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335B1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0335B1 KR102540335B1 KR1020160167326A KR20160167326A KR102540335B1 KR 102540335 B1 KR102540335 B1 KR 102540335B1 KR 1020160167326 A KR1020160167326 A KR 1020160167326A KR 20160167326 A KR20160167326 A KR 20160167326A KR 102540335 B1 KR102540335 B1 KR 1025403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harging
- disposed
- drainage
- plat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Pretreatment of the gases prior to electrostatic precipitation
- B03C3/014—Addition of water; Heat exchange, e.g. by conden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04—Ionising electrode being a wi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전기집진장치가 개시된다. 전기집진장치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혼합부, 혼합부에 대전된 액적(droplet)을 분사하여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결합시키는 정전 분무부, 전기장을 형성하여 오염물질과 결합된 액적을 흡착하는 집진부 및 집진부에 결합되어 집진부에 흡착된 액적을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집진성능 및 관리의 편의성이 개선된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공기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가습기 및 공기청정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습기는 물을 액적(droplet) 상태로 분무하거나 혹은 수증기로 만들어 분사함으로써 실내의 공기 중 습도를 상승 또는 유지시키며,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 입자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필터로 걸러낸 뒤 정화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함으로써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최근에는, 가습기와 공기청정기가 결합되어 하나의 장치에서 가습 및 공기청정이 모두 수행 가능한, 이른바 가습공기청정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가습기, 공기청정기 및 가습공기청정기는 공통적으로 필터를 통해 오염물질을 걸러내는바, 정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하거나 세척해야 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다만, 이러한 관리가 제때에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에는, 오염물질이 축적된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바, 오히려 실내공기의 질이 더 나빠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성능이 개선되고 집진부가 자동으로 세척되는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에 대전된 액적(droplet)을 분사하여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결합시키는 정전 분무부; 전기장을 형성하여 오염물질과 결합된 액적을 흡착하는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부에 흡착된 액적을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집진부는, 대전부; 및 상기 대전부와 마주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전부를 통과한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부는, 상기 대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단부로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대전 와이어; 및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각 하단부에 결합된 다수의 응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부는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 및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커버하는 대전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대전부 커버는 상기 다수의 응결 유닛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결 유닛은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 및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양측면 일부를 커버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배수구멍을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수 가이드 유닛은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저면부 및 상기 저면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의 하단부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2 배수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수 가이드 유닛은 상기 대전부의 하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혼합부의 저면을 향해 경사진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부는 상기 대전부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가 각각 권선되는 다수의 권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권선부는 상기 제2 배수 가이드 유닛 상에 결합될수 있다.
상기 권선부는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 가이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배수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선부는 옆면에 돌출 형성되며 권선된 상기 대전 와이어를 지지하는 복수의 권선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 지지부는 상기 권선부의 하단으로부터 10mm 내지 15mm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의 상단부와 상기 대전부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대전부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배수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배수 가이드 유닛은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저면부 및 상기 저면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면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부 중 상기 대전부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측벽부는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와이어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부는,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제1 연결 플레이트;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제2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대전부 커버 사이를 절연하는 제1 및 제2 절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절연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는 그라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흡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흡착부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 및 상기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 및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초친수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커버하는 흡착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 커버는 상기 대전부와 마주하는 제1 흡착부 커버 및 상기 제1 흡착부 커버와 결합하는 제2 흡착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흡착부 커버는 하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 분무부는, 물이 저장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전압을 가하는 제1 전극부;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혼합부로 액적을 분사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와 상기 혼합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부의 전극과 반대되는 전극이 인가되는 제2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개구를 구비한 노즐 플레이트; 및 상기 노즐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다수의 분사 홀을 구비한 노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다수의 분사 홀의 배치와 대응되는 형상의 개구를 내측에 구비한 고리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개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다수의 제2 전극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노즐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노즐 브라켓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 홀의 직경은 25㎛ 내지 50㎛일 수 있다.
중력에 의해 상기 배수부로부터 낙하하는 액적을 수거하는 저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에 대전된 액적(droplet)을 분사하여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결합시키는 정전 분무부; 전기장을 형성하여 오염물질과 결합된 액적을 흡착하는 집진부; 상기 집진부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부에 흡착된 액적을 배출시키는 배수부; 중력에 의해 상기 배수부로부터 낙하하는 액적을 수거하는 저수부; 및 상기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전 분무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정전 분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집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집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대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대전부의 하단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대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대전부의 일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대전부의 상단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대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흡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흡착부의 대전 플레이트와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6에 도시된 집진부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정전 분무부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정전 분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전 분무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정전 분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집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집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대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대전부의 하단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대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대전부의 일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대전부의 상단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대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흡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흡착부의 대전 플레이트와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6에 도시된 집진부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정전 분무부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정전 분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는 전기집진장치(1)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 냄새입자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걸러낸 뒤 정화된 공기를 다시 배출하는 가습기, 공기청정기 및 가습공기청정기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기집진장치(1)로 통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 및 케이스(11)에 결합된 외부필터(12)를 포함한다.
케이스(11)는 대략적인 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으며, 케이스(11)의 전면에 형성된 흡기구(11a)를 통해 케이스(11)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케이스(11)의 흡기구(11a)를 통해 전기집진장치(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기집진장치(1)의 내부에서 오염물질이 제거되며, 정화된 공기는 케이스(11)의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1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기구(111)는 내측에 배치된 다수의 날개(1111)를 포함하는 그릴 구조일 수 있으며, 배기구(111)는 케이스(11)의 상면 외에도 케이스(11)의 측면, 후면 및 전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흡기구(11a)에는 흡기구(11a)를 커버하는 외부필터(12)가 배치된다.
외부필터(12)는 다수의 개구를 포함한 필터 트레이(121)와 필터 트레이(121)의 각 개구를 커버하는 다수의 거름망(1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거름망(122)은 다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집진장치(1)의 외부의 공기가 다수의 거름망(122)을 통과하여 흡기구(11a)를 통해 전기집진장치(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집진장치(1)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외부필터(12)에 의해 걸러진 뒤 전기집진장치(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외부필터(12)는 케이스(11) 상에 흡기구(11a)와 대응되는 위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필터(12)에 오염물질이 누적된 경우, 외부필터(12)를 케이스(11)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필터(12)는 케이스(11)의 흡기구(11a)를 개폐하도록 케이스(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필터(12)를 케이스(11)에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에는 전기집진장치(1)의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사용자의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11)는 일측 또는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저수부(도 2의 14)를 전기집진장치(1)의 내측에서 분리하여 저수부(14)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정전 분무부(도 2의 20)에 공급되는 물을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1)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케이스(11)를 제거한 상태의 전기집진장치(1)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하였으며, 내부에서 외부 공기의 오염물질이 대전된 액적(droplet; D)에 응집되는 혼합부(13)는 투명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집진장치(1)는 혼합부(13), 저수부(14), 정전 분무부(20), 집진부(30) 및 토출부(40)를 포함한다.
혼합부(13), 저수부(14), 정전 분무무(20), 집진부(30) 및 토출부(40)는 전술한 케이스(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혼합부(13)는 내부에 유로를 구비한 덕트일 수 있으며, 케이스(11)의 흡기구(11a)와 연통됨으로써 외부 공기가 혼합부(1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울러, 혼합부(13)는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집진부(30)를 지나 배기구(111)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구비한다.
혼합부(13)는 일단이 케이스(11)의 흡기구(11a)와 연통되고,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이 케이스(11)의 배기구(111)와 연통될 수 있다. 혼합부(13)는 케이스(11)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혼합부(13)에는 정전 분무부(20) 및 집진부(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혼합부(13)의 내부에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된 후 집진부(30)를 지나 배기구(111)로 배출될 수 있다.
