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867B1 -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867B1
KR102539867B1 KR1020190089071A KR20190089071A KR102539867B1 KR 102539867 B1 KR102539867 B1 KR 102539867B1 KR 1020190089071 A KR1020190089071 A KR 1020190089071A KR 20190089071 A KR20190089071 A KR 20190089071A KR 102539867 B1 KR102539867 B1 KR 102539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solution
gel composition
weight
sus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772A (ko
Inventor
박진영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우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우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우물산
Priority to KR1020190089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8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C01B11/024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from chlor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0Elemental chlorine; Inorganic compounds releasing chl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52Preparation of gels
    • B01J13/0065Preparation of gels containing an organic ph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산화염소를 서서히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서 살균제 및 소독제, 탈취제, 선도유지제, 항균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은 아염소산염, pH조절제, 염화나트륨, 이산화염소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이 겔화제에 흡수된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sustained-release gel composition for chlorine diox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산화염소를 서서히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서 살균제 및 소독제, 탈취제, 선도유지제, 항균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lO2)는 강력한 산화제로서, 표백제, 탈취제, 살균제 및 소독제로 널리 알려진 화합물이다. 특히, 기존 동일한 목적으로 염소보다도 물에 대한 용해도(25℃에서 301g/L)로 높고, 살균 작용이 뛰어나 물의 소독 및 식품의 처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산화염소는 넓은 pH 범위에서의 살균력, 빠른 작용(Bernarde et al, 1965, 1967; McGuire and Dishinger, 1984; Rav-Acha, 1984) 및 유기물과의 제한된 반응(Richardson et al, 1994 Long et al, 1999) 때문에 대장균 등과 같은 유해세균을 살균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Han et al, 2001; Singh et al, 2002 Beuchat et al, 2004; Rodgers et al, 2004; Ryu and Beuchat, 2005; Kim et al, 2006).
그러나, 이산화염소의 단점 중 하나는 제조와 저장시 불안정성이다. 이산화염소의 낮은 안정성 때문에, 이산화염소는 현장에서 제조되어야 하고 장기간 저장이 어렵다.
이산화염소를 제조하는 전통적인 방법 중 하나는 반응물로서 아염소산나트륨(sodium chlorite, NaClO2)과 염산(HCl)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반응에 의해 이산화염소가 생성된다.
5NaClO2 + 4HCl → 4ClO2 + 5NaCl + 2H2O
이러한 반응에 의한 이산화염소의 발생은 급격하게 일어나며, 이산화염소의 활성에는 지속성이 없다. 따라서 저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2506호는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이산화염소 가스를 실리카겔에 흡착시킨 후 이를 필름에 패킹함으로써 저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지속적으로 방출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산화염소의 방출지속시간이 5 내지 7일 정도로 지속시간이 길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2506호: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팩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10일 이상 이산화염소를 서서히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서 살균제 및 소독제, 탈취제, 선도유지제, 항균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은 아염소산염, pH조절제, 염화나트륨, 이산화염소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이 겔화제에 흡수된다.
그리고 상기 pH조절제는 상기 겔 조성물의 pH를 5 내지 7.5로 유지시킬 수 있는 산 또는 이의 허용되는 염이다.
또한, 상기 pH조절제는 인산, 락트산, 시트르산, 아센트산, 말레산 및 이들의 허용되는 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겔화제는 고흡수성 수지이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1500 내지 2500ppm이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물에 아염소산염을 용해시켜 제 1용액을 수득하는 단계와; (b)상기 제 1용액에 pH조절제 및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제 2용액을 수득하는 단계와; (c)상기 제 2용액에 이산화염소수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수득하는 단계와; (d)상기 혼합용액을 겔화제에 첨가하여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를 서서히 지속적으로 방출하므로 살균제 및 소독제, 탈취제, 선도유지제, 항균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10일 이상의 장기간 동안 이산화염소를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이산화염소의 활용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은 아염소산염, pH조절제, 염화나트륨, 이산화염소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이 겔화제에 흡수된 것이다.
