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994B1 -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994B1
KR102537994B1 KR1020210110639A KR20210110639A KR102537994B1 KR 102537994 B1 KR102537994 B1 KR 102537994B1 KR 1020210110639 A KR1020210110639 A KR 1020210110639A KR 20210110639 A KR20210110639 A KR 20210110639A KR 102537994 B1 KR102537994 B1 KR 102537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guide
steam generator
foreign matter
rai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057A (ko
Inventor
김덕일
성기덕
양성규
박현희
Original Assignee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이 filed Critical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99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483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2Washing-out devic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증기발생기의 작업구 및 개구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레일가이드부를 공급하여 배치시키는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관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전열관 다발 상부와 인접되게 이동레일부의 일단을 이동시키는 이동레일 어셈블리;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로 접근하여 이물질을 파지한 후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이물질 제거수단;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동되어 이물질의 위치 및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이 이물질로의 접근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와 연결되며,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증기발생기의 작업구 및 개구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커브가이드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레일가이드 풀리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에 감기며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 시 상기 커브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공급되어 배치되는 레일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는 상기 레일가이드부가 감기며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풀리와, 상기 레일가이드부의 일단이 감기며 상기 제1풀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풀리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가이드부는 상기 제1풀리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1연결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1레일가이드와, 제1레일가이드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2연결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2레일가이드와, 상기 제2레일가이드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라운드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3레일가이드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으로 제거가 불가능한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볼트류 등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질을 제거하여 전열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동 중 증기발생기 및 전열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품질 관련 이슈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a steam generator and a method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a steam gener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자력발전소에 사용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86344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증기발생기는 증기터빈과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장 중요한 핵심기기 중의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기발생기 내부에는 다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전열관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전열관은 방사능을 포함하는 1차 계통수와 터빈을 돌리는 2차 계통수 사이에 열 교환 기능을 제공하며, 1차 계통수와 2차 계통수를 분리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증기의 발생과정을 살펴보면, 원자로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1차 계통수가 관로를 따라 증기발생기 전열관 내부를 흐르고 이 전열관 외부로 공급되는 2차 계통수가 전열관의 외부로 교차하면서 전열관의 관벽을 사이에 두고 1차 계통수와 2차 계통수가 열교환을 통해 1차 계통수는 폐회로의 관로를 따라 다시 원자로로 순환되고 2차 계통수는 증기로 변환된다.
즉, 전열관을 사이로 전열관 내부에는 고온 고압의 방사성 물(1차 계통수)이 흐르고, 외부로는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이 흐르기 때문에 전열관 손상이 있을 경우 전열관 내부를 관통하는 방사성 물(1차 계통수)이 외부로 누설되면서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과 혼합되면서 오염이 되고, 이로 인해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이 증기로 변환되어 공급되는 영역 전체가 방사능 오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전열관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원자력 발전소에 있어 최우선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다.
첨부된 도 1은 이러한 증기발생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증기발생기의 정단면도, 도 3은 증기발생기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증기발생기(10)는 1차 계통수가 들어오는 입구노즐(1)과, 입구노즐(1)을 통해 들어오는 1차 계통수가 이동하며 이동하는 1차 계통수와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유입된 2차 계통수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관(3)과, 상기 입구노즐(1)을 통해 들어와서 전열관(3)을 이동하면서 2차 계통수와 열교환된 1차 계통수를 원자로로 배출하는 출구노즐(5) 등으로 구성된다. 전열관(3)은 관판(4) 위에 안치되며, 안치된 전열관(3)은 일정 수직 높이 간격마다 관지지판(6)으로 지지되고, 하단의 관지지판(6)과 관판(4) 사이에는 도너츠판상의 유량분배판(8)을 안치시켜 전열관(3)을 지지하도록 한다. 전열관을 지지하는 다수의 일정 수직 간격의 관지지판(6) 및 전열관(3)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단에 증기배출구(21)를 가지는 래퍼(2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래퍼(20)는 물을 개방된 하부로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은 전열관에 의하여 가열되어 증기 상태로 위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증기발생기는, 1차 계통수는 입구노즐(1)로 들어와서 다수의 전열관(튜브, 3) 안쪽으로 흐르면서 전열관(3)의 외부에 있는 2차 계통수에 열을 전달하고 이때 증기가 생성되게 된다.
여기서, 증기발생기(10)에서 원자로 냉각재가 흐르는 부분을 1차측, 급수 및 증기가 흐르는 부분을 2차측이라 한다. 2차계통은 주증기계통, 터빈계통, 복수 및 급수계통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증기발생기(10) 2차측에서 생성된 수증기는 주증기관을 따라 이동하여 터빈을 회전시킨다.
