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705B1 - Height limit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eight limit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705B1
KR102537705B1 KR1020210174323A KR20210174323A KR102537705B1 KR 102537705 B1 KR102537705 B1 KR 102537705B1 KR 1020210174323 A KR1020210174323 A KR 1020210174323A KR 20210174323 A KR20210174323 A KR 20210174323A KR 102537705 B1 KR102537705 B1 KR 102537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vehicle
unit
entr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인자
Original Assignee
박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자 filed Critical 박인자
Priority to KR102021017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7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7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차량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차량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되어, 설정된 높이를 초과한 차량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높이 제한부(100); 차량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높이 제한부(100) 측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 값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높이 감지부(200); 를 포함하는 차량 진입 제한 시스템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ntry limiting system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s, and is disposed in the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physically blocking the vehicle exceeding the set height; a height detecting unit 200 disposed in a moving path of the vehicle and measuring a height value of a vehicle entering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in real time; A vehicle entry restriction system comprising a.

Description

차량 진입 제한 시스템{Height limit system for vehicle}Vehicle entry limit system {Height limit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도로의 일부 구간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제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stricting the entry of vehicles into a section of a road.

특허문헌 001은 설치대; 상단부가 설치대에 고정되고, 차량이 진입하는 정면에 진입 제한 표시가 있으며, 제한 차량 진입시에는 설치대로부터 하측으로 펼쳐지고, 제한 차량이 진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측으로 접혀 올라가는 스크린; 스크린이 하측으로 펼쳐질 때는 스크린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스크린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스크린이 상측으로 접혀 올라갈 때는 연결되어 스크린을 상승시키는 승하강 구동장치; 를 포함하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1 is a mount; The upper part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table, there is an entry restriction sign on the front side where the vehicle enters, and when the restricted vehicle enters, the screen is unfolded downward from the installation table, and when the restricted vehicle does not enter, the screen is folded upward; When the screen is unfolded downward, the connection with the screen is released so that the screen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and when the screen is folded upward, it is connected to raise the screen; A technology related to a vehicle passing height limit display device including a is proposed.

특허문헌 002는 구조물로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 구조물과 지상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통과높이를 검출하는 센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차량높이를 계산하며,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센서의 통과높이와 계산된 차량높이를 대비하여 차량이 구조물로의 진입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제어부에서 판단된 진입가능 여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통과높이 제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2 i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a structure; A sensor detecting a passing height by detecting a distance between a structure and the ground; A controller that calculates the vehicle height of the vehicle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recognizes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can enter the structure by comparing the passing height of the sensor and the calculated vehicle height; a display unit that outputs whether entry is possibl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It proposes a technology related to a system for limiting the passing height of a vehicle including a.

특허문헌 003은 터널로 진입하는 도로에 거리를 두고 기초 콘크리트가 설치되는 한편, 기초 콘크리트에 높이 제한틀이 설치되고 높이 제한틀의 수평부 하부에 감지기 연결구로 섬유강화플라스틱 감지기가 고정되어 차량의 높이가 감지되도록 설치된 높이제한장치; 터널의 입구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로 설치된 사각문; 터널로 통행하려는 차량의 높이가 과다하게 측정된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를 발할 수 있도록 사각문의 상부에 설치되고, 높이제한장치의 높이 제한틀의 내측으로 관통홀을 관통하여 감지 케이블로 연결되는 한편, 일측 전방면 길이방향의 중앙과 양측에 각각 반사 감지판과 경고등이 설치된 감지틀 박스; 로 구성된 박스형 터널 도로의 차량 높이제한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In Patent Document 003, foundation concrete is installed at a distance on the road entering the tunnel, while a height limiting frame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concrete, and a fiber-reinforced plastic sensor is fixed to the lower horizontal part of the height limiting frame with a sensor connector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vehicle. a height limiting device installed to detect; A square door installed as a concrete structure to protrude outward at the entrance of the tunnel;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quare door to give a warning to the driver when the height of the vehicle to pass through the tunnel is excessively measured, and is connected to the sensing cable through the through-hole to the inside of the height limiting frame of the height limiting device. A sensing frame box in which a reflective sensing plate and a warning light are installed at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 technology for vehicle height limiting devices for box-shaped tunnel roads composed of is presented.

