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227B1 -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 - Google Patents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227B1
KR102538227B1 KR1020200161631A KR20200161631A KR102538227B1 KR 102538227 B1 KR102538227 B1 KR 102538227B1 KR 1020200161631 A KR1020200161631 A KR 1020200161631A KR 20200161631 A KR20200161631 A KR 20200161631A KR 102538227 B1 KR102538227 B1 KR 102538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all
coupled
fitt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503A (ko
Inventor
김혜진
손인수
오세윤
이지은
이예진
김시윤
우효림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2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홀더부; 및 홀더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홀더부는 막대형상이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손잡이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되, 원통 형상의 본체부 본체부의 내부 중심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기둥부 및 본체부의 외측면에서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일정 간격 파여진 홈부를 포함하고, 본체부의 내측면과 기둥부 사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가이드부는, 원통 형상이되, 내부가 개방된 헤드부; 및 헤드부의 외측면에 맞닿아 연장형성되되, 내부에 중공부를 지닌 봉 형상의 끼움부를 포함하고, 헤드부는 지름은 상기 본체부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헤드부는 본체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끼움부는 상기 홈부에 위치하여 어금니와 같은 특정위치의 치간을 손쉽게 세척하여 구강건강을 도모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AN ENHANCED CONVENIENCE DENTAL TOOTHBRUSH KIT}
본 발명은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홀더부; 및 홀더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홀더부는 막대형상이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손잡이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되, 원통 형상의 본체부 본체부의 내부 중심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기둥부 및 본체부의 외측면에서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일정 간격 파여진 홈부를 포함하고, 본체부의 내측면과 기둥부 사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가이드부는, 원통 형상이되, 내부가 개방된 헤드부; 및 헤드부의 외측면에 맞닿아 연장형성되되, 내부에 중공부를 지닌 봉 형상의 끼움부를 포함하고, 헤드부는 지름은 상기 본체부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헤드부는 본체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끼움부는 상기 홈부에 위치하여 어금니와 같은 특정위치의 치간을 손쉽게 세척하여 구강건강을 도모하는 발명이다.
사회, 경제적인 변화와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 및 인식이 높아짐으로써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연령대에 따른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치주질환 유병율은 20대 3.85%, 30대 14.7%, 50대 이상은 40%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주질환의 유병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진료비통계지표에 의하면 '질병 소분류별 다발생 순위별 요양급여실적'에서 최근 5년간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항상 3순위 이내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연평균 증가율 12.9%로 보험급여 진료 중 가장 높은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
음식물을 섭취하고 나면 치아에는 치태라는 물질이 생성된다. 1g의 치태에는 약 1억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 이 세균을 제때 제거하여 구강상태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행위를 칫솔질이라고 할 수 있다.
칫솔질을 하지 않거나 올바르게 하지 못했을 경우, 세균이 쌓이면서 잇몸과 치아 사이의 공간에 치주 포켓이 생기게 된다. 이 치주 포켓은 쉽게 말해서 세균들의 집단 덩어리라고 할 수 있다. 이 치주 포켓을 그대로 두면 염증이 생기며 치은질환이 발생한다. 치은질환이 발생하면 잇몸에서 출혈이 생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치은질환은 구강병의 감기 같은 단계이다.
즉, 경미한 염증 상태이므로 칫솔질을 평소보다 꼼꼼히 시행한다면 금세 완화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염증을 방치해두면 염증이 더 심해져 치주질환이 생겨 잇몸이 내려가며 치조골이 노출되고, 치조골이 녹으면 심각한 구강 상태까지 진전될 수 있다.
치은 및 치주질환이 발생 시 잇몸과 치아 사이의 치주 포켓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칫솔모를 잇몸 안에 넣고 세균을 제거하는 칫솔질을 시행해야 한다.
그러나, 치아와 잇몸 사이 치아와 치아 사이 즉, 치간에는 칫솔질로 제대로 닦이지 않아 치간칫솔을 사용하여 치간에 축적된 음식물 찌꺼기, 치석, 플라그 등을 제거하고 있다.