정전 분무부(20)는 혼합부(13)의 상단에 배치되어 혼합부(13)에 대전된 액적(D)을 분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전 분무부(20)는 혼합부(13)에 유입된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액적(D)에 응집시킬 수 있다.
대전된 액적(D)은 극성을 가지므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용이하게 액적(D)에 응집될 수 있다. 또한, 혼합부(13) 상에서 대전된 액적(D)은 오염물질과 결합함에 따라 그 크기가 커지게 된다.
집진부(30)는 혼합부(13)의 하류에 배치되며, 전기장을 형성하여 오염물질과 결합된 액적(D)을 흡착할 수 있다.
집진부(30)는 대전부(31) 및 대전부(31)와 마주하게 결합되어 대전부(31)를 통과한 액적(D)을 흡착하는 흡착부(32)를 포함한다.
집진부(30)는 대전부(31)의 코로나 방전을 통해 오염물질과 결합된 액적(D)을 대전시킨 뒤, 이를 흡착부(32)에서 흡착하며, 흡착부(32)에 흡착된 오염 물질과 응집된 액적(D)은 물방울 형태로 응결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1)는 집진부(30)에 응결된 액적(D)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부(도 6의 300)를 포함하며, 배수부(300)는 집진부(30)에 결합되어 집진부(30)에 흡착된 액적(D)을 집진부(3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수부(300)를 통해 집진부(30)의 외부로 배출된 액적(D)은 집진부(30)의 하측에 배치된 저수부(14)로 흘러내리거나 낙하함으로써 저수부(14)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부(30)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α1)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각도(α1)는 예각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부(30)에 응결된 액적(D)은 중력에 의해 집진부(30)의 하단으로 흘러내리거나 낙하함으로써 저수부(14)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집진부(30)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세워질 수도 있다.
전술한 정전 분무부(20), 집진부(30) 및 배수부(3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저수부(14)는 혼합부(13) 및 집진부(30)에서 응결되어 흘러내린 액적(D)이 저장될 수 있도록, 혼합부(13) 및 집진부(3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부(14)는 케이스(11)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부(14)에 수거된 오염된 액적(D)을 제거하는 경우, 저수부(14)를 케이스(11)로부터 간단히 분리하여 오염된 액적(D)을 버릴 수 있다.
토출부(40)는 배기구(11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집진부(30)를 통과한 공기를 배기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토출부(40)는 전기집진장치(1)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기준으로 집진부(30)보다 하류에 배치된다.
아울러, 토출부(40)가 작동함에 따라 혼합부(13)의 내부가 전기집진장치(1)의 외부(대기압 상태) 보다 저압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기집진장치(1) 주변의 외부 공기는 케이스(11)의 흡기구(11a)를 통해 혼합부(13) 내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토출부(40)는 집진부(30)를 통과한 공기를 전기집진장치(1)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혼합부(13) 내로 외부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부(40)는 토출 케이스(41) 및 토출 케이스(41)의 내부에 배치된 토출 모터(42)를 포함한다.
토출 모터(42)에는 팬(fan, 미도시)이 결합되며, 팬은 토출 모터(42)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함으로써 집진부(30)를 통과한 공기를 배기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팬은 소음이 적은 시로코 팬(sirocco fan)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됨이 없이 집진부(3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팬일 수 있다.
토출 모터(42) 및 팬은 토출 케이스(4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토출 케이스(41)는 집진부(3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411)를 포함한다. 토출 케이스(41)의 개구(411)는 원통형의 토출 케이스(41)의 옆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집진장치(1) 내부의 집진부(30)의 하류의 유로 및 배기구(111)와 연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토출 케이스(41)의 하측의 개구(411)로는 집진부(3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며, 토출 케이스(41)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 케이스(41)의 상측의 개구(411)를 지나 배기구(111)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토출 케이스(41)는 집진부(30)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 케이스(41)의 내부로 가이드하고, 토출 케이스(41)의 내부로부터 배기구(111)로의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날개(4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날개(412)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가이드 날개(412)는 토출 케이스(41)의 개구(411)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토출부(40)의 구성은 전기집진장치(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전 분무부(2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정전 분무부(2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정전 분무부(2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정전 분무부(20)는 혼합부(13)의 상단에 배치되어 혼합부(13)에 유입된 외부 공기를 향해 대전된 액적을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전 분무부(20)는 물이 저장되는 수용부(21), 수용부(21)에 전압을 가하는 제1 전극부(22), 수용부(21)에 결합되어 혼합부(13)로 액적을 분사하는 노즐부(23) 및 노즐부(23)와 혼합부(13)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전극부(22)의 전극과 반대되는 전극이 인가되는 제2 전극부(24)를 포함한다.
수용부(21)는 정전 분무부(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된 물을 노즐부(23)로 공급하며, 노즐부(23)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 전극부(22)는 수용부(21)에 결합되어 수용부(21)에 저장된 물에 제1 전극을 인가할 수 있으며, 제1 전극부(22)는 별도의 전원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수용부(21)는 전도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용부(21)의 외면에 제1 전극부(22)가 결합되어 제1 전극부(22)가 수용부(21)에 제1 전극을 인가함으로써 수용부(21)에 저장된 물이 제1 전극으로 대전될 수 있다.
제1 전극부(22)를 통해 수용부(21)에 인가되는 제1 전극은 플러스 극 또는 마이너스 극일 수 있으나, 후술하는 제2 전극부(24)에 인가되는 제2 전극과는 반대되는 극성이 인가된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은 플러스 극일 수 있으며, 제2 전극은 마이너스 극일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부(22)는 수용부(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용부(21)에 저장된 물에 직접적으로 제1 전극을 인가할 수 있다.
아울러, 수용부(21)는 별도의 급수부(미도시)와 연결됨으로써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급수부는 저수부(14)와 연결되어 저수부(14)에 저장된 물을 수용부(21)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집진장치(1) 내부의 물을 저수부(14)와 수용부(21)로 순환시킬 수 있다. 다만, 저수부(14)에 저장된 물은 오염된 물일 수 있는바, 급수부는 별도의 정수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1)는 저면에 형성된 개구(211)를 포함하며, 노즐부(23)는 수용부(21)의 개구(211)를 커버하도록 수용부(21)의 하측에 결합됨으로써 수용부(21)의 개구(211)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노즐부(23)는 수용부(21)에 결합되며 내측에 다수의 개구(2311)를 구비한 노즐 플레이트(231), 노즐 플레이트(231)의 하측에 결합되며 다수의 분사 홀(2321)을 구비한 노즐 필름(232)을 포함한다.
노즐 플레이트(231)는 노즐 필름(232)을 수용부(21)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수용부(21)의 개구(211)와 연통된 다수의 개구(2311)를 포함한다. 다만, 노즐부(23)는 노즐 플레이트(231) 없이 노즐 필름(232)이 직접 수용부(21)의 하측에 결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수용부(21)에 수용된 물은 수용부(21)의 개구(211) 및 노즐 플레이트(231)의 개구(2311)를 순차적으로 지나 노즐 필름(232)의 분사 홀(2321)을 통과함으로써, 미세한 크기의 액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노즐 필름(232)은 두께가 25㎛ 내지 100㎛인 필름일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필름(232)은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분사 홀(2321)을 포함하며, 액적을 형성하기 위해 분사 홀(2321)의 직경은 25㎛ 내지 5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분사 홀(2321)은 레이저 드릴링(laser drilling)을 통해 노즐 필름(232)에 가공될 수 있다.
아울러, 노즐 플레이트(231)와 수용부(21)의 결합부 사이에는 제1 실링부재(26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261)는 노즐 플레이트(231)와 수용부(21) 사이를 밀폐시켜줌으로써 수용부(21)에 저장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261)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노즐 플레이트(231)의 다수의 개구(2311)의 최외곽을 따라 형성된 링 모양일 수 있다.