종래의 증기발생기는 수 천 개의 U자형 전열관(3)이 다발형태를 이루면서 전열관 다발 최하부의 관판(Tube Sheet, 4)에 전열관(3) 양단이 고정되고 약 1m 간격으로 전열관 상부까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7단으로 구성된 관지지판(Tube Support Plate, 6)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운전 연수가 지나면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 또는 생성되는 불순물이 전열관(3) 외부표면에 스케일이 되어 열교환력을 저하시키고 전열관(3)과 관지지판(6) 사이에서 슬러지로 침적되어 점차 고형화되면 관지지판(6)과 전열관(3) 사이에 덴팅을 유발하여 전열관(3)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열관(3) 표면의 스케일 제거와 관지지판(6)의 슬러지 제거 및 전열관 다발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의 제거는 증기발생기 효율과 전열관(3) 건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기존의 증기발생기 이물질 점검 및 제거 작업은 전열관(3) 다발 내 관판 상부 틈새의 이물질의 유무를 점검하고 이물질이 존재 시 제거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전열관 다발 상부(전열관 지지판;Full Egg-Crate 상단) 위에 이물질이 위치하는 경우 기존의 기술로는 이물질 점검 및 제거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제거 방식으로는 제거가 불가능한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증기발생기의 작업구 및 개구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레일가이드부를 공급하여 배치시키는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관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전열관 다발 상부와 인접되게 이동레일부의 일단을 이동시키는 이동레일 어셈블리;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로 접근하여 이물질을 파지한 후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이물질 제거수단;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동되어 이물질의 위치 및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이 이물질로의 접근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와 연결되며,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증기발생기의 작업구 및 개구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커브가이드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레일가이드 풀리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에 감기며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 시 상기 커브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공급되어 배치되는 레일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는 상기 레일가이드부가 감기며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풀리와, 상기 레일가이드부의 일단이 감기며 상기 제1풀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풀리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가이드부는 상기 제1풀리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1연결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1레일가이드와, 제1레일가이드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2연결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2레일가이드와, 상기 제2레일가이드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라운드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3레일가이드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는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커브가이드부는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제1가이드단과, 상기 제1가이드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가이드단의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는 제2가이드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이드단과 상기 제2가이드단의 양측면은 상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연결가이드레일은 사각판재형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1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장착단과, 상기 제1몸체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끼움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1장착단 및 상기 제1끼움단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가이드레일은 사각판재형상의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2체결홀이 형성되는 제2장착단과, 상기 제2몸체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끼움단과, 상기 제2몸체의 양측면에서 상부로 대응되게 돌출되는 제1절곡단 및 제2절곡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운드가이드레일은 사각형상의 판재로 중앙부가 하부로 돌출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라운드몸체와, 상기 라운드몸체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3체결홀이 형성되는 라운드장착단과, 상기 라운드몸체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는 라운드끼움단과, 상기 라운드몸체의 양측면에서 상부로 대응되게 돌출되는 제1라운드절곡단 및 제2라운드절곡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가이드부는 가이드돌기를 통해 상기 제2연결가이드레일과 상기 라운드가이드레일로 삽입되어 전열관을 지지하는 전열관 지지판의 상부로 이동되어 배치되는 추락방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락방지 플레이트는 얇은 금속재질로 롤 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연결가이드레일과 상기 라운드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추락방지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증기발생기의 작업구 및 개구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레일가이드부를 공급하여 배치시키는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관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전열관 다발 상부와 인접되게 이동레일부의 일단을 이동시키는 이동레일 어셈블리;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로 접근하여 이물질을 파지한 후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이물질 제거수단;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동되어 이물질의 위치 및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이 이물질로의 접근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와 연결되며,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전열관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이동레일 프레임부와,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이동레일 풀리부와,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에 감기며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 시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전열관 다발 상부로 이동되는 이동레일부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는 상기 이동레일부가 감기며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풀리와, 상기 이동레일부의 일단이 감기며 상기 제2풀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풀리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부는 상기 제2풀리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연결본체가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체결되는 제1이동레일과, 상기 제1이동레일과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체결되고 복수개의 삽입본체가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체결되며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제2이동레일과, 상기 제2이동레일로 삽입되어 상기 제2이동레일의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본체는 사각형상의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장착돌기단과, 상기 연결몸체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끼움돌기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본체는 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촬영수단이 통과하는 제1통과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1끼움공이 형성된 제1연결돌기단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삽입몸체와,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2끼움공이 형성된 제2연결돌기단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제거수단 및 상기 각도제어와이어가 통과하는 제2통과홀 및 제3통과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삽입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몸체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3통과홀은 상기 제2통과홀을 중심으로 복수개가 상기 제2삽입몸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은 상기 이동레일부로 일단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튜브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튜브의 