치간 칫솔은 칫솔모가 사방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사방으로 배치된 칫솔모를 치아 사이에 집어넣은 후 반복 운동을 하여 치간을 세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치간칫솔은 칫솔모가 손잡이부에 고정되어 있어, 어금니 부위와 같은 특정 위치의 치간을 세척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치간칫솔을 치아 사이에 집어넣고 반복 운동을 할 때, 특정위치의 치간에서 반복 운동을 실시할 경우 잘못된 칫솔질로 치아 및 잇몸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치간칫솔의 길이가 짧아 치간칫솔의 파지를 어렵게 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위치의 치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각도가 조절되며 손쉬운 파지가 가능한 키트가 필요한 실정이다.
10-0758375 B1
본 발명의 목적은 어금니 부위와 같은 특정 위치의 치간을 손쉽게 세척하기 위해 각도가 조절되며 손쉬운 파지가 가능한 치간칫솔 키트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막대형상이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되, 원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중심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기둥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서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일정 간격 파여진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과 상기 기둥부 사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원통 형상이되, 내부가 개방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에 맞닿아 연장형성되되, 내부에 중공부를 지닌 봉 형상의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지름은 상기 본체부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홈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끼움부의 중공부에는 치간칫솔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홈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끼움부의 내측에는 원형 형상의 복수 개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치간칫솔이 끼워져 고정될 시, 치간칫솔의 외측면에 맞닿아 고정력을 증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결합 시, 상측면을 덮는 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본체부와 지름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결합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끼움부는 상기 홈부에서 이동되어 치간칫솔과 치아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치간(어금니, 앞니, 사랑니)에 사용되어 기존의 치간칫솔이 세척하기 어려웠던 치간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손쉬운 사용법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사용자의 구강 건강을 도모하고 효율적인 치간 세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치간칫솔의 단점인 다양한 각도에서 사용할 수 없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다양한 각도를 지닌 치간칫솔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홀더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홀더부와 가이드부 및 캡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끼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이줄모유닛의 이동 및 헤드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이줄모유닛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고정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홀더볼부와 홀더스프링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치간칫솔을 끼운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길이 방향이란 도 3을 기준으로 X축을 의미하며 폭 방향이란 Y축을 의미하고, 수직 방향이란 Z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는 어금니 부위와 같은 특정 위치의 치간의 세척 편의를 증대하여 구강 건강을 도모하는 발명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홀더부(100), 가이드부(200) 및 캡부(3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를 참조하여 홀더부(100)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홀더부(100)는 손잡이부(110), 본체부(12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1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막대 형상 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110)는 후술할 본 발명들의 구성요소가 결합되어 구강의 치간에서 사용될 때, 손잡이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그립감 있게 파지할 수 있어 치간 세척 시 안정성이 증대되고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체부(120)는 손잡이부(110)의 일단에서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부(1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본체부(1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부(110)와 맞닿아 고정된 형태이며, 내부에는 중공부(1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측면은 개방되며 하측면은 폐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120)는 기둥부(140), 홈부(130)를 포함한다.
기둥부(140)는 본체부(120)의 중심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기둥부(140)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홀더볼부(141)가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홀더볼부(141)는 기둥부(140)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며 내부에 홀더스프링(222)이 내장되어 있어 홀더볼부(141)를 가압 시, 탄성력을 통해 기둥부(140) 내측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가압을 해제할 시 탄성회복력을 통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에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덧붙여, 기둥부(140)와 본체부(120)의 내측면 사이에는 원형의 띠 형태의 중공부(1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가이드부(200)가 중공부(150)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홈부(130)는 본체부(120)의 외측면에서 개방된 상측면에서부터 외측면으로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파여진 홈 형태로 형성된다.
