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974B1 - 정보 처리 방법,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방법,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974B1
KR102539974B1 KR1020217012182A KR20217012182A KR102539974B1 KR 102539974 B1 KR102539974 B1 KR 102539974B1 KR 1020217012182 A KR1020217012182 A KR 1020217012182A KR 20217012182 A KR20217012182 A KR 20217012182A KR 102539974 B1 KR102539974 B1 KR 10253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terminal
uplink reference
lm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323A (ko
Inventor
레이 천
빙자오 리
리 차이
쉐룽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6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36Assistance data, e.g. base station alman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6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정보 처리 방법,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1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제1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이고, LMU는 서빙 기지국 이외의 LMU임 -;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제1 구성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어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제1 정보에 대응하는 LMU가 위치결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의해 NR 시스템에서 UTDOA 위치결정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방법,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2018년 9월 27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MUNICATIONS DEVICE, AND STORAGE MEDIUM"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1133698.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처리 방법,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업링크 도달 시간차(Uplink Time Difference Of Arrival, UTDOA) 위치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단말기를 위치결정한다. 본 방법에서, 복수의 위치 측정 유닛(Location Measurement Unit, LMU)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들의 도달 순간들을 측정하고, 도달 순간들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치결정 엔티티는 도달 순간들의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위치결정한다.
현재, UTDOA 방법을 사용하여 단말기를 위치결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기술에서 사용된다. 그렇지만, LTE에서, 단말기는 위치결정 신호들을 전방향으로 송신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기의 위치 근처의 모든 LMU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위치결정 신호들을 수신하는 LMU들은 위치결정 엔티티에게 위치결정 신호들이 수신되는 수신 순간들을 송신할 수 있고, 위치결정 엔티티는 LMU들에 의해 보고된 수신 순간들에 기초하여 위치결정 신호들의 도달 시간차를 결정하고, 도달 시간차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위치결정한다.
그러나,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ew RAT(Radio Access Technology), NR)이, 페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스펙트럼에서 작동하는 데 사용되고, NR 기지국의 신호는 빔포밍을 통해 송신되고, 각각의 빔은 하나의 방향에 대응한다. 결과적으로, 일부 LMU들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들을 수신할 수 없고, 이 경우, 위치결정 엔티티는 위치결정 신호들의 도달 시간차에 기초한 단말기의 위치결정을 완료할 수 없다.
본 출원은 NR 시스템에서 단말기 위치결정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 처리 방법,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1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제1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이고, LMU는 서빙 기지국 이외의 LMU임 -;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단말기는 제1 구성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구성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어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제1 정보에 대응하는 LMU가 위치결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되고, 그에 의해 NR 시스템에서 UTDOA 위치결정을 구현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구성 정보를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 제2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LMU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위치결정 엔티티가 타겟 LMU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결정 엔티티는 위치결정 엔티티의 위치결정 요건을 더 잘 충족시키는 LMU를 타겟 LMU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위치결정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돕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측정된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다. 한편으로, 단말기에 의해 측정된 LMU들은 단말기가 위치결정 신호들을 LMU들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고, LMU들은 또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위치결정 측정의 기초를 기본적으로 보장한다. 다른 한편, 제1 정보는 LMU들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들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다. 이것은 빔 방향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고,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는 비교적 적은 양의 정보를 갖는다. 이것은 제1 매핑 관계 및 데이터 송신의 확립을 용이하게 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되고 또한 단말기에 대한 것인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에만 전술한 해결책을 수행하기 시작하고, 그에 의해 시스템 자원들을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위치결정 요청 정보는 LMU의 식별 정보를 운반한다. 이 경우,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측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 제1 측정 정보는 LMU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LMU 측정을 수행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단말기가 LMU 측정을 수행하는 범위가 제한되고, 단말기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표시되는 후보 LMU들에서 측정을 수행할 필요만 있다. 범위 제한 없는 LMU 측정 방식과 비교하여, 이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LMU 측정의 작업부하를 감소시키고, 처리 효율을 개선하는 것을 돕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LMU의 식별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 셀 식별자 PCI; 셀 글로벌 식별자(ECGI); 주파수; 업링크 보완 대역 SUL이 지원되는지 여부;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시퀀스 번호.
가능한 설계에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측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 제2 측정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모든 LMU에 대해 LMU 측정을 수행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하는데, 다시 말해서, 모든 잠재적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들이 위치하는 주파수들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단말기에 대해, 위치결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LMU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측정 동안 측정될 수 없는 경우가 회피되고, 단말기는 LMU 측정을 한 번만 수행함으로써,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모든 LMU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 방식은 제1 정보에 대응하는 LMU들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고, 위치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더 큰 양의 LMU은 위치결정 정확도를 개선하는 것을 돕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본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기에 의해 보고된 제1 정보가 이력 측정 정보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 이력 측정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이전에 측정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측정 정보임 -; 및 단말기에 의해 보고되는 제1 정보가 이력 측정 정보에 존재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기에 의해 보고되고 이력 측정 정보에 기록되는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에 의해 보고되는 제1 정보가 이력 측정 정보에 존재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LMU 측정을 수행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구성 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LMU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기에 요청할 필요가 없고, 그에 의해 제1 구성 정보가 생성되기 전의 처리 단계들을 단순화하고, 처리 효율을 개선하는 것을 돕고, 시스템 자원들을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LMU는 단말기에 의해 측정된 모든 LMU의 일부이고, LMU의 신호 강도는 미리 설정된 신호 강도 임계값 이상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단말기는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측정된 LMU들을 필터링하고, 비교적 높은 신호 강도를 갖는 일부 LMU들만을 위치결정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LMU들로서 사용하여, 위치결정 측정 프로세스에서의 신호 강도로 인해 수신 순간이 영향을 받는 경우를 회피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LMU들의 양이 위치결정 측정을 위해 요구되는 LMU들의 최소량 이상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LMU들의 양이 최소량보다 작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위치결정 엔티티에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통지 메시지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위치결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고 단말기에 송신되는 제1 구성 정보가 UTDOA 위치결정 측정의 최소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충분한 LMU들이 없고 따라서 위치결정 엔티티가 단말기를 위치결정할 때 충분한 수신 순간들이 없기 때문에 위치결정이 수행될 수 없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구성 정보는 제1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경우, 위치결정 엔티티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빔 방향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어서, 위치결정 신호가 타겟 LMU에서 부정확하게 수신되는 경우가 어느 정도 회피될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LMU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경우, 단말기는, 제1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신호의 수신기 및 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더 타겟화되고, 신호 송신 에러가 어느 정도 회피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단말기에 대한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위치 측정 유닛 LMU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단말기를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됨-;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제2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LMU들 중에서 타겟 LMU를 결정하는 단계;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측정 구성 정보를 타겟 LMU에 송신하는 단계 - 측정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운반함 -;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타겟 LMU에 의해 측정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순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수신 순간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위치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위치결정 엔티티는 타겟 LMU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데, 즉 위치결정 엔티티의 위치결정 요건을 더 잘 충족시키는 LMU를 타겟 LMU로서 선택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단말기에 대한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대해 위치결정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후보 LMU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위치결정 요청 정보는 LMU의 식별 정보를 운반함 - 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일부 LMU들을 후보 LMU들로서 미리 특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LMU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할 때 측정 범위를 후속하여 좁히는 것을 돕고 처리 효율을 향상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후보 LMU의 식별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 셀 식별자 PCI; 셀 글로벌 식별자(ECGI); 주파수; 및 업링크 보완 대역 SUL이 지원되는지 여부.
