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062Y1 - 치간 칫솔 - Google Patents

치간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062Y1
KR200446062Y1 KR2020070017999U KR20070017999U KR200446062Y1 KR 200446062 Y1 KR200446062 Y1 KR 200446062Y1 KR 2020070017999 U KR2020070017999 U KR 2020070017999U KR 20070017999 U KR20070017999 U KR 20070017999U KR 200446062 Y1 KR200446062 Y1 KR 200446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tip
head
wir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477U (ko
Inventor
장강식
Original Assignee
장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강식 filed Critical 장강식
Priority to KR2020070017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06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4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0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짧은 길이의 작은 부피로 "┓"자형의 경질 합성수지와 연질의 고무(Rubber)를 원료로 이중으로 사출하여 강성과 연성이 조화된 휴대용 치간 칫솔을 구성하되, 칫솔질시 치아와 잇몸에 맞닿게 되는 헤드 일측의 돌출 단부를 소프트하고 탄성이 있는 연질 고무재로 선단부에 가느다란 팁(tip)이 형성되는 2단의 탄성 부재를 형성하여,
적절한 탄성력과 복원력의 탄성 재료와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는 구조적 특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와이어 연결부의 유연성 향상으로 칫솔질시 강성의 합성수지 재질 헤드에 곧바로 과도하게 가해지는 힘을 연질 고무재질의 탄성 부재에서 흡수 완화시켜 휨 현상에도 적절한 인장강도로 유연하게 연동됨과 동시에 팁(tip)이 상하좌우 자유로우면서도 부드럽게 움직이게 하여 정교하면서도 안전하며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아 장기간 사용해도 내구성이 있으며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기능, 부드러운 잇몸 마사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치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치간 칫솔, 이중 사출, 탄성 부재, 2단 구성, 연질 고무재질, 내구성, 충격흡수, 접합부 와이어 휨 현상, 유연성, 부러짐 방지

Description

치간 칫솔{Interdental tooth brush}
본 고안은 치간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히는 짧은 길이의 작은 부피로 손잡이 기능의 막대 형상 칫솔대 끝 헤드가 소정 각도 꺾여져 형성된 "┓"자형의 휴대용 치간 칫솔을 경질의 합성수지와 연질의 고무(Rubber)를 원료로 이중으로 사출하여 합성수지부를 골격으로 고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강성과 연성을 공유하게끔 성형하되, 칫솔대 끝에 형성되고 강선 와이어에 칫솔모가 합쳐진 브러시부를 고정 지지하여 칫솔질시 치아와 잇몸에 맞닿게 되는 헤드 일측으로 돌출되는 일측 단부를 소프트하고 탄성이 있는 연질 고무재로 선단부에 가느다란 팁(tip)이 형성되는 2단의 탄성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적절한 탄성력과 복원력의 재료와 구조 특성으로 칫솔질시 강성의 합성수지 재질 헤드에 곧바로 과도하게 가해지는 힘을 연질 고무재질의 탄성 부재에서 흡수 완화시켜 휨 현상에도 적절한 인장강도로 유연하게 연동됨과 동시에 팁(tip)이 상하좌우 자유로우면서도 부드럽게 움직이게 함으로써 치아 또는 잇몸에 과도한 충격이 가하지는 것을 완화시켜 줄 수 있어 안전하고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아 장기간 사용해도 내구성이 있으며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치간 칫솔의 기본 기능 이외에 부드러운 잇몸 마사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킨 치간 칫솔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일반 칫솔로 양치질을 하게 되면 굴곡이 있는 치아와 잇몸의 구조상 입안 구석구석에 칫솔모가 잘 도달하지 못하게 되므로 치아의 겉 면만 깨끗이 닦이는 반면 이물질이 끼기 쉬운 치아와 치아 사이는 전혀 닦이지 않거나 무리한 힘에 의하여 치아를 심하게 마모시키고 잇몸에 상처를 주게 되어 치아나 잇몸이 손상되거나 남아있는 음식물 등에 의하여 충치 등 치아 질환이나 치주염이나 치은염 등 잇몸 질환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 칫솔로 제거하기 힘든 치아와 치아 사이의 틈새에 생긴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해 주어 치아의 청결을 유지하여 주는 구강 용품으로서 치간 칫솔이 개발되어 있는데,
이러한 치간 칫솔은 일반인은 물론 치아교정중인 사람들도 칫솔 몸체(손잡이)를 손가락으로 잡고 와이어가 칫솔모로 덮여 있는 브러시를 치아 사이에 집어넣고 반복 운동시켜 사용하게 되면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데 스케일링 후에 사용하게 되면 치아 사이에 쌓이는 치석 등을 예방할 수 있고 치아 교정중인 환자가 사용하게 되면 보철과 치아 사이에 끼게 되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하여 건강한 구강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치간 칫솔은 사용 용도에 따라 던 "I"자형의 일자 형태로 된 치간 칫솔, 헤드 부분이 소정 각도 꺾여 있는 "┓"자형 치간 칫솔, 브러시(솔)을 갈아 끼울 수 있는 "리필형" 등으로 크게 분류된다.
