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792B1 - 차량용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792B1
KR102537792B1 KR1020210087707A KR20210087707A KR102537792B1 KR 102537792 B1 KR102537792 B1 KR 102537792B1 KR 1020210087707 A KR1020210087707 A KR 1020210087707A KR 20210087707 A KR20210087707 A KR 20210087707A KR 102537792 B1 KR102537792 B1 KR 102537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ing member
vehicle
passage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582A (ko
Inventor
박해주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7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7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0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토출시키는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갭이 형성된 복수의 윙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갭은 일 영역에서 압력이 감소하면서 와류가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윙부재가 공조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토출시키는 유로를 폐쇄하는 경우 갭의 일 영역에서 와류가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토출시키는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에어컨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컨을 통해 공조된 공기의 토출량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벤트 장치가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차량에는 계기판, 오디오장치 및 글로브박스 등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구비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상기 에어컨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벤트 장치는 상기 송풍구에 설치되어서 공조된 공기의 토출량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는 후석 탑승자를 위하여 콘솔에 상기 에어벤트 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벤트 장치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복수의 윙이 회전되어 공조된 공기의 토출량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공기의 토출을 원하지 않을 시엔 상기 복수의 윙으로 토출구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벤트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공조된 공기의 토출량 및 방향을 조절하는 윙부재(10)가 복수로 구비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윙부재(1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서로 겹쳐지면 공기의 토출을 차단할 수 있는 닫힘 상태가 된다.
하지만, 종래의 에어벤트 장치는 상기 복수의 윙부재(10)가 닫힘 상태에서 윙부재(10) 사이의 갭(20)을 통하여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누기되는 문제가 있고, 이때 휘슬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윙부재(10)를 닫을 시에도 윙부재(10)들이 서로 부딪치며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윙부재가 공조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토출시키는 유로를 폐쇄하는 경우 윙부재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윙부재가 공조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토출시키는 유로를 폐쇄하는 경우 윙부재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되는 경우에도 유속을 감소시켜 휘슬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윙부재가 공조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토출시키는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윙부재 간의 충돌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갭이 형성된 복수의 윙부재;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갭은, 일 영역에서 압력이 감소하면서 와류가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갭은,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유입유로;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되고, 공기 유동방향에 대한 단면적이 확장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감소하면서 서로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형성로; 및 상기 와류형성로와 연결되고,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갭은,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돌출되게 굴곡 형성되며, 상기 와류형성로와 교대로 형성된 굴곡유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유입유로보다 공기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굴곡유로는, 상기 유입유로와 상기 토출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보다는 공기 유동방향에 대한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윙부재는, 일면에서 삽입 형성된 오목부; 상기 오목부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제1 플랜지부; 타면에서 삽입 형성되고, 이웃하는 윙부재의 오목부와 함께 와류가 형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홈부; 및 타면에서 상기 홈부와 연속되고, 이웃하는 윙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마주보게 돌출 형성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윙부재는, 이웃하는 윙부재의 홈부에 수용되게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갭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와 교대로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갭은, 상기 윙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이웃하는 윙부재의 제2 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된 유입유로; 상기 윙부재의 오목부와 이웃하는 윙부재의 홈부에 의해 형성된 와류형성로; 및 상기 와류형성로와 연결되고, 상기 윙부재와 이웃하는 윙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갭은, 상기 윙부재의 돌기부와 이웃하는 윙부재의 홈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와류형성로와 교대로 형성된 굴곡유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은, 유선형으로 서로 연장되게 굴곡 형성되고,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된 윙부재와 충돌한 공기와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윙부재는, 상기 제1 플랜지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윙부재의 제2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갭을 유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는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윙부재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윙부재와 접촉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윙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부; 이웃하는 윙부재의 타면에 삽입 형성된 홈부와 함께 와류가 형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이웃하는 윙부재의 타면에서 상기 홈부와 연속되면서 돌출 형성된 제2 플랜지부와 면 접촉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는, 이웃하는 윙부재의 타면에 삽입 형성된 홈부에 수용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갭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와 교대로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은, 유선형으로 서로 연속하여 굴곡 형성되고,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에 따르면, 윙부재가 공조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토출시키는 유로를 폐쇄하는 경우 윙부재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변경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윙부재가 공조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토출시키는 유로를 폐쇄하는 경우 윙부재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되는 경우에도 압력 감소 구간을 형성하여 유속을 감소시켜 휘슬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윙부재가 공조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토출시키는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윙부재 간의 충돌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는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윙부재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에 의해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의 윙부재에 