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022B1 -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 Google Patents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022B1
KR102367022B1 KR1020200158054A KR20200158054A KR102367022B1 KR 102367022 B1 KR102367022 B1 KR 102367022B1 KR 1020200158054 A KR1020200158054 A KR 1020200158054A KR 20200158054 A KR20200158054 A KR 20200158054A KR 102367022 B1 KR102367022 B1 KR 102367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mounting
applicator
colora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수
김혜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8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05Brushes for applying dent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2Material properties using colour effect, e.g. for identificat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착색제가 저장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거치부, 거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포부, 거치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및 거치부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 거치부가 수용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도포부의 단부가 수용부에 저장된 치아 착색제와 맞닿아 치아 착색제를 도포부에 손쉽게 착색제를 묻힐 수 있으며 면봉과 같은 면 또는 솜이 결합된 부재를 여러 개 사용할 때 일일이 묻힐 필요 없이 한번에 치아에 사용될 만큼 착색제를 묻힐 수 있는 기구이다.

Description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TOOTH COLORATOR CATRIDGE MODULE}
본 발명은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착색제가 저장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거치부, 거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포부, 거치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및 거치부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 거치부가 수용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도포부의 단부가 수용부에 저장된 치아 착색제와 맞닿아 치아 착색제를 도포부에 손쉽게 착색제를 묻힐 수 있으며 면봉과 같은 면 또는 솜이 결합된 부재를 여러 개 사용할 때 일일이 묻힐 필요 없이 한번에 치아에 사용될 만큼 착색제를 묻힐 수 있는 기구이다.
사회, 경제적인 변화와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 및 인식이 높아짐으로써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연령대에 따른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치주질환 유병율은 20대 3.85%, 30대 14.7%, 50대 이상은 40%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주질환의 유병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진료비통계지표에 의하면 '질병 소분류별 다발생 순위별 요양급여실적’에서 최근 5년간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항상 3순위 이내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연평균 증가율 12.9%로 보험급여 진료 중 가장 높은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
음식물을 섭취하고 나면 치아에는 치태라는 물질이 생성된다. 1g의 치태에는 약 1억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 이 세균을 제때 제거하여 구강상태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행위를 칫솔질이라고 할 수 있다.
칫솔질을 하지 않거나 올바르게 하지 못했을 경우, 세균이 쌓이면서 잇몸과 치아 사이의 공간에 치주 포켓이 생기게 된다. 이 치주 포켓은 쉽게 말해서 세균들의 집단 덩어리라고 할 수 있다. 이 치주 포켓을 그대로 두면 염증이 생기며 치은질환이 발생한다. 치은질환이 발생하면 잇몸에서 출혈이 생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치은질환은 구강 병의 감기 같은 단계이다.
즉, 경미한 염증 상태이므로 칫솔질을 평소보다 꼼꼼히 시행한다면 금세 완화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염증을 방치해두면 염증이 더 심해져 치주질환이 생겨 잇몸이 내려가며 치조골이 노출되고, 치조골이 녹으면 심각한 구강 상태까지 진전될 수 있다.
치은 및 치주질환이 발생 시 잇몸과 치아 사이의 치주 포켓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칫솔 모를 잇몸 안에 넣고 세균을 제거하는 칫솔질을 시행해야 한다.
따라서, 양치습관 및 세균막의 유무를 살피기 위해 치과 진료에서는 착색제를 솜 또는 치과용 기구에 묻혀 치아에 도포하고 세균막의 유무에 따라 착색되어 치아에서 세균막이 염색된다.