특허문헌 004는 지면에 고정된 지주에 설치되는 지지 브래킷; 지지 브래킷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차단 바; 지지 브래킷과 차단 바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압축 스프링; 양단이 각각 지주와 차단 바에 고정된 장력조절유닛; 을 포함하며, 차단 바는 메인 플레이트; 메인 플레이트의 일단에 형성되어 피벗 축이 끼워지는 파이프; 메인 플레이트의 한면에 결합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메인 플레이트보다 얇게 형성되어 유연성을 갖는 보조 플레이트; 로 구성되고, 지지 브래킷은 대향하는 상판과 하판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판으로 구성되어 'ㄷ'자 형상을 이루고, 지지 브래킷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규제판과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2규제판이 설치되고, 제1 및 제2규제판 사이에서 상판과 하판의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관통구멍 사이에 파이프가 위치한 상태에서 피벗 축이 관통구멍과 파이프를 통과하여 결합하며, 차단 바는 외부 충격에 의해 피벗 축을 중심으로 피봇되고, 압축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보조 플레이트는 유연성에 의해 휘어지면서 외부 충격의 일부를 흡수하고 나머지는 차단 바의 회전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높이 제한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4 is a support bracket installed on a support fixed to the ground; a blocking bar pivotally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a compression spring that elastically connects the support bracket and the blocking bar; A tension control unit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holding and blocking bars, respectively; Including, the blocking bar is the main plate; A pip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plate and fitted with a pivot axis; An auxiliary plat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thinner than the main plate to have flexibility; Consisting of, the support bracket is composed of opposing upper and lower plates and side plates connecting them to form a 'c' shape,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gulation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support bracket A second regulating plate extending to is installed,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ulating plates at opposit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the pivot axis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pipe in a state where the pipe is positioned between the through holes. The blocking bar is pivoted around the pivot axis by external impac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and the auxiliary plate absorbs part of the external impact while being bent by flexibility, and the rest is the blocking bar It proposes a technology related to a vehicle passing height lim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removed by the rotation of.

KRKR 10-2015-0115180 10-2015-0115180 AA (2015년10월14일)(October 14, 2015) KRKR 10-2014-0065037 10-2014-0065037 AA (2014년05월29일)(May 29, 2014) KRKR 20-0255812 20-0255812 Y1Y1 (2001년11월16일)(November 16, 2001) KRKR 10-2276321 10-2276321 B1B1 (2021년07월06일)(July 06, 2021)

본 발명은 도로의 일부 구간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imit the entry of vehicles into some sections of the road.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차량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차량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되어, 설정된 높이를 초과한 차량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높이 제한부(100); 차량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높이 제한부(100) 측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 값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높이 감지부(20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ntry limiting system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s, and is disposed in the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physically blocking the vehicle exceeding the set height; a height detecting unit 200 disposed in a moving path of the vehicle and measuring a height value of a vehicle entering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in real time;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높이 제한부(100)는 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지주부(110); 복수의 상기 지주부(110) 사이에 직교로 배치되는 차단 바(120); 를 포함한다.The height limiting por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ises from the ground, a pair of holding portions 110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Blocking bars 120 orthogonally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holding portions 110;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차단 바(120)는 상기 지주부(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범위 사이를 이동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blocking ba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moves between a predetermined height rang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lding portion 110 .

본 발명의 상기 높이 감지부(200)는 차량의 이동 경로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차고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복수의 센서(210); 를 포함한다.The height sens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210 dispo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vehicle movement path in the width direction to measure a vehicle height in real time;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높이 감지부(200)는 상기 센서(210)가 내측에 개재되고, 차량의 이동 경로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부(221)가 형성되는 블록(220); 을 포함한다.The height detect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220 in which the sensor 210 is interposed inside and an opening 221 is formed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a vehicle movement path;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높이 감지부(200)는 지면으로부터 기립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블록(22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직 가이드바(230); 를 포함한다.The height sens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rected from the ground, vertical guide bar 230 for providing a moving path of the block 220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cludes

본 발명은 상기 높이 제한부(100) 및 높이 감지부(200)와 연동되어, 차량의 통과 높이와 차고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with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and the height detecting unit 200, the control unit 300 for determining the vehicle's passing height and the vehicle height measurement position; includes

본 발명으로 인하여, 진입 통제 구간에 대한 통과 차량의 차고 값을 관리자가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nager can easily set a vehicle garage value for an entry control section.

또한 차량을 물리적으로 통제하는 지점과 차고 값을 계측하는 지점 사이의 거리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can easily set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where the vehicle is physically controlled and the point where the garage value is meas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높이 제한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구동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에 대한 복수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에 대한 복수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 감지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고 높이 설정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부에 대한 연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height limi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irst driv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eight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 garage height set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nterlocking state for a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o the extent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Numbers cited in the examples below are not limited to the referenced subject and can be applied to all examples. An object that exhibits the same purpose and effect as the configuration presented in the embodiment corresponds to an equivalent replacement object. The high-level concept presented in the examples includes sub-concept objects that are not described.