상기한 치간 칫솔 중 I"자형의 일자 형태로 된 치간 칫솔은 부피가 작아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고 앞니 사용에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 어금니 등 입안 깊숙한 곳에 사용하기엔 불편하며, "┓"자형 치간 칫솔은 어금니 등에 사용에 용이한 반면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리필형'(refill)은 맨 앞의 브러시(솔)만 교체하는 경제적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통상의 "┓"자형 치간 칫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 와이어(4)에 칫솔모(5)가 일체로 결합된 브러시(솔)가 합성수지 재질의 칫솔대(손잡이몸체)(1)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헤드(2)에 고정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 칫솔로 제거하기 힘든 치아 틈새에 생긴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그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나,
딱딱한 경질의 합성수지재 헤드(2)에 브러시(솔)(3)가 고정 지지됨으로써 여러 번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금속재로 된 강선 와이어(4)가 치아에 부딪치게 되면서 충격이 곧바로 경질의 플라스틱재 헤드(2)에 곧 바로 전해지게 되어 와이어(2)가 휘어지거나 부러짐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좋지 않아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금속재 와이어가 정확한 방향(point)을 못 찾아서 약간의 충격에도 손상되는 부드럽고 예민한 잇몸을 무리한 힘으로 건드리게 되어 잇몸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선등록 고안으로서 "다용도 치간칫솔"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46637호, 등록일자:2001년09월03일)를 창안한 바 있는데,
이는 플라스틱으로 된 경질의 몸체와 소프트하고 탄성이 있는 연질 고무재의 'ㄱ'자형 솔대를 간단히 접합 형성하므로서 경질(hard)의 합성수지재 만으로 형성되었을 때 보다도 고무재질의 결합에 따른 적절한 탄성력과 복원력으로 보다 안정적인 치간 세척을 할 수 있는 반면에,
상부가 고무 재질부, 하부가 합성수지 재질부로 양분되는 구조로서, 이중 사출 성형이 어렵고, 솔대가 두껍게 형성되어 칫솔질에 따른 브러시의 가변범위가 제한되므로 와이어의 휨력(휨 모멘트)에 유연하게 연동되지 못하여 민감한 치아나 잇몸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고, 치간 칫솔 형성 구조상 정교한 칫솔질이 불가능하여 정확한 방향(point)을 못 잡아 굴곡 구조의 치아와 잇몸으로 형성된 입안 구석구석에 칫솔모가 잘 도달하지 못하게 되고 부드러운 잇몸과 단단한 치아 간에 골고루 힘을 분산시켜 정교하게 움직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종래 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칫솔업계에서 장시간 관찰하고 아이디어를 강구하여 공지의 기술과 신규한 아이디어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본원 고안을 개시하게 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간 칫솔은 그 구조나 재질 등 개선하여야 할 종합적인 과제가 있는바,
경질의 합성수지와 연질의 고무(Rubber)를 원료로 보다 안정적이고 기능미가가 있게끔 간단한 구조의 이중으로 사출하되,
굴곡이 있는 치아나 잇몸에 손상을 주지 않게끔 고무 재질의 소재 탄성을 이용하여 칫솔질시 치아와 잇몸에 맞닿게 되는 칫솔 헤드 일측의 돌출 단부를 부러우면서도 탄력 있게 형성하여 유연성이 향상되면서도 정확히 치아의 포인트를 잡을 수 있게 하여 입안 깊숙한 치아나 잇몸 등의 침투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고탄성을 유지함으로써 과도하게 가해지는 힘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자유로우면서도 부드럽게 움직여서 와이어의 휨 현상 또는 부러짐 현상 등을 방지하여 칫솔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켜야 하는 제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즉, 종래 치간 칫솔 헤드 끝단부가 충격 흡수가 잘 되지 않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치간 칫솔의 사용중 접합부 경계면에서 와이어가 휘거나 꺽어지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경직된 소재가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와이어의 내구성 약화로 인하여 헤드와 브러시 와이어 접합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끊어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여야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짧은 길이의 작은 부피로 "┓"자형의 경질 합성수지와 연질의 고무(Rubber)를 원료로 이중으로 사출하여 강성과 연성이 조화된 휴대용 치간 칫솔을 구성하되,