홈부(130)는 손잡이부(110)와 이루는 각도가 18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가이드부(200)의 끼움부(220)가 위치하여 홈부(130)에서 끼움부(220)가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덧붙여, 기둥부(140)의 홀더볼부(141)의 위치는 홈부(130)의 위치와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홈부(130)를 바라봤을 때, 홀더볼부(141)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가이드부(200)를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00)는 헤드부(210) 및 끼움부(220)를 포함한다.
헤드부(210)는 상측면과 하측면이 모두 개방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헤드부(210)의 중공부에는 기둥부(140)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헤드부(210)의 내지름은 기둥부(140)의 외지름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210)의 지름은 전술한 본체부(120)의 지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세하게는 본체부(120)의 내지름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210)의 내측면에는 전술한 홀더볼부(141)와 대응되는 볼홈부(211)가 형성된다.
볼홈부(211)는 홀더볼부(141)에 대응되어 원형의 홈 형태로 형성되며, 홀더볼부(141)와 결합될 수 있으고, 이를 통해 치간을 세척할 때 치간칫솔(S)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결합력 또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끼움부(220)는 헤드부(210)의 외측면에 맞닿아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홈부(130)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끼움부(220)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고정부(221)가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221)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수 및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부(221)는 고정볼부(221a,222b,222c) 및 고정스프링부(222a,222b,222c)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고정부(221)는 동일한 형상 및 특징을 지녀 어느 하나의 고정부(221)를 설명하더라도 전체 고정부(221)에 대한 설명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볼부(221a)는 원형의 구 형태로 끼움부(220)의 내측면에 일부가 삽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된 고정볼부(221a)의 일부에는 스프링부가 결합되어 탄성과 탄성회복력을 지녀 고정볼부(221a)가 끼움부(220)의 내측에서 삽입 및 돌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고정볼부(221a)를 가압하면 고정스프링부(222a)가 압축되어 고정볼부(221a)를 끼움부(22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삽입시킬 수 있고, 고정볼부(221a)를 가압하지 않을 시에는 고정스프링부(222a)의 탄성회복력으로 인해 고정볼부(221a)가 일부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과 결합방법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체부(120)에 형성된 기둥부(140)와 본체부(120)의 사이 중공부(150)에 도 2의 가이드부(200)를 삽입하게 되면 결합되어 도 4의 형태가 된다.
상세히, 가이드부(200)의 헤드부(210)는 상기 본체부(120)에 끼워져 결합되며 끼움부(220)는 본체부(120)의 홈부(130)에 위치하여 홈부(130)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홀더부(100)와 가이드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를 덮는 캡부(300)가 구비된다.
캡부(300)는 뚜껑 형태로 형성되며 홀더부(100)와 가이드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덮어 홀더부(100)와 가이드부(200)의 결합을 유지하며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부(300)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끼움부(220)의 고정부(221)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끼움부(220)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부(221)는 복수 개로 형성된다.
끼움부(220)는 치간칫솔(S)을 결합하여 치간에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며 끼움부(220)에 치간칫솔(S)이 끼워질 때 고정부(221)는 치간칫솔(S)을 끼움부(2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7(a)의 상태는 끼움부(220)에 치간칫솔(S)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치간칫솔(S)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볼부(221a)가 끼움부(220)의 내측면에서 일부 삽입된 형태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 고정스프링부(222a)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도 7(b)를 참조하면 치간칫솔(S)이 끼움부(220)의 내측에 삽입되면 고정볼부(221a)는 치간칫솔(S)의 외측면에 맞닿게 되며, 치간칫솔(S)의 지름에 의해 고정볼부(221a)는 가압된다.
이에 고정스프링부(222a)는 고정볼부(221a)에 의해 압축되며 고정스프링부(222a)가 압축되어 고정볼부(221a)는 끼움부(220)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삽입되게 된다.