(실시예 1-1)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차량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되어, 설정된 높이를 초과한 차량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높이 제한부(100); 차량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높이 제한부(100) 측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 값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높이 감지부(200); 를 포함한다.(Embodiment 1-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the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on a road, and is placed in a vehicle movement route to physically block a vehicle exceeding a set height. section 100; a height detecting unit 200 disposed in a moving path of the vehicle and measuring a height value of a vehicle entering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in real time; includes

(실시예 1-2)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감지부(200)는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높이 제한부(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1-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on a road. Based on, it is formed in a structure disposed in front of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본 발명은 도로의 특정 구간으로 차고가 높은 차량의 진입을 제한하는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다. 터널이나 지하 주차장 같은 공간은 제한적인 면적이 제공됨에 따라, 공간의 높이가 비교적 한정적이다. 이 때, 차고가 높은 화물차가 상기 공간 내로 진입할 시에 적재부의 상단부가 공간 천장에 걸려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limiting the entry of a vehicle with a high vehicle height into a specific section of a road. As a space such as a tunnel 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is provided with a limited area, the height of the space is relatively limited. At this time, when a truck with a high height enters the space, a phenomenon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part is caught on the ceiling of the space and damaged may occur.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간 입구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를 제한하는 높이 제한부(100)와 진입하는 차량의 차고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높이 감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높이 제한부(100)에서 제한하는 차고 값을 높이 감지부(200)에서 계측하는 기술적인 특성상, 높이 감지부는 차량이 진입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높이 제한부(100)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a height limiting unit 100 installed at the entrance to the space to limit the height of an entering vehicle and a height sensor 200 that measures the height of the entering vehicle in real time. can At this time, due to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height sensor 200 measuring the height limit value limited by the height limiter 100, the height senso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eight limiter 100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enters. It is desirable to design as a structure.

(실시예 1-3)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제한부(100)는 비상시에 운전자에게 경보 신호를 송출하는 경보 출력부(130); 를 포함한다.(Embodiment 1-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n alarm output unit 130 that transmits a signal; includes

(실시예 1-4)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부(130)는 전방의 운전자에게 광신호를 송출하는 시각 경보부(131); 를 포함한다.(Embodiment 1-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on a road. a time alarm unit 131 that transmits a signal; includes

(실시예 1-5)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부(130)는 전방의 운전자에게 음향 신호를 송출하는 청각 경보부(132); 를 포함한다.(Embodiment 1-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on a road. an auditory alarm unit 132 that transmits a signal; includes

본 발명은 차고가 높은 차량의 진입을 제한하는 높이 제한부(100)에 대한 발명이다. 높이 감지부(200)에서 계측한 차고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한 차량에 한하여, 높이 제한부(100)는 해당 차량의 진입을 제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limiting unit 100 for limiting entry of a vehicle having a high garage.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restricts the entry of the vehicle only for vehicles whose height value measured by the height sensor 200 exceeds the reference value.

이 때, 진입하는 차량이 높이 제한부(100)와 물리적인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이 제한부(100)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정지 신호를 전달하는 경보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경보 출력부(130)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광신호를 출력하는 시각 경보부(131)와 음향 신호를 송출하는 청각 경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차고가 기준 값을 초과하였을 시에 운전자는 시각 경보부(131)에서 수신하는 광신호와 청각 경보부(132)에서 수신하는 음향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정지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운전자는 해당 차량을 높이 제한부(100)로 진입하기 이전에 정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an entering vehicle from physically colliding with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includes an alarm output unit 130 that transmits a stop signal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do. The alarm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 visual alarm unit 131 that outputs an optical signal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an auditory alarm unit 132 that transmits an acoustic signal. That is, when the vehicle heigh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driver senses a stop signal based on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visual warning unit 131 and the acoustic signal received from the auditory warning unit 132, so the driver The vehicle may be stopped before entering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

(실시예 2-1)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제한부(100)는, 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지주부(110); 복수의 상기 지주부(110) 사이에 직교로 배치되는 차단 바(120); 를 포함한다.(Embodiment 2-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nd in Embodiment 1-1,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stands up from the ground , a pair of holding portions 110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Blocking bars 120 orthogonally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holding portions 110; includes

(실시예 2-2)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부(130)는 상기 차단바(120)의 외주부에 형성된다.(Embodiment 2-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실시예 2-3)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시각 경보부(131)는 복수의 LED 소자; 를 포함한다.(Embodiment 2-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on a road. In Embodiment 2-2, the visual warning unit 131 includes a plurality of LED elements; includes

(실시예 2-4)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시각 경보부(131)는 상기 높이 감지부(200)의 측정 결과 값을 기반으로, 상이한 색의 빛을 출력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2-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and in Embodiments 2-3, the visual alarm unit 131 is configured to ), it is formed as a structure that outputs light of different colors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실시예 2-5)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제한부(100)는 차량의 이동방향을 따라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부(11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지면 가이드바(140); 를 포함한다.(Embodiment 2-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on a road. A ground guide bar 140 installed on the ground along the ground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holding part 110; includes

