠부(100)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3지지판(443) 및 제3안내돌기몸체(441)와 제3지지판(443)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지지판(443)을 탄성 지지하는 제3탄성변형부재(442)를 포함한다. 제3탄성변형부재(442)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다양한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캠부(100)가 제2안내돌기부(430)에 접할 때, 제2지지판(433)을 가압하며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탄성변형부재(432)가 변형되며 회전캠부(100)의 하강 이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므로, 소음발생과 진동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캠부(100)가 제3안내돌기부(440)에 접할 때, 제3지지판(443)을 가압하며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3탄성변형부재(442)가 변형되며 회전캠부(100)의 상승 이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므로, 소음발생과 진동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전으로 가로 시청형 모드 또는 세로 시청형 모드로 전환되므로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다. 또한 구동부(50)의 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캠부(100)가 회전유도돌기(110)와 안내부(420)에 의해 회전이 안내되므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는 지지부(20)가 스탠드형과 벽걸이형으로 변경이 가능하므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지지부(20)에 각각 제어부가 설치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경량화 할 수 있으며, 간편한 유지보수 구조를 제공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50)의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회전캠부(100)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연결된 스윙브라켓부(161)가 자력과 끼움식 결합구조에 의해 상호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탈착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모듈 11: 디스플레이패널 12: 지지패널 13: 제1제어부
20: 지지부 30: 제1지지몸체 31: 설치홀부 33: 제2지지몸체 34: 벽걸이홈부 35: 회전연결부 36: 제1연결부재 37: 제2연결부재 40: 제2제어부 43: 가이드부 44: 가이드홀부 45: 가이드레일
50: 구동부 52: 구동모터 53: 변속부 54: 구동축
60: 직선이동부 61: 스크류바 62: 베어링홀더 63: 커플링 64: 볼너트 65: 볼너트몸체 66: 날개부재 70: 제1이동몸체부 71: 이동브라켓 72: 고정브라켓 73: 연장브라켓 75: 이동블럭
80: 제2이동몸체부 81: 슬라이딩몸체 82: 사이드부재 83: 회전지지축
90: 회전안내부 100: 회전캠부 101: 캠몸체 102: 캠홀부 103: 제1장착홀부 104: 제2장착홀부 105: 제1캠돌기부 106: 제1캠측면 107: 제2캠돌기부 108: 제2캠측면 110: 회전유도돌기 120: 안내부 121: 제1안내돌기부 130: 제2안내돌기부 140: 제3안내돌기부
150: 링베어링
160: 패널연결부 161: 스윙브라켓부 165: 제1고정부재 166: 제1이동구속부재 167: 제2고정부재 168: 제2이동구속부재 170: 고정연결부재 171: 삽입돌기 172: 머리부재
180: 회전구속부 181: 제1회전지지돌기 182: 제2회전지지돌기 183: 잠금부재 190: 지지벽 191: 걸이고리
200: 케이블부재
220: 안내부 230: 제2안내돌기부 232: 제1센서부재 240: 제3안내돌기부 242: 제2센서부재
320: 안내부 340: 제3안내돌기부 341: 안내돌기몸체 342: 제2센서부재 346: 충격흡수부재
420: 안내부 430: 제2안내돌기부 431: 제2안내돌기몸체 432: 제2탄성변형부재 433: 제2지지판 440: 제3안내돌기부 441: 제3안내돌기몸체 442: 제3탄성변형부재 443: 제3지지판
A1: 제1방향 A2: 제2방향

