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856A -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856A
KR20220136856A KR1020210083113A KR20210083113A KR20220136856A KR 20220136856 A KR20220136856 A KR 20220136856A KR 1020210083113 A KR1020210083113 A KR 1020210083113A KR 20210083113 A KR20210083113 A KR 20210083113A KR 20220136856 A KR20220136856 A KR 20220136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discharge
heat transfer
transfer tube
discharge machin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120B1 (ko
Inventor
공현상
이재봉
양유
남상범
남경희
이호성
Original Assignee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705,40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14284A1/en
Priority to CN202210330451.6A priority patent/CN115138893A/zh
Publication of KR20220136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856A/ko
Priority to KR1020230143617A priority patent/KR20230154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5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nuclear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되며, 전열관의 관벽에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방전가공부; 상기 방전가공부와 연결되며 상기 방전가공부를 이동시키는 방전가공이송부; 상기 방전가공부와 연결되며 상기 방전가공부를 전열관의 관벽에 밀착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방전가공부 구동수단; 및 상기 방전가공부를 전열관의 내부에서 전열관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방전가공부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열관의 전체를 절단하지 않고 전열관의 일부분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개구를 가공한 후 개구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절단된 전열관의 끝단 부위가 관지지판에 지지되지 않을 경우 유체유발진동에 의해 인접한 전열관 또는 구조물에 접촉되어 마모 등의 열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Heat transfer tube opening processing apparatus, heat transfer tube opening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foreign matter removal method using heat transfer tube opening}
본 발명은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발전소에 사용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의 관벽에 튜브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개구를 가공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하여 전열관에 개구를 가공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86344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증기발생기는 증기터빈과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장 중요한 핵심기기 중의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기발생기 내부에는 다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전열관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전열관은 방사능을 포함하는 1차 계통수와 터빈을 돌리는 2차 계통수 사이에 열 교환 기능을 제공하며, 1차 계통수와 2차 계통수를 분리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증기의 발생과정을 살펴보면, 원자로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1차 계통수가 관로를 따라 증기발생기 전열관 내부를 흐르고 이 전열관 외부로 공급되는 2차 계통수가 전열관의 외부로 교차하면서 전열관의 관벽을 사이에 두고 1차 계통수와 2차 계통수가 열교환을 통해 1차 계통수는 폐회로의 관로를 따라 다시 원자로로 순환되고 2차 계통수는 증기로 변환된다.
즉, 전열관을 사이로 전열관 내부에는 고온 고압의 방사성 물(1차 계통수)이 흐르고, 외부로는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이 흐르기 때문에 전열관 손상이 있을 경우 전열관 내부를 관통하는 방사성 물(1차 계통수)이 외부로 누설되면서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과 혼합되면서 오염이 되고, 이로 인해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이 증기로 변환되어 공급되는 영역 전체가 방사능 오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전열관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원자력 발전소에 있어 최우선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다.
첨부된 도 1은 이러한 증기발생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증기발생기의 정단면도, 도 3은 증기발생기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증기발생기(10)는 1차계통의 원자로냉각재가 들어오는 입구노즐(1)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열관(3)과, 상기 입구노즐(1)을 통해 들어오는 원자로냉각재를 바깥쪽에 있는 2차계통 냉각수에 열을 전달하는 출구노즐(5) 등으로 구성된다. 전열관(3)은 관판(4) 위에 안치되며, 안치된 전열관(3)은 일정 수직 높이 간격마다 관지지판(6)으로 지지되고, 하단의 관지지판(6)과 관판(4) 사이에는 도너츠판상의 유량분배판(8)을 안치시켜 전열관(3)을 지지하도록 한다. 전열관을 지지하는 다수의 일정 수직 간격의 관지지판(6) 및 전열관(3)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단에 증기배출구(21)를 가지는 래퍼(20)를 결합하고, 래퍼(20)는 물을 외부하우징(2) 내벽을 따라 아래로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은 전열관에 의하여 증기를 발생되어 위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증기발생기는, 1차 계통의 원자로 냉각재는 입구노즐(1)로 들어와서 다수의 전열관(튜브, 3) 안쪽으로 흐르면서 출구노즐(5)을 통과하여 바깥쪽에 있는 2차계통 냉각수에 열을 전달하고 이때 증기가 생성되게 한다.