본 발명은 차고가 높은 차량의 진입을 제한하는 높이 제한부(100)에 대한 발명이다. 높이 감지부(200)에서 계측한 차고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한 차량에 한하여, 높이 제한부(100)는 해당 차량의 진입을 제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limiting unit 100 for limiting entry of a vehicle having a high garage.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restricts the entry of the vehicle only for vehicles whose height value measured by the height sensor 200 exceeds the reference value.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높이 제한부(100)는 지면으로부터 기립하는 한 쌍의 지주부(110)와 길이방향 양단부가 각각의 지주부(110) 상단부와 직교로 결합하는 차단 바(120)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ology, the height limiting portion 100 is a pair of holding portions 110 standing up from the ground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holding portion 110, the blocking bar 120 orthogon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It can be designed as a structure that includes.

이 때, 경보 출력부(130)는 차단 바(120)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진입 차량의 운전자는 경보 출력부(130)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시각 경보부(131)의 구조나 형상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나, 각각 상이한 색을 발현하는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높이 감지부(200)에서 계측한 차고의 값을 기준으로 하여, 활성화되는 LED 소자의 종류가 결정된다.At this time, the warning output unit 130 is formed in a structur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ocking bar 120, so that the driver of the entering vehicle can easily recognize the signal output from the warning output unit 130. Although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visual alarm unit 1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LED elements each expressing a different color. That is, based on the value of the height measured by the height sensor 200, the type of LED element to be activated is determined.

또한 높이 제한부(100)는 지주부(11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지면 가이드바(140)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면 가이드바(140)는 차량의 진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지주부(110)는 차량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guide bar 140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holding unit 110 . As the ground guide bar 140 is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holding portion 110 may move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based on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실시예 3-1)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바(120)는 상기 지주부(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범위 사이를 이동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3-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nd in Embodiment 2-1, the blocking bar 120 is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moves between a predetermined height rang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실시예 3-2)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바(120)는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1 구동부(121); 를 포함한다.(Embodiment 3-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nd in Embodiment 3-1, the blocking bar 120 is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driving unit 121; includes

(실시예 3-3)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121)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 수단(121-1); 상기 동력 수단(121-1)과 축결합하여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121-2); 를 포함한다.(Embodiment 3-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nd in Embodiment 3-2, the first drive unit 121 applies power from the outside. a power unit 121-1 that receives and generates power; a pinion gear 121-2 that rotates in shaft coupling with the power means 121-1; includes

(실시예 3-4)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110)는 상기 피니언 기어(121-1)와 대향하는 내주면에 배치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랙 기어(111); 를 포함한다.(Embodiment 3-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1) disposed on the opposit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ack gear 111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cludes

본 발명은 차고가 높은 차량의 진입을 제한하는 높이 제한부(100)에 대한 발명이다. 높이 감지부(200)에서 계측한 차고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한 차량에 한하여, 높이 제한부(100)는 해당 차량의 진입을 제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limiting unit 100 for limiting entry of a vehicle having a high garage.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restricts the entry of the vehicle only for vehicles whose height value measured by the height sensor 200 exceeds the reference value.

이 때, 차단 바(120)는 지주부(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이동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관리자는 진입 가능한 차량의 차고 값을 수시로 가변시켜, 본 발명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ocking bar 1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moves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lding portion 110 . As the structure is designed as described above, the manager can change the garage value of vehicles that can enter from time to time, thereby improving the compati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차단 바(120)는 길이방향 양단부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21)는 전력 인가여부에 따라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수단(121-1)과 동력 수단(121-1)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주부(110)의 내주면에는 피니언 기어(121-2)의 피치 값과 대응되는 랙 기어(111)가 내주면에 배치됨에 따라, 피니언 기어(121-2)의 회전에 의해 차단 바(120)가 소정 높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ique, the blocking bar 12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121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driving unit 121 may include a power means 121-1 for supplying power according to whether power is applied and a pinion gear 121-2 rotated by the power means 121-1. At this time, as the rack gear 111 corresponding to the pitch value of the pinion gear 121-2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110,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121-2 blocks the bar ( 120) may rise or fall to a predetermined height.

(실시예 4-1)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감지부(200)는 차량의 이동 경로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차고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복수의 센서(210); 를 포함한다.(Embodiment 4-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on a road, and in Embodiment 1-1, the height sensor 200 measures a plurality of sensors 210 dispo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o measure a vehicle height in real time; includes

(실시예 4-2)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센서(210)는 레이저 센서, 화상 센서, 접촉식 센서 중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된다.(Embodiment 4-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on a road, and in Embodiment 4-1, the sensor 210 includes a laser sensor, an image sensor, a contact It is formed with one selected from among the expression sensors.