가능한 설계에서, 제2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제1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이고, LMU는 서빙 기지국 이외의 LMU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위치결정 엔티티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빔 방향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어서, 위치결정 신호가 타겟 LMU에서 부정확하게 수신되는 경우가 어느 정도 회피될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는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다. 한편으로, 단말기에 의해 측정된 LMU들은 단말기가 위치결정 신호들을 LMU들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고, LMU들은 또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위치결정 측정의 기초를 기본적으로 보장한다. 다른 한편, 제1 정보는 LMU들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들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다. 이것은 빔 방향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고,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는 비교적 적은 양의 정보를 갖는다. 이것은 제1 매핑 관계 및 데이터 송신의 확립을 용이하게 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기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적어도 제1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이고, LMU는 서빙 기지국 이외의 LMU임 -; 및 단말기에 의해, 제1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단말기는 구성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어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제1 정보에 대응하는 LMU가 위치결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의해 NR 시스템에서 UTDOA 위치결정을 구현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LMU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경우, 단말기는, 제1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신호의 수신기 및 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더 타겟화되고, 신호 송신 에러가 어느 정도 회피될 수 있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위치 측정 유닛 LMU에 의해,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측정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운반함 -; LMU에 의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순간을 기록하는 단계; 및 LMU에 의해, 수신 순간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타겟 LMU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표시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위치결정 신호의 수신 순간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여, NR 시스템에서 UTDOA 위치결정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LMU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합된다. 이 설정 방식에서, LMU를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1 구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 -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제1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이고, LMU는 서빙 기지국 이외의 LMU임 -; 및 제1 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단말기는 제1 구성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구성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어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제1 정보에 대응하는 LMU가 위치결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되고, 그에 의해 NR 시스템에서 UTDOA 위치결정을 구현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송신 모듈은: 제2 구성 정보를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LMU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위치결정 엔티티가 타겟 LMU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결정 엔티티는 위치결정 엔티티의 위치결정 요건을 더 잘 충족시키는 LMU를 타겟 LMU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위치결정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돕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측정된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다. 한편으로, 단말기에 의해 측정된 LMU들은 단말기가 위치결정 신호들을 LMU들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고, LMU들은 또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위치결정 측정의 기초를 기본적으로 보장한다. 다른 한편, 제1 정보는 LMU들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들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다. 이것은 빔 방향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고,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는 비교적 적은 양의 정보를 갖는다. 이것은 제1 매핑 관계 및 데이터 송신의 확립을 용이하게 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되고 또한 단말기에 대한 것인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에만 전술한 해결책을 수행하기 시작하고, 그에 의해 시스템 자원들을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위치결정 요청 정보는 LMU의 식별 정보를 운반한다. 이 경우, 송신 모듈은 제1 측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제1 측정 정보는 LMU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LMU 측정을 수행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수신 모듈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단말기가 LMU 측정을 수행하는 범위가 제한되고, 단말기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표시되는 후보 LMU들에서 측정을 수행할 필요만 있다. 범위 제한 없는 LMU 측정 방식과 비교하여, 이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LMU 측정의 작업부하를 감소시키고, 처리 효율을 개선하는 것을 돕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LMU의 식별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 셀 식별자 PCI; 셀 글로벌 식별자(ECGI); 주파수; 및 업링크 보완 대역 SUL이 지원되는지 여부.
가능한 설계에서, 송신 모듈은 제2 측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2 측정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모든 LMU에 대해 LMU 측정을 수행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할 것을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및 수신 모듈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단말기에 대해, 위치결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LMU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측정 동안 측정될 수 없는 경우가 회피되고, 단말기는 LMU 측정을 한 번만 수행함으로써,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모든 LMU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 방식은 제1 정보에 대응하는 LMU들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고, 위치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더 큰 양의 LMU은 위치결정 정확도를 개선하는 것을 돕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에 의해 보고되는 제1 정보가 이력 측정 정보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고 - 이력 측정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이전에 측정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측정 정보임 -; 및 단말기에 의해 보고된 제1 정보가 이력 측정 정보에 존재하면, 단말기에 의해 보고되고 이력 측정 정보에 기록되는 제1 정보를 획득하고; 또는 단말기에 의해 보고되는 제1 정보가 이력 측정 정보에 존재하지 않으면, LMU 측정을 수행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구성 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LMU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기에 요청할 필요가 없고, 그에 의해 제1 구성 정보가 생성되기 전의 처리 단계들을 단순화하고, 처리 효율을 개선하는 것을 돕고, 시스템 자원들을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LMU는 단말기에 의해 측정된 모든 LMU의 일부이고, LMU의 신호 강도는 미리 설정된 신호 강도 임계값 이상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단말기는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측정된 LMU들을 필터링하고, 비교적 높은 신호 강도를 갖는 일부 LMU들만을 위치결정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LMU들로서 사용하여, 위치결정 측정 프로세스에서의 신호 강도로 인해 수신 순간이 영향을 받는 경우를 회피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처리 모듈은 LMU들의 양이 위치결정 측정에 요구되는 LMU들의 최소량 이상인지를 결정하고; 및 LMU들의 양이 최소량보다 작으면 통지 메시지를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도록 - 통지 메시지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위치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고 단말기에 송신되는 제1 구성 정보가 UTDOA 위치결정 측정의 최소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충분한 LMU들이 없고 따라서 위치결정 엔티티가 단말기를 위치결정할 때 충분한 수신 순간들이 없기 때문에 위치결정이 수행될 수 없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단말기에 대한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제2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후보 위치 측정 유닛들 LMU들 간의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단말기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됨 -; 제2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LMU들에서 타겟 LMU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 송신 모듈은 타겟 LMU에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측정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운반하고; 및 수신 모듈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타겟 LMU에 의해 측정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순간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수신 순간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위치결정 엔티티는 타겟 LMU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데, 즉 위치결정 엔티티의 위치결정 요건을 더 잘 충족시키는 LMU를 타겟 LMU로서 선택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대해 위치결정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후보 LMU들을 결정하고; 및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 위치결정 요청 정보는 LMU의 식별 정보를 운반함 -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일부 LMU들을 후보 LMU들로서 미리 특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LMU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할 때 측정 범위를 후속하여 좁히는 것을 돕고 처리 효율을 향상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후보 LMU의 식별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 셀 식별자 PCI; 셀 글로벌 식별자(ECGI); 주파수; 및 업링크 보완 대역 SUL이 지원되는지 여부.
가능한 설계에서, 제2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제1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이고, LMU는 서빙 기지국 이외의 LMU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위치결정 엔티티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빔 방향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어서, 위치결정 신호가 타겟 LMU에서 부정확하게 수신되는 경우가 어느 정도 회피될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는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다. 한편으로, 단말기에 의해 측정된 LMU들은 단말기가 위치결정 신호들을 LMU들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고, LMU들은 또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위치결정 측정의 기초를 기본적으로 보장한다. 다른 한편, 제1 정보는 LMU들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들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다. 이것은 빔 방향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고,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는 비교적 적은 양의 정보를 갖는다. 이것은 제1 매핑 관계 및 데이터 송신의 확립을 용이하게 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적어도 제1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이고, LMU는 서빙 기지국 이외의 LMU임 -; 및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단말기는 구성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어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제1 정보에 대응하는 LMU가 위치결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의해 NR 시스템에서 UTDOA 위치결정을 구현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측정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운반하고, 수신 모듈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업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순간을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 모듈; 및 수신 순간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따르면, 타겟 LMU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표시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위치결정 신호의 수신 순간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여, NR 시스템에서 UTDOA 위치결정을 구현할 수 있다.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모듈, 컴포넌트, 또는 회로를 포함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메모리, 및 버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버스에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메모리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하여 제1 양태, 제2 양태, 제3 양태, 또는 제4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5 양태 또는 제6 양태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위치결정 엔티티, 단말기, 또는 LMU일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위치결정 엔티티, 단말기, 또는 LMU에서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칩 또는 회로)일 수 있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양태, 제2 양태, 제3 양태, 또는 제4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양태, 제2 양태, 제3 양태, 또는 제4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2 양태의 프로그램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프로세서와 캡슐화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그램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프로세서와 캡슐화되지 않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5 양태, 제6 양태, 제7 양태, 또는 제8 양태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제1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9 양태 또는 제10 양태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전술한 양태들에서, 단말기는 제1 구성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어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제1 정보에 대응하는 LMU가 위치결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의해 NR 시스템에서 UTDOA 위치결정을 구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UTDOA 기술의 원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NR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 방식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NR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신호 송신 방식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UTDOA 위치결정 기술의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출원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적 상호 작용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출원에 따른 또 다른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적 상호 작용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출원에 따른 또 다른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적 상호 작용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또 다른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적 상호 작용 흐름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출원에 따른 또 다른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적 상호 작용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또 다른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또 다른 개략적 블록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본 출원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5G NR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송신 방향이 표시될 필요가 있는 임의의 다른 통신 시스템에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에서는, 송신 방향으로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엔티티가 존재하고,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시간 내에 신호 송신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또 다른 엔티티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복수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도 1은 6개의 단말기(단말기 1 내지 단말기 6)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1 내지 단말기 6은 모두 업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1 내지 단말기 6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기 1 내지 단말기 6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4 내지 단말기 6은 또한 통신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단말기 4 내지 단말기 6에 의해 형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기 5에 송신할 수 있고, 단말기 5는 단말기 4 및 단말기 6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기 4 및 단말기 6에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예를 들어, 무선 충실도(Wireless-Fidelity, WiFi) 액세스 포인트 AP, 5G gNB와 같은 5G NR 기지국과 같은 차세대 통신 기지국, 소형 셀, 또는 마이크로 셀, 송신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이한 통신 표준들의 통신 시스템들은 상이한 기지국들을 갖는다. 구별의 용이함을 위해, 4G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은 LTE eNB라고 지칭되고,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은 NR gNB라고 지칭되고, 4G 통신 시스템 및 5G 통신 시스템 둘 모두를 지원하는 기지국은 eLTE eNB라고 지칭된다. 이러한 명칭들은 단지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적인 의미들을 갖지 않는다.