Claims (24)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직선이동부; 및
    상기 직선이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하며, 상기 직선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회전안내부에 의해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회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로길이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세로길이 보다 긴 가로 시청형 모드이며,
    상기 제2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로길이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세로길이 보다 짧은 세로 시청형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직선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회전캠부;
    상기 회전캠부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캠부에 접하며 상기 회전캠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유도돌기; 및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캠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이동되는 상기 회전캠부의 측면에 접하며 상기 회전캠부가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회전됨을 유도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부는, 내측에 캠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몸체;
    상기 캠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캠돌기부; 및
    상기 제1캠돌기부와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상기 캠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캠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캠돌기부 또는 상기 제2캠돌기부는 상기 회전유도돌기에 걸려서 회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몸체;
    상기 제1지지몸체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지지몸체; 및
    상기 제1지지몸체와 상기 제2지지몸체에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한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몸체와 상기 제2지지몸체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몸체의 측면에는 벽걸이형 장착고리가 삽입되는 벽걸이홈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함께 이동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몸체; 및
    상기 제1지지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지지몸체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지지몸체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부재가 제1지지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측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지지부를 따라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직선이동부; 및
    상기 직선이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하며, 상기 직선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직선이동부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안내부의 캠 형상에 의해 회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직선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회전캠부;
    상기 회전캠부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캠부에 접하며 상기 회전캠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유도돌기; 및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캠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이동되는 상기 회전캠부의 측면에 접하며 상기 회전캠부가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회전됨을 유도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부는, 내측에 캠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몸체;
    상기 캠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캠돌기부; 및
    상기 제1캠돌기부와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상기 캠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캠돌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회전캠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유도돌기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캠부에 접하며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회전캠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돌기부;
    상기 제1안내돌기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안내돌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캠부가 제1모드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돌기부; 및
    상기 제1안내돌기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안내돌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캠부가 제2모드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제3안내돌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돌기부와 상기 제3안내돌기부는 서로 마주하며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회전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패널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연결부는, 상기 회전캠부와 마주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는 스윙브라켓부;
    상기 스윙브라켓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회전캠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성을 구비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는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연결부는, 일측은 상기 스윙브라켓부에 삽입되며 타측은 상기 회전캠부에 삽입되는 고정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직선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직선이동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장공 형상의 홀부를 형성하는 가이드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이동부는 상기 가이드홀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외측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는 스크류바;
    상기 나사산에 맞물리며 상기 스크류바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바의 회전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볼너트;
    상기 볼너트에 결합되어 상기 볼너트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이동몸체부; 및
    일측은 상기 가이드홀부를 통해 상기 제1이동몸체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회전안내부에 연결되는 제2이동몸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몸체부는, 상기 볼너트에 연결되며, 상기 볼너트와 함께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측에 걸리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에 연결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블럭도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측에 걸리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몸체부는,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이동몸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몸체;
    상기 슬라이딩몸체의 양측에서 상기 제1이동몸체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이동몸체부에 고정되는 사이드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몸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지지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99477A 2020-08-07 2020-08-07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18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477A KR20220018845A (ko) 2020-08-07 2020-08-07 디스플레이 장치
CN202110875289.1A CN114060655B (zh) 2020-08-07 2021-07-30 显示装置
US17/393,094 US11788672B2 (en) 2020-08-07 2021-08-03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477A KR20220018845A (ko) 2020-08-07 2020-08-0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845A true KR20220018845A (ko) 2022-02-15

Family

ID=8011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477A KR20220018845A (ko) 2020-08-07 2020-08-0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88672B2 (ko)
KR (1) KR20220018845A (ko)
CN (1) CN114060655B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120B1 (ko) * 2003-08-21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JP2006010025A (ja) * 2004-06-29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軸ヒンジ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KR20070033210A (ko) * 2005-09-21 2007-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TWI333098B (en) * 2006-03-03 2010-11-11 Benq Corp Rotatable apparatus
TWI328786B (en) * 2007-06-29 2010-08-11 Chimei Innolux Corp Display device
CN201237069Y (zh) * 2008-04-30 2009-05-13 昆山呈杰电脑配件有限公司 带有定位机构的显示器支架
KR100911651B1 (ko) 2008-05-15 2009-08-10 이정우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거치대 회전시스템
KR20110071547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벽걸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WI515385B (zh) * 2012-06-05 2016-01-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調整支撐裝置
US11538442B2 (en) * 2018-04-13 2022-1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virtual elements on a multipositional display
US11378225B2 (en) * 2018-09-07 2022-07-05 Apple Inc. Display support arm mount
US11425830B2 (en) * 2018-10-05 2022-08-23 Meta Platforms, Inc. Hinge mechanism of a device mount
KR102541184B1 (ko) 2018-11-02 202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높이조절 장치
KR102564304B1 (ko) * 2018-12-31 202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853474B (zh) * 2019-04-25 2022-02-08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2209787B1 (ko) * 2020-04-08 2021-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9121B1 (ko) * 2020-08-07 2021-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60655B (zh) 2023-09-19
CN114060655A (zh) 2022-02-18
US11788672B2 (en) 2023-10-17
US20220042642A1 (en)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7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62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532832A (ja) 組み込まれたリニア駆動装置を備えたスライディングドア懸架装置
US11174984B2 (en) Display apparatus
KR1021991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2563320B (zh) 一种有阻尼的旋转壁挂支架
CN103336402B (zh) 一种可两维度调节位移的翻转机构
KR20110070019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벽걸이어셈블리
KR2022001884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86068B1 (ko) 단지내 지하전력구 전기케이블 지지대
KR101434785B1 (ko) 내진성을 갖는 고정형 버티컬 루버 블라인드
KR101002781B1 (ko)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WO2021127920A1 (zh) 电子设备及使用方法
CN1723361A (zh) 具有固定支撑基座的显示系统
KR101389435B1 (ko) 지시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구동장치
US10634277B2 (en) Stand and television apparatus
JP2005184506A (ja) テレビスタンド
KR101256398B1 (ko) 레일 마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용접 캐리지용 레일의 고정장치
JP5853579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1503495A (zh) 一种通用型旋转支架结构
CN205743398U (zh) 客车及其后舱铰链装置
CN108350638B (zh) 洗衣机
KR20130075596A (ko) 선박용 고정부재 고정장치
KR20080099892A (ko) 영상표시모니터의 수평방향 시청각 조정장치
CN113126415A (zh) 投影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