덧붙여, 고정스프링부(222a)는 압축 스프링,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 다양한 종래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회복력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고정부(221)의 구성으로 인해, 치간칫솔(S)이 끼움부(220)에 긴밀히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끼움부(220)에 삽입된 치간칫솔(S)이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고정부(221)가 치간칫솔(S)을 고정시켜 치간에서 반복 운동되어야만 하는 치간칫솔(S)을 끼움부(220) 내부에서 끼움부(220)의 내측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마찰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간칫솔(S)이 치간을 반복하여 세척할 때, 치간칫솔(S)의 이탈을 방지하여 구강 내부의 상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고정볼부(221a)를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하여 치간칫솔(S)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마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스프링부의 탄성과 탄성회복력으로 인해 긴밀히 치간칫솔(S)을 고정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홀더볼부(141), 홀더스프링부(142) 및 헤드부(210)의 결합방식, 각도조절 방법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기둥부(140)의 외측에는 홀더볼부(141)가 형성되며 홀더볼부(141)와 기둥부(140)에는 홀더스프링부(142)가 형성된다.
홀더볼부(141) 및 홀더스프링부(142)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 개의 홀더볼부(141) 및 홀더스프링부(142)는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며 이에 복수 개의 홀더볼부(141) 중 하나의 홀더볼부(141)를 설명하더라도 동일한 설명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위치에 경우 본체부(120)의 홈부(130)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할 치간칫솔(S)과 어금니와 같은 특정위치의 치간에 사용될 때 각도조절 방법을 시행하기 위해서이다.
상세히는 홀더볼부(141)는 기둥부(140)의 외측면에 일부가 삽입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홀더스프링부(142) 또한 기둥부(140)에 삽입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홀더볼부(141)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홀더볼부(141)는 볼홈부(211)에 맞닿아 고정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헤드부(210)의 내측면에 홀더볼부(14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의 홈이 파여진 형태의 볼홈부(211)가 형성된다.
볼홈부(211)는 기둥부(140)와 헤드부(210)가 맞닿아 결합될 때, 상호 끼워지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도 9의 도시의 A, B, C의 영역으로 표시된 홀더볼부(141)는 각각 제1 홀더볼부(141), 제2 홀더볼부(141), 제3 홀더볼부(141)로 설명하며, 홀더스프링부(142)는 각각 제1 홀더 스프링부, 제2 홀더스프링부(142) 및 제3 홀더스프링부(142)로 표현한다.
먼저, 제1 홀더볼부(141)에 볼홈부(211)가 결합되었다고 가정하면 볼홈부(211)에는 제1 홀더볼부(141)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제2 홀더볼부(141) 및 제3 홀더볼부(141)는 헤드부(210)의 내측면에 맞닿게 되며 제2 홀더볼부(141) 및 제3 홀더볼부(141)는 가압되어 제2 홀더스프링부(142)와 제3 홀더스프링부(142)는 압축되어 헤드부(210)의 내측면과 맞닿아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볼홈부(211)가 제2 홀더볼부(141)에 위치하면 제2 홀더볼부(141)는 볼홈부(211)에 끼워져 삽입되며, 제1 홀더볼부(141) 및 제3 홀더볼부(141)는 제1 홀더스프링부(142) 및 제3 스프링부가 압축되어 헤드부(210)의 내측면과 맞닿아 위치하게 된다.
제3 홀더볼부(141)에 볼홈부(211)가 위치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홀더볼부(141) 및 제2 홀더볼부(141)는 제1 홀더스프링부(142) 및 제3 홀더스프링부(142)를 가압하여 위치하게 된다.