노즐 필름(232)이 결합된 노즐 플레이트(231)의 하측에는 노즐 플레이트(231)를 지지하는 노즐 브라켓(233)이 결합될 수 있다.
노즐 브라켓(233)은 노즐 필름(232)의 다수의 분사 홀(2321)의 배치와 대응되는 개구(2331)를 내측에 구비한다. 아울러, 노즐 브라켓(233)의 개구(2331)의 외측부에 노즐 플레이트(231)가 결합됨으로써 노즐 브라켓(233)이 노즐 플레이트(231)를 지지할 수 있다.
노즐 브라켓(233)의 하측에는 제2 전극부(24)가 노즐부(23)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전극부(24)는 노즐부(23)의 하측에 노즐부(23)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노즐부(23)로부터 분사되는 액적에 제1 전극부(22)의 제1 전극과 반대되는 제2 전극을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전극부(24)는 노즐 필름(232)의 다수의 분사 홀(2321)의 배치와 대응되는 개구(2411)를 내측에 구비한 고리 형상의 프레임(241) 및 프레임(241)의 개구(2411)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다수의 제2 전극 와이어(242)를 포함한다.
프레임(24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고리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전극 와이어(242)는 프레임(241)의 양측에 연결됨으로써, 다수의 제2 전극 와이어(242)는 서로 평행하게 프레임(241)의 개구(2411)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41)에는 별도의 전원부(미도시)를 통해 제2 전극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분사 홀(2321)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2 전극 와이어(242)에 제2 전극이 인가될 수 있다.
프레임(241) 및 제2 전극 와이어(242)에 제2 전극이 인가됨으로써, 제2 전극부(24)는 다수의 분사 홀(2321)로부터 분사되는 제1 전극으로 대전된 액적에 제2 전극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부(22)와 제2 전극부(24)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되며, 제1 전극부(22)를 통해 수용부(21) 상에서 제1 전극으로 대전된 물은, 제1 전극과 반대되는 제2 전극부(24)의 제2 전극에 의해 발생되는 이온 증발(ion evaporation) 및 쿨롱 폭발(coulombic explosion)을 통해, 다수의 분사 홀(2321)을 통과하여 대전된 미세 액적 상태로 혼합부(13)에 분사될 수 있다.
제2 전극 와이어(242)는 전도성의 텅스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전극 와이어(242)의 직경은 0.08㎜ 내지 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241)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2411)에는 다수의 분사 홀(2321)로부터 분사되는 액적이 통과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분사 홀(2321)로부터 분사된 액적은 노즐 브라켓(233)의 개구(2331)를 지나 프레임(241)의 개구(2411)를 통과하여 혼합부(13)로 분사될 수 있다.
제2 전극부(24)는, 제2 전극부(24)와 노즐부(23)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프레임(241)과 노즐 브라켓(233)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243)를 포함한다.
다수의 연결부재(243)를 통해 제2 전극부(24)는 노즐 브라켓(233)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연결부재(243)는 프레임(241)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연결부재(243)는 각각, 일단이 프레임(241)의 모서리에 접하고 타단이 노즐 브라켓(233)에 접하는 연결기둥(2431)과, 일단부가 프레임(241) 및 연결기둥(2431)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뒤 노즐 브라켓(233)에 결합됨으로써, 프레임(241), 연결기둥(2431) 및 노즐 브라켓(233)을 체결하는 체결부재(2432)를 포함한다.
체결부재(2432)의 일단부와 노즐 브라켓(233)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2432)의 일단부는 노즐 브라켓(23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수나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즐 브라켓(233)은 체결부재(2432)의 일단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41) 및 연결기둥(2431)은 체결부재(2432)가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부(22)와 제2 전극부(24)가 전기장을 형성하여, 수용부(21)에 수용된 물을 대전된 액적으로 혼합부(13)에 분사하기 위해, 제2 전극부(24)는 노즐부(23)의 분사 홀(2321)로부터 50㎜ 내지 70㎜로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연결기둥(2431)의 길이는 50㎜ 내지 70㎜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정전 분무부(20)는 노즐 브라켓(233)과 혼합부(13)를 연결하는 연통부재(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통부재(25)는 노즐 브라켓(233)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2 전극부(24)의 측방을 감쌀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부재(25)는 예를 들어, 갓(shade)의 형상일 수 있으며, 노즐부(23)를 통해 분사되는 액적이 혼합부(13)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혼합부(13)와 노즐부(23)를 연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부재(25)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는 혼합부(13)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와 연통되도록 혼합부(13)와 결합하고, 연통부재(25)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는 노즐부(23)의 분사 홀(2321)을 내측에 포함하도록 노즐 브라켓(233)과 결합함으로써, 노즐부(23)를 통해 분사되는 액적이 연통부재(25)의 내부를 통과하여 혼합부(13)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즐부(23)를 통해 분사되는 액적은 손실 없이 혼합부(13)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연통부재(25)의 유로는 노즐부(23)에 근접한 타측에서 혼합부(13)에 근접한 일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 브라켓(233)과 결합하는 연통부재(25)의 타측과 노즐 브라켓(233)의 결합부 사이에는 제2 실링부재(26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262)는 노즐 브라켓(233)과 연통부재(25)의 결합부 사이를 밀폐시켜줌으로써 노즐부(23)에서 분사되는 액적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262)는 고무재질 또는 폴리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통부재(25)의 타측의 형상과 대응되는 링 모양일 수 있다.
정전 분무부(20)를 통해 혼합부(13)로 분사되는 대전된 액적은 극성을 가지므로 혼합부(13)로 유입된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들과 응집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혼합부(13) 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아울러, 혼합부(13)에서 오염물질과 응집된 액적은 후술하는 집진부(30)에 흡착되어 저수부(14)로 수거될 수 있는바, 혼합부(13)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는 집진부(30)를 지나 배기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정전 분무부(20)를 통해 분사되는 액적은 고압의 전원을 인가받아 대전되므로, 종래의 집진장치를 통해서는 제거가 어려웠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 곰팡이 및 수용성 오염물질들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수용부(21)에 직접적으로 고압의 전극이 인가됨으로써 수용부(21)에 수용된 물에 포함된 세균이나 곰팡이 역시 제거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의 정전 분무부(20)는 수용부(21)에 직접적으로 제1 전극을 인가함으로써 수용부(21)에 저장된 물을 대전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분사 홀(2321)이 형성된 노즐 필름(232)으로 미세 액적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정전 분무부(2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전 분무부(20)를 포함한 전기집진장치(1)의 제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정전 분무부(20)의 노즐부(23)는 종래에 사용되는 스프레이 타입의 노즐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별도의 수용부 없이 스프레이 타입의 노즐에 급수부가 직접 연결됨으로써 혼합부(13)로 액적을 분사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집진부(30)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집진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집진부(30)는 대전부(31)와 흡착부(32)를 포함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부(13) 내에서 정화된 공기는 혼합부(13)와 마주하게 배치된 대전부(31) 및 대전부(31)에 결합된 흡착부(32)를 지나 배기구(111)로 배출될 수 있다.
대전부(31)는 혼합부(13)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오염물질과 응집된 액적을 대전시키며, 흡착부(32)는 대전부(31)에서 대전된 액적을 흡착한다.