단말기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서 또한 지칭되고,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접속성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차량 탑재 디바이스이다. 공통 단말기는 예를 들어,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밴드 또는 보행 계수기(pedometer)와 같은 착용식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위치결정 엔티티는 위치결정 서버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위치결정 엔티티는 진화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E-SMLC) 또는 위치 관리 기능(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MF)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고, "복수의"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고 3개의 관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의 경우들을 표시할 수 있다: A만 존재함, A 및 B 둘 모두 존재함, 및 B만 존재함, 여기서 A 및 B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기호 "/"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객체들 사이의 "또는" 관계를 표시한다. "다음 아이템들(피스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의 유사한 표현은 단일 아이템(피스) 또는 복수의 아이템(피스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이들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를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a, b, 및 c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단말기들의 양 및 타입들은 단지 예들이고,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더 많은 단말기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사항들은 첨부 도면들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지만,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며,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 즉 5G 통신 시스템 뿐만 아니라, 미래에 등장할 수 있고 송신 방향이 표시될 필요가 있는 또 다른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차세대 Wi-Fi 네트워크 또는 5G 차량 인터넷에도 적용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연속적인 진화에 의해, 전술한 네트워크 요소들의 명칭들은 미래에 등장할 수 있는 또 다른 시스템에서 변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해결책들이 또한 적용가능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UTDOA 기술이 이하에서 간략하게 설명된다.
UTDOA 위치결정 방법은, LMU 측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들의 수신 순간들을 측정하고, 수신 순간들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고, 위치결정 엔티티는 복수의 (일반적으로 적어도 3개의) LMU에 의해 송신된 수신 순간들 사이의 도달 시간차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위치결정한다는 것이다.
LMU는 LTE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측정하는 기능 스테이션의 명칭이고, NR 시스템 또는 또 다른 시스템에서 다른 명칭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LMU는 NR 시스템에서 송신 측정 기능 네트워크 요소(transmission measurement function, TMF), 송신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등이라고 지칭된다. LMU의 다른 명칭들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고,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참조 신호를 측정하는 기능을 갖는 임의의 기능 엔티티, 네트워크 요소, 스테이션, 또는 디바이스가 LMU라고 지칭될 수 있다.
업링크 참조 신호는 복수의 기능, 예를 들어, 채널 측정 및 위치결정과 같은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가 위치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것은 주로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일부 구현 시나리오에서, LMU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신호의 수신 순간을 측정하고 수신 순간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 구현 시나리오에서, LMU는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과 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구현 시나리오를 예로서 사용하면, 각각의 BTS의 지리적 위치가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의 위치는 구면 삼각형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도 2는 이 시나리오에서의 UTDOA 기술의 수학적 원리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들 A, B, 및 C의 좌표는 제각기 (x1, y1),(x2, y2) 및 (x3, y3)인 것으로 가정한다. 임의의 포인트 (x, y)에 대해, 그 포인트로부터 A, B, 및 C로 신호가 송신되는 시점들은 제각기 t1, t2, 및 t3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 후, 다음의 2개의 쌍곡선 방정식이 확립될 수 있다:
Figure 112021047592015-pct00001
따라서, 임의의 포인트 (x, y)의 좌표가 획득될 수 있고 임의의 포인트가 위치결정될 수 있도록, 2개의 쌍곡선 방정식만이 풀릴 필요가 있다.
UTDOA에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들이 순수한 송신 시간보다는 상이한 BTS들에 도달하는 송신 시간 사이의 차이가 측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에서, 위치결정 신호는 채널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일 수 있다.
또한, LTE 위치결정 프로토콜, 즉 경량 프레젠테이션 프로토콜(Lightweight Presentation Protocol, LPP)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롱 텀 에볼루션(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3GPP-LTE) 시스템에서 추가로 정의된다.
일반적인 위치결정 통신 프로토콜로서, LPP 위치결정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사이에서 위치결정 보조 데이터 및 위치결정 정보를 교환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LPP 위치결정 프로토콜은 실제로 제어 평면 및 데이터 평면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말하면, 제어 평면의 구현은 전용 제어 채널을 수반하고, 복수의 네트워크 요소가 위치결정 관련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지원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서 업그레이드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모바일 네트워크의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 평면의 구현은 상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더 쉽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LTE 통신 시스템에서, LPP 위치결정 프로토콜은 위성 기반 위치결정 기술, 관측된 도착 시간 차이(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 기반 위치결정 기술, 강화된 셀 ID(Enhanced Cell identity, E-CID) 기반 위치결정 기술, UTDOA 기반 위치결정 기술, Wi-Fi 기반 위치결정 기술, 센서 기반 위치결정 기술, 블루투스 기반 위치결정 기술, TBS 기반 위치결정 기술, 및 그것의 하이브리드 위치결정 기술을 이미 지원한다.
NR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신호는 빔포밍을 통해 송신된다. 빔의 폭 및 참조 부호는 송신된 신호의 타입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SSB 신호를 송신할 때, 기지국의 상이한 작동 주파수들에 기초하여 최대 4, 8, 또는 64개의 빔이 존재할 수 있고, 각각의 빔은 하나의 방향에 대응한다. 도 3은 NR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식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NR 기지국은 빔 1에 기초하여 신호를 단말기 1에 송신하고, 빔 2에 기초하여 신호를 단말기 2에 송신하고, 빔 3에 기초하여 신호를 단말기 3에 송신한다. 빔 1, 빔 2, 및 빔 3은 제각기 상이한 방향들에 대응한다.
이와 유사하게, NR 시스템에서, 업링크 신호의 송신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업링크 신호가 또한 빔의 형태로 송신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는 빔 방식으로 업링크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그에 부가하여, 도 5는 LTE 시스템에서의 UTDOA 위치결정 기술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에서는, 다음의 단계들이 포함된다.
S501: 위치결정 엔티티가 위치결정 요청 메시지(정보 요청)를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에 송신한다.
S502: 서빙 기지국이 단말기에 대해 구성된 채널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자원을 결정한다.
S503: 서빙 기지국은 SRS 자원의 구성 정보를 운반하는 피드백 메시지(정보 응답)를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한다.
S504: 서빙 기지국이 단말기에 대한 결정된 SRS 자원을 구성한다.