이러한 세균막을 살피면서 치과 진료를 실시하지만, 착색제를 치아에 도포할 때, 솜 또는 치과용 기구에 지속적으로 착색제를 묻혀야 하는 불편함과 구강 내부에 사용되는 치과용 기구의 특징 상 크기가 작아 많은 양의 착색제를 묻히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착색제를 치아에 도포할 때 제대로 도포되지 않아 세균막의 유무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착색제를 솜 또는 치과용 기구에 손쉽게 착색제를 묻힐 수 있으며 면봉과 같은 면 또는 솜이 결합된 부재를 여러 개 사용할 때 일일이 묻힐 필요 없이 한번에 치아에 사용될 만큼 착색제를 묻힐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075421호
본 발명은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착색제가 저장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거치부, 거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포부, 거치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및 거치부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 거치부가 수용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도포부의 단부가 수용부에 저장된 치아 착색제와 맞닿아 치아 착색제를 도포부에 손쉽게 착색제를 묻힐 수 있으며 면봉과 같은 면 또는 솜이 결합된 부재를 여러 개 사용할 때 일일이 묻힐 필요 없이 한번에 치아에 사용될 만큼 착색제를 묻힐 수 있는 기구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은 본체부, 치아 착색제가 저장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후방에 위치되되, 도포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부, 거치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거치부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거치부가 회전하여, 도포부의 단부가 수용부에 저장된 상기 치아 착색제와 맞닿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는 도포부가 결합되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거치부 홈 및 거치부 홈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도포부가 끼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거치부가 상기 수용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본체부의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 가이드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거치부가 수용부를 향해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부의 모서리가 본체부의 측면 프레임에 맞닿아 거치부에 결합된 도포부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와 수용부의 경계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도포부는 솜이나 거즈가 뭉쳐진 형상인 헤드부 및 헤드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거치부가 회전하여 도포부가 수용부 내부로 삽입되면 헤드부에 치아 착색제가 묻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은 손잡이부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거치부가 수용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도포부의 단부가 수용부에 저장된 치아 착색제와 맞닿아 필요 시에 케이스에 포함된 도포 수단을 통하여 바로 치아에 도포하여 플라그에 의한 발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치과를 내방하지 않아도 플라그를 파악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가족들의 치아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개별 케이스에 소량의 치아 착색제를 담아 새로운 치과 용품으로 일반 소비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어 국가적으로 치아 건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가 포개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플랜저부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고, '폭 방’'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이루는 면과 수직되는 방향이다. 제1 본체부(110)를 기준으로'일단'이라 함은 제1 수용부(210)가 구성되는 부분이고, '타단'이라 함은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반대방향인 부분이다. 제1 본체부(110)를 기준으로'우측면'이라 함은 제1 손잡이부(331)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하고, '좌측면'이라 함은 우측면과 폭 방향으로 반대방향인 부분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지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의 전체 사시도이며,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은 본체부(100), 수용부(200), 거치부(300) 및 도포부(4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제1 본체부(110) 및 제2 본체부(120)로 구성되며, 제1 본체부(110) 및 제2 본체부(120)는 사각 형상으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본체부(110)의 타단에는 한 쌍의 고정부(130)가 제1 본체부(11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본체부(110)의 타단 및 제2 본체부(120)의 일단은 링크 결합되되, 제2 본체부(120)의 일단이 제1 본체부(110)의 타단을 감싸는 형상이다.
고정부(130)로 링크 결합함으로써 제1 본체부(110) 및 제2 본체부(120)는 상호 마주 보며 포개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포개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제1 본체부(110) 및 제2 본체부(120)는 고정부(130)로 링크 결합되어 있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포개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할 수 있고, 간편하게 치아를 착색하여 세균막의 유무를 살필 수 있어 휴대용 착색기 카트리지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100)와 후술할 수용부(200) 및 거치부(300)는 내구성 있고, 높은 강도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고급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수용부(200)가 형성되고, 수용부(200)의 내부에는 치아 착색제가 저장되며 치아 착색제는 액상, 젤 및 겔 형상의 타입이 바람직하다.
수용부(200)는 제1 수용부(210) 및 제2 수용부(220)로 구성된다.
제1 수용부(210)는 제1 본체부(110)의 일단에 위치되며, 제1 수용부(210)는 수직 방향으로 함몰되어 제1 본체부(110)로부터 단턱이 형성된다.
제2 수용부(220)는 제2 본체부(120)의 타단에 위치되며, 제1 수용부(210)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으로 함몰되어 단턱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수용부(210) 및 제2 수용부(220)의 내부에는 치아 착색제가 저장되기 때문에 제1 수용부(210)와 제2 수용부(220)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다.
다음으로, 거치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거치부(300)는 제1 거치부(310) 및 제2 거치부(32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거치부(310)는 제1 본체부(120)의 일단에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거치부(320)는 제2 수용부(220)의 타단에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제1 거치부(31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거치부(310)는 거치부 홈(311), 돌출부(312), 제1 손잡이부(331) 및 제1 가이드부(341)를 포함한다.
제1 거치부(310)에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거치부 홈(311)이 형성되고, 거치부 홈(311)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312)가 형성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손잡이부(330) 및 가이드부(340)를 설명하도록 한다.
손잡이부(330)는 제1 손잡이부(331) 및 제2 손잡이부(332)로 구성된다.
제1 손잡이부(331)는 제1 거치부(310)의 우측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방과 후방이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상이하여 단턱이 형성된다.