따라서, 액적에 의해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집진부(30)를 통과하여 배기구(1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오염물질과 결합되지 않은 미세 액적 역시 집진부(30)를 통과하여 배기구(1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는 유입된 외부 공기를 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과 결합되지 않은 미세 액적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적정 습도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전기집진장치(1)는 공기청정기뿐만 아니라 가습기로서도 기능하는 가습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부(30)는 혼합부(13)의 하류에 배치되어 혼합부(13) 상에서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결합된 액적을 흡착할 수 있으며,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α1)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부(30)상에 오염물질과 결합된 상태로 흡착된 액적은 집진부(30)에서 물방울 형태로 응결될 수 있으며, 응결된 액적은 중력에 의해 집진부(30)의 하단부로 흘러내릴 수 있다. 즉, 대전부(31) 및 흡착부(32)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역시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α1)로 경사지게 배치되는바, 대전부(31) 및 흡착부(32)에 응결된 액적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집진부(30)는 혼합부(13)에서 오염물질과 결합된 액적을 대전시켜 흡착하기 위해 고전압이 인가되므로, 집진부(30)에 응결된 액적에 의해 발생되는 합선, 트래킹(tracking) 또는 누전 등과 같은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집진부(30)에 흡착된 액적을 배출시키는 배수부(300)가 결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300)는 집진부(30)의 하측에 배치된 제1 배수부(301)와 집진부(30)의 상측에 배치된 제2 배수부(302)를 포함한다.
집진부(30)에 응결된 액적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흘러내리므로 제1 배수부(301)를 통해 집진부(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수부(302)를 통해서도 집진부(30)의 상측에 응결된 액적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부(300)를 구비한 집진부(3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대전부(3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대전부(31)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대전부(31)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 및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와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를 일측에서 커버하는 대전부 커버(314)를 포함한다.
대전부 커버(314)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혼합부(13)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혼합부(13) 내의 오염물질과 응집된 액적이 유입되는 다수의 흡입구(3141)를 포함한다. 아울러, 대전부 커버(314)의 다수의 흡입구(3141)는 대전부 커버(314)에 격자로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 커버(314)의 내측에는 고압의 전원이 인가되는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가 대전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는 대전부(31)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는 전도성의 텅스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 사이에는 대전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가 배치되며,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와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는 대전부 커버(314)의 내측에서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의 각 상단부(311a)는 전원연결부(3111)에 연결됨으로써 고전압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는 플러스 극의 고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는 접지되며, 플러스 극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와는 상대적으로, 마이너스 극으로 대전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에 플러스 극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와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다.
이를 통해, 대전부 커버(314)의 다수의 흡입구(3141)를 통해 유입된 오염물질과 응집된 액적은 플러스 극으로 대전될 수 있다. 아울러, 대전부 커버(314)의 다수의 흡입구(3141)를 통해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 또한 직접적으로 대전부(31) 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대전부(31)를 통해 플러스 극으로 대전될 수 있다.
대전부(31)를 통해 플러스 극으로 대전된 액적은 후술하는 흡착부(32)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에 흡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대전부(31)는 대전부(31)의 하단에 배치되며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가 각각 권선되는 다수의 권선부(31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대전 와이어(311)의 일단은 대전부(31)의 상단에 배치된 전원연결부(3111)에 연결되고, 대전 와이어(311)의 중앙부는 대전부(31)의 하단에 배치된 권선부(317)에 권선됨으로써 대전 와이어(311)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도 전원연결부(3111)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부(30)는 혼합부(13) 내에서 오염물질과 응집된 액적을 대전시키고, 이를 흡착하므로, 집진부(30)에 액적이 응결될 수 있으며, 집진부(30)에는 응결된 액적으로 인한 합선, 트래킹 또는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전부 커버(314)의 흡입구(3141)를 통과한 액적은 대전부 커버(314),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 및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 등에 응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전부(31)는 수평면으로부터 일정 각도(α1)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대전부 커버(314),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 및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에 응결된 액적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배수부(300)는 대전부 커버(314),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 및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를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액적 및 대전부(31)의 상측에 응결된 액적을 대전부(3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대전부(31)의 하단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대전부(3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대전부(31)의 하단부 일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대전부(31)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대전부(31)에 하측에 적용된 제1 배수부(301)에 대해 상술한다. 제1 배수부(301)는 대전부(31)에 결합된 별도의 구성일 수 있으며, 대전부(31)에 적용된 배수구조일 수 있다.
대전부(31)는 대전부(31)의 하부에 제1 배수부(301)를 배치함으로써 중력에 의해 대전부(31)의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액적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배수부(301)는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각 하단부(312b)에 결합된 다수의 응결 유닛(313)을 포함한다.
다수의 응결 유닛(313)은 각각, 대응되는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와 결합하며, 대응되는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하단부(312b)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 홈(3131)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양측면 일부를 커버하는 경사부(3132)를 포함한다.
응결 유닛(313)은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라운드 플레이트(312)는 세워진 상태로 응결 유닛(313)에 삽입되므로, 응결 유닛(313)은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측부를 감쌀 수 있다.
아울러, 응결 유닛(313)의 두께는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두께보다 크게 구성되며,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측부를 감싸는 경사부(3132)는 선(line)의 형상을 갖는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엣지(edge)보다 표면적이 넓게 구성된다.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에 응결된 액적은 중력에 의해 상단부(312a)로부터 하단부(312b)를 향해 흘러내려 응결 유닛(313)에 축적될 수 있다.
응결 유닛(313)에 축적됨으로써 그 크기가 커진 물방울 형태의 액적은 그 무게로 인해 응결 유닛(313)의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처럼,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에 응결되는 액적을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하단부(312b)에 결합된 응결 유닛(313)에 축적하고, 축적된 액적을 외부로 낙하시킴으로써.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에 응결된 액적이 인접한 대전 와이어(311) 또는 인접한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와 합선 또는 트래킹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전부 커버(314)는 다수의 응결 유닛(313)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314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응결 유닛(313)의 경사부(3132)는 대전부 커버(314)의 다수의 배수구멍(3142)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응결 유닛(313)에 축적된 액적이 대전부 커버(314)의 배수구멍(3142)으로 낙하함으로써 대전부 커버(314)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대전부 커버(314)의 배수구멍(3142)을 통해 배출되는 액적은 저수부(14)에 저장될 수 있다.
대전부(31)는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 연결 플레이트(3121) 및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 연결 플레이트(3122)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1)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는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3121, 3122)와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3121, 3122)가 대전부 커버(314)에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가 대전부 커버(314)의 다수의 흡입구(314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대전부(31)는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3121, 3122)의 각 아래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3121, 3122)와 대전부 커버(314) 사이를 절연하는 제1 및 제2 절연 플레이트(319a, 319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절연 플레이트(319a, 319b)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전부(31)의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에는 고압의 전원이 인가되므로 이로 인해 대전부 커버(314)도 대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3121, 3122)에 각각 제1 및 제2 절연 플레이트(319a, 319b)를 결합함으로써,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에 결합된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3121, 3122)와 대전부 커버(314) 사이를 절연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절연 플레이트(319a)를 통해 제1 연결 플레이트(3121)와 고전압의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연결부(3111)를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절연 플레이트(319a, 319b)는 각각,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그라운드 홈(319a1, 319b1)을 포함하고, 그라운드 홈(319a1, 319b1)에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양단이 삽입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절연 플레이트(319a, 319b)는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3121, 3122)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절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제1 및 제2 절연 플레이트(319a, 319b)는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3121, 3122)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부(300)는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배치되며, 대전부(3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 315b)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 315b)은 대전부(3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배수부(301)는 대전부(31)의 하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을 포함하며, 제2 배수부(302)는 대전부(31의 상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부(31)의 상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은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상단부(312a) 아래, 즉 제1 연결 플레이트(3121)의 아래에 배치됨으로써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상단부(312a)와 제1 연결 플레이트(3121) 및 그 주변에 응결된 액적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대전부(31)의 상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대전부(31)의 하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은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하단부(312b) 아래, 즉 제2 연결 플레이트(3122)의 아래에 배치된다.