S505: 위치결정 엔티티는 측정 구성 정보를 LMU에 송신하고, 여기서 측정 구성 정보는 SRS 자원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S506: LMU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SRS 신호의 측정된 수신 순간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기는 서빙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SRS 자원에 기초하여 SRS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의 신호가 전방향성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단말기 근처의 LMU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SR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순간을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LMU는 측정된 수신 순간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 5는 하나의 LMU만을 도시한다.
S507: 위치결정 엔티티는 LMU에 의해 송신된 수신 순간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위치결정한다.
도 5에 도시된 위치결정 절차는 NR 시스템이 작동하는 작동 스펙트럼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NR 시스템에 적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페이딩에 저항하기 위해, NR 시스템에서의 신호는 빔의 형태로 송신된다. 결과적으로, 일부 LMU는 UE에 의해 송신된 SRS 신호를 수신할 수 없고, UTDOA 위치결정을 수행할 수 없다.
전술한 문제점에 대해,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실현가능한 해결책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UTDOA 위치결정이 NR 시스템에서 구현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근처의 LMU의 빔 정보를 먼저 획득하여, 단말기를 위해 대응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할 수 있어서, 단말기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LMU는 또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정보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출원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적 상호작용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602: 위치결정 엔티티는 단말기에 대한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위치결정 요청 정보는 위치결정될 필요가 있는 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운반한다. 또한, 가능한 구현 시나리오에서, 위치결정 요청 정보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선택된 일부 후보 LMU의 식별 정보를 추가로 운반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의 LMU의 식별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er, PCI); 셀 글로벌 식별자(E-UTRAN Cell Global Identifier, ECGI); 주파수; 업링크 보완 대역(supplement UpLink, SUL)이 지원되는지 여부;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시퀀스 번호. 위와 같은 LMU의 식별 정보는 LMU를 식별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LMU는 위와 같이 LMU의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만 고유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구현 절차는 가능한 구현이고, 단계 S604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요청이 수신된 후에 수행될 수 있는데, 즉 단계 S604는 단계 S602 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추가로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단계 S604의 트리거 조건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위치결정 요청 정보가 수신된 후에 수행되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트리거는 가능한 구현일 뿐이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 시나리오에서, S604는 또 다른 미리 설정된 조건, 예를 들어, 명령어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S604: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1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데, 여기서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제1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이고, LMU는 서빙 기지국 이외의 LMU이다.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주로 시간-주파수 자원, 방향, 및 연관된 기지국이다.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및 PBCH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줄여서 SSB),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 또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일 수 있고, 여기서 PBCH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이다.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특정 타입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고, 실제 상황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S606: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S608: 단말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S610: 단말기는 제1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제1 구성 정보에서의 제1 매핑 관계들에 기초하여, 임의의 제1 매핑 관계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그리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빔 방향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업링크 참조 신호는 SRS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SRS 자원이다.
S612: 타겟 LMU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순간을 기록한다.
위치결정 측정 동안 타겟 LMU의 필요한 단계들만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절차에 도시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 다른 LMU의 절차는 본 출원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타겟 LMU들의 구현 단계들이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의 타겟 LMU만을 도시한다. 이는 본 출원에서 타겟 LMU들의 양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S614: 타겟 LMU는 수신 순간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한다.
S616: 위치결정 엔티티는 수신 순간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위치결정한다.
이하에서는 S604에서의 제1 구성 정보에 포함된 제1 매핑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 제1 매핑 관계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기를 위해 구성된다. 이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추가로 단말기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제1 정보는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이다. NR 시스템에서의 신호가 빔의 형태로 송신되기 때문에, LMU의 것이고 단말기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하나 이상의 빔 방향에 명확히 대응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LMU 빔의 빔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기는 제1 구성 정보에 표시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이하, 줄여서 위치결정 신호라고 지칭됨)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단말기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그리고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빔 방향에서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위치결정 신호는 빔 방향에서 LMU에 의해 수신될 수 있어서, UTDOA 기반 위치결정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구현 시나리오에서, 제1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는 LMU 1의 빔 번호 또는 빔 인덱스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가 측정을 통해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면, 이는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빔 방향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단말기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단말기는 빔 방향의 수 또는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기가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때, 단말기가 빔 번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빔 방향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면, 데이터는 LMU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구성 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의 단계: 제1 구성 정보에서의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를 획득하는 것의 본질은 위치결정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LMU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다음의 몇몇 방식을 제공한다.
제1 방식에서, 제1 정보는 측정을 통해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다. 또한, 단말기가 측정을 수행하기 전에, 위치결정 엔티티는 일부 LMU를 선택했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604를 수행하기 전에,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되는, LMU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위치결정 요청 정보는 LMU의 식별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S604가 수행되기 전에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LMU의 식별 정보를 갖는 LMU(이하, 줄여서 후보 LMU라고 지칭됨)는 수신 순간을 최종적으로 보고하는 LMU(이하, 줄여서 타겟 LMU라고 지칭함)와 상이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위치결정 엔티티가 단말기의 위치에 관해 불확실하고,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후보 LMU가 단말기의 위치결정 신호를 수신하는데 실패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LMU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 엔티티는 단말기의 현재 서빙 기지국의 위치에 기초하여 후보 LMU들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결정 엔티티는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대해 위치결정 측정을 수행하는 후보 LMU들을 결정하고, 이어서 위치결정 엔티티는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위치결정 요청 정보는 LMU의 식별 정보를 운반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의 현재 서빙 기지국이다. 위치결정 엔티티가 단말기를 위치결정할 필요가 있을 때, 위치결정 엔티티는 서빙 기지국 주위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LMU를 검색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발견되는 LMU를 후보 LMU로서 사용하고, 후보 LMU의 식별자를 서빙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정보 처리 방법은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요청 정보는 후보 LMU들의 식별 정보를 운반한다. 이 경우, S604가 수행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S6031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측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데, 여기서 제1 측정 정보는 제1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후보 LMU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S60314: 단말기는 제1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후보 LMU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을 수행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한다.
S60316: 단말기는 제1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S60318: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는 LMU에 측정 신호를 송신하고 측정 피드백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LMU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가 LMU에 의해 송신된 측정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단말기는 LMU가 측정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는 빔의 코딩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를 제1 정보로서 사용한다. 그렇지 않고, 단말기가 LMU로부터 측정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단말기는 LMU를 측정할 수 없고, LMU의 빔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제1 정보에 대해, 단말기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결정된 후보 LMU들을 측정하고, 제1 정보로서,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후보 LMU들에 있는 모든 또는 일부 LMU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고, 제1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제1 정보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사이의 제1 매핑 관계는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단말기에 표시하는데 정확하게 사용된다. 단말기가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된 빔 방향에서 LMU에 의해 송신된 측정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위치결정 측정이 수행될 때, 빔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들로 단말기에 의해 쌍으로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가 LMU에 의해 또한 수신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제1 구성 정보는 단말기와 LMU 사이의 통신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데, 즉 단말기는 위치결정 신호들을 LMU들에 송신할 수 있고, LMU들은 또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구현에서, 단말기가 LMU 측정을 수행하는 범위는 제한되고, 단말기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표시되는 후보 LMU들에서 측정을 수행할 필요만 있다. 범위 제한 없는 LMU 측정 방식과 비교하여, 이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LMU 측정의 작업부하를 감소시키고, 처리 효율을 개선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극단적인 구현 시나리오에서, 다음과 같은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LMU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LMU 측정을 수행할 때, 단말기는 임의의 후보 LMU를 측정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표시되는 후보 LMU들 중 어느 것도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측정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이 경우, 다음의 제2 또는 제3 방식이 제1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방식에서, 제1 정보는 측정을 통해 단말기에 의해 획득되고, 위치결정 엔티티는 후보 LMU들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정보 처리 방법은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또 다른 방식을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604가 수행되기 전에, 본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S6032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측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데, 여기서 제2 측정 정보는 제1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모든 LMU에 대해 LMU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S60324: 단말기는 제2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모든 LMU를 측정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한다.