의해 형성된 갭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윙부재에 돌기부가 추가로 형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의 윙부재에서 돌기부가 형성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 갭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의 윙부재에 지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의 윙부재에 지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실링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실링부에 돌기부가 추가로 형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윙부재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차량용 에어벤트에 의해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차량용 에어벤트의 윙부재에 의해 형성된 갭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윙부재에 돌기부가 추가로 형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윙부재에서 돌기부가 형성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 갭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윙부재에 지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상기 윙부재에 지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는 상기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실링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12는 상기 실링부에 돌기부가 추가로 형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100)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120)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기 유로(120)를 개폐하는 복수의 윙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윙부재(200)는 노브(101)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노브(101)를 이동시키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윙부재(200)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윙부재(200)는 링크(미도시) 등으로 연결되어 있어 서로 연결되어 있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윙부재(200)가 회전하기 위한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이얼 방식, 전동 방식 등 상기 윙부재(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차량에 구비된 공기조화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조화장치에 의해 발생한 온풍 또는 냉풍이 상기 유로(120)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상기 윙부재(20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기 유로(120)를 개폐하고, 상기 유로(12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갭(40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갭(400)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변경하거나 일 영역에서 와류가 형성되게 하고, 유속을 감소시키도록 압력 감소 구간을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윙부재(200)가 상기 유로(12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도 복수의 상기 윙부재(200)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갭(400)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윙부재(200)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갭(400)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는 있지만, 상기 갭(400)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변경하거나 일 영역에서 와류가 형성되게 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갭(400) 내에서 압력 감소 구간을 형성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켜 휘슬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윙부재(200)는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전축(210)과, 일면에서 삽입 형성된 오목부(260)와, 상기 오목부(260)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제1 플랜지부(230)와, 타면에서 삽입 형성되고 이웃하는 윙부재의 오목부(260)와 함께 와류가 형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홈부(240), 그리고 타면에서 상기 홈부(240)와 연속되고 이웃하는 윙부재의 제1 플랜지부(230)와 마주보게 돌출 형성된 제2 플랜지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갭(400)은 상기 윙부재(200)의 제1 플랜지부(230)와 이웃하는 윙부재의 제2 플랜지부(250)에 의해 형성된 유입유로(410)와, 상기 윙부재(200)의 오목부(260)와 이웃하는 윙부재의 홈부(240)에 의해 형성된 와류형성로(440), 그리고 상기 와류형성로(440)와 연결되고 상기 윙부재(200)와 이웃하는 윙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유로(4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410)는 상기 제1 플랜지부(230)와 상기 제2 플랜지부(250)가 마주보며 이격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유로(410)는 일 예로 상기 유로(12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F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입유로(410)가 형성되면, 상기 유입유로(410)로 유입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상기 유입유로(410)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로(440)는 상기 오목부(260)와 상기 홈부(240)가 마주보며 이격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류형성로(4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유로(410)와 연결되고, 공기 유동방향에 대한 단면적이 확장되면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감소하면서 서로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상기 와류형성로(440)는 상기 유입유로(410)와 상기 토출유로(43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입유로(410)와 상기 토출유로(430)의 공기 유동 단면적보다 급격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와류형성로(440)에 유입된 공기가 혼류하면서 서로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게 되어 상기 토출유로(430)로 배출되는 공기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유입유로(41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윙부재(200)는 이웃하는 윙부재의 홈부(240)에 수용되게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갭(400)을 형성하는 돌기부(2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260)와 교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부(220)와 상기 오목부(260)가 교대로 형성되면, 상기 오목부(260)는 개별 공간으로 구획된 상기 와류형성로(440)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와류형성로(440)의 크기가 감소하여 와류가 더 잘 발생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유입유로(410)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갭(400)은 상기 윙부재(200)의 돌기부(220)와 이웃하는 윙부재의 홈부(24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와류형성로(440)와 교대로 형성된 굴곡유로(42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곡유로(420)는 상기 돌기부(220)와 상기 홈부(240)가 마주보며 이격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굴곡유로(420)는 상기 유입유로(410)와 연결되고, 상기 유로(12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F1)으로 돌출되게 굴곡 형성된다. 즉, 상기 굴곡유로(420)는 상기 유입유로(41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 후 반원 형태로 굴곡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굴곡유로(420)가 형성되면, 상기 유입유로(410)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차단벽 역할을 하게 되어 상기 유입유로(410)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류형성로(440)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와류형성로(440)에서 더 큰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와류형성로(440)로의 공기 유입되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굴곡유로(420)가 반원 형태로 굴곡된 부분에서 압력 감소 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굴곡유로(42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압력 감소 구간은 상기 돌기부(220)의 최고점에서 상기 토출유로(430)로 이어지는 구간이다. 이를 통하여, 공기의 유속이 감소하게 되므로 휘슬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430)는 상기 윙부재(200)와 이웃하는 윙부재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굴곡유로(420)를 통과한 공기가 차량의 실내 방향으로 배출되는 유로이다.