따라서,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하단부(312b), 제2 연결 플레이트(3122) 및 그 주변에 응결된 액적은 중력에 의해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으로 이동 또는 낙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연결 플레이트(3122) 및 그 주변부에 응결된 액적이,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로 이동하거나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은 대전부(3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저면부(315b1) 및 저면부(315b1)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부(315b2)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은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으로 이동한 액적을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의 양단으로 배출시키는 수로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의 측벽부(315b2)는 저면부(315b1) 상에서 흐르는 액적이 대전부(31)의 양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가이드 한다.
저면부(315b1)는 대전부(31)의 폭 방향을 따라 제2 연결 플레이트(3122)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제2 연결 플레이트(3122)로부터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으로 이동 또는 낙하한 액적은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의 저면부(315b1)를 따라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의 양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측벽부(315b2) 사이에 배치된 중앙벽(315b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면부(315b1)는 대전부(31)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수로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의 상측에는 제2 연결 플레이트(3122)와 결합된 제2 절연 플레이트(319b)가 배치되므로, 제2 절연 플레이트(319b)에 응결된 액적 역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은 다수의 권선부(317) 위에 배치됨으로써, 제2 연결 플레이트(3122) 및 제2 절연 플레이트(319b)에 응결된 액적이 권선부(317)에 권선된 대전 와이어(311)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와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 사이의 합선, 트래킹 또는 누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은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연결 플레이트(3122)와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가 권선된 권선부(317) 사이를 절연할 수 있으며, 제2 연결 플레이트(3122)와 대전부 커버(314) 사이를 절연할 수 있다.
아울러,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다수의 응결 유닛(313)과 대전부(31)의 하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은 결합될 수 있으며, 다수의 응결 유닛(313)과 대전부(31)의 하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에 응결되어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상단부(312a)로부터 하단부(312b)로 이동한 액적은, 응결 유닛(313)에 축적되어 대전부 커버(314)의 배수구멍(3142)으로 낙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을 통해서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에 응결된 액적은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상단부(312a)로부터 하단부(312b)로 흘러내림에 따라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가 응결되어 흘러내리는 액적에 의해 세척이 되므로,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를 별도로 세척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별도의 유지 보수가 불필요하게 된다.
아울러, 제1 배수부(301)는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의 하단부(311b) 아래에 배치되며 대전부(3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을 포함한다.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은 대전부(3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은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가 권선된 다수의 권선부(317)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의 하단부(311b) 및 권선부(317)에 응결된 액적이 중력에 의해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으로 이동하고,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으로 이동한 액적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에 응결된 액적은 중력에 의해 상단부(311a)로부터 하단부(311b)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권선부(317) 상에서 축적될 수 있으며, 권선부(317)에 축적된 액적은 중력에 의해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으로 이동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으로 이동한 액적을 대전부(31)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기 위하여,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은 대전부(31)의 하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혼합부(13)의 저면을 향해 경사진 배수 가이드부(316a)를 포함한다.
배수 가이드부(316a)의 경사는 대전부(31)가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배수 가이드부(316a)의 선단이 저수부(14)의 저면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권선부(317)는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다수의 권선부(317)와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권선부(317)는 대전 와이어(311)가 권선되는 권선부재(3171), 권선부재(3171)의 옆면에 돌출 형성되며 권선된 대전 와이어(311)를 지지하는 복수의 권선 지지부(3172) 및 권선부재(3171)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배수 가이드부(316a)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배수구멍(3173)을 포함한다.
권선부재(3171)는 기둥의 형상으로, 권선부재(3171)의 대전 와이어(311)와 접촉하는 옆면은 곡면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전 와이어(311)가 권선부재(3171)에 곡선을 이루며 권선될 수 있다.
권선부재(3171)의 옆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권선 지지부(3172)는 권선부재(3171)에 권선된 대전 와이어(311)를 지지해 줌으로써 대전 와이어(31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권선 지지부(3772)는 각각 권선부(317)의 하단으로부터 10mm 내지 15mm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권선부재(3711)의 하단으로부터 10mm 내지 15mm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와 대전부 커버(314) 사이의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전부 커버(314)가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에 의해 대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권선부(317)의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멍(3173)은 권선부재(3171)를 관통하여 배수 가이드부(316a)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며, 혼합부(13)의 저면을 향해 개방되므로 권선부재(31711) 및 권선 지지부(3172)에 응결된 액적을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권선부재(3171)의 내측과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 사이에 고일 수 있는 액적을 배수구멍(3173) 통해 대전부(31)의 하단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에 응결된 액적은 대전 와이어(311)의 상단부(311a)로부터 하단부(311b)로 흘러내림에 따라 대전 와이어(311)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는 흘러내리는 액적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이 되므로,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를 별도로 세척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별도의 유지 보수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대전부(31)의 상단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대전부(3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대전부(31)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대전부(31)의 상측에 적용된 제2 배수부(302)에 대해 상술한다. 제2 배수부(302)는 대전부(31)에 결합된 별도의 구성일 수 있으며, 대전부(31)에 적용된 배수구조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배수부(302)는 대전부(31)의 상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을 포함하며,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은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의 상단부(312a) 아래, 즉, 제1 연결 플레이트(312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연결 플레이트(3121) 및 그 주변부에 응결된 액적이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로 이동하거나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대전부(31)의 상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은 제1 연결 플레이트(3121) 및 그 주변부에 응결된 액적이 고압의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연결부(3111)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전부(31)의 상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은 대전부(3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저면부(315a1) 및 저면부(315a1)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부(315a2)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은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으로 이동한 액적을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의 양단으로 배출시키는 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
대전부(31)의 상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은 전술한 대전부(31)의 하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의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배수부(302)는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의 상단부(311a)와 대전부 커버(314) 사이에 배치되고 대전부(314)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양단이 대전부 커버(31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을 포함한다.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은 대전부 커버(314)의 상단에 마련된 배수로(3143)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로(3143)는 대전부 커버(314)의 상단부 일부가 대전부 커버(314)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된 공간으로, 대전부 커버(314)에 응결된 액적이 배수로(3143)를 통해 대전부 커버(314)의 양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부(3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저면부(3181) 및 저면부(3181)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부(3182)를 포함하고, 저면부(3181)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부(3182) 중 대전부(31)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측벽부(3182)에 형성된 다수의 와이어 홈(3183)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은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으로 이동한 액적을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의 양단으로 배출시키는 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연결부(3111) 및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의 상단부(311a) 주변에 응결된 액적은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으로 이동한 액적은 대전부 커버(31)의 양측으로 돌출된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의 양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은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은 제1 연결 플레이트(3121) 및 제1 절연 플레이트(319a)에 응결된 액적이 전원연결부(3111) 및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의 상단부(311a)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와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12) 사이의 합선, 트래킹 또는 누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은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연결 플레이트(3121)와 전원연결부(3111) 사이를 절연할 수 있고, 아울러, 제1 연결 플레이트(3121)와 대전부 커버(314) 사이를 절연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대전 와이어(311)의 각 상단부(311a)에는 다수의 탄성부재(311a1)의 일단이 연결되고, 탄성부재(311a1)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은 전원연결부(3111)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311a1)는 전도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대전 와이어(311)에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대전 와이어(311)를 팽팽한(tight)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연결부(3111)는 다수의 탄성부재의 타단을 걸어서 고정하는 다수의 고리부(31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전원연결부(3111)의 고리부(3111a)와 탄성부재(311a1)는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311a1)는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의 와이어 홈(3183)을 통해 대전 와이어(311)의 상단부(311a)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배수부는 대전부(31)의 상단에 배치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 및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을 포함함으로써, 대전부(31)의 상단에 응결될 수 있는 액적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대전부(31)의 상단에 응결된 액적의 일부는 중력에 의해 하단으로 이동하여 대전부(31)의 하단에 배치된 다수의 응결 유닛(313),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b) 및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흡착부(32)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흡착부(32)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흡착부(32)는 대전부(31)와 마주하게 결합되어 대전부(31)를 통해 대전된 오염물질과 응집된 액적을 전기장을 통해 흡착한다.