볼홈부(211)는 전술한 기둥부(140)의 A, B, C영역을 이동하면서 끼움부(220)에 끼워져 사용되는 치간칫솔(S)과 치간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볼홈부(211)는 각각의 홀더볼부(14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치간에 치간칫솔(S)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반복운동으로 치간을 세척하기 위함이며, 볼홈부(211)와 홀더볼부(141)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치간칫솔(S)을 치간에 삽입하여 사용할 시, 치간칫솔(S)이 치간과 이루는 각도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헤드부(210)와 긴밀히 고정되어 치간칫솔(S)을 치간에 사용 시, 헤드부(210)와 기둥부(140)가 위치한 본체부(120)와의 유격을 방지하여 홀더부(100)와 가이드부(200)가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볼홈부(211)와 홀더볼부(141)는 끼워져 결합되어 볼홈부(211)와 홀더볼부(141)의 이탈을 방지하고 볼홈부(211)와 끼워져 삽입되지 않은 홀더불부는 헤드부(210)의 내측면과 맞닿아서 마찰력으로 지지하며 스프링부의 탄성회복력이 더해져 고정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볼홈부(211)와 홀더볼부(141)는 각각의 영역 A, B, C에 대응되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볼홈부(211)와 홀더볼부(141)가 특정부위의 치간을 세척하기 위해 치간칫솔(S)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A, B, C의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다양한 부위의 치간에 대응되어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영역 A, B, C의 방향, 즉 폭 방향으로 끼움부(220)를 일정한 힘을 가하여 홈부(130)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하어 치간 칫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볼홈부(211)와 홀더볼부(141)의 끼움구조로 인해 치간칫솔(S)을 치간에 반복적으로 움직여 세척할 때, 치간칫솔(S)과 치간이 이루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치간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볼홈부(211)와 홀더볼부(141)의 끼움구조는 치간을 세척하기 위해 치간칫솔(S)을 길이방향으로 반복 운동 시, 볼홈부(211)와 홀더볼부(141)의 폭 방향의 이탈을 방지하여 원하는 각도로 조절된 치간칫솔(S)의 각도를 긴밀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각도의 조절로 인해 다양한 부위의 치간을 효율적으로 세척할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히 치간칫솔(S)을 끼우기만 하면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법이 편리하여 사용자는 손쉽게 치간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도 10을 참조하면 치간칫솔(S)은 끼움부(220)에 삽입된 상태로 다양한 치간에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어 기존의 다양한 각도를 지닌 치간칫솔(S)을 구비할 필요없이 원하는 각도(A B C에 해당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때문에, 확장성이 증대되고 다양한 치간칫솔(S)을 단순히 끼워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대한 효과를 정리하면, 본 발명은 다양한 치간(어금니, 앞니, 사랑니)에 사용되어 기존의 치간칫솔(S)이 세척하기 어려웠던 치간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손쉬운 사용법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사용자의 구강 건강을 도모하고 효율적인 치간 세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치간칫솔(S)의 단점인 다양한 각도에서 사용할 수 없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다양한 각도를 지닌 치간칫솔(S)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부(200)는 구강에서 튀는 침 및 수돗물과 같은 액체와 자주 접촉하는 특징 상, 부식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이드부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가이드부(2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가이드부(20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가이드부(2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가이드부(2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27889719-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이드부(2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가이드부(200)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가이드부(2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하고 있어, 가이드부(200)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가이드부(200)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27889719-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금속 화합물 10 20 30 40 50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가이드부(200) 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0×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가이드부(200)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홀더부,
110 : 손잡이부,
120 : 본체부,
130 : 홈부,
140 : 기둥부,
141 : 홀더볼부,
142 : 홀더스프링부,
150 : 중공부,
200 : 가이드부,
210 : 헤드부,
211 : 볼홈부,
220 : 끼움부,
221 : 고정부,
300 : 캡부
S : 치간칫솔.