이동 및 일단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가이드튜브 조작부재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내부로 이동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툴과, 상기 이물질 제거툴과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거툴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 제거툴은 올가미 구조, 집게 구조 중 선택한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촬영수단은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로 접근하여 촬영하는 내시경 카메라와, 상기 내시경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내시경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재와, 상기 내시경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작업자가 확인하는 모니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이동레일 어셈블리, 이물질 제거수단, 촬영수단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레일가이드부를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공급하여 배치시키는 레일가이드부 배치 단계;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지지대에 설치된 이동레일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이동레일부를 이물질이 위치하는 전열관 다발 상부와 인접하게 이동시키는 이동레일부 이동 단계;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촬영수단을 이동시키는 촬영수단 이동 단계;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수단을 이동시킨 후 상기 촬영수단을 확인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증기발생기의 작업구 및 개구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커브가이드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레일가이드 풀리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에 감기며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 시 상기 커브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공급되어 배치되는 레일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는 상기 레일가이드부가 감기며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풀리와, 상기 레일가이드부의 일단이 감기며 상기 제1풀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풀리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가이드부는 상기 제1풀리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1연결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1레일가이드와, 상기 제1레일가이드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2연결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2레일가이드와, 상기 제2레일가이드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라운드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3레일가이드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이동레일 어셈블리, 이물질 제거수단, 촬영수단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레일가이드부를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공급하여 배치시키는 레일가이드부 배치 단계;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지지대에 설치된 이동레일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이동레일부를 이물질이 위치하는 전열관 다발 상부와 인접하게 이동시키는 이동레일부 이동 단계;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촬영수단을 이동시키는 촬영수단 이동 단계;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수단을 이동시킨 후 상기 촬영수단을 확인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전열관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이동레일 프레임부와,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이동레일 풀리부와,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에 감기며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 시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전열관 다발 상부로 이동되는 이동레일부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은 기존의 방식으로 제거가 불가능한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볼트류 등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질을 제거하여 전열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동 중 증기발생기 및 전열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품질 관련 이슈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증기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증기발생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증기발생기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일가이드 어셈블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레일가이드 풀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이동레일 어셈블리 및 레일가이드 어셈블리의 레일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레일가이드부의 제1연결가이드레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레일가이드부의 제2연결가이드레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레일가이드부의 라운드가이드레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이동레일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이동레일의 연결본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2이동레일의 삽입본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이물질 제거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촬영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및 이동레일 어셈블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레일가이드부의 제2연결가이드레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레일가이드부의 라운드가이드레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이동레일부가 레일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동된 이물질 제거수단과 촬영수단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레일가이드 어셈블리(1000)와, 이동레일 어셈블리(2000)와, 이물질 제거수단(3000)과, 촬영수단(4000)과, 제어수단(5000)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1000)는 증기발생기(10)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1000)는 레일가이드 프레임부(1100)와, 커브가이드부(1200)와,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와, 레일가이드부(1400)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1000)는 상기 증기발생기(10)에 형성된 작업구 및 개구(12)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내부로 레일가이드부(1400)를 공급하여 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1100)는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증기발생기(1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1100)의 일측으로는 커브가이드부(1200)가 돌출되게 연결된다. 상기 커브가이드부(1200)는 상기 작업구 및 개구(12)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커브가이드부(1200)는 제1가이드단(1210)과, 제2가이드단(1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단(1210)은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1100)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제2가이드단(1220)은 상기 제1가이드단(1210)과 연결되며 돌출된 상기 제1가이드단(1210)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1가이드단(1210)과 상기 제2가이드단(1220)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단(1210)과 상기 제2가이드단(1220)의 양측면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커브가이드부(1200)로 이동되는 레일가이드부(1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양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1100)에는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에는 증기발생기(10)의 내부로 공급되어 배치되는 레일가이드부(1400)가 감기며,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가 회전 시 상기 레일가이드부(1400)는 풀리거나 감기면서 증기발생기(10)의 내부로 공급되거나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로 회수되게 된다.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는 제1풀리(1310)와, 제1구동축(1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풀리(1310)는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풀리(1310)에는 상기 레일가이드부(1400)가 감겨지며, 상기 제1구동축(1320)은 상기 제1풀리(1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가이드부(1400)의 일단이 감기며 상기 제1풀리(13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구동축(1320)에 의해 상기 제1풀리(1310)가 회전 시 상기 레일가이드부(1400)가 상기 제1풀리(1310)에서 풀리면서 증기발생기(10)의 내부로 공급되거나 상기 레일가이드부(1400)가 상기 제1풀리(1310)로 감기면서 회수되게 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에 감기는 상기 레일가이드부(1400)는 제1레일가이드(1400a)와, 제2레일가이드(1400b)와, 제3레일가이드(1400c)를 포함한다.