구체적으로, 흡착부(32)는 흡착부(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와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를 포함한다.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는 흡착부(32)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 사이에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 및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는 흡착부(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플레이트의 형상일 수 있다.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는 고압의 전원이 인가되는 PET 적층 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laminated film)일 수 있으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에는 전원연결부(미도시)를 통해 플러스 극의 고전압이 인가되며, 이를 통해, 교대로 배치된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와 전기장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는 플러스 극으로 대전되고,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는 플러스 극으로 대전된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와 상대적으로 마이너스 극으로 대전될 수 있다.
따라서, 대전부(31)에서 발생된 코로나 방전을 통해 플러스 극으로 대전된 액적 및 오염물질은 쿨롱 힘(coulombic force)에 의해 흡착부(32)의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에 흡착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극성은 플러스 극이 아닌 마이너스 극으로 대체될 수 있다.
흡착부(32)는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와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를 커버하는 흡착부 커버(323)를 포함하며, 흡착부 커버(323)는 대전부(31)와 마주하는 제1 흡착부 커버(3231) 및 제1 흡착부 커버(3231)와 결합하는 제2 흡착부 커버(323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흡착부 커버(3231, 3232)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대전부(31)를 통과한 액적 및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흡입구(3231a, 3232a)를 포함한다. 다수의 흡입구(3231a, 3232a)는 제1 및 제2 흡착부 커버(3231, 3232) 상에 격자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흡착부(32)의 대전 플레이트(321)와 그라운드 플레이트(322)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와 교대로 배치된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의 양측면에는 초친수 코팅층(32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친수 코팅층(322a)은 산화타이타늄(TiO2) 등과 같은 광촉매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초친수 코팅층(322a)을 통해,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에 흡착된 먼지가 결합된 액적은 중력에 의해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의 하단부로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그라운드 플레이트(322)에 흡착된 액적이 누적됨으로써 인접한 대전 플레이트(321)와 트래킹 되거나 합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초친수 코팅층(322a)은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의 양측면에도 결합될 수 있다.
도 16은 도 6에 도시된 집진부(30)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배수부(301)는 제2 흡착부 커버(3232)의 하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3232b)을 포함한다.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 및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에 흡착된 액적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흘러내리면, 제2 흡착부 커버(3232)의 다수의 배수구멍(323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흡착부 커버(3231) 역시 하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흡착부(32)의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 및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에 흡착 또는 응결된 액적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 및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흡착부(32)의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 및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는 액적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흡착부(32)를 별도로 세척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유지 보수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흡착부(32)의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321) 및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22)에 흡착되거나 응결된 액적은, 제2 흡착부 커버(3232)의 다수의 배수구멍(3232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흡착부(32)의 하측에 배치되는 대전부(31)에 응결되는 액적 역시, 전술한 다수의 응결 유닛(313), 제1 배수 가이드 유닛(315a, 315b), 제2 배수 가이드 유닛(316), 제3 배수 가이드 유닛(318) 및 대전부 커버(314)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3142)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진부(30)는 오염물질이 결합된 액적을 전기장을 통해 흡착함으로써,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결 또는 흡착된 액적이 중력에 의해 흘러내림으로써 대전부(31)와 흡착부(32)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고, 집진부(30)에 응결 또는 흡착된 액적은 배수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액적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합선, 트래킹 또는 누전 등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정전 분무부(20)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정전 분무부(5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정전 분무부(50)의 변형 예에 대해 상술한다. 다만,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정전 분무부(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정전 분무부(20)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정전 분무부(50)는 혼합부(13)의 상단에 배치되어 혼합부(13)에 유입된 외부 공기를 향해 대전된 액적을 분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혼합부(13) 내의 외부 공기 중의 오염물질과 대전된 액적을 응집시킬 수 있다.
정전 분무부(50)는 물이 저장되는 수용부(51), 수용부에 전압을 가하는 제1 전극부(52), 수용부(51)에 결합되어 혼합부(13)로 액적을 분사하는 노즐부(53) 및 노즐부(53)와 혼합부(13)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전극부(52)의 전극과 반대되는 전극인 인가되는 제2 전극부(54)를 포함한다.
노즐부(53)는 수용부(51)에 결합되며 내측에 다수의 개구(5311)를 구비한 노즐 플레이트(531), 노즐 플레이트(531)의 하측에 결합되며 다수의 분사 홀(5321)을 구비한 노즐 필름(532) 및 노즐 필름(532)이 결합된 노즐 플레이트(531)의 하측에서 노즐 플레이트(531)를 지지하는 노즐 브라켓(533)을 포함한다.
아울러, 수용부(51)와 노즐 플레이트(531)의 사이의 결합부를 밀폐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는 제1 실링부재(561)가 배치될 수 있다.
정전 분무부(50)의 수용부(51), 제1 전극부(52) 및 노즐부(53)의 구성 및 구조는 전술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수용부(21), 제1 전극부(22) 및 노즐부(23)의 구성 및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 분무부(50)는 노즐 브라켓(533)의 하측에 결합되는 연통부재(55)를 더 포함한다.
연통부재(55)는 노즐부(53)를 통해 분사되는 액적이 손실 없이 혼합부(13)로 이동할 수 있도록 노즐 브라켓(533)과 혼합부(13)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연통부재(55)는, 노즐부(53)에서 분사된 액적이 이동하는 개구(553)를 내측에 구비한 덕트부(551) 및 덕트부(551)의 하단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552)를 포함한다. 덕트부(551)는 단면이 사각형이나, 덕트부(551)의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덕트부(551)의 상단은 노즐 브라켓(533)과 결합되며, 플랜지부(552)는 혼합부(13)의 상면과 결합됨으로써, 연통부재(55)는 노즐부(53)와 혼합부(13)를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 브라켓(533)과 덕트부(551)의 상단 사이에는 제2 실링부재(562)가 배치됨으로써, 노즐부(53)를 통해 분사되는 액적이 노즐 브라켓(533)과 덕트부(551)의 결합부 사이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통부재(55)의 하단에는 제2 전극부(54)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전극부(54)는 연통부재(55)의 하단에 결합된 다수의 제2 단자(541)와 다수의 제2 단자(541)에 권선된 다수의 제2 전극 와이어(542)를 포함한다.
다수의 제2 단자(541)는 덕트부(551)의 하단의 양측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덕트부(551)의 하단 양측에 배치된 다수의 제2 단자(541)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아울러, 제2 전극 와이어(542)의 양단은 각각, 덕트부(551)의 하단의 일측에 배치된 제2 단자(541)와 덕트부(551)의 하단의 일측에 배치된 제2 단자(541)와 마주하도록 타측에 배치된 제2 단자(541)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다수의 제2 전극 와이어(542)는 연통부재(55)의 하단에서 개구(553)를 가로지르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제2 단자(541)에 전원부(미도시)를 통해 제2 전극이 인가됨으로써, 제2 전극 와이어(542)에 제2 전극이 인가될 수 있다.
아울러, 덕트부(551)의 하단에 덕트부(551)의 하단을 커버하는 전도성의 단자플레이트(543)를 배치하고, 단자플레이트(543)에 다수의 제2 단자(541)를 결합할 수 있으며, 전원부를 통해 단자플레이트(543)에 제2 전극을 인가함으로써 다수의 제2 단자(541)에 제2 전극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부(52)에 제1 전극이 인가되고 제2 전극부(54)에 제1 전극과 반대되는 제2 전극이 인가됨으로써, 제1 전극부(52)와 제2 전극부(54)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된다. 제1 전극부(52)를 통해 수용부(51) 상에서 제1 전극으로 대전된 물은, 제1 전극과 반대되는 제2 전극부(54)의 제2 전극에 의해 발생되는 이온 증발 및 쿨롱 폭발을 통해, 노즐 필름(532)의 다수의 분사 홀(5321)을 통과하여 대전된 미세 액적 상태로 혼합부(13)에 분사될 수 있다.