본 발명은 높이 제한부(100) 측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차고 값을 계측하는 높이 감지부(200)에 대한 발명이다. 차량이 진입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높이 제한부(100)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높이 감지부(200)가 차량의 차고 값을 계측하는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높이 제한부(100) 측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통제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detecting unit 200 that measures a vehicle height value of a vehicle approaching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enters, as the height sensor 200 dispos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height limiter 100 is designed to measure the vehicle height value, approaching the height limiter 100 Control of the vehicle may be determined.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높이 감지부(200)는 도로의 폭방향 중앙부를 주행하는 차량 측을 향하는 방향에 대한 계측을 실시하는 복수의 센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센서(210)는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센서(210)의 계측 방식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며, 관리자는 레이저 센서, 화상 센서, 접촉식 센서 중 필요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ology, the height sensor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210 that measure a direction toward a vehicle traveling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ensors 210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sensor 2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manager may employ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necessity among a laser sensor, an image sensor, and a contact sensor.

(실시예 4-3)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센서(210)는 외부로 특정 신호를 송출하는 송신 센서부(211); 상기 송신 센서부(211)에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센서부(212); 를 포함한다.(Embodiment 4-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on a road, and in Embodiment 4-1, the sensor 210 transmits a specific signal to the outside. transmission sensor unit 211; a reception sensor unit 212 for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sensor unit 211; includes

(실시예 4-4)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센서부(212)는 상기 송신 센서부(211)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Embodiment 4-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on a road, and in Embodiment 4-3, the receiving sensor unit 212 is the transmitting sensor unit ( 211) and is placed opposite.

본 발명은 높이 제한부(10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차고 값을 계측하는 높이 감지부(200)에 대한 발명이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높이 감지부(200)는 도로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한 피측정물을 계측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sensor 200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height limiter 100 and measuring a vehicle height of an entering vehicle.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ology, the height sensor 20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210 that measure an object to be measured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이 때, 센서(210)는 도로의 폭방향 일단부에 배치되는 송신 센서부(211) 및 송신 센서부(211)와 대향 배치되는 도로의 폭방향 타단부의 수신 센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높이 감지부(200)는 송신 센서부(211)에서 수신 센서부(212)를 향하여 송출하는 특정 신호가 수신 센서부(212)에서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높이 제한부(100)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고 값을 계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210 may include a transmission sensor unit 211 disposed at one end of the roa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reception sensor unit 212 disposed at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opposite to the transmission sensor unit 211. can That is, the height detection unit 200 determines whether a specif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sensor unit 211 toward the reception sensor unit 212 is received by the reception sensor unit 212, and returns to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garage value of an entering vehicle.

(실시예 5-1)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감지부(200)는 상기 센서(210)가 내측에 개재되고, 차량의 이동 경로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부(221)가 형성되는 블록(220); 을 포함한다.(Embodiment 5-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 block 220 interposed on the inside and having an opening 221 formed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ving path of the vehicle; includes

(실시예 5-2)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감지부(200)는 차량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블록(22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평 가이드바(240); 를 포함한다.(Embodiment 5-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on a road. A horizontal guide bar 240 providing a moving path of the block 220 according to; includes

(실시예 5-3)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블록(220)은 내측에 하나의 상기 센서(210)를 개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5-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nd in Embodiment 5-2, the block 220 includes one sensor ( 210) is formed as a structure intervening.

(실시예 5-4)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블록(220)은 내측에 복수의 상기 센서(210)를 개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5-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section on a road, and in Embodiment 5-2, the block 22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 210) is formed as a structure intervening.

본 발명은 높이 제한부(10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차고 값을 계측하는 높이 감지부(200)에 대한 발명이다. 높이 감지부(200)는 도로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한 피측정물을 계측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210)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높이 제한부(100)로 진입하는 차량의 통제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sensor 200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height limiter 100 and measuring a vehicle height of an entering vehicle. As the height sensor 200 is designed as a structure including one or more sensors 210 for measuring the measured objec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ral 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it controls the vehicle entering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It is possible to obtain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높이 감지부(200)를 구성하는 센서(210)는 내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도로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개구부가 형성되는 블록(2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센서(210)를 별도의 구성 내부에 차폐시킴에 따라, 높이 감지부(200)에 대한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nsor 210 constituting the height sensor 2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block 220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formed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That is, as the sensor 210 is shielded inside a separate structur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height sensor 200 may be improved.