상기 제1레일가이드(1400a)는 상기 제1풀리(1310)와 연결되며, 상기 제1레일가이드(1400a)는 복수개의 제1연결가이드레일(1410)이 체결수단(C)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체결수단으로는 힌지핀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레일가이드(1400a)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제1연결가이드레일(1410)은 제1몸체(1411)와, 제1장착단(1412)와, 제1끼움단(1413)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1411), 제1장착단(1412), 제1끼움단(1413)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1411)는 사각판재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장착단(1412)은 상기 제1몸체(1411)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장착단(1412)에는 상기 체결수단(C)이 체결되는 제1체결홀(141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끼움단(1413)은 상기 제1몸체(1411)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C)이 체결되는 제1관통홀(141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제1몸체(1411)가 상기 체결수단(C)에 의해 연결 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몸체(1411)의 제1끼움단(1413) 사이로 제1장착단(1412)이 삽입된 후 제1체결홀(1412a)과 제1관통홀(1413a)로 상기 체결수단(C)이 체결됨으로써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몸체(1411)가 상기 체결수단(C)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레일가이드(1400a)에는 체결수단(C)에 의해 제2레일가이드(1400b)가 연결되며, 상기 제2레일가이드(1400b)는 복수개의 제2연결가이드레일(1420)이 체결수단(C)에 연결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가이드레일(1420)은 제2몸체(1421)와, 제2장착단(1422)와, 제2끼움단(1423)과, 제1절곡단(1424)과, 제2절곡단(1425)을 포함하며, 상기 제2몸체(1421), 제2장착단(1422), 제2끼움단(1423), 제1절곡단(1424), 및 제2절곡단(1425)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1421)는 사각판재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장착단(1422)은 상기 제2몸체(1421)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장착단(1422)에는 상기 체결수단(C)이 체결되는 제2체결홀(142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끼움단(1423)은 상기 제2몸체(1421)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C)이 체결되는 제2관통홀(142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몸체(1421)의 양측면에는 제1절곡단(1424) 및 제2절곡단(1425)이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절곡단(1424)과 제2절곡단(1425)은 상기 제2몸체(1421)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절곡단(1424)과 제2절곡단(1425)의 끝단은 상기 제2몸체(1421)의 중앙부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레일가이드(1400b)에는 체결수단(C)에 의해 제3레일가이드(1400c)가 연결되며, 상기 제3레일가이드(1400c)는 복수개의 라운드가이드레일(1430)이 체결수단(C)이 연결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라운드가이드레일(1430)은 라운드몸체(1431)와, 라운드장착단(1432)와, 라운드끼움단(1433)과, 제1라운드절곡단(1434)과, 제2라운드절곡단(1435)을 포함하며, 라운드몸체(1431), 라운드장착단(1432), 라운드끼움단(1433), 제1라운드절곡단(1434) 및 제2라운드절곡단(1435)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몸체(1431)는 사각형상의 판재로 중앙부가 하부로 돌출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라운드장착단(1432)은 상기 라운드몸체(1431)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라운드장착단(1432)에는 상기 체결수단(C)이 체결되는 제3체결홀(143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운드끼움단(1433)은 상기 라운드몸체(1431)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C)이 체결되는 제2관통홀(143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운드몸체(1431)의 양측면에는 제1라운드절곡단(1434) 및 제2라운드절곡단(1435)이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라운드절곡단(1434)과 제2라운드절곡단(1435)은 상기 라운드몸체(1431)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라운드절곡단(1434)과 제2라운드절곡단(1435)의 끝단은 상기 라운드몸체(1431)의 중앙부로 절곡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내부에는 구비되는 전열관 지지대(18)의 상부에는 이동레일 어셈블리(2000)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2000)는 이동레일 프레임부(2100)와, 이동레일 풀리부(2200)와, 이동레일부(230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가이드부(1400)를 통해 이동레일부(2300)의 일단을 이물질이 위치하는 전열관(14) 다발 상부와 인접하게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2100)는 상기 전열관 지지대(18)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2100)에는 상기 이동레일부(2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GR)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2100)에는 이동레일 풀리부(2200)가 설치되어 회전되며,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2200)는 제2풀리(2210)와, 제2구동축(222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2200)에는 전열관(14) 다발 상부로 이동되는 이동레일부(2300)가 감기며,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2200)가 회전 시 상기 이동레일부(2300)는 풀리거나 감기면서 전열관(14) 다발 상부로 공급되거나 상기 이동레일 풀ㅌ리부(2200)로 회수되게 된다.
상기 제2풀리(2210)는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2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풀리(2210)에는 상기 이동레일부(2300)가 감겨지며, 상기 제2구동축(2220)은 상기 제2풀리(2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레일부(2300)의 일단이 감기며 상기 제2풀리(22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구동축(2220)에 의해 상기 제2풀리(2210)가 회전 시 상기 이동레일부(2300)가 상기 제2풀리(2210)에서 풀리면서 전열관(14) 다발 상부로 공급되거나 상기 이동레일부(2300)가 상기 제2풀리(2210)로 감기면서 회수되게 된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2200)에 감기는 이동레일부(2300)는 제1이동레일(2310)과, 제2이동레일(2320)과, 각도제어와이어(2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동레일(2310)은 제2풀리(2210)와 연결되며, 상기 제1이동레일(2310)는 복수개의 연결본체(2311)가 체결수단(C)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이동레일(231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본체(2311)는 연결몸체(2312)와, 장착돌기단(2314)과, 끼움돌기단(2316)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몸체(2312)는 사각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돌기단(2314)은 상기 연결몸체(2312)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C)이 삽입되는 삽입공(2314a)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단(2316)은 상기 연결몸체(2312)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C)이 관통되는 관통공(2316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동레일(2310)는 체결수단(C)에 의해 제2이동레일(2320)과 힌지체결되고, 상기 제2이동레일(2320)은 복수개의 삽입본체(2321)가 체결수단(C)에 의해 힌지체결되어 상기 레일가이드부(1400)를 통해 이동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본체(2321)는 제1삽입몸체(2322)와, 제2삽입몸체(23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몸체(2322)는 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삽입몸체(2322)의 길이방향으로는 후술되는 촬영수단(4000)이 통과하는 제1통과홀(2322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HP)이 삽입되는 제1끼움공(2322c)이 형성되는 제1연결돌기단(2322b)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삽입몸체(2322)는 상기 체결수단(C)에 의해 제2삽입몸체(2324)와 연결되며, 상기 제2삽입몸체(2324)의 길이방향으로는 후술되는 이물질제거수단(3000) 및 상기 각도제어와이어(2330)가 통과하는 제2통과홀(2324a) 및 제3통과홀(2324b)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C)이 삽입되는 제2끼움공(2324d)이 형성되는 제2연결돌기단(2324c)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2통과홀(2324a) 및 제3통과홀(2324b)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삽입몸체(2324)의 