이처럼, 연통부재(55)의 하단에 제2 전극부(54)를 결합함으로써, 정전 분무부(5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2)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2)는 혼합부(13), 저수부(14), 정전 분무부(20), 집진부(30) 및 토출부(4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2)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부(30)는, 흡착부(32)가 수평면을 마주하는 방향을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α2)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정전 분무부(20)를 통해 혼합부(13)로 분사되는 액적(D)은 혼합부(13) 내에서 대전부(31)를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혼합부(13)로 분사되는 액적(D)은 집진부(30)에 직접적으로 분사되므로, 집진부(30)에 직접적으로 분사되는 액적(D)에 의해 집진부가 세척될 수 있다.
또한, 집진부(30)에 직접적으로 분사되는 액적(D)에 의해 대전부(31) 및 흡착부(32) 상에서 흘러내리는 액적(D)의 양과 액적(D)이 흘러내리는 속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액적(D)에 의한 집진부(30)의 세척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3)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3)는 혼합부(13), 저수부(14), 정전 분무부(20), 집진부(30) 및 토출부(4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3)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3)의 집진부(30)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직각(α3)으로 세워지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정전 분무부(20)를 통해 분사되는 액적(D)의 일부는 집진부(30)에 직접적으로 분사되고, 나머지 일부는 혼합부(13) 상에서 오염물질과 응집된 이후에 집진부(30)에 흡착될 수 있다.
또한, 집진부(30)에 응결된 액적(D)은 중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수평면과 수직 방향으로 흘러내리거나 낙하할 수 있으며, 집진부(30)에 응결된 액적(D)은 저수부(14)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부(30) 내에서 액적(D)에 의한 합선, 트래킹 또는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4)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4)는 혼합부(13), 저수부(14), 정전 분무부(20), 집진부(30') 및 토출부(4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4)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의 구성과 대부분이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4)는 혼합부(13) 내에서 외부 공기의 오염물질과 액적(D)이 응집될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도록, 집진부(30')의 크기를 도 3에 도시된 집진부(30)의 크기보다 작게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집진부(30')의 하단(30'b)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혼합부(13)의 전면(13a)과 반대되는 후면(13b)에 결합되며, 집진부(30')의 상단(30'a)은 혼합부(13)의 내부 공간상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집진부(30')의 길이는 도 3에 도시된 집진부(30)의 길이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진부(30')는 혼합부(13) 내에서 대전부(31')가 저수부(14)를 마주하도록 일정 각도(α4)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저수부(14)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를 통해, 집진부(30')와 저수부(14) 사이의 이격된 공간만큼 오염물질과 액적(D)이 응집될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혼합부(13)는 정전 분무부(20)에서 분사되는 액적(D)이 흡착부(32')로 직접적으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재(131)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차단부재(131)는 혼합부(13)의 전면(13a)을 기준으로 정전 분무부(20)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부재(131)는 혼합부(13)의 전면(13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사격형의 플레이트로, 일단(131a)이 혼합부(13)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131b)은 혼합부(13)의 내부에 배치된다.
집진부(30')의 상단(30'a)은 차단부재(131)의 타단(131b)에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정전 분무부(20)에서 분사되는 액적(D)이 흡착부(32')로 직접 분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분무부(20)에서 혼합부(13)로 분사된 액적(D)은 집진부(30')에 직접적으로 분사되지 않고, 혼합부(13) 내에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오염물질들과 충분히 응집된 이후에 집진부(30)에 흡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 2, 3, 4)는 공기청정기, 가습기 및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정전 분무부(20)에서 분사되는 대전된 미세 액적을 통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응집하고, 오염물질이 응집된 액적을 전기장을 통해 집진부(30)에서 흡착함으로써, 공기 중의 먼지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 세균, 곰팡이 및 수용성의 냄새입자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집진부(30)에 응결된 액적을 집진부(30) 상에서 흘러내리게 하고 이를 배수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집진부(30)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액적을 통해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바, 정기적으로 집진부(30)를 세척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유지 보수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정전 분무부(20)를 통해 분사되는 액적의 일부는 집진부(30)를 통과하여 배기구(1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바, 실내 공기에 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기집진장치(1, 2, 3, 4)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정전 분무부(20)에서 분사되는 액적의 양을 조절하거나, 집진부(30)에 흡착되는 액적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배기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될 것이다.
1, 2, 3, 4; 전기집진장치 11; 케이스
11a; 흡기구 111; 배기구
13; 혼합부 14; 저수부
20, 50; 정전 분무부 D; 액적
30; 집진부 31; 대전부
32; 흡착부 300; 배수부
311; 대전 와이어 312; 그라운드 플레이트
313; 응결 유닛 314; 대전부 커버
315; 제1 배수 가이드 유닛 316; 제2 배수 가이드 유닛
317; 권선부 318; 제3 배수 가이드 유닛
319; 절연 플레이트 321; 대전 플레이트
322; 그라운드 플레이트 323; 흡착부 커버
11a; 흡기구 111; 배기구
13; 혼합부 14; 저수부
20, 50; 정전 분무부 D; 액적
30; 집진부 31; 대전부
32; 흡착부 300; 배수부
311; 대전 와이어 312; 그라운드 플레이트
313; 응결 유닛 314; 대전부 커버
315; 제1 배수 가이드 유닛 316; 제2 배수 가이드 유닛
317; 권선부 318; 제3 배수 가이드 유닛
319; 절연 플레이트 321; 대전 플레이트
322; 그라운드 플레이트 323; 흡착부 커버
Claims (30)
-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에 대전된 액적(droplet)을 분사하여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결합시키는 정전 분무부;
전기장을 형성하여 오염물질과 결합된 액적을 흡착하는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부에 흡착된 액적을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부는,
대전부; 및
상기 대전부와 마주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전부를 통과한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전부는,
상기 대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단부로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대전 와이어; 및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각 하단부에 결합된 다수의 응결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 및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커버하는 대전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대전부 커버는 상기 다수의 응결 유닛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 유닛은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 및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양측면 일부를 커버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배수구멍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배수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 가이드 유닛은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저면부 및 상기 저면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의 하단부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2 배수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수 가이드 유닛은 상기 대전부의 하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혼합부의 저면을 향해 경사진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상기 대전부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가 각각 권선되는 다수의 권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권선부는 상기 제2 배수 가이드 유닛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는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 가이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배수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는 옆면에 돌출 형성되며 권선된 상기 대전 와이어를 지지하는 복수의 권선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 지지부는 상기 권선부의 하단으로부터 10mm 내지 15mm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의 상단부와 상기 대전부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대전부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배수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수 가이드 유닛은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저면부 및 상기 저면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면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부 중 상기 대전부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측벽부는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와이어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제1 연결 플레이트;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제2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대전부 커버 사이를 절연하는 제1 및 제2 절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절연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는 그라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흡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흡착부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 및