여기서, 증기발생기(10)에서 원자로 냉각재가 흐르는 부분을 1차측, 급수 및 증기가 흐르는 부분을 2차측이라 한다. 2차계통은 주증기계통, 터빈계통, 복수 및 급수계통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증기발생기(10) 2차측에서 생성된 수증기는 주증기관을 따라 이동하여 터빈을 회전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증기발생기는 수 천 개의 U자형 전열관(3)이 다발형태를 이루면서 전열관 다발 최하부의 관판(Tube Sheet, 4)에 전열관(3) 양단이 고정되고 약 1m 간격으로 전열관 상부까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7단으로 구성된 관지지판(Tube Support Plate, 6)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운전 연수가 지나면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 또는 생성되는 불순물이 전열관(3) 외부표면에 스케일이 되어 열교환력을 저하시키고 전열관(3)과 관지지판(6) 사이에서 슬러지로 침적되어 점차 고형화되면 관지지판(6)과 전열관(3) 사이에 덴팅을 유발하여 전열관(3)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열관(3) 표면의 스케일 제거와 관지지판(6)의 슬러지 제거 및 전열관 다발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의 제거는 증기발생기 효율과 전열관(3) 건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서 기존에는 이물질 부근의 전열관을 절단 및 인출한 후 이물질에 접근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절단된 전열관의 끝단 부위가 관지지판(6)에 의해 지지되지 않을 경우 유체유발진동에 의해 인접구조물(전열관 또는 지지대)과 접촉되어 마모 등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어 전열관을 절단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열관 다발이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기의 전열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전열관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도록 전열관에 개구를 가공하여 열교환기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하여 전열관에 개구를 가공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에 가공된 개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열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되며, 전열관의 관벽에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방전가공부; 상기 방전가공부와 연결되며 상기 방전가공부를 이동시키는 방전가공이송부; 상기 방전가공부와 연결되며 상기 방전가공부를 전열관의 관벽에 밀착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방전가공부 구동수단; 및 상기 방전가공부를 전열관의 내부에서 전열관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방전가공부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전열관의 내부로 상기 전열관의 관벽에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방전가공이송부와 연결된 방전가공부를 삽입하는 방전가공부 삽입단계; 상기 전열관의 내부로 삽입된 방전가공부를 상기 방전가공이송부를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부위로 이동시키는 방전가공부 이동단계; 상기 전열관의 개구 형성 부위로 이동된 상기 방전가공부를 방전가공부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회전시킨 후 방전가공부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전열관의 관벽에 밀착시키는 방전가공부 회전 및 밀착단계; 및 상기 전열관의 관벽에 밀착된 방전가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열관의 관벽에 개구를 형성하는 전열관 개구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전열관의 내부로 이물질 주변 상기 전열관의 관벽에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방전가공이송부와 연결된 방전가공부를 삽입시킨 후 개구를 형성하는 부위로 이동시키는 방전가공부 삽입 및 이동단계; 상기 전열관의 개구 형성 부위로 이동된 상기 방전가공부를 전열관의 관벽에 밀착시킨 후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전열관 개구 가공단계; 이물질 주변의 전열관에 개구를 가공한 방전가공이송부와 연결된 방전가공부를 상기 전열관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시키는 방전가공부 인출단계; 및 개구가 가공된 전열관의 내부로 이물질 제거 툴을 삽입 후 개구를 통해 이물질을 전열관의 내부로 회수 후 전열관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이물질 인출단계를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은 전열관의 전체를 절단하지 않고 전열관의 일부분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개구를 가공한 후 개구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절단된 전열관의 끝단 부위가 관지지판에 지지되지 않을 경우 유체유발진동에 의해 인접한 전열관 또는 구조물에 접촉되어 마모 등의 열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증기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증기발생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증기발생기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열관의 개구 장치르 굴곡진 전열관에 개구를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방전가공부가 전열관에 개구를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방전본체에 일면에 구비되는 방전전극 및 방전전극에 의해 개구가 가공된 전열관의 개구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방전전극의 변형 예 및 변형된 방전전극에 의해 개구가 가공된 전열관의 개구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이물질 제거 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1000)는 방전가공부(1100)와, 방전가공이송부(1200)와, 방전가공부 구동수단(1300)과, 방전가공부 회전수단(1400)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전가공부(1100)는 원자력발전소에 사용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되며, 전열관(10) 다발이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기의 전열관(1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전열관(10)의 관벽에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개구(12)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전가공부(1100)는 하우징(1110)과, 방전본체(1120)와, 작동축(1130)과, 