제2 손잡이부(332)는 제1 손잡이부(33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 거치부(320)의 좌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부(340)는 제1 가이드부(341) 및 제2 가이드부(342)로 구성된다.
제1 가이드부(341)는 제1 거치부(310)의 좌측면에 결합되며, 제1 가이드부(341)의 일부는 제1 본체부 측면 프레임(111)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제2 가이드부(342)는 제1 가이드부(34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 가이드부(342)는 제2 거치부(320)의 좌측면에 결합되어 제2 가이드부(342)의 일부는 제2 본체부 프레임(121)에 일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한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포부(400)는 거치부 홈(311)에 끼워질 수 있으며, 도포부(400)는 제1 수용부(210) 및 제2 수용부(220)로부터 치아 착색제를 흡수하여 치아에 도포하는 요소이다.
도포부(400)는 헤드부(410)와 바디부(420)로 구성되며, 헤드부(41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면봉이 바람직하며, 솜이 뭉쳐져 있는 형상으로 솜은 일반 치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일회용 솜으로 공지된 제품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포부(400)는 전술한 솜 형태 이외에, 붓의 형태를 가지는 붓 도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포부(400)를 붓 도포부로 구성하면, 붓의 끝부분인 붓 촉을 이용하여 치아 착색제를 치아에 미세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붓 도포부를 뉘어서 사용하면, 치아 착색제를 치아에 넓게 도포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포부(400)는 위생적인 이유로 일회성으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사용 후, 거치부 홈(311)에서 손쉽게 삽입 및 제거가 자유로운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하, 제1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에 따른 작동 순서를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제1 거치부(310), 제1 손잡이부(331) 및 제1 가이드부(341)는 초기에 수평을 유지한 채로 위치된다.
제1 손잡이부(331)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제1 손잡이부(331)에 결합된 제1 거치부(310) 및 제1 가이드부(341)도 함께 상방으로 회전한다.
제1 거치부(310)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거치부 홈(311)에 끼워진 도포부(400)가 치아 착색제가 저장된 제1 수용부(210)를 향해 삽입되어 헤드부(410)와 치아 착색제가 맞닿는다.
따라서, 치아 착색제를 치아에 도포할 때, 솜 또는 치과용 기구에 지속적으로 치아 착색제를 묻혀야 하는 불편함과 구강 내부에 사용되는 치과용 기구의 특징 상 크기가 작아 많은 양의 치아 착색제를 묻히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치아 착색제를 솜 또는 치과용 기구에 손쉽게 치아 착색제를 묻힐 수 있으며 면봉과 같은 면 또는 솜이 결합된 부재를 여러 개 사용할 때 일일이 묻힐 필요 없이 한번에 치아에 사용될 만큼 치아 착색제를 묻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제1 거치부(310)의 좌측면에 결합된 제1 가이드부(341)는 일부가 제1 본체부 측면 프레임(111)에 삽입되어 있다.
즉, 제1 거치부(310)의 좌측면에 결합된 제1 가이드부(341)는 제1 본체부(110) 내부에 일부 삽입된 것이다.
제2 본체부(120)의 우측면에 결합된 제2 가이드부(342)도 제2 본체부 측면 프레임(121)에 일부가 삽입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측면도이다.
도 3이 본 발명의 초기 모습이며 도 3을 참조하면,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수용부(210)는 제1 본체부(110)의 경계에서 수직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초기에는 제1 본체부(110) 내부에 구성된 제1 가이드부(341) 및 제2 본체부(120)의 내부에 구성된 제2 손잡이부(332)가 수평을 이루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본체부(120)를 기준으로 제2 손잡이부(332)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손잡이부(332)와 결합된 제2 거치부(320) 및 제2 가이드부(342)가 제2 수용부(220)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거치부(320) 및 제2 가이드부(342)는 제2 수용부(220)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헤드부(410)와 치아 착색제가 맞닿는다.
또한, 제1 가이드부(341)가 제1 수용부(210)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가이드부(341)의 모서리가 제1 본체부 측면 프레임(111)에 맞닿는다.