다시 말해서, 제2 측정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기는 모든 잠재적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들이 위치하는 주파수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한다.
S60326: 단말기는 제1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S60328: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다.
다시 말해서, 제1 구성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모든 LMU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다. 본 구현에서, 단말기에 대해, 위치결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LMU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측정 동안 측정될 수 없는 경우가 회피되고, 단말기는 LMU 측정을 한 번만 수행함으로써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모든 LMU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 방식은 제1 정보에 대응하는 LMU들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고, 위치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더 큰 양의 LMU은 위치결정 정확도를 개선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방식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방식의 보완 방식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가 제1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측정 정보에서의 LMU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LMU 측정을 수행하지만, 임의의 LMU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 하나의 방식으로, 단말기는 LMU 측정 상태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피드백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측정 절차를 수행하고, 제1 정보의 보고를 완료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단말기는 S60324에서 측정 단계를 수행하고, 제1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제1 정보가 추가로 기술될 수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모든 LMU에 대해 LMU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제1 정보가 획득된다는 것을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통지받도록 한다.
전술한 제1 방식 및 제2 방식의 실제 구현 동안, 단말기에 의해 실제로 측정될 수 있는 LMU에 관한 정보가 제1 정보로서 사용된다. 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제1 구성 정보가 단말기와 LMU 사이의 통신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데, 즉 단말기는 위치결정 신호들을 LMU들에 송신할 수 있고, LMU들은 또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두 가지 구현 중 하나의 구현을 추가로 제공한다. LMU 측정을 수행한 후에(LMU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LMU 측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모든 LMU의 범위에서 LMU 측정을 수행한 후에), 단말기는 모든 측정된 LMU 중 일부 LMU에 관한 정보를 제1 정보로서 선택하는데, 여기서 제1 정보에 대응하는 일부 LMU의 신호의 강도는 미리 설정된 신호 강도 임계값 이상이다. 단말기는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측정된 LMU들을 필터링하고, 비교적 높은 신호 강도를 갖는 일부 LMU만을 위치결정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LMU들로서 사용하여, 위치결정 측정 프로세스에서 신호 강도로 인해 수신 순간이 영향을 받는 경우를 회피한다.
제3 방식에서, 제1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이전에 수행된 LMU 측정의 것이고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이력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 9에 도시된 정보 처리 방법은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또 다른 방식을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604가 수행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S6033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에 의해 보고된 제1 정보가 이력 측정 정보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검출하면 S60334를 수행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S60336을 수행한다.
이력 측정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이전에 수행된 측정의 것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측정 정보이다.
S60334: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에 의해 보고되고 이력 측정 정보에 기록되는 제1 정보를 획득한다.
S60336: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LMU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한다.
S60334 및 S60336은 병렬 구현 단계들이고, 2개의 단계 중 어느 하나가 실제 구현 동안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단계 S60336은 전술한 제1 방식 및/또는 제2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구현에서, 단말기는 제1 구성 정보가 생성되기 전에 LMU 측정을 수행하도록 요청받을 필요가 없고, 그에 의해 제1 구성 정보가 생성되기 전에 처리 단계들을 단순화하여, 처리 효율을 개선하는 것을 돕고 시스템 자원들을 감소시킨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구현은 추가의 구현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단말기에 의해 보고되고 LMU들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이력 측정 정보에 기록되는 모든 LMU 정보로부터, 그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신호 강도 임계값 이상인 일부 LMU를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 LMU에 관한 정보를 제1 정보로서 사용하고,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정보를 획득하는 전술한 3가지 방식에 더하여, 구현 시나리오에서, UTDOA 기반 위치결정 측정이 일반적으로 적어도 N개의 LMU에 의해 피드백된 수신 순간들을 수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 N은 UTDOA 위치결정 측정을 위해 필요한 LMU들의 최소량임 -, 실제 구현 동안,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대응하는 LMU들의 양이 최소량을 충족하는지를 추가로 검증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대응하는 LMU들의 양이 위치결정 측정을 위해 요구되는 LMU들의 최소량 이상인지를 결정하고; LMU들의 양이 최소량 미만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여기서 통지 메시지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위치결정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렇지 않고, LMU들의 양이 최소량 이상인 경우, UTDOA 위치결정 측정은 도 6a 내지 도 9에 도시된 단계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고 단말기에 송신되는 제1 구성 정보가 UTDOA 위치결정 측정의 최소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충분한 LMU들이 없고 따라서 위치결정 엔티티가 단말기를 위치결정할 때 충분한 수신 순간들이 없기 때문에 위치결정이 수행될 수 없는 경우를 회피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정보를 획득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위치결정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LMU들을 결정할 수 있다. 위치결정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LMU들은 또한 명칭들의 관점에서 타겟 LMU와 상이하고, 위치결정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LMU들은 기능의 관점에서 타겟 LMU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위치결정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LMU들은 타겟 LMU를 포함한다. 이는 제1 구성 정보가 단말기가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및 단말기가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하는 빔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서만 사용되고, 단말기는 수신 순간을 송신하고 최종적으로 단말기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LMU들을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해결책은 생성된 제1 구성 정보에 제1 매핑 관계만을 포함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위치결정 측정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각각의 빔 방향에 대응하는 LMU를 결정할 필요가 없고, 이는 단말기에 대해 의무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구현 시나리오에서, 제1 구성 정보는 대안적으로 제2 매핑 관계를 운반할 수 있고, 제2 매핑 관계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LMU 사이의 매핑 관계이다. 예를 들어, 제2 매핑 관계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LMU의 식별 정보 사이의 매핑 관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 매핑 관계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LMU의 번호 사이의 매핑 관계일 수 있다. 이 구현 시나리오에서, 제1 구성 정보에 포함된 매핑 관계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 - LMU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제1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신호의 수신기 및 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더 타겟화된다.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고 송신된 제1 구성 정보에 더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에 대해 구성되는 것으로 결정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를 위치결정 엔티티에 추가로 피드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 흐름도를 참조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절차에 부가하여, 본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S607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구성 정보를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는데, 여기서 제2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LMU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한다.
S6074: 위치결정 엔티티는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S6076: 위치결정 엔티티는 제2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모든 후보 LMU 중 타겟 LMU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타겟 LMU를 결정할 때, 위치결정 엔티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후보 LMU들에서만 선택 및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타겟 LMU를 결정하기 위한 원리는 제한되지 않는다. 타겟 LMU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 예를 들어, LMU의 신호 강도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전술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타겟 LMU는 LMU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후보 LMU들은 처리 요원에게 출력될 수 있고, 처리 요원은 타겟 LMU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S6078: 위치결정 엔티티는 측정 구성 정보를 타겟 LMU에 송신하는데, 여기서 측정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운반한다.