측면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통과홀(2324b)은 상기 제2통과홀(2324a)을 중심으로 복수개가 상기 제2삽입몸체(2324)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몸체(2324)의 측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이동레일부(2300)가 상기 레일가이드부(1400)의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제3레일가이드부(1400c) 및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레일(GR)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이동레일(2320)의 제3통과홀(2324b)로는 각도제어와이어(2330)가 삽입되어 이동되며, 상기 각도제어와이어(2330)의 타단을 사용자가 제어하여 각도제어와이어(23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각도제어와이어(2330)에 의해 상기 제2이동레일(2320)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상기 각도제어와이어(2330)는 의료장비인 카테터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이드와이어와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2000)의 이동레일부(2300)를 통해 이물질 제거수단(3000)이 전열관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이물질로 접근하여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파지한 후 이물질을 이동시켜 제거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3000)은 가이드튜브(3100)와, 가이드튜브 조작부재(미도시)와, 이물질 제거툴(3300)와, 제거툴 조작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튜브(3100)는 상기 제2이동레일(2320)의 제2삽입몸체(2324)에 형성된 제2통과홀(2324a)로 일단이 삽입되어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튜브(3100)의 타단에는 가이드튜브 조작부재(미도시)가 연결된다.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튜브 조작부재(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튜브(3100)의 이동 및 일단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튜브(3100) 및 상기 가이드튜브 조작부재(미도시)는 상기 각도제어와이어(2330) 및 각도제어와이어(233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재와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튜브(3100)의 내부로는 이물질 제거툴(3300)이 이동되어 이물질 제거툴(3300)의 일단이 이물질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동되어 이물질을 파지하여 제거하며, 이물질 제거툴(3300)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이물질 제거툴(3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거툴 조작부재(미도시)가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툴(3300)은 올가미 구조, 집게 구조 중 선택한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 제거툴(3300)이 상기 제2이동레일(2320)로 이동되는 가이드튜브(3100)의 내부로 통해 이물질(B)로 접근함으로써 이물질 제거툴(3300)을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로 전열관 다발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2000)의 이동레일부(2300)를 통해 촬영수단(4000)이 이동하며, 상기 촬영수단(4000)은 상기 이동레일부(2300)를 통해 이동되어 이물질의 위치 및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3000)이 이물질로의 접근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하고 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촬영수단(4000)은 내시경 카메라(4100)와, 카메라 제어부재(4200)와, 모니터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내시경 카메라(4100)는 상기 이동레일부(2300)의 제1삽입몸체(2322)에 형성된 제1통과홀(2322a)로 일단이 삽입되어 이동되며, 상기 내시경 카메라(4100)의 타단에는 내시경 카메라(4100)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카메라 제어부재(4200)가 연결된다. 상기 내시경 카메라(4100)가 상기 이동레일부(2300)를 통해 이동됨으로써 전열관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시경 카메라(4100)가 촬영한 영상은 모니터부재(미도시)로 전송되며,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부재(미도시)를 확인하면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3000)를 조작하여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이물질 제거툴(3300)을 이용하여 파지 후 이물질 제거툴(3300)을 회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내시경 카메라(4100) 및 이를 조작하는 카메라 제어부재(4200)의 조작법은 일반적인 것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1000) 및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2000)는 제어수단(5000)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5000)은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1000) 및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2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1000)의 제1구동축(1320)와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2000)의 제2구동축(2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어수단(5000)의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수단(4000) 및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3000)이 상기 이동레일부(2300)를 통해 전열관(14) 다발 상부에 위치하느 이물질(B)로 전열관(14)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조작이 용이한 이물질 제거수단(3000)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파지하며 이를 회수하여 전열관(14)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볼트류 등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질을 제거하여 전열관(1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및 이동레일 어셈블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레일가이드부의 제2연결가이드레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레일가이드부의 라운드가이드레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이동레일부가 레일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동된 이물질 제거수단과 촬영수단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 이물질 제거수단, 촬영수단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가이드 어셈블리에서 설명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에 감기는 상기 레일가이드부(1400)는 추락방지 플레이트(1400d)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락방지 플레이트(1400d)는 상기 제2연결가이드레일(1420)과 상기 라운드가이드레일(1430)로 삽입되어 이동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추락방지 플레이트(1400d)는 전열관(14)을 지지하는 전열관 지지판(16)의 상부로 이동되어 배치되고, 상기 추락방지 플레이트(1400d)는 얇은 금속재질로 롤 테이프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레일가이드부(1400)에 적용되는 상기 제2연결가이드레일(1420)의 상기 제1절곡단(1424)과 제2절곡단(1425)에는 가이드돌기(G)가 제2몸체(1421)의 중앙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421)와 상기 가이드돌기(G) 사이로는 상기 추락방지 플레이트(1400d)가 삽입되어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돌기(G)와 상기 제1절곡단(1424)과 제2절곡단(1425)의 절곡된 끝단 사이로는 후술되는 이동레일 어셈블리(200)의 이동레일부(2300)가 삽입되어 이동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레일가이드부(1400)에 적용되는 상기 라운드가이드레일(1430)의 상기 제1라운드절곡단(1434)과 제2라운드절곡단(1435)에는 가이드돌기(G)가 라운드몸체(1421)의 중앙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라운드몸체(1421)와 상기 가이드돌기(G) 사이로는 상기 추락방지 플레이트(1400d)가 삽입되어 이동된다.
도 4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100)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은 레일가이드 어셈블리(1000)와, 이동레일 어셈블리(2000)와, 이물질 제거수단(3000)과, 촬영수단(4000)과, 제어수단(5000)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100)를 이용하여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볼트류 등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레일가이드부 배치 단계(S10)와, 이동레일부 이동 단계(S20)와, 촬영수단 이동 단계(S30)와, 이물질 제거 단계(S40)를 포함하고, 이동레일부 회수 단계(S50)와, 레일가이드 회수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가이드부 배치 단계(S10)는 레일가이드 프레임부(1100)와, 커브가이드부(1200)와,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와, 레일가이드부(1400)를 포함하며 증기발생기(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 어셈블리(1000)를 동작시켜 레일가이드부(1400)를 증기발생기(10)의 내부로 공급하여 배치시키는 단계이며, 제어수단(5000)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를 동작시킴으로써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에 감긴 레일가이드부(1400)가 풀리면서 증기발생기(10)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배치되게 된다.