아염소산염으로 아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이나 아염소산 알칼리토류 금속염을 이용할 수 있다.
아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으로 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칼륨, 아염소산리튬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아염소산 알칼리토류 금속염으로는 아염소산칼슘, 아염소산마그네슘, 아염소산바륨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용존 이산화염소 가스의 장기적인 보존 안정성이라는 점에서 아염소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pH조절제는 아염소산염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며,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겔 조성물이 적절한 pH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pH조절제는 실온(25℃)에서 겔 조성물의 pH를 5 내지 7.5로 유지시킬 수 있는 산 또는 이의 허용되는 염이다. 이러한 pH조절제로 인산, 락트산, 시트르산, 아센트산, 말레산 및 이들의 허용되는 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보존 안정성이 뛰어나며, pH 변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인산을 이용한다.
염화나트륨은 겔 조성물 중의 이산화염소 가스의 방출특성을 개선시킨다. 즉,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염화나트륨이 첨가됨으로써 10일 이상 장시간 동안 서서히 이산화염소를 방출하는 서방출 특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산화염소수는 용매에 이산화염소를 용해시킨 것으로서, 이산화염소수는 일정한 속도 및 농도로 이산화염소를 장시간 동안 방출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염소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로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산화염소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1500 내지 250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1500 내지 2500ppm 농도 범위 내에서 이산화염소의 방출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크다.
아염소산염, pH조절제, 염화나트륨, 이산화염소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을 겔화제에 흡수시키면 겔 조성물이 형성된다.
겔화제는 혼합용액의 점도를 조절하여 겔화시켜 이산화염소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산화염소의 초기 방출 속도를 제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혼합용액을 겔화시키기 위한 겔화제로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수지로 녹말계 흡수성수지, 셀룰로오스계 흡수성 수지, 합성 폴리머계 흡수성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녹말계 흡수성 수지로는 녹말/폴리아크릴산계 수지 등이 있으며, 합성 폴리머계 흡수성 수지로는 가교 폴리아크릴산계 수지, 이소부틸렌/말레산계 수지, 포발/폴리아크릴산염계 수지, 폴리아크릴산염계 수지 등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은 이산화염소를 서서히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서 살균제 및 소독제, 탈취제, 선도유지제, 항균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방출기간을 10일 이상 장시간 동안 지속적인 방출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물에 아염소산염을 용해시켜 제 1용액을 수득한다. 가령,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염소산염 2 내지 20중량부를 첨가하여 용해시킨다.
다음으로, 제 1용액에 pH조절제 및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제 2용액을 수득한다. 가령, 제 1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pH조절제 1 내지 20중량부, 염화나트륨 1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2용액을 수득한다.
다음으로, 제 2용액에 이산화염소수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수득한다. 가령, 제 2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산화염소수 10 내지 50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수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혼합용액을 겔화제에 첨가하여 겔화시킨다.
이하, 하기의 실험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험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증류수 67ml에 아염소산나트륨 8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상온에서 pH 8~11의 제 1용액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제 1용액에 인산 8g 및 염화나트륨 5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상온에서 pH 5~7.5의 제 2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농도 2000ppm의 이산화염소수 25ml에 염화나트륨 5g 및 증류수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pH 6~9인 이산화염소수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제 2용액에 이산화염소수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pH가 5~7.5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 후 고흡수성 수지를 첨가하여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a)물 100중량부에 아염소산나트륨 2 내지 20중량부를 첨가하여 용해시켜 제 1용액을 수득하는 단계와;
    (b)상기 제 1용액 100중량부에 pH조절제로서 인산 1 내지 20 중량부 및 염화나트륨 1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여 실온(25℃)에서 pH를 5 내지 7.5로 유지시키며 교반하여 제 2용액을 수득하는 단계와;