방전액공급부재(1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10)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홀(1112)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10)은 상기 전열관(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전열관(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1110)의 둘레면에는 상기 전열관(10)의 내측벽과 밀착되는 지지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상기 하우징(1110)이 상기 전열관(10)의 내측벽과 이격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는 방전본체(1120)가 구비되며, 상기 방전본체(1120)는 상기 하우징(1110)에 형성된 관통홀(111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열관(10)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일면에는 상기 전열관(10)에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방전전극(1122)이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방전본체(1120)의 일면에는 상기 방전전극(1122)이 구비되는 몸체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방전전극(1122)은 상기 전열관(10)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상기 몸체의 일면 전체에 구비된다. 상기 방전전극(1122)가 구비되는 몸체의 일면 전체가 상기 전열관(10)의 내측벽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방전전극(1122)가 구비되는 몸체와 밀착되는 상기 전열관(10)에 개구(12)가 형성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방전본체(1120)의 일면에는 상기 방전전극(1122)이 구비되는 몸체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방전전극(1122)은 상기 전열관(10)에 밀착되는 상기 몸체의 일면 테두리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방전전극(1122)이 테두리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몸체의 일면이 상기 전열관(10)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방전전극(1122)이 밀착되는 상기 전열관(10)을 선가공하여 개구(12)가 형성되는 상부 개구선(12a)과 하부 개구선(12b)을 가공한다. 상기 전열관(10)에 선가공한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상기 전열관(10)에서 인출 후 전열관(10)의 내부로 별도의 장비인 그립퍼(미도시)를 삽입하여 상부 개구선(12a)과 하부 개구선(12b)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전열관(10)에 개구(12)를 형성하고, 상기 전열관(10)에서 개구(12)를 형성하기 위해 떼어낸 부분은 상기 전열관(10)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는 작동축(1130)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축(1130)은 후술되는 방전가공부 이송수단(1300)에 의해 상기 하우징(1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방전본체(1120)을 상기 관통홀(1112)의 외측으로 이동 또는 상기 관통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축(1130)과 밀착되는 상기 방전본체(1120)의 일면은 상기 작동축(1130)이 상기 하우징(1110)의 길이방향으로 전진하는 방향으로 하향되게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방전본체(1120)의 일면과 밀착되는 상기 작동축(1130)의 일단에는 상기 방전본체(1120)의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경사면(113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축(1130)이 후술되는 방전가공부 이송수단(1300)에 의해 상기 하우징(1110)의 길이방향으로 전진이동함에 따라 방전전극(1122)이 구비되는 몸체를 관통홀(11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작동축(1130)이 상기 하우징(1110)의 길이방향으로 후진이동 시에는 상기 관통홀(11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110)의 외측로 이동된 방전전극(1122)이 구비되는 몸체가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와 방전전극(1122)이 구비되는 몸체는 탄성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연결되어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축(1130)의 후진이동 시 상기 하우징(1110)의 외측로 이동된 방전전극(1122)이 구비되는 몸체가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로 원상복귀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는 방전액공급부재(1140)가 구비되며, 상기 방전액공급부재(1140)는 몸체에 구비되는 방전전극(1122)이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상기 전열관(10)의 관벽에 개구(12)를 형성하도록 방전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전전극(1122)로 방전액을 공급하는 방전액공급부재(1140)가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조 및 상기 방전액공급부재(1140)가 상기 방전전극(1122)에 방전액을 공급하는 구조는 일반적인 것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방전가공부(1100)는 방전가공이송부(1200)와 연결되고,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는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는 제1이송부재(1210)와, 제1관절부재(1220)와, 제2이송부재(1230)와, 제2관절부재(1240)와, 연결케이블(12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이송부재(1210)는 상기 방전가공부(1100)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이송부재(1210)는 제1몸체(1211)와, 복수개의 제1지지링(12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부재(1210)는 상기 제1관절부재(1220)에 의해 상기 방전가공부(11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몸체(1211)는 상기 제1관절부재(1220)에 의해 상기 방전가공부(1100)의 하우징(1110)과 연결되며, 상기 제1몸체(1211)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지지링(1212)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1몸체(1211)에 장착되는 제1지지링(1212)는 상기 제1몸체(12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열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몸체(1211)를 상기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방전가공부(1100)의 후단에는 제2이송부재(1230)가 구비되며, 상기 제2이송부재(1230)는 제2몸체(1231)와, 복수개의 제2지지링(12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이송부재(1230)는 상기 제2관절부재(1240)에 