상기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 및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초친수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대전 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커버하는 흡착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 커버는 상기 대전부와 마주하는 제1 흡착부 커버 및 상기 제1 흡착부 커버와 결합하는 제2 흡착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착부 커버는 하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분무부는,
물이 저장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전압을 가하는 제1 전극부;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혼합부로 액적을 분사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와 상기 혼합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부의 전극과 반대되는 전극이 인가되는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개구를 구비한 노즐 플레이트; 및
상기 노즐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다수의 분사 홀을 구비한 노즐 필름;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다수의 분사 홀의 배치와 대응되는 형상의 개구를 내측에 구비한 고리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개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다수의 제2 전극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노즐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노즐 브라켓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홀의 직경은 2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중력에 의해 상기 배수부로부터 낙하하는 액적을 수거하는 저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에 대전된 액적(droplet)을 분사하여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결합시키는 정전 분무부;
전기장을 형성하여 오염물질과 결합된 액적을 흡착하는 집진부;
상기 집진부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부에 흡착된 액적을 배출시키는 배수부;
중력에 의해 상기 배수부로부터 낙하하는 액적을 수거하는 저수부; 및
상기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부는,
대전부; 및
상기 대전부와 마주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전부를 통과한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전부는,
상기 대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단부로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대전부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대전 와이어; 및
상기 다수의 대전 와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다수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각 하단부에 결합된 다수의 응결 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326A KR102540335B1 (ko) | 2016-12-09 | 2016-12-09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
PCT/KR2017/002476 WO2018105819A1 (ko) | 2016-12-09 | 2017-03-07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
US16/461,706 US11358153B2 (en) | 2016-12-09 | 2017-03-07 |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and humidifying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EP17878446.8A EP3517209B1 (en) | 2016-12-09 | 2017-03-07 | Electric dust collector and humidifying air purifier comprising same |
CN201780074432.9A CN110035828B (zh) | 2016-12-09 | 2017-03-07 | 电集尘装置及包括该电集尘装置的加湿空气净化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326A KR102540335B1 (ko) | 2016-12-09 | 2016-12-09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6478A KR20180066478A (ko) | 2018-06-19 |
KR102540335B1 true KR102540335B1 (ko) | 2023-06-05 |
Family
ID=6249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7326A KR102540335B1 (ko) | 2016-12-09 | 2016-12-09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358153B2 (ko) |
EP (1) | EP3517209B1 (ko) |
KR (1) | KR102540335B1 (ko) |
CN (1) | CN110035828B (ko) |
WO (1) | WO201810581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1624882S (ko) * | 2018-06-28 | 2019-02-18 | ||
CN110976091A (zh) * | 2019-12-24 | 2020-04-10 | 天津商业大学 | 利用空间电荷注入的静电驱动消除有色烟羽装置 |
KR102526900B1 (ko) * | 2020-11-24 | 2023-05-02 |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 도넛형 수분막을 이용한 공기정화형 가습장치 |
CN116078157B (zh) * | 2023-03-15 | 2024-07-30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空气净化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205271A (ja) * | 2006-03-02 | 2015-11-19 | テクニシュ ユニベルシテイト デルフトTechnische Universiteit Delft | 煤、細塵、及び排ガス微粒子の除去方法、この方法で使用する微粒子捕集装置、並びに静電場を発生させるための微粒子捕集装置の使用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37553B2 (ja) * | 1995-08-25 | 2004-06-14 |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 ダスト荷電湿式脱硫装置 |
JP3572164B2 (ja) * | 1996-05-23 | 2004-09-29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除塵装置 |
US6471753B1 (en) * | 1999-10-26 | 2002-10-29 | Ace Lab., Inc. | Device for collecting dust using highly charged hyperfine liquid droplets |
KR20030085206A (ko) * | 2002-04-29 | 2003-11-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기식 집진필터의 전리부 구조 |
JP4326403B2 (ja) * | 2004-06-09 | 2009-09-09 | 三菱重工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除塵装置 |
JP4111229B2 (ja) * | 2006-05-19 | 2008-07-02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放電装置及び空気浄化装置 |
US7621984B2 (en) * | 2007-06-20 | 2009-11-24 | Head waters R&D, Inc. | Electrostatic filter cartridge for a tower air cleaner |
WO2009104411A1 (ja) * | 2008-02-20 | 2009-08-27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集塵装置 |
JP4915963B2 (ja) * | 2008-09-08 | 2012-04-1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静電霧化装置 |
KR101860489B1 (ko) | 2009-10-28 | 2018-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JP2011099647A (ja) | 2009-11-09 | 2011-05-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空気清浄装置 |
KR101474493B1 (ko) | 2010-01-29 | 2014-12-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
KR101064498B1 (ko) * | 2010-02-18 | 2011-09-14 | 한국기계연구원 | 다량의 산성가스를 포함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
KR101856649B1 (ko) | 2012-03-13 | 2018-05-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습기 |
JP5868289B2 (ja) * | 2012-08-22 | 2016-02-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放電装置及び空気調和機 |
CN103900155B (zh) | 2012-12-26 | 2017-06-16 | 广州市拓丰电器有限公司 | 水离子空气净化器 |
CN105152254B (zh) * | 2015-10-08 | 2018-03-13 | 中国电建集团河北省电力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燃煤电厂烟气脱硫废水蒸发塔处理系统 |
-
2016
- 2016-12-09 KR KR1020160167326A patent/KR1025403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3-07 CN CN201780074432.9A patent/CN110035828B/zh active Active
- 2017-03-07 WO PCT/KR2017/002476 patent/WO2018105819A1/ko unknown
- 2017-03-07 US US16/461,706 patent/US11358153B2/en active Active
- 2017-03-07 EP EP17878446.8A patent/EP351720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205271A (ja) * | 2006-03-02 | 2015-11-19 | テクニシュ ユニベルシテイト デルフトTechnische Universiteit Delft | 煤、細塵、及び排ガス微粒子の除去方法、この方法で使用する微粒子捕集装置、並びに静電場を発生させるための微粒子捕集装置の使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05819A1 (ko) | 2018-06-14 |
CN110035828A (zh) | 2019-07-19 |
EP3517209A4 (en) | 2019-10-30 |
KR20180066478A (ko) | 2018-06-19 |
US20190358647A1 (en) | 2019-11-28 |
EP3517209B1 (en) | 2021-05-19 |
EP3517209A1 (en) | 2019-07-31 |
US11358153B2 (en) | 2022-06-14 |
CN110035828B (zh) | 2021-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40335B1 (ko)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 |
US11433345B2 (en) | Air-conditioning device having dust removing function | |
KR101959628B1 (ko) | 공기 청정을 위한 샤워필터 | |
US8419841B2 (en) | Air processing device | |
KR101508661B1 (ko) |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 | |
WO2009104411A1 (ja) | 集塵装置 | |
KR101322886B1 (ko) | 지하시설 공기 정화용 세트형 고효율 전기 집진 시스템 | |
US11484888B2 (en) | Conductive filter unit,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conductive filter unit, and fine dust removing system having conductive filter module | |
KR102032381B1 (ko) | 광고 기능을 갖는 초미세먼지 제거장치 | |
US8608838B2 (en) | Tubing air purification system | |
JP2023524311A (ja) | 静電気集塵機能を有する空気処理装置 | |
KR200492136Y1 (ko) | 차량 도장부스의 방지시설 | |
KR20190083854A (ko) | 초미세먼지 제거가 가능한 수냉식 공기정화장치 | |
KR101592433B1 (ko) | 공기청정기 | |
CN109028288B (zh) | 空气净化器和空气净化方法 | |
KR20190050248A (ko) | 프레쉬 에어 펌프 | |
KR102569244B1 (ko) | 미세먼지용 공기정화장치 | |
KR101567568B1 (ko) | 워터가이드를 이용한 워터필름 습식 공기정화장치에서 워터가이드에 구비된 와이어의 배치방법 | |
KR20200003484A (ko) | 필터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쉬 에어 펌프 | |
KR102579852B1 (ko) | 미세먼지용 공기정화기의 필터장치 | |
KR20190050247A (ko) | 프레쉬 에어 펌프 | |
WO1996006682A1 (fr) | Depoussiereur electrostatique | |
US8834615B2 (en) | Air cleaning unit and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 |
TWM445152U (zh) | 空氣清淨機 | |
CN115682247A (zh) | 一种用于空气净化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