여기서, 상기 토출유로(430)는 상기 유입유로보다 공기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유로(410)와 상기 토출유로(4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윙부재(200)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유입유로(410)와 상기 토출유로(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복수의 상기 윙부재(200)의 배치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입유로(410)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한 단면적인 유입유동 단면적(411)과, 상기 굴곡유로(420)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한 단면적인 굴곡유동 단면적(421), 그리고 상기 토출유로(430)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한 단면적인 토출유동 단면적(431)이 모두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굴곡유동 단면적(421)은 상기 유입유동 단면적(411)과 토출유동 단면적(43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굴곡유동 단면적(421)이 상기 유입유동 단면적(411)보다 작아지게 되면 상기 굴곡유동 단면적(421)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하게 되고, 상기 토출유동 단면적(431)이 상기 굴곡유동 단면적(421)보다 커지게 되면 압력이 저하되면서 유동 속도가 감소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유동 단면적(431)이 상기 유입유동 단면적(411)보다 더 크게 형성되면 상기 토출유로(430)에서 추가적으로 압력이 더 저하되면서 유동 속도가 더 감소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부(230)의 외주면(231)과 상기 제2 플랜지부(250)의 외주면(251)은 유선형으로 서로 연장되게 굴곡 형성되고, 상기 유로(12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F1)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형태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랜지부(230)의 외주면(231)과 상기 제2 플랜지부(250)의 외주면(251)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F3)는 상기 제2 플랜지부(250)가 형성된 윙부재(200)와 충돌한 공기(F2)와 혼합하여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유입유로(410) 전방에서 와류를 형성하게 되어 상기 제1 플랜지부(230)와 상기 제2 플랜지부(250)의 사이인 상기 유입유로(410)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윙부재(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랜지부(230)에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윙부재의 제2 플랜지부(250)와 접촉하여 상기 갭(400)을 유지하는 지지부(2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70)는 탄성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제2 플랜지부(250)와 탄성 접촉하여 접촉 소음이 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플랜지부(250)와의 충돌력 또한 감소시켜 충돌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부(2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이웃하는 윙부재와 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지지부(2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랜지부(23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이웃하는 윙부재와 선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270)가 이웃하는 윙부재의 제2 플랜지부(250)와 선접촉하게 되면 상기 갭(40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우선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벤트(100)는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윙부재(20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윙부재와 접촉하는 실링부(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30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윙부재의 제2 플랜지부(250)와 면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갭(40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우선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링부(300)는 상기 윙부재(200)에 체결되는 체결부(310)와, 이웃하는 윙부재의 타면에 삽입 형성된 홈부(240)와 함께 와류가 형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340), 그리고 상기 오목부(340)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이웃하는 윙부재의 타면에서 상기 홈부(240)와 연속되면서 돌출 형성된 제2 플랜지부(250)와 면 접촉하는 제1 플랜지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실링부(300)는 상기 윙부재(200)에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거나, 사출성형으로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 윙부재(200)에 추가로 체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3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윙부재의 타면에 삽입 형성된 홈부(240)에 수용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갭(400)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340)와 교대로 형성된 돌기부(3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부(320)와 상기 오목부(340)가 교대로 형성되면, 상기 오목부(340)는 개별 공간으로 구획된 와류형성로(440)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와류형성로(440)의 크기가 감소하여 와류가 더 잘 발생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실링부(300)의 제1 플랜지부(330)와 상기 제2 플랜지부(250)의 접촉 불량 또는 누기 등으로 인하여 상기 갭(400)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상기 제1 플랜지부(330)와 상기 제2 플랜지부(250)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300)의 제1 플랜지부(330)의 외주면(331)과 상기 제2 플랜지부(250)의 외주면(251)은 유선형으로 서로 연속하여 굴곡 형성되고, 상기 유로(12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F1)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형태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300)의 제1 플랜지부(330)의 외주면(331)과 상기 제2 플랜지부(250)의 외주면(251)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F3)는 상기 제2 플랜지부(250)가 형성된 윙부재와 충돌한 공기(F2)와 혼합하여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실링부(300)의 제1 플랜지부(330)와 상기 제2 플랜지부(250)의 접촉 불량 또는 누기 등으로 인하여 상기 갭(400)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상기 제1 플랜지부(330)와 상기 제2 플랜지부(250)의 전방에서 와류가 형성되므로 상기 제1 플랜지부(330)와 상기 제2 플랜지부(250)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차량용 에어벤트 110 : 하우징
120 : 유로 200 : 윙부재
210 : 회전축 220 : 돌기부
230 : 제1 플랜지부 240 : 홈부
250 : 제2 플랜지부 260 : 오목부
270 : 지지부 300 : 실링부
310 : 체결부 320 : 돌기부