의해 상기 방전가공부(11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작동축(1130)은 후술되는 방전가공부 회전수단(1400)에 의해 상기 제2이송부재(123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몸체(1231)는 상기 제2관절부재(1240) 및 후술되는 방전가공부 회전수단(1400)에 의해 상기 방전가공부(1100)의 작동축(1130)과 연결되며, 상기 제2몸체(1231)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2지지링(1232)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몸체(1231)에 장착되는 제2지지링(1232)는 상기 제2몸체(123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열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몸체(1231)를 상기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방전가공부(11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상기 제1관절부재(1220)와 상기 제2관절부재(124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열관(10)이 직선형태가 아닌 곡선형태를 가지더라도 상기 방전가공부(1100)가 상기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되게 되며, 상기 제1몸체(1211)와 상기 제2몸체(1231)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이송부재(1240)의 일단은 후술되는 방전가공부 회전수단(1400)에 의해 상기 작동축(1130)과 연결되고, 상기 제2이송부재(1240)의 타단은 연결케이블(1250)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케이블(1250)은 상기 제2이송부재(124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이송부재(1240)의 타단과 일단이 연결된 상기 연결케이블(1250)의 타단부를 작업자가 파진한 후 상기 전열관(10)의 내부로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가 상기 전열관(10)의 내부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연결케이블(1250)에 의해 상기 제2이송부재(1240)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이송부재(1240) 역시 상기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방전가공부(1100)는 방전가공부 구동수단(1300)과 연결되며, 상기 방전가공부 구동수단(1300)은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전열관(10)의 관벽에 밀착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방전가공부 구동수단(130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상기 방전가공부(1100)의 방전전극(1122)이 구비되는 상기 방전본체(1120)가 상기 전열관(10)의 관벽에 밀착되어 상기 전열관(10)의 관벽에 개구(12)를 가공하게 된다.
상기 방전가공부 구동수단(1300)은 연결봉(1310)과, 연결봉 전후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봉(1310)의 일단은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에 의해 상기 작동축(1130)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1310)의 타단은 상기 연결봉 전후이동부재(미도시)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봉 전후이동부재(미도시)는 상기 연결봉(1310)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봉 전후이동부재(미도시)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연결봉(1310)이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방전전극(1122)이 구비되는 상기 방전몸체(1120)을 상기 하우징(1110)의 관통홀(1112)을 통해 전열관(10)의 관벽에 밀착되거나 탈착됨에 따라 관벽에 개구(12)를 가공하거나 개구(12)를 가공 후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연결봉(1310)은 상기 연결케이블(125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의 제2이송부재(123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전가공부(1100)는 방전가공부 회전수단(1400)에 의해 상기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방전가공부 회전수단(1400)은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상기 전열관(1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전가공부 회전수단(1400)은 회전수단 구동부재(1410)와, 작동축 연결부재(142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단 구동부재(1410)는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축(113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회전수단 구동부재(1410)는 상기 작동축(1130)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서 상기 방전액공급부재(1140)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상기 작동축 연결부재(1420)는 상기 회전수단 구동부재(1410)와 상기 작동축(1130)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수단 구동부재(1410)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상기 작동축(113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축(1130)이 상기 회전수단 구동부재(1410)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방전가공부(1100)가 상기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에 의해 상기 방전가공부(1100)가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개구(12)를 형성하기 위한 지점으로 이동하고, 상기 방전가공부 회전수단(1400)에 의해 상기 방전가공부(1100)가 전열관(10)의 내부에서 개구(12)를 형성하는 전열관(10)의 내주면으로 회전한 후, 상기 방전가공부 구동수단(1300)에 의해 방전가공부(1100)의 방전본체(1120)가 전열관(10)의 관벽에 밀착되어 방전전극(1122)에 의해 전열관(10)에 개구(12)를 면가공 또는 선가공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은 방전가공부 삽입단계(S10)와, 방전가공부 이동단계(S20)와, 방전가공부 회전 및 밀착단계(S30)와, 전열관 개구 가공단계(S40)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전가공부 삽입단계(S10)는 방전가공부(1100), 방전가공이송부(1200), 방전가공부 구동수단(1300), 방전가공부 회전수단(1400)을 포함하는 전열관 개구 가공장치(1000)의 방전가공부(1100)를 개구(12)를 가공하기 위한 전열관(10)의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이며,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와 연결된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상기 전열관(10)의 내부로 삽입시킴으로써 방전가공부 삽입단계(S10)가 수행되게 된다.