구현 시나리오에서, 제2 구성 정보는 제1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경우, 위치결정 엔티티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빔 방향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어서, 위치결정 신호가 타겟 LMU에서 부정확하게 수신되는 경우가 어느 정도 회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구성 정보가 또한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할 때, 제1 구성 정보는 제2 구성 정보와 동일하고, 제2 구성 정보에 포함된 모든 매핑 관계들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 -LMU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구성 정보는 단말기가 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들,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들과 LMU 사이의 관계를 위치결정 엔티티에 통지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구현 해결책에서, 위치결정 엔티티는 타겟 LMU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위치결정 엔티티의 위치결정 요건을 더 잘 충족시키는 LMU를 타겟 LMU로서 선택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구현은 전술한 복수의 구현 중 어느 하나와 조합될 수 있고,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그러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구성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를 송신 및 구성하여, 각각의 최종적으로 결정된 타겟 LMU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신호를 실제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타겟 LMU는 수신 순간을 기록하고 수신 순간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할 수 있고, 위치결정 엔티티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위치결정하고, 그에 의해 UTDOA 기반 단말기 위치결정이 NR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없다는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단지 예들이라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다른 동작들 또는 다양한 동작들의 변형들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계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시되는 상이한 시퀀스들로 수행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모든 동작들이 수행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단말기에 의해 구현되는 동작 또는 단계는 또한 단말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예를 들어, 칩 또는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현되는 동작 또는 단계는 또한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예를 들어, 칩 또는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동작 또는 단계는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예를 들어, 칩 또는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은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방법 부분, 위치결정 엔티티에 대응하는 방법 부분, 단말기에 대응하는 방법 부분, 또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타겟 LMU에 대응하는 방법 부분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사항에 대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통신 디바이스(1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처리 유닛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고, 특정 제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범용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선택적 설계에서, 프로세서(1110)는 대안적으로 제1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고, 제1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1100)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위치결정 엔티티, 단말기, 또는 타겟 LMU에 대응하고 그리고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처리 요소는 범용 프로세서,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요소는 하나의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저장 요소의 일반적인 용어일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통신 디바이스(1100)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송신, 수신, 또는 통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110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메모리(1120)는 제2 명령어 또는 중간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명령어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될 수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1100)가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는 다른 관련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는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함께 통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1100)는 트랜시버(1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130)는 트랜시버 유닛, 트랜시버 머신, 트랜시버 회로, 트랜시버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 및 수신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디바이스(1100)에서, 프로세서(1100), 메모리(1120), 및 트랜시버(1130)는 버스를 사용하여 접속된다.
통신 디바이스(1100)가 도 6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동작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때, 예를 들어, 프로세서가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1 구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트랜시버는 제1 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고, 트랜시버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트랜시버는 또 다른 대응하는 통신 기능을 추가로 완료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대응하는 결정 또는 제어 동작을 완료하도록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대응하는 명령어를 메모리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컴포넌트의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통신 디바이스(1100)가 도 6a 내지 도 10b의 위치결정 엔티티에 대응하는 동작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때, 예를 들어, 트랜시버는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고, 트랜시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타겟 LMU를 결정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후보 LMU들을 결정할 수 있다. 트랜시버는 또 다른 대응하는 통신 기능을 추가로 완료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대응하는 결정 또는 제어 동작을 완료하도록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대응하는 명령어를 메모리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컴포넌트의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통신 디바이스(1100)가 도 6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의 단말기에 대응하는 동작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때, 트랜시버는: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제1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위치결정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는 또 다른 관련 통신 동작을 완료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또 다른 대응하는 결정 또는 제어 동작을 완료하도록,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대응하는 명령어를 메모리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컴포넌트의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통신 디바이스(1100)가 도 6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타겟 LMU에 대응하는 동작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때, 트랜시버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수신 순간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수신 순간을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는 또 다른 관련 통신 동작을 완료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또 다른 대응하는 결정 또는 제어 동작을 완료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대응하는 명령어를 메모리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컴포넌트의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서 및 트랜시버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아날로그 IC,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RFIC), 하이브리드 신호 IC,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인쇄 회로 보드(printed circuit board, PCB), 전자 디바이스 또는 그와 유사한 것 상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트랜시버는 또한 다양한 IC 기술, 예를 들어, 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n-type Metal-oxide-semiconductor, NMOS), p-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p-type channel metal oxide semiconductor, PMOS),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바이폴라 CMOS(BiCMOS), 실리콘 게르마늄(SiGe), 및 갈륨 비소(GaAs)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독립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비교적 큰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것일 수 있다:
(1) 독립적인 집적 회로(IC), 칩, 또는 칩 시스템 또는 서브시스템;
(2) 하나 이상의 IC를 갖는 세트 - 선택적으로, IC 세트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컴포넌트를 또한 포함할 수 있음 -;
(3) ASIC, 예를 들어, 모뎀(MSM);
(4) 또 다른 디바이스에 내장될 수 있는 모듈;
(5) 수신기, 단말기, 셀룰러 폰, 무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모바일 유닛,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
(6) 또 다른 디바이스 등.
또한,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200)는 생성 모듈(1210) 및 송신 모듈(1220)을 포함한다. 생성 모듈(1210)은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1 구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제1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이고, LMU는 서빙 기지국 이외의 LMU이다. 송신 모듈(1220)은 제1 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2에서, 추가로, 송신 모듈(1220)은: 제2 구성 정보를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LMU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1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측정된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되고 또한 단말기에 대한 것인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1230)을 추가로 포함한다.
가능한 방식으로, 위치결정 요청 정보는 LMU의 식별 정보를 운반한다.
이 경우, 송신 모듈(1220)은 제1 측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제1 측정 정보는 제1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LMU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LMU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수신 모듈(1230)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 LMU의 식별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 셀 식별자(PCI);
셀 글로벌 식별자(ECGI);
주파수; 및
업링크 보완 대역(SUL)이 지원되는지 여부.
또 다른 가능한 방식에서, 송신 모듈(1220)은 제2 측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제2 측정 정보는 제1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모든 LMU에 대해 LMU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수신 모듈(1230)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 다른 가능한 방식에서, 통신 디바이스(1200)는 단말기에 의해 보고된 제1 정보가 이력 측정 정보에 존재하는지 검출하고(도 12에 도시되지 않음) - 이력 측정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이전에 측정되고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측정 정보임 - ; 및 단말기에 의해 보고된 제1 정보가 이력 측정 정보에 존재하면, 단말기에 의해 보고되고 이력 측정 정보에 기록되는 제1 정보를 획득하고; 또는 단말기에 의해 보고되는 제1 정보가 이력 측정 정보에 존재하지 않으면, LMU 측정을 수행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정보에서의 LMU는 단말기에 의해 측정된 모든 LMU의 일부이고, LMU의 신호 강도는 미리 설정된 신호 강도 임계값 이상이다.
또 다른 가능한 방식에서, 처리 모듈은 LMU들의 양이 위치결정 측정을 위해 필요한 LMU들의 최소량 이상인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및 이 경우에, 송신 모듈(1220)은 LMU들의 양이 최소량 미만인 경우 위치결정 엔티티에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통지 메시지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위치결정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2 구성 정보는 제1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LMU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의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추가로 참조한다.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칩 또는 회로)일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300)는 송신 모듈(1310), 수신 모듈(1320), 결정 모듈(1330), 및 위치결정 모듈(1340)을 포함한다. 송신 모듈(1310)은 단말기에 대한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모듈(1320)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제2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후보 위치 측정 유닛들(LMU들)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단말기를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결정 모듈(1330)은 제2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LMU들 중 타겟 LMU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1310)은 측정 구성 정보를 타겟 LMU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측정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운반한다. 수신 모듈(1320)은 업링크 참조 신호의 것이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타겟 LMU에 의해 측정되는 수신 순간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위치결정 모듈(1340)은 수신 순간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방식으로, 송신 모듈(1310)은 구체적으로: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대해 위치결정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후보 LMU들을 결정하고; 및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 위치결정 요청 정보는 LMU의 식별 정보를 운반함 -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서, 후보 LMU의 식별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 셀 식별자(PCI);
셀 글로벌 식별자(ECGI);
주파수; 및
업링크 보완 대역(SUL)이 지원되는지 여부.