또한 높이 감지부(200)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 가이드바(240)에 의해 블록(220)의 수평상 위치가 가변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센서(210)가 차고 값을 계측하는 수평 위치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가변시켜, 높이 제한부(100)와 높이 감지부(200) 사이의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sensor 200 may be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block 220 is variable by the horizontal guide bar 240 installed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s the structure is designed as described above, a manager can easily change the horizontal position where the sensor 210 measures the height value, and set the distance between the height limiter 100 and the height sensor 200.

이 때, 센서(210)는 필요도에 따라, 하나의 블록(220)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수용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각각의 센서(210)에 대한 위치를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210 is designed as a structure in which one or a plurality of sensors are accommodated inside one block 220, depending on the need, so that the position of each sensor 210 can be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changed. there is.

(실시예 6-1)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감지부(200)는 지면으로부터 기립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블록(22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직 가이드바(230); 를 포함한다.(Embodiment 6-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nd in Embodiment 5-1, the height sensor 200 stands up from the ground, A vertical guide bar 230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block 220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cludes

(실시예 6-2)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바(230)는 상기 수평 가이드(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6-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nd in Embodiment 6-1, the vertical guide bar 230 is the horizontal guide 240 ) Is formed in a structure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실시예 6-3)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바(240)는 상기 수직 가이드바(230)와 대향 배치되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구동부(241); 를 포함한다.(Embodiment 6-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nd in Embodiment 6-2, the horizontal guide bar 240 is the vertical guide bar ( 230) and a second driving unit 241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ite to each other; includes

본 발명은 높이 제한부(10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차고 값을 계측하는 높이 감지부(200)에 대한 발명이다. 블록(220) 내부에 센서(210)가 수용되는 구조의 높이 감지부(200)는 수평 가이드바(240)가 설치된 구간 내에서 블록(220)이 이동하여, 관리자가 차고 측정 지점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sensor 200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height limiter 100 and measuring a vehicle height of an entering vehicle. In the height sensor 2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ensor 210 is accommodated inside the block 220, the block 220 moves within the section where the horizontal guide bar 240 is installed, so that the manager can easily set the garage measurement point. can

이 때, 높이 감지부(200)는 수평 가이드바(240)와 직교로 결합하여, 수평 가이드바(240)의 위상 값을 가변시키는 복수의 수직 가이드바(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직 가이드바(230)가 수평 가이드바(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됨에 따라, 수평 가이드바(240)와 결합하는 블록(220)의 위상 값이 최종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sensor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guide bars 230 coupled to the horizontal guide bar 240 at right angles to change the phase value of the horizontal guide bar 240 . In other words, as the vertical guide bar 230 is disposed in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guide bar 240, the phase value of the block 220 coupled to the horizontal guide bar 240 may finally change. .

즉, 수직 가이드바(230)가 블록(220) 내부에 수용되는 센서(210)의 위상 값을 가변시킴에 따라, 관리자는 높이 제한부(100)에서 통제하는 차고 값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수평 가이드바(240)는 수직 가이드바(230)와 결합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별도의 제2 구동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구동부(241)의 구조나 형상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나, 별도의 동력 수단에 의해 회전력을 높이방향에 대한 이송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랙, 피니언 기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the vertical guide bar 230 changes the phase value of the sensor 210 accommodated inside the block 220, the manager can change the height control value controlled by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ology, the horizontal guide bar 240 may include a separate second driving unit 241 formed at a point where it is coupled with the vertical guide bar 230 . At this time,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second driving unit 24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rack and pinion gear structure capable of converting rotational force into conveyance force in the height direction by a separate power means.

(실시예 7-1)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제한부(100) 및 높이 감지부(200)와 연동되어, 차량의 통과 높이와 차고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한다.(Embodiment 7-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 the control unit 300 for determining the passing height and height measurement position of the vehicle; includes

(실시예 7-2)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서(210)의 수평 위치를 결정하는 수평 제어부(310); 를 포함한다.(Embodiment 7-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nd in Embodiment 7-1,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horizontal Horizontal control unit 310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includes

(실시예 7-3)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차단 바(120) 및 센서(210)의 높이 값을 결정하는 수직 제어부(320); 를 포함한다.(Embodiment 7-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nd in Embodiment 7-1,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the blocking bar 120 and a vertical controller 320 that determines a height value of the sensor 210; includes

(실시예 7-4)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특정 구간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수직 제어부(320)는 상기 차단 바(120)와 상기 센서(210)의 위상 값을 동일한 위치로 배치시킨다.(Embodiment 7-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restriction system for blocking entry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road into a specific section, and in Embodiment 7-3, the vertical control unit 320 is the blocking bar and the phase value of the sensor 210 are placed at the same position.