상기 방전가공부(1100)는 하우징(1110)과, 방전본체(1120)와, 작동축(1130)과, 방전액공급부재(1140)를 포함하며,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구성하는 상기 하우징(1100), 상기 방전본체(1120), 작동축(1130), 상기 방전액공급부재(1140)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1000)에서 설명된 바, 중복될 수 있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방전가공부 삽입단계(S10)를 거친 후 방전가공부 이동단계(S20)를 수행하며, 상기 방전가공부 이동단계(S20)는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를 이용하여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상기 전열관(10)의 내부를 통해 개구(12)를 형성하는 부위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는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는 제1이송부재(1210)와, 제1관절부재(1220)와, 제2이송부재(1230)와, 제2관절부재(1240)와, 연결케이블(1250)을 포함하며, 작업자가 상기 연결케이블(1250)을 이용하여 상기 제1이송부재(1210), 제1관절부재(1220), 제2이송부재(1230), 제2관절부재(1240)를 상기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관절부재(1220)와 상기 제2관절부재(1240)에 연결된 상기 방전가공부(1100)가 상기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이동되게 된다. 상기 방전가공부 이동단계(S20)에서는 내시경 장비(미도시)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시경 장비(미도시)를 상기 전열관(10)을 타단을 통해 개구(12)를 형성하기 위한 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전열관(10)의 일단으로 방전가공부(1100)를 삽입한 후 내시경 장비(미도시)가 위치한 지점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정확한 지점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를 구성하는 제1이송부재(1210)와, 제1관절부재(1220)와, 제2이송부재(1230)와, 제2관절부재(1240)와, 연결케이블(1250)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1000)에서 설명된 바, 중복될 수 있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방전가공부 이동단계(S20)를 거친 후 방전가공부 회전 및 밀착단계(S30)를 수행하며, 상기 방전가공부 회전 및 밀착단계(S30)는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에 의해 개구(12)를 가공하는 지점으로 이동된 방전가공부(1100)를 방전가공부 회전수단(1400)를 이동하여 회전시켜 방전본체(1120)를 개구(12)를 가공하기 위한 전열관(10)의 둘레면으로 회전시킨 후 방전가공부 구동수단(1300)를 이용하여 전열관(10)의 관벽에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회전시키는데 이용되는 상기 방전가공부 회전수단(1400)는 회전수단 구동부재(1410)와, 작동축 연결부재(142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단 구동부재(1410)는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축(113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작동축 연결부재(1420)는 상기 회전수단 구동부재(1410)와 상기 방전가공부(1100)의 상기 작동축(1130)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수단 구동부재(1410)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상기 작동축(113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축(1130)이 상기 회전수단 구동부재(1410)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방전가공부(1100)의 작동축(1120)이 회전하면서 방전본체(1120)를 상기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개구(12)를 가공하기 위한 전열관(10)의 관벽으로 밀착시키는데 이용되는 방전가공부 구동수단(1300)은 연결봉(1310)과, 연결봉 전후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봉(1310)의 일단은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에 의해 상기 작동축(1130)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1310)의 타단은 상기 연결봉 전후이동부재(미도시)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봉 전후이동부재(미도시)는 상기 연결봉(1310)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봉 전후이동부재(미도시)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연결봉(1310)이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방전전극(1122)이 구비되는 상기 방전몸체(1120)을 상기 하우징(1110)의 관통홀(1112)을 통해 전열관(10)의 관벽에 밀착되거나 탈착됨에 따라 관벽에 개구(12)를 가공하거나 개구(12)를 가공 후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방전가공부 회전 및 밀착단계(S30)를 거친 후 전열관 개구 가공단계(S40)를 수행하며, 상기 전열관 개구 가공단계(S40)는 상기 전열관(10)의 관벽에 밀착된 상기 방전가공부(1100)의 방전본체(1120)에 구비되는 방전전극(1122)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열관(10)에 개구(12)를 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전전극(1122)의 형태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관(10)을 면가공하여 개구(12)를 형성하거나 상기 전열관(10)을 선가공하여 개구(12)가 형성되는 상부 개구선(12a)과 하부 개구선(12b)을 가공하게 된다. 상기 전열관(10)에 선가공한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상기 전열관(10)에서 인출 후 전열관(10)의 내부로 별도의 장비인 그립퍼(미도시)를 삽입하여 상부 개구선(12a)과 하부 개구선(12b)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전열관(10)에 개구(12)를 형성하고, 상기 전열관(10)에서 개구(12)를 형성하기 위해 떼어낸 부분은 상기 전열관(10)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은 방전가공부 삽입 및 이동단계(S100)와, 전열관 개구 가공단계(S200)와, 방전가공부 인출단계(S300)와, 이물질 제거단계(S400)를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방전가공부 삽입 및 이동단계(S100)는 방전가공부(1100), 방전가공이송부(1200), 방전가공부 구동수단(1300), 방전가공부 회전수단(1400)을 포함하는 전열관 개구 가공장치(1000)의 방전가공부(1100)를 개구(12)를 가공하기 위한 전열관(10)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이동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와 연결된 상기 방전가공부(1100)를 상기 전열관(10)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방전가공이송부(1200)를 이용하여 방전가공부(1100)를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방전가공부(1100)와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의 