Claims (5)

  1.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막대형상이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되, 원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중심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기둥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서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일정 간격 파여진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과 상기 기둥부 사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원통 형상이되, 내부가 개방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에 맞닿아 연장형성되되, 내부에 중공부를 지닌 봉 형상의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지름은 상기 본체부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홈부에 위치하고,
    상기 끼움부에는 치간칫솔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홈부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끼움부의 내측에는 원형 형상의 복수 개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치간칫솔이 끼워져 고정될 시, 치간칫솔의 외측면에 맞닿아 고정력을 증대하고,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결합 시, 상측면을 덮는 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본체부와 지름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결합을 유지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홈부에서 이동되어 치간칫솔과 치아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기둥부의 외측면에 일부가 삽입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더볼부;
    상기 기둥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홀더볼부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홀더스프링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내측면에 상기 홀더볼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홈이 파여진 형태로 형성되는 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홀더볼부는, 제1 홀더볼부;
    상기 제1 홀더볼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홀더볼부; 및
    상기 제2 홀더볼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 홀더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홀더볼부는, 상기 제1 홀더볼부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홀더스프링부;
    상기 제2 홀더볼부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 홀더스프링부; 및
    상기 제3 홀더볼부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3 홀더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볼부와 상기 볼홈부가 결합되면, 상기 헤드부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제2 홀더볼부와 상기 제3 홀더볼부가 가압되고,
    상기 제2 홀더스프링부와 상기 제3 홀더스프링부는 압축되어 상기 헤드부의 내측면과 맞닿아 고정력이 향상되는 것인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61631A 2020-11-26 2020-11-26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 KR102538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631A KR102538227B1 (ko) 2020-11-26 2020-11-26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631A KR102538227B1 (ko) 2020-11-26 2020-11-26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503A KR20220073503A (ko) 2022-06-03
KR102538227B1 true KR102538227B1 (ko) 2023-05-30

Family

ID=8198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631A KR102538227B1 (ko) 2020-11-26 2020-11-26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2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879Y1 (ko) * 2002-07-11 2002-10-28 주식회사 일성정밀 각도조절기능이 구비된 치간칫솔
KR200443581Y1 (ko) * 2008-06-20 2009-02-25 김종대 전동 마사지 겸용 치간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9781B2 (ja) * 1996-07-15 2007-07-25 康 阪田 角度調節機能付き歯ブラシ
KR100758375B1 (ko) 2006-01-09 2007-09-14 장지일 착탈가능한 용기를 포함하는 치간칫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879Y1 (ko) * 2002-07-11 2002-10-28 주식회사 일성정밀 각도조절기능이 구비된 치간칫솔
KR200443581Y1 (ko) * 2008-06-20 2009-02-25 김종대 전동 마사지 겸용 치간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503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19482A (en) Tooth cleaning and gum massaging instrument
EP2384160B1 (en) Dental cleaning mouthpiece with different bristle sections for different dental regions
CN110494065A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口腔护理工具和用于制造此类头部的方法
KR102538227B1 (ko)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
Janusz et al. Impact of a novel power toothbrush with SmartGuide technology on brushing pressure and thoroughness
KR102658973B1 (ko) 샤프형 치실 및 치간칫솔
KR102649795B1 (ko) 2줄모 및 4줄모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멀티칫솔
JP2005130914A (ja) 歯ブラシ
CN2798690Y (zh) 一种牙刷
JPH02283312A (ja) 抗菌性口腔内ブラシ
KR200398526Y1 (ko) 스케일러가 부설된 치간칫솔
KR102367022B1 (ko)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EP1004282A3 (de) Gerät für die Pflege von Zähnen, Zahnrestaurationsteilen und Zahnprothesen
US9032581B2 (en) Use of a toothpaste and a toothbrush, a dental cleaning system and toothbrush
CN204409954U (zh) 一种新型易清洗牙刷
CN218390176U (zh) 牙间隙刷
CN104490073B (zh) 一种新型易清洗牙刷
CN2901995Y (zh) 洁齿护龈牙刷
KR200446062Y1 (ko) 치간 칫솔
KR102399675B1 (ko)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CN102499778A (zh) 一种多功能义齿护理片
JP6584711B1 (ja) 口腔ケア組成物
Matroja et al. A Profilometric Study To Assess The Role Of Non-Coated And Four Different Types Of Coated Toothbrushes In The Abrasion Process On Enamel Surface-An In-Vitro Study
DE883947C (de) Zahnreinigungsmittel
CN200998007Y (zh) 一种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