칫솔질시 치아와 잇몸에 맞닿게 되는 헤드 일측의 돌출 단부를 소프트하고 탄성이 있는 연질 고무재로 선단부에 가느다란 팁(tip)이 형성되는 2단의 탄성 부재를 형성하여,
적절한 탄성력과 복원력의 탄성 재료와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는 구조적 특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와이어 연결부의 유연성 향상으로 칫솔질시 강성의 합성수지 재질 헤드에 곧바로 과도하게 가해지는 힘을 연질 고무재질의 탄성 부재에서 흡수 완화시켜 휨 현상에도 적절한 인장강도로 유연하게 연동됨과 동시에 팁(tip)이 상하좌우 자유로우면서도 부드럽게 움직이게 하여 정교하면서도 안전하며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아 장기간 사용해도 내구성이 있으며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기능, 부드러운 잇몸 마사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치간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와이어의 내구성 약화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2단으로 형성된 충격 완화 기능의 연질 고무재 탄성 부재에 브러시부의 와이어를 견고하면서도 신축성 있게 고착 결합하여 와이어의 휘거나 꺽어지는 거친 상 황이 반복되더라도 오래 견딜 수 있는 와이어 내구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짧은 길이의 작은 부피로 형성된 "┓"자형의 휴대용 치간 칫솔로서,
칫솔질시 치아와 잇몸에 맞닿게 되는 헤드 일측의 돌출 단부를 소프트하고 탄성이 있는 연질 고무재로 선단부에 가느다란 팁(tip)이 형성되는 2단의 탄성 부재를 형성함으로서,
경질 합성수지와 연질의 고무(Rubber)로 강성과 연성이 조화되는 적절한 탄성력과 복원력의 탄성 재료와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는 구조적 특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복합 시너지 효과로,
칫솔질시 강성의 합성수지 재질 헤드에 곧바로 과도하게 가해지는 힘을 연질 고무재질의 탄성 부재에서 흡수 완화시켜 휨 현상에도 적절한 인장강도로 유연하게 연동됨과 동시에 팁(tip)이 상하좌우 자유로우면서도 부드럽게 움직이게 하여 정교하면서도 안전하며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아 장기간 사용해도 내구성이 있으며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이물질 제거기능, 부드러운 잇몸 마사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헤드가 정교하면서도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치간 칫솔의 기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합 성수지와 고무가 적절히 배열되어 경성과 연성을 동시에 가지면서 자연스러우면서 매끄러운 유선형 외관의 장식미와 기능미가 있으며 대량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으며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짧은 길이의 작은 부피로 손잡이 기능의 막대 형상 칫솔대(10) 끝단에 소정 각도 꺾여져 돌출 형성된 헤드(20) 일측 단부로 강선 와이어(41)에 칫솔모(42)가 합쳐진 브러시부(40)가 고정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된 "┓"자형의 휴대용 치간 칫솔(100)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10)는 경질의 합성수지재 몸체부(11)와 홈(13)이 다수 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연질의 탄성 고무재 파지부(12)로 구획 형성하고,
치아 또는 잇몸에 쉽게 접촉되게끔 돌출된 브러시부(40)를 고정 지지하는 헤드(20)의 접촉 단부로는 소프트하고 탄성이 있는 연질 고무 재질로 반구 형상의 고정부(31) 선단에 조그마한 팁(tip)(32)이 구비되어 와이어(41)를 고정 지지하는 2단의 탄성 부재(30)를 형성하여,
소프트하고 탄성이 있는 연질 고무재의 소재 탄성을 이용하되 구조적 특성이 가미된 적절한 탄성력과 복원력으로 고정부에서 칫솔질에 의한 힘이 강성의 합성수지 재질 헤드에 곧바로 과도하게 가해지는 것을 흡수 완화시키고 동시에 좁고 가느다란 팁(tip)이 힘을 분산시켜 상하좌우 자유로우면서도 부드럽게 움직이게 함으로써,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면서도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팁(tip)이 정교하면서도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어 안전하며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아 장기간 사용해도 내구성이 있으며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이물질 제거기능, 부드러운 잇몸 마사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막대 형상의 칫솔대(10) 끝단부에 소정 각도 꺾여져 돌출 형성되는 헤드(20)를 형성하고, 헤드(20)의 일측 단부로는 강선 와이어(41)에 칫솔모(42)가 합쳐진 브러시부(40)가 고정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이속 깊숙한 곳의 치아와 잇몸까지도 접촉이 용이한 "┓"자형의 휴대용 치간 칫솔(10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의 구성이다.