도 4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1100)는 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증기발생기(1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1100)의 일측으로는 커브가이드부(1200)가 돌출되게 연결되어 상기 작업구 및 개구(12)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커브가이드부(1200)는 제1가이드단(1210)과, 제2가이드단(1220)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는 제1풀리(1310)와, 제1구동축(1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단(1210) 및 제2가이드단(1220)의 형상 및 상기 제1풀리(1310)와 상기 제1구동축(1320)의 동작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100)에서 설명된 바, 중복될 수 있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제어수단(5000)은 상기 제1구동축(1320)를 동작시켜 상기 제1풀리(131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풀리(1310)에 감긴 레일가이드부(1140)를 상기 증기발생기(100)의 내부로 공급하면서 배치시키게 된다.
상기 레일가이드부 배치 단계(S10)를 거친 후 이동레일부 이동 단계(S20)를 수행하며, 상기 이동레일부 이동 단계(S20)는 이동레일 프레임부(2100)와, 이동레일 풀리부(2200)와, 이동레일부(2300)를 포함하며 증기발생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관 지지대(18)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레일 어셈블리(2000)를 동작시켜 이동레일부(2300)를 이물질이 위치하는 전열관(14) 다발 상부와 인접하게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이동레일부 이동 단계(S20)는 제어수단(5000)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2200)를 동작시킴으로써 이동레일 풀리부(2200)에 감긴 이동레일부(2300)가 풀리면서 레일가이드부(1400)과 전열관 지지판(16)를 거쳐 전열관(14) 다발 상부와 인접하게 이동되게 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2100)는 전열관 지지대(18)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2100)에는 이동레일부(2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GR)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GR)를 통해 상기 이동레일부(2300)가 레일가이드부(1400)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가이드부(1400)에 의해 상기 전열관 지지판(14)의 상부로 이동레일부(2300)의 이동이 가이드되게 된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2200)는 제2풀리(2210)와, 제2구동축(2220)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부(2300)는 제1이동레일(2310)과, 제2이동레일(2320)과, 각도제어와이어(233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2200)와 상기 이동레일부(2300)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100)에서 설명된 바, 중복될 수 있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제어수단(5000)은 상기 제2구동축(2220)를 동작시켜 상기 제2풀리(221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풀리(2210)에 감긴 이동레일부(2300)는 풀리면서 레일가이드부(1400)과 전열관 지지판(16)를 거쳐 전열관(14) 다발 상부와 인접하게 이동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레일부 이동 단계(S20)를 거친 후 촬영수단 이동 단계(S30)를 수행하며, 상기 촬영수단 이동 단계(S30)는 이물질과 인접하게 이동된 이동레일부(2300)를 통해 촬영수단(4000)를 이물질과 인접하게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촬영수단(4000)은 내시경 카메라(4100)와, 카메라 제어부재(4200)와, 모니터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수단(4000)은 상기 이동레일부(2300)를 통해 이동되어 이물질의 위치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수단(3000)이 이물질로의 접근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하고 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촬영수단(4000)은 상기 이동레일부(2300)의 제1삽입몸체(2322)에 형성된 제1통과홀(2322a)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수단(40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100)에서 설명된 바, 중복될 수 있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촬영수단 이동 단계(S30)를 거친 후 이물질 제거 단계(S40)를 수행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S40)는 상기 이동레일부(2300)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수단(3000)를 이물질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이물질 제거수단(3000)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S40)는 이물질의 위치,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3000)이 이물질로의 접근 및 이물질 제거수단(3000)이 이물질의 파지여부를 촬영수단(4000)이 촬영한 영상을 통해 확인하면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3000)은 가이드튜브(3100)와, 가이드튜브 조작부재(미도시)와, 이물질 제거툴(3300)와, 제거툴 조작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3000)은 상기 이동레일부(2300)의 제2삽입몸체(2324)에 형성된 제2통과홀(2324a)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30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100)에서 설명된 바, 중복될 수 있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S40)를 거친 후 이동레일부 회수 단계(S50)를 수행하고, 상기 이동레일부 회수 단계(S50)를 거친 후 레일가이드부 회수 단계(S60)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레일부 회수 단계(S50)는 이물질과 인접하게 이동된 이동레일부(2300)를 이동레일 풀리부(2200)로 회수하는 단계이며, 상기 이동레일부 회수 단계(S50)를 수행 시 이물질을 파지한 이물질 제거수단(300)이 함께 회수되어 전열관(14)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이 제거되고, 제어수단(5000)이 이동레일 풀리부(2200)의 제2구동축(2220)을 동작시킴으로써 제2풀리(2210)가 회전하면서 이동레일부(2300)를 감으면서 회수하게 된다.