330 : 제1 플랜지부 340 : 오목부
400 : 갭 410 : 유입유로
411 : 유입유동 단면적 420 : 굴곡유로
421 : 굴곡유동 단면적 430 : 토출유로
431 : 토출유동 단면적 440 : 와류형성로

Claims (15)

  1.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갭이 형성된 복수의 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갭은,
    일 영역에서 압력이 감소하면서 와류가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기 윙부재는,
    일면에서 삽입 형성된 오목부;
    상기 오목부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제1 플랜지부;
    타면에서 삽입 형성되고, 이웃하는 윙부재의 오목부와 함께 와류가 형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홈부; 및
    타면에서 상기 홈부와 연속되고, 이웃하는 윙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마주보게 돌출 형성된 제2 플랜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유입유로;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되고, 공기 유동방향에 대한 단면적이 확장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감소하면서 서로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형성로; 및
    상기 와류형성로와 연결되고,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돌출되게 굴곡 형성되며, 상기 와류형성로와 교대로 형성된 굴곡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유입유로보다 공기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유로는,
    상기 유입유로와 상기 토출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보다는 공기 유동방향에 대한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부재는,
    이웃하는 윙부재의 홈부에 수용되게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갭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와 교대로 형성된 돌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윙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이웃하는 윙부재의 제2 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된 유입유로;
    상기 윙부재의 오목부와 이웃하는 윙부재의 홈부에 의해 형성된 와류형성로; 및
    상기 와류형성로와 연결되고, 상기 윙부재와 이웃하는 윙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윙부재의 돌기부와 이웃하는 윙부재의 홈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와류형성로와 교대로 형성된 굴곡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은,
    유선형으로 서로 연장되게 굴곡 형성되고,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된 윙부재와 충돌한 공기와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부재는,
    상기 제1 플랜지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윙부재의 제2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갭을 유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13. 제1항에 있어서,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윙부재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윙부재와 접촉하는 실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윙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부;
    이웃하는 윙부재의 타면에 삽입 형성된 홈부와 함께 와류가 형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이웃하는 윙부재의 타면에서 상기 홈부와 연속되면서 돌출 형성된 제2 플랜지부와 면 접촉하는 제1 플랜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이웃하는 윙부재의 타면에 삽입 형성된 홈부에 수용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갭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와 교대로 형성된 돌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KR1020210087707A 2021-07-05 2021-07-05 차량용 에어벤트 KR102537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707A KR102537792B1 (ko) 2021-07-05 2021-07-05 차량용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707A KR102537792B1 (ko) 2021-07-05 2021-07-05 차량용 에어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582A KR20230007582A (ko) 2023-01-13
KR102537792B1 true KR102537792B1 (ko) 2023-06-01

Family

ID=8490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707A KR102537792B1 (ko) 2021-07-05 2021-07-05 차량용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7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1061A2 (fr) * 2007-12-20 2009-07-02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Aérateur pour habitacle de véhicule automobile et tableau de bord équipé d'un tel aérateu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207B1 (ko) * 2011-07-05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1061A2 (fr) * 2007-12-20 2009-07-02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Aérateur pour habitacle de véhicule automobile et tableau de bord équipé d'un tel aérat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582A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0339B2 (en) Aerodynamic sound decreasing apparatus
US6821088B2 (en) Centrifugal blower having noise-reduction structure
US6478671B2 (en) Air-conditioning system
JP7163567B2 (ja) 送風装置
KR890002921B1 (ko) 흐름방향 제어 장치
KR20140141650A (ko) 공기 통로 개폐 장치
US6588495B2 (en)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vehicle air-conditioner
US20050202773A1 (en) Air flow device for a motor vehicle
EP3715730A1 (en)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KR102537792B1 (ko) 차량용 에어벤트
JP6460949B2 (ja) 空調装置用ドア
JP6444627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036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
KR20230007581A (ko) 차량용 에어벤트
CN210591298U (zh) 一种通风孔
JP4933219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4378869B2 (ja) 遠心式送風機
JP2006151068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CN220524220U (zh) 空调器
CN111823825A (zh) 通风孔
CN220524218U (zh) 空调器
JP4866643B2 (ja) デフロスタ用送風ダクト
JP2002022256A (ja) 空気調和機の風向制御板
CN220524219U (zh) 空调器
JP6639605B2 (ja) 空調装置用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