구성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1000)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 중복될 수 있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방전가공 삽입 및 이동단계(S100)를 거친 후 전열관 개구 가공단계(S200)를 수행하며, 상기 전열관 개구 가공단계(S200)는 상기 전열관(10)의 관벽에 밀착된 상기 방전가공부(1100)의 방전본체(1120)에 구비되는 방전전극(1122)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열관(10)에 개구(12)를 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열관 개구 가공단계(S200)를 수행하기 전에 방전가공부 회전 및 밀착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전가공부 회전 및 밀착단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의 방전가공부 회전 및 밀착단계(S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열관 개구 가공단계(S200)를 거친 후 방전가공부 인출단계(S300)를 수행하며, 상기 방전가공부 인출단계(S300)는 개구(12)를 가공하기 위해 상기 전열관(10)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방전가공부(1100), 상기 방전가공부(1100)와 연결된 방전가공이송부(1200)를 상기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방전가공부 인출단계(S300)는 작업자가 상기 방전가공이송부(1200)의 연결케이블(1250)을 상기 전열관(10)의 외부로 인출시킴으로써 상기 연결케이블(1250)과 연결된 상기 방전가공부(1100)가 상기 전열관(10)의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상기 방전가공부 인출단계(S300)를 거친 후 이물질 제거단계(S400)를 수행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S400)는 이물질 제거 툴(20)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전열관(10)의 내부로 회수 후 회수된 이물질을 전열관(10)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방전가공부 인출단계(S300)를 거친 후 이물질을 회수하는데 이용되는 이물질 제거 툴(100)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이물질 제거 툴(100)은 상기 전열관(10)의 내부로 삽입하여 개구(12)를 통해 전열관(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전열관(10)의 내부로 회수 후 상기 전열관(10)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이물질 제거 툴(100)은 파지집게(110)와, 이동축(120)와, 조작손잡이(130)을 포함하며, 카메라(미도시)와, 모니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집게(110)는 상기 전열관(10)의 개구(12)를 통해 상기 전열관(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파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파지집게(110)는 이동축(120)과 연결되어 상기 전열관(10)의 내부에서 이동되게 된다. 상기 파지집게(110)은 조작손잡이(130)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조작손잡이(13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동축(120)을 이동 및 상기 파지집게(110)를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파지집게(110)에는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미도시)는 상기 파지집게(110)가 이동되는 방향의 영상 및 상기 파지집게(110)가 파지할 이물질의 영상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메라(미도시)가 촬영한 영상은 모니터(미도시)로 전송되며, 작업자는 상기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상기 카메라(미도시)가 촬여한 영상을 확인하면서 개구(12)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전열관(10)의 전체를 절단하지 않고 전열관(10)의 일부분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개구(12)를 가공한 후 가공된 개구(12)를 통해 전열관(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절단된 전열관(10)의 끝단 부위가 관지지판(미도시)에 지지되지 않을 경우 유체유발진동에 의해 인접한 전열관(10) 또는 구조물에 접촉되어 마모 등의 열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1100 : 방전가공부
1110 : 하우징 1120 : 방전본체
1130 : 작동축 1140 : 방전액공급부재
1200 : 방전가공이송부 1210 : 제1이송부재
1220 : 제1관절부재 1230 : 제2이송부재
1240 : 제2관절부재 1250 : 연결케이블
1300 : 방전가공부 구동수단 1400 : 방전가공부 회전수단

Claims (21)

  1. 전열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되며, 전열관의 관벽에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방전가공부;
    상기 방전가공부와 연결되며 상기 방전가공부를 이동시키는 방전가공이송부;
    상기 방전가공부와 연결되며 상기 방전가공부를 전열관의 관벽에 밀착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방전가공부 구동수단; 및
    상기 방전가공부를 전열관의 내부에서 전열관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방전가공부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공부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열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전열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상기 전열관에 밀착되는 일면에는 방전전극이 구비되는 방전본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방전가공부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전본체를 상기 관통홀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방전전극에 방전액을 공급하는 방전액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과 밀착되는 상기 방전본체의 일면은 상기 작동축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하향되게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방전본체의 일면과 밀착되는 상기 작동축의 일단에는 상기 방전본체의 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전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방전전극이 구비되는 몸체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방전전극은 상기 전열관에 밀착되는 상기 몸체의 일면 전체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관을 면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전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방전전극이 구비되는 몸체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방전전극은 상기 전열관에 밀착되는 상기 몸체의 일면 테두리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전열관에 선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공이송부는,