본 발명은 도로의 특정 구간으로 차고가 높은 차량의 진입을 제한하는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다. 통제 대상인 차고와 동일한 위상 값의 차단바(120)가 배치되는 높이 제한부(100)와 진입하는 차고 값을 계측하는 높이 감지부(20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limiting the entry of a vehicle with a high vehicle height into a specific section of a road. It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height limiting unit 100 in which a blocking bar 120 having the same phase value as the garage to be controlled is disposed and a height detecting unit 200 that measures the value of the entering garage, so that the above technology can be implemented. there is.

이 때, 높이 감지부(200)에서 계측한 값을 기반으로 진입중인 차량의 통제 여부를 결정하는 별도의 제어부(300)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높이 감지부(200)에서 계측한 값은 제어부(300)로 전달되고, 제어부(300)에서는 높이 가감지부(200)로부터 전달된 값을 기반으로 별도의 연산 과정을 거쳐 높이 제한부(100)의 경보 출력부(13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 separate control unit 30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ontrol the entering vehicle based on the value measured by the height sensor 20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That is, the value measured by the height sensor 2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300 performs a separate calculation process based on the value transmitted from the height sensor 200 to determine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 of the alarm output unit 130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또한 제어부(300)는 관리자가 기입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높이 감지부(20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어부(300)는 각각의 블록(220)에 대한 수평상 위치를 결정하는 수평 제어부(310)와 수평 가이드바(240)가 배치되는 위상 값을 결정하는 수직 제어부(32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수평 제어부(310)와 수직 제어부(320)는 높이 제한부(100)와도 연동되어, 지주부(110)의 수평상 위치와 차단바(120)의 위상 값도 동시에 가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0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height sensor 200 based on data entered by the manager.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ology,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 horizontal control unit 310 for determin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each block 220 and a vertical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phase value at which the horizontal guide bar 240 is disposed ( 320)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horizontal control unit 310 and the vertical control unit 320 are also interlocked with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so that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holding unit 110 and the phase value of the blocking bar 120 can be simultaneously varied.

1 : 차량
100 : 높이 제한부 110 : 지주부
111 : 랙 기어
120 : 차단 바 121 : 제1 구동부
121-1 : 동력 수단 121-2 : 피니언 기어
130 : 경보 출력부 131 : 시각 경보부
132 : 청각 경보부
140 : 지면 가이드바
200 : 높이 감지부 210 : 센서
211 : 송신 센서부 212 : 수신 센서부
220 : 블록 230 : 수직 가이드바
240 : 수평 가이드바 241 : 제2 구동부
300 : 제어부 310 : 수평 제어부
320 : 수직 제어부
1: vehicle
100: height limiting part 110: holding part
111: rack gear
120: blocking bar 121: first driving unit
121-1: power means 121-2: pinion gear
130: alarm output unit 131: visual alarm unit
132: auditory alarm unit
140: ground guide bar
200: height sensor 210: sensor
211: transmission sensor unit 212: reception sensor unit
220: block 230: vertical guide bar
240: horizontal guide bar 241: second driving unit
300: control unit 310: horizontal control unit
320: vertical control

Claims (7)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되어, 설정된 높이를 초과한 차량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높이 제한부(100);
차량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높이 제한부(100) 측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 값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높이 감지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제한부(100)는,
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지주부(110);
복수의 상기 지주부(110) 사이에 직교로 배치되는 차단 바(120);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바(120)는,
상기 지주부(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범위 사이를 이동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차단 바(120)에는,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1 구동부(121);
상기 제1 구동부(121)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수단(121-1);
상기 동력 수단(121-1)과 축결합하여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121-2); 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부(110)는 상기 피니언 기어(121-1)와 대향하는 내주면에 배치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랙 기어(111); 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감지부(200)는,
차량의 이동 경로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차고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복수의 센서(210);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210)가 내측에 개재되고, 차량의 이동 경로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부(221)가 형성되는 블록(220); 을 포함하며,
지면으로부터 기립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블록(22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직 가이드바(230); 를 포함하고,
차량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블록(22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평 가이드바(240); 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가이드바(230)는 상기 수평 가이드(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차량 진입 제한 시스템.
In the system for blocking the entry of the vehicle,
a height limiting unit (100) disposed in the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to physically block vehicles exceeding a set height;
a height detecting unit 200 disposed in a moving path of the vehicle and measuring a height value of a vehicle entering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in real time; including,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Standing from the ground, a pair of holding parts 110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Blocking bars 120 orthogonally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holding portions 110; Including,
The blocking bar 120,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moves between a predetermined height rang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lding portion 110,
In the blocking bar 120,
First driving units 121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driving unit 121 includes a power means 121-1 generating pow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 pinion gear 121-2 that rotates in shaft coupling with the power means 121-1; is installed,
The holding portion 110 includes a rack gear 111 dispos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pinion gear 121-1 and extending in a height direction; Including,
The height sensor 200,
a plurality of sensors 210 dispo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vehicle movement path in the width direction to measure a vehicle height in real time; including,
a block 220 in which the sensor 210 is interposed and an opening 221 is formed in a direction toward a central portion in a width direction of a vehicle movement path; Including,
A vertical guide bar 230 standing up from the ground and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block 220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cluding,
A horizontal guide bar 240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block 220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vertical guide bar 230 is a vehicle entry limiting system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guide 24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제한부(100) 및 높이 감지부(200)와 연동되어, 차량의 통과 높이와 차고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하는 차량 진입 제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control unit 300 interlocking with the height limiting unit 100 and the height detecting unit 200 to determine a vehicle passing height and a vehicle height measurement position; Vehicle entry restriction system comprising a.
KR1020210174323A 2021-12-08 2021-12-08 Height limit system for vehicle KR102537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323A KR102537705B1 (en) 2021-12-08 2021-12-08 Height limit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323A KR102537705B1 (en) 2021-12-08 2021-12-08 Height limit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705B1 true KR102537705B1 (en) 2023-05-26