선택적으로, 제2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제1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이고, LMU는 서빙 기지국 이외의 LMU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정보는 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의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추가로 참조한다.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위치결정 엔티티일 수 있거나, 또는 위치결정 엔티티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칩 또는 회로)일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400)는 수신 모듈(1410) 및 송신 모듈(1420)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4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적어도 제1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LMU)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이고, LMU는 서빙 기지국 이외의 LMU이다. 송신 모듈(1420)은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LMU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의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대응하는 설명들을 추가로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단말기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칩 또는 회로)일 수 있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500)는 수신 모듈(1510), 기록 모듈(1520), 및 송신 모듈(1530)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510)은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측정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운반한다. 수신 모듈(1510)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기록 모듈(1520)은 업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순간을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1530)은 수신 순간을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들의 구현 원리들 및 기술적 효과들은 유사하고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통신 디바이스는 LMU일 수 있거나, 또는 LMU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칩 또는 회로)일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의 전술한 모듈들로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 구현에서, 모듈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의 물리적 엔티티에 통합되거나,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모든 모듈은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된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또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듈들 중 일부는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모듈들 중 일부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 모듈은 독립적으로 배치된 처리 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통신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 모듈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칩에서 구현된다. 또한, 생성 모듈은 통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고, 통신 디바이스의 처리 요소는 전술한 모듈들의 기능들을 호출하고 수행한다. 다른 모듈들의 구현들은 유사하다. 또한, 모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함께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처리 요소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일 수 있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방법 또는 모듈들의 단계들은 처리 요소에서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들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모듈들은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술한 모듈들 중 하나가 처리 요소에 의해 프로그램을 스케줄링하는 형태로 구현될 때, 처리 요소는 범용 프로세서,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프로그램을 호출할 수 있는 또 다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모듈들은 함께 통합될 수 있고,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를 추가로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단말기 또는 회로일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가 단말기일 때, 도 16은 단말기의 간략화된 개략적 구조도이다. 이해 및 예시의 편의를 위해, 도 16에서, 단말기가 모바일 폰인 예가 사용된다.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무선 주파수 회로, 안테나, 및 입/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단말기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을 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주파수 회로는 주로: 기저대역 신호와 무선 주파수 신호 사이의 변환을 수행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안테나는 주로 전자기파의 형태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출력 장치는 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타입의 단말기는 입/출력 장치를 갖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데이터가 송신될 필요가 있을 때, 프로세서는 송신될 데이터에 대해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하고,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 회로에 출력한다.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무선 주파수 처리를 수행한 후, 무선 주파수 회로는 안테나를 통해 전자기파 형태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한다. 데이터가 단말기에 송신될 때, 무선 주파수 회로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기저대역 신호를 프로세서에 출력한다. 프로세서는 기저대역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하나의 메모리 및 하나의 프로세서만이 도 16에 도시된다. 실제 단말기 제품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존재할 수 있다. 메모리는 또한 저장 매체, 저장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와 통합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 및 트랜시버 기능을 갖는 무선 주파수 회로는 단말기의 트랜시버 유닛으로서 간주될 수 있고, 처리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는 단말기의 처리 유닛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트랜시버 유닛(1610) 및 처리 유닛(1620)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트랜시버, 트랜시버 머신, 트랜시버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처리 유닛은 프로세서, 처리 보드, 처리 모듈, 처리 장치 등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 유닛(1610)에 있고 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컴포넌트는 수신 유닛으로서 간주될 수 있고, 트랜시버 유닛(1610)에 있고 송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컴포넌트는 송신 유닛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트랜시버 유닛(1610)은 수신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때때로 트랜시버, 트랜시버 머신, 트랜시버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수신 유닛은 또한 때때로 수신기, 수신기 머신, 수신기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송신 유닛은 또한 때때로 송신기, 송신기 머신, 송신기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트랜시버 유닛(1610)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단말기 측에서 송신 동작 및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1620)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단말기상에서 송신 동작 및 수신 동작 이외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 구현에서, 트랜시버 유닛(1610)은 도 6a 및 도 6b의 S608에서의 단말기 측에 대해 수신 동작 및 도 6a 및 도 6b의 S610에서의 단말기 측에 대해 송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트랜시버 유닛(1610)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측에 대한 또 다른 송신 및 수신 단계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처리 유닛(1620)은 전술한 구현 절차들 중 어느 하나에서 S608 및 S610에 추가하여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처리 유닛(1620)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측에 대해 또 다른 처리 단계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 다른 예로서, 또 다른 구현에서, 트랜시버 유닛(1610)은 도 7a 및 도 7b의 S60314 및 S608에서 단말기 측에 대해 수신 동작, 및 도 7a 및 도 7b의 S60316 및 S610에서의 단말기 측에 대해 송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트랜시버 유닛(1620)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측에 대해 또 다른 송신 및 수신 단계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처리 유닛(1620)은 도 7a 및 도 7b의 S60314에서 단말기 측에 대해 측정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처리 유닛(1620)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측에 대해 또 다른 처리 단계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 다른 예로서, 또 다른 구현에서, 트랜시버 유닛(1610)은 도 8a 및 도 8b의 S60324 및 S608에서의 단말기 측에 대해 수신 동작, 및 도 8a 및 도 8b의 S60326 및 S610에서의 단말기 측에 대해 송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트랜시버 유닛(1610)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측에 대해 또 다른 송신 및 수신 단계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처리 유닛(1620)은 도 8a 및 도 8b의 S60324에서 단말기 측에 대해 측정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처리 유닛(1620)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측에 대해 또 다른 처리 단계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 다른 예로서, 또 다른 구현에서, 트랜시버 유닛(1610)은 도 10a 및 도 10b의 S608에서의 단말기 측에 대해 수신 동작, 또는 도 10a 및 도 10b의 S610에서의 단말기 측에 대해 송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트랜시버 유닛(1110)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측에 대해 또 다른 송신 및 수신 단계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처리 유닛(1620)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측에 대해 다른 처리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통신 디바이스가 칩일 때, 칩은 트랜시버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유닛은 입/출력 회로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처리 유닛은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칩 상에 집적된 집적 회로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통신 디바이스가 단말기일 때, 도 17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참조한다. 일 예에서, 디바이스는 도 11의 프로세서(1110)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7에서, 디바이스는 프로세서(1710), 데이터 송신 프로세서(1720), 및 데이터 수신 프로세서(1730)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처리 모듈(1110)은 도 17의 프로세서(1710)일 수 있고, 대응하는 기능을 완료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트랜시버 모듈(1130)은 도 17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서(1720) 및/또는 데이터 수신 프로세서(1730)일 수 있다. 도 17이 채널 인코더 및 채널 디코더를 도시하지만, 이들 모듈은 이 실시예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고 단지 예들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8은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처리 장치(1800)는 변조 서브시스템, 중앙 처리 서브시스템, 및 주변기기 서브시스템과 같은 모듈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는 처리 장치(1800)에서의 변조 서브시스템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조 서브시스템은 프로세서(1803) 및 인터페이스(18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3)는 처리 모듈(1110)의 기능을 구현하고, 인터페이스(1804)는 트랜시버 모듈(1130)의 기능을 구현한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변조 서브시스템은 메모리(1806), 프로세서(1803), 및 메모리(1806)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프로세서(1803)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단말기 측에 대한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806)는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일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메모리(1806)가 프로세서(1803)에 접속될 수 있다면, 메모리(1806)는 변조 서브시스템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처리 장치(1800)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명령어가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단말기 측에 대한 방법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에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명령어가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단말기 측에 대한 방법이 수행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때,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컴퓨터상에서 로딩되고 실행될 때, 본 출원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들은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들일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명령어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또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명령어들은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 섬유 또는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으로, 또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사용가능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가능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가능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isk) 등일 수 있다.

Claims (53)

  1.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참조 신호의 제1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제1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고, 상기 위치 측정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외의 위치 측정 유닛임 -;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구성 정보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매핑 관계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및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빔 방향으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구성 정보를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위치 측정 유닛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위치 측정 유닛의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 엔티티로부터의 것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것인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요청 정보는 상기 위치 측정 유닛의 식별 정보를 운반하는 방법.
  6.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위치 측정 유닛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유닛의 식별 정보는:
    물리 셀 식별자(PCI);
    셀 글로벌 식별자;
    주파수;
    보완 업링크(supplementary uplink, SUL) 대역이 지원되는지 여부;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시퀀스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이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SRS 자원인 방법.