    상기 방전가공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제1이송부재와,
    상기 제1이송부재와 상기 방전가공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관절부재와,
    상기 방전가공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제2이송부재와,
    상기 제2이송부재와 상기 방전가공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관절부재와,
    상기 제2이송부재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재는,
    상기 제1관절부재에 의해 상기 방전가공부와 연결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열관에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이송부재는,
    상기 제2관절부재에 의해 상기 방전가공부와 연결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열관에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링을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공부 구동수단은,
    상기 방전가공이송부에 의해 상기 작동축과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봉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연결봉 전후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공부 회전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수단 구동부재와,
    상기 회전수단 구동부재와 상기 작동축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수단 구동부재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상기 작동축으로 전달하는 작동축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10. 전열관의 내부로 상기 전열관의 관벽에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방전가공이송부와 연결된 방전가공부를 삽입하는 방전가공부 삽입단계;
    상기 전열관의 내부로 삽입된 방전가공부를 상기 방전가공이송부를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부위로 이동시키는 방전가공부 이동단계;
    상기 전열관의 개구 형성 부위로 이동된 상기 방전가공부를 방전가공부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회전시킨 후 방전가공부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전열관의 관벽에 밀착시키는 방전가공부 회전 및 밀착단계; 및
    상기 전열관의 관벽에 밀착된 방전가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열관의 관벽에 개구를 형성하는 전열관 개구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공부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열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전열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상기 전열관에 밀착되는 일면에는 방전전극이 구비되는 방전본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방전가공부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전본체를 상기 관통홀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방전전극에 방전액을 공급하는 방전액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과 밀착되는 상기 방전본체의 일면은 상기 작동축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하향되게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방전본체의 일면과 밀착되는 상기 작동축의 일단에는 상기 방전본체의 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방전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방전전극이 구비되는 몸체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방전전극은 상기 전열관에 밀착되는 상기 몸체의 일면 전체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관을 면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방전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방전전극이 구비되는 몸체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방전전극은 상기 전열관에 밀착되는 상기 몸체의 일면 테두리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전열관에 선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공이송부는,
    상기 방전가공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제1이송부재와,
    상기 제1이송부재와 상기 방전가공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관절부재와,
    상기 방전가공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제2이송부재와,
    상기 제2이송부재와 상기 방전가공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관절부재와,
    상기 제2이송부재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재는,
    상기 제1관절부재에 의해 상기 방전가공부와 연결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열관에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이송부재는,
    상기 제2관절부재에 의해 상기 방전가공부와 연결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열관에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링을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공부 구동수단은,
    상기 방전가공이송부에 의해 상기 작동축과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봉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연결봉 전후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공부 회전수단은,
    상기 연결봉의 둘레면과 밀착되는 연결봉 밀착부재와,
    상기 연결봉 밀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봉 밀착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연결봉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19. 전열관의 내부로 이물질 주변 상기 전열관의 관벽에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방전가공이송부와 연결된 방전가공부를 삽입시킨 후 개구를 형성하는 부위로 이동시키는 방전가공부 삽입 및 이동단계;
    상기 전열관의 개구 형성 부위로 이동된 상기 방전가공부를 전열관의 관벽에 밀착시킨 후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전열관 개구 가공단계;
    이물질 주변의 전열관에 개구를 가공한 방전가공이송부와 연결된 방전가공부를 상기 전열관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시키는 방전가공부 인출단계; 및
    개구가 가공된 전열관의 내부로 이물질 제거 툴을 삽입 후 개구를 통해 이물질을 전열관의 내부로 회수 후 전열관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이물질 인출단계를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툴은,