Family

ID=8653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323A KR102537705B1 (en) 2021-12-08 2021-12-08 Height limit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7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749B1 (en) 2023-07-05 2023-12-06 (주)빅트론 A tunnel entry prevention system for over-limit height vehicl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812Y1 (en) 2001-08-31 2001-12-13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Vehicle height control apparatus of box types tunnel road
KR20080000147U (en) * 2006-08-02 2008-02-11 공현식 The clash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s to pass the structure
KR20140065037A (en) 2012-11-21 2014-05-29 주식회사 나루테크 Device for restricting the passing height of vehicles
KR20150115180A (en) 2014-04-03 2015-10-14 (주) 미라클이앤아이 Informing apparatus for restricting passing height of vehicle
KR101949795B1 (en) * 2018-06-08 2019-02-19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Safety entry and exit apparatus for building complex using wire
CN212135668U (en) * 2020-03-20 2020-12-11 潜一波 Limit for height early warning device based on singlechip
KR102276321B1 (en) 2020-11-13 2021-07-13 김종성 Apparatus for limiting passage height of vehicl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812Y1 (en) 2001-08-31 2001-12-13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Vehicle height control apparatus of box types tunnel road
KR20080000147U (en) * 2006-08-02 2008-02-11 공현식 The clash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s to pass the structure
KR20140065037A (en) 2012-11-21 2014-05-29 주식회사 나루테크 Device for restricting the passing height of vehicles
KR20150115180A (en) 2014-04-03 2015-10-14 (주) 미라클이앤아이 Informing apparatus for restricting passing height of vehicle
KR101949795B1 (en) * 2018-06-08 2019-02-19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Safety entry and exit apparatus for building complex using wire
CN212135668U (en) * 2020-03-20 2020-12-11 潜一波 Limit for height early warning device based on singlechip
KR102276321B1 (en) 2020-11-13 2021-07-13 김종성 Apparatus for limiting passage height of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749B1 (en) 2023-07-05 2023-12-06 (주)빅트론 A tunnel entry prevention system for over-limit height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56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with laser the passage by a vehicle of a point for monitoring on a road
CN107817110A (en) For the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detecting vehicle
US10612200B2 (en) Ground-based vehicle barrier system
KR101214916B1 (en) Warning apparatus for restricting height of a loaded truck
KR102537705B1 (en) Height limit system for vehicle
JP4210942B2 (en) Vehicle collision object discrimination device
KR101723551B1 (en) System for simulating car accident of pedestrian
CN110103951A (en) Automatic park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automobile
KR102126118B1 (en)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Zigbee communication and height measurement
CN109778736A (en) A kind of flexibility limit for height alarm device
KR100980908B1 (en) Overspeed preventing system for children protection zone
KR101142722B1 (en) Traffic control system for handling wayside disaster
KR102399951B1 (en) System for control road traffic signal
CN106080610A (en) Vehicle
KR101602641B1 (en) vehicle passing heigh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484296B1 (en) Convex mirror with vehicle detection and alarm at intersections
KR200404844Y1 (en) Heavey traffic enforcement apparatus by noninclusive vehicle detecting sensor
KR10144611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bollard of road
KR100947291B1 (en) Traffic equipment with compensation apparatus for waving
KR102409485B1 (en) Pedestrian safety system using sensitive block and vehicle detection
KR102237142B1 (en) Signboard vehicle system with vehicle traffic indication function and rest facility
CN205383996U (en) Motor vehicle outline detector
KR102355297B1 (en) 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
KR100207964B1 (en) A testing apparatus for a tire
JP2002367078A (en) Vehicle s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