  9.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위치 측정 유닛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결정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위치 측정 유닛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제1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임 -;
    상기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위치 측정 유닛들 중 타겟 위치 측정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타겟 위치 측정 유닛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운반함 -;
    상기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상기 타겟 위치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의 수신 순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빔 방향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됨 -; 및
    상기 위치결정 엔티티에 의해, 상기 수신 순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치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유닛의 식별 정보는:
    물리 셀 식별자(PCI);
    셀 글로벌 식별자;
    주파수;
    보완 업링크(SUL) 대역이 지원되는지 여부;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시퀀스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적어도 제1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고, 상기 위치 측정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외의 위치 측정 유닛임 -; 및
    상기 제1 구성 정보 내의 상기 제1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매핑 관계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및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빔 방향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위치 측정 유닛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위치 측정 유닛의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이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유닛의 식별 정보는:
    물리 셀 식별자(PCI);
    셀 글로벌 식별자;
    주파수;
    보완 업링크(SUL) 대역이 지원되는지 여부;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시퀀스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6. 삭제
  17.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이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SRS 자원인 방법.
  18.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위치 측정 유닛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위치결정 엔티티로부터의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운반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제1 정보 사이의 제1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위치 측정 유닛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관한 번호 정보 또는 인덱스 정보임 -;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순간을 기록하는 단계 -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상기 제1 매핑 관계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상에서 및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빔 방향에서 수신됨 -; 및
    상기 수신 순간을 상기 위치결정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위치 측정 유닛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위치 측정 유닛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합되는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위치 측정 유닛의 식별 정보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유닛의 식별 정보는:
    물리 셀 식별자(PCI);
    셀 글로벌 식별자;
    주파수;
    보완 업링크(SUL) 대역이 지원되는지 여부;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시퀀스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위치 측정 유닛 사이의 제2 매핑 관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25. 제10항 또는 제11항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위치결정 엔티티.
  26. 제12항 또는 제13항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디바이스.
  27. 제19항 또는 제20항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위치 측정 유닛.
  28.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0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2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9항 또는 제20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KR1020217012182A 2018-09-27 2019-09-23 정보 처리 방법,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저장 매체 KR102539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133698.9A CN110958686B (zh) 2018-09-27 2018-09-27 信息处理方法、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201811133698.9 2018-09-27
PCT/CN2019/107323 WO2020063541A1 (zh) 2018-09-27 2019-09-23 信息处理方法、通信设备、系统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323A KR20210064323A (ko) 2021-06-02
KR102539974B1 true KR102539974B1 (ko) 2023-06-05

Family

ID=6995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182A KR102539974B1 (ko) 2018-09-27 2019-09-23 정보 처리 방법,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18516A1 (ko)
EP (1) EP3860242A4 (ko)
JP (1) JP7241865B2 (ko)
KR (1) KR102539974B1 (ko)
CN (2) CN114189933A (ko)
BR (1) BR112021005773A2 (ko)
WO (1) WO2020063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37715A1 (en) * 2018-10-31 2020-04-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supporting uplink and downlink positioning procedures in a wireless network
KR20230002366A (ko) * 2020-04-17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7455233B2 (ja) 2020-04-28 2024-03-25 華為技術有限公司 測位情報決定方法及び通信装置
CN114051200B (zh) * 2020-07-24 2023-04-1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终端定位方法、lmf、终端和存储介质
CN114698097A (zh) * 2020-12-31 2022-07-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定位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156521A (zh) * 2021-11-17 2023-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6074A1 (zh) * 2013-12-25 2015-07-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参考信号配置的方法、基站、定位服务器及系统
US20150215793A1 (en) * 2012-08-13 2015-07-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hancing Uplink Measurements for Positioning by Adaptively Using Multi-Antenna Systems
US20170288897A1 (en) * 2014-08-29 2017-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measurement to support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server for supporting positioning,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positioning
CN108076478A (zh) 2016-11-08 2018-05-25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ue、基站和服务中心中的定位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0072B2 (en) * 2010-01-18 2014-02-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reference signal correlation characteristics
CN103370633B (zh) * 2011-02-11 2015-04-2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网络侧经由有选择延迟辅助数据传输去除定位辅助的模糊性
WO2013025158A1 (en) * 2011-08-12 2013-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for coordinating up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3024757B (zh) * 2011-09-22 2017-08-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Lmu选择方法及装置
CN104350779B (zh) * 2012-04-09 2019-02-1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管理不确定的测量时机
US10588107B2 (en) 2012-10-26 2020-03-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of positioning in a system comprising measuring nodes with multiple receiving points
US9755797B2 (en) * 2013-12-26 2017-09-05 Mediatek Singapore Pte. Ltd. Localization-based beamforming scheme for systems with multiple antennas
CN105637953A (zh) 2014-05-30 2016-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网络侧设备、定位节点及定位系统
US10033449B2 (en) * 2014-12-16 2018-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7113766A (zh) * 2015-04-30 2017-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定位参数的交互方法、装置及系统
US20180167895A1 (en) * 2015-06-07 2018-06-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for positio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7852582B (zh) * 2015-07-08 2021-03-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通信网络中用于提供位置信息的方法及设备
WO2017164925A1 (en) * 2016-03-24 2017-09-28 Intel Corporation Method of positioning for 5g systems
US10021667B2 (en) * 2016-06-23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in beamformed communications
CN108064081B (zh) * 2016-11-07 2020-10-02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ue、基站、服务中心中的定位的方法和装置
CN108064056B (zh) * 2016-11-08 2020-12-29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ue、基站和服务中心的用于定位的方法和设备
CN108540995B (zh) * 2017-03-03 2020-10-02 维沃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检测方法、网络设备及用户设备
CN108064453B (zh) * 2017-09-27 2021-10-01 达闼机器人有限公司 邻区配置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0681648B2 (en) * 2018-01-10 2020-06-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ower control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15793A1 (en) * 2012-08-13 2015-07-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hancing Uplink Measurements for Positioning by Adaptively Using Multi-Antenna Systems
WO2015096074A1 (zh) * 2013-12-25 2015-07-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参考信号配置的方法、基站、定位服务器及系统
US20170288897A1 (en) * 2014-08-29 2017-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measurement to support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server for supporting positioning,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positioning
CN108076478A (zh) 2016-11-08 2018-05-25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ue、基站和服务中心中的定位方法和设备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36.305 V14.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3541A1 (zh) 2020-04-02
US20210218516A1 (en) 2021-07-15
BR112021005773A2 (pt) 2021-06-29
CN110958686B (zh) 2021-12-03
JP2022501949A (ja) 2022-01-06
CN110958686A (zh) 2020-04-03
EP3860242A1 (en) 2021-08-04
JP7241865B2 (ja) 2023-03-17
EP3860242A4 (en) 2021-12-15
KR20210064323A (ko) 2021-06-02
CN114189933A (zh)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9974B1 (ko) 정보 처리 방법,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저장 매체
US20220321293A1 (en) Signal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0574327B (zh) 用于波束成形通信系统中设备的网络定位的系统和方法
US11387928B2 (en) Methods and user equipment, radio transmitter and network node for manag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KR101923262B1 (ko) 측정 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 내에서 다중 수신 포인트로 위치 결정하는 방법
US20210410097A1 (en) Methods, Apparatus and Machine-Readable Mediums Relating to Reference Signals for Positioning in a Wireless Network
US20200169336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CN115104348A (zh) 一种定位信息上报的方法及通信装置
US10890665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global navigation system
CN112583563B (zh) 一种参考信号配置的确定方法及装置
US113820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positioning signal
CN114286330A (zh) 一种定位参考信号prs的关联方法及设备通信装置
KR20230049625A (ko) 반복적인 신호 성능에 기반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조정
CN114365534A (zh) 信息处理方法、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3207510A1 (zh) 用于sidelink的定位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5707096A (zh) 一种时间误差信息的更新方法以及相关装置
WO2023134913A1 (en) Method for downlink and uplink carrier phase integer ambiguity confirmation
JP2023549492A (ja) 信号送信方法、信号受信方法、及び装置
WO2023119155A1 (en) Positioning measurement request including number of paths
CN117956395A (zh) 定位方法、装置、存储介质、芯片系统及计算机程序产品
KR20230163404A (ko) 포지셔닝을 위한 기준 신호들에서의 타이밍 그룹 정보 임베딩
KR20240055831A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N117178604A (zh) 一种信号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150937A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CN116800391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