    (c)상기 제 2용액 100중량부에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1500 내지 2500ppm인 이산화염소수 10 내지 50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수득하는 단계와;
    (d)상기 혼합용액을 고흡수성 수지인 겔화제에 첨가하여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089071A 2019-07-23 2019-07-23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2539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71A KR102539867B1 (ko) 2019-07-23 2019-07-23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71A KR102539867B1 (ko) 2019-07-23 2019-07-23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772A KR20210011772A (ko) 2021-02-02
KR102539867B1 true KR102539867B1 (ko) 2023-06-08

Family

ID=7455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071A KR102539867B1 (ko) 2019-07-23 2019-07-23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3157B (zh) * 2022-02-11 2022-11-29 山东大学 双组分凝胶缓释型二氧化氯消毒剂及其制备方法、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1901A (ja) * 1998-11-17 2000-08-02 Hisao Ishiguro 二酸化塩素含有ゲル状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保管方法並びに二酸化塩素含有ゲル状組成物の充填体と二酸化塩素含有ゲル状組成物の充填体収納袋及び二酸化塩素含有ゲル状組成物収納容器
JP2006321666A (ja) 2005-05-17 2006-11-30 Amatera:Kk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方法
JP2013230974A (ja) * 2007-03-15 2013-11-14 Taiko Pharmaceutical Co Ltd 純粋二酸化塩素液剤、これを含有するゲル状組成物及び発泡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5502A (ja) * 1998-03-09 1999-09-21 Chisso Corp 二酸化塩素水簡易発生キット
KR101443455B1 (ko) 2012-12-05 2014-09-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팩
KR101586787B1 (ko) * 2014-03-17 2016-01-19 한국식품연구원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용 고분자 겔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의 포장방법
KR101868446B1 (ko) * 2015-12-04 2018-07-18 김홍길 이산화염소 서방출용 겔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팩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1901A (ja) * 1998-11-17 2000-08-02 Hisao Ishiguro 二酸化塩素含有ゲル状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保管方法並びに二酸化塩素含有ゲル状組成物の充填体と二酸化塩素含有ゲル状組成物の充填体収納袋及び二酸化塩素含有ゲル状組成物収納容器
JP2006321666A (ja) 2005-05-17 2006-11-30 Amatera:Kk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方法
JP2013230974A (ja) * 2007-03-15 2013-11-14 Taiko Pharmaceutical Co Ltd 純粋二酸化塩素液剤、これを含有するゲル状組成物及び発泡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772A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16765A1 (en) Water treatment
KR101925900B1 (ko) 장기 보존성이 개선된 차아염소산수 및 그 제조 방법
WO2014064782A9 (ja) 二酸化塩素ガス発生剤パック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保存方法
JP4373366B2 (ja)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方法
US11274040B2 (en) Method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gas, k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gas, and gel composition
JP4475948B2 (ja) 次亜塩素酸ナトリウム系消毒剤溶液、及びそれを調製する方法
JP5662244B2 (ja) 二酸化塩素ガス発生剤パック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保存方法
JP2007001807A (ja)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方法
CN110292050B (zh) 一种调节二氧化氯平稳释放的方法及二氧化氯缓释凝胶
JP2008507533A (ja) 安定化抗菌性組成物
JP4109165B2 (ja)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方法
KR102539867B1 (ko)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JP2013540743A (ja) ブロモ尿素の調製方法
JP2011083447A (ja) ゲル状二酸化塩素系殺菌消臭剤
WO2015093062A1 (ja) 二酸化塩素吸着による亜塩素酸水製造法
KR20120009548A (ko)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한 겔상의 살균 및 소취제 조성물
KR102539860B1 (ko)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선도유지제와 이의 제조방법
CN113080200B (zh) 无需再活化的二氧化氯消毒剂及制备方法
KR101159694B1 (ko) 이산화염소 발생 조성물
TWI672264B (zh) 二氧化氯氣體的產生方法、液性組成物、凝膠狀組成物及二氧化氯氣體產生套組
JP4494010B2 (ja) 実質的に亜塩素酸塩フリーで、安定した水性塩素酸素溶液の製造方法、この方法により得られる塩素酸素溶液、ならびにその利用
JPH07206609A (ja) 殺菌剤
KR101550308B1 (ko) 살균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한 살균소독제
KR20220012774A (ko)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용 고체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탈취제
JP2011132048A (ja)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