본 고안은 경질의 합성수지와 연질의 고무(Rubber)를 원료로 이중으로 사출함으로써 강성과 연성이 적절히 조화되는 휴대용 치간 칫솔을 구성하게 되는데,
손으로 잡게 되는 칫솔대(10)는 칫솔질하기에 편리한 구조로서 경성 재질의 합성수지재 몸체(11)를 골격으로 일측은 미끄럼방지 파지 홈(13)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파지부를 감촉이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이 좋은 연질 고무재 파지부(12)로 형성한다.
상기 칫솔대(10) 단부에 소정 각도 꺾여진 헤드(20) 끝에 형성되는 탄성부재(40)도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이 좋은 연질 고무재로 성형하게 되는데,
탄성부재(40)는 칫솔질시 치아와 잇몸에 맞닿게 되는 헤드(20)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고정부(31) 선단에 조그마한 팁(tip)(32)이 구비되는 2단 구성으로 와이어(41)를 합성수지 칫솔대(10)와 함께 탄력적으로 고정 지지하게 형성한다.
상기 본 고안의 탄성부재(40)는 브러시부의 와이어를 지지하는 종래 치간 칫솔 헤드 끝단부가 충격 흡수가 잘 되지 않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치간 칫솔의 사용중 접합부 경계면에서 와이어가 휘거나 꺽어지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경직된 소재가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와이어의 내구성 약화로 인한 헤드와 와이어 접합 경계면에서의 끊어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2단으로 형성된 충격 완화 기능의 연질 고무재 탄성 부재에 브러시부의 와이 어를 견고하면서도 신축성 있게 고착 결합하여 와이어의 휘거나 꺽어지는 거친 상황이 반복되더라도 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것으로서,
치아 등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1차측의 팁(tip)은 와이어를 고무로 일정 길이 감싸서 고정함으로써 칫솔질시 치면 등에 접촉하여 와이어가 휘거나 꺽여질 때도 충격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유연성 있게 유동되며, 팁(tip) 후단의 고정부에서는 추가로 충격을 흡수하여 와이어의 부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2단으로 형성된 충격 흡수 탄성 부재는, 치아의 배열과 형태를 고려하여, 선단의 팁(tip)을 대략 지름 1.2㎜∼1.5㎜ 길이 1.5㎜ 로, 팁(tip) 후단의 고정부는 대략 지름이 3㎜ 길이가 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연성 고무 재질의 탄성 부재(30)는 본 고안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서,
팁(tip)(32)에 비하여 폭이 크고 부피가 커서 고정력은 있으나 유연성이 부족한 반구 형상의 고정부(31)에서는 칫솔질에 의하여 강성의 합성수지 재질 헤드에 곧바로 과도하게 가해지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완화시키는 충격흡수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좁고 가느다란 팁(tip)(32)은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고정부와 달리 고탄성을 유지하고 칫솔질에 의한 충격을 흡수시키면서 상하좌우 자유로우면서도 부드 럽게 움직이는 유연한 움직임으로 와이어가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아 장기간 사용해도 내구성이 있으며 더구나 모든 각도에서 원활하게 동작하는 정교하면서도 유연한 움직임으로 칫솔모의 침투력이 향상되어 굴곡이 많은 치아의 형태에 맞춰 칫솔모가 일반적인 칫솔로는 잘 닿지 않는 입안 깊숙이 구석구석 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치간 칫솔의 기본 기능 이외에 잇몸을 다치지 않게 하는 부드러운 잇몸 마사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칫솔대의 일부를 구성하는 합성수지는 경성 재질의 ABS 수지 또는 PE, PP, PVC 등을 이용하며, 탄성 재질의 고무는 충격 흡수성이 좋고 부드러우며 점착성이 좋은 천연고무나 합성고무를 이용함으로써 통상의 이중 사출 성형 방법으로 열을 가하여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어 경성과 연성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는 내구성과 탄성으로 변형 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브러시부는 임플란트, 보철물의 부식방지를 위한 코팅 와이어를 사용하되 칫솔모를 사방으로 촘촘히 부착하여 원추 형상의 브러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자형의 휴대용 치간 칫솔을 경질의 합성수지와 연질의 고무(Rubber)를 원료로 이중으로 사출하고 합성수지부를 골격으로 고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강성과 연성을 공유하게끔 성형하되,
칫솔질 충격을 흡수하는 브러시 연결부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정교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성과 사용 수명 연장에 따른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킨 구강 보건에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치간 칫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치간 칫솔 10:칫솔대(손잡이)