상기 레일가이드부 회수 단계(S60)는 레일가이드부(1400)를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로 회수하는 단계이며, 제어수단(5000)이 레일가이드 풀리부(1300)의 제1구동축(1320)을 동작시킴으로써 제1풀리(1310)가 회전하면서 레일가이드부(1300)를 감으면서 회수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으로 제거가 불가능한 증기발생기(10)의 전열관(14)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볼트류 등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질(B)을 제거하여 전열관(1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동 중 증기발생기(10) 및 전열관(14)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품질 관련 이슈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1000 :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1100 : 레일가이드 프레임부 1200 : 커브가이드부
1210 : 제1가이드단 1220 : 제2가이드단
1300 : 레일가이드 풀리부 1310 : 제1풀리
1320 : 제1구동축 1400 : 레일가이드부
1410 : 제1레일가이드 1420 : 제2레일가이드
1430 : 제3레일가이드 1440 : 추락방지 플레이트
2000 : 이동레일 어셈블리 2100 : 이동레일 프레임부
2200 : 이동레일 풀리부 2210 : 제2풀리
2220 : 제2구동축 2300 : 이동레일부
2310 : 제1이동레일 2320 : 제2이동레일
2330 : 각도제어와이어 3000 : 이물질 제거수단
3100 : 가이드튜브 3300 : 이물질 제거툴
4000 : 촬영수단 4100 : 내시경 카메라
4200 : 카메라 제어부재 5000 : 제어수단

Claims (38)

  1.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증기발생기의 작업구 및 개구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레일가이드부를 공급하여 배치시키는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관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전열관 다발 상부와 인접되게 이동레일부의 일단을 이동시키는 이동레일 어셈블리;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로 접근하여 이물질을 파지한 후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이물질 제거수단;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동되어 이물질의 위치 및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이 이물질로의 접근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와 연결되며,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증기발생기의 작업구 및 개구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커브가이드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레일가이드 풀리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에 감기며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 시 상기 커브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공급되어 배치되는 레일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는,
    상기 레일가이드부가 감기며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풀리와,
    상기 레일가이드부의 일단이 감기며 상기 제1풀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풀리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가이드부는,
    상기 제1풀리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1연결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1레일가이드와,
    제1레일가이드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2연결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2레일가이드와,
    상기 제2레일가이드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라운드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3레일가이드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는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브가이드부는,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제1가이드단과,
    상기 제1가이드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가이드단의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는 제2가이드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단과 상기 제2가이드단의 양측면은 상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가이드레일은,
    사각판재형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1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장착단과,
    상기 제1몸체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끼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1장착단 및 상기 제1끼움단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가이드레일은,
    사각판재형상의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2체결홀이 형성되는 제2장착단과,
    상기 제2몸체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끼움단과,
    상기 제2몸체의 양측면에서 상부로 대응되게 돌출되는 제1절곡단 및 제2절곡단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가이드레일은,
    사각형상의 판재로 중앙부가 하부로 돌출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라운드몸체와,
    상기 라운드몸체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3체결홀이 형성되는 라운드장착단과,
    상기 라운드몸체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는 라운드끼움단과,
    상기 라운드몸체의 양측면에서 상부로 대응되게 돌출되는 제1라운드절곡단 및 제2라운드절곡단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가이드부는,
    가이드돌기를 통해 상기 제2연결가이드레일과 상기 라운드가이드레일로 삽입되어 전열관을 지지하는 전열관 지지판의 상부로 이동되어 배치되는 추락방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락방지 플레이트는 얇은 금속재질로 롤 테이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가이드레일과 상기 라운드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추락방지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11.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증기발생기의 작업구 및 개구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레일가이드부를 공급하여 배치시키는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관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전열관 다발 상부와 인접되게 이동레일부의 일단을 이동시키는 이동레일 어셈블리;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로 접근하여 이물질을 파지한 후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이물질 제거수단;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동되어 이물질의 위치 및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이 이물질로의 접근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와 연결되며,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전열관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이동레일 프레임부와,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이동레일 풀리부와,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에 감기며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 시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전열관 다발 상부로 이동되는 이동레일부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는,
    상기 이동레일부가 감기며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풀리와,
    상기 이동레일부의 일단이 감기며 상기 제2풀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풀리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축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부는,
    상기 제2풀리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연결본체가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체결되는 제1이동레일과,
    상기 제1이동레일과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체결되고 복수개의 삽입본체가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체결되며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제2이동레일과,
    상기 제2이동레일로 삽입되어 상기 제2이동레일의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와이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결본체는,
    사각형상의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장착돌기단과,
    상기 연결몸체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끼움돌기단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삽입본체는,
    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촬영수단이 통과하는 제1통과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1끼움공이 형성된 제1연결돌기단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삽입몸체와,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2끼움공이 형성된 제2연결돌기단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제거수단 및 상기 각도제어와이어가 통과하는 제2통과홀 및 제3통과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삽입몸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몸체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통과홀은 상기 제2통과홀을 중심으로 복수개가 상기 제2삽입몸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은,
    상기 이동레일부로 일단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튜브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튜브의 이동 및 일단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가이드튜브 조작부재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내부로 이동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툴과,
    상기 이물질 제거툴과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거툴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툴은 올가미 구조, 집게 구조 중 선택한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로 접근하여 촬영하는 내시경 카메라와,
    상기 내시경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내시경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재와,
    상기 내시경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작업자가 확인하는 모니터부재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20.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이동레일 어셈블리, 이물질 제거수단, 촬영수단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레일가이드부를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공급하여 배치시키는 레일가이드부 배치 단계;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지지대에 설치된 이동레일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이동레일부를 이물질이 위치하는 전열관 다발 상부와 인접하게 이동시키는 이동레일부 이동 단계;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촬영수단을 이동시키는 촬영수단 이동 단계;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수단을 이동시킨 후 상기 촬영수단을 확인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증기발생기의 작업구 및 개구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커브가이드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레일가이드 풀리부와,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에 감기며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 시 상기 커브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공급되어 배치되는 레일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가이드 풀리부는,