    이물질을 파지하는 파지집게와,
    상기 파지집게와 연결되며 상기 파지집게를 이동시키는 이동축과,
    상기 파지집게와 연결되며 상기 파지집게가 이물질을 파지하도록 상기 파지집게를 회동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작손잡이를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툴은,
    상기 파지집게에 구비되어 상기 파지집게가 이동되는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작업자가 확인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KR1020210083113A 2021-03-31 2021-06-25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KR102596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05,402 US20220314284A1 (en) 2021-03-31 2022-03-28 Opening maching apparatus for heat transfer tube, method of forming opening in tube wall of heat transfer tube using same, and method of removing foreign material through same opening of same heat transfer tube
CN202210330451.6A CN115138893A (zh) 2021-03-31 2022-03-31 开口加工设备、形成开口的方法以及移除异物的方法
KR1020230143617A KR20230154142A (ko) 2021-03-31 2023-10-25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2040 2021-03-31
KR1020210042040 2021-03-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3617A Division KR20230154142A (ko) 2021-03-31 2023-10-25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856A true KR20220136856A (ko) 2022-10-11
KR102596120B1 KR102596120B1 (ko) 2023-11-02

Family

ID=8359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113A KR102596120B1 (ko) 2021-03-31 2021-06-25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648B1 (ko) * 2022-12-29 2023-05-04 한국원자력로봇 유한책임회사 새로운 증기발생기 전열관용 굴절형 방전가공 절개 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702A (ja) * 1995-02-23 1996-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のu字形伝熱管試料採取装置及び方法
JPH102988A (ja) * 1996-06-17 1998-01-06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伝熱管のサンプル採取装置
KR200420038Y1 (ko) * 2006-04-11 2006-07-03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에 사용되는 이물질 제거용 원격제어 엔드이펙터 장치
JP2015107538A (ja) * 2013-12-04 2015-06-11 株式会社神戸工業試験場 狭隘部サンプル採取ヘッド、狭隘部サンプル採取方法および余寿命診断方法
KR101648439B1 (ko) * 2015-06-10 2016-08-16 이노스웰(주) 전열관의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702A (ja) * 1995-02-23 1996-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のu字形伝熱管試料採取装置及び方法
JPH102988A (ja) * 1996-06-17 1998-01-06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伝熱管のサンプル採取装置
KR200420038Y1 (ko) * 2006-04-11 2006-07-03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에 사용되는 이물질 제거용 원격제어 엔드이펙터 장치
JP2015107538A (ja) * 2013-12-04 2015-06-11 株式会社神戸工業試験場 狭隘部サンプル採取ヘッド、狭隘部サンプル採取方法および余寿命診断方法
KR101648439B1 (ko) * 2015-06-10 2016-08-16 이노스웰(주) 전열관의 절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648B1 (ko) * 2022-12-29 2023-05-04 한국원자력로봇 유한책임회사 새로운 증기발생기 전열관용 굴절형 방전가공 절개 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120B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6856A (ko)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US4645581A (en) Apparatus for electropolishing the inner surface of U-shaped heat exchanger tubes
WO2012173132A1 (ja) 放射線遮蔽方法及び装置並びに構造体の処理方法
KR200420038Y1 (ko) 증기발생기에 사용되는 이물질 제거용 원격제어 엔드이펙터 장치
KR101329535B1 (ko) 열 교환기의 워터 챔버의 파티션판 및 튜브판 사이의적어도 하나의 접속 영역의 보수 방법
US482964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loading a reinforcing sleeve and mandrel into a tube
JP7005617B2 (ja) 原子力発電所の蒸気発生器または熱交換器を分解するための方法
KR102084075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용 이물질 촬영 및 제거기
JPH0365879B2 (ko)
KR20230154142A (ko) 전열관의 개구 가공장치, 이를 이용한 전열관의 개구 가공방법 및 전열관의 개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CA2766459A1 (en) Calandria tube, pressure tube, and annulus spacers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for nuclear reactor retubing
JP3895290B2 (ja) インレットミキサーのインサイチュ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
US4374462A (en) Decontamination apparatus
JP2013011494A (ja) 浸透探傷試験装置及び方法
EP0027388B1 (en) Deconta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431175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보링장치
KR102575698B1 (ko)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KR200409916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보링장치
KR200431176Y1 (ko) 고정판 상단부위의 전열관 내경 절단장치
JP5893833B2 (ja) 伝熱管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KR860000667A (ko) 원자로 안내관의 분할핀 어셈블리 교체장치
KR20230030057A (ko)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US200900601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shutting off an orifice of a bundle wrapper of a steam generator of a pressurized-water nuclear reactor
KR200410395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인출장치
KR102487516B1 (ko) 증기발생기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