11:합성수지재 몸체 12:탄성 고무재 파지부
13:파지 홈 20:헤드
30:탄성부재 31:고정부
32:팁(tip) 40:브러시부
41:와이어 42:칫솔모

Claims (1)

  1. 경질의 합성수지재 몸체부(11)와 홈(13)이 다수 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연질의 탄성 고무재 파지부(12)로 구획 형성된 손잡이 기능의 막대 형상 칫솔대(10) 끝단에 소정 각도 꺾여져 돌출 형성된 헤드(20) 일측 단부로 강선 와이어(41)에 칫솔모(42)가 합쳐지고 팁(41)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는 브러시부(40)가 고정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된 "┓"자형의 휴대용 치간 칫솔(100)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브러시부(40)를 고정 지지하는 헤드(20)의 접촉 단부로는 소프트하고 탄성이 있는 연질 고무 재질로 반구 형상의 고정부(31) 선단에 조그마한 팁(tip)(32)이 구비되어 와이어(41)를 고정 지지하는 2단 충격 흡수 구조의 탄성 부재(3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
KR2020070017999U 2007-11-08 2007-11-08 치간 칫솔 KR200446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999U KR200446062Y1 (ko) 2007-11-08 2007-11-08 치간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999U KR200446062Y1 (ko) 2007-11-08 2007-11-08 치간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77U KR20090004477U (ko) 2009-05-13
KR200446062Y1 true KR200446062Y1 (ko) 2009-09-24

Family

ID=4129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999U KR200446062Y1 (ko) 2007-11-08 2007-11-08 치간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0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32148T2 (en) * 2014-03-06 2017-09-28 Tepe Munhygienprodukter Ab Dental cleaning to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688Y1 (ko) * 1999-11-30 2000-04-15 장지일 치간 치솔
KR200246637Y1 (ko) * 2001-06-08 2001-10-17 장강식 다용도 치간칫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688Y1 (ko) * 1999-11-30 2000-04-15 장지일 치간 치솔
KR200246637Y1 (ko) * 2001-06-08 2001-10-17 장강식 다용도 치간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77U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922B2 (en) Head for an oral-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CA3110059C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US6546586B2 (en) Toothbrush with flossing functionality
RU24792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US2807820A (en) Flexible brush head and means to retain i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RU25393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JP2008006282A5 (ko)
KR20110111434A (ko) 상이한 치아 영역을 위한 상이한 강모 섹션을 갖는 치아 세척 마우스피스
RU2009133803A (ru) Зубная щетка с низкопрофильной головкой
WO2012112199A1 (en) Toothbrush with bristles of non circular tips
US20040121284A1 (en) Head brush for a dental fissure cleaning device
KR200446062Y1 (ko) 치간 칫솔
KR200482971Y1 (ko) 전방위 칫솔모가 형성된 칫솔
AU2019336607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KR20110002319U (ko) 치간칫솔과 이쑤시개를 갖는 치간 세정 도구
US20210153636A1 (en) Toothbrush
CN207322970U (zh) 一种多功能矫正牙刷
KR200404379Y1 (ko) 치솔대가 없는 일회용 치솔
KR200246637Y1 (ko) 다용도 치간칫솔
KR100970160B1 (ko) 구형 헤드를 갖는 칫솔
CN201061344Y (zh) 磁疗牙刷
KR910001272Y1 (ko) 치아의 운동으로 양치질하는 개량칫솔
KR200444524Y1 (ko) 잇몸 맛사지용 칫솔
JP2020075125A (ja) 液状歯磨き剤塗布ブラシ
KR200411770Y1 (ko) 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