제1 가이드부(341)의 모서리가 제1 본체부 측면 프레임(111)에 맞닿으면 제1 가이드부(341)가 제1 수용부(210) 방향으로 기울어진 채로 고정되고, 이에 대응하여 거치부 홈(311)에 끼워져 있던 도포부(400)의 위치 또한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1 가이드부(341)가 제1 수용부(210) 방향으로 회전되어 헤드부(410)에 치아 착색제가 묻혀진 후, 제1 거치부(310)에 끼워져 있는 도포부(400)가 상,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도포부(400)의 위치가 고정되어 치아 착색제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치아 착색제를 솜 또는 치과용 기구에 손쉽게 치아 착색제를 묻힐 수 있으며 면봉과 같은 면 또는 솜이 결합된 부재를 여러 개 사용할 때 일일이 묻힐 필요 없이 한번에 치아에 사용될 만큼 치아 착색제를 묻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거치부(310)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제1 거치부(310)는 복수 개의 거치부 홈(311) 및 돌출부(312)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거치부 홈(311)은 제1 본체부(110) 내부에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거치부 홈(311)을 확대한 모습을 보면, 한 쌍의 돌출부(312)는 거치부 홈(311)의 양 측면에 거치부 홈(31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도포부(400)가 거치부 홈(311)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도포부(400)의 헤드부(410)가 거치부 홈(311)에 끼워진 후, 한 쌍의 돌출부(312)는 도포부(400)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어 도포부(4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아 착색제와 도포부(400)는 교체 가능하며 치아 착색제를 저장하는 제1 수용부(210)는 하부가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세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가 상승하거나 제1 수용부(210)에 치아 착색제가 과도하게 담긴 경우, 치아 착색제가 제1 수용부(210)를 통해 제1 본체부(110)로 흘러나올 수 있다.
이 때, 제1 수용부(210)를 통해 제1 본체부(110)로 흘러서 들어오는 치아 착색제는 복수 개의 거치부 홈(311)의 하측에 형성된 제1 거치부 하부(313)에 의해 막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제1 가이드부(341)의 하측에 형성되는 스프링 플랜저부(500)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제1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스프링 플랜저부(500)는 제1 가이드부(341)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 본체부 측면 프레임(111)에 일부 삽입되어 형성된다.
스프링 플랜저부(500)는 작업물을 한 곳에 안전하게 배치하거나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며 사전 드릴링한 구멍에 압입하여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프링 플랜저부(500)는 제1 본체부 측면 프레임(111) 내부를 향해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8의 도시가 초기의 모습이며, 도 7의 도시처럼 제1 손잡이부(331)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제1 손잡이부(331)와 결합된 제1 거치부(310) 및 제1 가이드부(341)도 상방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스프링 플랜저부(500)의 스프링이 이완되어 제1 가이드부(341)의 하측에서 제1 본체부 측면 프레임(11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다.
따라서, 돌출된 스프링 플랜저부(500)는 제1 가이드부(341)의 하측을 받치는 역할을 하여, 제1 가이드부(341)와 결합된 제1 거치부(310) 및 제1 거치부(310)에 끼워져 있던 도포부(40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손잡이부(331)가 제자리로 이동하여 제1 거치부(310) 및 제1 가이드부(341)가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 제1 가이드부(341)에 의해 스프링 플랜저부(500)를 스프링이 압축된다.
즉, 제1 가이드부(341)가 스프링 플랜저부(500)를 좌측으로 압력을 가하여 스프링 플랜저부(500)의 스프링이 압축된다.
이후, 스프링 플랜저는 제1 본체부(110)와 제1 가이드부(341)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손잡이부(331)를 반복적으로 상, 하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프링 플랜저부(500) 또한 이완과 압축을 반복한다.
스프링 플랜저부(500)는 전술한 제1 가이드부(341)가 제1 수용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가이드부(341)의 모서리가 제1 본체부 측면 프레임(111)에 맞닿게 되면 제1 거치부(310)에 끼워져 있던 도포부(400)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구성과 함께 제1 거치부(310) 및 도포부(400)의 위치를 이중으로 보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100)의 내부에 부식이 될 수 있는 치아 착색제가 담길 수 있어, 본체부(100)의 내부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본체부(100)의 내부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본체부(100)의 내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본체부(100)의 내부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본체부(100)의 내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25858858-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체부(100)의 내부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본체부(100)의 내부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본체부(100)의 내부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하고 있어, 본체부(100)의 내부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본체부(100)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25858858-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금속 화합물 10 20 30 40 50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본체부(100)의 내부 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0×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본체부(100)의 내부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 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제1 본체부,
111 : 제1 본체부 측면 프레임,
120 : 제2 본체부,
121 : 제2 본체부 측면 프레임,
130 : 고정부,
200 : 수용부,
210 : 제1 수용부,
220 : 제2 수용부,
300 : 거치부,
310 : 제1 거치부,
311 : 거치부 홈,
312 : 돌출부,
313 : 제1 거치부 하부,
320 : 제2 거치부,
330 : 손잡이부,
331 : 제1 손잡이부,
332 : 제2 손잡이부,
340 : 가이드부,
341 : 제1 가이드부,
342 : 제2 가이드부,
400 : 도포부,
410 : 헤드부,
420 : 바디부,
500 : 스프링 플랜저부.