    상기 레일가이드부가 감기며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풀리와,
    상기 레일가이드부의 일단이 감기며 상기 제1풀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풀리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가이드부는,
    상기 제1풀리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1연결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1레일가이드와,
    상기 제1레일가이드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2연결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2레일가이드와,
    상기 제2레일가이드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라운드가이드레일이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제3레일가이드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21. 삭제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는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브가이드부는,
    상기 레일가이드 프레임부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제1가이드단과,
    상기 제1가이드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가이드단의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는 제2가이드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단과 상기 제2가이드단의 양측면은 상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가이드레일은,
    사각판재형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1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장착단과,
    상기 제1몸체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끼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1장착단 및 상기 제1끼움단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26.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가이드레일은,
    사각판재형상의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2체결홀이 형성되는 제2장착단과,
    상기 제2몸체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끼움단과,
    상기 제2몸체의 양측면에서 상부로 대응되게 돌출되는 제1절곡단 및 제2절곡단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27.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가이드레일은,
    사각형상의 판재로 중앙부가 하부로 돌출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라운드몸체와,
    상기 라운드몸체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3체결홀이 형성되는 라운드장착단과,
    상기 라운드몸체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는 라운드끼움단과,
    상기 라운드몸체의 양측면에서 상부로 대응되게 돌출되는 제1라운드절곡단 및 제2라운드절곡단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28.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레일가이드부는,
    가이드돌기를 통해 상기 제2연결가이드레일과 상기 라운드가이드레일로 삽입되어 전열관을 지지하는 전열관 지지판의 상부로 이동되어 배치되는 추락방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락방지 플레이트는 얇은 금속재질로 롤 테이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가이드레일과 상기 라운드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추락방지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30. 레일가이드 어셈블리, 이동레일 어셈블리, 이물질 제거수단, 촬영수단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다발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레일가이드부를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공급하여 배치시키는 레일가이드부 배치 단계;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지지대에 설치된 이동레일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이동레일부를 이물질이 위치하는 전열관 다발 상부와 인접하게 이동시키는 이동레일부 이동 단계;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촬영수단을 이동시키는 촬영수단 이동 단계;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수단을 이동시킨 후 상기 촬영수단을 확인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전열관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이동레일 프레임부와,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이동레일 풀리부와,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에 감기며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 시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전열관 다발 상부로 이동되는 이동레일부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 풀리부는,
    상기 이동레일부가 감기며 상기 이동레일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풀리와,
    상기 이동레일부의 일단이 감기며 상기 제2풀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풀리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축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부는,
    상기 제2풀리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연결본체가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체결되는 제1이동레일과,
    상기 제1이동레일과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체결되고 복수개의 삽입본체가 체결수단에 의해 힌지체결되며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제2이동레일과,
    상기 제2이동레일로 삽입되어 상기 제2이동레일의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와이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연결본체는,
    사각형상의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일측 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장착돌기단과,
    상기 연결몸체의 타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끼움돌기단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34.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삽입본체는,
    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촬영수단이 통과하는 제1통과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1끼움공이 형성된 제1연결돌기단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삽입몸체와,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2끼움공이 형성된 제2연결돌기단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제거수단 및 상기 각도제어와이어가 통과하는 제2통과홀 및 제3통과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삽입몸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몸체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통과홀은 상기 제2통과홀을 중심으로 복수개가 상기 제2삽입몸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36.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은,
    상기 이동레일부로 일단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튜브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튜브의 이동 및 일단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가이드튜브 조작부재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내부로 이동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툴과,
    상기 이물질 제거툴과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거툴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툴은 올가미 구조, 집게 구조 중 선택한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38.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상기 이동레일부를 통해 이물질로 접근하여 촬영하는 내시경 카메라와,
    상기 내시경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내시경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재와,
    상기 내시경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작업자가 확인하는 모니터부재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KR1020210110639A 2021-08-23 2021-08-23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KR102537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639A KR102537994B1 (ko) 2021-08-23 2021-08-23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639A KR102537994B1 (ko) 2021-08-23 2021-08-23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057A KR20230030057A (ko) 2023-03-06
KR102537994B1 true KR102537994B1 (ko) 2023-05-31

Family

ID=8550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639A KR102537994B1 (ko) 2021-08-23 2021-08-23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9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732B1 (ko) * 2019-10-29 2021-07-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전열관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2275B2 (ja) * 1996-01-10 1998-07-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発生器内作業装置
KR101937378B1 (ko) * 2016-12-23 2019-04-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282161B1 (ko) * 2019-11-08 2021-07-28 한국원자력연구원 증기발생기 전열관 검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732B1 (ko) * 2019-10-29 2021-07-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전열관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057A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0573B2 (ja) 蒸気発生器2次側管板上部の伝熱管束の肉眼検査および異物除去装置
JP3219745B2 (ja) 蒸気発生器の上側チューブ束の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方法
CA2115109C (en) Automated sludge lance
KR101330006B1 (ko) 열 교환기의 워터 챔버 내에서의 작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5666993B2 (ja) 放射性構造部材の搬送方法
KR102165959B1 (ko) 증기발생기의 관판상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JP2001239462A (ja) 超高圧研磨ウォータジェット切断装置
KR102537994B1 (ko)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US5178820A (en) Tool positioning assembly
KR970003779B1 (ko) 핵연료조립체의 연료봉들을 제거하고 합체시키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
JP5701091B2 (ja) 伝熱管解体装置および伝熱管解体方法
KR101721938B1 (ko) 증기 발생기의 용접부 검사 장치
KR20230065409A (ko)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KR102212469B1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20220136856A (ko)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KR102297974B1 (ko) 증기발생기용 노튜브레인 자동검사로봇
KR200409916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보링장치
KR102487516B1 (ko) 증기발생기 처리 장치
CN111487687A (zh) 蒸汽发生器检查装置
KR20210056138A (ko) 증기발생기 전열관 검사 시스템
CN216768873U (zh) 一种燃料组件检查装置
KR20230154142A (ko)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JP3092619B1 (ja) 液中切断装置
JPH05333193A (ja) 多機能炉内取扱装置
KR200410395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