Claims (6)

  1. 본체부;
    치아 착색제가 저장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후방에 위치되되, 도포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거치부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여, 상기 도포부의 단부가 상기 수용부에 저장된 상기 치아 착색제와 맞닿는 것인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도포부가 결합되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거치부 홈; 및
    상기 거치부 홈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 상기 도포부가 끼워지는 것인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거치부가 상기 수용부의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것인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거치부가 상기 수용부를 향해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의 모서리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 프레임에 맞닿아 상기 거치부에 결합된 상기 도포부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인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용부의 경계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인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솜이나 거즈가 뭉쳐진 형상인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여 상기 도포부가 상기 수용부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헤드부에 상기 치아 착색제가 묻혀지는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KR1020200158054A 2020-11-23 2020-11-23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KR102367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54A KR102367022B1 (ko) 2020-11-23 2020-11-23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54A KR102367022B1 (ko) 2020-11-23 2020-11-23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022B1 true KR102367022B1 (ko) 2022-02-23

Family

ID=8049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054A KR102367022B1 (ko) 2020-11-23 2020-11-23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0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187A (ko) * 2003-06-16 2004-12-23 메코텍(주) 침적 회전 코팅 장치
EP2842658A1 (en) * 2012-04-26 2015-03-04 Shinagawa Refractories Co., Ltd. Submerged nozzle of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KR102075421B1 (ko) 2018-09-19 2020-02-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착색용 기구
CN113474021A (zh) * 2019-03-28 2021-10-01 泰尔茂株式会社 预灌装注射器收纳托架及对其进行使用的包装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187A (ko) * 2003-06-16 2004-12-23 메코텍(주) 침적 회전 코팅 장치
EP2842658A1 (en) * 2012-04-26 2015-03-04 Shinagawa Refractories Co., Ltd. Submerged nozzle of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KR102075421B1 (ko) 2018-09-19 2020-02-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착색용 기구
CN113474021A (zh) * 2019-03-28 2021-10-01 泰尔茂株式会社 预灌装注射器收纳托架及对其进行使用的包装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abhakar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length of resin tags, viscosity and microleak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s–an in vitro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tudy
Felipucci et al. Effect of different cleansers on the surface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Quirynen et al. Impact of tongue cleansers on microbial load and taste
US7128899B2 (en) Bleaching device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a bleaching composition comprising polyvinylpyrrolidone
Omidkhoda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mouthwashes on the force decay of orthodontic chains
KR20040000458A (ko) 휨강성이 낮은 스트립재를 사용하는 치아 미백 물질 전달시스템 및 전달방법
Sharma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marginal adaptation between nanocomposites and microhybrid composites exposed to two light cure units
US20090074679A1 (en) Tooth whitening methods and apparatuses
Mylonas et al. Denture cleanliness and hygiene: an overview
KR102367022B1 (ko)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Ahluwalia et al.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marginal sealing ability of chlorhexidine-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An: in vitro: study
Singh et al. A comparative evaluation of oral hygiene practices, oral health status, and behavior between graduate and post-graduate dentists of North India: An epidemiological survey
BRPI0710124A2 (pt) composição e método para branquear os dentes
RU2674145C1 (ru) Отбеливающий гель
US20160066682A1 (en) Toothbrush Head with Fabric Pad for Improved Teeth Cleaning
de Oliveira et al. Influence of different toothpaste abrasives on the bristle end‐rounding quality of toothbrushes
KR102399675B1 (ko)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Dua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componeers” and direct composite veneers using minimally invasive enamel preparation technique: In vivo: study
Al Azzawi et al. Bond Strength Efficiency of a High Fluoride and Calcium Release Self-Adhesive Resin Cement: A Comparative: in vitro: Study
KR102538227B1 (ko)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
KR102364015B1 (ko) 치아에 착색되는 착색제의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Santiago et al. One-year clinical evaluation of tooth-colored materials in non-carious cervical lesions
KR102658973B1 (ko) 샤프형 치실 및 치간칫솔
Alshamrani et al. General public perceptions and knowledge on tooth bleaching in Riyadh, KSA
Greene et al. Reducing white spot lesion incidence during fixed appliance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